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ecological study of Zostera marina in gamak bay, Yeosu : 여수 가막만산 잘피의 생태학적 연구

        김도훈 Yos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4 국내박사

        RANK : 232029

        여수 연안에 자생하는 잘피류의 형질과 생육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1999년 12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1차실험)와 2002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2차실험)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의 군내리와 율림리, 화양면의 원포리, 장수리, 안포리의 연안에서 자연 서식하는 잘피를 채집하여 12개 형질과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1차 실험 결과 해수온도는 일반적으로 8월 3지역 모두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2월 안포리를 제외한 장수리, 원포리 지역에서 최저치를 나타냈다. 암모니아는 원포리, 안포리, 장수리 순으로 값이 낮았으며, 규산성 규소는 7월에 3지역에서 최저치를 나타냈다. 총길이는 3월 안포리, 원포리 2월 장수리 지역에서 최소치를 나타냈다. 잎폭은 4월 안포리 지역에서 최소치를 나타냈다. 잎의 수는 7월 안포리, 장수리 6월 원포리 지역에서 최소치를 나타냈다. 가지 수는 11월 3지역 모두1개로 최소치를 나타냈다. 뿌리 길이는 7월 안포리 8.2cm, 장수리 9.7cm, 원포리 6.2cm로 최소치를 나타냈다. 뿌리수는 안포리를 제외한 장수리, 원포리 지역에서 4월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마디에서 첫 잎 사이의 길이는 5월 안포리를 제외한 2지역에서 최대치를 나타냈다. 뿌리두께는 4월 3지역 모두 최소치를 나타냈다. 잎두께는 안포리 0.3mm, 장수리 0.4mm, 3월 원포리 0.4mm로 최소치를 나타냈다. 중량은 5월 장수리, 안포리, 원포리 순으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2차실험결과 해수온도는 일반적으로 8월 5지역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2월 율림지를 제외한 4지역에서 최소치를 나타냈다. 염분농도는 7월 안포리 30.4‰, 장수리 29.7‰, 군내리 30.9‰, 율림리 30.7‰로 최소치를 나타냈다. 뿌리두께는 5월 안포리 0.45mm, 장수리 0.47mm, 원포리 0.67mm 6월 군내리 0.54mm 율림리 0.43mm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3월 안포리 0.27mm, 장수리 0.30mm, 원포리 0.36mm 군내리 0.32mm, 율림리 0.27mm로 최소치를 나타냈다. 잎두께는 6월 5지역에서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3월 5지역모두 최소치를 나타냈다. 총무게는 5월 안포리, 원포리, 군내리 6월 장수리, 율림리 지역에서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3월 5지역 모두 최소치를 나타냈다. RAPD-PCR에 의한 유전적 유사도는 안포리와 원포리, 원포리와 군내리 집단에서 0.11로 가장 낮았고, 원포리와 율림리 집단에서 0.78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ecology of Zostera marina for promoting effective and efficient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which have been lost in Yeosu, Korea. Eight water conditions at Anpori, Jangsuri and Wonpori from December 1999 to November 2000, and at Anpori, Jangsuri, Wonpori, Gunnaeri and Yoollimri from March 2002 to February 2003 were investigated once a month. Twelve characters of individuals of each Z. marina population also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December 1999 to November 2000 were as follows.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pH were 10.0-25.0℃, 30.5-34.7‰ and 8.1-8.5 at Anpori, 11.0-27.0℃, 30.4-34.6‰ and 8.2-8.4 at Jangsuri, and 12.0-26.0℃, 29.4-34.5‰ and 8.1-8.4 at Wonpori. The NH_(4)-N and Si(OH)_(4)-S were 8.3-9.0 and 23.5-30.2㎍-at/ℓ at Anpori, 7.8-8.2 and 23.9-29.1㎍-at/ℓ at Jangsuri, and 7.8-8.9 and 22.2-29. ㎍-at/ℓ at Wonpori. The concentration of NH_(4)-N at Jangsuri was lower than than that of the others. The NO_(3)-N and NO_(2)-N were 3.0-6.2 and 1.0-1.3㎍-at/ℓ at Anpori, 2.9-5.6 and 0.5-1.3㎍-at/ℓ at Jangsuri, and 2.0-5.3 and 1.0-1.2㎍-at/ℓ at Wonpori. The mean total length and leaf width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ri populations were 80.6cm and 0.9mm, 90.0cm and 1.0mm, and 95.3cm 1.0mm. The Anpori one was shorter in total length than the others. The mean number of leaf, branch and rhizoid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ri ones were 16.5, 2.6 and 10.5, 16.1, 2.4 and 10.4, and 15.4, 2.6 and 10.0 individuals. The mean rhizoid length and node-first blade length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 ones were 10.2 and 2.9, 11.3 and 2.5, and 12.9 and 2.6cm. The mean rhizoid thickness of the three populations was 0.4mm. The mean total weight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ri ones was 24.5, 31.0 and 29.7g. The results obtained from March 2002 to February 2003 were as follows.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10.0-27.0℃ and 30.2-33.5‰ at Anpori, 11.0-26.0℃ and 29.7-33.6‰ at Jangsuri, 12.0-27.0℃ and 29.4-34.6‰ at Wonpori, 11.0-28.0℃ and 30.7-34.7‰ at Gunnaeri, and 10.0-24.0℃ and 29.4-33.6‰ at Jangsuri, 12.0-27.0℃ and 29.4-34.6‰ at Gunnaeri, and 10.0-24.0℃ and 29.4-34.7‰ at Yoollimri. The mean total length and leaf width of the Anpori, Jangsuri, Wonpori, Gunnaeri and Yoollimri populations were 69.3cm and 0.89mm, 85.8cm and 0.94mm, 91.9cm and 0.96mm, 87.0cm and 0.93mm, and 56.8cm and 0.81mm. The mean rhizoid length and number of rhizoid of the Qnpori, Jangsuri, Wonpori, Gunnaeri and Yoollimri ones were 13.2cm and 12 individuals, 15.5cm and 12 individuals, 20.0cm and 13 individuals, 16.7cm and 13 individuals, and 11.4cm and 9 individuals. The mean rhizoid thickness and leaf thickness of the Anpori, Jangsuri, Wonpori, Gunnaeri and Yoollimri ones were 0.36 and 0.59mm, 0.38 and 0.63mm 0.46 and 0.74mm, 0.42 and 0.68mm, and 0.34 and 0.41mm. The mean total weight of the Anpori, Jangsuri, Wonpori, Gunnaeri and Yoollimri ones were 22.53, 25.79, 39.52, 37.03, and 18.45g. Generally, the performance of the Yoollimri population was the lowest. The genetical similarity based on BSI using RAPD-PCR was the lowest (0.11) between the Anpori and Wonpori, and the Wonpori and Gunnaeri ones, and was the highest (0.78) between the Wonpori and Yoollimri ones.

      •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 및 어류군집의 특성

        이승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1967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Seine net)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98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적으로 분할하여 잘피밭을 이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산란 시기와 이번 연구 결과의 평균 체장을 바탕으로 대부분 우점종의 출현 양상은 수심이 얕은 곳의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던 유어들이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4어종이 채집되었으며, 남해 앵강만 잘피밭은 수산업적으로 가치가 있는 어종들에게 성육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specie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fish assemblage in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from October 2013 to September 2014.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35species, 22 genus, 6 family, 3,174 individuals and 3,137.98 g were collected by a seine net in seagrass be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Gymnogobius heptacanthus, Pholis nebulosa, Rudarius ercodes, Favonigobius gymnauchen and Hypodytes rubripinnis and these accounted for 72.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Most fishes collected in seagrass bed belong to primary small fish species or juveniles of large fish species. we thought when larval fishes by using the shallow deep as nursery ground are grow up, they move to deeper depth according to this present study of fishes standard length and the previous study of spawning season show to this appearance patterns. We collected 4 species that never collected in previous study, and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may using by nursury ground to commercial fish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