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이커머스 OTT 교육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태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6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보급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 시각 콘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화 시대에 있어 다양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미용 산업에서도 OTT 서비스를 이용한 교육 및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오는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과 더불어 언제든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헤어트랜드 및 기술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필수 전략이 되고 있으며 개인의 실무능력을 빠르게 성장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서비스교육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OTT 서비스교육을 시청한 경험이 있고,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들에 한하여 10대~50대 남녀를 편의추출 하였으며, 설문지 606부(97.7%)를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OTT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이 유의한 경우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는 비모수 검정(Kruskal-Wallis의 H)을 실시하여 같이 제시하였다.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활용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5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의 직무활용, 직무성과와 교육만족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은 직책(F=12.490, p<.001), 학력(F=5.281, p<.001), 근무기간과(F=6.190, p<.001) 연령(F=3.133,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직책(F=27.630, p<.001), 근무기간(F=21.288, p<.001), 연령(F=16.579, p<.001), 학력(F=7.105, p<.001)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만족도는 직책(F=14.841, p<.001), 근무기간(F=5.789, p<.001), 학력(F=4.413, p<.01), 연령(F=3.020,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둘째, 프랜차이즈 미용종사자의 OTT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OTT 교육특성은 교육만족도(r=.83, p<.01), 직무활용도(r=.82, p<.01), 직무성과(r=.66,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은 교육만족도(r=.80,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도(r=.76, p<.01)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정보성(=.2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26), 신뢰성(=.22), 유희성(=.18)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OTT교육특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2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26), 유희성(=.24), 정보성(=.17)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성과를 독립변인, 교육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781.89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는 .57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B=.68, t=27.962, p<.001)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 하위요인 직무할당(B=.23, t=4.720, p<.001), 업무수행(B=.45, t=9.134, p<.001)는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향력을 살펴보면 업무수행(=.51), 직무할당(=.23) 으로 업무수행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절대적합지수의 경우 값(=189.538, df=38)의 p 값이 .000로 ‘모형은 자료를 완벽하게 설명한다’ 라는 영가설이 기각됨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에 충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절대적합지수 중 RMR .01, GFI .94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고,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가 .97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으며,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8으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또한 상대적합지수(CFI) 역시 .98로 기준치(≥0.9)를 충족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에 경로계수.91(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활용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49(p<.001)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28(p<.01) 나타남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경로계수.32(p<.001) 나타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종사자들의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책에서 OTT 교육특성의 (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편의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TT 서비스교육을 통해 미용 종사자들에게 알맞은 차별적인 시각적 전략과 최신트랜드 컨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교육특성을 활용하여 미용종사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ing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society. With the advent of OTT services that focus on visual content, various and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obtain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education and marketing using OTT services are naturally being used in the beauty industry. Along with offline educ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the past,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at any time is an essential strategy to quickly learn various hair trends and technical information flow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service education for franchise beauty worker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to 50s were conveniently extracted only from franchise beauty worker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606 (97.7%)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6.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T usage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OTT education performance, job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If the variance analysis is significant, a post-analysis was conducted, and a post-test of Scheffe was conducted in the post-analysis.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normality and equality, we conducted a nonparametric test (H of Kruskal-Wallis) and presented it togeth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utiliz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utilization (F=12.490, p<.001), academic background (F=5.281, p<.001). Job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27.630, p<.001), working period (F=21.288, p<.001), age (F=16.579;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14.841, p<.001), and age (F=3.05, 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83, p<.01), r=.82, p<.01).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76, p<.01). Third,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showed that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job utilization. O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ve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ranking that affects job performance has the highest convenience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s, followed by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 convenience (=.2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iability (=.26), playability (=.24), and informationability (=.17) Fourth,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icians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ob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education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F=781.894, p<.001) model had a modified coefficient (Adj) of .57. Job performance (B=.68, t=27.962,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sub-factor job assignment (B=.23, t=4.720, p<.001) and job performance (B=.45, t=9.134,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Looking at its influence, it showed a high impact on work performance (=.51) and job assignment (=.23).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it is the p-value of the absolute fit index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189.538, df=38).In 000, the English hypothesis that "the model explains the data perfectly" was rejected, which does not meet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However, RMR.01, GFI.94 of the absolute conformity index met the reference value, and in the case of incremental conformity index, the standard conformity index (NFI) met the reference value (±0.9) with .97, and the comparative quasi-conformity index (IFI) was .98. The relative fit index (CFI) is also .98, which meets the reference value (±0.9),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TT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with a path coefficient of .28 (p<.01). Job performance is a route factor of .32 (p<) for educational satisfaction.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differed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iability, playability, convenience) in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eriod, and responsibilities of franchise workers.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by utilizing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that focus on discriminatory visual strategies suitable for beauty workers and latest trend contents through OTT service education.

      • 공유된 GPU 클러스터의 효율적인 자원 배분에 관한 연구

        서장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16

        딥 러닝 학습 작업은 상대적으로 비싼 계산 자원인 GPU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이 때 여러 학습 작업이 공유하는 GPU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자원 관리자를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논문은 자원 관리자가 어느 작업에 주어진 자원을 재배정하거나, 그 양을 탄력적으로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시험하기 위해 제작한 시험적 구현체가, GPU들을 정적으로 분할하는 스케줄러에 비해 GPU 활용률과 전체 워크로드 처리에 걸린 시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 사례를 제시한다. Deep learning training jobs utilize GPUs, which are relatively expensive resources on today’s computing clusters. It is common to introduce a resource manager which governs multi-tenant GPU cluster shared among multiple jobs. This paper presents a protocol in which a resource manager can dynamically relocate a job to another set of resources, or elastically shrink or grow its resource usage. This paper also presents a case where the prototype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outperforms a statically-partitioning scheduler in terms of GPU utilization and overall workload completion time.

      • Deadline-guaranteed cloud resource allocation for cost minimization

        신새미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15849

        Cloud computing is computing in which large groups of remote servers are networked to allow centralized data storage and on-line access to computer services. Cloud computing providers install and operate application software in the cloud through Software as a Service (SaaS) model. Cloud users access the software and utilize the services by cloning tasks onto multiple virtual machines (VMs). In recent years, offering high-performance computing capacity reminds cloud providers to utilize resources fully due to limitation of resource. Enhancing resource utilization is also essential for achieving cost effectiveness. In addition, SaaS applications support various services such as email, FTP, and multimedia services. Each service has different delay requirement. Multimedia service has relatively low delay requirements among these applications. Therefore, cloud service providers service their types of VM to fit different use cases and select a proper VM to be fit the purpose. While users want to be guaranteed deadline of their request, they also want pay minimization. Therefore, in this thesis, we propose the deadline-guaranteed cost minimization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to enhance both deadline guarantee and resource utilization. We modified Approximation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and apply the modified conservative backfilling.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score all the jobs arrived at the data center (DC) and sort the jobs in ascending order to serve high priority job first. After that, we select VM for cost minimization. When there is no resource to service, the proposed algorithm then select the largest possible backfill job as guaranteeing deadlin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in terms of resource utilization and deadline guarantee also cost minimization. 클라우드 상에서 최근의 고성능 컴퓨팅은 자원의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한 자원 활용 최대화의 중요성을 상기시켰다. 또한, 자원 사용률의 강화는 비용 효율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SaaS 모델은 email, FTP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특히 엄격한 지연 시간을 요구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른 VM 을 제공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자원을 선택해야 한다. 사용자들은 서비스의 데드라인을 보장받음과 동시에 최소의 비용을 지불하기를 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데드라인 보장 및 자원 사용률 향상을 위한 사용자 비용 최소화 자원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Earliest Deadline First (EDF)와 Largest Weight First (LWF) 스케줄링을 적용하여 Conservative 백필 알고리즘을 수정하였다. 또한, Approximation 자원할당 알고리즘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데드라인 보장을 위해 수정 된 Conservative 백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은 데이터 센터에 도착한 모든 태스크에 대해 데드라인에 따른 우선순위 점수를 부여한 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다. 사용자 비용 최소를 위한 자원을 선택 하는데 만약 서비스 가능한 자원이 없다면 백필 가능한 태스크 중 다른 태스크의 데드라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크기가 가장 큰 태스크를 선택하여 우선 서비스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자원 사용률, 데드라인 초과율 및 사용자 비용 최소화를 위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 일·가정 양립 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임미영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15642

        Korea has gone through the high-level of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diverse social institutions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us, the family system as the basic unit of society also showed considerable changes like the increase of ‘dual-income family’ and the generation of new social issues such as childbirth, childcare, and child educ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a critical mind that the double burden and role conflict of individuals within work and family would have negative effects not only on the relevant person’s life and health, but also on th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corporate aspe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members’ perception in the aspect of awareness, util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 member’s perception in the aspect of awareness, util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i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basis for introducing and improving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to the organizations besides the government by suggesting the measures for the members of organization to actively utilize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without burdens, and also for organizations to prevent the breakaway of excellent employees and also to make them feel immersed in their organization. Targeting the head office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including the Fund Management Center) and its 109 branches in the whole nation that was one of the family-friendly certified institutions initiatively performing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from 2008, and the organization members working for the Disability Screening Center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Center, this study analyzed total 252 questionnaires by using the online survey from March 27th 2019 to April 5th 2019. For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5.0 win ver., th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Cronbach’s α confidence coefficient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wareness of the system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ll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ffiliation, age, sex, marital status, matter of children, and position. The utilization of the system showed th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ffiliation, age, marital status, matter of children, and position except for sex. The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the mean differences only in age and position while the job characteristics also showed th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only in age and sex. Second, when the awareness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was higher, when the system was actively utilized in various areas, when the organization members perceived that they ha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would be great for utilizing the system, and when the organization members perceived it as the job characteristics favorable to utilize the system, it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made the strategic/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 members’ awareness, util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and then effectively improv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First, in the aspect of awarenes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awareness of other systems and the width of information provision by providing activities for increasing the awareness of systems to all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also selectively promoting the highly-interested systems. Second, in the aspect of utiliz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ystem itself and the expertise of the staffs in charge of operating the system could be easily used and applied for. Third,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t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ctively supports and considers the employees who should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d job environment again after completing the utilization of the system. Fourth, in the aspect of job characteristics, it would be needed to have the strategic approach to the personnel management to minimize the work vacuum by transitionally arranging the proper manpower in the proper time based on the job evaluation/profile while securing the labor pool that could complement and replace the relevant job through the ordinary strategic manpower planning.

      • 판매원 교육의 업무활용도 및 관계몰입이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전자를 중심으로

        최수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15595

        본 연구는 A전자가 실시하고 있는 매장 판매사원 교육이 업무활용도와 고객과의 관계몰입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장기적인 성장과 존속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접점 판매원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전자 판매원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생 만족도는 어떠한지, A전자 판매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판매원 교육, 업무활용도 및 관계몰입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A전자의 판매원 교육 프로그램이 업무 활용도 및 관계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A전자 판매원의 관계몰입이 생산성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A전자의 판매원 3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41부의 유효 설문을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 목적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판매원 교육 프로그램의 교과목 중 내용 만족도가 가장 큰 교과목은 기본고객응대기법과 소속감 및 팀웍강화 교육이었으며,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유지에 가장 크게 기여한 교과목으로는 제품 교육인 자사상품의 이해로 나타났다. 강의식과 시청각활용 교육이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었으며, 판매상담사의 비전과 역할에 대한 교육을 판매원들은 가장 필요한 교과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 근무연수 중 성별과 연령이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업무활용도 및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판매원 교육프로그램은 교육 후 업무 활용도와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활용도가 가장 높은 교과목은 자사상품의 이해, 세일즈 시나리오 작성 실습 순이었으며, 관계몰입 향상에 기여한 교과목은 기본고객 응대기법, 자사상품에 대한 이해 순이었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강의식 교육과 시청각 활용부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판매원의 업무 활용도 수준은 높아지며, 강의식, 시청각 활용 교육, 토의 및 발표 교육 부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과의 관계몰입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 수록 판매사원의 업무 활용도와 관계몰입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판매원이 관계몰입을 지향할수록 매출액 및 관계몰입된 고객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판매원은 교육 프로그램 중 전반적으로 마인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판매원이 소속감 및 팀웍 강화 교육, 판매상담사의 비전과 역할 교육 등을 통해 업에 대한 자부심과 비전을 제시받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특히 성별과 연령대를 고려하여 판매원 교육 프로그램 설계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여성들의 집중과 흥미를 끌어낼 수 있으며, 20~30대의 젊은 연령층에게 익숙한 매체인 시청각 자료들을 활용하여 컨텐츠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20대와 근무연수 1년 미만 판매원의 업무활용도와 관계몰입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을 위한 회사 차원의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판매원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이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과목들이 고객과의 장기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도가 높을수록, 판매사원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수 후 업무 활용도와 관계몰입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제품지식습득과 관련한 자사상품의 이해 교과목의 내용 만족도가 판매사원의 업무 활용도와 관계몰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강의식과 시청각 활용 교육이 업무활용도와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육프로그램 설계시 참여형의 무조건적인 적용보다는 교육 내용에 따라 교육 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넷째, 판매원이 고객과의 관계몰입을 지향할수록 생산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육담당자들은 판매원들이 교육을 통해 관계몰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 성과 창출에 있어 스스로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함으로써 치열한 경쟁 상황에 처해있는 현 소매유통 환경에서 판매원, 소매업체, 기업으로 하여금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 Differences in Health Insurance, Employment Prospects and Health Service Use: Evidence From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Analyses of U.S. Legal Permanent Residents

        Kibibi, Niclette Ilibagiza The University of Iowa ProQuest Dissertations & Th 2023 해외박사(DDOD)

        RANK : 199193

        Compared to people born in the U.S., immigrants generally are employed in low quality and low paying jobs that do not offer health insurance. They are also known to not have a set place where they can get routine treatment. This is troubling because it suggests that immigrants are more likely to be poor and less likely to receive crucial preventative care to sustain long term health. However, some have backgrounds, such as high education, income, job trainings and legal documentation that help them overcome challenges in accessing good employment and healthcare. In this study, I wanted to know if differences in immigrants' visa types affect their chance of getting health insurance, employment, and treatment from an inpatient or outpatient facility. I also wanted to know if immigrants doing jobs that require different skill levels have different chances of getting health insurance. I found that the type of visa an immigrant has can affect opportunities of getting insurance, employment and getting treated at both inpatient and outpatient centers. Health insuranc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whether immigrants with different visas received treatment. Immigrants with the diversity visa were least likely to access these resources, thus, should be prioritized when intervening. Working in either medium or low skill jobs reduced chances of getting health insurance. This knowledge can help lawmakers better understand the immigrant population and their unique needs. Lawmakers can reference these results to decide whether to remove laws that prevent certain groups of immigrants from accessing healthcare and employment. .

      •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직무만족도

        최은오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1759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erception,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in multimedia utilization so that the future use of various multimedia programs by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tools were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questionnaires about child teachers' perception of multimedia use, status of multimedia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193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ept for those that were not recovered and those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nfant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multimedia use in their percep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Second, a study on the status of multimedia utilization by infant teachers found that multimedia utilization is used more than multimedia except when it is used for a meeting with multimedia parents. Third, the results of studying job satisfaction among infant teachers showed that most infant teach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duties. According to a study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infant teacher's percep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the more positive the teacher's percep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a study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status of multimedia use by infant teachers, the more teachers who use multimedia,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It is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multimedia use by infant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o require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arious multimedia and programs i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ensure that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environment is enhanced so a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fants. There is a limit to this study that the subjects of study are limited to infant teachers and that the criteria for multimedia are very broad. Research on multimedia utilization at home, multimedia perception by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are needed by expanding the target to parents or prospective infant teachers that can affect infants. Research is also needed to find out which media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f the media is distributed to a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by examining which media is used a lot among various multimedia and what are the pros and cons of the media.

      • 언론인의 취재 자율성이 직업만족도·탈진·보도윤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 언론인 재교육 유용성의 매개효과

        조을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84553

        본 연구는 언론의 위계적 조직문화 속 언론인의 취재 자율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침해되고 있고, 이는 언론의 다양한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식을 갖고 언론인의 취재 자율성에 주목했다. 종속변수로는 언론인과 언론 조직의 건강성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한 지표로 직업만족도, 탈진, 보도윤리 인식을 설정하였다. 즉, 본 연구는 언론인의 취재 자율성이 직업만족도, 탈진, 보도윤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언론인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재교육을 중요한 변수로 제시했는데, 재교육을 경험한 언론인은 그렇지 않은 언론인에 비해 직업만족도, 탈진, 보도윤리 인식이 높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나아가, 조직에서 취재 자율성이 높은 언론인은 재교육 기회 증진과 재교육에 대한 학습 동기 강화로 재교육 유용성이 높아지고, 재교육 유용성이 높아질수록 직업만족도, 보도윤리 인식은 높이고, 탈진은 낮아짐으로써 재교육 유용성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다만, 언론인의 재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거의 없는 만큼 탐색적 연구 차원에서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전국 언론인 2,0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15회 언론인 조사 <2021 한국의 언론인> 데이터를 PROCESS Macro와 SPSS 29.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언론인의 취재 자율성이 높아질수록 직업만족도와 보도윤리 인식은 높아지고, 탈진의 모든 하위요인 수준은 낮아졌다. 재교육을 경험한 언론인은 그렇지 않은 언론인보다 직업만족도, 보도윤리 인식이 높고, 탈진의 하위요인인 직업효능감 결여와 냉소주의 수준은 낮았다. 나아가, 언론인이 인식한 재교육 유용성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 보도윤리 인식은 높아지고, 탈진의 하위요인인 직업효능감 결여와 냉소주의 수준은 낮아졌다. 이에 언론인의 재교육 유용성 인식은 취재 자율성과 직업만족도, 보도윤리 인식, 그리고, 탈진의 하위요인인 직업효능감 결여와 냉소주의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현장에서 쉽게 침해되거나 간과되는 언론인의 취재 자율성과 재교육에 주목했다. 특히, 재교육과 다른 변수들 간의 실증적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전국 언론인을 대상으로 한 충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취재 자율성과 재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규명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연구적, 실무적 가치가 있다. 언론인이 조직 내외에서 높은 취재 자율성을 갖되, 유용성 있는 재교육을 통해 높은 전문성과 책임감을 지닌다면 언론인 개인의 직업만족도, 탈진, 보도윤리 인식 개선에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언론 조직 전반이 건강하게 성장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restrictions on journalists' autonomy within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ress.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journalists' autonomy in reporting 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In addition, retraining which enhances journalists' professionalism, is proposed as an important variable. It is hypothesized that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retraining will have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lower burnout, and a higher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journalists with high autonomy in the organization will have increased opportunities for retraining, leading to higher perceived utility of retraining. As the perceived utility of retraining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will also increase, while burnout will decreas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perceived utility of retraining will mediate these effects. Thi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as journalists' autonomy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also increase, while all subfactors of burnout decrease.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retraining show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and they exhibit lower levels of burnout subfactors such as a lack of job efficacy and cynicism. Moreover, as journalists' perceived utility of retraining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increase, while burnout subfactors such as a lack of job efficacy and cynicism decrea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journalists' perception of the utility of retraining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perception of reporting ethics, subfactors of burnout such as a lack of job efficacy and cynicism.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utonomy of journalists and the importance of retraining, which are often easily overlooked in this field. Particularly, given the scarcity of empirical research on retrain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is study provides precious insights both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