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企業更生要因에 관한 實證的硏究

        심호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941

        One of the basic assumption of the accounting is going concern. But the assumption not always holds in real world. Some firms fail or go bankrupt by way of internalities or externalities. This paper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irms trying to continue operating or liquidate and develop focasting model of reorganization after corporate failure. This paper deals with the reorganization of failing firms which can be defined as the rehabilitation or rebirth of bankrupt companies to a normal operating state. So far, a number of research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area of bankruptcy but few papers have been found in the arena of rebirth after failure. Reorganization issue is as crucial as bankruptcy in business and law because so many irresistable externalities drive firms to go to bankruptcy under the competitive environments. When firms go to failure, the interested people have a sensitive response to ex-post decisions due to wealth allocation among them. Two streams are emphasized on this paper. The one is based on problems of existing research, the other on those of the Institutional procedure in korean situations. One of the shortness of prior study can be Indicated on the definition of reorganization. Existing literatures saw firms reorganized when reorganization plan scheduled by trustee was allowed to begin by the court. Beginning point of the plan seems not appropriate because under the reorganization process, firms are still in a failure state. Conceptually, ending point of the plan is the exact timing of rebirth. Wrong definition may lead to different conclusions deviating from the fact. Especially, this may bring a lot of problems to results in korea because of political influences on judgement process by the court. So, this study attempt to resolve this problem by using more exact definition of reorganization. In this paper, In stead of beginning point of the reorganization process by the court, rebirth point to a normal operating state with firm's own ability is selected. Korean government holds, like foreign countries, reorganization system In support of rehabilitation for failing companies : reorganization acts, control of bankrupt firm by bank, postponement of delisting by Korean Security Exchange. If a firm goes bankrupt, it appeals to the court for the control of firm's asset for the purpose of no liquidation. The court have to examine and select what firm should be sav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government. The judgement of the court is extremely crucial for the perspectives of wealth allocation between creditors and stock holders as well as an economic efficiency. Self-reorganizable firms has to be selected irrespective of other exogenous support but reality is different. In present, the types, size and support by the bank and government are primary selection criterions by the court. Most Importantly considered are public interest sides and social influences of liquidating on the national economy. But there are a lot of critics in practitioners and law scientists about these kinds of biased and unfair judgement. This paper introduce additionally useful variables suggested by prior theoretical and emperical research and develop two kinds of emperical model using them as explanatory variables. Policy model, what we call, is composed of variables such as type, size, and support by bank and government. Financial model includes operating fund, debt repayment, free asset, and equity hold by manager. These two models are comparatively analysed as a whole. The results show that financial version has more advanced discriminating ability than policy model. Specifically, the former has about 80% accuracy, the latter 50%.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reality of erroneous judgement by the court of korea. In reference to these results, the court need to change the priority order of judgement criterions from public interest side to self-rehabilitaing ability side. This study, I think, has it own purport in that it deals with reorganization after coporate failure as an extensions of bankruptcy and that considering the weakness of the prior research into the experimental design and suggesting alternative decision criterions, it can give a contribution to existing accumulations of rebirth study.

      • 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염동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0

        급변하는 사회 및 교육환경 그리고 정책환경의 압박은 개혁을 각 대학의 선택이 아닌 생존의 필수사항으로 만들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각 대학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혁에 나선 상태이며 개혁의 일환으로 행정조직의 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즉 국제화, 정보화, 지방화, 교육구조변화 등 급격히 달라진 대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전략적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효율적, 개방적이며 유연한 행정조직의 필요성이 강력히 대두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의 행정조직개편을 살펴보면 각 대학이 처하고 있는 상황적 여건을 종합적이고 전략적으로 고려하지 못한 채 단편적인 문제 해결위주나 전술적 측면을 많이 고려하여 조직개편을 단행하였다. 즉, 조직개편을 단행하기 전에 대학이 처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면밀하고 전반적인 고려 요인을 무시한 채 조직개편을 시행함으로써, 조직 개편 이후에 또 다른 문제점을 노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사립대학 행정조직을 중심으로 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영향요인에 따른 행정조직개편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의 발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에서는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서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 및 방법 등에 대해서 밝혔다. 제2장에서는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 앞서 선행연구 차원에서 우리나라 대학행정조직에 관한 이론적 배경, 조직개편 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대학행정조직의 본질적 특성, 구성 및 운영원리와 조직개편에 관한 개념, 특징을 정리한 후, 조직개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내외부적 영향요인이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개편의 양상과 결과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제3장에서는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대학의 내부적 영향요인과 조직개편의 내용을 수도권 소재 사립대학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의 분석틀에 따라 내외부적 영향요인이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각각의 요인에 따라 분석,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2∼3장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사립대학 행정조직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립대학의 행정조직개편의 관계에 대해서 종합적인 평가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립대학의 행정조직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개편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기본적인 방향과 내외부적 영향요인을 고려한 개별구체적인 방향을 제언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다시 한번 살펴보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제시한 대학 행정조직개편의 내외부적 영향요인 분석과 사립대학 행정조직의 개편 방향이 향후 대학 행정조직개편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rastic changes in societ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changes in government policy, have made reform a necessity not a choice for each university. To cope with this, the schools have already begun reforms in various ways, and in result to this,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s being implemented. Thus, to actively deal with the drastic changes of external and internal impact factors, such as internationalization, informationlization, localization and changes in educational infrastructure, a strong need for an efficient, open and flexible administration that can execute strategic management decisions, has come about. However, till now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of universities in Korea have not been implemented o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and strategic situations of each university, but emphasized on immediate problem solving and short-term results. Thus, the reason for new problems occurring after reforms have been made, are greatly due to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of reform without a thorough and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school's situation. Based on this awaren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factors influencing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of private schools and, by analysing the results of the impact factors on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present a improvement plan for futur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of private schools. The abstract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explains the objective and methods of studying the impact factors of the administrative reform made in private universities. As a preceding study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reform in private schools, chapter 2 presents the theological basis for reorganizing Korean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an analyzing frame for organizational reform. After stat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ng principles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long with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reform, the selection of the impact factors was made by investigating the major factors effecting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Based on the selected internal and external impact factors influencing the private school''s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n analyzing frame was made centered on the form and result of reorganization. In order to analyse the impact factors influencing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chapter 3, the private universities subject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betwe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those located else where, and the internal impact factors and the form of the reorganization were investiga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nalyzing frame the impact factors were analysed and organized to show how they influenc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private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of chapter 2 and 3, chapter 4 mak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co-relation between the impact factors and the reorganization of private school administration. And presents a general plan as well as a individual and specific improvement plan for future reorganizations of private schools. In chapter 5 a comprehensive view is looked over agai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s given. Through this study of analyzing the suggested internal and external impact factors and the presented improvement plan, it is my intention to aid in the futur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 한국 중앙부처 재조직화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 : 정권별 과(課) 단위 변화를 중심으로

        이윤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39

        The South Korea’s government performs government reorganization due to the change of the president every 5 years. Although the departments’ reorganizations occur very often, there is not much known about the changes occur in intra-organizational structure.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supplement this fact. The research’s ultimate purpose is deciding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which occurs regularly as the government changes, is fitting to the purpose of reorganization rather than just simple integration. The discovery of government reorganization from the Young-sam Kim administration to the Myung-Bak Lee administration, is following example. Firs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sets the goal of the elimination of sectionalism, the unity among ministries’ functions, and the efficiency of operating organization. However, through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process, there have been similar occurrences of simple integrations in most cases. Before reorganization, there have been rare occurrences of exchanges among office-bureau and divisions belong to different ministries. This means the only effect that can be discovered is elimination of the repeated support organization. Therefore, I can discover the lack of the Institutional Congruence through the disagreement of the suggested goal and intra-organizational structure. Second, there have been occurrence of unification on office-bureau level and convergence on divisional level in related field (ex. IT Technology+ Industry), similar industry(ex. Agriculture + seafood) and same policy field(ex. the Ocean). It means in future, there should be analysis of total possibilities of the function of ministries prior to implication of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Third, time does not have a big meaning in frequent government reorganization. The bureaucrats know the possibilities of the unification, division, and transfer of ministry organization that occur every 5 years, they maintain the exclusive domain centered by core function of the ministry. Therefore, even time goes as the unification status, they refuse to unify and exchange with other function. Through the descriptive analysis so far, we can suggest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evaluation of analysis of office-bureau level and division level can be varied due to government reform or government reorganization. I might miss the side effect of simple integration among ministries if I evaluate the government reform and government reorganization through the whole size of organization and the rated capacity. If there is not an exchange among ministries and functions, then government reorganization is just a symbolic meaning contains side effect. Second, in Korean government reorganization, most people have experienced the occurrence of simple integration. This part means the purpose and reality of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s short of containing institutional Congruence. Therefore, in case of need, there should be the partial functional adjustment among the ministries. Big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should require careful analysis that contains advantage and disadvantage, and impetuous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might cost in a big way for both bureaucrats and the whole nation. Status quo might be the one of distracter. 한국 행정환경의 결정 요인 중에는 헌법규정인 ‘대통령 단임제’에 근거해 5년 주기로 부처급단위의 재조직화가 이루어지지만 조직의 내부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최근 각 정권이 바뀔 때마다 관례화되고 있는 중앙 행정기구의 재조직화가 기계적 재배치 수준을 넘어 개편 목적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빈번한 조직개편 과정에서 부처급 조직 내부 변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했기 때문에 다수 정부에 걸쳐 탐색적․묘사적 분석을 주된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재조직화(통합과 분리)과정에서 명칭 변경을 겪은 중앙부처 수준의 행정기구를 분석대상으로, 분석수준은 부처급 중앙행정기구의 내부조직을 구성하는 실국(室局) 및 과(課) 단위까지로 설정하였다. 분석 시기 선정은 김영삼 정부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분석시기로 하였다. 또한, 분석에 있어 ‘재조직화 직전(T0), 재조직화 시점(T1), 재조직화가 일어난 정부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T2), 재조직화가 일어난 다음 정부 시기(T3~T4)’의 시간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 부처급 행정기구의 재조직화 시행 전 ‘부처할거주의 축소’, 부처 간 기능 융합, 조직운영의 효율성과 같은 개편 목적을 공식적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실국 및 과 수준까지 포함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개편 목적과 조직 내부구조의 변화 간 정합성은 대단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사례에서 실국 수준의 통합이나 과 수준의 융합과 같은 부처 통합에 따른 교류는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조직 개편 측면에서 부처의 중복지원 조직(기획조정실, 감사관, 정책보좌관 및 관련 담당관) 축소․폐지 이외에는 조직 통합이나 분리에 따른 순수효과가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둘째, 재조직화 유형에 따라 내부 구조 변화에서 약간 다른 모습이 발견된다. 유사기능 중심의 ‘흡수통합’에서 다른 통합 유형에 비해 실국 수준의 통합 및 과 수준의 융합이 일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향후 정부조직 개편에 있어 기능 유형분류를 통해 결합가능성(기능, 조직문화 등)에 대한 사전 분석 및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재조직화 과정에서 시간은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0~T4까지 설정 후 정권이 바뀐 후 조직 내부 변화를 분석하였다. 2개의 정권(10년)에 걸쳐 하나의 행정기구로 있더라도 내부 실국 및 과 수준의 교류는 점증이 아닌 일정한 방향성이 없는 불규칙적 변화를 보였다. 이는 관료사회에서 통합 기간에 따라 하나로 인식하는 기제보다는 5년 단위로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조직 개편이 더 큰 의미로 다가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권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영삼 정부의 조직 개편은 시기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김영삼 정부를 종합하면 1차 개편은 기계적 결합을 통한 상징적 의미의 축소, 2차 개편은 표면상 축소 지향적 재조직화가 이루어지지만 내부적으로는 고위직 축소 최소화 및 정보통신부의 과 수준의 융합, 4차 개편은 신설 부처의 종합정책 담당 조직 구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김대중 정부는 1차 개편의 외교통상부를 제외하고는 효율성과 거리가 먼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재정경제원 분리의 경우 오히려 조직 규모가 일부 증가하며 재조직화 설계의 부작용으로 1년이라는 단기간에 분리된 행정기구(예산청, 기획예산위원회)의 통합이 이루어진다. 내무부와 총무부의 통합은 성격이 다른 이질적 기능의 기계적 통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화체육부의 공보처(언론매체)기능의 흡수통합은 ‘공보처→공보실’ 축소의 결과물로 평가할 수 있어 효율성과 합리성에 근거한 통합으로 보기 힘들다. 2차 개편에서도 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 인사국의 공존, 국정홍보처 신설 과정에서 기존 ‘공보처→공보실’축소효과의 반감 등 조직의 효율성 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3차 개편에서 여성부 신설은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대통령령)’ 제 15조(국과 부의 설치)에 어긋나는 정치적 목적의 결과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는 ‘유능하고 작은 정부, 국민을 섬기는 실용정부’를 조직 개편 목표로 제시하고 대부처주의와 대국체제를 적용한 것이 큰 특징이다. 재조직화 유형으로 흡수통합과 복합통합이 다수 나타나고 있다. 유사 및 중복 기능에 대한 검토 결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과수준의 융합이 전 정권들보다 많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대국체제 운영을 위해 국장급 ‘관’을 다수 설치하여 활용한다. 유사 및 중복기능 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국장급 ‘관’ 설치를 통해 고위직 축소의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 연구를 통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국 및 과 수준의 분석을 통해 기존 정부개혁 또는 재조직화의 평가를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전체 조직 및 정원 규모가 축소되더라도 통합된 부처 조직 다수가 기계적 결합에 머물러 있다면 정부 개편은 부작용을 동반한 상징적 의미에 불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부처 수준의 통합은 실국 및 과 수준에서 기계적 통합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했다. 이 부분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 효과성 추구가 진정한 목적이라면 Top-Down식 부처 통합이 아닌 부처 간 ‘① 과 수준→② 실국 수준→③ 부처수준’의 Bottom–Up 방식의 기능조정에 대해서도 우선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SF)을 통한 정부조직개편 연구 :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권오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38

        한국의 정부조직개편은 그 자체로써 정책이자 정책변동으로 기능한다. 정부의 영향력이 크고, 정부조직개편이 정치적 목적에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부조직을 정책 그 자체로써 이해하고, 그 변화를 정책변동으로 접근하여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기한다. 첫째, 한국 정부조직개편의 특성과 정책변동적 의미, 시사점은 무엇인가? 둘째, 정보통신부 개편에 있어 문제-대안-정치흐름 및 정책선도자의 역할과 영향력은 어떠했는가? 셋째, 정부조직개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변동 연구가 기존의 정책변동 연구에 대해 갖는 특징과 의의는 무엇인가?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라는 정부조직개편 사례를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적용했다.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를 각각의 연구대상으로 하여 해당 시기에 독자적으로 활동한 정책문제 흐름, 정책대안 흐름, 정치 흐름의 내용과 역할을 분석했다. 또한 세 흐름을 결합하여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변동에 기여한 정책선도자의 활동을 규명했다.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는 그 자체가 정책변동으로서 국가경쟁력과 해당 분야에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국가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부조직개편이 비민주성과 폐쇄성, 비합리성과 우연성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정책결정자 그룹에서 비밀리에 이뤄지고, 단기간에 추진됐으며 이전 정권과의 차별성 추구나 정치적 곤란을 벗어나기 위한 비합리적 이유로 시행됐다. 다양하고 활발한 정책공동체와 이에 열려있는 내용적 민주주의 확보가 필요하다.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시기 모두 다중흐름모형이 상정하고 있는 문제-대안-정치 흐름이 고유한 활동을 이어 온 것으로 확인됐다. 출범 10년 전부터 정보통신부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당시 제기된 정책대안들이 정보통신부 폐지 시기까지도 활동했다. 세 흐름이 합리모형이 설명하는 인과적, 시간적 순서가 아닌 독자적인 활동을 함으로써 Kingdon 이론의 적실성도 확인했다. 정보통신부 개편에 있어 세 흐름의 결합에는 두 시기 모두 정치 흐름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문제와 대안 흐름이 장기간에 걸쳐, 활동했음에도 정책변동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권교체 등 정치흐름이 강력하게 형성될 때 정책의 창이 열려 조직개편이 일어났다. 정치흐름은 정책의 창을 열리게도 하지만, 닫히게도 했다. 정보통신부 출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개편안이 공직사회의 반발 등 정치흐름 변화에 따라 연기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변동을 도출하는데 있어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정책선도자는 장기간에 걸쳐 정책대안을 관철하기 위해 자신의 자원을 동원했고, 새로운 자원을 획득하는 적극적 모습까지 보였다. 무엇보다 대통령 중심제의 특성상 정책선도자로서 대통령의 절대적 위상이 확인됐다. 정부조직개편을 정책변동 이론으로 규명할 때 기존 연구와 차이점이 발견됐다. 정부조직개편은 복수의 부처가 연관된 것으로 정치적 주목도가 높은 부처 개편으로 기회의 창이 파급효과의 창으로 기능함으로써 특정 부처의 개편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정보통신부의 출범이 이를 증명한다. 또한 정부조직개편은 기존의 정책변동 이론 틀을 넘어 복합적으로 설명해야하는 사례로 파악되어 정책변동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 가능성이 발견됐다. 정부조직을 정책으로, 정부조직개편을 정책변동으로 접근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의 새로운 시도라는 시사점을 준다. 이는 정부조직개편 연구와 정책변동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과제를 주고 있다. In Korea, the re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is a policy or a policy change itself, because the government is very influential, while it is frequently reorganized for a political purpose. Henc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s a policy itself and thereby, approach its change as a policy change and examine it.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raised three research points. First, what had been be the characteristics, policy-chang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Korea? Second, what had been problem-alternative-political stream and policy leaders' roles and influences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what had been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es into the policy changes focusing on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policy change studies? In order to find answers for the above research points, this study applied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MSF) to the case of government reorganization or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n, contents and roles of policy problem streams, policy alternative streams and political streams each at the time of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three streams were combined to examine policy leaders' activities opening the windows of policy and conducing to the policy changes.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re policy changes themselves, affecting nation's competitiveness and relevant sectors enormously.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affecting nation's development greatly had been characterized by undemocratic, exclusive and accidental attributes. It had been decided by an inner circle policy makers, had been per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had been executed for such unreasonable reasons as differentiation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or resolution of a political deadlock. Hence, it was deemed essential to operate a diversified and active policy community and ensure an democratic policy mak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alternative-political stream assumed by the MSF each at the time of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d been unique. A decade before, the need for the Ministry had been affirmed, and the policy alternatives suggested at that time had been effective even at the time of its abolition. Since the activities were independent from or not according to the casual and temporal sequences defined by the rational model, Kingdon's theory was confirmed proper. For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streams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political streams played a decisive role both at two times. Despite the problem and alterative streams had been active for a long period, no policy change had occurred. However, when such a political stream as government change was formed firmly, the window for policy was opened for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The political stream acted to open the window for policy but to close it, which could well be proven by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draft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d been delayed due to such political streams as resistance from the civil service society. Policy leaders' roles were outstanding in opening the window for policy and inducing a policy change. In order to have their policy alternatives accomplished, they had been active enough for a long time to mobilize their own resources and acquire new ones. Above all, due to the strong Presidential system, President's absolute status as a policy leader was confirmed. When examining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view of policy change theory, some differences from the preceding studies were found. A government reorganization involved multiple Ministries, and therefore, when a politically sensitive Ministry was reorganized, the window for opportunity would function as a window for spreading effects to have other Ministries reorganized. Such spreading effects were well proven by the case of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had to be reviewed from complex perspectives beyond the conventional policy change theories, and thus, a possibility for a new chapter of the policy change studies was found. This study that approached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as policy change, regard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s policy, may well be a new attempt for policy study, and suggests a challenge for expansion of the research into government reorganization and policy change.

      • Improving memory hierarchy performance using data reorganization

        박능수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 2002 해외박사

        RANK : 2924

        State-of-the-art computing platforms have deep memory hierarchies. Mismatch between the data layout and data access pattern during the computation causes expensive memory access costs, degrading the overall performance.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data reorganization as an approach to improve the memory hierarchy performance. In our approach, the data layout is reorganized in order to match the data access pattern of the computation. Therefore, it reduces the number of cache misses in uni-processor platforms and the number of remote memory accesses in multi-processor platforms.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ree main contributions in using data reorganization to achieve high performance. The data reorganization in multi-processor platforms is called data redistribution in this dissertation. However, the overhead of data redistribution between processor sets should be minimized since the redistribution itself requires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Therefore, we propose an efficient array redistribution algorithm between processor sets. The proposed data redistribution algorithm reduces the overall communication time, including the data transfer, communication schedule, and index computation costs. Our algorithm generates a schedule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communication steps, and also eliminates node contention at each communication step. The network bandwidth is fully utilized by ensuring that equal-sized messages are transferred in each communication step. Furthermore, the time to compute the schedule and the index sets is less than 1% of the data transfer time for problem sizes of general interest and becomes more insignificant as the problem size increases. This makes our algorithm suitable for runtime data redistribution. To improve cache performance in uni-processor platforms, block data layout has been proposed in conjunction with tiling. In this dissertation, this is called static data reorganization, since the data layout is reorganized before the computation begins and is not changed during the computation. We provide an analysis of the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and cache performance using block data layout. For standard matrix access patterns, we derive an asymptotic lower bound on the number of TLB misses for any data layout and show that block data layout achieves this bound. We show that block data layout improves TLB misses by a factor of O(B)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data layouts for the tiled matrix multiplication (TMM), where B is the block size of block data layout. This reduction leads to the improvement of memory hierarchy performance. Using our TLB and cache analysis, we also discuss the impact of block size on the overall memory hierarchy performan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iling with block data layout reduces the number of TLB misses by up to 93% as compared with copying and padding for the TMM. Experimental results for TMM, LU decomposition, and Cholesky factorization on several platforms (UltraSparc II and III, Alpha, and Pentium III) show that tiling with block data layout achieves up to 50%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other techniques that use conventional layouts. As the computation proceeds, the data access stride (data access pattern) changes. If the data layout is fixed during the computation (static data layout approach), this change in the access stride results in poor cache performance. To improve cache performance, we propose to change the data layout dynamically between computation stages. This technique is called the dynamic data layout approach in this dissertation.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technique, we apply dynamic data layout approach to compute large signal transforms. In the simulations, Fast Fourier Transform (FFT) computation using the dynamic data layout approach achieves a lower cache miss rate than FFT computation using the static data layout approach when the transform size is larger than the cache size. We also develop optimized packages for FFT and Walsh-Hadamard Transform (WHT) using the dynamic data layout approac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FFT and WHT packages achieve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up to 3.52 times over other state-of-the-art FFT and WHT packages.

      • 기업구조조정 세제에 관한 연구 : 조세회피방지를 중심으로

        남기봉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922

        현행 합병 및 분할에 대한 세제는 기업구조조정 촉진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합병․분할 등에 대한 세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려는 의도 하에 2009년 12월 31일 법인세법을 개정하였고, 그에 맞추어 구조조정 세제의 다른 부분인 재무구조개선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하였다. 개정된 법인세법 및 조세특례제한법은 종전 합병 및 구조조정세제의 골격을 근본적으로 개선한 입법으로서 한국도 이제 선진국 수준의 구조조정세제에 다가섰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개정된 구조조정세제가 적용 된지 수년이 지나면서 입법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이러한 개선점들이 점차 세법에 반영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 반영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으며 특히 사후관리 및 조세회피방지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고는 현행 구조조정세제의 입법 및 적용상의 문제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합병 및 분할의 적격조직재편 요건 중 사업목적요건의 판단대상을 법인단위에서 사업단위로 변경하여야 하며, 최소 사업영위기간에 대한 규정도 합병의 경우에는 현행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고, 사후관리대상 사유도 지분처분가능기간을 종전수준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합병법인의 주주가 2년 내에 과세특례 받은 주식을 50%이상 처분할 경우 합병법인이 과세특례적용혜택을 취소당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귀책사유에 따른 사후과세배분의 필요성과 주주단계 과세특례 적용여부와 법인단계 과세특례 적용여부가 합리적으로 귀속되도록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조세회피유형을 합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과세특례요건을 정비해야 하는바, 사후관리요건의 강화, 부당행위계산규정의 범위확대 및 포괄적 조세회피방지규정의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과세특례로 과세이연 받은 피합병법인의 주주는 합병법인의 주식을 처분할 때까지 과세를 이연하는바 합병으로 인하여 상장주식을 취득한 피합병법인의 개인 주주는 당해 주식을 장내에서 처분할 때 과세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바, 합병대가로 받은 상장주식을 모두 과세대상으로 하는 양도소득세 보완 및 과세특례와 사후관리 규정을 개정하여 의제배당과세제도와 과세특례 사후관리제도의 실효성을 제고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합병·분할과 관련된 조세회피사례 중 합병비율 또는 주식가치평가가 수반되는 거래의 경우, 수익가치 즉 미래추정이익의 과대평가로 인하여 영업권 상각비 규모가 커지고 이에 따라 합병법인이 부실화 및 퇴출로 연결되어 본래의 과세지원목적과 상관없이 악용될 여지가 많고, 영업권평가시 반영되는 미래가치에 대하여 사전에 규율할 수 있는 대안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므로 상장법인과의 합병비율 산정시 계상되는 비상장법인의 수익가치부분을 매년 재평가하여 일정수준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과세이연를 중단하고 일단 과세를 실행하고 실적이 회복되는 사업연도에 환급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선과세 후정산’의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실상 합병 및 분할의 효과를 내는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 및 ‘자산의 포괄적 양도’ 등의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실질이 합병․분할과 동일하니 조세특례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세제상 조직재편과 재무구조개선을 유형화하여, 조세특례제한법에 한시규정으로 있는 관련규정을 상시운영체제로 법개정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In 2009, Korean tax act relating to corporate income occurred in mergers and division is largely changed and make clear ‘transfer of assets’ about the character of mergers and divisions. The result is positive in that current tax system is more logical and consistent than old act’s but we need to research tax system relating to mergers and divisions additionally because of new system’s uncompleteness. So this study is focus on reviewing whether current law properly realize the nature of mergers and divisions, tax-free transactions are reasonably defined, tax-avoidance provision is well provided, unlisted share valuation method is reasonably managed, and provisions relating to tax treatment in corporate reorganization are logically ruled. The current tax system has a fundamental problem how to distinguish tax-free transactions from variable corporate reorganization. In addition, new corporate tax law on corporate reorganization has almost same structure regardless of a transaction nature. We need to understand that corporate mergers and divisions have a different nature and therefore, to describe tax-free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reorganization in a broad perspective. Also, to solve old problems and new insufficiencies in tax law, present provisions shall be supplemented in the following six aspects. First, it’s necessary to apply to both mergers and divisions longer pre-reorganization period requirements and to decide tax free reorganization focusing on not corporation but business relating to continuity of business before reorganization. Second, we need to define about the independent business unit so that the special tax treatment should not to be granted on mere asset transfer. Third, we need to amend from current standard to 50% disposal of old interest and to supplement exception types to reflect unintended circumstances relating to continuity after reorganization. Fourth, we need to introduce comprehensive tax-avoidance provisions to corporate reorganization to combat a complex and variable tax-avoidance transaction. Fifth, a deemed dividend which occurred in corporate mergers and divisions has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income character. And all shareholder of back-door listed company should be taxed for capital gain from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Sixth, we need to develop appraisal standards about goodwill assessment and unlisted share for tax purpose and to introduce the ‘pre taxation and after adjustment’ provisions about the tax-avoidance M&A using overvalued unlisted share etc.

      • 주식회사의 삼각조직재편에 관한 법적 연구

        이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922

        본 연구는 합병대가의 유연화에 따른 삼각합병제도와 그 외연확대에 따른 관련법상 이해관계자 보호와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2011년 개정상법에서 기업의 인수·합병과 구조조정의 원활화를 위해 합병대가를 유연화하고 자회사의 모회사 주식취득 금지의 예외를 인정함으로써 삼각조직재편제도중 삼각합병제도가 가장 먼저 도입되었다. 삼각합병은 합병회사가 피합병회사를 흡수합병하면서 합병대가로 합병회사의 모회사 주식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주식의 포괄적 교환과 같이 인수회사가 인수하고자 하는 대상회사를 완전자회사하여 인수회사와 대상회사 간에 완전지주회사 체제가 창설된다. 삼각합병을 실제로 주도하는 합병회사의 모회사는 합병회사인 자회사에 신주를 발행하거나 자기주식을 교부하고 이를 피합병회사의 주주에게 합병대가로 지급하여 삼각합병의 대가로 활용하도록 한다. 이로써 인수회사인 합병회사의 모회사는 피합병회사의 채무를 직접 승계하지 않고 주주총회를 거치지 않고 피합병회사를 실질적으로 인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삼각합병은 채무절연의 효과, 절차적 편리함과 해외기업이 자국내 자회사를 설립하는 경우 국경간 합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행 삼각합병제도는 자회사의 모회사 주식 취득방법 등 절차상 불명확한 부분과 이해관계자의 보호상 미비점 등이 있어 상법 및 관련법상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보다 앞서 삼각조직재편제도를 도입한 일본의 선례에서는 미국 회사법제의 삼각합병제도와 다른 면이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지배구조 체제에서 인수·합병방식의 지배구조 개선전략이 유효하고 합병법제의 유연성이 높아 타회사를 인수하기 위해 특수목적회사를 활용한 삼각합병제도가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륙법계 회사법제에서 삼각합병 등 삼각조직재편제도가 이용되는 경우 기존의 합병법제의 틀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특례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유럽의 대륙법계 회사법제에서는 동 제도가 도입되지 않고 있다. 일본의 삼각조직재편 사례에서는 특수목적회사가 아닌 실제 영업을 영위하는 자회사를 통해 삼각조직재편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로써 다른 회사의 인수자체의 목적보다는 동일한 기업그룹 내의 회사 간 구조조정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법적 쟁점사항에 대한 고찰에 있어 이미 도입된 삼각합병을 토대로 하여 검토하고, 이러한 논의가 삼각분할합병, 삼각주식교환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고찰한다. 먼저 주주의 보호에 있어서는 피합병회사와 합병회사의 모회사 주주보호의 필요성 및 구체적 보호방안을 논의하고, 채권자 보호와 관련해서는 합병당사회사의 채권자 보호에 관해 검토한 후, 소멸하는 피합병회사가 발행한 전환사채 등을 보유한 특수채권자의 보호문제와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해관계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인프라로서 공시제도와 합병비율 산정에 관한 공정성 확보방안을 검토하여 삼각합병제도의 공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삼각조직재편제도는 기업의 측면에서는 인수·합병제도로서의 효율성이 높은 제도인 동시에 이해관계자의 측면에서는 이익침해의 우려도 존재한다. 조직재편이 기업의 효율성 제고와 함께 인수·합병의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양자간의 보호에 균형을 확보할 수 있다면 삼각조직재편제도가 대륙법계 회사법제인 우리 상법의 조직재편제도로서 안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keeping with the increased flexibility of merger consideration and the consequent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triangular reorganization system, this study pursued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otection of interested parties and the fairness of triangular reorganization based on relevant laws. The amended commercial law of 2011 increases the flexibility of merger consideration, allowing exceptions to the ban on the parent company’s acquisition of subsidiary company’s stocks, in order to facilitate corporate M&A and restructuring. Accordingly, triangular merger system was introduced as the first triangular reorganization system. A merging company achieves triangular merger by giving its parent company’s stock to a merged company as a merger consideration. Consequently, as in the case of comprehensive stock exchange, the acquisition company makes the target company become a shell company, thereby establishing a complete holding company system between them. The merging company’s parent company, which actually leads triangular merger, issues new stocks or grants treasury stocks to the merging company that is its subsidiary company, so that the stocks can be used as merger consideration by being given to the merged company’s shareholders in return to triangular merger. In this way, the acquisition company, the merging company’s parent company, can practically acquire the merged company without the succession of the merged company’s debt and also without the approval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us triangular merger has the merits of debt-remote effect and procedural convenience, as well as of enabling cross-border merger in case a foreign enterprise establishes a domestic subsidiary company. However, current triangular merger system has some unclear points in merger procedure-such as in the method by which a subsidiary company acquires its parent company’s stock-and is also insufficient to protect interested parties.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complement the commercial law and other relevant laws. In the case of the triangular reorganization system of Japan, which introduced it earlier than Korea, there is a different aspect compared to the triangular merger system of United States corporation law. In the US, the triangular merger system actively utilizes special purpose company for the acquisition of company. The reason is that US corporate governance system, which separates corporate ownership and management, enables effective governance improvement through M&A; and also that US merger law is highly flexible. In contrast, the continental corporation law of Europe does not adopt triangular reorganization system, including triangular merger, because such an adoption requires the preparation of special rules that will fundamentally change the frame of existing merger law. In Japan, most cases of triangular reorganization involve subsidiary companies that actually operate businesses instead of special purpose companies. This indicates that triangular reorganization in Japan is practiced mainly for the restructuring of companies within the same corporate group, rather than for the acquisition of other companies. This thesis discusses the points of disputes in relevant laws based on the triangular merger system that has already been introduced, and also gives consideration to how such a discussion can be applied to triangular reorganization. Firstly, with regard to shareholder protection, a discussion will be made about the necessity for merged and merging companies to protect parent company’s shareholders, as well as about concrete methods for such protection. Secondly, with regard to the creditors protection, an investigation will be made about protecting the creditors of merging and merged companies; and then focus will be placed on the problem of protecting special creditors-such as those who own convertible bonds issued by disappearing merged company-to develop a method for improving such a problem. In addition, an effort was made to deduce a method for enhancing the fairness of triangular merger system-as a legal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protecting interested parties-upon reviewing the methods for securing the fairness of corporate disclosure and of merger ratio calculation. Triangular reorganization system is a highly effective M&A system for corporations, yet it can interfere with the interests of other interested parties. If it is possible to ensure a proper balance between all interested parties, thus guaranteeing both the enhancement of corporate efficiency and the fairness of M&A, triangular reorganization system could stably be utilized as the reorganization system of Korean commercial law, which adopts continental corporation law.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a novel long non-coding RNA in myogenesis

        박진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874

        지난 수십여년 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단백질 번역 기능을 갖지 않은 non-coding RNA들이 세포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non-coding RNA들 중, 크기가 200bp 이상인 long non-coding RNA들이 줄기세포 분화, 발생, 그리고 암과 같이 세포 상태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때 동반되는 유전자 조절에 있어서 중요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다른 세포내 변화에 비해 근육분화에 관여하는 long non-coding RNA들에 대한 발견이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었으나, 최근 이들 long non-coding RNA들 역시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근육분화는 다분화능 중배엽 세포가 근육 아세포로 분화하여 최종적으로는 근관세포로 분화하게 되는 다단계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근육 아세포는 근관세포로 분화하는 최종분화 동안 매우 역동적인 변화를 겪게 되는데, 핵 내의 constitutive heterochromatin이 재배열되고 여러 개의 세포들이 뭉쳐져서 하나의 근관세포를 이루게 되어 핵 내와 세포 전체에 걸쳐서 매우 극적인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근육분화 관련 유전자들, MyoD, Myogenin, MyHC 와 같은 유전자들의 발현이 촉진 된다. 나는 이러한 역동적인 근육분화 과정에서 변화하는 long non-coding RNA를 찾기 위해 광범위한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고, 근육 분화 과정에서 변화하는 많은 long non-coding RNA들 가운데에서 분화 시에 증가하는 전사체들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화 시에 증가하는 전사체들에 대한 siRNA를 제작하여, 이들의 손실이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근육분화에 관여하며 근육조직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ChRO1이라는 새로운 long non-coding RNA를 발견하였다. ChRO1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더욱 촉진 시키는 실험을 한 결과, ChRO1은 근육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근육분화 동안 일어나는 heterochromatin의 재배열이 ChRO1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연구에서, 나는 근육분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long non-coding RNA인 ChRO1을 발견하였고, 이 RNA가 그동안 밝혀진 다른 long non-coding RNA들과는 다른 전혀 새로운 기전으로, 즉, heterochromatin 재배열을 조절함으로써 분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Many groups have studied non-coding RNAs which have no or low protein coding portential, and revealed their functions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Among the non-coding RNAs, the long noncoding RNA (lncRNA) which constitutes a class of transcripts with size longer than 200 nucleotides is rapidly becoming recognized as a key regulator of the gene expression program in dynamic cellular activities including embryonic stem cell(ESC) pluripotency, diseases such as cancer, and development. Recently, a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ncRNAs involved in myogenesis and reported that many lncRNA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muscle development. Myogenesis is a multistep process during which multipotent mesodermal cells give rise to myoblasts that eventually differentiate into myotubes. In particular, myoblasts experience dynamic events, for example,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reorganization and cell fusion. Many muscle genes such as MyoD, Myogenin, MyHC are up-regulated during myogenic differentiation. We performed a transcriptome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lncRNAs during murine myoblast differentiation. Among these differentially expressed lncRNAs, we focused on the increased lncRNAs and performed RNAi-mediated loss of function(LOF) experiments. In this effort, we found a novel long non-coding RNA, ChRO1 that displayed preferential expression in muscle tissues and was conserved in human. When ChRO1 was depleted, myogenesis was also impaired. In contrast, muscle differentiation was promoted in ChRO1 over-experssed myotubes. And we found that ChRO1 was associated with consitutive heterochromatin reorganization during myogenesis, in particular affected the localization of Suv420H2 and H4K20me3 and the DNA methylation level of pericentromeric region. In this study, I suggest the novel lncRNA associated with myogenesis and its novel mode of action involved in heterochromatin reorganization during muscle differentiation.

      • Naegleria gruberi 분화 과정 중 발현되는 profilin에 관한 연구

        문영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860

        Naegleria gruberi는 아메바에서 편모충으로 분화할 때 기저체, 편모 그리고 세포골격 미세소관이 새롭게 형성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는 actin filament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ctin polymerization 기작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인 profilin의 세포 내 발현 양상과 분포 위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Ng-profilin (Naegleria gruberi profilin) 단백질을 E. coli에서 대량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항체로 immunocytochemistry를 수행하였다.N. gruberi의 profilin은 약 13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2시간에 걸친 분화 기간 동안 소량의 profilin 단백질이 연속적으로 발현되었다. N. gruberi가 아메바 형태로 존재하는 분화 개시 0분에 약 50% 세포에서 Ng-profilin이 pseudopods로 추정되는 지역에 localization 되었고 pseudopods가 사라진 후에도 40~50%의 세포에서 여전히 특정 지역에 Ng-profilin이 집적 되었는데, 이 때 g-tubulin과 co-localization 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actin reorganization이 끝나고 편모가 신장되는 분화 시작 후 80분에 g-tubulin spot은 편모가 시작되는 기저체 반대편으로 이동하는데 반해 Ng-profilin spot은 기저체 부근에 남아 있다가 분화가 끝나는 120분까지 유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Ng-profilin 유전자를 이용하여 northern blotting을 수행한 결과 Ng-profilin mRNA의 발현양상은 Ng-profilin 단백질의 발현 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Ng-profilin mRNA의 축적도 Ng-profilin spot과 유사한 위치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N. gruberi 분화 기간 동안 profilin에 의한 actin reorganization은 N. gruberi의 분화 과정에서 지속적인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The amoeba-to-flagellate differentiation in Naegleria gruberi is accompanied with the de novo formation of basal bodies, flagella, and cytoskeletal microtubules and actin filament plays essential roles in this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pattern of profilin that associated with a mechanism of actin polymerization in N. gruberi, Ng-profilin has been over expressed in E. coli and an antiserum against Ng-profilin was used for immunocytochemistry in this study.The size of profilin in N. gruberi was approximately 13 kDa and a small amount of profilin was equally express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N. gruberi. After the initiation of differentiation, at 0 min, it appeared that Ng-profilin localized to the pseudopods of N. gruberi in about 50% of cells. After pseudopods disappeared, it was shown localized with Ng-profilin spot at specific site in about 40~50% of cells. Then, the region of concentrated Ng-profilin and g-tubulin was co-localized. Moreover, after actin reorganization was finished, when the flagella began to elongate, at 80 min, the concentrated g-tubulin was transloca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flagellated cells and disappeared. But, Ng-profilin spot was located near of the basal bodies to the termination of differentiation, at 120 min. Northern blot analysis with Ng-profilin genes showed that Ng-profilin mRNA and proteins were similarly expressed and localized at the specific site.This result suggested that actin reorganization that is controlled of profilin continuously plays important roles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N. gruberi.

      • 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overseas companies by types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조계권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858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이란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일련의 단계로 최소 두 단계 이상의 공정이 다른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각 단계별 상이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GVC는 국가 간 무역과 투자의 장벽이 낮아지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조정비용(Coordination Cost)이 절감됨에 따라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Enterprise)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면서 매우 빠르게 새로운 교역 질서로 자리를 잡았다. 199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확장된 GVC는 2008년 발생한 금융위기 이후 그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 신흥국 노임상승에 따른 차익거래(arbitrage) 이익의 감소, 교역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의 큰 폭 증가, 전 세계적인 보호주의 강화 추세, 공급망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원인으로 글로벌 가치사슬은 구조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한국은 다른 주요 산업국가에 비해서 매우 높은 GVC 참여율을 가지고 있어 가치사슬을 통해 증폭되어 전파되는 외부충격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GVC 재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가치사슬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참여에 따른 성과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해외 현지 진출기업 대상 기업 수준(firm-level)의 자료를 활용 한국 기업의 가치사슬 참여 생산 단계 및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현황, 현지 기업의 조달 방식과 모기업의 수출 형태, 다국적 기업과의 거래 여부 등 GVC 참여 형태에 따른 현지 진출기업의 성과를 패널분석과 PSM-DID 방법론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지기업 중 제3국 조달과 제3국 수출, 다국적 기업에의 납품, 그리고 부품 및 원재료의 생산 및 납품 등 가치사슬의 상류 부분에 참여하는 방식이 현지 진출기업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국적 기업과 거래 관계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서 매출액 및 현지직원 1인당 매출액에 있어서 정(+)의 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처음부터 성과가 좋은 기업이 다국적 기업과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선택편의(Sample selection bias)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효과 측정을 위해 PSM-DID 방법을 활용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국적 기업과 거래를 한 처치군의 매출 증가율은 납품 당해연도부터 높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차이는 계속 유지되었다. 특히 다국적 기업과 거래하는 중소기업만 별도로 분석한 결과 전 관측 시기에 걸쳐서 매출 증가율이 통제군에 비해 더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관련하여 한국 대기업과 대·중·소 동반 형태로 해외에 진출하여 한국 대기업에 납품하는 기업군과 다국적 기업과 거래하는 기업군의 성과를 비교하였는데 한국 대기업에만 납품한경우 진출기업의 성과에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한국 중소기업의 직접적인 GVC 참여 촉진과 재편되고 있는 GVC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KOTRA 등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해외 인프라를 활용하여 다국적 기업의 협력 수요 파악과 GVC 재편에 대한 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수집된 지역별 통상정보와 파악된 다국적 다른 기업의 협력 수요를 중소기업이 속해있는 협회나 조합을 통해서 전파하고, 해당 정보에 따라 다국적 기업과의 거래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 가치사슬 상류부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GVC 참여를 촉진하는 정책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기업 레벨의 미시적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 해외 진출기업의 다양한 GVC 참여 형태를 고려하였고 해외 현지기업 자료와 본국 모기업 자료를 통합하여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에 따른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점이 있다. Global Value Chain (GVC) is a series of stages of producing goods or services for sale to consumers,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stages are carried out in different countries and different added value is created at each stage. GVC has quickly become a new trade order, reorganizing its supply chain around 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 as barriers to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countries are lowered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duced coordination cost. GVC, which has expanded rapidly worldwide since 1990, has been changing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GVC is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decrease in arbitrage profits due to rising labor costs in emerging economies, an increasing ratio of services in trade, a global trend of strengthening protectionism, and a growing importance of supply chain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In this context, Korea has very high participation rate in GVC compared to other major industrial countries, so it is necessar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GVC reorganiz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the status of Korean firms participating in GVC and find out the performance of it.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firm-level data for Korea overseas companies from 2014 to 2020 surveyed by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the value chain participation production stages of Korean firms,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the type of local procurement, parent firms’ exports type and the transaction with MNEs were analyzed through panel analysis and PSM-DID methodology. As a result, third-country export and procurement, transaction with MNEs and participating in the upstream part of value chain, such as components and raw materials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on the performance of local firms. Also, firms that had business relationship with MN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on sales and sales per local employee compared to those that did not. However, further analysis using the PSM-DID methodology was additionally carried out to avoid the sample selection bia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ales growth rate of business group that had a business with MNEs was higher from the start year of transaction and the gap continued over tim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ales growth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dealing with MN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ver the observation period. In addtion, I analyzed the performance of companies that entered overseas market with Korean large companies in the form of Joint Overseas Expansion.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erformance of the group that had transactions only with Korean Large Firms. In order to support Korean SMEs’ direct participation in GVC and respond to the reorganization of GVC,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emand for global sourcing of MNEs and collect information on GVC reorganization by utilizing Korea’s overseas infrastructure such as KOTRA’s Korea Trade Center. It could be effective to have a system that identifies information of trade environment in each market, global sourcing demand of MNEs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SMEs in a timely manner.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it considered various types of GVC participation based on firm-level data of Korean overseas compani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GVC participation by integrating data from overseas local companies and their parent firms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