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ratorio ‘MESSIAH’에 관한 연구 : 테너 곡을 중심으로

        현동헌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59

        One of his distinctive compositional techniques in Messiah is Tone-Painting, which is a common Baroque compositional technique. He emphasizes on the essential words from the bible by leaping notes or the melisma in a melody and on the ascendance or descendance in relations to the content of the text. In addition, in order to point out some important words or texts, Händel demonstrates effectively his tone-painting techniques by applying the featured rhythms on the text in the melody. In particular, the study shows that his remarkable tone painting techniques on Aria for a tenor. The anthem, a British traditional chorus, is a significant element in Messiah. The movement with chorus is deprived from the shadow of the Italian opera style but Händel keeps his own choir compositional style in Messiah. In particular, Hallelujah, and Amen chorus show his own compositional techniques.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s is an orchestration in Messiah. The orchestration is quite simple in Messiah in comparison with other oratorio works. Händel duplicated the orchestra part with a singer part. This might be because the text is more projected effectively to the audience. Therefore, Händel develops his own international style, an effective word-painting, a proper role in orchestration, and extreme musical expressions in chorus in Messiah. These will help a performer or a singer to understand the music and perform better. <메시아>에는 바로크 시대의 작곡기법인 가사그리기(tone-paiting) 기법이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헨델은 성경구절을 주제로 한 텍스트에서 주요단어를 부각시켜 선율에 멜리즈마를 주거나 다양한 도약을 하고, 가사에 맞게 선율을 상행하거나 하행시킨다. 또한 특히 부각시키고 싶은 단어나 가사를 상징하는 특징적인 음형을 붙임으로써,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선율적 아름다움을 놓치지 않는 뛰어난 작곡기법을 보여준다. 특히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테너 아리아들에서 이러한 가사그리기 기법이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에는 영국의 전통합창인 앤섬(anthem)이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합창곡 악장에서 헨델은 이탈리아 오페라의 그림자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 있는데, <메시아>에는 헨델 고유의 합창 기법이 고스란히 녹아 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할렐루야 코러스’로 유명한 제44곡 ‘Hallelujah'와 제53곡의 마지막 'Amen chorus' 등은 오늘날까지 큰 사랑을 받는 이유이다. 헨델의 <메시아>의 또 하나의 특징은 관현악의 역할이다. <메시아>의 오케스트레이션은 다른 오라토리오 작품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편이다. 많은 경우 오케스트라와 성악 성부가 단순히 중복되도록 했는데, 이것은 가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헨델 특유의 국제적인 음악 스타일, 효과적인 가사그리기 기법을 통한 가사와 음악의 효과적인 합일, 적절하고도 신선한 관현악 파트의 역할, 합창악장의 웅장하고 극적인 표현을 잘 이해함으로써 실제 연주에도 도움이되기를 바란다.

      • A Study on the Biblical Analysis about 'Messiah' of Handel

        김주태 Northwest Baptist Theological College 2004 해외박사

        RANK : 247725

        Handel and Bach were known as the great masters of opera and oratorio who brought the level of music in age of baroque to the summit showing unbelievable techniques in operas, oratorios, musical dramas and chorus music. His music strongly expresses elements of baroque art and is well balanced with his symbolic expressions of a note's conversational mind, enormous scale, and in the formation of his music: counterpoint and the law of harmony. This thesis, implementing Handel's oratorio <Messiah> as the center, analyzes the basic musical elements: melody, rhythm, form, structure, harmony, and effective performing methods of chorus music to make us better understand Hendel's oratorio <Messiah>. To conden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melodies which were used in Messiah had vocalistic melodies and instrumental melodies which were used alternately. Rythm was systematic but also used a lot of attaching fines with gave the effect of rhythm changes which built uniqueness. For formations, counterpoint and Jaw of harnmony were all used but had no strict or severe counterpoints but simple imitations were used. In the case of harmony, non harmonious elements were used to create and bring more colors to the music. Second, Handel expanded the function of chorus to strongly express the lyric's dramatic expressions, appealing power, imaginable narration, choral recitative and made it great with the effective use of orchestra. Third, different variety of transitions with different textures and forms, mixed textures with polyphony and homophony usage at the same time, unison and melisma, fuga, canon, baroque dance rhythm, and concertato style. Fourth, Handel symbolized and expressed lyrics with many different musical elements, also lyricism and dramatic elements were effectively in place to make a harmony. Chorus' perfect cadence were top of its level with natural minor scale progress, after the thrilling silence, part 4 chorus adagio's grandeur perfect cadence harmony produced maximum effect of a musical performance. Could grasp definitely more about Messiah through study of period circumstance of work and composer's Musical forms and composing methods etc. if conclusively viewing, and is thought that efficient transmission about symbolism of song-writing intention and lyrics through this and effective performance are possible.

      • A Study on the Messianic Idea of Israel in the First Century B.C. : 주전 1세기 이스라엘의 메시아사상 연구 : The Concept linked between the Two Testaments

        정예중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의 주제는 “주전 1세기 이스라엘의 메시아사상 연구”이다. 유대교에서부터 초기 기독교까지 이스라엘의 메시아사상이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기독교의 메시아사상의 뿌리를 연구하며 신구약 중간기인 제2성전시대 당시 메시아사상을 중심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메시아사상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비교연구를 통하여 구약의 메시아사상의 흐름과 신약의 메시아사상의 근원을 이어줄 수 있는 주전 1세기 당시 문헌들을 살펴볼 것이다. 쿰란 문서들과 관련된 제2성전시대 문헌들은 어떤 메시아사상을 포함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신구약에 언급된 메시아사상과 비교하여 연구할 것이다. 본 논문은 세 장으로 나뉘는데, 일장에서는 구약의 메시아 사상에 대해 다룰 것이며, 이장에서는 주전 1세기경 신구약중간기 문헌 즉, 외경과 위경 그리고 쿰란 문서들에 나타난 메시아 사상을 살펴볼 것이며, 마지막 삼장에서는 신약의 메시아 사상을 연구할 것이다. 구약의 메시아사상은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대표적으로 제사장적 메시아, 왕적 메시아, 그리고 예언자적 메시야이다. 그러나 메시아사상이 현실과 맞물려 발전하면서, 보다 현실을 반영하고 백성의 요구에 응답하는 메시아상이 주류가 되었다. 이것은 왕적인 정치적 메시아이다. 신구약중간기에는 왕적인 메시아와 제사장적 메시아를 합치려는, 또는 두 메시아를 분리해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것이 신약에 와서는 예수에게서 둘 다 찾아내려는 노력에 의하여 모든 메시아사상을 고루 갖춘 한 메시아로 통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스라엘의 메시아사상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얻게 되었다. 신구약을 이어주는 사상적 흐름을 추적하면서 현실 가운데 반영된 민족의 소망과 하나님의 신실하신 언약의 성취를 학문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로마제국과 마가공동체의 메시아상

        김용석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06

        본 논문의 목적은 로마제국 황제의 메시아상, 곧 아우구스투스의 황제의 메시아상을 마가공동체의 메시아상과 비교, 검토하여 마가공동체의 에수에 대한 인식의 의미를 마가공동체의 정황에서 이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회학적 신약해석 방법을 채택한다. 곧 신약성서의 본문을 그 본문의 배후를 이루고 있는 보다 더 폭 넓은 사회적인 준거틀에서 이해하려는 하나의 전망이다. 기존의 마가복음서의 그리스도론 연구는 마가복음서내의 텍스트내에 한정되어 보다 더 넓은 사회적인 준거틀 속에서 기인된 마가공동체의 그리스론의 의미를 한 곳으로 집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마가복음서의 산출시기는ㄴ 기원후 69년 말부터 70년 초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는 예루살렘 성전이 유대-로마 전쟁의 참화 속에서 함락 되기 직전의 시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역사적인 마가공동체의 삶의 자리는 예수에 대한 인식의 기준을 로마제국과의 관련성에서 볼 수 있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로마제국의 메시아상의 출발점은 로마를 구원하고, 로마를 그 고대의 황금시대로 선포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메시아상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메시아상는 이후 로마 황제들에 의해서 계승되고, 발전된다. 이러한 계승의 암시는 로마제국의 화폐에 도안된 의미에서 볼 수 있다. 마가복음서는 로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빌라도 총독의 재판 단락과 세금 논쟁 단락에서 카이사르의 언급과 더불어 로마의 화폐 데나리우스를 언급함으로 로마와의 관련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마가복음서는 예수 죽음의 최종적인 선포를 빌라도 총독에게 돌리고 있고, 또한 세금 논쟁 단락에서는 로마 세력에 대한 적대적인 언급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적대적인 언급의 배경에는 마가공동체의 현재적인 참혹한 삶의 원인 제공자로 로마를 지칭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전이시켜 주는 기능을 마가기자는 '인자'로서 규정된 예수의 정체성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로마와 마가공동체의 메시아상의 의미를 양자간의 공통점과 차별점을 범주화하여 다음과 같은 마가공동체의 특수한 메시아상의 의미를 드러낸다. 공통점은 구원과 새 시대라는 범주로, 차별점을 로마제국을 핍박이라는 범주로, 마가공동체는 사회적인 역전의 범주로 구체화 하였다. 곧 본 연구는 마가복음서의 예수의 메시아상이 로마의 메사아상과의 대결적인 정황에서 산출된 대항 사상적인 맥락에 있음을 밝혀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only to compare the messiah's image of Roman Empire, the messiah's image of Augustus, with that of Markan Community, but to analyze them. Furthermore, this thesis tries to understand Markan Community's understanding of Jesus in the light of its sitz im Leben. This study adopts the sociological approach, which is on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text of Bible through the much wider frame of the social ground which forms the back of the text. The former studies of Markan christology have been carried out only within the text of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Consequently, they have brought the result, concentrating the meaning of Markan christology due to the much wider social frame at a single point. It is presumed that the period in which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was written is A. D. 69-70. This period is the time before the Jerusalem Temple was collapsed in the midst of Jewish War. This historical sitz im Leben of Markan Community functions as a crucial cause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standard of understanding Jesus in the relation to the Roman Empire. The emergence of Roman Empire's image of messiah both delivers Roman Empire and proclaims the beginning of its Golden Age, which arised from the messiah's image of Augustus. As the result, this messiah's image of Augustus is succeeded and developed by the following emperors. Denarius, the coin of Roman Empire, implies this content of the messiah's image of Augustus.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directly indicates the relationship with Roman Empire in the passage of Pilate's trial and the tax dispute, together with the reference of Caesar and Denarius. The final proclamation of Jesus' Death is ascribed to Pilate i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and the antagonistic statement against Roman Empire is made in the passage of the tax dispute. In the background of this antagonistic statement, the Markan Community recognizes that Roman Empire produces the cause of its present and distress life. From Jesus designated as 'Son of Ma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seeks the significant role which reverses this circumstance.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messiah's image of Markan Community is the counter-response, which is against the messiah's image of Roman Empire originated from this kind of the social ground frame.

      • Handel's <Messiah>에 나타난 調性變化의 考察

        최경옥 淑明女子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94

        바로크(Baroque) 음악은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엽까지의 음악양식으로 보는 것이 통례이다. 르네상스 (Renaissance) 의 多聲的인 音樂樣式으로는 인간의 무한한 감정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함을 느꼈기에 초기 프로렌스 樂派의 Jacopo Peri (1561 - 1633). Giulio Cacini (1545 - 1618) 등의 작곡가들이 모노디 (Monody) 등 새로운 음악적 표현기법을 도입하여 인간 감정 표현의 무한성을 꾀했다. 이후 바로크 음악은 劇音樂의 대가 Claudio Monteverdi (1567 - 1643) 의 등장으로 그 양식이 확립되었고 그 中心地는 이탈리아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서양음악은 종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정치 또한 종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음악, 종교, 정치를 서로 분리시켜서 논하기는 어렵다. 바로크 음악은 이런 역사적 배경 아래서 미사 (Mass) 와 오피스 (Office) 를 根源으로 하여, 전례극 (liturgical drama) 및 종교 노래 (Lauda) 를 거쳐, 후일에 오라토리오 (oratorio) 로 발전되었다. 오라토리오는 16세기 Fillipo Neri (1515 - 1595) · Emilio del Cavalieri (1550? - 1602) · Giacomo Carissimi (1605 - 1674) · Heinrich Schu¨tz (1585 - 1672) 에 이르러 完成을 보았으며 Georg Friedrich Ha¨ndel (1685 - 1759) 에 이르러 그 절정을 이루었다. 독일 출생으로 영국에 귀화한 Ha¨ndel은 오라토리오《메시아 - Messiah》(1742) 로 그의 작품세계를 대표할 수 있게 되었다. 이탈리아 오페라의 영창부분 (aria) 에 오라토리오의 합창(chrous)을 삽입시킴으로써 그의 음악은 당시 영국 시민사회에 잘 흡수되었다. 영국 시민들은 그들 스스로 選民意識이 있었으며 합창은 예배의식을 통하여 친숙해져 있었기 때문에 오라토리오 합창에 더욱 共感을 일으킬 수 있었다. Ha¨ndel은 그의 음악적 才質을, 《메시아》의 各部의 특성에 맞게 調性을 잘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그리고 또한 이를 통하여 묵상적이고 서사적인 표현으로 인류가 갖는 最上의 宗敎音樂을 작곡한 것이다. 本稿는 調性올 中心으로 Ha¨ndel의《메시아》를 分析·考察함으로써, Serauky (1903 - 1959) 가 지적한대로 그것이 Dmajor임을 재확인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당시 유행하던 Dmajor의 trumpt악기는 건축물과 어울리는 豊富하고 아름다우며 힘찬 소리를 낼 수 있었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교회나 세속적인 의식에도 cornet (작은 뿔피리) 를 대신하여 trumpt을 사용하게 되어 Dmajor의 메시아를 作曲했다고 본다. The period of Baroque music generally ranged from the late sixteen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Reviewing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inadequate and scanty reveals of human being's infinite emotion with Polyphonic styles in Renaissance resulted in introduction of new types of expression. Thus new ideas of expression had been raised in the history of music, for example, early Florence school's Monody style of Jacopo Peri (1561-1633) and Giulio Cacini (1545-1618) modes. The true shape of Baroque style appeared in parallel with Claudio Monteverdi (1567-1643), a dramatic music master, and its central arena was in Italy. The historic aspect that Western music has been close connection with religion and political ideas in fact indicates the firm coincidence of music with religion and politics. Originating in Mass and Office of the medieval age, oratorio was born through liturgical drama to religious Lauda. And it was completely written in the age of Fillipo Neri (1515-1595). Emilio del Cavalieri (1550-1602). Giacomo Carissimi (1605-1694). Heinrich Schu¨tz (1585-1672), during the sixteenth century, then reaching the summit in the life of Georg Friedrich Ha¨ndel (1685-1759). Ha¨ndel who became an English from Germany could represent himself with oratorio 'the Messiah' in 1742. By receiving an oratorio chorus in the aria part of Italian opera, his music was absorbed in the civil society of England with no difficulties. Furthermore, it evoked much sympathy to the citizens who had the elitism, for they were already familiar with chorus inserted in the services. His talents as a musician appeared in tonality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in the Messiah. Indeed, the work is one of the greatest music modes which human beings may have, thanks to epic and fairly silent expressions. From the results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uld again seize the true meaning that Serauky (1903-1959) called the Messiah as a D major. And the D major instrument trumpet which was popular in those days might be mainly used, since the instrument could have strong, beautiful and rich sounds, taking better harmony with architectures of the age. In this regard, the Messiah of D major seemed to be written, for church or secular ceremonies adopted trumpet, instead of a small burgle cornet.

      • 이사야서에 나타난 메시아 사상

        이재경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75

        전통적으로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은 이사야서의 여러 구절들을 메시아적 약속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왔다. 18세기 역사비평의 등장과 함께 학자들은 제1, 제2, 제3이사야 각각의 관점에서 원 자료들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고, 대부분의 학자들은 주전 8세기 예언자 이사야가 표출한 메시아적 희망을 쉽게 믿지 못하였다. 이러한 영향아래 최근의 연구들 가운데 일부 학자들은 이사야서가 하나의 두루마리 속으로 편집되었을 때 이사야서 속으로 들어온 후대의 최종 편집층들이 어떻게 메시아적인 약속을 담은 비메시아적 전승들로 나타나게 되었는가를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사야서 안에 있는 메시아적 구절들에 대한 양식과 기능을 다시 기술하고자하는 이러한 노력들은 열매를 맺어왔고 하나의 전체로서 이사야서에 나타난 그러한 구절들에 대한 새로운 전망과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최근의 연구 동향들을 바탕으로 이사야서 전체(제1 이사야- 7장, 9장, 11장; 제2이사야- 45장, 52-53장; 제3이사야-61장)에 나타난 메시아 사상을 비교 연구하여 이사야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메시아라는 주제적 모티프를 통하여 이사야의 사상적 발전과 하나의 전체로서 이사야서에 나타난 메시아 사상을 연구하는 것이다.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이사야서 안에 있는 메시아적 구절들에 대한 양식과 기능에 대한 새로운 전망과 기술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메시아 사상의 정의를 설명하고, 이어서 연구사 및 연구 방법을 살펴보았다.2장에서는 제1이사야에 속한 본문들인 이사야 7:14, 9:1-6, 11:1-9을 각각 메시아적, 비메시아적으로 접근한 입장들을 살펴보고 그 역사적 배경과 각 본문들의 상호 연관성을 기술하였다.3장에서는 וחישמ (his messiah, his anointed)라고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는 구절이 이사야서 속에서 45:1이 유일한 본문이기 때문에 그리고 현대의 일부 몇몇 학자들이 고레스가 메시아로 표현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이 본문을 선택하여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고레스를 메시아로 보는 입장과 그렇지 않은 입장을 제시하였고 본문에 나타난 고레스의 역할을 토대로 내린 결론은 이사야서는 몇 가지 이유에서 고레스를 메시아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고레스는 앗시리아와 바벨론과 유사한 방식의 메시아로서가 아니라 단지 야웨의 도구로서 쓰임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4장에서는 제2이사야 가운데 이른바 “종의 노래”로 불리우는 네 개의 노래 중에 해석상 가장 난해하며 구약성서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논쟁적인 구절인 소위 고난 받는 종(이사야 52:13-53:12)의 메시아적, 비메시아적 접근과 종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살펴보았다.5장에서는 본문(이사야 61:1-3)이 제3이사야의 대표적인 구원의 메시지로서 제 2이사야에 등장하는 ‘종의 노래’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종의 노래에 등장하는 종의 주체와 본문에 등장하는 기름부음을 받은 자가 누구냐 하는 것이 본문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관건이라 할 수 있는데 오랜 시간동안 본문은 많은 서로 다른 해석을 도출하였다. 본문이 구원을 선포하는 한 개인을 이야기하기 위해 동사 השמ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사야 61:1-3은 많은 관심을 끌어온 본문이었다. 본 장에서는 다른 논의들보다 우리에게 주어진 현재의 최종 본문이 메시아적 해석에 대한 보증을 할 수 있는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를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마지막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였고 또 다른 관련된 논점들을 제시하였다. 이사야 1-39장의 포로기 이후의 편집은 원래 비메시아적으로 여겨지던 일부 포로기 이전 본문의 의미를 변화시켜 왔다. 이러한 포로기 이후의 후대 편집은 예루살렘이 파괴되어 백성들이 그들의 땅에서 쫓겨나 포로로 끌려가게 되었을 때 즉, 왕조가 몰락하였을 때를 회상하게 하여 이러한 본문들을 메시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사야 7:14와 9:16에 대한 원래의 전승들은 분명히 비메시아적인 것이었지만 성서의 최종 형태로 구성되어지면서 메시아적 해석을 보증 받게 되었다. 그리고 종의 신분이 원래 제2이사야의 전승 속에서 분명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사야 52:13-53:12이 성서로 구성되어진 그 형태는 기독교인들이 고난을 받으며 죽임을 당하고 죄를 대속해주는 메시아라는 예수의 관점에서 본문을 읽을 때 다소 모호한 이중적 의미를 제시하게 된다. 또한 이사야 11:1-9과 61:1-3이 원래 메시아적이었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았는지는 확실하게 결정할 수 없는 것이지만 성서의 의도적 편집유형 속에서 역사비평과 다른 방법들을 통하여 이러한 구절들은 메시아적 보증을 얻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Christians and Jews have traditionally interpreted many passages in the book of the Isaiah as containing more messianic promise than any other books. With the rise of historical criticism in the eighteenth century(B.C), scholars tended to focus on the original sources comprising the book in terms of First, Second and Third Isaiah. And most scholars could easily discredit the idea that the eighth century prophet expressed messianic hope. Under these consequences, in more recent studies some scholars have begun to examine how later levels of editing within the book of Isaiah began to present non- messianic traditions as messianic promises when the book was edited into a scriptural scroll. These efforts to redescribe the form and function of passages within the book of Isaiah have already been fruitful. And the new prospects and studies are attempted about such passages within the book of Isaiah as a whole.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amine the Messianism within the book of Isaiah as a whole by way of the thematic motif, which is showed over again throughout the book and to compare the Messianism in the entire book of Isaiah on the base of these recent studies.This thesis is developed as follows. In chapter Ⅰ, to begin with, I proposed new prospects and descriptions of the form and function about messianic passages within the book of Isaiah. And then, I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definition of Messianism, the history of the research, and strategy for this investigation.In chapter Ⅱ, I inspected messianic, non-messianic assessments of Isa. 7:14; 9:1-6; 11:1-9 which pertain to First Isaiah and described historical background and mutual implication of each texts.In chapter Ⅲ, I chose and inspected Isa. 45:1 because Isa. 45:1 is the only text in Isaiah that overtly mentions the phrase וחישמ (his messiah, his anointed), and because a few modern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Cyrus is presented as a Messiah. In this chapter, I proposed reviewed the perspectives that approved Cyrus as Messiah and that disapproved him as such. The conclusion I drew on the base of Cyrus''s role in this text is that the biblical book of Isaiah does not depict Cyrus as Messiah for several reasons. Cyrus functions as YHWH''s unwitting agent as did the Assyrian and Babylonians.In chapter Ⅳ, I investigated the messianic, non-messianic assessments and conventional views of the 'Suffering Servant(Isa 52:13-53:12),' which has inspired the most prolific expositions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among the four songs called ' the Servant Songs' within the Second Isaiah.In chapter Ⅴ, I found that Isa. 61:1-3 reflects the Servant Songs within the Second Isaiah as the Third Isaiah''s representative message of salvation. Throughout the age, Isa. 61:1-3 has elicited many different interpretations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servant himself and that of the Anointed, which would be pivotal illuminating the exact implications. As this particular part of Isaiah uses the verb השמ to speak of an individual who announces salvation, the pericope has evok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is chapter, however, I aimed to show whether this text within the final formation of the book may or may not warrant messianic interpretation.In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aised other related issues. Post-exilic editing in Isaiah 1-39 has altered the significance of some pre-exilic texts that were originally heard non- messianically. These later levels of post-exilic editing look back on the exile when Jerusalem was destroyed, the people were removed from their land and the monarchy was removed, thus providing warrant to interpret various texts messianically. The original tradition of Isa. 7:14 and 9:1-6 were clearly non-messinic, but within their scriptural form warrant messianic interpretation. Although the identity of the Servant may have been explicit within the original tradition of Second Isaiah, the scriptural form of Isaiah 52:13-53;12 provides the ambiguity that functions as a warrant for Christians to read the text in the right of Jesus as their Messiah who suffered, died and made atonement for their sins. While I cannot determine with certainty whether or not Isa. 11:1-9 and 61:1-3 were originally messianic, I have established through historical-critical methods and other contextual methods that, within the pattern of scripture conscious editing, these passages warrant messianic interpretation.

      • Handel의 Messiah에 나타난 Barogue 음악의 특성

        김정욱 경북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62

        Baroque music is usually said to designate the period of style from 16C until 18C since Renaissance. This period has two outstanding Characteristics; The one is the movements of trying to keep balance between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music. The other is the trend to accomplish the tonality and rhythmical unification of music. The common characters of the composers in Baroque period is the vivid and dramatic expressions of idea and emotion by contrasting them strongly. Baroque music shows the conflict between centrifugal force, the freedom of expressions, and the centripetal force that means the other and the regulation in musical works. These tensions and conflicts always lie hidden in all works of art. But especially Baroque composers developed them apparantly and consciously. It is one of the important principles of Baroque music. G. F Handel and J. S. Bach were the greatest composers i n Baroque period. G. F Hdndel was an international musician who was born at Halle in Germany, widened his musical field in Italy, and died in England. He was also the great native composer who was very good at dramatic expressions in opera and oratorio. One of his masterpieces, MESSIAH is a form of oratorio that expressed well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grand Baroque music. It is also the essence of Baroque music consited of BASSD CONTINUO (that represents Baroque music), good expressions of choral music and vocal music that used freely artifice of BEL CANTO and COLORATURA.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idea and characteristics in style of Baroque music by way of Handel's MESSIAH. We can know that MESSIAH is the masterpiece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aroque music and presents the new trend of music of new period. We have studied somewhat slightly Handel's music, even Baroque music itself and frequency of their performance. So we will have to study hard Handel's and Baroque music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for the good performance of them.

      •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합창곡에 대한 효과적인 연주방법 연구

        성미정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2

        Händel(Georg Friedrich Handel, 1685-1759)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baroque music. His most remarkable work as leading music of Baroque period, Oratorio <The Messiah>, well expressed sincereness to God with religious music based on his inner piety. Thanks to this work, Händel established his position as an oratorio composer. Most of all, he placed a priority on chorus and the main melody of chorus. Through Händel’s oratorio <The Messiah>, we are capable of knowing music backgrounds of Baroque period,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as well as finding that performer started to improvise freely. Händel’s <The Messiah> is widely known and loved, composed of 3 parts. Part 1 expresses the rhythm of a piece of dance music and the termination of slow tempo in the last chorus part besides polyphony used freely in chorus as a subject based on prophecy and birth. Part 2 expresses fugue form as a subject concerning suffering and atonement, representing feature that responds to varieties of structural form such as monophony, polyphony, homophony. Part3 expresses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showing the magnificence of the chorus as to fugue form. the lyrics were based on the Bible, particularly, part 3 was based on the New Testament, and the content of the whole lyrics is the search for the origin of God. Today, this song is performed as a chorus as a process to go through chorus conduction, which is a necessary factor for research.

      • 마태공동체의 정황과 마태의 예수

        나원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1

        마태기자로 대표되는 마태공동체는 예수를 메시아 언약의 인물로 이해했다. 마태기자는 족보에서부터 예수, 그 메시아의 정통성 확보를 담지한다. 마태기자는 유대적 메시아의 칭호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예수가 바로 그 메시아임을 선언한 뒤 구약과 신약의 대표적인 선지자들과 예수를 비교하여 예수의 우월함을 선언한다. 이 예수의 우월성은 곧 마태공동체의 우월성이다. 마태기자는 예수를, 다윗의 왕권을 가지고 오는 이로, 선지자들 중의 선지자로, 대제사장으로 이해했다. 대제사장으로서의 예수는 “단번에”, “영원한 속죄”를 드린다. 마태의 예수는 가르치는 사역을 통해서도 메시아로 인정된다. 마태공동체는 예수를 율법의 완성자로 이해했다. 율법에 관해 상반된 진술들은 곧 마태공동체 내에 율법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가진 그룹들이 있었으며 그 그룹들이 갈등상황에 있었음을 입증한다. 공동체 내에는 모세율법의 완전 준수를 주장하는 극단적 율법준수 그룹과 모세율법의 완전폐기를 주장하는 극단적 율법폐기 그룹이 있었다. 마태의 예수는 이양극단을 다 경계하면서 자신이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완전케 하러 왔다’고 선포한다(마4:17). 예수를 율법의 완성자로 보는 그룹은 예수가 그 율법의 완성자임을 주장하고 율법의 ‘준수’나 ‘폐기’가 아니라 ‘완성’을 제시하는데 마태의 예수는 율법의 완성자로서 율법을 해석한다. 예수의 새로운 율법해석을 통해 마태공동체는 공존을 모색한다. 율법의 완성자인 예수는 또한 종말의 완성자이다. 무화과나무의 비유와 달란트의 비유, 열 처녀 비유 등은 마태공동체에 있어 예수의 종말론적 출현이 시간적으로 근접해 있음을 나타낸다. 종말은 임박했지만 그 날과 때는 아무도 모르는 상황에서 마태공동체에 요구되는 것은 “깨어 있는것”이다(마25:42). 종의 비유, 열처녀 비유, 달란트 비유, 양과 염소의 비유 등 모든 비유의 단락에서 마태기자는 결국 마태공동체는 대외적으로 는 우월성과 정통성을 강조하고 내적으로는 공존을 모색한다. 마태의 예수는 또한 종말의 완성자이다. 성령을 힘입어 이루어지는 축사행위, 복음의 전파, 이적을 행하는 능력, 죄 사함의 권세 등은 사탄의 통치가 예수에 의해 종결되고 동시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다는 것으로 구원의 현재성을 말해주는 동시에 예수가 곧 종말의 완성자라는 것이다. Matthew community which is represented by Matthew, the author of the Gospel of Matthew, understood Jesus as promised Messiah. Matthew, from the genealogy of Jesus, intends to attain the orthodoxy(legitimacy) of Jesus' Messiahship. After he proclaimed Jesus as the very promised Messiah by properly disposing the Jewish titles of the Messiah, Matthew declares the supremacy of Jesus compared to other outstanding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is supremacy of Jesus means the supremacy of the Matthew community. Matthew understood Jesus as the king of David's line, the prophet of the prophets, and the high priest. Jesus, as the high priest, offered himself as an atonement "once" and "for eternity." Matthew's Jesus was also recognized as Messiah by his ministry of teaching. Matthew community understood Jesus as the one who fulfilled the Law. The contradicting statements about the Law show that there were groups that hold contrary views on the Law within the Matthew community and they were in conflict. There were extreme legalistic groups who insisted the complete observation of Mosaic laws and the other extreme abolitionist group that persisted in the complete abolishment of the Mosaic laws. Matthew's Jesus, watching out both two extreme views, declared that he 'had come to fulfill them'(Matt. 5:17) not to nullify the laws or the prophesies. Those who see Jesus as the one who fulfilled the Law insist that Jesus is the fulfiller of the Law and suggest the 'fulfillment' of the law neither the 'observance' nor the 'abolition'. And Matthew's Jesus interprets the law in terms of fulfillment. Through Jesus' new interpretation of the law, Matthew seeks for the coexistence. Jesus, the fulfiller of the law, is also the fulfiller of the eschatology(or end). Those parables of fig tree, Talent, and the ten virgins, etc. tell the Matthew community that the time for Jesus' eschatological advent is near at hand. Matthew community is required "to keep watch" because nobody knows the day or the hour though the end is impending(Matt. 25:13). In all the passages about the parable of the tenants, the ten virgins, the talents, the sheep and the goats, Matthew ultimately emphasizes the supremacy and orthodoxy of Matthew community Matthew's Jesus is also the fulfiller of the end(or eschatology). Exorcism empowered by the Holy Spirit, preaching the Gospel, the performance of miracles, authority of forgiving the sins, etc. tell the reality of salvation in that the Satan's dominion is terminated by Jesus and God's kingdom has come and, at the same time, they also tell that Jesus is the fulfiller of the end(or eschatological fulfil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