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ilence Climate, Employee Silence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in Luxury Hotel in China : Focused on the region of Shenyang and Hangzhou

        Yan Ming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As a very new field of study, organization silence is a negative image of organizational behavior discussed in theoretical circles in the field of vision. Organization silence is a common phenomenon in enterprises (Moskal, 1991; Ryan and Oestreich, 1991), which means that most employees don't speak up their opinions when facing the problems in enterprises. According to Morrison and Milliken (2000) employee silence behavior is the choice of an employee to withhold his/her opinions and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oblems. Organization silence blocks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does great harm to the development of enterprises because managers can't make the effective decision and learn from experience. For the individual, organization silence strongly reduces employee job satisfaction to organizations. Because of these, organization silence is becoming a new focus of research and more and more psychologists and managers pay much attention to it. Employee satisfaction is that an attitude and emotions of employee satisfaction with all aspects of job or not. Employee satisfaction directly affects the level of enthusiasm for work and creative. In knowledge-based economy, talent is the business success and competitiveness of key in high-tech enterprises; they are aware of a lot of talent on the great contribution to value-added business(Ma XiYing, 2009). In order to attract and retain tal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employee satisfaction. From the organization silence, this paper research employee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inspiration for the enterprises to improve employee satisfaction. Luxury hotel group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country's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Luxury hotel group played a decisive role in Global economy(China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2001). Study of luxury hotel group organizational silence on the impact of employee satisfaction is help in the luxury hotel group to build a harmonious business environment to stimulate employee sense of ownership, improve employee satisfaction and enhance the innovative capability of enterprises. This research aims at discuss relevant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silence climate, employee silence behavior and employee job satisfaction in luxury hotel group, understanding the various dimensions of organization silence's degree of influence on employee satisfac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ositive research, propose suggestions to reduce organization silence and improve employee satisfaction, offer certain guidance for real work. In order to test the rationality and validity of the theory, this study establishes a model which includes the organizational silence climate, employee silence behavior and employee job satisfaction. Then use the data got in questionnaire investigation in luxury hotel group to examine this model. In this study, the core assumptions is that organization silence climate and employee silence behavior are positive correlation, and organization silence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r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Questionnaires were applied a luxury chain hotel company which has 3 hotels in China, 210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198 of them were taken. For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er used (Dmitris and Vakola’s 2006) questionnaire form which was used in their study called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sile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It includes 31 items with demographic questions. Final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relevant conditions, there is certain limitation in this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ill mak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 at the last part of this study.

      • Waiting for Godot에 나타난 Silence의 의미

        최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940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re were some writers who thought all existence is vanity, pointless and meaningless. For them the certitudes and unshakable basic assumptions of former ages have been swept away. That is, there was no meaning or salvation in men's lives. Their situation was just like trees and stones which stayed on the earth without any promise of salvation. The writers fell into two different streams of thought. One was Existentialist, the other was, the so called, Absurd Dramatist. While Existentialists poured their thought into conventional vehicles, Absurd Dramatists tried to express themselves in a new context. Samuel Beckett, as an Absurd Dramatist, also expresses his thought in a new vehicle, that is, sile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silence in Waiting for Godot. In Waiting for Godot there are two kinds of silence. One is literarily marked silence. The other is not. The cyclical structure of the play which has no beginning or conclusion, and the empty set also represent silence. These kinds of silence assume three important roles in Waiting for Godot. One represents the boring stream of time. It shows meaningless life which has to be filled with doing something or nothing. Another is the role of realization. Since the most unbearable thing is to face unvaluable and meaningless life Vladimir and Estragon have to make conversation in order to close the window of realization, the silence, because they can see their absurd situation through the silence. This silence shows how strongly men's thoughts are related to the old habit-like faith. The third silence represents solitude. As an abandoned creature in the absurd world, human beings may well feel loneliness. The meaning of all three roles of silence is to reveal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The silence in Waiting for Godot shows that men's lives are as meaningless as those of trees and stones. Beckett tries to show us the reality of human situation and then, he introduces the world in which any illusion such as God is removed. God is only the. projection of the needs of the people. In the painful but true world, Beckett hopes to establish real relationships between men.

      • 조직 공정성이 종업원침묵에 미치는 영향 :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Li, Linxiao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0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silence felt by employees in China. Besides, it also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silence. Through online surveys, 320 surveys were collected, and 306 survey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foun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significant image of employee silence. Specifically,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negative impact on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while it has a positive impact on pro social silence. Second, ethical leadership has a partial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silence. Specifically, ethical leadership can strengthen the negativ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acquiescent silence, and ethical leadership can strengthen the negative impact of procedural justice on defensive silence. The conclusion points out the enlightenment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 카지노 종사원의 관계갈등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냉소주의의 매개와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승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0

        글로벌화로 인한 환경 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조직구성원 간 필수적인 상호의존성은 필연적으로 갈등을 동반한다. 특히, 업무환경의 특성상 카지노 기업의 종사원은 조직 밖 사람들과의 교류가 제한되는 반면, 조직 내 종사원들과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처럼 카지노 종사원은 고객과의 접촉에서 뿐만 아니라 종사원들 간의 관계에서도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그들이 경험하는 조직 내 종사원 간의 업무 외적인 관계갈등은 조직에 대한 부정적이고 냉소적인 태도로 이어져 조직유효성을 떨어뜨리게 되고 조직구성원 및 조직에 혼란을 야기하며 나아가 이직 및 퇴직을 유발하는 등의 조직의 손실을 불러온다. 이에 본 연구는 카지노 종사원의 관계갈등과 조직침묵 간 냉소주의의 매개효과와 관계갈등과 조직침묵 사이에서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를 통하여 관계갈등으로 인해 야기 되는 부정적 영향력을 최소화하고 종사원의 심리적 이탈의 방지하기 위해 종사원의 성향을 파악하고 관리함으로써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카지노 기업이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원 소재의 내국인 전용 카지노 K카지노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0년 7월 16일부터 8월 7일까지 23일간 총 434부를 배부하고 382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23.0(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과 AMOS 23.0으로 구현 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갈등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관계갈등이 높아질수록 조직침묵도 높아지는지는 것으로 확인되며 관계갈등은 조직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갈등이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관계갈등이 높아질수록 조직냉소주의가 높아지는 효과가 검증되며 관계갈등은 조직냉소주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냉소주의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직냉소주의로 인해 조직침묵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며 조직냉소주의는 조직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계갈등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냉소주의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원이 경험한 관계갈등이 조직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전이되어 조직유효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관계갈등과 조직침묵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하위변수인 향상초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향상초점은 관계갈등과 방어적 침묵, 체념적 침묵과의 관계에서는 유사조절(quasi-moderator)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관계갈등과 친사회적 침묵과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계갈등과 조직침묵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하위변수인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방초점은 관계갈등과 방어적 침묵, 체념적 침묵, 친사회적 침묵 모두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Conflict inevitably arise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globalization and fierce competition and the inherent interdependence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especially casino employees spend a lot of time with employees at a time when exchanges with outsiders are limited. As such, casino workers experience stress not only in contact with customers but also in relationships with employees. The relationship conflict within an organization experienced by employees leads to a negative and cynical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which hinders members and organizations, and further contributes to turnover and retir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cynicism between the relationship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ilence of casino workers and regulatory focus control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ilence. In other words, the goal is to provid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prevent psychological departures by securing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s by identifying and managing employee tendenc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K-Casino employees in Gangwon-do. From July 16 to August 7, 2020, a total of 434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82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with SPSS 23.0 (Windows, Armonk, NY, IBM Corporation) and AMOS 23.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on organizational sile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relationship conflic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silence. Second, looking at the impact of relationship confli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lationship conflict, the higher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ynicism, the more positive the relationship conflict has. Thir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ynic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was found to increase organizational silence due to organizational cynicism,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fluenced organizational silence.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lationship conflict is mediated by organizational cynicism in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conflict experienced by employees can spread to negative feelings about the organization,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Fifth, the effect of the promotion focus adjustment, a subspecies of control focus,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silence of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promotion focus has been proven to be controlled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defensive silence, and acquiescent silence. But it has no control effect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pro-social silence. Sixth, the effect of preventive concentration control was analyzed between the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silence of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the prevention focus has no control effect in relationships with relationship conflict and acquiescence silence, defensive silence, and pro-social silence. Lastly, based on it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 미사 거행 안에서 거룩한 침묵의 역할

        김경주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0

        What does true silence mean in a modern society that lives in the flood of language? Silence today seems like a strange and awkward moment. This social phenomenon encourages to escape the moment of silence or fill it with external actions. Staying in silence has long been considered important by the church as a gateway to God, but the consciousness of its abundance is waning even to Christians. Even the element of silence that should be respected in the Mass, which is the peak of the church life, has become prevalent to be neglected. I am deeply concerned about this problem, an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active role of sacred silence in the Mass celebrations that can easily remain in only words and actions. This present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moments in the Mass celebrations by revealing that silence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liturgy. It i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ible and Church Fathers, the two sources of faith. It also serves as the main basis for the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which emphasizes the spirit of active participation of believers, and the 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 which emphasizes the elements of silence. Mass celebration is in organic harmon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bb and flow in which the Word and silence coexist in harmony. Believers are led to silence deeply ingrained throughout the ceremony. Through these moments, they open their hearts to the mystery to be performed through the Word and become more active. God exists not only in the Word but also in silence. Therefore, the liturgy is the holy time to hear to God's Word and feel His manifestation. Silence has more powerful effects than what passes through words. In the moment of silence, great things happen. The inner abundance of sacred silence can not be replaced by other external factors. Christ is always present in Mass celebrations. The key factor for fully responding to this great act is silence. Active participation in liturgy is not in pursuing new change, but in deeper insight into the mystery being enacted. In sacred silence, our prayers spring up and go out into fellowship with God. God comes to meet us in the "tiny whispering sound" (1 Kings 19:12). 언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참다운 침묵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오늘날 침묵은 낯설고 어색한 순간처럼 여겨진다. 이러한 사회 현상은 침묵의 순간을 벗어나려 하거나 외적인 행위로 채울 것을 조장한다. 침묵에 머무름은 하느님을 만나는 통로로써 교회가 오래전부터 중요하게 여겨왔지만 그 풍요로움에 관한 의식은 그리스도인에게조차 시들어가고 있다. 심지어 교회 생활의 정점인 미사 거행 안에서도 마땅히 지켜야 할 침묵의 요소는 도외시되는 일이 만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자칫 말과 행위로만 그칠 수 있는 미사 거행 안에서 거룩한 침묵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침묵이 전례에 본질적인 요소임을 밝혀 미사 거행 안에서 행해지는 이 순간들에 대해 신학적 의미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신앙의 두 원천인 성경과 교부들의 가르침에 토대를 둔다. 또한 신자들의 능동적 참여의 정신을 강조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 헌장󰡕과 침묵의 요소를 강조하는 󰡔미사 경본 총지침󰡕을 주요한 근거로 삼는다. 미사 거행은 말씀과 침묵이 조화롭게 펼쳐지는 밀려남과 밀려옴의 관계를 통해 유기적인 조화를 이룬다. 신자들은 예식 전반에 깊이 스며든 침묵으로 인도된다. 그들은 이 순간으로 말미암아 말씀을 통해 거행되는 신비에 자신의 마음을 열고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하느님께서는 말씀뿐만 아니라 침묵 안에서도 현존하신다. 따라서 전례 침묵은 하느님 말씀에 귀를 기울이고 그분의 현현을 느끼는 거룩한 때이다. 침묵은 말을 통해 전달하는 것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지닌다. 침묵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실로 위대한 일이 벌어진다. 거룩한 침묵의 내적인 풍요로움은 다른 외적 요소로 대체될 여지가 없다. 미사 거행 안에 그리스도께서 언제나 현존하신다. 이 위대한 행위에 온전히 응답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침묵이다. 능동적 전례 참여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거행되고 있는 신비를 더욱 깊이 통찰하는 데 있다. 거룩한 침묵 안에서 우리의 기도는 샘솟고 하느님과 친교로 나아간다. 하느님께서는 “조용하고 부드러운 소리”(1열왕 19,12) 가운데 우리를 만나러 오신다.

      • 초등교사의 조직침묵 경험에 관한 연구

        김진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39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experi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examined in what scen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why they chose organizational silence. Through this, it was explored in what contexts organizational sil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occurring.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12 teachers at X Elementary School and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In order to organize the sample composed of various study participants,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age, teaching experience, whether they are head teachers, working experience of this school, the ratio of similar age within the same the grade, and task characteristics in charg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April to July 2022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fter the in-depth interview, additional data, if necessar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phone calls, and social media messag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structuring to derive meaningful concepts and top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erienced organizational silence. It was, therefore, recognized that organizational silence is a phenomenon express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not a behavioral characteristic at the individual level. Second, the experi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found in various contents for various members of the school. Teachers tended to remain silent mainly about the contents of administrative work when dealing with supervisors, and to remain silent about the student guidance when dealing with colleague teacher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ited ‘helplessness of not being able to change’, ‘the supervisor’s negative attitude’, and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reason of organizational silence to supervisors about administrative work, and cited ‘fear of damage to relationship’, ‘respect for teacher independence’, and ‘uncertain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offered’ as the reason of organizational silence to colleague teachers about the field of student guidance. It is necessary that a differential approach to the two silence phenomena should be explored in that the silence behaviors in the area of supervisors-administrative work and in the area of colleague teacher-student guidance are manifested based on different motives. Fourth, the organizational sil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eared in the context of bureaucratic and individualistic culture of school teachers. Centralization of authority, hierarchization of social strata, and division of labor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bureaucracy caused organizational silence among teachers. In addition, individualism in the school encouraged mutual non-interventionism based on teachers' respect for independence and autonomy, and made teachers sil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silence should be treated in the discussion process for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For the practical operation of democracy, not the perfunctory operation, a reflective approach to school operation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silence. Second, a systematic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to guarantee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To ensure that teachers’ opinions are accepted, teachers need a systematic mechanism which prevents them from experiencing repeatedly that their opinions are not accepted by supervisors and they remain acquiescently silent. Third, education for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the organizational silence of teacher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at school administrators have a strong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schools. Fourth, it is necessary for a new perspective approach to revitalize cooperation among teacher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in current school situations, policy support from a new perspective is required. Fifth, various follow-up studies on the phenomenon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the school should be performed. Since the organizational silence of the school organization has uniqu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explore the reality of the silence phenomenon in the school organization and propose a solution strategy through various studies on teach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it is a study of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wo schools, and also in that the description of the teachers' experiences may not be an objective result reflecting the current perspective.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ctually experiencing organizational silence in schools, why they choose to behave in silence, and in what context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ganizational silence appears.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조직침묵 경험을 알아보고자 했다. 초등교사들이 어떤 상황에서 조직 침묵을 경험하는지, 그들이 조직 침묵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등교사의 조직침묵이 어떤 맥락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X 초등학교와 Y 초등학교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연구 참여자들로 표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성별, 연령, 교직 경력, 부장교사 여부, 본교 경력, 소속 학년 내 유사 연령 비율, 담당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의도적 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2년 4월부터 7월까지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층 면담 이후 필요한 경우 면담, 전화 통화, SNS 메시지를 통해 추가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약호화, 구조화 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의미 있는 개념과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모두 조직침묵을 경험했다. 이를 통해 조직침묵은 개인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이 아닌 조직 차원에서 발현되는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조직침묵 경험은 학교 내 다양한 구성원들을 향해, 다양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상급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주로 행정업무 내용에 대해 침묵을 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료교사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학생지도 내용에 대해 침묵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초등교사는 상급자-행정업무 영역의 조직침묵 이유로 ‘변화시킬 수 없다는 무력감’, ‘상급자의 부정적인 태도’, ‘지식과 경험의 부재’를 들었고, 동료교사-학생지도 영역의 조직침묵 이유로 ‘관계 손상의 두려움’, ‘교사의 독립성 존중’, ‘대안의 불확실한 효과성’을 들었다. 상급자-행정업무 영역의 침묵 행동과 동료교사-학생지도 영역의 침묵 행동이 상이한 동기에 기반해 의해 발현된다는 점에서 두 침묵 현상에 대한 차별적인 접근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교사의 조직침묵은 관료주의와 개인주의 교직문화의 맥락에서 나타났다. 관료제가 가진 권한의 집중, 계층의 위계화, 분업화가 교사들의 침묵을 유발했다. 또한 교직사회의 개인주의는 교사들의 독립성과 자율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상호불간섭주의를 조장해 교사들을 침묵하도록 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민주적 학교 운영을 위한 논의 과정에 조직침묵에 관한 논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형식적인 민주주의가 아닌 실제적인 민주주의의 운영을 위해 조직침묵의 관점에서 학교 운영에 대한 반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의 의사결정 권한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교사들은 자신의 의견이 상급자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을 반복해 경험하며 체념적 침묵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교사들의 의견이 수용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장, 교감을 대상으로 한 교사들의 조직침묵을 줄이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내 조직침묵에 학교 관리자가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들의 수업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시각의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들의 소통과 협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내 조직침묵 현상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조직이 가진 조직침묵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학교 조직 내 침묵 현상의 실태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해결 전략을 제안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2개 학교의 12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며,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기술이 현재의 관점을 반영한 객관적인 실체가 아닐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조직침묵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학교 현장을 대상으로 조직침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초등교사들이 학교에서 조직침묵을 실제로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고, 그들이 어떠한 이유로 침묵 행동을 선택하는지 알아보았으며, 초등교사의 조직침묵이 어떤 맥락 속에서 나타나는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무대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 : 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을 중심으로

        권희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39

        본 논고는 모리스 블랑쇼(Maurice Blanchot, 1907-2003)의 침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연예술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일찍이 블랑쇼는 언어와 언어 바깥의 상관관계에 주목하며 침묵이 이러한 역설적 관계를 보여주는 매개체라는 점을 간파하였다. 블랑쇼가 침묵을 통해 언어의 고유성을 실현시키는 문학의 공간을 찾고자 했다면, 공연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실천적인 장으로서 보다 구체화된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공연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침묵의 형상은 형식적 장치로부터 심화된 의미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서사성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형식을 적극적으로 실험하는 공연예술의 경향은 60년대부터 90년대 초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60년대에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1941-)은 언어가 부재한 작품들을 통해 무대 위에서 새로운 소통 의 가능성을 시도하는 실험적 양식의 계보를 이끌었다. <귀머거리 소년의 응시(Deafman Glance)>는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 로버트 윌슨의 직접적인 체험과 더불어 침묵의 낯선 체험이 어떻게 또 다른 의미로 확장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의 작품이 언어를 뛰어넘는 소통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면, 로메오 카스텔루치(Romeo Castellucci, 1960-)의 <천국(Paradiso)>은 언어가 작동하는 구조와 그것을 이탈한 즉물적인 감각을 통해 언어가 갖고 있는 필연적인 모순을 공간의 구조적 장치로 보여준다. 한편 클로드 레지(Claude Régy, 1923-)의 <실내(Intérieur)>는 이러한 대립이 발생시키는 또 다른 힘에 주목하며 침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 너머에 있는 존재 이면의 영역까지 그 에너지를 확장시킨다. 블랑쇼가 언급한 ‘침묵의 이미지’는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발생하는 궁극적인 공간이다. 이를 통해 침묵은 결코 언어로 완전히 소통할 수 없는 인간의 숙명을 무한한 가능성의 형태로 환원시킨다. 그 결과 침묵의 이미지는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는 지표에서 출발하여 공동체의 필연성을 암시하는 매개체로 발전한다. 따라서 침묵에 대한 이해는 언어와의 상관관계부터, 죽음, 언어 이전의 어린아이의 존재와 주체와 타자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포함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된다. 그것은 블랑쇼가 글쓰기를 통해 사유하고자 했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 특히 무대가 본래 객석과 무대, 안과 밖이 통합된 공간으로서 행위를 통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공유하는 장이었다는 점은 공연예술이 언어의 안과 밖을 공존시키는 매개체로서 침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블랑쇼가 침묵을 통해 문학 고유의 공간을 발견하였듯이 공연예술에서 역시 침묵은 본래 언어를 통해 출구를 찾지 못한 극장의 본래적 의미를 밝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침묵에 대한 다층적 고찰은 그동안 철학적으로만 논의되어왔던 언어, 주체성 그리고 죽음에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함축하며 공연예술의 고유성을 성찰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the works of silence in performing arts which emboides the form of silence by Maurice Blanchot. Early on, Blancho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language outside, and found that silence is the medium of this paradoxical relationship. If Blanchot thought silence as a literary space that realizes the uniqueness of language, the appearance of silence in the performance materializes as a practical field communicating outside the language. Therefore, in the works of performing arts, the form of silence appears in a multi - layered context ranging from formal devices to deepened meanings. Especially, the tendency of the performing arts to active experiment with various forms without depending on narrativity is remarkable in the 60s and early 90s. Particularly in 1960s, Robert Wilson led a series of experimental styles that attempted new communication possibilities on stage through works with no language. <Deafman Glance> is a representative work of Robert Wilson, showing how the unfamiliar experience of silence can be extended to another meaning with his own experience. If Robert Wilson's work directly question about the communication possibility of the language outside, then Romeo Castellucci's <Paradiso> would be able to demonstrate inevitable contradiction of language as the space structural equipment through the language operation structure and the immediate sense of departure. Meanwhile, Claude Régy's <Intérieur> focuses on another power generated by this confrontation and extends its energy to the area beyond the 'understandable' through silence. The 'image of silence' mentioned by Blanchot was 'outward movement' through this movement. Through this, silence eventually reverts human fate, which can never fully communicate with language, to the form of infinite possibilities. As a result, the image of silence evolves from an indicator of the impossibility of the human being and as a medium that suggests the inevitability of the community in solitude of being alone. So understanding of silence gradually expands, including the wide range of topics, from the correlation with language to the existence of a child before death, langu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t is also a key topic that Blanchot wanted to think by writing. The fact that the stage was originally a place where the seats, the stage, the inside and the outside were integrated and the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performance was shared, reminds us that the performing ar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ilence as a medium that coexist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language. In particular, as Blanchot discovered the space inherent in literature through silence, silence can also be a chance to reveal the original meaning of a theater that did not find its way through the original language. This multi-layered view of silence implies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language, subjectivity and death that have been discussed only philosophically in the meantime, and will create a chance to reflect on the uniqueness of performing arts.

      • 일선관료의 조직 침묵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송현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38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관료의 조직침묵 결정요인을 밝히고, 조직침묵이 일선관료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조직침묵이란 조직구성원과 이해관계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직무 또는 조직과 관련된 아이디어나 정보, 의견 등이 있더라도 이를 의도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그대로 간직하는 행동이다(Morrison & Milliken, 2000; Pinder & Harlos, 2001; Van Dyne, Ang & Botero, 2003). 특히, 본 연구의 주된 관심 대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최일선에서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일선관료인 공공․민간분야의 사회복지사들이다. Lipsky(1980; 2010)의 일선관료제이론에 따르면 일선관료는 과중한 업무량과 부족한 자원 및 권위에 대한 도전 등 업무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재량을 활용해 정책집행과정을 단순화, 정형화, 관례화 시킨다(Lipsky, 2010: 86, 202). 사회복지사들은 일선관료로서 입안된 정책을 풍부한 경험과 상당한 재량을 발휘해 집행하고, 복지 수혜자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은 상당한 재량으로 지침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조직 내 침묵이 만연할 경우 조직의 구성원들은 상사나 경영자에게 문제를 제기할 수 없다고 느끼거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손해 볼 것에 대해 염려하고, 소신 있는 발언을 위한 위험 감수를 꺼리게 된다. 이러한 개인 수준의 조직 침묵은 결국 조직 전체의 침묵 풍토를 일으키며 구성원 간의 소통 장애와 시기적절한 정보의 부재를 가져와 조직의 존폐를 위태롭게 한다(Edmondson, 2003, 2018). 따라서 성공적인 조직운영을 위해서는 구성원의 조직침묵의 원인을 이해하며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침묵을 체념적 침묵, 방어적 침묵, 친사회적 침묵, 순응적 침묵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첫째, 체념적 침묵은 조직에 대한 만성적인 방관을 바탕으로 맹목적으로 조직의 상황에 대해 묵인하는 것이다. 둘째, 방어적 침묵은 발언의 결과로 인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선택적으로 침묵하는 것이다. 셋째, 친사회적 침묵은 조직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을 바탕으로 조직과 직무에 대한 발언을 삼갈 뿐만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조직의 기밀정보를 보호하고, 정보의 유출을 거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순응적 침묵은 기본적인 충성심을 바탕으로 가까운 미래에 조직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기존의 질서를 따르기 위해 침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4가지 유형의 조직침묵 결정요인으로 조직특성, 직무특성, 개인특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조직침묵이 일선관료의 인위적 노력을 통해 인지 및 정서적 에너지를 사용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반추를 통해 업무와 일상을 방해할 것으로 예상해 조직침묵이 소진, 스트레스, 직무만족, 삶의 질,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도 살펴보았다. 핵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매년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생산하는 공신력 있는 통계자료인 「2019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을 고려하였으며, 전국의 1,991명의 공공과 민간의 일선사회복지사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324개의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1,404명의 민간시설 사회복지사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와 그 함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수준에서 조직의 규모가 클수록 일선 사회복지사들은 체념적, 방어적 침묵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 내 정례화된 수퍼비전 제도의 운영은 체념적 침묵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사회복지계의 안정화 보수화 경향에 주의하는 가운데, 현장 중심의 지도감독을 통한 일선 중심의 정책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관리적 차원에서 지지적인 조직환경이 조직침묵을 낮추는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개인-조직 적합성과 원활한 의사소통은 체념적, 방어적 침묵을 낮춘 반면, 비윤리적 조직문화로 구성원에게 신뢰를 주지 못하고, 개별 구성원을 지지하지 않는 조직환경은 체념적, 방어적, 순응적 침묵을 높였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조직을 보호하려는 맹목적이고 충성된 유형의 '친사회적 침묵'은 비윤리적인 상황에서까지 조직을 옹호하는 파괴적인 행태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avee, Cohen 그리고 Nouman(2018)의 연구에 따르면 지지적인 조직환경에서 일선관료의 정책기업가로서의 동기가 더욱 높아졌다. 따라서 일선관료들의 재량이 정형화, 관례화로 인한 정책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지 않고, 오히려 업무환경에 대한 자발적인 개혁에 적극적인 주창자가 되도록 공정하고 지지적인 조직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셋째, 직무특성 요인 중에서는 직무요구가 많을수록 침묵은 증가하고 반대로 직무자원이 충분할 경우 침묵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사회복지사의 내적 에너지를 소모하게 함으로써 발언의 의지를 꺾어 4가지 유형의 침묵이 전부 증가하도록 작용했고, 반대로 직무 자율성은 체념적, 방어적 침묵뿐만 아니라 친사회적, 순응적 침묵도 낮췄다. 한편, 클라이언트와 상호작용수준이 높은 업무를 수행할수록 방어적, 순응적 침묵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집행의 최일선에 위치한 일선관료가 부족한 자원과 권한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정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선관료의 재량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동기 요인 중에서 내재적 동기가 높아서 일 자체 또는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자체를 중요시하는 경우 체념적, 방어적, 순응적 침묵이 감소하고, 친사회적 침묵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금전적 보상이나 타인의 인정이 중요한 외재적 동기가 높아질수록 체념적, 방어적, 순응적 침묵을 모두 높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일선관료의 직업윤리와 조직의 비전이 일치할 때, 조직 및 직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게 된다는 점에서 일선관료와 조직의 합의된 목표수립을 위한 논의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조직침묵의 영향력과 관련해서는 예상한 바와 같이 조직침묵이 일선사회복지사의 행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은 개인적 수준에서 소진을 일으키고 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체념적 침묵은 소진과 스트레스를 높일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을 낮추고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순응적 침묵은 소진과 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은 아니었지만 0.1 유의수준에서 삶의 질을 낮추었다. 이렇게 순응적 침묵은 상황이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직 의도를 낮추었다. 순응적 침묵은 상사에 대한 존중의 마음에서 상사의 의견에 반하거나 기존질서를 거스르는 발언을 하지 않는 행동이다. 따라서 순응적 침묵을 많이 할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결과는 조직의 방침과 리더의 권위를 존중하여 비판 없이 수용하는 구성원이 오히려 조직에 오래 머무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원이 많은 조직은 겉으로 보기에는 갈등이 없이 안정적이지만 변화와 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정체된 문화가 지속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일선관료, 특히 사회복지정책의 인적자원관리 발전에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조직 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막아 조직의 혁신을 방해하는 조직침묵의 구체적인 원인들을 제시했다. 본 연구가 일선관료들이 자발적인 개혁의 주창자가 되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silence of street-level bureaucrats as well as to examine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Organizational silence is defined as the motivation to withhold ideas, information, and opinions for work-related improvements (Morrison & Milliken, 2000; Pinder & Harlos, 2001; Van Dyne, Ang & Botero, 2003). This research focuses on organizational silence of street-level bureaucrat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ocial workers who are representative street-level bureaucrats can use their discretion to simplify, formalize, and customize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Lipsky, 1980; 2010). Thus, organizational silence of social workers is expected to have considerable impact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because of their substantial discretion and direct contact with welfare recipients. When silence is prevalent within an organizatio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not raise a problem to their leader. They fear that they might be harmed if they share the information they know. They are also reluctant to take the risk of raising voice. Organizational silence at the individual level eventually leads to a silent climate for the entire organization, which jeopardizes the existence of the organization by bringing communication obstacles between members and the absence of timely innovation (Edmondson, 2003, 2018). Accordingly,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ich factors affect organizational silence and how the silence affects social workers’ attitudes and behaviors. Existing studies classify organizational silence into four types, including acquiescent silence, defensive silence, pro-social silence, and compliance silence. First, acquiescent silence is blindly tolerating organizational situations based on a chronic bystander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Second, defensive silence is the selective silence that emerges from the fear that disadvantages may occur as a result of the voice. Third, pro-social silence is behaviors of adequately protecting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of an organization and refusing to disclose information based on unconditional loyalty to the organization. Fourth, based on a basic attitude of loyalty, compliance silence is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 organization will be able to change positively in the near future even without his or her voice. The current research comprehensively conside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additi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burnout, stress, job satisfaction, well-being, and turnover intention are examined in that organizational silence makes use of social workers' cognitive and emotional energy, which will interfere with work and daily life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 To examine core hypotheses, the 「2019 Social Workers Statistical Yearbook」 produ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was used. By considering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this research conducts a regression analysis for 1,991 public and private street-level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as well as implements a multi-level model analysis for 1,404 private street-level social workers from 324 community social service agencies. The analysis results and accompanying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r the scales of community social service agencies, the higher the level of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was. When a supervision system existed within agencies, acquiescent silence was decreased. This implies the necessity to enhance the field-oriented supervision system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stabilization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econd, the influence of management factors to lower organizational silence was confirmed. Person-organizational fit and active communication lowered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while unsupportive organizational situations such as unethical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acquiescent, defensive, and compliance silence. However,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e pro-social silence did not show any destructive behavior to defend organizations even in unethical situations. The result confirms the argument of Lavee et al. (2018) that supportive environments motivate street-level bureaucrats to work as policy entrepreneurs. Therefore, to make street-level bureaucrats play roles of active advocate for reform and innovation, it is required to create fair and transparent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will help overcome obstacles coming from formalization and routinization. Third, among job characteristics factors, organizational silence increased when job demands were high, whereas organizational silence decreased when job resources were sufficient. Specifically,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increased all types of organizational silence, whereas job autonomy reduced them. On the other hand,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tasks with frequent interactions with clients showed decreased levels of defensive and compliance silence.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discretions of street-level bureaucrats who work at the front-line of policy implementation. Such discretions will provide the capacity to solve problems of scarce resources and help actively suggest ideas for better policies. Lastly,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ctors, intrinsic motivation decreased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while extrinsic motivation increased them.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to establish agreed goals between the street-level bureaucrats and the organization. When the professional ethics of the street-level bureaucracy and the organization's vision match, street-level bureaucrats will express their opinions and ideas for their organization. Regardi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it negatively affected behaviors of frontline social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acquiescent silence and the defensive silence caused burnout and stress at an individual level. It was found that acquiescent silence not only increased burnout and stress, but also lowered job satisfaction and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compliance silence did not increase burnout and stress, but lowered the quality of life. However, compliance silence still lowered turnover intention, even though the situation was not completely satisfactory. Compliance silence is not making a voice against their boss or organization based on the loyalty. Therefore,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means that members who respect their leader's authority will accept organization's policy without criticism and stay in the organization for a long time. Organizations with such compliant members are seemingly stable without conflict, but caution is needed because a stagnant culture in which innovation does not occur may persis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to adv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street-level bureaucrats especially social welfare policy,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livering public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detailed understanding of causes of organizational silence that hinder organizational innovation by preventing communication within an organization. This study hopes to provide some practical guidance for street-level bureaucrats to carry out voluntary reforms.

      • 조직침묵이 무형식학습을 매개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송다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38

        세계화, 기술의 진보, 지식경제로 특징지어지는 현대사회의 급격한 환경 변화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 조직은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터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강조한다. 직무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등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조직 내에서 실시되는 교육훈련은 대부분 형식학습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형식학습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무형식학습이 관심을 받고 있다. 무형식학습과 조직의 비재무적 성과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밝혀짐에 따라 무형식학습의 촉진 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무형식학습의 영향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무형식학습의 영향 요인으로서 조직침묵에 대한 연구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침묵이 무형식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과 동시에 조직침묵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침묵은 무형식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조직침묵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침묵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가? 분석을 통하여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이 처한 상황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수동적인 침묵인 체념적 침묵은 타인과의 학습과 외부탐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타주의 혹은 협력하고자 하는 의지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능동적인 침묵인 친사회적 침묵은 타인과의 학습과 자기성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체념적 침묵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친사회적 침묵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무형식학습은 조직침묵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타인과의 학습, 외부탐색,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체념적 침묵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친사회적 침묵과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정적 상관관계는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 중 하나인 스포츠맨십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으로 근로자로 하여금 조직시민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체념적 침묵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고 친사회적 침묵의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무형식학습을 강조해야 한다.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the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globalization, technological progress and knowledge economy brought about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Organizations emphasize workplace learning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demands of labor market and take competitive advantages. Most of corporate training programs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mal learning as a process of obtaining work-related knowledge or skills in the workplace. However, This formal learning has inevitable limitations. Therefore, organizations pay concrete attention to informal learning as an alternative. 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has unfolded, there has been lots of studies going on to explore those factors affecting informal learning for the purpose of invigorating it. And yet, these precedent studies have overlooked organizational silence as an influencing factor on informal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informal learning.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il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verified. With these purpos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irst, how does organizational silence affect informal learning? Second, how does organizational silence affe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does informal learning play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il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findings drawn up are as follows. First, acquiescent silence that occurs based on disengagement and/or resignation negatively affects learning with others and external search, where as prosocial silence that occurs based on altruism and/or cooperation positively affects learning with others and self-reflection. Second, acquiescent silence negativel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prosocial silence positively affects them, and informal learning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se relationships.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organizations should devote efforts to eliminate acquiescent silence tha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learning with others, external search,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organizations should find ways to help employees practice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s the positive effect of prosocial silence to learning with others, self-refle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judg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one of the OCB's components known as sportsmanship. third, Organizations must stress the importance of informal learning that could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acquiescent silence and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prosocial si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