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서비스 특성을 이용한 U-City 유형별 분류기준 수립에 관한 연구

        안상준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Since Hwasung-Dongtan U-City(Ubiquitous-City) construction completed in September 2008, U-City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in 36 local governments and recognized as the future city model in April 2010. But the region where the U-City construction completed is the Hwasung-Dongtan U-City only, other regions are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So the case regions in which it refer to the U-City construction are absolutel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U-C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U-Services(U-City Services) in order to use as the reference material for the planning of U-City construction. So it is expected that many urban problems such as the overlapped investment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the indiscriminate U-Services, the rising of the project cost, the lack of difference with existing city, the absence of development strategy will be solved, through the local governments and developers will plan the essential U-services for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U-City construction b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U-City.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U-City were established four types. "Type of A" is the Basic-Public U-City model that provides the basic services and public services such as Administration service, Landscape management service. "Type of B" is the Basic-Private U-City model that provides the basic services and private services such as Taxi call service, U-delivery service. "Type of C" is the Special-Public U-City model that provides the special services and public services such as Multi-cultual family supporting service, New & Renewable Energy service. "Type of D" is the Special-Private U-City model that provides the special services and private services such as Travel information service, Health care service. Moreover, the priorities of planning of U-Services were setting by the possibility of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U-Services and preferences of U-Serv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U-City model will be developed as "Type of A"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 and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ity in the early stages. With the urban growth, U-City model will be developed as other types("Type of B", "Type of C"....) in order to fill the needs for high-quality service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tc. 2008년9월 국내 최초로 준공된 화성 동탄 U-City를 포함하여, 2010년4월 현재 약 36개 지자체(53개 지구)에서 U-City 건설 사업을 추진하는 등 U-City는 미래형 첨단도시모델로 인식되며 각종 도시개발사업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도시 규모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U-City 사업이 준공된 지역은 화성 동탄 1개 지구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이거나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단계에 해당하여 지자체에서 실제 U-City 사업 추진시 참조할 만한 사례지역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City 건설 사업 추진시, 지역적 특성 및 사업목표를 고려한 유비쿼터스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U-서비스 특성에 따른 U-City 유형별 분류기준을 수립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지자체 및 사업시행자는 해당 지역의 지역특성 및 사업목적 달성을 위해 필수적인 U-서비스만을 선택적․단계적으로 계획함으로써, 무분별한 U-서비스의 계획 및 구축에 따른 중복투자, 사업비 및 분양원가 상승, 기존 도시와의 차별화 미흡, 단계별 발전전략 부재 등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및 관련 지침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11대 분야 70개 통합 U-서비스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U-서비스 분류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U-서비스를 특성별로 분류하기 위한 4가지 분류기준을 도출하고, 분류기준의 타당성 조사와 U-서비스를 분류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SPSS 12.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 및 다변량 통계분석, 산점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U-서비스 특성별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된 70개 U-서비스를 Matrix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U-서비스 특성에 따른 U-City 유형별 분류기준을 수립하였다. U-City 유형별 분류기준은 U-서비스의 특성에 따라서 크게 4가지의 유형으로 수립하였다. “Type A(기본/공공형 U-City) 유형”은 도시운영에 필수적인 성격을 갖는 기본서비스와 공공기관이 생산주체가 되어 제공되는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U-서비스가 계획 및 구축되는 유형에 해당한다. 이 유형의 U-City에서는 제공되는 U-서비스는 현장행정지원서비스, 도시경관관리서비스 등이 있다. “Type B(기본/민간형 U-City) 유형”은 도시 운영에 필수적인 성격의 기본서비스와 민간기업이 생산주체가 되어 제공하는 민간서비스를 중심으로 U-서비스가 구성되었다. 이 유형의 U-City에 포함되는 U-서비스는 택시콜서비스와 U-배송서비스 등이 있다. “Type C(특화/공공형 U-City) 유형”은 기본서비스 외에 지역특성을 반영하거나 특정 목적에 특화된 U-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형으로, 서비스의 생산 주체는 지자체 등의 공공기관이 담당한다. 이 유형에서는 다문화가정지원서비스, 신․재생에너지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Type D(특화/민간형 U-City) 유형”은 다양한 특화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요구되는 U-City 유형이다. 이 유형에서 제공되는 U-서비스는 차량여행자 부가정보제공서비스, 건강관리서비스 등이 있다. 또한, U-서비스의 기술 구현 용이성 및 시민체감(친화)정도에 따라 U-서비스 개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는데, 시민체감(친화) 정도가 높고 단기간 내 기술 구현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는 도시경관관리서비스 등이 있고, 시민체감(친화) 정도는 높으나 기술 구현이 중기간(5년 이내)이 소요되는 서비스는 현장행정지원서비스 등이 있다. 또한, 시민체감(친화) 정도는 높으나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에 장기간(5년 이상)이 소요되는 서비스는 원격의료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U-City 도입 초기에는 ‘Type A(기본/공공형 U-City)’ 유형의 U-City를 구축하여 기존도시와의 차별화를 통해 도시운영관리의 효율화 등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U-City를 구축하고, 도시의 성장에 따라 도시의 경제적 수준과 U-서비스에 대한 주민 수요 등 지역특성과 향후 발전방향 등을 종합하여 해당 도시에 적합한 U-City 유형으로 단계적인 발전방향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고자 가능한 많은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나, U-City 분야는 학문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아직은 도입초기 단계에 해당하여 타 분야에 비해 관련 분야 전문가가 많지 않아 조사 분석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U-City 사업의 확산과 함께, U-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이 다양해지면 분야별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를 심화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70개 통합서비스 및 4개 분류기준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 연구대상 및 분류기준을 보다 세분화한다면 실제 지자체에서 유비쿼터스도시계획을 수립하고 건설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참고자료로서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U.M.C(u-City Management Center)의 건축계획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文藝爛 國民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U-City는 도시 기능과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기존 정보인프라를 혁신하고 유비 쿼터스 기술을 기간시설에 접목시켜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실시간으로 대처, 주민에게 편리, 안전, 안락한 생활을 제공하는 신개념의 도시이다. U-City에 도시통합운영센터가 필요하게 되었고, 기존에 분리되어 운영되었던 각 서비스 별 센터를 U-City 전체를 대상으로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총괄 운영하는 U-City의 핵심기반시설이다. 도시통합운영센터(U.M.C)에는 안전, 복지, 환경, 행정, 교육, 문화, 교통, 공공, 업무, 의료, 주거 등의 서비스로 통합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U-City가 화성 동탄 신도시에서부터 시작으로 용인, 파주, 성남 수원 등 각 도시에서 잇따라 계획되고 그 U-City에서는 기본적으로 도시통합운영센터의 개념이 적용되고 있으나 도시마다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운영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조금씩 다른 도시통합운영센터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U-City내 도시통합운영센터를 위한 구성을 계획해 볼 것이다. 기존 도시통합운영센터들의 건축계획을 통해서 분석하여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찾아보고 그 기준을 디자인에 대한 건축계획의 가능성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첫째, U-City 내 도시통합운영센터의 개념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 서비스 기능들에 대해 알아본 다음 현재 U-City 내 운영되어지고 계획되어진 사례들을 조사하고 알아본다. 둘째, U-City내 도시통합운영센터의 관련 연구 자료를 보고 본 연구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분석, 비교하여 공간 디자인을 위한 구체적인 체계의 기준을 만들어 보고 유형별로 세분화 한다. 셋째, 세분화한 자료에 가이드라인을 정하여 기본적인 규정의 틀을 제공하는 기초 연구를 계획하고자 한다.

      • u-City 정보통신망 시스템을 위한 설계모델의 경제적 분석 연구

        문헌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expected investments for u-City by calculating the costs for the design of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hich corresponds to the u-City neural network an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s required for u-City by implanting the ubiquitous technologies in the u-City space created from a new information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urban space as a result of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s since the mid-20th century.As such information cities as technopolis, teleport, teletopia, and greentopia appeared after the first physical urban space that started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during the 18th century, recently a new ubiquitous urban space has been born, enabling us to overcome the limits of, and efficiently use, the existing physical urban space.The urban development in the age of information systems is carried out around two axes: the expansion and 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existing cities and the planned, exemplary development of information citie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new information cities.To achieve the goals of new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existing cities grow into the forms of technopolis, teleport, teletopia, and greentopia as tried by advanced nations during the early stage, while the new information cities such as u-City are built on the basis of the predicted demand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planning stage and of the construction of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nfrastructureThese days,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re introducing or planning the introduction of u-education, u-culture, u-transportation and u-environment services without express legal grounds such as consolidated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u-City.At present, more than 20 local governments are considering or planning to develop u-Cities. However, as the project leaders, the content and scope of development, development process, design standards and construction costs are varied, we need a design model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required for a u-City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to determine the construction costs of u-City.This study selected u-City area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as the subjects of study, and analyzed the environments of existing new cities that have similarities in the composition of population, statistical data, and geographical conditions to predict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u-City to be constructed and analyze the traffic demand by type, so as to suggest a design model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s of u-City.Furthermore, based on this design model, the investment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s of u-City into the four areas of supplementary communication facilities, wired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broadcasting center, and calculated the expected construction costs for each area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pose design standards for the standard design model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u-City. Even though the results of this economic feasibility study may not provide the absolute data for judgment on whether or not to carry out the project, I hope that they will be used as a useful supporting tool for examination of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and the determination of investment decision. 본 논문은 20세기 중반 이후 정보통신 분야의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기존의 도시공간과는 다른 새로운 정보공간(infomation space)이 창출되면서 탄생한 u-City 공간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u-City 신경망에 해당되는 정보통신망시스템 설계와 u-City 건설에 소요되는 정보통신망시스템구축비용을 산출하여 예상 투자유치를 위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연구하였다.18세기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시작된 1차 물리적 도시공간에 이어 테크노폴리스(technopolis), 텔레포트(teleport), 텔레토피아(teletopia), 그린토피아(greentopia)와 같은 정보도시가 탄생하면서 최근 새로운 유비쿼터스 도시공간이 탄생하여 기존 물리적 도시공간의 한계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되었다. 정보화 시대의 도시개발은 크게 기존도시의 정보통신기반의 확충·정비와 정보신도시의 건설을 통한 정보도시의 계획적·시범적 개발의 두 가지 축으로 이루어진다. 기존 도시는 새로운 정보화 개발사업이 이루어지려면 초기 선진국에서 시도하였던 것처럼 테크노폴리스, 텔레토피아, 그린토피아, 텔레포트의 형태를 갖춘 도시로 발전하며, 반면 u-City와 같은 정보신도시는 계획단계에서 정보통신에 관한 수요를 예측하고 정보통신망 인프라시스템을 구축한 바탕위에 건설된다.최근 지방자치제에서 u-City와 관련된 관련 법규를 정비할 수 있는 명문화된 법적 근거 없이 u-교육 및 문화, u-교통 및 u-환경 서비스 등을 도입하거나 계획 중에 있다. 현재 20여개 지역에서 u-City 개발구상과 계획이 추진 중에 있으며 사업자, 개발의 내용과 범위, 개발과정, 설계기준 및 구축비용이 상이하여 u-City 건설에 필요한 정보통신시스템 설계모델과 구축비용 산출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분석이 필요하다.연구대상은 향후 건설예정인 u-City 지역을 선정하여 구성인구 성향 및 통계학적 데이터 상으로 특성이 비슷한 기존 신도시 중 지리적으로 여건이 비슷한 도시의 환경을 조사하여 건설예정인 u-City의 입주자 수를 예측하고 향후 트래픽 유형별 수요를 분석함으로써 u-City 정보통신망시스템을 설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계모델을 기준으로 u-City 정보통신망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투자는 통신 부대설비,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통신방송센터 등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 예상 구축비용을 산출하여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연구하였다.연구결과 향후 u-City 건설에 필요한 표준화된 정보통신망시스템 설계 모델에 대하여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또한 비용투자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연구결과는 사업 진행유무의 절대적인 판단자료로 삼을 수는 없지만 사업추진 가능성을 타진하고 투자의사 결정을 위한 유용한 지원도구로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U-City구축의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박래훈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U-City 주관 지방공사들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이 U-City구축의 효율성 제고에 미치는 관계를 요인분석 및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첫번째 연구결과인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U-City구축의 효율성 요인분석 결과에서 확인된 U-City구축의 핵심 효율성 요인은 (1)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 (2)업무환경, (3)설계 및 개발의 실현 가능성 등 3가지가 통계적으로 확인되어 졌다. 본 연구의 두번째 연구결과인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U-City 구축의 효율성 요인이 U-City구축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결과, 전국 차원에서 U-City구축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변수는 (1)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와 (2)업무환경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지역에서는 (1)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 변수로 나타났고,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1)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적인 차원에서 U-City구축 성과를 높이려면 (1)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와 (2)업무환경을 강화해야 하며, 수도권 지역에서 U-City구축 성과를 높이려면 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를 강화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U-City구축 성과를 높이려면 측정, 분석, 개선 및 관리를 강화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U-City구축 정책ㆍ방법에 대한 연구사례가 있었지만,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U-City구축에 대한 연구조사를 실시하여, 조사분석 결과가 유효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U-City구축 효율성 제고 방안 모델에 대한 과학적 접근방법을 마련했으며, 기존의 U-City구축 절차에 대한 복잡성 해결 및 성공 가능한 정책적 대안 제시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 u-City 통합운영센터 입지(위치)에 관한 연구 : u-City 실무자의 입지 만족도를 중심으로

        정성수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u-City 사업이 시작된 지 10년 가까이 지난 지금!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하듯이 47개 지구에서 u-City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성동탄, 판교, 파주 u-City는 준공이 완료되어 본격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u-City 관련법들과 지침들이 입법되어 u-City 사업추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비쿼터스도시의 성공모델을 창출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의 많은 국가들이 대한민국 u-City를 선진사례로 방문하고 있다. 이러한 u-City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 요소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u-City 통합운영센터는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하여 센터가 위치한 입지 를 분석해 보면 사전에 충분한 협의와 고민 없이 다양한 위치(공원 내, 도심, 관공서)에 다양한 형태(홍보관 내, 시청 내, 임대건물 등)로 입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만족도 분석과 입지 선정요소, 관련 법규의 영향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구축될 u-City 통합운영센터의 바람직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실제로 u-City 구축 및 운영단계 또는 설계가 완료된 국내의 대표적인 10개 u-City 사업을 선정하여, 사업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참여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104개의 설문 실시 후, 유효설문 61개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u-City 통합운영센터 입지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비율(52%)과 불만족 비율(48%)이 거의 비슷하게 분석 되었으며, 불만족 이유로는 센터 공간의 확장성 문제와, 예산부족으로 센터 공간을 초기에 충분히 확보할 수 없었던 경제적인 문제인 것으로 유추해 볼 때, 향후 새롭게 건설된 u-City 통합운영센터 입지는 편의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청사 내부 또는 u-City 전용부지로 선정하여 사업을 추진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u-city 관련 법은 사업현장에서 비교적 빠른 시간에 정착되어 가고 있지만, 정부투자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업무담당자는 u-City 관련 법령 및 지침을 중심으로 보다 적극적인 업무수행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공시설로서 u-City 통합운영센터를 포함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설문 대상자의 대부분이(90%) 공감하였고, 이에 적합한 입지로 유시티전용부지와 지방자치단체의 청사공간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건설된 u-City는 지금처럼 본격적인 도시개발 단계에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계획 수립 단계부터 u-City 시설, 특히 통합운영센터 입지에 대한 계획도 같이 수립하는 노력들이 필요해 보인다.

      • U-City 서비스의 공간정보 활용분석 및 개선방안

        최성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우리나라에서의 공간정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재난 · 안전 · 환경 · 복지 · 교육 ·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도시개발사업과 함께 유비쿼터스도시(U-City) 구축 사업이 추진되어 오면서 도시의 효율적 관리와 도시민의 편익 증진을 위해 행정 · 교통 · 방범 · 방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U-City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U-City 서비스에서도 공간정보는 필수적인 요소로 연계 및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표준화된 모델 없이 추진 주체별로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관기관 간 정보의 공동 활용 및 연계 부족 등 U-City 서비스에서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제기되는 U-City 서비스에서의 문제점들을 공간정보 연계 · 활용 관점에서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먼저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에서 각 서비스별 추진전략과 공간정보 활용계획 등을 검토하였고, 우리나라 U-City 추진현황을 검토하여 준공 완료된 5개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U-City 구축 시 제시된 공간정보 관련 요구사항을 U-City 종합계획 및 공간정보 관련 설계서를 비교 검토하였다. 서비스 운영 현황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도시통합관제센터를 방문하여 시스템을 작동해보고 담당자 및 운영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기반으로 U-City 분야 전문가와 GIS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U-City 서비스 내 공간정보 활용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간정보의 정확도 부재, 활용 부재 그리고 데이터 설계 및 기능의 표준화 부재 등 세 가지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개선방안으로는 데이터 항목, 심벌, 기능, 운영 플랫폼 등 네 가지 분야의 표준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서비스가 각각의 시설물 위치확인만을 위하여 공간정보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U-City 서비스 중 공공지역방범서비스와 상수도시설물관리서비스에 대하여 공간검색, 공간분석, 통계 등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접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 신도시개발에 있어서 u-City 적용에 관한 연구 : 화성동탄 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성도현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9

        산업혁명 이후로 오늘날 언어의 장벽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터넷을 통해 의사소통과 교류가 가능한 세상으로 급변하면서, 가히 디지털혁명이라 일컫는 시기에 도시개발 측면에서도 단순한 주거기능에서 미래형 첨단도시를 건설하려는 경향으로 시대적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설계단계부터 첨단 정보기술의 초고속 광통신 인프라와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익증대와 체계적인 도시관리를 통하여 주민의 안전과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정보가 교류되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대단위 택지지구인 화성동탄지구에서 시범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화성동탄신도시에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공공정보 상황실 구축, 공공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도시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주민 생활 편의 증대를 위한 공공 서비스로서 공공지역 방범서비스, 교통정보제공 서비스, 실시간 교통신호제어 서비스, 상수도누수관리 서비스, 동탄포탈 서비스 등의 5대 시범서비스를 1차로 구축하여 제공하였으며, 미디어보드 서비스, u-플래카드 서비스, 대중교통정보 서비스, u-Parking 서비스, 외부연계도로 교통정보서비스, 불법주정차 서비스, 차량번호인식 서비스, 환경오염정보 서비스 등을 2차로 구축 ㆍ 제공하였다. u-City 구축사업을 부지 조성공사와 병행함으로써 사업기간의 단축은 물론 비용을 최소화하는 경제적 이점이 있고, 다소의 원가상승이 수반되더라도 일정한 비용을 부담하는 선례를 남김으로써 향후 u-City 구축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하지만 공공서비스의 효율적인 관리, 운영을 위한 해당 지자체의 업무협조 미약, 각종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Integration Platform) 구축을 위한 장비 및 기술 등의 표준화 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리고 공공서비스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각종 정보습득의 사각지대로 예상되는 각계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방안의 마련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도시개발에 있어서 u-City 체제 도입방안으로는 첫째, 정보통신 인프라시설 및 정보센터의 건립과 효율적인 운영관리 등을 포함하는 u-City의 개발환경 구축이다. 둘째, u-City에 맞는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서비스와 도시의 기능 및 개발목적에 따른 특화된 서비스모델을 도출하는 등 지역특성에 맞는 컨텐츠 개발이다. 셋째로 효율적인 유비쿼터스도시의 계획, 건설 및 관리ㆍ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ㆍ제도적 지원방안의 마련이다. 위에 언급된 모든 사항들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하나하나 충족되는 과정을 통해 우리 모두가 희망하는 한 차원 높은 미래의 첨단 u-City를 만드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oday as communication and exchanges over the internet without the constraints of space and the language barrier are able, in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times in the city paradigm that features a simple housing tend to want to build a futuristic high-tech city. Increase in the convenience of city life and systematic urban management through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high-speed optic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converged into the space of the city in the design phase can improve safety and welfare of the people. Therefore u-City project was applied to Hwaseong Dongtan housing district in Korea for the first time to build ubiquitous environment of the city in which people exchange information in real-time anytime , anywhere. Hwaseong Dongtan new city, based on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y providing public information services and building public information dispatch, has the goal to create new value to the city. In particular, it provided 5 trial services such as local crime prevention servic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service, water leak management services, and Dongtan portal services in the first step as a public service to increase convenience for residents and in the second step provided media board service, u-placard servic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s, u-parking servic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about external link road, Illegal parking service. U-city construction project along with building the construction site has benefits to minimize economic cost, as well as to shorten the period of the business and it presented direction to us by leaving a precedent to cover some of the cost in spite of the rising costs. The weak co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ervices, and standardization issues of equipment and technology for supporting an integrated platform to implement a variety of services has emerged. Moreover support measures for alienation hierarchy who is different to acquire much Information that is provided based on public service are needed.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u-City project to new town development is shown below. First, constructing the environment for u-City development including building and efficiently mana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center. Second, making services which are commonly applicable to u-City and creating specialized services model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city and the purpose of the city development. Third, prepar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plan to support the planning, construction, management of efficient ubiquitous city. As all the above-mentioned things through trial and error are met one by on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a cutting-edge u-City in the future we all want to live.

      • U-City 개발정책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비교연구 : 동탄 U-City 및 흥덕 U-City 사례를 중심으로

        송영현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9

        우리는 첨단 기술에 의한 도시의 네트워크화를 특징으로 하는 후기산업사회에 살고 있다. 이러한 도시 네트워크화는 우수한 도시서비스 제공을 통한 복지 향상이라는 역할과 더불어 지역의 지식정보 산업 활성화를 통한 도시경제발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것이 바로 U-City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U-City 개발정책의 성공적인 사례인 동탄 U-City와 흥덕 U-City의 산업연관도와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U-City 추진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지역 산업들의 상호연관성을 설명해주는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는 용인시가 화성시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성시 수송장비 부문의 감응도 계수는 1.746으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생산유발승수의 전기전자부문이나 건설부문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용인시가 화성시에 비해 높은 승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더욱 높은 지역경제 효과가 용인시에서 예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성시의 경우 수송장비의 생산유발승수가 2.99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용인시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고용승수가 0.053, 소득승수가1.456로 높게 나타났다. 즉, 이 부문들이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지닌 산업부문인 것이다. 셋째, U-City의 지역경제파급효과는 흥덕 U-City가 동탄 U-City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 더욱 효율적인 개발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동탄 U-City 개발은 750억 9,200만원의 생산액, 220억 99만원의 소득액, 847명의 고용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흥덕 U-City의 개발은 228억 6,900만원의 생산액, 71억 8,400만원의 소득액, 316명의 고용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즉, 흥덕 U-City의 개발은 동탄 U-City 개발보다 더 높은 경제적인 효율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각종 유발액과 총 예산액을 비교함으로써 도출되었다. 종합하면, U-City개발은 대상지역에 긍정적인 경제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나타났으며, 연구의 대상지역 중 흥덕 U-City가 동탄 U-City에 비해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 째, 정부는 지역 산업구조 분석을 통해 적절한 U-City 대상지를 선정해야 한다. 둘 째, U-City 지역 및 서비스의 선정에 있어서 지역의 고유한 산업적 특성을 잘 반영해야 한다. 셋 째, 정부는 U-City에 관련된 투자재원 및 운영재원을 다각화하여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정책 참여자들의 협조와 명확한 역할분담으로 일원화된 U-City 추진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정확한 통계자료의 확보가 쉽지 않았다는 문제점과 실제 개발에 투입된 금액 대신 예산액을 통하여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효과 산출과는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투입 예산액을 통한 지역경제파급효과만을 분석하여 U-City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통한 지역경제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한계로 가지고 있다. We are living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which has unique feature such as urban networking heavi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urban network plays two important roles on giving upgrading public services to the citizen and revitalizing urban economy with IT industry develop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degrees of industrial relations and regional economic impacts on two U-Cities, the Dong-tan U-City and the Heung-deok U-City in the Gyeong-gi Province, which are mentioned as two successful U-City model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we figured ou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U-C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influence coefficients and sensitivity coefficients of the Yong-in 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wa-seong City. And the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 Hwa-seong City was the highest in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y by 1.746. It means that of this industry has a great economic potential. Second, The multipliers related to the U-City were found out as the following ways. The multipliers of Yong-yin City were normally higher than those of Hwa-seong City except some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other words, we can expect more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Yong-yin City than in Hwa-seong City. And the production multiplier of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y in Hwa-seong city recorded high figure by 2.990, while the employment and income multipliers of education service industry in Yong-yin City marked high figure by 0.053 and 1.456, respectively. They were found as the industries which have relatively high economic potential. Third,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constructing the two U-Cities are as follows. The Dong-tan U-City’s construction would result in increasing output by 75,092 hundred million won, income by 22,299 hundred 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847 persons. In the meanwhile, the Heung-deok U-City’s construction would result in increasing output by 22,869 hundred million won, income by 7,184 hundred 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316 persons. In conclusion, as the study shows, building U-City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gional economy,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Heung-deok U-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ong-tan U-City. We can find out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ly, government has to select the prospective region for building U-City via analyzing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Secondly, we must consider the industrial features of the region when we select a region of U-City. Thirdly, we need to raise financial resources for U-City from various parts. Last, we must construct the unified promotion system for U-City via assistance of the U-City's participant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we need more correct statistical data to make a reliable regional input-output table. Second, the input amounts of this study is not a real one but an estimated budget. Last, this study only analyzed the economic impacts on the budget of U-Cit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U-City more specifically via analyzing various financial factors related to U-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