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수행능력 및 무용자신감의 관계

        유약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of Chinese dance majors. and to provide academic materials for the dance professional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ir dance ability, so a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variables of the instructor trust were set as altruism, sincerity and ability of openness. the variables of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were set as dance performed confidenc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the variables of dance confidence were set as physical confidence and internal confidence.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 hypothesis research model was set up, and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support the research resul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32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dance in 11 provinces of China, mainly Hebei province and Guangxi province. In the recovered questionnaire, apart from 17 respondents who believed tha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had no credibility (double-filled, unfilled, false information, etc.), 315 respon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dance confidenc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1)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some attention differences have not been verified, and all factors such as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have no average difference in attention statistically. 2) According to different grade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dance major student in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In the instructor trus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altruism, sincerity and ability of openness. I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ance performed confidenc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In the dance confidence,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onfidence. 3) According to different major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dance major student in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In the instructor trus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altruism, sincerity and ability of openness. I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ance performed confidenc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and dance performed achieve. In the dance confidence,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onfidence and internal confidence. 4) According to the different dance experiences, among the differences of dance major student trust on the instructor trus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there is no statistically average difference in all the factors of trust on the instructor trust. I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dance performed confidenc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In the dance confidence,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onfidence and internal confidence. Second,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 instructor trust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1) In the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their instructors trust, only altruism has a noticeable effect on the dance performed confidence 2) In the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their instructors trust, only sincerity has a noticeable impact on the dance performed achieve. 3) In the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their instructors trust, altruism and sincer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confidence 1) Among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the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hysical confidence. 2) Among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nce performed achieve and the dance performed concentr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nternal confidence. Fourthl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the instructor trust and dance confidence 1) Among the instructor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None of the three factors has any influence on physical confidence statistically. 2) Among the instructor trus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altruism has a noticeable effect on their internal confidence

      • 중국 대학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신뢰, 수업만족, 긍정적 감정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룡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non-verbal communication as the main variable to explore Chinese university Taekwondo instructors’ trust, class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tended recommendatio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hinese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Taekwondo courses at five different universities located in Henan, Hebei, Guangxi, Guangxi, and Guizhou province. B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tudy collected a total of 550 Chinese students’ responses. Each university had 110 study participants. Among 550 responses, a total of 520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actual data analysis. By implementing the SPSS 23.0 program,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sources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followed below. Firstly, amo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University Liberal Taekwondo instructors’ outer language, physical language, auditory language, and space langu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trust for their instructors. Second, amo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University Liberal Taekwondo instructors’ outer language, physical language, and auditory langu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class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University Liberal Taekwondo instructors’ outer language, auditory language, and physical langu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positive emotions towards the instructors. Fourth, amo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University Liberal Taekwondo instructors’ outer language, auditory language, physical language, and space langu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intended recommendations. Fifth, in terms of intended recommendations for taking courses, students’ positive emotions, classroom satisfaction, and trust towards their instructors were the main factors of class selection. Sixth,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their trust towards the instru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emotions. Seventh, University Liberal Taekwondo instructors’ trus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중국 대학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주요 변수로 선정하여 교양 태권도 수업 참여자가 느끼는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지도자 신뢰, 수업만족, 긍정적 감정 및 추천의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국 대학 교양 태권도 지도자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허난성, 허베이성, 광동성, 광시성, 귀주성에 위치한 5개 대학에서 교양 태권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대학별 110명씩 총 55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520부의 유효한 자료가 실제 결과 분석에 최종적으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외양언어, 신체언어, 청각언어 공간언어 순으로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외양언어, 신체언어, 청각언어 순으로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외양언어, 청각언어, 신체언어 순으로 학생들의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외양언어, 청각언어, 신체언어, 공간언어 순으로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양 태권도 수업 참여자의 긍정적 감정, 수업만족, 지도자 신뢰 순으로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양 태권도 수업 참여자의 수업만족, 지도자 신뢰 순으로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양 태권도 지도자의 신뢰는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요가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요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수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 about leadership type, instructor trust, and yoga flow of yoga traine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yoga class. 298 samples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were used to actual analysis after 2 samples removed because it had insufficient and untrustworthy answers. For processing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using SPSS version 21.0 for Windo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trainees had higher definite purpose than female trainees and a group which participated in yoga class frequently had higher training and coaching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elf-control ability, self-purpose experience, instructor trust than a group which participated in yoga class rarely. also, a group which had enough career had higher positive feedback, democratic behavior, definite purpose, self-control ability, and instructor trust. Second, training and coaching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consideration behavior had an influence on instructor trust positively, and prescriptive behavior had a influence on instructor trust negatively. Third, training and coaching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had a influence on yoga flow positively. Forth, instructor trust had an influence on yoga flow positively. 본 연구는 요가 수련생을 대상으로 요가 지도자의 리더십유형과 지도자신뢰와 요가몰입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5년 현재 요가수련활동을 하고 있는 수련생으로 편의표본 추출법을 활용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내용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작성되었다고 판단되는 2개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98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확한 목표요인에서 남자수련생이 여자수련생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자기조절 능력, 자기목적 경험, 지도자 신뢰요인에서 수련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보상, 민주적 행동, 명확한 목표, 자기조절 능력, 지도자 신뢰에서 수련경력이 풍부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 유형의 하위요인 중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배려적 행동은 지도자 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위적 행동은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 유형의 하위요인 중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은 요가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신뢰는 요가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수자신뢰, 교육내용신뢰, 교육환경신뢰가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상업계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한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010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structor trust, trus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rus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In this study, Learner’s trust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instructor trust, trus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rus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factors were included to identify the effect on learning flow. Students of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Grade 1, 2) were conducted and total 24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like following. First, Instructor trust had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rust of educational environment had influence with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students. Third, trust of educational contents had effects on Learning flow. Fourth, trust of educational environment had effects on Learning flow. Such results imply that instructor trust, trus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rust of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learning satisfaction and flow that learner can or will have.

      •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능력성취 및 전공지속활동의 관계

        최연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47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능력성취, 전공지속활동의 영향관계와 지도자신뢰와 전공지속활동의 관계에서 무용능력성취의 매개효과를 구명하기 위함이다.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J시와 D시에 위치하고 있는 무용전공 대학생을 조사대상의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2020년도 1월부터 3월까지 총 309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중 신뢰성이 결여(이중기입, 무기입, 부실자료 등)되었다고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한 301부의 설문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었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절차를 거쳐 총 45문항으로 5단계 평정척도(Likert scale)를 사용하였다. 구성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특성(4문항), 지도자신뢰(15문항), 무용능력성취(16문항), 전공지속활동(1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자료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1) 성별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무용능력성취는 남성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년에 따른 지도자신뢰의 일관성은 2학년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공에 따른 전공지속활동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와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현대무용(컨템포러리)전공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는 5년~7년미만이, 실기능력성취는 3년미만과 5년~7년미만이, 창작능력성취는 5년~7년미만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지속활동의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7년이상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 무용능력성취, 전공지속활동은 영향관계를 가진다. 1)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는 무용능력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신뢰의 성실성, 능력, 이타성, 개방성은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능력, 이타성, 개방성은 실기능력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성은 창작능력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능력성취는 전공지속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 실기능력성취는 전공지속활동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와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는 전공지속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신뢰의 성실성, 능력이 전공지속활동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성실성, 이타성이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도자신뢰와 전공지속활동의 관계에서 무용능력성취의 이해능력성취와 실기능력성취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스포츠 지도자 이미지가 지도자 신뢰, 참여만족 및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강문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15882

        본 연구는 중국 스포츠 지도자 이미지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구성요인과 지도자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지도자 신뢰, 개인적으로 수업의 어떠한 부분에 얼마만큼 만족하는지에 대한 수업만족, 내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이곳에 얼마나 소속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소속감 등을 주요 변인으로 선정하여 스포츠 지도자 이미지 요인이 신뢰, 만족,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 및 자료처리는 중국 스자좡시에서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389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 이미지 요인 중 역할, 직업의식은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지도자 이미지 요인 중 역할, 직업의식, 전문성은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 이미지 요인 중 역할, 직업의식, 전문성은 소속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신뢰는 수업만족 및 소속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수업만족은 소속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 지도자는 참여자를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모습을 보이고, 적극적인 업무 참여, 참여자의 요구에 즉각적인 반응 등을 보임으로써 지도자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고 더 나아가 스포츠 참여자에게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모습 및 전문성을 갖춘 지도자가 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도자의 이미지 중 역할, 직업의식, 전문성은 참여자의 만족과 더불어 정체성과 자부심, 존재감 등을 포함한 소속감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도자 이미지의 중요성을 직·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으며, 지도자의 신뢰 역시 수업만족과 소속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임을 인지하여 참여자가 지도자의 신뢰를 높게 평가 할 수 있도록 지도자와 참여자 간의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상담 프로그램 및 SNS 등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소속감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cludes understanding the specific factors that make up the image of Chinese sports instructor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mponents and the instructor which including the trust of the instructor, how much the individual is satisfied with the course, how much he or she is satisfied with, and whether they feel absence of belonging to the place where they participate in sports. Its purpose is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the image of Chinese sports instructors on trust, satisfaction and belonging. In this study, 400 sports participants in Shijiazhuang City of China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s to conduct questionnaire distribution and data analysis. The final 389 valid questionnaires a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discussion: Firstly, in the image factor of Chinese sports instructors, roles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ultimately affect their confidence. Secondly, in the image factor of Chinese sports instructors, roles, professional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are important indexe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Thirdly, in the image factor of Chinese sports instructors, roles,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professionalism have particular impacts on the sense of belonging. Fourth, trusted instructors have special influences on teaching satisfaction and sense of belonging. Fifth, the survey shows that in China the satisfaction degree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nse of belonging. Therefore, sports instructors should show the attitude of giving priority to the participa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ork, 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the participants in a timely manner, faithfully perform their leadership duties, and strive to become a sports instructor who cares about sports participants, with professional qualities and good images. Moreover, the role, professional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he instructor als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sense of belonging, including sense of identity, pride and presence. Directly and indirectl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or’s image and recognizing the trust in the instructor are also primary variables that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eaching satisfaction and sense of belonging. In order to make participants' trust in the instructor highly evaluated, continuous and regular negotiat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participants, as well as various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SNS will improve participants' trust in the instructor and their sense of belonging.

      • 중국 태권도 지도자 이미지가 신뢰, 참여만족, 운동몰입, 지속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맹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15850

        본 연구는 중국 태권도 참여자의 지도자 이미지와 다양한 변인(지도자에 대한 신뢰, 참여만족, 운동몰입, 지속의도 및 추천의도)과의 관계를 검증하여 중국 태권도 지도자 이미지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허난성 태권도장 태권도 참여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해 2020년 1월 8일부터 2020년 2월 12일까지 태권도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 수집을 한다. 총 540명의 중국 태권도 참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25부의 유효한 자료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 된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도자의 이미지 요인 중 자질, 역할, 전문성, 직업의식 순으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이미지 요인 중 자질, 역할, 전문성, 직업의식 순으로 참여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의 이미지 요인 중 자질, 역할, 전문성, 직업의식 순으로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가 지속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만족이 지속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몰입이 지속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속의도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or image of Chinese taekwondo participants and a variety of variables (trust of instructor, participation satisfaction, commitment, continuous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o as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image of Chinese taekwondo instructors. This study selected taekwondo participants from Taekwondo field in Henan Province, China as the research objects. From January 8, 2020 to February 12, 2020, 540 Chinese taekwondo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convenient sample sampling method. Finally, 525 valid data were used for result analysis. The SPSS 24.0 programs were used to frequency analysis,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he image factors of instructor, quality, role,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in tur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Secondly, in the image factors of instructor, quality, role,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in tur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irdly, in the image factors of instructor, quality, role,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in tur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ommitment. Fourth, trus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ifth,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ixth,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eventh, continuous inten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 The Relationship of Instructor Leadership, Trust, Satisfaction, Course Repetition Intention among University Taekwondo Class Participants in Hunan Province

        천링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15615

        Instructor effectiveness has recent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both practical and academic fields focusing on the growth, empowerment, and achievement of organization member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leadership and satisfaction, trust, and course repetition inten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or leadership.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of Taekwondo courses at Hunan Universities. For verificat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AMOS 24.0. The results show that instructor leadership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trust and satisfaction. Second, trust and satisfaction paramet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course repetition intention, but no direct effect. Finally,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urse repetition inten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not onl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ut also organizational leaders, increase the trust and satisfaction of members by exercising servant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강사의 효율성은 최근 조직 구성원의 성장, 권한 부여 및 성취에 중점을 둔 실무 및 학문 분야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강사 리더십과 만족도, 신뢰, 강좌 반복 의향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강사 리더십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이를 위해 후난 대학의 태권도 과정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검증을 위해 AMOS 24.0을 사용하여 확인 요인 및 구조 방정식 경로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결과는 강사 리더십이 신뢰와 만족도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둘째, 신뢰와 만족도 매개변수는 강좌 반복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강좌 반복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기관뿐만 아니라 조직 리더들도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여 구성원들의 신뢰와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실제적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 고등학교 축구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와 자기 관리에 미치는 영향

        구대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156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in high school soccer leaders on trust of instructors and self-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in this study, 383 high school soccer player in Busan, Seoul, Gyeonggi-do and Gyeonsangnam-d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Excluding 19 students determined to be unfaithful respondence, 364 students were used as the final valid samples. Using the SPSS 28.0 statistics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check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ship, trust of instructors and self-managem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vant leadership, trust of instructor and self-manag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occer players. Second, the servant leadership of high school soccer lea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of instructor in part. Third, the servant leadership of high school soccer lea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management in part. Lastly, the trust of instructors of high school soccer play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management in part. The analysis of these results confirmed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soccer leader’s guidance method through servant leadership,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servant leadership considering the age of players. 본 연구는 고등학교 축구 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와 자기 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상남도 소재 고등학교 축구선수 383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19명의 자료를 제외한 364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서번트 리더십, 지도자 신뢰, 자기 관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을 변인 간 영향관계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 지도자 신뢰, 자기 관리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년에서는 모든 변인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입상 유/무에는 자기 관리만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축구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선수의 지도자 신뢰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축구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선수의 자기 관리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지도자 신뢰는 자기 관리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축구지도자의 서번트 리더십을 통한 지도 방법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수들의 연령을 고려한 서번트 리더십의 방향성을 재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

        박태윤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15595

        이 연구는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발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생활체육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다단계 유층집락무선표집(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의 표본추출은 서울시 4개지역(강남, 강북, 강동, 강서)에서 선정된 각 2개소씩, 총 8개소의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생활체육센터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각 30명씩, 총 240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으며,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되었다. 실제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총 197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측정도구는 Chelladurai와 saleh(1978)가 개발한 스포츠 지도자 행동 검사지(Leadership Scale for Sport: LSS)를 사용하였고, 지도자신뢰 측정도구는 Schindler와 Thomas(1993)가 개발하고 이재연(2002)이 번안·표준화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지도만족 측정도구는 Weiss 등(1967)이 개발한 미네소타만족질문지(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설정된 변인의 하위영역별 신뢰도검증과, 각 변인별로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산출 및 일원변량분석과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와 지도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지도자신뢰,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들이 연령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권위적으로 느끼고, 수입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에 긍정적으로 느낀다. 또한 운동기간이 길수록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에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한편, 권위적 행동에 있어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한다. 운동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2-3일 참가하는 집단이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권위적 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운동강도에 따라서는 훈련과 지시행동에 있어서는 1시간 이상 참가집단이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훈련과 지시, 긍정적 보상, 민주적, 사회적지지 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집단이 지도자의 지도유형을 민주적, 사회적 지지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노인체육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신뢰는 수입, 운동기간, 운동빈도, 운동강도, 동거형태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수입이 많을수록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으며, 운동기간이 길수록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다. 운동시간이 길수록 성실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으며, 혼자 사는 노인들이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에 대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연령, 수입, 운동빈도, 교육수준, 동거형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연령은 68-71세 집단이 내재적인 만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으며, 수입이 많을수록 외재적, 내재적 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운동빈도에 따라서는 일주일에 2-3일 참가하는 집단이 외재적, 내재적 만족을 더 크게 느끼고 있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초졸집단이 외재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동거형태에 따라서는 부부집단이 외재적인 만족을, 부부 및 자녀 집단이 내재적인 만족을 느끼고 있다. 둘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자신뢰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능력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긍정적 보상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성실성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이 높을수록 지도자의 일관성에 신뢰를 하고,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일관성, 개방성에 신뢰를 한다. 반면에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능력에 대한 신뢰는 줄어든다. 셋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체육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외재적, 내재적으로 만족을 느낀다. 넷째, 노인체육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신뢰에 따른 지도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노인체육 지도자의 성실성과 개방성 측면에서 신뢰를 하게 되면 노인들은 외재적, 내재적으로 만족을 느낀다. 다섯째, 노인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은 인과관계가 있다. 즉, 지도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지도만족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지도자신뢰는 지도유형과 지도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