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國內 企業의 QFD 利用 實態와 活用 方案에 관한 硏究

        송일경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QFD를 활용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QFD의 효용성과를 발견하고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대 경영의 특징 중 하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고객의 입장에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고객만족 경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고객만족을 이루기 위해서는 고객이 기대하는 제품 혹은 서비스의 가치에 비해 그 이상으로 충족시켜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이 고객만족 전략 수립시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하다. 이러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경영 프로세스 개선 및 실행방안 수립시 반영할 수 있는 기법 중 하나가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 품질기능전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QFD의 도입배경, 의의 및 목적을 우선 살펴보고, QFD를 활용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이용실태를 제조업과 서비스업 분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그 활용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QFD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신제품의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부터 고객의 요구를 반영함과 동시에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기 계획단계에서는 응답자의 요구된 품질로 범주를 정하기 어렵고, 고객요구와 품질특성 사이의 상호관계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단 프로젝트가 진행되면 방향을 바꾸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QFD를 적용하면 설계변경 횟수 감소, 생산준비 및 개시비용 절감, 제품개발기간 단축, 부서간 협조와 팀워크 향상, 하자발생 감소 및 품질보증비용 감소, 고객만족 증진 등의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에서도 QFD를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근래까지 제조업체 위주로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서비스업체에도 QFD를 활용하고 있음을 연구 과정에서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제조업체의 분야로는 제화업, 온도조절장치 개발업체, 금형업, 휴대폰 제조업 등이 있으며, 서비스 분야로는 금융기관, 항공서비스, 사이버몰, 도서관, 커리큘럼 개발 등이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의 사례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요구를 조사하여 설계단계부터 적용함으로써 품질의 향상, 개발기간의 단축 등을 이룰 수 있었다. 둘째, 초기부터 고객의 요구를 조사하여 적용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셋째, 타사 제품과의 비교를 통하여 자사 제품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것이 각 사례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장점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QFD가 제품설계의 초기 단계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정확한 입력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점 때문에 제품설계의 입력정보에 ‘불확실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력정보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이로 인한 결과값이 변동성을 파악하고, 이를 우선순위 평가에 활용하는 새로운 QFD 분석 체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QFD를 이용한 고객 중심적 관광 웹 사이트 설계

        김식 水原大學校 호텔觀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o develop and design customer-centric tourism web sites. The method is based on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QFD) and by considering pre-visitors' priority requirements, strategies by the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s (KNTO) global market e-positioning and elements used to design tourism web sites. The proposed QFD process and the three proposed customer-centric tourism web site frameworks are to be applied to restructure the Tour2Korea.com web site and Tour Hub Network of Korea in 2005 for marketing in the three major overseas markets-America/EU, China/South-East Asia, and Japan.

      • 분산환경에서의 CBD기반 품질기능전개 지원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윤석동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QFD는 신제품 개념정립, 설계, 부품계획, 공정계획, 그리고 생산계획과 판매까지 모든 단계를 통해 고객의 요구가 최종 제품과 서비스에 충실히 반영 되도록 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또한 QFD는 팀을 이루어 노력하는 복잡한 활동이다. QFD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으로 팀원들이 같은 시간과 같은 장소에 있지 않으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은 이러한 QFD의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보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분산환경에서의 CBD기반의 QFD지원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정보 활용의 용이성, 작업의 동시성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산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은 Visual Studio .NET을 이용하였으며 분산환경은 Microsoft COM+ 기술을 이용하였다. QFD is a team tool. However, most of computerized QFD system are standalone and therefore offer limited support for teamwork. In this thesis we developed a distributed QFD application. The goal of this application is to exchange information among QFD team members, with this distributed QFD applications we can realize a collaborative environment that allows a group of users to collaborate from their desktops as effectively as if they were face-to-face. This application was developed by using Visual studio NET and Microsoft COM+ technique.

      • QFD 기법을 이용한 병원 위탁급식 운영평가 및 전략 수립

        박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환자식을 위탁운영 중인 병원(서울시에 소재한 S 대학교 부속 어린이 전문병원: 이하 「A 병원」이라 칭함) 급식소를 대상으로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기법을 이용해 병원 위탁급식 품질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A 병원」의 위탁 급식운영 부문이 치열한 의료환경 속에서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품질평가도구와 현장조사를 통해 「A 병원」급식소의 내·외부 환경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품질평가도구는 병원 위탁급식 품질평가를 위해 개발된 도구이며, 이를 통해 「A 병원」급식소와 서울·경인지역의 급식위탁병원 급식소간의 비교·분석이 가능하였으며, 현장조사에 의한 분석을 통해서 「A 병원」급식소의 급식 운영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급식운영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BSC(Balanced Scorecard)의 네 가지 관점(Financial perspectives, Customer perspectives, Internal process perspective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을 인용하여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전략들에 대해서는 QFD 기법으로 전략도입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였고, 궁극적으로는 「A 병원」급식소의 장·단기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 및 과정’ 부문의 품질평가도구로 「A 병원」급식소와 서울·경인지역 급식위탁병원 급식소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체로 「A 병원」급식소의 점수가 높았으나, ‘저장 관리’, ‘배식 관리’, ‘시설·설비의 점검’, ‘위생 관리’, ‘시설·설비의 위생’, ‘조리기기 및 기구 위생’에서는 타병원 급식소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성과’ 부문의 품질평가도구로 평가한 결과, ‘고객 만족도’와 ‘종업원 만족도’의 경우 전반적으로 「A 병원」 점수가 타병원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적 수익성’은 「A 병원」 급식위탁 운영을 통하여 적자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A 병원」급식소의 현장조사 결과, ‘메뉴관리 시스템’, ‘선택식 비율’, ‘구매 및 저장업무 흐름’, ‘식재료 자원의 적정성’, ‘생산성’, ‘위생 평가’, ‘미생물검사’, ‘인력구성’, ‘이직율’, ‘급식시스템의 연결 과정’, ‘영양가 분석’, ‘1인 1회 분량 및 잔반율’, ‘원가 분석’ 항목을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었으며, ‘적온 급식’, ‘배식 시간의 일관성’, ‘기기보유 현황’, ‘수요 예측’에 있어서는 다소 수행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요구되었다. 넷째, 품질평가도구와 현장 조사에 의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A 병원」급식소 내부 환경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고, 외부 환경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 병원」 급식 부문의 강점을 극대화 하면서 외부의 기회를 살릴 수 있는 전략, 약점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살릴 수 있는 전략, 내부의 강점을 극대화하여 외부적 위협을 회피할 수 있는 전략, 내부적 약점을 최소화하고 외부적 위협을 피할 수 있는 전략을 분석한 결과 모두 20개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A 병원」급식소의 고객 요구(WHAT)에 대한 중요도와 개선비를 모두 고려한 값으로 우선 순위를 구하여 열거하면, ‘시설·설비의 점검’, ‘위생 관리’, ‘조리기기 및 기구 위생’, ‘식재료의 위생’, ‘시설·설비의 위생’, ‘식단 계획 및 관리’, ‘저장 관리’, ‘배식 관리’, ‘생산관리’, ‘개인 위생’, ‘재무 및 원가 관리’, ‘시설·설비의 적절성’, ‘리더십’, ‘표준 레시피’, ‘조직’, ‘계획’, ‘인적자원관리’, ‘위생 교육’, ‘품질 경영’, ‘식기 세정 위생’, ‘구매 관리’, ‘안전 관리’, ‘잔반 및 잔식 처리’, ‘식사처방 지침’, ‘정보 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객 요구(WHAT)의 우선순위와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전략일수록 「A 병원」급식소가 우선적으로 도입하여 실행에 옮겨야 할 전략이 되는데, 이는 ‘어린이 급식운영의 전문성 확보’, ‘병원급식 운영기준 확립을 통한 과학적 급식운영관리’, ‘위생관리 체계를 활용한 급식의 위생적 품질 확보’, ‘급식소 시설·설비 remodeling’, ‘새로운 기기의 도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전략 중 ‘새로운 기기의 도입’이나 ‘급식소 시설·설비의 remodeling'은 ’품질평가도구‘와 ’현장조사‘에 의한 분석에서 모두 지적되었던 부분으로 「A 병원」급식소의 구조(Structure)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전략들로 판단되었다. 즉,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A 병원」급식소가 급식운영을 잘 수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A 병원」급식소의 시스템이 잘 운영되도록 지원하는 조리기기·기구 및 시설·설비와 같은 구조(Structure) 역시 중요하다. 「A 병원」급식소가 QFD에 의해 제안된 전략들을 우선 순위대로 도입하여 실행에 옮긴다면 고객의 요구를 가장 많이 반영한 전략을 도입하는 결과가 되며, 이를 통하여 고객을 만족시키며 궁극적으로는 「A 병원」에 높은 수익을 창출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사료된다. At present, health care industries throughout the world are struggling with the challenges to set up financial structure as cost-effective ways and means to satisfy the customer needs and wants for health care services. A lot of hospitals consign foodservice management to the foodservice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business. This study applied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methodology to one hospital(which will be shown as 「A hospital」 below) managed by a contract foodservice company with the formulation of strategic planning in order to lead th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irst of all, this study scanne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A hospital」to gain an advantage over keen competitions by means of a Quality Measurement Tool and a fieldwork study. With the result of environmental scanning, this study elicited 20 strategies through SWOT analysis, which were categorized by 4 perspectives such as 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Finally, the priorities of 20 strategies were extracted from QFD methodology. The concise resul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In consequence of a ‘Structure and process’ Quality Measurement Tool, almost all the scores of 「A hospital」foodserv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act-managed hospital foodservice in Seoul, Inchon, Kyong-ki area except for ‘Storage’, ‘Distribution’, ‘Examination of facilities’, ‘General sanitation’, ‘Facilities sanitation’, ‘Equipment sanitation’. In a ‘Outcome’ Quality Measurement Tool, the scores of ‘Customer satisfaction’, ‘Employee satisfaction’ of 「A hospital」foodserv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hospital foodservice. Even ‘Financial advantage’ of 「A hospital」foodservice had been improved due to the contract management. Through the fieldwork study, 「A hospital」foodservice performed ‘Menu system’, ‘Selective meals’, ‘Flow of procurement and storage’, ‘Adequacy of ingredient resource’, ‘Productivity’, ‘Sanitary examination’, ‘Microbial inspection’, ‘Human resource’, ‘Turnover’,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Nutritional value’, ‘Serving size and food waste’, ‘Cost analysis’ moderately. However, ‘Appropriate temperature of meals’, ‘Consistency of meal distribution’, ‘Possession of sufficient equipment’, ‘Demand forecast’ were performed inappropriately. The priorities of ‘Customer needs’ which considered importance and improvement ratio were ‘Examination of facilities’, ‘General sanitation’, ‘Equipment sanitation’, ‘Food sanitation’, ‘facilities sanitation’, ‘Menu planning and operation’, ‘Storage’, ‘Distribution’, ‘Production’, ‘Personal sanitation’.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strategies to reflect customer needs which 「A hospital」 foodservice had to introduce and implement wer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hospital foodservice’, ‘Scientific foodservice management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foodservice operation’, ‘Maintaining sanitary quality through sanitary system’, ‘Remodeling facilities’, ‘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in order. To satisfy customer needs, it was important for 「A hospital」 not only to operate foodservice excellently but also to support fine equipment and facilities as a basic structure which was able to operate foodservice system well. Finally, if 「A hospital」 foodservice introduces the strategies found out through QFD in priority order, it will improve hospital foodservice quality continuously. And the progress of foodservice management by implementing suggested strategies will result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will benefit hospital in the end.

      • QFD/AHP를 이용한 Heavy Lifting 서비스 업체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박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AHP hierarchy structure design such as factor analysis and mapping or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MR),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and Axiomatic Design(AD). Among them,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MR) methods are conducted to base on limited factors. So it has possibility to change the decision matter according to advanced research and examination size. On the other h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and Axiomatic Design(AD) have a choice the sub-level reatively depend on the matter’s purpose. AHP hierarchy structure design through these kinds of methods can give you the wrong result if it is not designed correctly. Therefore AHP hierarchy structure design is very important in decision making and it also needs the correct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matter’s characteristic. Especially there has been no explicit procedure or methodology on the structure-designing method using QFD, which urged this research into trying to suggest more procedural and concrete method on AHP hierarchy structure designing by using QFD. Also, this study tries to define each area of House of Quality for AHP hierarchy structure designing, and used QFD in a way of Bottom-up style, which categorizes each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sub-levels, rather than Top-down style of QFD, which is simply responding to the demands. To do this, this study applied the case of selecting Heavy Lifting business for the Plat-business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companies. First, I tried to derive several index for evaluation b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ing experts, and used QFD to test its relevance and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and then appli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weights on indices and objectively confirmed the evaluating indice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evaluating index-factors to be considered in selecting Heavy Lifting service provider, and trie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choosing Heavy Lifting business by deriving the important evaluation indices from the weights of the factors. Also, to satisfy the principles of utilizing AHP method(MECE), which claims that we need all non-repetitive parts. And by improving the existing QFD into one step further, I conducted the independence test or relevance test in factors, to show the independence between sub-factors, and on the basis of those independent factors, I tried to derive the common factors using KJ method. The AHP hierarchy structure was completed on that basis. Also, by finding other factor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regulation or standards, and interviews, which might help establish AHP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basis of Bottom-Up QFD.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QFD-objectivity test first, and conducted designing of AHP later, rather than following the old way which designs AHP hierarchy system first and confirms the objectivity by using QFD. AHP 기법의 계층구조설계 방법에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기존연구로부터 공통 속성 도출 및 사상(mapping),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SMR), 공리적 설계(Axiomatic Design),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등에 의한 방법 적용이 있다. 제시된 방법 중 요인분석과 SMR에 의한 방법들은 유한개의 요소를 바탕으로 수행되므로 선행연구와 검토 규모에 따라 의사결정 문제가 변경될 수 있다. 반면, QFD와 공리적 설계는 문제의 목적에 따라 이를 충족할 수 있는 하위 평가요소를 창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한 AHP 계층구조설계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의사결정에서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AHP 계층구조설계는 중요한 부분이며 문제 특성에 따라 각각 적합한 계층구조설계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AHP 계층구조설계 방법 중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QFD는 요구사항의 도출과 도출된 요구사항과 설계속성(특성)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나 아직은 이에 대한 방법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고 QFD를 이용한구조설계 기법은 절차와 방법론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QFD를 이용한 AHP 계층구조설계 방법을 절차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AHP 계층구조 설계를 위한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의 각 영역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요구사항을 기초로 계층을 설계하는 기존의 Top-Down 방식으로 QFD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하위 계층을 중심으로 공통 특성에 의한 분류를 통하여 상위계층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인 Bottom-up 방식으로 새롭게 QFD를 이용하고자 한다. 이에 공사 수행업체인 EPC 건설업체 측면에서 수행하는 플랜트 사업 프로젝트에 맞는 Heavy Lifting 서비스 업체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규정, 기존 문헌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평가지표 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연관성 및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검증방법으로 QFD를 이용하고, 계층분석기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평가 및 분석을 통하여 설문 결과를 도출하여 평가지표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Heavy Lifting 분야 업체 선정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평가지표 요소를 제시하고, 평가지표 요소들 간의 가중치를 통해 중요한 평가지표 요소를 도출하여 Heavy Lifting 업체 선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복되지 않고 모든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는 AHP기법 활용 원칙(MECE)에 만족하기 위하여 기존의 품질기능전개(QFD)를 한 단계 발전시켜 단계별로 평가요소들 간의 독립성 검증 및 연관성 검증을 시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하위요소들 간의 독립성을 보여주고 독립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KJ기법을 이용하여 공통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 계층구조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기존 문헌, 규정/기준, 인터뷰를 기반으로 요소를 도출하여 현장 적용성이 높은 Bottom-Up 방식에 기반한 QFD를 이용한 AHP 계층구조 설계를 제시하고, 기존의 방식인 AHP 계층구조를 먼저 설계하고 QFD로 객관성을 검증하는 것이 아닌, 최초로 QFD를 이용하여 객관성을 검증하고, AHP를 설계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QFD기법을 활용한 건설공사 주요 설계품질저하원인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곽청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 건설 공사에서 설계품질 저하는 설계변경 등을 유발시켜 공기지연, 원가상승, 재시공으로 인한 시공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에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설계품질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설계품질은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설계품질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나아가 건축물 용도별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공자 관점에서 주요 설계품질저하요소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QFD 기법을 적용한 연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이를 통한 건축물 용도별 설계품질 저하 주요 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The decrease of the design quality has given rise to delaying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increase, decline of construction quality from rework in domestic construction.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resolve this problem, the issue of design quality has still remained. 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quality, this research develops the research process using QFD method to discover main design errors and causes from the contractor’s perspective, as well as comparison analysis of the major factors for weakening design quality from various building usage.

      • 공정활동 개선을 위한 S/N비 적용 QFD 수행기법의 개발

        朴宰賢 명지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806

        품질기능전개 (QFD ; Quality Function Deployment)가 소개되어 보급될 때 품질관리뿐 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각광을 받아왔고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초기 QFD는 고객의 소리에 집중하여 설계 단계에서부터 제품에 대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킨다는 의미였지만 품질기능전개 수행의 품질 주택(HOQ House of Quality)의 구성에 있어 정상적이고 주관적인 데이터 값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Wasserman은 HOQ의 지붕 매트릭스에 상관관계 가중치를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이 가중치 또한 주관적인 가중치로서 얻어진 데이터 값으로 객관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에 미흡했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해 Partovi가 제시한 방법으로 공정과 품질 특성의 HOQ 전개를 수행하고, 각 HOQ의 관계 매트릭스의 데이터 값은 주관적 선호도에 대하여 일관성을 부가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채택하였다. AHP 수행에 있어 데이터 값의 일관성은 Saaty가 제시한 방법인 일과성 지수가 0.1 이하일 때를 가정하였으며 이 가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선호도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그 가중치 값을 결정하였고, 또한 Wasserman이 제시한 상관관계 값에 대한 계산식으로 추가적인 가중치를 결정하여 W-QFD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Wasserman이 제시한 가중치 값에 대한 일관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다꾸찌의 강건설계를 이용하여 지붕 매트릭스에 해당하는 가중치 값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데이터 값은 HOQ의 상관관계 매트릭스의 가중치 값으로 하여 S/N-QFD의 관계 매트릭스에 행렬을 곱하여 새로운 가중치를 얻게 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는 W-QFD와 비교하였고 논문의 전개 과정에서의 품질 및 공정특성치 간의 상호 관계 및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 업체의 대표 품종에 관한 공정과 품질 특성을 예로서 수행하였고 분석은 독일 공업표준 DIN 70 907에서 인용한 품질 특성치 검사 기준과 그 업체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여 보다 일관성있고 객관성있는 QFD 수행 방법을 제시하였다.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has occupied great attention of not only quality management field but also other engineering fields since it was introduced first, and many people are still studying it actively. The original concept of QFD is focused only on 'the voice of customers', which means that the needs of customers should be satisfied from the design stage of products. However, some problems were found in using subjective and qualitative data when constructing HOQ(House of Quality). To solve the problems, Wasserman presented a methodology to consider correlation weights on the top matrix of HOQ, but the weighs are also subjective data and can not guarantee consistency and objectivity. In this thesis, the Partovi's HOQ model is used to deploy quality and process characteristics, and to add consistencies to subjective preferences,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applied to decide the relationship matrix data of HOQ. In processing AHP, the Satty's consistency rate is used, which the weights of preference rates are acceptable if the consistency rate is below 0.1. In order to support the consistency rate, a program which can calculate the AHP weights sensitively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variations is developed. Also, W-QFD is performed by deciding additional weights with the Wasserman's method for the HOQ top matrix. Since the Wasserman's weights are randomly determined under subjective conditions, this research applies the Taguchi's robust design method as another method for obtaining the HOQ top matrix weights. With the new weights, S/N-QFD is deployed, and the result of S/N-QFD is compared with W-QFD. As an application example, with real process and quality data of a representative product of a company, the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inally, this thesis presents a new QFD processing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weights with more consistent and objective data.

      •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도시 서비스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Kano-QFD 접근법을 활용한 강릉시 사례를 중심으로

        권순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6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2020년대에 들어 전세계적인 탄소중립 방향성, 한국판 뉴딜정책, 국가발전의 축을 지역중심으로 전화하는 지역뉴딜정책 등으로 시민체감형 스마트 도시 사업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강릉시의 경우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2021-2022),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사업(2020-2026), 스마트그린 도시 조성사업(2021-2022) 등 다양한 지역 맞춤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다양하고 다각적인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발굴부터 실행까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이자 안정적인 법정계획이 바로 스마트도시 기본계획이다. 2020년 12월 강릉시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개년에 대한 강릉시 스마트도시 기본계획을 수립 공표하여 지역특성에 적합한 지속가능한 실행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한 서비스 및 시스템 투입 등의 실행전략에 대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서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수혜자의 기대 정도를 명확히 하고, 서비스 설계에 반영하는 등의 정량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이용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하여, 시민 중심의 서비스 품질 인식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기술적 구현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평가 모형을 개발한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수혜자 설문설계, Kano 모형 분석, QFD 모형의 적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본 연구의 핵심내용은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서비스 설계에 있어 이용자와 전문가 의견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Kano와 QFD 통합모형의 실증 사례로 강릉시 스마트 도시계획의 35개 서비스와 기술 구성을 대상으로 서비스 및 기술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1단계로 서비스별 선호 수준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Kano 모형의 카테고리 분류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강릉시와 강릉시를 방문한 적이 있는 국내 시민을 대상으로 438명이 수집되었고 응답의 일관성이 높은 270명의 설문을 사용하여 이용자 요구사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단계로, 이렇게 도출된 서비스별 고객 요구사항의 수준에 대하여 QFD의 품질의 집 모델링을 위한 기술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들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QFD는 제품 생산 및 기술, 그리고 서비스 개선과정의 각 단계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설계특성으로 전환시키는 고객 지향적 품질경영 툴이다.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구현상 활용이 되는 주요 기술 특성의 경우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최근 기술구현 사례를 기반으로 24개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후 고객요구와 기술특성과의 관련성 점수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기술전문가 20명에 대하여 설문 형태로 조사하였다. 이후 최종 9점 척도를 만점으로 두고 관련성 점수를 재환산하였다. 기술특성간의 상호관계는 기술특성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상관관계 행렬을 도출하여 품질의 집을 완성하였다. 마지막 3단계로 Kano 모형과 QFD의 모형의 통합을 위한 상대적 가중치 및 변수 수정작업을 실시하여 개별 기술특성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 즉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통합 모형의 경우 Kano 카테고리 분류에 따른 카노(k)을 당연적 품질은 0.5, 일원적 품질은 1, 매력적 품질은 2를 사용하였고, 무관심 품질은 계산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초기요구사항비율을 조정하여 개선된 중요도 값을 추정하였다. 이후 최종 Kano 모형을 고려한 기술적 특성의 중요도을 구하고 기술적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Kano와 QFD 통합모형으로 도출된 이용자 중심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전기 및 수소차 충전시스템, 여성안심귀가서비스, 스마트 안전 버스쉘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술적 우선순위 결과로 무선통신인프라, 도시 데이터 연계, 스마트폰 앱, 빅데이터 처리 및 상시 모니터링 관제 기술이 매우 중요한 기술요소로 나타났다. 통합모형으로 이용자 서비스 우선순위를 고려한 기술적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이용자와 전문가 의견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Kano와 QFD 통합모형의 실증을 통해 이용자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기존 방식의 강릉시 스마트도시 서비스 우선순위와의 큰 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성공을 위하여, 시민 중심의 서비스 품질 인식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기술적 구현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평가 모형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모형으로 판단된다. “Smart city” refers to a sustainable city that provides various urban services based on urban infrastructure built by convergenc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tc. in order to improve the city's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life. Entering the 2020s, the citizen-sensible smart city project is continuously spreading in Korea due to the global carbon neutrality direc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policy, and the regional New Deal policy that shifts the axis of national development to the region. As part of this trend, in the case of Gangneung City, various smart city creation projects tailored to the region, such as the smart city challenge project (2021-2022),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construction project (2020-2026), and smart green city development project (2021-2022) this is being promoted. The smart city basic plan is the minimum and stable statutory plan that local governments can carry out from the discovery of various and diversified smart city services to the implementation. In December 2020, Gangneung City established and announced the Gangneung City Smart City Basic Plan for 5 years from 2021 to 2025, and presented a sustainable implementation roadmap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Priorities were selected based on expert opinions on implementation strategies such as service and system input to achieve the goal. For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smart city services involving citizens, a quantitative and logical method is required, such as clarifying the expectations of service beneficiaries and reflecting them in service design. This study reflects the opinions of service users and develops an evaluation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present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priorit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itizen-centered service quality awarenes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smart city services. The study consists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designing beneficiary questionnaires, analyzing the Kano model, and applying the QFD model. Among them, the core content of this study is a demonstration case of Kano and QFD integrated model that can consider user and expert opinions at the same time in designing smart city service with citizen participation. to derive priorities. Briefly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in the first step,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category classification of the Kano model in order to quantify the level of preference for each service. For the target, 438 people were collected from Gangneung-si and domestic citizens who had visited Gangneung-si, and user requirements were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of 270 people with high response consistency. In the second step, technical characteristics for the quality house modeling of QFD were derived for the level of customer requirements for each service derived in this way, and their relationship was analyzed. QFD is a customer-oriented quality management tool that converts customer requirements into design characteristics at each stage of the process of product production, technology, and service improvement. In the case of the main technology characteristics that are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services, 24 items were set based on recent technology implementation cases based on the basic plan. Then, in order to quantify the sco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demand and technology characteristics, 20 technology experts were surveyed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Afterwards, the relevance score was recalculated with the final 9-point scale as the full score. As for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characteristics, the quality house was completed by deriving a correlation matrix that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characteristics. Finally, in the third step, relative weights and variables for the integration of the Kano model and the QFD model were modified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that is, the priority, for each technology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model, Kano (k) according to the Kano category classification was used as 0.5 for natural quality, 1 for unitary quality, and 2 for attractive quality, and indifferent quality was not calculated. Through this, the improved importance value was estimated by adjusting the initial requirement ratio. Afterwards, the importance of technic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final Kano model was calculated and technical priorities were presented. Looking at the user-centered priorities derived from the Kano and QFD integrated models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electric and hydrogen vehicle charging systems, women's safe return service, and smart safety bus shelters were ranked high in the order.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priorities,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ity data linkage, smartphone apps, big data processing, and constant monitoring and control technology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technology elements. With the integrated model, it is possible to clearly identify technological priorities considering user service prior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the demonstration of the integrated model of Kano and QFD, which can consider user and expert opinions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Gangneung-si smart city service priority in which user opinions are not reflected. For the success of smart city services in the future, it is judged to be a model tha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n evaluation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present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priorit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itizen-centered service quality awareness.

      •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디자인속성에 관한 연구 : QFD(품질기능전개)이론을 중심으로

        최유미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6

        경제성장에 따른 주거공간 부족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도심형 주거공간은 고객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단순한 주거공간에서 감성적 가치를 제공하는 공간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기업들은 감성적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실내 공간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제품 회전율이 빠르고 트렌드에 민감한 서피스패턴디자인에 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선행 연구 고찰 결과 최근 실내 인테리어와 실내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다양한 디자인 요인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서피스패턴디자인의 디자인속성에 대한 개념 정립이나 고객의 요구사항 적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형 주거공간에 적용되는 서피스패턴디자인의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QFD를 적용한 포괄적인 실증적 연구로 서피스패턴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고객이 고려하는 고객요구속성을 알아봄으로써, 그에 따른 디자인속성을 도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디자인속성 분석 데이터를 제시하여 최근 불황을 겪고 있는 인테리어 및 서피스패턴디자인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및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개념과 현황을 고찰하였고, QFD이론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또한 웹 서베이(Web Survey)를 이용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정량적 연구 및 전문가를 활용한 QFD 분석 기법으로 고객요구속성과 디자인속성의 관계 및 디자인속성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QFD 모형을 제시하고 실무자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범위로는 현재 도심형 주거공간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서울, 경기 지역으로 한정 짓고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로 유형을 제한하였다. 또한 최근 1년간 서피스패턴디자인 관련 제품인 커튼, 벽지, 가구의 구매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고객요구속성을 알아봄으로써 디자인속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이론적 배경 고찰 결과 도심형 주거공간은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며, 도심형 주거공간에 적용되는 서피스패턴디자인은 컬러와 모티프, 구성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속성의 조합 방식에 따라 용도에 맞는 다채로운 서피스패턴디자인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사례로 아파트는 공간과 잘 어울리고 편안한 디자인, 주상복합은 현대적이고 모던한 디자인이 나타났으며, 오피스텔에서는 세련되고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그 범위가 확장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QFD를 활용하여 고객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속성을 체계화할 경우 상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명확한 품질의 디자인 제품 개발 및 프로세스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디자인속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고객요구속성을 반영하여 디자인개선요소를 도출시킨 결과 고객들은 답답한 도심지 주거공간으로 인한 물리적 단점을 보완해주기를 기대하고, 이로써 심리적 만족을 얻고자 하므로 무엇보다도 조화롭고 편안한 이미지의 디자인 기획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은 심플하고 단순한 이미지의 디자인을 주로 생산하였으나, 공간과 잘 어울리고 편안한 느낌을 주면서도 더욱 컬러매치가 좋고 스타일이 좋은 이미지의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컬러, 모티프의 선택과 패턴 구성에서 변화가 필요하며,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디자인속성들을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QFD 방법론을 중심으로 고객요구속성을 반영한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의 디자인속성을 도출한 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중요한 속성은 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티프나 패턴 구성도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이나, 특히 컬러에서 나타나는 이미지가 제품의 가격, 이미지, 판매 대상을 바꿀 수 있고, 고객의 니즈를 세분화한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컬러 선택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관련 업계 실무자의 평가를 통해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에 대한 QFD의 적용 절차 및 효용성을 평가한 결과 QFD 적용 시 경쟁력 확보와 고객만족 품질경영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QFD를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디자인속성을 도출해 냄으로써 고객 요구에 따른 디자인속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향후 기업에서 도심형 주거공간 서피스패턴디자인을 기획하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시간 단축과 그로 인한 생산비용 절감 등의 효용성이 예측되었다. 도심형 주거공간의 서피스패턴디자인 개발 시 다양화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 기준과 효율적 프로세스를 연구하여야 하며 그러한 도구의 일환으로 QFD를 적용한 결과, 고객 요구가 반영된 디자인속성을 분석, 검증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QFD 매트릭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 활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경제적 효율성과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소재 개발 및 제품 기획과 생산까지 적용시킬 수 있는 총체적 연구가 기대되며, 다양한 적용 대상과 구체적 제품 품목별로 확대된 연구로 발전되어 관련 산업의 저변 확대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urban housing space introduced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is required to play a role of space to provide the emotional value in a simple housing space while the needs of clients are getting more diverse. Businesses are expanding investment in the interior space design as a means to convey the emotional value, the interest on the surface pattern design with faster product turnover and sensitive to trends is emerging. As a result of reviewing on previous researches various design factors are recently emerging while studies continue to be made for interior design and interior design coordination, but studies on the conception of the design attributes of surface design or application of customer requirement are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is the comprehensive empirical study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applied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surface pattern design applicable to the urban housing space, which is designed to derive the design attributes and to analyze its importance of defining the concept of surface pattern design and to understanding the customer required attributes taken into account by the customer.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be of help in raising the competitiveness of interior design and surface pattern design industry recently suffering from the recession by presenting the analysis data on design attributes reflected with needs of customer.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and status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were considere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QFD theory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requirement attributes and design attributes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attributes were analyzed with the quantitative studies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QFD analytical technique utilizing experts by conducting a survey using a web survey.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as evaluated by presenting QFD model and conducting the practitioner's evaluation. The study range was limited to Seoul & Gyeonggi-do area currently holding the most urban housing space, whose types were limited to apartments, commercial complex, and officetels. Additionally the empirical study of design attributes was made by examining the customer required attributes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through conduction of the survey for adult men and women with experience of buying surface pattern design-related products, such as curtains, wallpaper, furniture during the past year. As a result of reviewing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 urban housing space has been developed into forms of apartments, commercial complex, and officetels, it could be found that for the surface pattern design applicable to the urban housing space it is possible to develop colorful surface pattern designs which can fit your need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manner of the design attributes made of color, motif, and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as the apartments were shown to be a nice place in harmony with space with cozy design, commercial complex to be of modern design, and officetels to be of sophisticated & stylish design, the range could be found to tend to be extended. Besides, when you organize the design attributes that reflect customer needs by leveraging QFD, it could be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design product with clear quality and to build up process from the initial step of product development.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s from design attributes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riving design improvement factors reflecting the customer required attributes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as customers now expect to complement the physical disadvantages caused by the tight urban housing space, and from which want to ge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it could be found that the design planning with harmonious and comfortable image is required above all. The existing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was mainly creating a simple image design, changes in selection of color, motif and pattern configuration are required so that good-imaged products with not only harmony with space and comfortable feeling but also more better color-matched and good style can be created, the design attributes that need to be improved first were judged to be considered. Second, as a result of deriving design attributes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reflected with customer required attributes around QFD methodology the important attribute to be considered by the highest priority was shown to be the color. The motifs or pattern configurations are important factors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in particular the image appearing in the color can change the product price, images, the sales target, for customer needs segmented design development the color selection could b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ir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QFD application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the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through the evaluation by practitioners in related industry the competitiveness secured and customer satisfied quality management were shown to be available in the application of QF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design attributes caused by customer needs in detail by deriving the design attributes reflected with customer requirements through the analysis using QFD, the utility such as time reduction and cost savings were predict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 producing the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in the companies in the future. In order to meet the diverse customer needs in the development of urban housing space surface pattern design the systematic standards and efficient process should be studie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QFD as part of such tools, the design attributes reflected with customer needs could be analyzed, verified and presented. QFD matrix present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veloped & utilized in different manners, its economic efficiency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re deemed to be able to be secured. In the follow-up studies based on this study the overall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materials development and product planning and production is expected, which is hoped to contribute to expanded base and raised the competitiveness of related industry through researches expanded to different application targets and specific product items.

      • Kano-QFD 기반 기술창업기업 도약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 타당성 연구 : 학습전이의도 모델을 중심으로

        황보윤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paper is brought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eneralized Framework for startups’ scale-up via Kano based QFD, which has been mainly used for each industry. In this research, a model of learning transfer intention is introduced and investigated for verifying the feasibility of the integrated Kano QFD program for new technology based firms. The purpose of the Kano QFD program for new technology based firms is for technology startups more than 3 years to be trained to achieve more than 5 times the current sales through the training process. The goal of this is to plan and disseminat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are practically useful for increasing sales and profits of technology enterprises more than 3 yea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bove program, 860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more than 3 years are researched the learning transfer after the completion of Kano QF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nd the research model is constructed and the research hypotheses are empirically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learner readiness and the perceived content validity, the learner's self-efficacy is set as a meditating parameter, and the learning transfer intention i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learner readiness do not directly influence the learning transfer intention.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complete meditating occurs with the self-efficacy factor. That 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elf-efficacy is incr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transfer intention i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learner’s degree of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level show that, unlike the CEO, in the case of an employee who is not the CE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do not 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readiness and transfer intention and also don’t act between the perceived content validity and the transfer inten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content validity affects the direc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imultaneously with the partial meditating effect through the self-efficacy factor. In the verifying moderating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learner on the coach, the comparison between the unconstrained model and the constrained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of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in the process of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of the satisfaction of learner on the coach a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860 samples for 3 years. The main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is that the number of samples with 173 of the satisfaction of learner on the coach does not provide an adequate test statistic. The first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s that the Kano QFD program designed for new technology based firms is an effective program as a solution to the increasing growth and profit of technology startups and it is empirically clarified. In other words, it is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is Kano QFD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comprehensively raises the transfer intention of the CEOs and employees of new technology based firms regardless of industry. The significance of these empirical investigations is that Kano QFD can be applied to the new technology based firm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industry, while QFD have been applied to individual industries,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or to apply only to companies with sufficient QFD-related human resources and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such as large companies. As a result, the Kano QFD program for technology startups, which is applied to this research,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sales stagnation, which is the limit of new technology based firms for more than 3 years. Second, this study mainly provides significant inform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QFD research which have been in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applying QFD and focused on the case studies and research studies in that country in spite of its widespread use in various industries worldwide. And also Kano QFD designed for startups is clarified by applying a transfer intention model to verifying this Kano QFD for new technology based firms. Third, most SMEs, which account for 80% of the world economy, have couldn’t use QFD as a tool for corporate growth for want of financial resources and experts to implement QFD and Kano Model. However, this study presents a Kano QFD application and its methodologies that are structured so that QFD can be applied to new technology based firms with more than 3 years and less than 7 years. And a realistic Kano QFD method for SMEs is demonstrated and investigated great significantly by introducing an one on one coach system and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learner on the coach. Fourth, It is empirically cla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ing performance for the new technology based firms training program and helping to directly achieve that company's results by the requirement of the participation of CEO, wh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cision-making of technology startups. These empirical investigations are confirm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of transfer intention by occupational levels. This research contributes on providing very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lanners of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leading the technology entrepreneurship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