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춘수 시에 나타난 감각의 논리와 만남encounter 연구

        한혜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2

        Kim Chun-su tried to figure out what was inside the state of enlightenment of words, but he ended up experiencing the reification of language, which involves the death and ideation of language. The poet recognized that an effort to make an outside world(things) his own represented division and severance. He experienced the violence of history and ideology in the situations of his times. After living the times whose goal wa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by the subject of ruling, he started to search for a path to true freedom from anthropocentric and violent language. As a poet, he contemplated over how to begin a poem in his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or others instead of colonizing the world with his internal self-express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the world) in his poems with a focus on the "encounter" issue, trying to change the old viewpoint that his poetry moved toward the death of a subject for post-history and post-ideology. In his poetry, subjects are accepting and manifested in relations, and their relations with others become "subjective-subjective relations." The thinking behind an "encounter" are to deny history and ideology that has become violence and, at the same time, accept the reality actively in one's own way rather than escaping from it. Kim Chun-su underwent a stepwise process of a poetic experiment to open up a non-objective world through the restriction of consciousness, regarding a language in which a human idea intervened as violence. He converted from his early metaphysical ideas to image-led descriptive poems. Descriptive images represent his attempt at discovering the vivid "state of mind" of the world by excluding the ascription of human significance and depicting things as they were with a phenomenological view. Realistic depictions, however, still made him keep a distance from objects, which was why the poet proposed new descriptive images in which images became objects. The descriptive images that he made an attempt at embody an "encounter,"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born together" based on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logic and free association and in which those who are watching are in mutual coexistence with those who are being watched. Descriptive images appear as the effects of blank space and are created as physical descriptions of the outside get to have psychological(ontological) shadow. That is, the mutual correspondence of blank space, at which the poet made an attempt, forms a space elevated through the relational operation in which the state of silence(suggestion) created by a return back to nothingness and what are made of language meet together. It is manifested in his poems where the visible world of things is in harmony with the invisible world of internal sensitivity inside. Since then, Instead of locking the world up inside images, the poet embraced in a unified manner the "manifestation(apparaîre) itself" of the world that was constantly being created and moving through the rhythms in a moving and flowing form. The poet attempted ontological communication between a subject and the world by moving forward to a moment of sensation in which there was no boundary between a subject and the world(the outside). That represents a dimension of "rhythms" that unifies sensational natural facts living in various forms at a moment of encountering the world or logic of sensation not subjected to consciousness. Kim Chun-su focused on a phenomenological world derived from relations rather than the existence of images or things, thus discovering poetry as a structure of bringing about an "encounter." In other words, his poetic course started at internal poems in a form of self-completion and moved to a world of mutual encounters(relationship) with the outside(others). As he tried to move toward the expression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outside and a subject, he developed an ambiguous attitude. In his poems, the ambiguous gaze represents a relational gaze beyond the modern gaze of checking the identity of subjects. In his poems, he created a scene in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lived together, stimulating each other, with a poetic moment of "being watched while watching and being watched while watching." The intertwining of what is watching and what is being watched reveals "what is invisible" living and breathing behind "what is visible" in a visual manner, asking and answering the existence of things. It suggests that the entirety of a thing will not be revealed when there is only an operation of watching and that the existence of a thing may be visible in the space of darkness. The poet thus sought after poems in which mutual relations were manifested through the complex nature of light(consciousness) and darkness(reality) instead of orientation of existence based on light or nothingness only with darkness. He pursued equal mutual relationship, abstaining from dichotomous distinction and choice between two things. Poetry or art could not be a writer's intention itself or the existence of the outside itself to the poet, who was thus oriented toward a new direction(prose poetry) that was a mix of realism and anti-realism or the physical world and the mental world. Even though he refused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an internal boundary, the resulting identification with the external reality and society, he tried to transcend a boundary through an encounter. As far as he was concerned, poetry stood between a boundary and openness. There is the coexistence of two opposite concepts, deconstruction and creation, in poems of an open encounter with clearly different and yet equal elements. Poet's ambivalence about history stemmed from the coexistence of creation and deconstruction. This means that history(fiction) and non-history(reality) is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cyclical repetition and movement between creation and deconstruction. It was important to him to turn the violence of history into a practice mode of encounter, and it can be made possible with passive and yet active expressions. The new kind of reason that he tried to reach was, therefore, the logic of accepting others as much as possible and establishing oneself or the open reason of moving forward while accepting the outside. The conclusion of his nonsense poetry was a path toward building a whole by banding together with the world based on the synthesis of "nothingness"(accepting the outside in a state of inattention) and "existence"(constructing the meanings of a poet to the outside) and realizing oneself in it. 김춘수는 말의 피안彼岸에 있는 것을 알고자 하나 언어가 죽어 관념화되는 언어의 사물화事物化를 경험한다. 시인은 외부 세계를 자기화하려는 것이 분열과 단절임을 인식한다. 김춘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역사와 이데올로기의 폭력을 경험한다. 그는 지배 주체에 의한 동일성의 확립이 목적인 시대를 경험하고, 그에 따라 인간중심적이고 폭력적이 된 언어로부터 진정한 자유의 길을 모색한다. 시인으로서 김춘수는 내적인 자기표현으로써 세계를 식민지화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외부나 타자와의 관계성 속에서 시를 개시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남(Encounter)’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김춘수 시의 주체와 타자(세계)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는 김춘수의 시가 탈역사, 탈이데올로기를 위해 주체의 죽음으로 나아갔다고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을 전환시킨다. 김춘수 시에서 주체는 수용하는 주체, 관계 속에서 발현하는 주체이며, 주체와 타자의 관계가 ‘주관-주관의 관계’가 된다. ‘만남’의 사유는 폭력이 되어 버린 역사와 이데올로기를 부정함과 동시에, 현실로부터의 도피가 아니라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김춘수는 인간의 관념이 개입되는 언어를 폭력으로 보고, 이에 따라 의식의 한정을 통해 비대상적인 세계를 열어 보이는 단계적인 시적 실험의 과정을 거친다. 시인은 초기의 형이상학적인 관념에서 이미지 위주의 서술적인 시로 방향을 전환한다. 서술적 이미지는 인간적 의미 부여를 배제하고, 현상학적인 시각을 통하여 사물을 그 자체로 바라보고 묘사함으로써 세계의 생생한 ‘상태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나 즉물적인 묘사는 여전히 대상과의 거리를 유지하기에, 시인은 이미지가 곧 대상이 되는 새로운 서술적 이미지를 제시한다. 김춘수가 시도한 서술적 이미지는 논리와 자유연상이 함께 작동함으로써 주체와 대상이 ‘함께-태어나’는, 보는 자와 보이는 자가 상호 공존하는 ‘만남’을 구현한다. 서술적 이미지는 여백의 효과로 나타나는데, 피지컬한 외부묘사가 심리적(존재론적)음영을 갖춤으로써 형성된다. 즉, 김춘수가 시도한 여백의 상호조응은 무無로 돌아감으로써 이루어지는 침묵(암시)의 상태와 언어로 빚은 부분이 서로 만나는 관계 작용을 통해 앙양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시인은 이미지 안에 세계를 가두지 않고, 움직이고 흐르는 형태인 리듬을 통해 끊임없이 형성되고 움직이는 세계의 ‘현현(apparaîre) 그 자체’를 통일적으로 끌어안는다. 시인은 주체와 세계(외부)의 경계가 없는 감각적 순간으로 나아감으로써 주체와 세계의 존재론적 소통을 시도한다. 이는 세계와 마주치는 순간의 다양하게 살아있는 감각적 소여들을 통일시키는 ‘리듬’의 차원, 즉 의식에 종속되지 않는 감각의 논리이다. 김춘수는 이미지나 사물의 존재성보다 관계에서 오는 현상학적인 세계에 집중하여 ‘만남’을 불러일으키는 구조로서의 시를 발견하였다. 즉, 김춘수의 시적 도정은 내면적인 자기완결형의 시에서 외부(타他)와의 상호적인 만남의 시(관계성)로 나아간 것이다. 김춘수는 외부와 주체의 상호적인 관계성의 표현으로 나아가고자 하였기에 양가적인 태도를 갖는다. 김춘수는 시에서 ‘보는 동시에 보이고, 보이는 동시에 보는’ 양의적 시선으로 안과 밖이 서로를 자극하는 살아 있는 광경을 만든다. 보는 것과 보이는 것의 상호엮임은 ‘보이는 것’의 이면에 살아 숨쉬는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면서 사물의 존재에 대해 묻고 대답한다. 이는 보는 작용만 존재할 때 사물의 전부는 드러나지 않으며, 어둠의 공간에서 사물의 현존이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인은 빛에 의한 존재의 정위定位나 어둠만 존재하는 무無로서가 아니라, 빛(의식)과 어둠(현실)의 복합성을 통하여 상호적 관계가 발현하는 시를 추구한다. 이처럼 김춘수는 이원적 구분과 양자택일을 지양하고 동등한 상호관련성을 추구한다. 김춘수에게 시, 예술은 작가의 의도 자체나 외부의 실재 그 자체가 될 수 없다. 따라서 그는 리얼리즘과 반리얼리즘, 즉 물리세계와 심리세계의 배합이라는 새로운 방향(산문시)을 지향하게 된다. 김춘수는 내부적 경계의 완전한 사라짐과 거기에서 비롯되는 외부적 현실, 사회와의 동일화를 거부하였지만, 만남을 통해 경계를 초월하고자 한다. 명확히 다르지만, 동등한 요소로서의 열린 만남의 시에는 해체와 형성이라는 대립적 개념이 공존한다. 김춘수의 역사에 대한 양가감정은 해체와 형성의 공존에서 비롯된다. 즉, 역사(허구)와 역사 아닌 것(현실)이 형성과 해체라는 끊임없는 순환적 반복과 운동의 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김춘수에게 중요한 것은 역사의 폭력을 만남의 실천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었고, 이는 수동인 동시에 능동인 표현으로 가능해진다. 그리하여 그가 나아가고자 한 새로운 이성은 타자를 최대한으로 받아들이며 자기를 구축해가는 논리, 즉 외부를 수용하며 나아가는 열린 이성이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의 귀결점은 ‘무無’(방심상태로 외부를 수용)와 ‘유有’(외부에 대한 시인의 의미 구축)의 종합으로 세계와 연대하여 전체를 이루고 그 속에서 자신을 실현하고자 하는 길이었다.

      • 공동체주택 세대별 마주침 공간의 건축적 요소 분석 : 홍은 써드플레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38

        본 연구는 고프먼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동체 주택 내 세대별 마주침 공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도시사회에서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로 인한 주거 공간의 변화는 미미한 상태이며, 이는 공동체 주택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고프먼의 Encounter, 연극적 접근(Dramaturgical Model), 표면영역과 이면영역 개념을 활용하여 마주침 공간을 정의하고, 홍은 써드플레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공간 구성과 마주침 행위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각 세대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8개의 건축적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세대 간의 심리적 경계를 완화 및 조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현장 조사를 병행하였으며, 홍은 써드플레이스 내의 거주자 공용공간 및 세대별 마주침 공간의 현황을 평면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프먼의 이론을 통한 마주침 공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초점없는 상호작용에서 초점있는 상호작용까지 유도하는 공간이며, 연극적 접근으로 비유한다면 무대 뒤편에 속한다. 무대와 완전한 무대 뒤편의 자신만의 공간을 연결하며, 사회행동으로 분류했을 때, 표면영역과 이면영역의 교집합에 위치해 있다. 에드워드의 근접학에 따르면, 개인적거리, 사회적거리로 분류할 수 있다. 마주침 공간은 거주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도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특히, 외부 계단, 세대현관 외부공간, 주거공간 공적공간에서의 마주침 중 ‘서로보다’의 행위는 초점 없는 상호작용에서 초점이 집중된 상호작용으로의 변환점이며, 주민들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와 소통을 유도하고 공동체 주택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개인의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개인공간과 마주침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공간의 사용이 자유롭다. 결론적으로, 마주침 공간은 공동체 주택 내에서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마주침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공동체 주택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임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s that can occur naturally between neighbors in common spaces of community housing and the associated architectural elements. Based on Goffman's three theories, it organizes the encounters occurring at the junctions of common spaces and household spaces, and analyzes the encounter spaces for each household.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modern urban society, changes in residential spaces remain minimal,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community housing. This paper utilizes Goffman's concepts of encounter, dramaturgical model, and the front and back regions to defin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encounter spaces. The case study focuses on the HongEun Third Place 2-8, examining detailed spatial planning and identifying architectural elements that facilitate encounters. The study explores eight architectural elements that promote interaction among generations, emphasizing the need for encounter spaces to mitigate and regulate psychological boundaries between resident. The research methodology combines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hared and encounter spaces in Third Place 2-8 through floor plans and 3D modeling. The characteristics of encounter spaces, as derived from Goffman's theories, include spaces that guide interactions from unfocused to focused encounters. These spaces can be likened to backstage areas that connect the stage and the complete backstage in a dramaturgical model. In terms of social behavior, these spaces are intersections of the front and back regions, allowing for flexible adjustment of interpersonal distances. According to Edward's proxemics, these spaces can be classified into personal and social distances. The study reveals that encounter spaces in community housing are crucial elements that maintain residents' privacy while strengthening community spirit. The analysis of detailed spatial planning and the potential for encounter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shared external staircases and common spaces, all types of interactions can occur. Second, the external space in front of unit residential areas do not include acts of overtaking others, as these are perceived as personal spaces, thus discouraging intrusion by unfamiliar individuals. This can be seen a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front region (shared spaces) and the back region (private spaces). Third, when horizontal visual contact occurs, a shift from indifference to engagement may happen through simple greetings and smiles. However, when visual contact occurs through windows within residential units, residents refrain from gesturing or waving, maintaining a sense of privacy. Fourth, vertical visual exchanges occur between external staircases and windows in residential units, as well as in voids planned within common spaces. Compared to horizontal visual contact, vertical exchanges are less tense, especially within residential units, where minor indulgences are allowed in back regions, leading to brief acknowledgment followed by a return to indifference. Exceptions can occur based on specific spatial planning. Chapter 3 analyzes why encounter behaviors differ in detailed spaces, while Chapter 4 identifies eight architectural elements: 1) external staircases, 2) external spaces in front of unit entrances, 3) steps, 4) visual twists in external spaces in front of unit entrances, 5) visual twists inside unit entrances, 6) horizontal visual connections, 7) vertical visual connections, and 8) the public-private layout within residential units. In conclusion, encounter spaces play a crucial role in facilitating interactions among residents in community housing and in fostering community spirit. This ultimately contributes to enhancing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ncounter spaces and suggests that the should be a key consideration in future community housing designs, tailored to the situations and preferences of the residents.

      • 항공기내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 체계 개선 방안

        서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37

        본 연구는 항공 산업에서 고객과 기업의 여러 가지 직, 간접 자원이 접촉하는 순간(moment of truth)을 관리하기 위하여 항공 서비스 중 고객과 가장 빈번히 접촉하는 항공 기내 서비스를 중심으로 인카운터를 규명하고 인카운터에서의 고객 불만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갭(Gap) 모델을 통해 기업 내부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고객 불만의 원인이 어떠한 내부적 서비스 전달 체계 영역에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A항공사 업무규정집 및 A항공사 고객만족팀에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에 걸쳐 접수된 고객 설문과 서비스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현재 A항공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국제선 객실 승무원300명을 대상으로 2007년 11월 2일부터 11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72부가 회수되어(회수율 91%) 분석에 사용되었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항공기내에서 서비스 인카운터가 발생되는 지점을 총 15개 단계로 유형화하였다. 항공기내서비스 인카운터를 이륙 전(환영인사, 좌석안내, 수하물 보관안내, 지상서비스, 이륙관련 안전조치), 운항 중(헤드폰 서비스, 식음료 서비스, 1차 서류 서비스, 기내 면세품 판매, 영화감상, 개인휴식, 2차 서류 서비스, 도착준비, 착륙안전조치), 착륙 후(환송인사)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둘째, 기내서비스 인카운터 유형별 고객 불만 요인을 파악하고 이 중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지점을 규명하였다.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인카운터는 총 4개로 불만의 요인이 가장 많고 내용도 다양한 8단계 식음료 서비스와 표출된 불만에 대비해 잠재 불만 발생률이 높은 1단계 환영인사, 9단계 기내 면세품판매, 1,2차 서류서비스이며 이들은 모두 불만과 잠재 불만에서 높은 발생빈도수를 보였다. 이러한 인카운터에서의 고객 불만 요인의 내용을 분석하여 본 결과 반복적 고객 불만 발생요인은 승무원의 응대 태도와 관련된 부분과 불충분한 서비스 제공에서 야기되고 있었다.셋째, 항공 기내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객실 승무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별, 나이, 결혼유무, 근무 Class, 직급, 비행경력의 총 6가지 항목 중 성별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30세 이상의 부사무장 직급을 가진 경력 5년-10년 미만의 First class근무자가 항공 기내서비스에서 4가지의 모든 갭(Gap)에 대해 가장 뚜렷하게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다.넷째, 인카운터별 고객 불만 요소에 대한 서비스 전달체계 내부 원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지점으로 규명된 8단계 식음료 서비스 인카운터에서는 Gap2(구현의 한계)와 Gap3(전달의 한계)의 지적이 주를 이루었고, 1단계 환영인사 인카운터에서는 Gap1(인지의 한계)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9단계 인카운터 기내면세품 판매에서는 Gap1(인지의 한계)과 Gap3(전달의 한계)이, 1,2차 서류서비스 인카운터에서는 Gap3(전달의 한계)이 불만요인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파악되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각 서비스 인카운터 단계에서 불만요인이 발생하는 핵심 원인은 Gap3(전달의 한계)이며 Gap1(인지의 한계)과 Gap2(구현의 한계)가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헌도가 높은 Gap3(전달의 한계)의 중요한 변수는 서비스 제공자로 갭(Gap)을 줄이려면 서비스 제공자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 전략이 필요하다.따라서 기내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항공사는 내, 외부의 원활한 의사소통 채널을 구축해 지속적으로 고객의 욕구에 대하여 조사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어내 경영자의 행동 및 인식에 변화를 주고 이를 서비스 전달자인 객실 승무원에게 전파해 고객 지향적 사고를 높인다. 이는 Gap1(인지의 한계)과 Gap3(전달의 한계)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 온다.둘째, 각 단계별 인카운터에 맞는 정확한 업무 표준과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하드웨어의 지원으로 객실 승무원의 업무 혼동을 줄이고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Gap2(구현의 한계)와 Gap3(전달의 한계)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 온다.본 연구는 항공 기내서비스에 관한 연구에서 각 인카운터별로 고객 불만의 유형을 가시화 하고 항공 기내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객실 승무원의 인식을 조사해 고객 불만 요소에 대한 서비스 전달체계 내부 원인을 파악한 최초의 연구로 이를 통해 항공 기내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그 경영적 시사점을 가져 향후 항공 서비스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dentify critical control points of service encounter and passengers' complaints about in-flight service, which is most frequently contacted by passengers, in order to manage moment of truth in airline industry. b) to examine problems in delivery system using gap model and c) to figure out what causes the complaints about in-flight service encounter.This study used A airline's regulations as a reference and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conducted by A airline's customer's satisfaction team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A questionnaire survey of international airline crews working in A airlines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 to November 11, 2007 for this study. A total of 300 questionnaire sheets were sent out and 272 sheets were answered and used in this analysis.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service encounter occurred in flight was divided into 15 processes. The in-flight service encounter consisted of 'before take-off service'(passenger welcoming, seat guidance, carry-on baggage storage, ground service, safety check for take-off), 'on-flight service'(headphone service, meal and beverage service, first document service, in-flight sales, entertainment program service, passenger's rest, second document service. preparation for landing, safety check for landing) and 'after landing service'(passenger farewell).Second, the critical control points of the encounter were reveal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complaints about encounter processes. The critical control points of service encounter were meal and beverage service,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complaints and diverse substance, passenger welcoming, which had the highest actual complaint per hidden complaint ratio, in-flight sales and document service. The customers' complaints analysis showed that the cause of repeatedly occurred complaints were the attitude of the airline crews and inadequate service.Third, this study researched the understandings of airline crew about in-flight service delivery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respondent's gender, age, marital status, working class, class of position, flight career. The first class crews over 5-year to under 10-year career experienced recognized the limit of in-flight service.Forth, this paper studied the cause of customers' complaints in service delivery system. The meal and beverage service encounter had various types of complaints but mainly had the limit of Gap2(realization limitations) and Gap3(distribution limitations). Many crews pointed that the passenger welcoming encounter had Gap1(acknowledgement limitations) limit. The in-flight sales encounter had Gap1(acknowledgement limitations) and Gap3 (distribution limitations) limit. The document service had Gap3 (distribution limitations) limit.Considering all the result, the main causes of complaint of each service encounter were Gap3(distribution limitations) and Gap1 (acknowledgement limitations). Also, Gap2(realization limita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e critical factor of contributing Gap3(distribution limitations) was the service offerer and it means that we need a strategy for changing the behavior of service offerer if we want to decrease the Gap. Some strategies for improving service delivery system in in-flight service encounter were as follows;First, A airline company should construct inner and outer communicating channels, monitor the customer's needs, gather more diverse informations and encourage airline employers to improve their behaviors and enhance customer oriented consideration. This effort will decrease the degree of Gap1(acknowledgement limitations) and Gap3(distribution limitations).Second, to establish precision operation standards and goal of each encounter and to supply harmonious hardware will decrease operational confusion of airline crew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service. This will decrease the degree of the Gap2(realization limitations) and Gap3(distribution limitations).

      • Marriage Encounter(ME)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명숙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89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생활 향상 프로그램의 하나인 Marriage Encounter프로그램(이하 ME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느 정도이며 또 그 효과는 얼마 동안 지속되는지, 그리고 그 효과의 지속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편과 아내에게 있어서 의사소통패턴과 결혼만족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ME Weekend(이하 ME주말)를 경험하고 다리과정 · 지역나눔모임(이하 ME전과정)의 참여 여부에 따라 의사소통패턴과 결혼만족도는 어떤 차이가 나는지, ME주말을 경험하고 시간의 경과(3개월 · 6개월)에 따른 의사소통패턴의 변화와 결혼만족도는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총 115쌍의 부부들을 선정하여 그들을 ME주말만 경험한 집단과 ME전과정에 모두 참여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그 두 집단을 다시 ME주말을 받고 3개월이 경과된 부부와 6개월이 경과된 부부들로 구분하였다. 이 집단들의 의사소통 패턴을 측정하기 위해서 Communication Pattern Questionnaire (CPQ)를 사용하였으며, 결혼만족도 측정을 위하여는 Dyadic Adjustment Scale(DAS)의 우리말 번역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패턴에 있어서는 모든 집단의 남편과 아내들에게서 공히 '요구철회' 의사소통패턴의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 3개월 경과집단이 긍정적인 의사소통인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을 하는 반면, 6개월 경과한 집단은 부정적인 의사소통인 '상호회피', '요구-철회', '손상적' 의사소통의 사용빈도가 모두 높았다. ME주말만 받은 집단에서는 부정적 의사소통인 '상호회피'와 '손상적' 의사소통 유형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결혼만족도는 남편들이 아내들보다 높았으며, 결혼만족도의 하위 유형 중 '관계에 대한 만족'과 '애정표현'에서도 남편들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ME전과정에 참여하는 집단이 ME주말만 받은 집단보다 높은 결혼만족도를 보였으며, 3개월 경과 집단의 결혼만족도가 6개월 경과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ME프로그램은 부부간에 상호건설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하고 결혼생활에 대한 높은 만족감을 갖게 해 주는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건설적인 의사소통은 ME프로그램을 받고 일정기간 동안 지속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부정적인 의사소통패턴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런 변화는 ME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부부의사소통기법이 실생활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적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ME전과정에 참여하는 집단이 시간경과에 관계없이 높은 결혼만족도를 보인다는 것은 ME프로그램이 부부생활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셈이다. 이로 미루어볼 때 결혼만족도는 부부간의 의사소통보다 다리과정과 지역나눔모임의 참여를 통해 높아지는 부부친밀도와 ME가치관인 배우자 중심의 삶의 태도에 더욱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부정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것은 다리과정과 지역나눔모임의 교육내용과 운영 측면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그 보완점과 개선책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and its continuation of the Marriage Encounter Program(M.E), one of the martial enrichment program, and to find out the facts hindering the continuation of ME effects. For this purpose,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at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patterns and mar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s; gender differences, whether they participate or not in bridge process and sharing (the whole process of ME) after receiving ME Weekend and the time passes (3 or 6 months). In order to confirm this, the data of 115 married couples were classified from the group only received ME Weekend and that of participating in the whole process of ME. And the later group was divided into that of passing 3 months or 6 months after receiving ME Weekend. For measuring the communication patterns, it was applied the Communication Pattern Questionnaire. Whereas, it was used the Dyadic Adujustment Scale translated in Korean for mrasuring the marti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ly, in relation with the communication pattern, the "demand-withdraw" communication pattern appeared with significant indication in most of the couples analyzed. And the "mutual constructive" communication patttern was shown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passing 3 months after receiving ME, while the group of passing 6 months showed mainly "mutual avoidance", "demand-withdraw" and "de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s. It was indicated highly that the "mutual avoidance and de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 were used frequently by the group only received ME Weekend. Secondly, the martial satisfaction of husband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ives, and husband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 "dyadic satisfaction" and "affectional expression" among the subscales of martial satisfaction. The group of participating in the whole process of ME indicated higher degree in martial satisfaction than that of only receiving ME Weekend and the martial satisfaction of the 3 months pass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passing 6 month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ME program helps the spouses to use "mutual con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 and to feel high satisfaction in martial life. The constructive communication continued during a certain limited period after ME Weekend but it could be changed frequently into the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time passes. This change implied that the comminication skill introduced by ME was difficult to apply for martial life Meanwhile, it was certified that the ME program could help martial life because the group of participating in the whole process of ME showed high degree of martial satisfaction without concerning the time passes. Judging from th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rtial satisfaction should be influenced more by martial intimacy and spouse focused life in accordance with the sense of ME value than the martial communication pattern, While, it was indicated in this study that the contents and managements of bridge process and sharing should have great problems because the positive communication pattern changed gradually into negative one. And they were recommanded in this study that the methods and complementaries for improving the bridge process and sharing. Finally, it was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 단편애니메이션 <Cross Encounter> 제작 보고서

        조은성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893

        <Cross Encounter> is a short animation film that applies pen-drawing techniques which was made for eight months, and it is about the pure first love of the director in his childhood. It is a five-minute digital 2D cut out animation. Except for the sound effects, I worked on this piece on my own. I had to work alone as there were very few manuals on pen-drawing techniques and I had to test everything while making the film. Producing is a creative process that is done 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at a psychological level; it can be done through the producer’s flow of consciousness but can also be reflected unconsciously regardless of the producer’s will. In this respect I believe that analyzing previously made films more deliberately will be helpful in making the next film. Consequently I analyzed the process of expressions in the scenes in making <Cross Encounter> by single cuts. During the procedure I especially divided the scenario into cuts and explained the actions and camera workwithin the cuts. The most important thing I kept in mind when I edited this film was to give emotional affect by gradually pulling up the tens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film and giving the twist a strong impact due to that tension. Therefore I adjusted moments in between cuts and controlled the movements of frames to have a pace, enhancing the tension. I achieved a good result by challenging myself to try new techniques and also fulfilled my lifelong dream through this short animation <Cross Encounter>. I can share my imagination with other people and let them evaluate my work. This can be another challenge for my next project. If I gave up, this work would never have been able to be shown to the world and this would have also meant giving up on my dreams. I used to say that I can make dreams come true as long as I don’t give up, and now is the stage where I should go for a new dream.

      • 『한 쌍의 대화』가 자아존중감, 친밀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형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89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nversation program〔Dyadic Encounter〕in enhancing of self-esteem, intim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Six classes of high school were chosen as total group,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tal group takes pre-test and post-test, and experimental group takes an intermidiate test with the conversation program〔Dyadic Encounter〕. Also impressions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llected after post-test. Coopersmith''s SEI (Self-Esteem Invertory) was used as a test tool of self-esteem, and Lee'' test was used as a test tool of intimacy, and Ahn'' test was used as a test too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ns of t-test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test of self-esteem is little. In the tests of intim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mean of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according to t-test for pre-test and post-test, some test items of experimental group have slight difference but statistically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Results on intim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ntrol group show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ecrease.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impressions for the conversation program〔Dyadic Encounter〕, 91 % of participants replied that it is informative and helpful. 51 % replied that they felt intimacy to improve personal relationship in the course of the conversation program, 76 % answered that they felt positive after the convers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e conversation program〔Dyadic Encounter〕''s effect on the self-esteem is statistically slight. The conversation program 〔Dyadic Encounter〕''s effect on the intim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는 대화프로그램인 한 쌍의 대화가 자아존중감, 친밀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인문계 남자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쌍의 대화를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로 자아존중감, 친밀감,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와 진행은 다음과 같았다. 서울 시내 인문계 남자고등학교인 H고등학교 1학년 1~6반 6개 학급을 전체집단으로 선정하여, 임의적으로 2․3․6반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4․5반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사전․사후검사의 사이에 대화프로그램인 한 쌍의 대화를 1회 진행하였다. 한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후검사와 함께 한 쌍의 대화에의 참여 소감을 묻는 설문을 같이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의 측정도구는 Coopersmith가 제작한 SEI(Self-Esteem Invertory)를, 친밀감의 측정도구는 이용남이 개발한 인간적 친밀감 검사를, 대인관계의 측정도구는 안범희가 제작한 대인관계 적절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검사에서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을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친밀감과 대인관계의 측면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 주었고, 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집단별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변화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항목별로 약간씩의 증감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여주지 못했다. 이에 반해 통제집단은 친밀감과 대인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한 쌍의 대화의 참여 소감을 묻는 설문조사 의 질적 분석에서 응답자의 91%가 새로운 사실을 알고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51%가 프로그램 진행 중에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인 친밀감과 같은 긍정적인 느낌을 경험했다고 답하였으며, 응답자의 76%가한 쌍의 대화가 끝난 후에도 긍정적인 느낌을 확인했다고 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한 쌍의 대화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친밀감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Effects of Partner Gender and Encounter Type on Bisexual Women’s Sexual Function

        Guitelman, Juliana University of Florida ProQuest Dissertations & The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875

        The orgasm gap is defined as the disparity in orgasm frequency between heterosexual men and women. Literature suggests that women face two additional orgasm gaps, one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one based on the context of the sexual encounter (i.e., relationship sex versus casual sex). Overall, bisexual and heterosexual women report lower orgasm rates than lesbian women. Additionally, women report lower sexual function (e.g., orgasm frequency, entitlement to pleasure) in casual versus relationship sex. No prior study has examined both the effects of partner gender and encounter type (i.e., casual sex versus relationship sex) among bisexual women’s sexual functioning, and this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used vignettes, well-established measures of sexual functioning, and author constructed questions in order to assess bisexual women’s sexual function in both real and imagined committed and casual sexual encounters with both men and women.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316 bisexual women, higher sexual function was found in both previous real and imagined sexual encounters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when compared to casual sexual encounters. No significant effects of partner gender were found. Clin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 Marriage encounter와 부부간의 의사소통 및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송영란 숙명여자대학교 1989 국내석사

        RANK : 2862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effect of M.E program to Korean couples. M.E. program is widely employed as one of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s all over the world. This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types and marriage satisfaction between the married couples who had experienced M.E. program and those who had not.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l)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s between the married couples who have undergone M.E. program and those who have not?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kinds ofmarried couples in satisfaction at marriage?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s and marriage satisfaction between the couple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llowing M.E.program and those who have no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126 couples who have been through M.E program and 98 couples who have not. All of the couples live inSeoul.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are Communication Types Questionnaire which was devised by Hawkins C. (1977, 1980) and complemented by Won, Hyo Chong and some items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from Marriage Satisfaction Ruler which was developed by Lee, Yon Choo. The data are analyzed through SPSS and verified by X² -test, T-test and F-test according to the different issu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usbands who have been through M.E. program and those who have not in communication types. (P<.0l) However, wive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 of verbal express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 husbands (P<.0l), wives (P<.05), coupless (P<.0l) in the degree that they express their emotional state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ves of the two groups in satisfaction at marriage (P<.05).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inds of the couples in there factors such as recognition of married life (P<.0l), social and psychological partnership (P<.05), and respect for the spouce (P<.05).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s and satisfaction at marriage can be seen between the couples who have proceeded to the program following M.E. program and those who have not.

      • 직업훈련기관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고객지각이 고객만족과 고객의 자발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 내적반응의 매개효과

        박현서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57

        In this study, it was recognized that active research is required for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ccordingly, the study aimed to examine how prosocial behaviors of service encounters in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ffect inner reac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Specifically, it was investigated how Role-Prescribed Customer service (RPCS) and Extra-Role Customer Service (ERCS), which make up prosocial behavior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inner reaction. Furthermore, voluntary performances after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ere classified with affinity,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and how they are positively influenced was investigated. Lastly overal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5 nursing care education centers in Gyeongbuk and Gyeonggi-do among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completing these institutions. A total of 276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24 unfaithful responses from a total of 300 cop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PCS of prosocial behaviors of service encoun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among the inner reactions. Second, ERCS of the prosocial behaviors of service encoun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among the inner reactions. Third, RPC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cognitive and emotional reactions among the inner reac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Fif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ffinity,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among the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s. Finally, the inner reaction showed a ful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PC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a partial mediation in ERCS. To summarize, customers are satisfied when they experience positive inner reactions through prosocial behaviors of service encounters 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In addition, if the satisfaction level increases, they naturally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s and voluntarily help the institutions. Therefor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can provide higher quality services than other competing institutions by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if they manage service employees in terms of customer encounter. 본 연구는 직업훈련 기관에서 효과적인 경영관리 방법과 전략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따라서 직업훈련 기관의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이 내적반응과 고객만족 및 고객의 자발적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가지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친사회적 행동을 구성하는 규정된 역할 서비스(RPCS)와 비규정된 역할서비스(ERCS)가 내적반응을 매개하여 고객 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그로 인해 고객들이 서비스 만족 후에 하는 자발적 행위를 애호도, 협조, 참여로 분류하여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전국의 직업훈련 기관 중 경북과 경기 지역의 요양보호사 교육원 5곳을 선정하여, 해당 기관에서 수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300부 중 불성실한 응답 24부를 제외하고 총 276부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 중 규정된 역할 서비스가 내적반응 중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 중 비규정된 역할 서비스는 내적반응 중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사회적 행동 중 규정된 역할 서비스는 고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적반응 중 인지적, 감정적 반응은 고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만족은 고객의 자발적 행위 중 애호도, 협조,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적반응은 규정된 역할 서비스와 고객 만족 사이에서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비규정된 역할 서비스에서는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 결과를 정리하면 고객들은 직업훈련 기관에서 고객접점 종업원의 친사회적 행동을 통해 긍정적인 내적반응이 형성될 때 만족도가 올라간다. 또한 이러한 만족도가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해당 기관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게 되며 곧 자발적인 행위로 기관을 돕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직업훈련 기관은 고객의 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업원의 개발에 신경을 쓴다면 고객 만족도를 올려 타 경쟁 기관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