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S7신호망과 BcN망의 효율적인 프로토콜 분석 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60

        This thesis first describes protocols like H.248/Megaco and Sigtran being used in BcN network which is the next generation network of PSTN SS7 network. And it states real-time call trace, real-time statistics, mass call management, network protocol analysis are key features managing new BcN as carriers to provide reliable services. Also the overview of BcN services and the overview of technologies required based on experience from real network deployment will be covered in this thesis. Interconnect communication data and statistics from several simulation will be shown in this thesis to discuss effective way to evolve the next generation network.GeoProbe SS7 monitoring equipment is deployed into interconnecting point of PSTN and BcN networks to capture PSTN SS7 protocols. And 2U Probe is deployed into SoftSwitch, Trunk Gateways and Access Gateways to capture Megaco, Sigtran and M3UA protocols.2 Millions ISUP test calls generated and each 2 Millions, 4 Millions of SIP-T and Megaco test calls generated a day. The simulation lasts for 2 weeks.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e monitoring equipment correlates calls generated by each STP, SG, SSW, TF, AG element contributed to make a call. And it makes a graphical flow chart based on call information, show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ime sequence manner, and even pin-points where the problem occurs during protocol interworking. Casual NMS can generate separate protocol statistics and can manage traffic volumes but enterprise solution is required to manage QoS of a carrier that can specifically manage billing data, mass call event, fraud calls and other network disasters within complex PSTN and BcN interworking networks where various brand new signal and bearer protocols exist.There can be a next thesis researches signal QoS management system that collects signals in a passive way. And there can be a new subject the way to expand surveillance range to Bearer QoS(RTP R-Factor) monitoring.In conclusion, BcN carriers need a monitoring equipments that can track calls end-to-end, and also the equipments should be signaling base and independent of SoftSwitches and MGC. It is not a mandatory but a core solution in near future to manage diverse networks. 본 논문에서는 기존 PSTN SS7신호망에서 BcN망으로 진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에서 H.248/Magaco와 Sigtran이 연계된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좀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하여 BcN 기반에서의 실시간 호 추적, 실시간 통계, 매스콜의 관리, 네트워크 프로토콜 분석 기능 등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며, BcN 서비스의 개념과 필요 기술 등 실제 구축 사례를 분석하여 SS7망과 BcN에서 연동하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의 실험을 통해 네트워크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효과적인 망의 진화 방안을 도출하고저 한다. 모의 실험의 환경은 PSTN망의 SS7 프로토콜 분석은 상호 연동 수집 장치인 GeoProbe SS7 모니터링 장비를 연결하여 수집하도록 했으며, BcN망의 Megaco와 Sigtran M3UA 프로토콜은 소프트 스위치, 트렁크 게이트웨이 그리고 억세스 게이트웨이 구간에 Megaco, SIP, SIP-T 프로토콜을 수집하는 2U Probe 장비를 연결하여 감시 분석하도록 하였다.일일 ISUP 구간의 시험호가 2백만호 발생하도록 하였으며, 일일 SIP-T 시험호 2백만호 발생, 일일 Megaco 시험호가 4백만호 발생하는 환경에서 실험하였으며, 실험은 2주 동안에 걸쳐서 진행하였다.모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상호 연동 수집 장치는 PSTN SS7 신호망과 BcN 망간의 호처리에 관여한 STP, SG, SSW, TG, AG에서 발생한 트래픽을 모두 조합하여 하나의 호를 생성해냈다. 이 호에 대해 각 ISUP,SIGTRAN, M3UA, Megaco 등의 프로토콜이 네트워크 구성요소 간에 어떻게 전송되고 수신했는지를 도식으로 표현해 프로토콜 불일치 등의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 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망관리 시스템(NMS)을 통해 Node 또는 프로토콜 단위의 통계 및 트래픽 상태의 관리는 가능하나, PSTN망과 BcN망이 연동되는 다양한 Signal과 Bearer 프로토콜에 대한 통합 QoS 분석에는 한계가 있음이 대두되었으며, CDR유실, 트래픽 폭주, 불법호, 기타 망장애 예방을 위해 종합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망관리 Tool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상용망 연동시 망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독자적인 상호 연동 수집 장치와 같은 Signal QoS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 것과, Bearer(RTP)에 대한 QoS(R-Factor) 측정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 할 수 있었다. End-To-End 호 흐름을 감시할 수 있는 상호 연동 분석 시스템과 소프트스위치, MGC 등에 대한 별도의 신호 감시 시스템을 채택하는 것이 망 운용에 핵심 필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 Electro-absorption modulator based bidirectional radio-over-fiber transmission link for optical access network

        정현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5 국내박사

        RANK : 233225

        Bi-directional optical systems using the Radio-over-Fiber techniques have been discussed, and a new base-station configuration has been proposed. To build high performance fiber-optic systems, some issue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the non-linearity of the optical modulator, the dispersion induced effects in fiber-optic link,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station in bi-directional RoF link. To solve those problems, the dual-parallel modulation technique and the EAM cascaded SOA configuration have been proposed.The proposed dual-parallel modulation technique is for the linearization of nonlinea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an EAM.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nonlinear signals from two different modulators can be out-of-phase by the proper selection of the modulator bias position, considering the slope variation of each modulator. By using these characteristic, the suppression of IMD3 nonlinear signals from EML and the following dynamic range enhancement could be achieved. However, the proposed dual-parallel modulation scheme is not applicable to the dispersion-induced problems in fiber-optic link. For this reason, the EAM cascaded SOA configuration was newly proposed.The major features of the SOA in the EAM cascaded SOA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gain profile in gain saturation region of the SOA can be used for linearization of an optical modulator. Secondly, the negative chirp characteristic of the gain-saturated SOA mitigates the chromatic dispersion-induced effects in fiber-optic link. In third, the optical gain of SOA provides the RF gain to the photo-detected RF signals. Using these useful features, the suppression of the nonlinearity of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dispersion-induced RF carrier suppression effects was experimentally demonstrated.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dual-functionality of the EAM which acts as a modulator and photo-detector at the same time, the novel bi-directional RoF structure with a base-station employed the EAM cascaded SOA configuration where the SOA in a base-station provides the optical gain and the negative chirp has been proposed. Thus, the photo-detection efficiency of an EAT can be improved greatly, and the problem of link budget and DICS phenomenon in up-stream link, which is caused by the elimination of the optical source in the BS and the fiber chromatic dispersion respectively, can also be settled.To verify the proposed idea related to the functionality of the SOA, the experimental demonstration bas been performed. Based on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the bi-directional SCM data transmission with 6Msps, 16QAM data carried on 2.5GHz RF carrier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Since this proposed the EAM cascaded SOA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and robust, it would be useful for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s. 본 논문에서는 Radio-over-Fiber(RoF) 기술을 적용한 양방향 광통신 시스템에 관해 논의하고, 새로운 구조의 base-station을 제안하였다. 고성능의 광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광 변조기의 비선형성, 광전송 링크의 색분산의 영향, 그리고 양방향 RoF에서 base-station의 구조 등과 같은 여러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병렬 변조기술과 반도체 광 증폭기(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SOA)와 직렬로 연결된 전계 흡수 광 변조기(electro-absorption modulator, EAM) 구조를 제안하였다.제안한 이중 병렬 변조 기술은 EAM의 비선형적인 전달특성을 선형화하기 위한 것이다. 서로 다른 두 개의 광 변조기에서 생성된 비선형 신호의 위상차는 각 변조기의 기울기 변화를 고려해 변조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180°로 만들 수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EML에서 생성된 IMD3 비선형 성분을 억제하고 변조기의 동작영역을 향상시킴으로써 제안한 구조의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제안한 이중 병렬 변조기술은 광전송 링크에서 분산 문제에 취약하기 때문에, EAM과 SOA가 연결된 구조를 새로이 제안하였다.EAM+SOA 구조에서 SOA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성을 가진다. 첫째, SOA의 이득 포화 영역에서의 이득특성은 광 변조기의 선형화에 이용할 수 있다. 둘째, 이득 포화 영역에서 SOA의 음의 chirp 특성은 광전송 링크에서 색분산의 영향을 완화시킨다. 셋째, SOA의 광 이득은 광 수신된 RF 신호에 RF 이득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광 변조기의 비선형 특성과 색분산에 의한 RF 신호의 주기적인 감쇄현상(dispersion-induced RF carrier suppression, DICS)을 억제를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이러한 SOA의 특성과 EAM이 변조기와 광 검출기의 동시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EAM+SOA 구조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base-station이 적용된 양 방향 RoF 링크를 제안하였다. 이 base-station에서 SOA는 광 이득과 음의 chirp 특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EAT(elector-absorption transceiver)의 광 검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향 링크에서 광 링크 손실과 DICS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SOA의 특성을 이용한 제안한 양방향 링크를 검증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특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 실험을 수행하였고, 2.5GHz의 RF carrier에 실린 6Mss, 16QAM 신호의 양방향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제안한 EAM+SOA 구조는 간단한 구조로 양방향 링크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융합 통신망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에서의 ARP 공격에 대한 개인정보보호 기법

        오석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007

        요즘 네트워크기술로서 IP over Ethernet기술이 상용화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이 기술은 IP 주소를 MAC주소로 변환하기 위한 주소번역프로토콜로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사용하고 있다. ARP 공격은 IP 주소와 이와 대응하는 MAC 주소를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공격으로서, 이를 수행하기 위해 “snoopspy"등과 같은 다양한 툴을 사용한다. ARP 공격을 수행함으로써 호스트는 원래 의도한 목적지와는 다른 MAC 주소로 패킷을 보내어, 공격자가 내용을 도청하거나, 내용을 변경하거나, 연결을 가로채기 할 수 있도록 한다. ARP 공격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수행되므로 Secure Shell(SSH) 또는 Secure Sockets Layer(SSL)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방어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ARP 공격을 방향성에의해 하향공격인 ARP spoofing 공격과 상향공격인 ARP redirection 공격으로 각각 분류하고, IP주소를 획득 시 얻는 DHCP 정보를 이용하는 새로운 보안 기법을 제안하였다. 즉, ARP spoofing 공격에 대해서는 ”DHCP snoop 기법“ 또는 ”DHCP sniffing/inspection 기법”을 제안하였고, ARP redirection 공격에 대해서는 “Static Binding"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ARP 공격에 대한 완벽한 보안 기법을 제공할 것이다. IP over Ethernet networks are the most popular Local Area Networks nowadays and They use ARP, th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to resolve IP addresses into hardware, or MAC(Medium Access Controllers) addresses. All the hosts in the LAN keep a cache of resolved addresses and ARP resolution is invoked when a new IP address has to be resolved or an entry in the cache expires. The ARP poisoning attack consists of maliciously mod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an IP address and its corresponding MAC address and various tools available like "snoopspy" to perform the sophisticated ARP attack. Tapping into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hosts on ad LAN has become quite simple thanks to tool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and such tools use the Address Resolution Protocol(ARP) poisoning technique, which relies on hosts caching reply messages even though the corresponding requests were never sent. Since no message authentication is provided, any host of the LAN can forge a message containing malicious information.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Engineering in June 2007. By performing ARP attack, an attacker forces host to send packets to a MAC address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intended destinations, which may allow her to eavesdrop on the communication, modify its content, hijack the connection. For a ARP attack is operated in the data link layer and cannot be protected by means of Secure Shell(SSH) or Secure Sockets Layer(SSL). So In this research, we make new mechanism by using DHCP information when it received IP address and investigated by slicing ARP attack into ARP spoofing attack(downward ARP attack) and redirection attack(upward ARP attack). For ARP Spoofing attack, we can perfectly identify malicious ARP packet by using "DHCP snoop mechanism" or "DHCP sniffing/inspection mechanism" and For ARP Redirection attack, by using so called "Static Binding mechanism". This Paper presents a secure version of ARP that provides protection against ARP attack.

      • (A)Hierarchical Location-Allocation Problem in Designing Broadband Convergence Access Networks

        장규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007

        In this paper, we deal with access network design problem for designing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 Because of hierarchical architecture in the Ethernet-over-fiber technology for the deployment of the access network, the problem is formulated in three-level hierarchical location-allocation problem with guaranteeing QoS. The model is minimizing total cost while guaranteeing probabilistic QoS constraints which is a nonlinear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We explore a disjunctive cut generation algorithm for finding the optimal solution of the problem. And we also develop a tabu search algorithm that finds good feasible solutions within reasonable time. Promising computational results are presented.

      •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강정모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박사

        RANK : 233003

        The bandwidth demand in the access network has been increasing rapidly over the past several years. Moreover, the kind of data is changing or will be changed from simple text to multi-media data such as triple play service (TPS: voice, data and video). These various services will be merged by the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 However, the BcN is still under construction since the high speed access network which is a part of BcN is in competition now.Among high speed access networks,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 is a promising solution for fiber to the home by reasons of large capacity, network security, protocol transparency and upgradability. Nevertheless, because of relatively expensive WDM components, the WDM-PON has been considered a next-generation solution especially high cost optical source in the optical network unit.In this dissert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 based colorless optical network unit (ONU) were proposed. The characteristics of a RSOA based ONU were analyzed both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RSOA based ONU has many advantages such as amplification, modulation and noise reduction functions simultaneously without any additional high cost optical devices.Using this RSOA as an external modulator, we have proposed and demonstrated three types of novel WDM-PONs. The one is hybrid WDM/SCM-PON which shares the same wavelength both down-link and up-link. Simple concept of SCM re-modulation technique of down-link signal for up-link transmission was used. Down-link signal from central office (CO) to ONU was directly modulated with low pass filter, then the up-link modulation was achieved using SCM technique with RF signal which apart from the base-band signal spectrum at each ONU. Due to the mixture of WDM and SCM techniques, a simple ONU which shares the same wavelength both up and down-link transmission is possible.Another solution is a self-seeded RSOA based ONU for WDM-PON link using a RSOA with a fiber Bragg grating. The RSOA was self-seeded by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ASE) of the RSOA itself using a FBG without any additional high cost optical source. The last one is WDM-PON to overlay broadcasting signal based on direct modulation of ASE of a RSOA. For broadcasting signals, the ASE of a RSOA was directly modulated with sub-carrier signal. Then the modulated broadband ASE signal was sliced and routed to the proper ONUs by an AWG in remote node. For up-link, we re-modulated the sliced-ASE signal with direct modulation using a RSOA modulator at each ONU. In broadcasting and up-link transmission process, no additional optical source was needed except RSOA modulator since we have used the ASE of the RSOA modulator itself. These proposed RSOA based ONU schemes would be useful and have many advantages as colorless solutions for WDM -PON.

      • Analysis on Standardization Policy in Perspective of Technology Adoption : 기술 채택 관점의 표준화 정책 분석 : 한국의 정보통신정책을 중심으로 : Korean Cases of National ICT Policy

        김홍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987

        South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backed by the growth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y. Not only foresight activities and proactive investments of conglomerates in the ICT industry, but the government-led standardization policie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facilitating the economic growth. Encouraged by the success in CDMA, South Korea has implemented various standardization policies. However, the technology standardization policies up to date have not produced remarkable results that could meet the expectations. As seen in many cases, a standardization policy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countries which want to catch up with more developed countries. Given the importance, many countries seek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ir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ies regardless of their success or failure. Governments need to examine social effects of standardization policy in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contexts.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was sele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tandardization policy based on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form of subsidies. Sinc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s continue to make progress and go through generational transition, consumers have to decide whether they stay in using the existing technology standard or adopt a new technology standard. In terms of social welfare, however, socially undesirable outcome may occur, such as excess momentum which means a market failure when a new technology standard is adopted too quickly. In order to control the risk of such market failure, governments occasionally intervene in the generational transition of technology standards via policy instruments such as subsidies. Using the concept of excess momentum, a type of market failure, Chapter 3 examines the social effect of governmental policy intervention in the form of subsidies when a technology standard transition is in progress. This chapter uses a simple two-stage model and especially analyzes two scenarios in which existing and new technology standards are compatible or incompatible. The results reveal that regardless of whether existing and new technology standards are compatible, a situation of excess momentum and decreased social welfare may occur. In particular, if the technological difference between existing and new technology standards is less significant, and improvement in the new technology standard is also less significant, the possibility of excess momentum increases. Furthermore, in a case analysis,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is examined as an example and the possibility of excess momentum in this industry is identified. Second, the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 was selected to evaluate the standardization efforts in large scale public projects. Attempts by government-led large scale R&D projects are frequently identified and proactive national standardization policies named de jure standardization are implemented in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and China. Though these policies usually focus on technology standards associated with mobile communication, the BcN project was also planned to consider standardization by implementing a subproject, BcN standard model from the beginning. While the performance of BcN is largely evaluated using qualitative methodologies, studies on standardization policy by BcN standard model are not investigated. Therefore, Chapter 4 evaluates the BcN standard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overnment-led standardization policy. For the case analysis, a survey is conducted to observe the adoption rate of the BcN standard model, and an interview is entailed to review the efforts on BcN standard model. According to the adoption rate of the BcN standard model, the lower layer which needs a significant amount of investments shows a low adoption rate, while the higher layer shows a high adoption rate due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Different adoption rates of the layers are unintended results of de jure standardization, and rather a form of consortia-led standardization is revealed. In such large scale public sector projects in which multiple stakeholders are involved, standardization policies may not be effective. Third, as for a mobile platform,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was selecte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content providers which use standardized mobile platform. While two de facto standards, Android and iOS, are now prevalent platforms in the mobile ecosystem, some still argue that one standardized mobile platform is necessary to ensure the efficiency of content providers. For this reason, it is pertinent to examine whether government-led standardization policy for mobile platform standard, WIPI, was efficient to content providers in South Korea. Therefore, Chapter 5 categorizes content providers into three groups – pre-WIPI, on-WIPI, and post-WIPI –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 of mobile platform technologies and measures efficiency of each group based o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content providers using MNO-dependent mobile platform, the pre-WIPI group, are most efficient. However, as a hypothesis that the production function for each group is identical is rejected, additional analysis using meta-frontier production function i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t efficiency levels for each group. In this case, content providers using a standardized mobile platform are least efficient rather, and firms in the post-WIPI group, revealing de facto standards, are most efficient. In South Korea, several standardization policies were introduced in order to achieve nat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the standardization policies were not so effective as expect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consider alternatives to traditional standardization policies, switching its role from a core actor of de jure standardization to a facilitator for de facto standardization.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산업은 국가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이 발전하게 된 요인은 다양하나, 특히 CDM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2세대 이동통신의 표준으로 설정한 것이 본격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후 다양한 기술표준화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산업을 발전시키고자 하였으나, 현재까지의 결과를 보았을 때 항상 성공적이지는 못하였다. 표준화 전략 자체는 매우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의 경우 추격자 전략의 수단으로도 자주 활용되었다. 중요한 것은, 성공과 실패의 여부를 떠나서 이와 같은 국가 주도의 표준화 정책이 유효하였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산업의 표준화 정책을 통하여 국가가 기술 표준의 공급자가 되었을 때, 표준 수요자의 입장에서 충분히 효과적이었는지를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의 대표적인 표준화 정책이 적용되었던 이동통신 네트워크, 광대역융합망, 모바일 플랫폼의 사례를 통해 표준화 정책의 유효성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추후 한국이 전개해야 할 표준화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이동통신 산업에서 보조금 형태의 표준화 정책을 통한 정부 개입의 효과를 살펴본다. 이동통신 기술은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새로운 표준으로 지속적인 세대간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기존 표준을 계속해서 사용할 것인지 혹은 새로운 표준을 채택할지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후생 관점으로 봤을 때 새로운 기술표준이 과도하게 빨리 채택될 경우 발생하는 초과채택과 같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장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는 보조금과 같은 정책 도구를 활용해 시장에 개입하기도 한다. 따라서 3장은 초과채택과 같은 개념을 활용하여 기술표준의 진화가 진행될 때 정부 정책적 개입의 사회적 효과를 수학적 모형을 통해 살펴본다. 분석 결과 두 기술의 호환성과 관계없이 초과 채택 현상과 사회 후생의 감소가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두 기술간의 차이 혹은 신기술의 개선 정도가 낮을 경우 초과 채택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또한 한국의 이동통신 사례를 통해 초과 채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규모 공공 사업인 광대역융합망(BcN)을 통한 표준화 노력을 살펴본다. 한국 및 중국과 같은 신흥산업국은 정부 주도의 대형 R&D 사업을 전개하면서 동시에 공적 표준화 등의 국가 표준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이동통신 관련 표준으로 자주 확인되나, BcN 사업 내에서도 그 시작과 함께 표준화를 동시에 고려한 BcN 표준 모델 사업이 함께 전개하였다. BcN 사업의 성과는 정성적인 방법을 통해 많이 분석되었으나, BcN 표준 모델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따라서 4장에서는 BcN 표준 모델을 평가하여 정부주도 표준화 정책의 효과를 살펴본다. 사례 분석을 위해 표준 모델의 채택률을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인 인터뷰로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많은 투자가 필요한 BcN 표준 모델의 하위 계층은 채택률이 낮은 반면 높은 계층은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로 인해 높은 채택률을 보였다. 이는 정부 주도의 공적 표준화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이며, 오히려 컨소시엄 주도의 표준화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대형 공공 사업의 경우 많은 수의 이해관계자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표준화 정책의 노력이 효과적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표준화된 모바일 플랫폼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WIPI를 선택하였다. 현재 모바일 생태계에서 안드로이드와 iOS는 사실상 표준이나 콘텐츠 기업의 효율성을 위해 표준 모바일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따라서 정부 주도 표준화 정책을 통해 제정된 WIPI가 콘텐츠 기업에게 효율적이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5장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의 기술이 사용된 기간에 따라 pre-WIPI, on-WIPI, post-WIPI 등 세 개의 콘텐츠 기업 그룹으로 나누고 확률변경분석(SFA)을 사용하여 각 그룹의 효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업자 주도의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기업 그룹(pre-WIPI)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그룹의 생산함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메타프론티어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효율성을 다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부주도 표준 플랫폼(on-WIPI)을 사용하는 기업이 가장 비효율적이었으며, 사실상 표준을 사용하는 기업(post-WIPI)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종합적으로 한국의 다양한 표준화 정책은 기대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정부가 전통적 표준화 정책만을 고수하기 보다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적 표준화의 중심적 역할에서 사실상 표준화의 조력자로 정책 방향을 전환할 것을 제안하였다.

      • 우리나라 광가입자망(FTTH: Fiber To The Home) 구축 활성화 방안 연구 : 법제도, 경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박진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985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romotion measures of FTTH(Fiber To The Home) which is an essential network infrastructure to achieve ubiquitous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purpose, general theories o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network infrastructure,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the building of super high spe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foreign country's policies on FTTH building including as Japan, U.S and EU were reviewed.Korean Government's policy and current status on building of FTTH was also analyzed in legal/institutional, technical, and economic aspects. Legal/institutional aspect includes certification for super high spe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building, pilot project on FTTH service, legal environment for launching the convergence servi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Technical aspect includes analysis of core technologies for deploying FTTH and standardization among various related technologies. Economic aspect includes building cost of FTTH and industry demand on FTTH infrastructure. In addition, opinions of various experts on FTTH including scholars, industry personnels and government officials of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FTTH promotion measures. Followings are the FTTH promotion measures derived by the analysis of this paperFirst, in legal/institutional aspect, ① first of all, persistence of separate regulation o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due to the interest conflict among stakeholders has to be removed, and restriction on the convergence service across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sectors also have to be lessened ② certification for super high spe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building has to be more widely adopted through promotion campaig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 and ex post quality control of super high speed telecommunication building, and certification system also should be extended to be applied to existing buildings.Second, technical and standardization aspect, ① development of FTTH technology such as E-PON and HFC, technology development of FTTH business model and commercial service by using FTTH, and technology development on fiber cable related products are needed ② single standardization is not essential, rather standardization should be decided by market principle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echnology, reliability, and economicsFinally, in economic aspect, ① financial assistance including low interest loan, tax exemption, lessoning the administration cost for issuing licence should be given to telecommunication service operators and construction contractor in order for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FTTH building and FTTH based service ② FTTH based new services which can be used by people at affordable price should be developed, and reasonable monetary compensation for building of FTTH also should be given to the FTTH builderThis paper has made timely and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n FTTH issues in the sense that it has adopted both historical and cross sectional perspectives by analyzing the past/present and future of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super high speed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legal/institutional, technical, and economical aspects of FTTH related policy within various context including foreign nations. Therefore future researches in this area will greatly benefit from this paper.However, this paper has not fully considered the demand aspect on FTTH service since I can not help assuming that demand on FTTH service will be created if FTTH service is introduced at a reasonable price with useful contents taking into account that FTTH is network infrastructure for the future service and market for FTTH service has not yet flourished. 전 세계는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급속하게 변화해 왔다. 현재 정보사회는 형성기, 발전기를 지나 성숙기에 위치해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는 성숙기를 지나 모든 사물에 컴퓨터가 내장되고, 누구든 언제 어디서나 정보망에 접근하여 사람과 사물간, 사물과 사물간에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정착기 유비쿼터스 정보사회로 진화할 것으로 예견된다.우리나라는 ‘95년부터 2005년까지 3단계에 걸친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초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였고, 앞으로 유비쿼터스 정보사회의 기반 네트워크로서 광대역통합망 구축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광대역통합망의 궁극적인 가입자망으로 FTTH(Fiber To The Home)의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FTTH는 전화국에서 가입자댁내까지 무한에 가까운 대역폭을 가지고 있는 광섬유를 매설하는 것으로, 향후 유비쿼터스 정보사회에서 무한에 가까운 대역폭을 가지는 정보량을 원활히 수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xDSL, HFC, LAN방식의 가입자망은 한계가 있고 FTTH가 필수적이다. 이에따라 FTTH가 유비쿼터스 정보사회에 궁극적인 가입자망임을 의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나 FTTH의 구축과 이의 실현에는 많은 시간과 재정적 투자가 요구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FTTH의 구축은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은 초기투자를 본격화하고 망구축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법제도적, 경제적, 기술적 제약요건 때문에 실제 망을 구축하는데 그렇게 적극적이지 못하다.본 논문에서는, 물론 FTTH의 실현에는 많은 시간과 재정적 투자가 요구되지만, 현시점에서는 우리나라가 정보통신강국으로서의 위상제고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 및 국민들의 통신이용편익 증진을 위해 FTTH의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 우리나라 광가입자망 구축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법제도, 경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제도적 배경으로 정보사회와 정보통신 인프라에 관한 일반적 이론과 FTTH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FTTH의 구축활성화를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다.이러한 분석틀에 따라, 우선 국외 광가입자망의 구축사례를 일본, 미국, 유럽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FTTH구축 정책 및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우리나라의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정책 및 성과, 광대역 통합망 구축정책 그리고 FTTH 구축정책 및 현황을 개괄하고, 우리나라의 FTTH 구축기반을 법제도적,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법제도적 기반으로는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 광가입자망 시범사업, 통신방송융합서비스 및 FTTH구축 여건조성을 위한 법제도 현황을 분석하였고, 기술적 기반으로는 핵심기술과 표준화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경제적 기반으로는 FTTH 구축비용과 FTTH망 인프라 산업수요 현황을 분석하였다.이러한 우리나라의 FTTH 구축현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향후 광가입자망 구축 활성화를 위한 방안 도출을 위해 선행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을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과 관련 협회가 건의한 사항들을 정리하고, 정보통신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실증적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정보사회의 통신·방송·인터넷 융합서비스를 원활히 수용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우리나라 FTTH 구축 활성화 방안을 법제도적,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① 무엇보다도 통신과 방송의 이원화된 규제체계와 관계부처간의 이해관계를 해결하고,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간의 상호진입규제를 완화해야 하며, FTTH 구축 기업에 대하여 장기저리의 융자지원, 도로·건축관련 인·허가규제완화, 세제지원 등의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②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는 홍보, 지자체와의 협조, 사후품질관리제도의 도입 등을 통하여 더욱 활성화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기존 건축물에 대한 인증제도를 하루 속히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둘째, 기술 및 표준화 측면에서는 ① 기초 기술개발은 E-PON기술과 HFC기술을 동시에 활용하고, FTTH수익모델과 상용화 서비스에 대한 기술개발, 광케이블 및 광선로자재 산업에 대한 정부차원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FTTH 기술방식의 표준화는 단일방식을 특화할 필요는 없고, 경제성, 신뢰성, 기술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는 시장원리에 따라 선정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넓은 산학연관의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마지막으로 경제적 측면에서는 ① FTTH망 인프라 수요기반확충을 위해 통신사업자와 건설업체가 적극적으로 FTTH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FTTH 구축 기업에 대하여 장기저리의 융자지원, 도로·건축관련 인·허가규제완화, 세제지원 등의 유인책이 선행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② FTTH서비스와 FTTH의 구축이 선순환적으로 이루어져 기업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FTTH를 구축할 수 있도록, 시범사업에서 창출된 컨텐츠외에 수요 창출차원의 FTTH에 적합한 매력적인 컨텐츠(Killer application)개발과 시장형성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의 FTTH구축 품셈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hototransistors based on InP HEMTs and HBTs, and their applications to fiber-optic/millimeter-wave data transmission systems

        최창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5 국내박사

        RANK : 232968

        Phototransistors based on InP HEMTs and InP HBTs are investigated and practically implemented to fiber-opticmillimeter-wave data transmission systems. The physical origins involved in photo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ated InP HEMT are clarifi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ts phototransistor operatio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photodetection mechanisms, the important device parameters including phototransistor internal gain and optical gain cutoff frequency are determined for the InP HEMT. It is experimentally shown for the first time that they are applicable to millimeter-wave subharmonic optoelectronic mixers that have the possibility to use low frequency local oscillator (LO) for millimeter-wave frequency up-conversion. To evaluate InP HEMT optoelectronic mixer performances, an internal conversion gain is introduced and characterized at 60GHz band. Nonlinear distortion characteristics and usable LO ranges for InP HEMT subharmonic optoelectronic mixers are also investigated. Utilizing them, fiber-opticmillimeter-wave data transmission system is constructed and 622Mbps data transmission over 30km fiber-optic link and 3m wireless link at 60GHz band is demonstrated. Their other applications, direct optically injection-locked oscillators are introduced with expecting their potentials to offer high-power and low phase-noise LO source. By endowing them with harmonic optoelectronic mixing functions, a novel antenna base station architecture is proposed for fiber-opticmillimeter-wave downlinks. It is made up of an InP HEMT oscillator, in which the InP HEMT device simultaneously provides the functions of optically injection-locked oscillation and harmonic optoelectronic mixing. Fiber-optic30GHz data 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the proposed scheme are presented and 16QAM downlink data transmission in these systems is successfully demonstrated with the help of its low phase-noise characteristics. For achieving gigabit transmission in fiber-opticmillimeter-wave links, InP HBTs which are expected to provide wide photonic bandwidth are also exploited. It is experimentally shown that an InP HBT exhibits higher optical responsivity and wider optical 3dB bandwidth in comparison with InP HEMT. Utilizing it as a broadband optoelectronic mixer, 1.25Gbps data transmission in both fiber-optic wireline and 60GHz wireless links is achieved and their applicability to broadband fiber-opticmillimeter-wave convergence networks are gi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