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Consumer Locus of Control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Consumer Behavior

        Felix Septianto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84

        Although prior studies have established that mood can significantly influence consumer judgment process, they provided inconsistent results; in particular, previous findings only examined the willingness of consumers to regulate their mood and assumed that consumers have the control to regulate their mood states.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whether consumer locus of control (CLOC) can moderate mood effects on consumers’ likelihood to purchase. Results show that in positive mood, CLOC tendency does not influence consumers’ likelihood to purchase. However, in negative mood, internal CLOC consumers would be motivated to regulate their mood; thus, they show high likelihood to purchase. In contrast, external CLOC consumers would not be motivated to regulate their mood; thus, they show low likelihood to purchase. This present thesis adds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ood regulation by identifying consumer trait (CLOC) that could moderate mood effects on consumers’ likelihood to purchase. Further, this research also shows that there can be different processing systems of mood effects. Finally, this thesis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 for marketers by pointing out that it is advisable for marketers to elicit positive mood on consumers in service or retail settings so that their CLOC tendencies would not influence their behaviors.

      •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 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를 매개변인으로

        김나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8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가 애착과 갈등 해결 전략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변인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성차에 따라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연세대학교와 명지대학교에 재학하고 있으며 현재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171명의 학생이었다. 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인애착 질문지(AAQ: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척도(NMR: Negative Mood Regulation )로 자신의 부정적 기분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갈등 해결전략을 측정하기 위해서 MADS (Managing Affect and Differences Scale)중 '나의 행동'을 묘사하는 문항을 골라내어 요인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애착이 갈등 해결 전략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을 사용하였으며,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와 각 갈등 해결 전략들에 있어서 남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남녀를 나누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회피 성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애정표현(Expression for Positive affection' 전략을 적게 사용하였으며, 불안성향이 높을수록 '부정성(Negativity)'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갈등 상황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부정성(Negativity)'과 '부정적인 감정 표현(Expression for Negative affection)' 전략을 많이 사용하여서,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갈등이 생겼을 때, 부정적인 정서를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개 변인 검증 결과, 남녀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학생의 경우, 불안 애착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NMRE)에 의해 완전 매개되어 갈등 해결 전략에 영향을 주었다. 회피 애착도 NMRE에 의해 매개되어 갈등 해결 전략에 영향을 주었으나, 부정적 전략에 대한 직접 효과도 나타내었다. 여성의 경우에는 불안과 회피 애착이 모두 NMRE를 매개로 부정적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만이 유의하였다. 이런 결과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NMRE)는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성 관계에서 갈등 해결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성차가 존재함을 이해하고, 상담 장면에서도 성별로 다른 개입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on the path of attachment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colleg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and expecially, examined the sex difference of the tenden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17 Yonsei univ. and Myungji univ. students who were in romantic relationship at the moment.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AAQ), Negative Mood Regulation(NMR) and Managing Affect and Difference Scale (Mads) were used to measure attachment, negative mood manag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 of attachment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Th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ex in using negative mood regul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addition, the path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mood regulation according to sex. The result found high avoidant attachment to be related with low 'expression for positive affection strategy' and high anxiety attachment with 'negativity strategy'. Female subjects used more 'negativity' and 'expression for negativity affection strategy' than male subjects did. This result provided girls' tendency to express their negative mood positively than boys.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sex difference. In boys' case, the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was fully mediated by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In addition, the direct effect of avoidant attachment and mediated effect of NMRE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was found. However,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avoidant attachment through NMRE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was found in girls'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sex difference in managing negative mood so that a different approach for girls and boys in counseling situation was suggested to help the conflicts of romantic relationship.

      • Quantifying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on the Consumer Preferences for Movies based on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한지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3

        나날이 심각해지는 코비드-19 상황과 그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전세계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관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코비드-19 창궐 이래,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음악과 영화와 같은 특정 산업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어 왔지만, 변화된 소비자 행동에 있어 어떠한 기저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Qiu et al. (2020) 와 Li and Wang (2020) 의 연구는 코비드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사회적 고립감, 외로움을 야기하며 코비드 관련 증상을 한번이라도 경험한 사람들에게서 더 두드러진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 두기로 야기 되는 어떠한 정신적 메커니즘이 소비자의 영화 장르 선호 체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 하고, 기존의 mood-regulation literature의 상충되는 발견을 설명하는 데에 기여를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사회적 고립과 그에 따른 외로움이 만연한 글로벌 판데믹이란 특수한 상황에서, 한국 영화 시장이란 특정 시장에 대한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을 이중 차분 모형에 기반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판데믹 상황에서의 소비자의 소비 패턴의 변화와 그 변화에 영향을 끼친 기저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급격하게 감소한 viewership 과 sales 로 인해 타격을 받은 brick and mortar theater industry 뿐만 아니라 급격한 성장중인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들의 실무자들 에게도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여가 크다 In this paper, I study the short-term psychological impact of voluntary social distancing on the viewership of humorous and sad movies in the era of COVID-19. Using longitudinal data on the Korean movie theater industry, I employed Difference-in-Differences (DID) approach that leverages observations in the first year as the control group and those in the second year as the treated group. Previous mood regulation literature faced apparent discrepancies in their findings on the preference for mood-congruent stimuli when people are in negative moods. Some have speculated that when people feel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the failure of relationship, mood-congruent stimuli is more appreciated even when mood-incongruent, pleasant, alternatives also exist. However, this assumption is not closely examined in the empirical settings, so this pandemic era is the best timing to delve into the underlying mechanisms behind this seemingly mysterious aesthetic enjoyment and provide insights to both the field of mood-regulation literature and brick-and-mortar theater industry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ir managerial decisions to recover viewership and sales revenue.

      • The Effects of Facial Expression and Order on Charity Advertisements

        심다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1979

        In order to survive in today’s grow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among nonprofit organization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of charity organizations is how to appeal potential donors and make them to donate for the poor. This study examined how charitable advertisements could be effective for attracting more funds from potential donors. As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influential advertising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hether Mood Maintenance Theory or Mood Regulation Thoery have influence on charity donation advertisement. By using facial expression of the victim and the Order Effect, this study tried to find effective ways to enhance the happiness of the donors and lead to high amount of donation. Therefore by effective advertising method, competitive charity organizations would be able to survive and increase donors for victims. 비영리단체 수의 증가로 인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보다 많은 후원자를 유치하기 위해 효율적인 광고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후원자를 개발하여 정기적인 기부자로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에 관하여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비영리마케팅에서 사용하는 여러 방법들 중 수혜자의 사진과 사연을 이용하였을 때 이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웃는 표정과 슬픈 표정을 하고 있는 수혜자의 얼굴을 비교하며 수혜자의 얼굴 표정과 사연이 어떠한 순서로 제시되는지에 따라 기부자들의 후원금액 및 이에 따른 행복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분유지효과와 심리상태조절효과를 이론적 배경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은 총 4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종속변수를 실험 참가자들이 기부하고자 하는 금액과 행복함으로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사진 속 수혜자의 표정 뿐 아니라 수혜자의 사연과 얼굴표정을 제시하는 순서에서 있어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두 요소 간에 상호작용효과 또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와는 달리, 기분유지 효과와 심리상태조절 효과를 비영리단체 마케팅에 접목시켜 후원 참여를 증대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 첫 번째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본 실험의 결과가 비영리단체의 마케팅 상황에서 실무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될 때 세부적인 활용방안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자존감과 기분통제가 자기조절의 실패에 미치는 영향 : 자아-고갈(ego-depletion) 모형을 중심으로

        김진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99514

        본 연구는 자존감과 기분통제가 자기조절의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고갈(ego-depletion) 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자아가 자기조절(즉, 기분통제) 행위에 관여함으로써 자아고갈이 야기되는지 살펴보고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자아고갈의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실험설계는 자존감 2(고/저) ×기분통제 2(유/무)의 피험자간 요인설계로 자존감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된 피험자들은 두 기분통제 조건 중 하나에 무선 할당되었다. 종속측정치는 정답이 없는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정도를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분통제 집단은 기분 비통제 집단보다 자기조절 과제를 더 빨리 포기함으로써 자기조절 행위로 인해 자기조절 자원이 고갈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자아가 의지력을 필요로 하는 행위에 개입할 때 한정된 자원을 사용하며 모든 자기조절 행위가 단일한 자원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자아-고갈 모형을 지지하였다. 또한, 자존감에 따라 자아고갈 양상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두 자존감 집단에 부정적 피드백을 제시한 후 그로 인해 유발되는 부정적 기분을 통제하도록 했을 때, 부정적 기분에 대한 대처능력을 갖춘 자존감이 높은 집단은 기분을 통제하기 위한 자원의 소모가 거의 없으므로 기분통제 여부에 관계없이 과제수행 지속성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존감이 낮은 집단은 부정적 피드백으로 인한 감정적 타격이 크기 때문에 기분을 통제하기 위한 자원이 많이 소모되어 기분 비통제 조건보다 통제 조건에서 과제 수행의 지속성이 크게 떨어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아가 자기조절 행위에 관여하는 경우 자기조절 자원이 고갈되어 연이은 다른 자기조절 행위의 수행이 떨어지며, 이러한 자아고갈 메커니즘은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존감이 낮은 집단은 자존감이 높은 집단과 달리 자아의 위협을 받는 경우 자아고갈이 많이 일어나므로 자기조절 과제를 한번에 둘 이상 수행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mood control on the failure of self-regulation, based on ego-depletion model. The experiment examined whether the self's involvement in self-regulatory task(i.e. mood control) would cause ego depletion and whether the level of self-esteem would bring a different pattern of the depletion. The design of the study was between-subjects factorial, with two levels of self-esteem(high/low) and mood control(yes/no). Participants divided by the level of self-esteem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of mood control conditions. The dependent measure was the persistence on a unsolvable quiz, measured by time. As the result of analysis, mood control group quitted the self-regulatory task earlier than mood non-control group did, proving that self-regulatory resource was depleted by events requiring self-regulation. The fact was consistent with ego-depletion model in which the self expends a limited resource for acts of volition and all types of self-regulatory acts draw from one single resource. Also, the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ego-depleting patter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was supported. When two self-esteem groups were given negative feedback on one of their abilities and then instructed to control negative mood caused by the feedback, the high self-esteem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persistence of task performance regardless of mood control conditions since they were equipped with strategies against negative mood and, consequently, did not consume much resource for mood control. In contrast, the low self-esteem group, affected by negative feedback severely, quitted self-regulatory task much faster in mood control condition than in mood non-control one consuming much resource for controlling negative mood.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s involvement in self-regulatory acts depletes resource for self-regulation lower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sequent acts and that the self-regulatory mechanism shows a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