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생선수의 e-school 참여 실태 및 저해요인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정민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학생선수의 e-school 참여 실태 및 저해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e-school 수업 및 2021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선수 324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24명의 자료를 제외한 300명의 자료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chool 참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생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e-school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을, 학생선수의 e-school 저해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를 바탕으로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 실태에서 학습시기는 상시학습, 학습시간대는 주말 및 공휴일, 필요성 인식은 경우에 따라 필요하다, 수업참여 이유는 의무적 참여, 학습태도는 개인시간 활용, 흥미 및 이해도는 흥미도 없으며 이해하지 못한다, 성적변화는 무변화, 본인의 관심은 보통이다, 지도자의 관심은 책임부여(학생본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chool 만족도 차이에서는 성별 학교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훈련시간, 대회출전횟수, 참여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의 e-school 저해요인은 개인적 요인, 수업환경 요인, 수업내용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인적 요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e-school을 운영하는데 있어 개선 방안과 방향성 제시 및 후속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공부하는 학생선수의 체육 정책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원다윗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67

        이 연구는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정책과 관련된 질적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분석하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은 현재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총체적으로 분석 및 종합하여 의미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 질문 세 가지로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은 무엇인가? 둘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의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연구 질문을 통해 도출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은 다음과 같다. 현재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이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 2012년에 제정된 학교체육진흥법에 따라 ‘학습권 보장제’를 바탕으로 시행된 ‘최저학력제’, ‘e-school’의 2가지 체육 정책이 분석되었다. 또한 공부하는 학생선수에게 연계적 양성체제를 확립하여 지속적인 공부의 필요성과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체육특기자제도’가 분석되었다. 둘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에 관한 의미를 취지와 등장 배경을 통해 ‘표면적인 의미’, 실제 현장에 작용된 결과로 ‘실제 현장에서의 의미’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실제로 최저학력제와 e-school, 체육특기자제도와 같은 일부 정책에서는 그 실상을 살펴보니 긍정적인 요인보다 부정적인 요인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물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체육 정책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부정적인 요인이 주를 이루는 체육 정책은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최저학력제는 학생 차원에서 ‘부적응’, 학교 차원에서 ‘정상적인 수업의 어려움’, 제도적 차원에서 ‘획일화되지 못한 기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e-school은 최저학력제와 마찬가지로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으며 학생 차원에서 ‘부적응’, 학교 차원에서 ‘미흡한 관리’, 제도적 차원에서 ‘불안정한 기반’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체육특기자제도는 현재 불법적으로 관행화되어 있는 스카우트 제도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정체·도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셋째,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한 체육 정책의 내용을 분석하여 각각의 정책에 따라 우수한 정책은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부정적인 요인이 주를 이루는 정책은 향후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처럼 체육 정책이 표방하는 취지와 실상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요인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향후 과제를 도출하는 것은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 즉,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위한 체육 정책의 본래 취지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체육 정책의 내용이 잘 부합하는지 관계를 잘 살펴, 체육 정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나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실 수준, 학교 수준, 국가 수준에서 구조적으로 보다 세부적인 정책의 발전이 필요하다. 즉, 체육 정책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체육 정책의 구조 개혁과 혁신을 위한 구성원 모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체육진흥법의 보다 세부적인 개정과 학생선수 관련 기구의 설립은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체육 정책 지원 방안의 토대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선수가 공부에 능동적인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학생선수의 충분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 차원, 학교 차원, 제도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활용개선 방안 : 광주광역시 체육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인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026

        2019년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19 범유행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독서를 할 수 있는 전자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자책에 관한 인식조사와 개선방안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 종이책 독서율은 감소했지만, 전자책 독서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청소년들도 종이책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자책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종이책을 선호하는 이유를 추적하여 전자책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한 상황에 있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전자책 인식을 조사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광주체육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여 실질적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들의 전자책 독서에 대한 인식과 태도, 스마트기기와 독서의 연관성, 전자책 이용 시 불편함과 개선방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크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타게트(Taguette)를 활용하여 1차 코딩을 시행하고, 생성된 하이라이트 자료를 가지고 의미 단위로 분석하여 파워포인트로 태그 카드를 만드는 방법으로 2차 코딩을 시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를 개념화하고 하위범주들을 관계짓는 오픈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을 진행 한 결과 12개의 개념을 추출하였고 하위범주의 공통성을 대표할 수 있는 3개의 상위 범주로 재분류하였다. Lincoln과 Guba의 기준에 따라 분석한 자료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전자책 인식 관련 연구조사는 아직 행해지지 않았다는 점, 특목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장문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15965

        현재 세계는 디지털 융․복합 환경의 발전 속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 또한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 극복 및 교실수업 개선과 학생별 맞춤형 교수․학습을 위해 2012년 8월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를 교육현장에 보급하였다. 하지만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적합한 수업모형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교과의 특성과 교육목표 및 교육환경에 부합하는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투입하여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6학년 학생 390명과 초등학교 영어 교육 유경험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수업모형 개발 방향 설정 자료로 활용하였고,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분석,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의 e-Learning 교실에서 4학년 27(남16, 여11)명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투입하여 영어 학습능력에 미친 영향과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에 미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후 교사 수업일지 분석, 학생 수업 소감문 분석, 영어 교육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하여 최종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함 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보완하고 교실 수업 개선과 맞춤형 교수․학습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적용 결과 학습자의 영어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할 경우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성공적으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과 전자칠판과 Tablet-PC 등의 디지털기술 기반 교실환경 구축 및 확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조적 학습활동을 하는 교실수업 구현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영어 e-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Comparative study of the physical education policies of Singapore and Bhutan

        Namgyal, Jamyang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15628

        In the early 2010 the Bhutanese government realiz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especially in the school system as sedentary lifestyle was being adopted by most Bhutanese. However since its implementation, the policy expected outcomes were not encourag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hort comings of the Bhutanese Physical Education policy through comparing it with Singapore’s policy as the Bhutanese Education Policy itself was formulated in line with the Singaporean Education Policy. The research set the objective to find the major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obstacles faced by the Physical Education policy in Bhutan. In addition, the research identifies good practices that could be adopted from Singapore’s case. A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document analysis was used as the method to conduct this study. It mainly focused on finding the differences in the practices of the physical education at the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in the Education System of Singapore and Bhutan. This comparison helped in drawing good practices from Singapore’s case which could be adopted and implemented in the Bhutanese context. The study found out that no systematic approach is adopted in implementing Physical Education in the Education Institutions in Bhutan and Physical Education is also not given equal importance in comparison to other curriculums. In addition, the time allo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s not sufficient and an inadequate staffing is in practice. Whereas in Singapore’s case the policy clearly defines what is expected from the Physical Education intervention and how it is projected to be achieved.

      • E-Mentoring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 경희대학교 취업스쿨 교과목 적용 사례연구

        안지명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99599

        빠른 속도의 변화로 인해 모든 것이 디지털화되는 시대이다. 이로 인해 단순하고 일방적인 지식의 전수도 쌍방향으로 되어가고 사이버 공간 안에서의 활동이 자연스럽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맞게 사이버 공간 안에서 제공하는 기계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통해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이것을 e-mentoring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취업스쿨에서 수업의 한 과목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경제통상학부 학생들(18명)을 멘티로 경희대학교 출신동문(18명)을 멘토로 선발하였다. E-mentoring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고자 한 것은 멘티들에게는 성공적인 사회진출과 사회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미리 익히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대해 명확한 목표의식과 방향 감각을 갖추어 도전적·적극적인 자신감 넘치는 사회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며, 멘토들에게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와 삶의 노하우를 멘티들에게 전달하는데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1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티와 멘토가 주고받은 e-mail 자료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시간에 따라 학년별로 메일의 내용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처음에는 메일의 내용이 자신의 소개와 취미, 그 외에 일상적인 이야기가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메일의 내용이 구체적(예를 들면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한다거나 가치관에 대한 것을 이야기한 것등), 적극적으로 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2, 3학년 멘티들은 일상적인 이야기로 4학년 멘티들은 취업과 관련된 주제로 이야기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멘티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유익했던 점과 좋았던 점, 나빴던 점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멘토와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를 성찰저널에 작성하였고, 멘티들의 성찰저널을 분석한 결과, 처음에 멘티들의 저널에서는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새로운 각오도 있었고 새로운 사람을 만났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일상적인 내용을 위주로 이야기가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신뢰의 관계를 맺고 이야기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되는 것을 저널을 통해 볼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대부분의 멘티들은 프로그램에 만족하였고 프로그램 활동이 본인에게 유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자신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멘토(혹은 멘티)와의 관계에 만족하는지,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멘티-멘토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에 멘티들은 주위의 권유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초반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가 적었던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멘토와 이야기가 구체화되고 깊어져가면서 생활 전반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통해 경희 e-mentoring 프로그램이 멘티들의 사회진출시 필요한 지식이나 태토를 익혔고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으며 자신의 인생을 설정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분야에 있는 멘티-멘토의 참여와 더 많은 멘티-멘토의 참여로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e-mentoring 프로그램을 일반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We live in an age of digital information. Everytuing changes rapidly in this age. This has allowed data transfers to become bilateral, and for activities in cyber space to become common. Thus, we created a space wherein growth and development is done through the formation of mechanical networks, and of human relationships. We call this space e-mento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as one of the classes at the Kyunghee University Employment School. 18 Economic and International T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mentees while 18 alumni posed as mentors. The e-metoring program has the following aims: For mentees To participate in society successfully To acquire knowledge, technique, and attitudes needed in social lif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ggressive, active and social members of society. For mentor To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on ones life To deliver their social know-how mentees. The period of the program application was six months, from June 2000 to November 2000. The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mail correspondences between the mentee and mentor varied according to the period or the school year. They revealed that much of the writing involves self-introduction, hobbies and routine stories. After some time, the correspondences become active (topics discussed include the subjects values or fears, etc.) Freshmen and sophomore mentees spoke of daily life while seniors discussed much about employment issues. Second, the mentees wrote in their journals the pros and cons of the progra. The journals also reflected what stories they shared with their mentors. Based on the analysis if the mentees journals, initially, there were people. In time, a co-reliant relationship was formed and with the stories becoming more definite. Third, when the netes were surveyed on their overall estimation of the program, most mentees indica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benefits they gaained from the program. Finally, both the mentee and mentor were interviewed. They were evaluated on how much they had changed,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mutual relationship that was fostered, and which step should be tatken to activate the program. Though most of the mentees, who were persuaded against their will in joining the progra, were initially not very interested, they establish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mentors, and benefited much in the end. This study shows that the e-mentoring program enabled mentees to learn more about social participation, form human resource networks, and establish a way of living. In the future, more and varied participants are needed for this program, so that e-mentoring will be more widely practiced.

      • 이메일을 활용한 고등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신동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9595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구사능력이 이해기능보다는 표현기능에서 더 부진하다는 현실 인식에서 출발한다. 실제로 상당 수준의 영어 문장을 듣거나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학생들도 말이나 글로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표현기능 학습의 어려움의 원인은 두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첫 번째 원인은 언어의 학습환경이다. 우리 학생들은 교실을 벗어나면 영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기회를 거의 갖지 못한다. 이는 학습한 영어 지식을 기능으로 내재화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는 뜻이다. 표현기능은 일상적인 사용을 통한 내재화의 과정 없이는 좀처럼 습득되지 않는다. 두 번째 원인은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적 특성의 차이다. 어순이 다르고 문장과 구를 지배하는 문법성이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은 많은 단어들을 알고 있어도 문법에 맞는 바른 영어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또한 사용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서 형성되는 우리 고등학생들의 어휘목록은 모국어 화자들과는 달리 하위범주화를 이루지 못한 상태에 있다. 기능어의 사용 능력은 말하기와 쓰기 기능의 기초가 된다. 내용어는 의미를 담아내지만, 기능어는 문장의 규칙 체계에 맞도록 내용어를 연결한다. 기능어는 의미보다는 규칙체계를 함의한다. 그러므로 능숙한 기능어 구사능력은 영어의 규칙체계의 내재화의 증거이며, 표현기능의 숙달정도를 나타낸다. 학생들이 내용어보다는 기능어의 사용에서 더 많은 오류를 범한다. 이는 기능어가 범주화하기 어려운 수많은 규칙들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능어의 하위범주화는 학생들이 극복하기 어려운 난제이다. 본 연구자는 영어 학습자들이 쓰기의 어느 영역에서 어려움을 느끼는지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영어로 한 편의 글을 쓰고자 할 때 고등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은 문법과 구문이었다. 영어교사들은 어려운 영역으로 내용과 구문을 꼽았다. 일본 유학생들이 일본어로 글을 쓸 때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은 구문과 쓰기 과정이었다. 구문은 공통적으로 어려운 영역이었다. 구문 학습의 어려움은 3회에 걸친 쓰기 평가에서도 드러났다.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의 대부분은 구문과 기능어에 집중되었다. 실제로 영어의 관사나 전치사는 가장 습득하기 어려운 문법항목으로 알려져 있다. 학생들은 문장의 생성에 어려움을 겪지만 종래의 문장중심 쓰기 지도는 효과적인 대응책이 되지못한다. 의사소통의 활동보다는 문법에 치중하는 문장중심 쓰기 지도는 학생들의 흥미 유발은 물론 쓰기의 생활화도 유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외국인과 이메일 주고받기는 쓰기 학습에 필요한 요건을 가장 잘 충족한다는 점에서 쓰기 능력 신장의 효과적인 방안이다. 첫째, 인터넷 사용의 일반화로 학생들은 일상적으로 외국인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둘째, 이메일 주고받기는 L2 구문과 기능어의 문법성을 내재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인 유의미한 의사소통활동이다. 셋째, 학생들은 실제 독자가 있을 때 문법에 맞는 문장을 쓰려고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넷째, 학생들은 문장 중심이 아니라 한 편의 글의 수준에서 쓰기에 접근하기 때문에 흥미유발이 가능하다. 다섯째, 학생들은 L1 화자들의 실제 영어를 보고 자연스럽게 어휘와 구문을 학습한다. 영어 이메일 쓰기의 학습효과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8개월 간의 실험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90% 이상이 외국인과 이메일을 주고받은 실험반 학생들과 10% 정도만이 이메일을 주고받은 비교반 학생들은 여러 측면에서 두드러진 대조를 보였다. 이메일을 주고받은 학생들은 기능어사용빈도, 쓰기 과업에 실제 사용한 어휘 수, 문장의 정확도, 의사소통능력 등에서 비교반 학생들보다 더 나은 쓰기 능력의 신장을 보였다. 예를 들어, 오류비율의 관점에서도 실험반은 12.7%인 반면 비교반은 19.8%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이메일 등 한 편의 글에 접근하는 쓰기의 선행학습 방법으로 ‘유의미한 베껴 쓰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구두점과 대문자 표기가 없는 모범 문단의 구두점과 대문자 표기를 되살리며 베껴 쓰는 과정에서 글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과업의 주제, 글의 구성, 필요한 어휘와 문법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이 방안의 또 다른 장점은 학생수의 과다에 상관없이 한국의 교실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메일의 어휘 분석에서 L1화자와 L2 화자들은 기능어 사용 비율의 차이를 보였다. L1 화자의 기능어 사용 비율은 49.18%인 반면, L2 외국인 화자들의 비율은 47.83%이었고, 한국 고등학생들의 비율은 46.83%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L2 화자들이 정확성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양적인 측면에서도 영어의 기능어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다만 영어 이메일을 주고받은 학생들의 기능어 사용 비율은 그러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보다 높았다. 낱말의 빈도순위의 관점에서도 L1 화자와 L2 화자는 분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한국 고등학생, L2 외국인 및 L1 화자의 이메일에서 ‘the, of, to, that’등과 같은 기능어들의 빈도순위는 일관된 차이가 있었고, L2 화자의 빈도순위가 L1 화자의 빈도순위를 앞지르지 못했다. 이는 L2 화자들이 아직 그러한 기능어들의 내재화를 이룩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러한 기능어들의 특징은 높은 빈도에도 불구하고 다른 기능어보다 의미의 범주화가 어렵다는 점이다. 구문과 기능어의 내재화는 학습보다는 사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일상적으로 영어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한국 고등학생들에게 쓰기 능력의 신장은 쉽지 않은 과업이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인터넷 환경을 잘 활용하면 영어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이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This study is a result of the fact that over time I recognized that most high school students have great difficulty in improving their productive skills when they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in Korea while their receptive skills develop quickly. In fact, many students who are able to comprehend spoken or written English sentences of high level have trouble making themselves understood in speech or a piece of writing. There are two main reasons students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ir productive skills in English. First of all,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learn English rarely gives them an opportunity to use the target language in daily life. This means that they don't have the chance of internalizing linguistic competence by turning language knowledge into language skills. The internalization of productive skills are therefore scarcely achieved ithout using the target language constantly for meaningful communications in daily life. The other reason students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 productive skills is a result of the difference of linguistic featur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L2 learners do not produce English sentences freely because the word order of both languages as well as the grammaticality of syntax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L2 learners form their lexicon through learning while L1 speakers form it through use. This means that the lexicon of L2 learners is not in a subcategorized state yet, which is quite unlike that of L1 speakers. Though L2 learners know many English words, they cannot use them freely for making sentences. The free use of function words such as pronouns, auxiliary verbs, articles and prepositions is essential to speaking and writing skills. Content words such as nouns, verbs and adjectives carry most of the content or meaning of a sentence, but function words play a more structural role in a sentence by linking content words according to the rules of sentence structure; function words involve a system of rules rather than meaning. Being able to use function words freely proves the internalization of the system of English rules, which in turn signifies a mastery of productive skills. It follows that L2 learners make more errors in the use of function words because in order to use them, students must understand many rules hard to categorize. In fact, the sub-categorization of function words is a big challenge for Korean students. difficult for Korean English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s. When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produce a piece of writing in Japanese, syntax and the writer's process turned out to be the most difficult. Syntax turned out to be the most difficult for all of the three groups. It is very hard for L2 learners to acquire a mastery of syntax. This was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compositions thrice written by 70 high students. Most of the errors involved syntax and function words. In fact, English articles and prepositions are said to be grammatical items of which L2 learners rarely acquire a mastery. Fundamentall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producing sentences. In spite of the fact, I do not think the conventional teaching of writing at a sentence level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EFL students. This kind of method tends to focus on grammar, not communication. Students soon feel bored by grammatical rules and are likely to give up daily writing. Communicating with foreigners by e-mail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English writing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five reasons. First,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encourages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their key pals in daily life. Second, exchanging ideas by e-mail is a meaningful communicative act that is essential to the internalization of grammar, syntax and function words. Third, L2 writers do their best to produce correct sentences when they write for a real reader. Fourth, students can approach writing at the level of a piece of writing, not at a sentence level, which maintains their interest in daily writing. Fifth, students are exposed to authentic English used by native speakers and get to acquire the syntax and words I researched that L2 learners consider nine areas among the most difficult when they produce a piece of writing in English.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grammar and syntax turned out to be the most difficult for high school students; content and syntax to be the most naturally. Through the analysis of compositions by two groups of students, I was able to verify that communicating by e-mail works to improve writing skills. More than 90 percent of students in Group A had some experience of communicating with L1 and L2 speakers of English over their 10th grade compared to only 10 percent of students in Group B. Group A far surpassed Group B in the frequency ratio of function words, the total number of words used for their writing tasks, accuracy ratio and holistic evaluation scores focusing on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example, the error percentage of Group A was 12.7 percent while that of Group B was 19.8 percent. I was also abl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aningful copying’ which I applied to some prewriting exercises for writing tasks. In the course of copying a model paragraph without any punctuation and capitalization, students are able to approach the subject of their task, organization, required vocabulary and grammar in an effective way. They were able to focus on the meaning and add the correct punctuation and capitalization. Another strength of this approach is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in any language classroom in Korea regardless of class size. The analysis of the vocabulary from the e-mail messages shows that L1 speakers differ from L2 speakers in the use of function words. The frequency ratio used by L1 speakers was 49.18 percent.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ratio of non-Korean non-native speakers was 47.83 percent and that of Korean students was 46.83 percent. L2 speakers use much less function words than L1 speakers, which means that L2 speakers have difficulty commanding them from the view point of quantity as well as of accuracy.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students communicating by e-mail with foreigners use more function words than those who do not communicate by e-mail. L1 and L2 speakers contrast to each other in the frequency ranking of individual function words such as ‘the, of, to, and that.’ L1 speakers always go first, with non-Korean non-native speakers following the next and Korean students last. This suggests that L2 speakers have trouble internalizing these function word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se function words is that their meaning and usage is very difficult for L2 speakers to subcategorize in spite of their high frequency. The internalization of syntax and function words is achieved best by using rather than by learning. The improvement of writing skills is certainly a substantial challenge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y rarely have a chance to speak and write English daily in the EFL context. I think, however, they may overcome these problems related with the use of English if they take advantage of the communication of e-mail and its access to native English speakers.

      • Acceptability and Usability of E-Books for Digital Immigrant Teachers in a Title I Elementary School

        Cain, Allatesha D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 2019 해외박사(DDOD)

        RANK : 19958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affect digital immigrant teachers’ acceptance and usability of e-books in a Title I elementary school. The term digital immigrant describes individuals born before the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1980. The participant teachers will be interview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usefulness of the e-book to improve the reading skills of their students. Data from the interviews will b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e-books and their intention to use e-books in a Title I elementary school.This study has the potential to reveal current trends to motivate digital immigrant teachers to incorporate e-book reading applications in a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 to enhance students’ reading skills.Themes were identified related to (a) usefulness of e-books, (b) ease of use of e-books, (c) experiences using e-books, and (d) attitudes about the e-book program.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indicated digital immigrant teachers were hesitant to utilize the e-book reader program due to negative perceptions of its ease of use, particularly with kindergarten through Grade 2 students. .

      • 전북 일부 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어린이를 위한 영양·식생활 가이드북을 활용한 영양교육 효과 평가

        박미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946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guidebook of nutrition and dietary for children.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 for higher grades elementary children. The subjects were 54 elementary school student (education group, 27 vs. non education group 27). The subject of each lessons were'Balanced diet','Smart food choice','Making a healthy snack','Making a healthy body'. Educated group were lessoned as group and/or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lessons(40 min/lesson, 1 time/week, 4 week) were took place with the guidebook; printed e-book developed by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We assessed the changes in dietary attitude,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using questionnaire and nutrient intake using 24hr recall method by the nutrition education. After educ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dietary attitude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 In dietary attitude,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aking a meal with salty and spicy food' (p<0.05)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positive improvements on'function of protein (p<0.05)','function of fat (p<0.05)','food of carbohydrate (p<0.01)','food of fat (p<0.05)','food of vitamin (p<0.05)','food of mineral (p<0.01)' in the educated group. After education, in CPF(carbohydrate, protein, fat) ratio; education group 60:15:23 vs. non-education group 61:15:23. In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INQ) on 'Vitamin C' (p<0.05) significantly increased in educated group. In the nutrition adequacy ratio (NAR) on Vitamin C (p<0.05), Fe (p<0.05) and Zinc (p<0.05), significantly increased in educated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the mean nutrition adequacy ratio (MAR) were little change. In satisfaction with nutrition education pamphlet were positive improvements over 4.1/5.0 score. In conclusion, 4 times' nutrition education using guidebook for nutrition and dietary for children, there were positive change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