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y Adult Attachment among Emerging Adults

        HAN XINHUI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t and increasing difficulty in securing employment, overcoming challenges, and leveraging strengths to make appropriate career choices are crucial developmental tasks for emerging adults. Building on attachment theory, which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have formed important and stable attachments with significant others are more probable to possess confidence, explore the world without fear of failure, and engage in persistent challeng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on career development among emerging adults was the main aim of this study.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attachment with fathers, mothers, friends, and romantic partners, and explor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EPCD) based on patterns of attachment.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data from 312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attern of attachment, whil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nd EPCD.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groups in the non-romantic partner group: a group with secure attachment to fathers, mothers, and friends (secure group), a group with higher attachment anxiety than attachment anxiety (anxiety group), and a group with higher attachment avoidance than attachment anxiety (avoidance group). In the group with romantic partner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the group that maintains secure attachment to father, mother, friends, and romantic partner (secure group with partner), a group with high attachment anxiety but relatively stable attachment to romantic partners (anxiety group with partner), and a group with high attachment avoidance (avoidance group with partner). In the no-romantic partner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were different among clusters, whereas no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were found in the groups with romantic partners. However, variations in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were evident among these group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theory of attachment, career adaptability, and difficult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th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re discussed.

      • 변화하는 맥락에서 진로유연성의 역할

        이수정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tiy 2020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적응모델에서 진로유연성의 긍정적인 역할을 밝히는 데 있다. 진로유연성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론과는 달리 진로유연성의 역할에 관한 실증연구는 일관적이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유연성의 긍정적인 기능을 밝히기 위해 변화하는 맥락과 종단연구 설계에서 진로유연성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맥락을 고려하였다. 연구1은 직업전환 맥락을, 연구2는 발달과업 맥락을 고려하였다. 연구1은 새로운 일자리를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1에서는 3차시 데이터를 이용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진로유연성(adaptivity), 진로적응성(adaptability) 및 직업탐색행동 또는 직업적 자기 효능감(adapting)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1의 결과, 진로유연성은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호기심을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직업전환 맥락에서 진로에 대한 유연한 태도를 가지면 호기심을 가지고 진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2는 교육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생과(인턴쉽 그룹) 교육 실습 또는 기타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부생을(비교 그룹)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는 3차시 데이터를 이용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진로유연성(adaptivity), 진로적응성(adaptability) 및 진로준비행동이(adapting)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분석했다. 또한, 인턴십 그룹만을 대상으로 진로유연성과 진로적응성 사이의 관계에서 진로불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연구2의 결과, 인턴쉽 그룹과 비교 그룹 모두에서 진로유연성이 진로적응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턴십 집단에서는 진로적응성의 모든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을 긍정적으로 예측했지만, 비교 집단에서는 진로적응성의 모든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불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실습 전후로 자신이 생각하던 진로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진로유연성의 기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전후로 진로의 변화가 있는 집단에서는(disequilibrium group) 진로유연성이 진로적응성을 긍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교육실습 전후로 진로의 변화가 없는 집단에서는(equilibrium group) 진로유연성이 진로적응성을 부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변화의 맥락에서 개인이 불균형을 경험할 때, 즉 기존에 자신이 생각하던 진로와 현재 진로 상태의 차이가 발생해 불일치를 줄여야 하는 상황일 때, 진로유연성이 진로적응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진로유연성이 특정 맥락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이론적으로 강조된 진로유연성의 긍정적인 기능을 실증적 연구결과로 뒷받침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role of career flexibility i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The importance of career flexibility has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aspect, but empirical studies did not fully support it. This study emphasized the changing context and longitudinal design to reveal the positive function of career flexibility.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contexts. Study 1 considered job transition context, and study 2 considered development tasks context. Study 1 recruited jobseekers who were preparing for a new job.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adaptivity (career flexibility), adaptability (career adaptability), and adapting (job search behavior, occupational self-efficacy) using three-wave longitudinal data and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1, career flexibility positively predicted curiosity, one of career adaptability. This result suggested that flexible attitude in job transition context helps to explore a career with curiosity. Study 2 recruited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a teaching practice program (internship group), and undergraduate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 teaching practice or other internship program (comparison group). Study 2 investigated how adaptivity (career flexibility), adaptability (career adaptability), and adap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related using three-wave longitudinal data and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lso, for the internship group of study 2, this study probe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isequilibriu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flexibility and career adapt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2, career flexibility did not predict all of the four career adaptability in both internship group and comparison group. However, career adaptability of internship group positively predi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career adaptability of comparison group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isequilibrium, the function of career flexibility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career after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Career flexibility positively predicted career adaptability in disequilibrium group, who changed their career decision after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whereas career flexibility negatively predicted career adaptability in equilibrium group, which did not changed career. This result strongly supported that career flexibility can lead to career adaptability when discrepancy or disequilibrium between existing career state and desired career state occur. In sum,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flexibility may play a positive role in specific contexts. Also, this study empirically supported the positive function of career flexibility emphasized in theor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general discussion part.

      • (The) clusters of vocational calling and career flexibility beliefs, and their differences in the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양준영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uster types formed by a combination of subtypes of vocational calling and career flexibility beliefs that would predict different levels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To confirm this, a web-based survey was taken by college students and the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a sample of 320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Cluster 1 was ‘inflexibility-absence of calling type’, which refers to a group of low levels of the dimensions of calling and career flexibility beliefs. Cluster 2 was ‘rigid calling type’, which refers to a group of high level of the dimensions of calling and low career flexibility beliefs. Cluster 3 was ‘flexible calling type’, which refers to a group of high levels of the dimensions of calling and career flexibility beliefs. Lastly, Cluster 4 was ‘flexibility existence- inactive calling type’, which refers to a group of subtypes of calling that were close to the average and had high career flexibility belief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were found in levels of career adaptability. Specifically, ‘flexible calling type’ (Cluster 3) was the highest in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clusters (Cluster 1, 2 and 4), meanwhile, ‘inflexibility-absence of calling type’ (Cluster 1), was significantly lower in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among the clust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level between ‘rigid calling type’ (Cluster 2) and ‘flexibility existence-inactive calling type’ (Cluster 4). Each cluster showed a different level of career barriers. 'Flexible calling type' (Cluster 3) perceives career barriers 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clusters (Clusters 1, 2 and 4). Meanwhile, other clusters except for 'flexible calling type' (Cluster 3), 'inflexibility-absence of calling type' (Cluster 1), 'rigid calling type' (Cluster 2), and 'flexibility existence-inactive calling type' (Cluster 4)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levels. This shows that only flexible calling, that include positive thinking about career changeability and career alternatives, helps individuals perceive a lower level of career barri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flexibility belief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vocational calling study to identify negative aspects of calling. Although this present study may help in understanding negative aspects of vocational calling, it has several limitations. However, this study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in relation to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Emphasizing calling as a factor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a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s and development can be beneficial to their career adaptation. However, it may also have negative impacts. What is important prior to the emphasis on a client or college student's vocational calling is to examine their career flexibility beliefs in order to promote flexible calling to cope well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 중국 대학생의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정서지능과 학업지연의 매개효과

        이문우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7

        많은 연구들에서 진로적응성이 높은 사람은 진로 전환 과정에서 진로 결정, 계 획 , 탐색이 더 원활하고 , 자신감이 높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Neuenschwander & Garrett, 2008). 또한 진로적응성은 삶의 만족도, 주관적 안녕감 등을 예측한다(Hirschi & Vondracek, 2009).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현대 대학생들은 어떻게 하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진로 계획을 세울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많은 연구에서 진로적응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은 미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개인적 특 성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업지연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916명의 대학생(남 150명, 여 766명)이 미래시간지향척도(FTOS), 진로적응성 척도(CAAS), 지연행동척도(SGPS)를 사용하여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 지연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Mplus를 사용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미래지향성과 지연행동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지연행동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지연행동의 매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의 지연행동은 대부분 학업 상황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연구2에서는 미루기를 학업지연으로 구체화하였다. 연구 2에서는 총 230명(남 52, 여 178)의 대학생들이 미래시간지향척도(FTOS), 진로적응성 척도(CAAS), 학업지연 척도(PASS), Wong과 Low의 정서지능척도(WLEIS)를 사용하여 미래지향성, 진로적응성, 학업지연, 정서지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래지향성, 정서지능,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고, 학업지연, 정서지능,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학업지연과 정서지능은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지향성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학업지연과 정서지능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대학생에게 적용되는 진로적응성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위해 학업지연을 개선하고 정서지능을 높이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career adaptability have a higher chance of success in their careers. Th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is said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future orientation and is reported to be influenced by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firs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crastination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study 1, a total of 916 university students (150 male, 766 female)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Future Time Orientation Scale (FTOS),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CAAS), and the General Procrastination Scale (SGPS), measuring future orientation, career adaptability, and procrastination, respectively.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SPSS 26.0 and Mplus along with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in Study 1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procrastin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the mediating role of procrastination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as confirmed. Since the procrastination of research subjects was mostly found in academic circumstances, procrastination is concretized into academic procrastination in study 2. In study 2, a total of 230 university students (52 male, 178 female)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Future Time Orientation Scale,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CAAS), the Procrastination Assessment Scale (PASS) and Wong and Low’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measuring future orientation, career adaptability,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respectively.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have been calcula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along with the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in Study 2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orient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results found that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s found that bo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erial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ould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mechanisms behind career adaptability and provide new perspectives into improv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endencies in their academic pursuits.

      •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

        김경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5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핵심자기평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선택몰입과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나아가 진로선택몰입이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핵심자기평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선택몰입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진로선택몰입이 핵심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0명(남 211명, 여 2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은 진로선택몰입 척도(CCCS), 핵심자기평가 척도(CSES), 진로적응성 척도(CAAS)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선택몰입과 핵심자기평가,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선택몰입이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선택몰입이 핵심자기평가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핵심자기평가는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선택몰입이 높을수록 핵심자기평가가 높아지고, 이렇게 높아진 핵심자기평가를 통해 진로적응성이 다시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의 진로발달 및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로선택몰입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선택몰입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진로목표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부족한 대학생이 진로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할 경우, 핵심자기평가 수준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areer adaptability, and core self-evaluation by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the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ore self-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areer adaptability, and core self-evalua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n core self-evaluation? Fif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implemented an online survey involving 430 students (211 males, 219 females) in 4-year univers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cale, Core Self-Evaluation Scale,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Model4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ain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ore self-assessment,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itment to career cho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core self-evalu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Fourth, Commitment to Career Cho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e self-evaluation. Fifth, core self-evaluation was shown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e higher the core self-evaluation, and through this high core self-evaluation, the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increase agai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adaptation,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for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addition, sinc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is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core self-evaluation are necessary when if a university student who lacks awareness and effort for career goals complains of difficulties in career adjusting.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의 조절효과

        정채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5

        The present study aims to observe how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ccupational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 how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influenc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The following questions delineat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By what mechanism do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 the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s there a mediated effect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in undergraduate students? Does this relation change based on the type of social network? Does the moderating effec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net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observe the resulting differences, if any, correlate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the thre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classified -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as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adaptability as the mediator variable, and two social network types as the moderator variables. An onlin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was created for this research. Among the responses, 353 survey results that were deemed vali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Featur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asurement model evalu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finding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avoid goal orientation were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whereas prove goal orient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had partial mediation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and was also proven to have partial mediation in the ways of avoid goal orientation to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was proved to have a thorough mediation in the effect of prove goal orientation in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It was shown that social network type controls the indirect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Though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types’ control in the route from prove goal orientation to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using career adaptability was not proved to be present. The indirect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when avoid goal orientation influences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was only active in offline net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This research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in Korean perception by verifying sequential adapted models using Career Adapt-Abilities Scale from Savickas & Porfeli(2002). Its theoretical significance is that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areer adaptability by proving the suppressor effect of the mediator variable of avoid goal orientation, which was subject to conflicting reports in the past. Furthermore, this paper offers an explanation for how career development in the sense of learning adapting cognitive variable in careers that used to be applied when explaining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in academic situations.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posing a course of intervention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and increasing behavioral levels of students with varying achievement goals in circumstances involving career-related performance. 이 연구는 진로발달 관점에서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 경로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영향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셋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로 설정하였다. 변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취목표지향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 진로관여행동, 매개변인으로 진로적응성, 조절변인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국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3부의 응답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측정모형 평가, 구조모형 검증 순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목표지향성과 회피목표지향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명목표지향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사이에서 진로적응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도 진로적응성의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증명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진로적응성이 갖는 간접효과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명목표지향성이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관여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회피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간접효과는 오프라인 네트워크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Savickas와 Porfeli(2002)의 진로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순차적 적응모형을 검증함으로써 한국적 맥락에서 이론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연구 결과가 혼재되었던 회피목표지향에 대해 매개변수의 억제효과를 증명하여, 진로적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학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학습과 수행을 설명하던 인지-동기 변인을 진로 맥락에 적용하여 학습 관점에서 진로발달을 설명하였다. 진로와 관련된 수행 상황에서 서로 다른 성취목표를 가진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고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환경 변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효과적 진로 교육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및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

        이소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5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과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진로의사결정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가족체계 상호작용유형에 따라 진로의사결정유형점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가족체계 상호작용유형에 따라 진로의사결정수준점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4개교 1, 2학년 학생들 가운데 임의로 표집한 400명(남: 200명, 여: 200명)과 인문계고등학교 2개교 1, 2학년 학생들 가운데 임의로 표집한 480명(남: 240명, 여: 2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Harren(1979)이 개발하고 고향자(1992)가 번역한 "진로결정척도(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ACDM)", Osipow 등(1980)이 개발하고 고향자(1992)가 번역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 Scale: CDS)", Olson, Portner, Lavee(1985)가 개발하고 한상분(1992)이 번안한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평가척도(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Ⅲ: FACESⅢ)"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중·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성별에 따라 합리적 유형점수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중·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의존적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수준에 따른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수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수준의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매우 연결된 집단과 매우 융통된 집단에서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에 진로지도를 할 경우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별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와 가정에서 좀 더 융통성 있게, 좀 더 응집력 있게 진로지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core by the sex and the grade. Secon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core by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ird,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cale by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8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Gyung-ki. There were 440 male students and 440 female students.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ACDM(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FACESⅢ(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Ⅲ), CDS(Career Decision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core by the sex and the grade.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 than female students on rational sty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sc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on dependent styl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endent style of career decision making by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ird,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cale by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re significant factors in an adolescence, a period of selecting career. Therefore, more adaptability and cohesion are needed in schools and homes.

      •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하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동시에 성격 5요인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격 5요인의 각 하위 요인(신경증,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 친구의 사회적 지지에 따라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1, 2학년을 저학년, 3, 4학년을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학년별로 주요 변인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성격 5요인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저학년에서는 성격 5요인 특성 중 개방성과 친화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 특성에서 사회적 지지 및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대학교 고학년에서는 성격 5요인의 성격 특성 모두에서 진로적응성과의 상관이 유의하였고 개방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 특성들 및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성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저학년에서는 성실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아버지 지지의 조절효과와, 외향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어머니 지지의 조절효과가 각각 확인되었고, 성격 5요인 특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대학교 고학년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제공자와 상관없이 개방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아버지, 어머니,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 친구 지지와 같은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성실성, 외향성 성격 특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화되고, 개방성 성격 특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 특성 변인으로 대표되는 성격 5요인과 환경 특성 변인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지지로 각각 설정하여 진로적응성의 예측변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고, 성격 5요인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 친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진로상담, 진로탐색 및 교육프로그램에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발달을 위해 개인의 성격 특성과 다양한 지지 제공원의 사회적 지지를 함께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hen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ocial support from various people (father, mother, and friend) perceived by undergraduates has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of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and Career Adaptability. It attempts to attain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undergraduates' adaptability in career.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f 605 undergraduates in sev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which a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lower graders (freshman and sophomore) and higher graders (junior and senior), and then,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the main variables by each grade,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perfor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remaining traits except for openness and agreeablenes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lower graders, whereas all personality trai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and there exis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remaining traits except for openness and both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higher graders. Second, each moderating effect of fathers' and mothers' supports on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on career adaptability and that of extroversion on it is found, respectively for lower graders, while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are not significant. All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mothers', and friends' supports on the effect of the openness on the career adaptability ar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for higher grad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fathers, mothers, and friend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the less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t) on career adaptability, leading to enhancement of a positive effect of openness on career adaptability,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undergraduates'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predictive variables for career adaptability by dividing them into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representing individual-specific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representing an environment-specific variable, and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intervention considering personality traits of individuals and social support from various sources, in order to develop undergraduates' career adaptability in actual career consultation, career exploration and educational program, by prov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mothers' and friends' social support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General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장옥금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14

        이 연구는 중국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심리적 변 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으로 지각된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하나의 이론적 모형과 두 개 의 경쟁 모형을 설정하였고, 1,265명의 중국 유치원 교사에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가장 적합한 모형을 검증하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이 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 랩핑을 사용해 직·간접 효과와 전체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 막으로 진로적응성,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유 치원 교사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이직 의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 적인 관계를 보였다. 특히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진로적 응성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교사의 사회적 지지 가 이직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 치원 교사의 진로적응성과 이직 의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관계 가 나타났다. 비록 이 연구에서는 두 변인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분 석하지는 않았지만, 유치원 교사의 진로적응성은 간접적으로 이직 의 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더욱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이직 의도 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이직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직 무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 의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관 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이직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사의 사회 적 지지와 이직 의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 지 않았으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직무만족 도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함의를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이 연구는 중국의 유치 원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일반적 지기효능감, 직무 만족도 및 이직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했다. 더욱이, 구조모형 을 통해 진로적응성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최초로 소개하였다. 둘째, 학문적 측면에서 이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이론과 실제를 통합했다. 그리고 다학문 적 관점을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셋째, 방법론적 측면에 서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과 Sobel 검정을 통해 유치원 교사의 이 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내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 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실제적 측면에서 이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이 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국가, 사회, 그리고 해당 기관 차원에서 긍정 적인 지원책뿐 아니라 유치원 교사 스스로 심리 내적인 조절이 필요 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China's kindergarten teachers' turnover by improving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general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tc. Methodology: Firstly, this study selecte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general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Secondly, a theory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nd two competition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s using a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general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theories and kindergarten teachers' turnover practice have been constructed and considered. This study verified and selected the best structural model through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1,265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actual data test. Thirdly, this study ensu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general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through analysis of the paths of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based on the actual data. Fourthly, this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general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Findings: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 Firstly,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especiall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career adaptability--general self-efficacy on turnover intention.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lthough this study did not analyze the direct impact of the two variables,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adaptability could more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especiall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general self-efficacy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general self-efficacy--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Thirdly,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self-efficacy not only could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directly, but also could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In the indirect effect, their job satisfaction played an important part in mediating effect. Fourthly,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directly. Fif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adaptability did not play the mediating effect, but general self-efficacy play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job satisfac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mplications: Firstly, in the theoretical term, this study firstly constructed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general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What's more, this study also firstly introduced career adaptability and general self-efficacy into the structural model. Secondly, in the academic term, this study integrat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kindergarten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nd realized the problem research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Thirdly, in the methodology term,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nal psychology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turnover intention. Meanwhil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were both used this study. Fourthly, in the practical view, this study proved that not only the state, society and kindergartens should provide all kinds of positive support, but also more important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internal psychology self-regulation.

      • 중국 사립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유륜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3

        중국 사립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적경제 경영학과 사회적경제전공 유륜륜 지도교수 김동주 최근의 청년 실업 문제와 취업 난으로 인해 고용 시장이 어려워지 고 있어, 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부합하는 진로와 일자리 를 얻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는 사립 대학의 미래뿐만 아니라 개별 학생들에게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도 관련이 깊다. 창업은 젊은 인재들 에게 품질 높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사립대학생들이 가진 주도적 성 격, 사회적 지지, 진로 적응력, 그리고 창업 자기효능감이 창업 의지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 사회적 지지, 진로적 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는 어떠한가? 둘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 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 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창 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주도적 성격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여섯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중국의 절강성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창업 활동을 연구 대상 으로 설정하였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사립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887부의 유효한 응답 데이터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그리고 매개효 과 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도적 성격은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립대학 대학생 중 주도적 성격이 높을수록 진로적응 력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커리어 계획을 세우 고 환경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며, 동료들과의 관계를 통해 적절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주도적 성격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을 가진 대학생들은 상황에 도전하는 성향이 강하며, 기회를 찾고 개척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창업 의지가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창업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을 가진 대학생들은 혁신적 사고를 통 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창업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정보, 정서적 지원을 통해 진로 관리를 도와 주고, 대학생들의 진로 적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받은 대학생들은 목표를 실천하고 창업 의지를 실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여섯째, 사회적 지지는 창업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과정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창업자의 안정감과 자신감을 키워주고, 자기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일곱째, 진로적응력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력을 갖춘 대학생들은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갖추어 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다. 여덟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높은 창업자기효능감을 가진 대학생들은 더 강한 신 념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아홉째, 주도적 성격과 창업의지 간에는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 감의 간접효과가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열 번째,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 간에도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 능감의 간접효과가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중국 정부는 창업 교육체계를 강화하여 창업 교육의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창업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자금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 다. 대학생들을 위한 창업 자금 지원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창업 대출, 벤처 투자, 그리고 창업 보조금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창업과 관련하여 정부는 지속적인 정책적 지지와 홍보에 투자 해야 한다. 창업자들에게 유리한 창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무실, 장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적 재산권 보호를 강 화하고 혁신과 창업을 촉진하며, 창업 등록 및 승인 절차를 간소화해 야 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대학 창업 교육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지지 자 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창업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주도적 성격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창업 교육은 이론적 지식 뿐만 아니라 창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학생들의 주도적인 성향을 키 우는 데 주력해야 한다. 셋째, 창업 교육과정에 진로적응력을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사립대학은 창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의 창업 자신감을 높이는 데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주도적이고 잠재력 있는 창업가를 중점으로 한 교육 프로그 램을 마련해야 한다. 중국 사립대학생들이 선택한 창업 분야에 맞춰 맞춤형 사업가를 초청하여 멘토링하고 지도하여 학생들의 창업 의지 를 증진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는 첫째, 현재 연구는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창업 의지와 실제 창업 간의 관련성을 다루지 못하였다. 둘째, 자료수집과 자료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표본을 추출하여 지역별 창업 활 동을 비교하는 연구가 의미 있을 것이다. 또한, 주도적 성격 및 사회 - xviii - 적 지지와 창업 의지 사이의 관계 외에도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탐구 하는 연구 모형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Recently, due to the challenges in the job market, including high youth unemployment and job scarcity,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re find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secure desired careers and jobs that align with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e issue of post-graduation employment is not only crucial for the future of private universities but also holds significa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as a whole. Entrepreneurship is of great importance as it offers quality job opportunities for young individual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ith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how does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relate to career adaptabilit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irdly, what is the impa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Fourthly, how do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flue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Fifthly,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Finally,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Zhejiang Province of China, which is characterized by a thriving environment for student entrepreneurship, and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enrolled in private universities within the region. The survey resulted in 887 valid responses, which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SS 26.0 and AMOS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career adaptabilit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exhibit higher career adaptability, demonstrating a clear career plan and a proactive approach to changing their environment. Second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ose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tend to challenge the status quo rather than passively accept their roles, actively seek opportunities, and are effective in identifying and seiz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ird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employ innov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s, which lead to the discover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otential commercial opportunities, enhancing thei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career adaptabilit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provides information, emotional backing, and material assistance, facilitating active career management and enhancing career adaptability. Fif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enable students to pursue their goals and intentions, including entrepreneurial endeavors. Six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during the entrepreneurial process assists entrepreneurs in overcoming challenges, increasing self-assurance and confidence in thei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venthly, career adapt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Higher career adaptability enables students to adapt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and develop mor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making them more likely to hav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ighthly,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hi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ve strong beliefs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current difficulties and to achieve their goals, including starting a business. Ninth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well as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practical, and academic recommendations: As a policy suggestion,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strengthening the establishment of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system. Second, the necessary start-up funding support policy must be prepared. The government has observed that it establishes a mechanism for supporting start-up funds for college students and provides start-up loans, venture investments, and start-up subsidies. Third,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supporting and promoting start-up policie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low-cost offices, equipment, and services to provide a good start-up environment for founders. The government should als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ncourage innovation and start-ups, and reduce the threshold for registration and approval of start-ups. As a practical suggestion, first, the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ystem should be abundantly supplemented by sufficiently mobilizing various social support resour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rm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in startu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focus more on cultivating the proac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helping college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theory and entrepreneurship practice skills. Third, fostering career adaptabil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urth, private universities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creating an atmosphere of start-up. Fifth, schools should focus on fostering potential entrepreneurs with strong initiativ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trengthen studen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by inviting customized entrepreneurs to train and guide mentors according to the field of start-up chosen by these college students. As a proposal for future research,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ill lead to actual start-up by dealing with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rather than the actual start-up behavior because college students, who are potential founders, we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start-up process Second, there are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limitations in data diversity. In the follow-up study, it would be meaningful if a comparative study by wide area was conducted by extracting a national sam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research model so that the influence of other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and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measured in this study can be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