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상이 운동 몰입 및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권경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body image of Pilates participants having influence on the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a group of Pilates participants from city D was set as a population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Based on a survey method, data from a total of 115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btain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 First, Pilates participants' body image partially affects the exercise flow.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body image,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ppearance affects the sub-factors of exercise flow which are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Second, Pilates participants' body image partially affects the exercise adherence. To be concret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body image, physical appearance-related factors affects the adherence to exercise. To popularize Pilat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national health, and analyze social trends to lead interest towards Pilates in the wake of the recent sensational emergence of yoga. In addition, the dissemination and quality control of Pilates leaders will have to be carried out. Also, an efficient Pilates program will have to be in place, and various systems will have to be in place to prov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effects of Pilates. Finally, funding is important for Pilates to be activated, so a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related ministries is required. Following the above research, further academic and empirical study on Pilates, which has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popular, should be conducted to promote national health. 운동 몰입과 운동 지속에 대한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 이미지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목적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D시 필라테스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총 115명의 남녀 참가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윈도우용 IBM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토론을 기초로 도출한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상은 운동 몰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신체상의 하위요인 가운데 몸매관련요인은 운동 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 및 행위몰입에 양향을 미친다. 둘째,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상은 운동지속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신체상의 하위요인 가운데 몸매관련요인은 운동지속에 양향을 미친다. 나아가 필라테스 대중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국민건강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요구되고, 최근 요가의 선풍적 등장에 따라 필라테스의 관심도를 이끌기 위한 사회적 트렌드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필라테스 지도자의 보급 및 자질 관리가 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효율적인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필라테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각종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필라테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재원조달이 중요하므로,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이상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최근 점차 대중화되어가고 있는 필라테스의 학문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국민 건강증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Effects of 12-week pilates core exercises on menopausal syndrome, lumbar strength and flexibility of postmenopausal women

        Caguicla, Joy Matthew Cuasa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9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ilates exercise program for postmenopausal wome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12-week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on menopausal syndrome, lumbar strength and flexibility.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women aged 45-60 years old who were more than a year in menopause. A total of 47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Pilates Core Exercise Group (n=28) and Control Group (n=17). A questionnaire for menopausal syndrome, lumbar strength test, seated trunk flexion test and trunk lift test was taken before and after the 12-week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2 weeks, 3 times per week with 50-60 minutes per session. Wiindows SPSS/Pc Ver. 2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and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lates Core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ere set to 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anges in Menopausal syndrome after Pilates Core exercise 1)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changes in menopausal syndrome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time and interaction. (P<0.000). 2)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omotor symptoms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p<0.000), time (p<0.000) and interaction (p<0.000) 3)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symptoms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P<0.000), time (p<0.000) and interaction (p<0.000). 4)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ymptoms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p<0.000), time (p<0.000) and interaction (p<0.000). 5)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urogenital symptoms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p<0.000) and interaction (p<0.00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time (p<0.191). 2. Changes in Lumbar Strength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umbar strength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p<0.000), time (p<0.000) and interaction (p<0.000). 3. Changes in Lumbar Flexibility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1) Seated Trunk flex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tting trunk flexion after Pilates Core exercise in between groups (p<0.000), time (p<0.0000 and interaction (p<0.000). 2) Trunk Lif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nk extension after Pilates Core exercise program in between groups (p<0.000) and time (p<0.000).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within interaction (p<0.979).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12 weeks of Pilates Cor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s on menopausal syndrome, lumbar strength and flexibility of postmenopausal women.

      •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필라테스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이은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23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필라테스 참여 경험을 통해 그들의 삶에 나타난 변화들과 필라테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필라테스를 경험한 적 없는 학생들에게 필라테스를 소개함과 동시에 동기를 부여하여 필라테스 운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며 무용전공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운동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눈덩이 표집법을 통해 총 12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개인의 경험 속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 의미 개념화의 과정을 통해 해석하였다. 연구 방법을 통해 참여 동기, 경험, 참여 요인, 이해라는 4개의 상위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주변의 권유와 학교 내 필라테스 교육의 활성화로 인한 외부 자극과 무용 실기 향상에 대한 자신의 열망에 의한 내부 자극에 의해 필라테스를 참여하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필라테스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학업 성취, 사회적 방면의 변화를 경험했다. 신체적 경험으로 무용 동작 수행력 향상, 통증 감소, 호흡 변화로 세분화되었고 심리적 경험은 편안함, 자존감 회복, 집중력 및 도전감 향상으로, 인지적 경험은 신체 지각, 필라테스 운동에 대한 인식으로 세분화 되었다. 다리 붓기 감소, 통증 감소, 집중력 향상을 통해 학업 성취를 경험한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학업 성취를 경험하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반응으로도 나뉘었으며 사회적 경험은 일치감, 유대감이라는 긍정적인 면과 비교로 인한 스트레스라는 부정적인 면으로 세분화 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의 필라테스 참여 지속과 방해에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었다. 참여 지속 요인으로 선생님, 자신의 의지, 수업 시간대, 부담 없는 마음가짐, 성취감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참여 방해 요인으로는 선생님, 자신의 컨디션, 외부요인으로 세분화 되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필라테스를 치료 프로그램이며 주체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운동이라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life of high school dance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 on Pilat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Pil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Pilates exercises by introducing Pilates to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it and to motivate them, but also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various exercise education programs for dance students can be studi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 total of 12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o find the meaning in individual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process of encoding by topic, categorizing meaning, and conceptualizing meaning. The result was classified into 4 high-level categories: participation motive, experience, participation factor, and understanding and 9 sub-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Pilates by external stimuli caused by the encouragement of others and the activation of Pilates education in the school, and internal stimuli by the desire to improve their dance skills. Seco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hanges in physical, psychological, cogni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spects through Pilates. Physic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the improvement of dance performance, pain reduction, and breathing chang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comfort, self-esteem recovery, concentration and challenge improvement, cognitive experience into body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Pilates exercise.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to experiencing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reduction in leg swelling, pain reduction, and improved concentration, but also negative responses that it was difficult to experience academic achievement. Soci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positive aspects such as sense of unity and bonding, and negative aspects such as stress caused by comparison. Third,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interruption of the participation in Pilates. Participation continuation factors were subdivided into the teacher, own will, class time, burden-free attitude, and sense of achievement. Factors that interfere with participation were subdivided into the teacher, own condition, and external factors. Fourth, the participants showed an understanding of Pilates as a treatment program and an exercise that requires independent movements.

      • 필라테스(Pilates) 몸통 안정화(core stability) 운동이 성인 뇌성마비 장애인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구영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1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ilates core stability on balance improvement and gait ability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and we suggest a program that can improve effectively balance and gait ability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the data. Many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ported that the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exercise program regulates cramps in disabled people with convulsive cerebral palsy, and also enhances stability and gait ability in space. However, research data on the development of large muscles such as body and hip muscl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studies on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for knees or ankles. In order to improve the balance and the gait ability of the disabled adults with cerebral pals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tudy the body's centr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related to body stabilization through Pilates. In this study, four disabled adults with cerebral palsy have been classified into stages II, III, and IV,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GMFCS). The strengthening exercise was applied once a week, 50 minutes, a total of 80 times. In order to evaluate gross function measure of disabled people with cerebral palsy, we use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88, and applied functional stretching test for the balance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for the mobility test. As a result of the Body Stabilization Exercise through Pilates, disabled adults with cerebral palsy improved some item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ait and running. When tested FRT, the risk of falling was also reduced as they were able to keep their balance while the maximum arm stretching distance was increasing up to 7-19.5 cm. In addition, 6 to 50 seconds of gait speed was increased in TUG.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quickness, agility and dynamic balance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functional movement of disabled adults with cerebral palsy have been improved through the Body Stabilization Exercise through Pilates, we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balance and gait ability.

      • 조셉 필라테스의 생애와 필라테스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전지윤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910

        필라테스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 된 운동 중 하나이다. 1926년 미국에서 시작된 필라테스는 1900년대 독일의 조셉 필라테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초기 이름은 콘트롤로지(Contrology)였으나 그의 사후 제자들에 의해 확산되어 창시자의 이름인 필라테스라는 이름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필라테스는 뉴질랜드, 호주, 남미, 그리고 유럽지역과 아시아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2017년에는 500개 이상의 웹사이트와 세계 각국에 약 166개 이상의 홈페이지가 운영되고 있다. 필라테스는 몸과 마음을 함께 연결하여 전신을 컨트롤함으로써 건강한 몸과 건강한 마음, 나아가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운동 방법이다. 이러한 필라테스는 움직임 조절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며, 34가지의 기본 동작을 기본으로 조셉 필라테스가 개발한 특수 기구, 소도구, 매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움직임으로 진행된다. 또한 필라테스는 특정 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근육 전체를 강화시켜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동작으로 필라테스에서 일어나는 모든 동작은 파워하우스라는 복부, 허리, 내측 근육을 중심으로 심호흡으로 이루어진다. 학계에 다양한 필라테스 연구에서는 필라테스 운동의 기원에 대하여 조셉 필라테스가 제1차 세계대전 수용소에서 침대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환자의 재화치료를 위해 고안된 것으로부터 발전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그러한 필라테스의 기원에 대한 근거가 없다는 것을 내용 또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화된 필라테스의 형성 과정은 무엇이며 어떠한 역사적 사상적 배경이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필라테스는 2000년대 이후 빠르게 성장, 발전해 왔지만 양적인 유통의 발달에 비해 역사적 관점에서의 학문적 연구개발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운동의 본질에 대해 이해하고 창시자의 운동 철학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체계가 명확하지 않은 필라테스 운동의 형성과정에 있어 영향을 미친 역사, 사상적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운동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배경 속에서 필라테스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을 하게 된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조셉 필라테스의 유·청소년기를 살펴 이 시기에 영향을 미쳤던 단련주의와 자연주의, 그리고 범애주의 사상을 고찰하였으며 둘째, 필라테스의 운동 구상 및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조셉 필라테스의 청년기를 살펴 필라테스 운동 구성의 체육사적 배경이 되는요인들을 살펴보고 운동의 원리와 내용을 고찰하였다. 셋째, 조셉 필라테스 사후 제자들을 통한 필라테스의 확산 과정을 고찰하였다. 필라테스는 2000년대를 기점으로 빠른 성장과 발전을 이루며 많은 지도자 배출을 하였으나 양적인 보급 발전에 비하여 역사적 관점으로서의 운동의 사상적 연구와 발전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조셉 필라테스의 생애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삶의 주요 사건과 시대적 배경 속에서 필라테스 운동이 개발될 수 있었던 연관된 부분들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하에 필라테스의 기원과 발전 과정에 대해 고찰함으로서 오늘날 필라테스의 현 상황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필라테스가 미래에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 4주간의 Suspension과 Mat Pilates 운동이 여자 대학생의 건강 체력 요인, 기능적 움직임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영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08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suspension 운동을 실시하여 건강 체력 요인, 기능적 움직임 및 동적 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suspension 운동에 대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에게 건강 체력 요인과 기능적 움직임, 동적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과 실험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동의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K 대학 생명연구윤리위원회의 기준에 의한 서면 동의를 받았다. 또한, 본 실험에 참여한 모든 피험자들은 심장질환, 운동 중 흉통, 일상 중 흉통, 의식소실, 관절의 문제, 심장질환 등으로 복용하는 약의 유무, 운동을 하면 안되는 이유 등 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 운동 관련 위험요인 검사(PAR-Q)를 진행하였으며 7문항 모두 ‘아니오’를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은 준비 운동 10분, 정리 운동 10분 그리고 본 운동 40분으로 구성하였으며, 4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Suspensin 운동프로그램 구성은 Supine pelvic lift, Supine plank, prone pelvic lift, standing leaning forward를 기본동작으로 설정한 후 Lever Arm, Suspension point, Instability, Additional movements와 같은 변화를 주어 난이도를 조절하였으며 Mat pilates 운동프로그램은 The Hundred, Roll up, The one leg circles, Single leg stretch, Double leg stretch, Bridge position, Swan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피험자들은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체력측정과 기능적 움직임 검사, 동적 균형 검사를 진행하였는데 체력 측정은 상대악력, 교차 윗몸일으키기, 20m 왕복오래달리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10m 왕복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로 진행되었다. 기능적 움직임 측정을 위한 FMS는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trunk stability, rotary stability를 포함한 7가지의 움직임 검사 항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요구하는 움직임을 완벽하게 소화하였을 때 3점을, 요구하는 동작에 보상작용을 동반하여 수행하였을 때 2점을,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때는 1점을, 동작을 수행중 통증이 발생했을 경우 0점을 부여하였다. 동적 균형을 측정하기 위한 Y Balance Test는 하지와 상지 측정으로 진행하였으며 YBT-LQ 측정은 우측전방, 좌측전방, 우측후내측, 좌측후내측, 우측후외측, 좌측후외측 순으로 진행하였고, YBT-UQ 측정은 지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을 내전하여 시작점에 올려놓고 반대쪽 손을 중앙, 아래쪽 측면, 위쪽 측면으로 뻗도록 하였다. 건강 체력 요인의 경우 순발력에서 집단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능적 움직임의 경우 herdle step에서 두 집단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하지 동적 균형의 경우 Relative reach distance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우측전방과 좌측후내측에서 집단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지 동적 균형의 경우 좌측 아래쪽 측면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주 2회 suspension 운동을 실시한 결과 건강 체력 요인, 기능적 움직임, 동적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suspension 운동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성별을 여성으로 제한한 점과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점, 생활 패턴을 제한하지 못한 점 등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적정수준의 신뢰도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수와 성별,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spension and mat pilates training for 4 weeks on health fitness factors, functional movement and dynamic balance capaci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ifteen subjects for each exercise program group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 two times a week for 4 weeks. This study’s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evaluation components are relative grip strength, sit up, 20m shuttle run, sit and reach, 10m agility test and standing long jump. Functional movement screen components are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trunk stability and rotary stability. Y Balance test Lower Quater(YBT-LQ) components are Right Anterior, Left Anterior, Right Posteromedial, Left Posteromedial, Right Posterolateral, Left Posterolateral,, Absolute reach distance and Relative reach distance and Y Balance test upper Quater(YBT-UQ) components are Right Medial, Left Medial, Right Inferolateral, Left Inferolateral, Right Superolateral and Left Superolater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ower, hurdle step, relative reach distance, right anterior, left posteromidial, left infrolateral in the suspension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t pilates exercise group. Future research with larger sample size and convergence study in design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better evaluation of the suspension exercise program.

      • 남성 필라테스 지도자 되기 : 필라테스 남성 지도자가 겪는 역할 수행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전형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06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중심적인 문화가 지배적인 필라테스 환경에서 남성 지도자가 역할을 수행하며 겪는 어려움과 극복 전략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남성들이 지도자로서 잘 정착해 나갈 수 있는 환경과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유목적적 추출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영역에 전문 능력을 확보하고 활발한 지도 활동을 하고 있는 남성 필라테스 지도자 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과 문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 및 동료 연구자 협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가지의 문화와 3가지의 어려움 및 3가지의 극복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남성 지도자들이 그동안 지도자로서의 경험하게 되는 문화는 ‘필라테스는 여성의 운동’, ‘여성의 그룹 문화’로 나타났으며, 남성 지도자들이 그동안 지도자로서의 역할 수행하며 겪은 어려움으로는 ‘여성 중심의 근무 환경’, ‘여성 지도자 선호’, ‘여성 회원과의 거리 두기’로 나타났으며 앞서 열거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여성의 니즈 파악’, ‘맨즈 필라테스로의 목적 인식 전환’, ‘여성 지도자와의 협업’이 도출되었다. 필라테스는 양성의 기대 역할이 다르며, 서로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 시너지를 도출하는 종목이기에 남성 지도자들이 여성 중심의 필라테스 문화에서 남성 지도자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남성 지도자 개인은 물론 필라테스 종목 전반에 걸쳐서 개혁을 단행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남성 지도자 본인의 역량 계발을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남성 지도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양성평등적인 교육 환경을 지향하도록 구조적인 변화 또한 시행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필라테스 남성 지도자, 극복 전략, 역할 수행의 어려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the environment and plan for male to settle down as a instructor understanding their difficulty by grasping the difficulty of male instructor executing the role under the Pilates environment which female centering culture is dominant and the overcome strategy. Eight male Pilates instructors securing professional ability in relevant area and having active instruct activity are selected as participant using purposeful extraction method for the study and analyzed collecting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s wit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Review between members and fellow researchers discussion is execut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to secure the integrity of data. Based on the result of this, two cultures, three difficulties and three overcome strategy are drawn. The cultures male instructors experienced as an instructor in the meantime are shown as ‘Pilates is female exercise’ and ‘female group culture’, and the difficulties male instructors experienced executing the role as an instructor in the meantime are shown as ‘female centered work environment’, ‘prefer female instructor’, and ‘distancing with female member’, and ‘understanding the needs of female’, ‘convert purpose awareness as men’ Pilates’, and ‘cooperate with female instructor’ are drawn as the strateg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listed before. It is important to solve social structural problem to positioning male instructors as male instructor under female centered Pilates culture because the expected role of each gender is different and Pilates is an exercise can draw synergy through the process recognize the difference of each other and cooperate, and it can be a driving force to execute the innovation on overall Pilates as well as personal male instructor. So, the recognition for male instructor in overall society as well as the effort to develop own ability of male instructor should be improved and structural change to pursue gender equity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executed.

      • 8주간의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이 30대 직장인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현정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74

        본 연구는 경도 이상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지수를 기록한 30대 직장인 여성들에게 8주 동안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이들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전에 측정 도구를 통해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우울 측정 도구로는 Aron Temkin Beck의 BDI-II(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기초로 하여 성형모 등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고, 불안 측정 도구로는 Aron Temkin Beck의 BAI(Beck Anxiety Inventory: BAI)를 정혜정 등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측정 도구로는 Cohen의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박준호 등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전 검사 결과 경도 이상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나타낸 총 24명의 대상자들을 12명씩 각각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그룹과 통제 그룹에 무작위 배정하였다.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은 8주 동안 일일 60분, 주 3회씩 총 24회 진행하였고, 사후에 측정 도구를 통해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IBM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그룹과 통제 그룹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그룹과 통제 그룹 간의 일반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정규분포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Kolmogorov-Smirnov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는 우울, 스트레스의 경우 대응표본 T-test, 불안의 경우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그룹에서만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은 우울, 불안, 스트레스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 직장인 여성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Eight-Week Pilates-with-Props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workers in their 30s with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nxiety, and/or stress, an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mental health. Participants were assessed for their severity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with the following tools. For depressi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II), created by Aron Temkin Beck and translated by Sung Hyungmo, et al. For anxiety,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created by Aron Temkin Beck and translated by Jeong Hyejeong, et al. For stress, Perceived Stress Scale (PSS) created by Sheldon Cohen and translated by Park Juno, et al. A total of 24 subjects with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nxiety, and/or stress were randomized to a Pilates-with-Props group (exercise arm) and a control arm at a 1:1 ratio. The Pilate-with-Props program was run for 6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per week for eight weeks, for a total of 24 times.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xiety, and/or stress was rated again with the tools described abov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8.0.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and control arms.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xercise and control arms. The Kolmogorov-Smirnov test was applied to test a normal distribution. For changes from the baseline between groups, the Paired-Samples t-test was used for depression and stress,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for anxiety. The analysi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epression, anxiety, and/or stress only in the exercise group. It was concluded that Pilates with props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epression, anxiety, and/or stress, and it is believed that Pilates with props can be used as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female workers in their 30s.

      • Joseph H. Pilates의 생애사 고찰

        구지남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86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차츰 인식이 넓어지고 있는 필라테스 운동을 조사 연구하여 필라테스 운동의 올바른 역사를 이해하고 발전 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우리나라에서 필라테스 운동이 어떠한 방향을 발전될 것인가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즉, 필라테스 운동 창시자 조셉 필라테스의 생애사를 통해 필라테스 운동의 발전 배경과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그가 주장하는 필라테스 운동 철학을 이해함으로써 올바른 필라테스 운동에 대한 인식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조셉 필라테스의 탄생에서 제 1차 세계대전 일어나기 전(1880~1913) 필라테스 운동의 창시자인 조셉 필라테스는 독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유년시절 구루병, 천식, 관절염, 폐렴 등에 걸려 매우 허약했고 체조선수인 아버지와 자연 요법사인 어머니 밑에서 허약한 신체를 위해 물리적인 방법이 아닌 자연 치유법을 접함으로서 체력에 관심을 갖게 되어 휘트니스센터에서 열심히 운동을 하게 되었다. 14세 때 조셉 필라테스는 보디빌딩을 하게 되고 그와 더불어 다이빙, 체조, 스키 등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건전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라는 모토를 강하게 믿게 되었으며 스스로 단련된 몸을 이용할 수 있는 직업을 찾게 되었다. 2. 1차 세계대전 당시에서 미국 망명 전 (1914~1925)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영국에 거주하던 그는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고 감금되어 있는 동안 동료들에게 체력단련과 호신술, 매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가르쳤다. 이를 토대로 그의 운동 시스템의 고안인 “조절학(contrology)” 으로 발전되었다. 이후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의 재활치료를 맡게 되고 그의 운동이 상해로부터 빠르게 회복함을 발견하였으며 이때 병원침대에서 고안된 것이 현재의 리포머(reformer)와 캐딜락(cadillac)이라 불리는 Pilates 기구이다. 3. 미국에서의 활동에서 조셉 필라테스가 죽기 전 (1926~1967) 조셉 필라테스는 대 공항이 시작되기 전 자신의 운동방법을 “조절학(contrology)”이라 호칭하고 뉴욕에 첫 번째 스튜디오를 개설하였으며 영화배우나 뮤지컬배우 뿐만 아니라 무용수들의 신체 훈련과 재활을 담당 하기도하였다. 대 공항중에 그는 많은 어려움을 격지만 이후 1934년에 자신의 운동법을 소개하는 첫 책자인 “당신의 건강(Your Health)"을 출간하게 되었는데 이 책은 건강한 자신의 철학과 생각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을 보급하는 계기가 된다. 조셉 필라테스는 도제방식으로 보조자들을 양성하였다. 이후 이러한 교육 방식을 따르는 몇몇 제자들이 그의 곁을 지켰고 그와 함께 전통을 고수해 왔다. 1967년 그의 나이 87세에 사망하였다.

      • 필라테스 매트와 필라테스 기구를 이용한 코어운동이 정상 성인의 자세에 미치는 영향

        김창민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68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exercises using Pilates mat and Pilates equipment on the anterior, the lateral, and the posterior views of the body posture of healthy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ustomers who visited OO Pilates Center located in A city. A Pilates mat exercise group (n = 20 personnel) and a Pilates equipment exercise group (n = 20 personnel) were organized and both group exercised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Before starting, the body posture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on the anterior, the lateral, and the posterior views respectively. Then, the body position measurements were conducted every four weeks, and a total of four measurements were made.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and conclusion were drawn.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peated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 18.0 program. First, according to the exercise effects of the mat exercise group and the equipment exercise group, each group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ver time on six items from the anterior view of the body; earlobes tilt, shoulder tilt, lateral pelvic tilt, left Q angle, right Q angle, and bowed legs. On the lateral view of the body, three items, turtle neck, posterior/anterior pelvic tilt, and knee flexion angle were found to be effective over time. On the posterior view of the body, the equipment exercise group showed to have effect on four items; scapular tilt, distance of the scapulae, angle of the left ankle, and angle of the right ankle. However, the mat exercise group showed no effect on the distance of the scapulae.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mat exercise group and the equipment exercise group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ive items on the anterior view of the body; earlobes tilt, shoulder tilt, left Q angle, right Q angle, and bowed legs. However, the lateral pelvic tilt showed more effective in the equipment exercise group. Also, the lateral view of the body showed no differences in all three items, turtle neck, pelvic tilt, and knee flexion angle. On the posterior view of the bod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four items: scapular tilt, distance of the scapulae, angle of the left ankle, and angle of the right ankl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Pilates mat exercise and the Pilates equipment exercise a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osture balance of the anterior, the lateral, and the posterior views of the bod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core exercises using Pilates equip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ilates mat exercise in tilted pelvic, and it was found that the pelvis balance was the first indicator of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Therefore, appropriate exercise using Pilates mat and Pilates equipment for the core stabilization will be considered as a way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xercise programs using Pilates mat and Plates equipment in parallel suitable for each body part, and various systematic and scientific Pilates training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and developed. 본 연구는 필라테스 매트와 필라테스 기구를 이용한 코어운동이 건강 성인의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A시에 위치한 OO필라테스센터에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필라테스 매트운동그룹(n=20명)과 필라테스 기구운동그룹(n=20명)으로 대상으로 주 3회, 12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필라테스운동 시작 전에 두 그룹의 자세를 앞면, 옆면, 뒷면에서 1차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4주 간의 중재마다 두 그룹의 자세를 측정하여 총 4차까지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one-way ANOVA) 그리고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트그룹과 기구그룹의 기간에 따른 효과를 보면, 매트그룹과 기구그룹은 각각 몸의 앞면에서 여섯 가지 항목인 귓불 기울기, 어깨 기울기, 좌우 골반경사, 왼쪽 Q각, 오른쪽 Q각, O형 휜다리가 기간에 지남에 따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몸의 옆면에서는 세 가지 항목인 거북목, 옆면 골반경사, 무릎 굽힘각이 기간에 지남이 따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몸의 뒷면에서 기구그룹은 네 가지 항목인 어깨뼈 기울기, 어깨뼈 안쪽거리, 왼쪽 발목각도, 오른쪽 발목각도가 기간에 지남에 따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트그룹은 어깨뼈 안쪽거리에서만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트그룹과 기구그룹의 그룹-간의 비교를 통한 효과를 보면, 몸의 앞면에서 다섯 가지 항목인 귓불 기울기, 어깨 기울기, 왼쪽 Q각, 오른쪽 Q각, O형 휜다리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좌우 골반경사에서는 기구운동그룹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몸의 옆면에서는 세 가지 항목인 거북목, 옆면 골반경사, 무릎 굽힘각 모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몸의 뒷면에서는 네 가지 항목인 어깨뼈 기울기, 어깨뼈 안쪽거리, 왼쪽 발목각도, 오른쪽 발목각도 모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필라테스 매트운동과 필라테스 기구운동이 신체의 앞면, 옆면, 뒷면의 자세 균형을 증가시키는 데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매트운동보다 기구를 이용한 코어운동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골반경사 측정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골반이 코어안정화 운동으로 나타나는 첫 번째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어안정화에 도움이 되는 필라테스 기구운동과 필라테스 매트운동을 적절하게 이용한다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앞으로는 부위별로 적합한 필라테스 매트운동과 기구운동을 병행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필라테스 운동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다양한 훈련 방법이 모색되고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