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綜合軍需支援에 관한 IDEF0 모델링 適用

        김경태 韓南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論文에서는 綜合軍需支援業務의 11대 支援要素에 대해 CALS 具現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CALS의 프로세스 모델링 標準方法으로 채택된 IDEF(Integrated DEFinition)를 綜合軍需支援要素에 適用하여 現在모델(AS-IS Model)을 작성한 다음, 이를 分析하여 現在 모델의 문제점과 그 改善사항을 提示하였다. 본 論文을 통해서, 綜合軍需支援業務에 대하여 명확하게 알 수 있었으며, 綜合軍需支援要素檢討 및 반영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業務節次가 단순하게 정리되고 도식화될 수 있다는 점을 確認하였다. 現在 모델로부터 技能의 統合 또는 移管이 可能한 경우를 提示하였으며, 武器體系 獲得에 따른 綜合軍需支援要素의 漏落事項을 防止하고, 檢討部署의 規定과 分析技法을 통하여 軍需支援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提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향후 國防CALS 화가 보다 활성화 됨으로써 綜合軍需支援을 위한 改善모델의 提示는 물론이고, 國防業務 전반에 걸쳐서 IDEF 방법론이 다양하게 活用되도록 發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the problems of current ILS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process using an AS-IS model produced by applying IDEF0 methodology to ILS, and to propose a TO-BE model. In this research, 11 elements of ILS are reviewed and combined into 6 functions for IDEF0 function model. In this process, the business flows of ILS are clearly mapped into IDEF0 diagrams in the AS-IS model. After each diagram in AS-IS model is reviewed and each function in the diagram is analyzed, a TO-BE model is created by rearranging a few functions and combining them into new functions. There are several potential advantages to this research. First, business process of ILS can be clearly defined. Second, business process of ILS can be simplified if the suggested TO-BE model is adapted. Third, what functions can be combined and/or rearranged are clearly represented.

      •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재설계 시 상황정보를 활용한 공간분석방안에 대한 연구

        고득호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1

        유비쿼터스 컴퓨팅기반의 정보시스템 구축은 H/W와 S/W융합의 관점에서 구현 되어져야하며 이를 수행함에 있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혹은 하부시스템)의 능동적인 작동, 지능공간의 개념, 그리고 상황정보의 식별과 상황정보에 따른 상이한 서비스의 제공 등을 특히 중요한 요소로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BPR방법론은 프로세스 중심의 방법론으로 상기 유비쿼터스 컴퓨팅기반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요소들을 감안하지 않음으로 실제 시스템구축 사업 시 적지 않은 서비스 오류 및 추가장비 도입으로 인한 수행비용 증가가 발생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BPR-USS 방법론수행의 내부 절차인 공간분석방안에서 제시되지 못한 상황정보에 대한 명확한 표현과 이를 활용한 새로운 공간분석방안을 IDEF0모델링기법을 활용하여 제시하고 To Be모델에 대한 타당성분석방안을 기기간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사례검토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에 대한 분석,검토를 실시하였다. 지능공간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시스템 활동(기능)들에 의하여 그 내용이 결정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활동들을 제어하는 제어요소(Control)로 상황정보를 활용, 상황정보에 따른 패턴(Rule)의 형태를 정의하였고 해당 패턴(Rule)에 의하여 동일한 활동임에도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공간분석 시 제시된 데이터스키마를 활용하게 되면, 각 분석 데이터간 정합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특정관점에서 타당성분석을 수행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must be implemented by fusion concept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important elements for above information systems are such that the active machines for services and the conceptual smart space and identifica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special services depended on contextual information.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method which is oriented to process for developments of information system will make over-costs and some faults in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accurate defini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new method for space analysis using IDEF0 modeling and method of validity(an aspect of interoperability) for To-Be smart space in constrast to BPR-USS(BPR for ubiquitous smart space). This study also provide results of case study. This study defines the format of the rule by contextual information and verify the differential service by rule in spite of same activity. The services provided in smart space depend on activity, this study used contextual information for control factor in that activity. And space analysis by using proposed data scheme may guarantee integrity for each of analysis data and can do validity at a specific views.

      •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 개발 : 대규모 건축프로젝트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안두용 아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0

        최근 진행되는 건설 프로젝트들은 주택단지나 공장, 연구시설 등 대규모로 건설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총 공사비 100억 이상 공공 건축물에 대해 VE(Value Engineering, 가치공학)를 시행하고 있지만 대규모 건축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민간 발주자는 사업비가 많아지다보니 비용절감과 기능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VE 적용을 자발적으로 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발주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VE는 아직까지 시행여건이 미성숙하여 효율성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VE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현황이다. 기존 설계 또는 시공 VE는 프로세스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업무적용을 위한 표준양식(Template)이 부족하고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 정책단계가 없으며 검증 절차의 미흡 등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은 VE를 수행함에 있어 컨스트럭터빌리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VE 프로세스 모델은 각 단계별 기능을 정의하고 기능간 체계적인 연계를 IDEF0 모델을 통해 제시하여, VE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VE가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의 핵심요소인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사의 VE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VE보다 다양한 항목의 아이디어 및 대안제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기존 VE 대비하여 확실한 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을 구성하는 4가지 구성요소를 토대로 각 요소별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과 이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의 VE를 추진하는 발주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절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을 통하여 발주자가 프로젝트의 공사기간과 공사비 절감금액, 건물의 기능향상, 건물 전반적인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 등을 고려하여 평가된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IDEF0 방법론을 활용하여 상호연관 되는 업무프로세스별 세부적인 단계까지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해당 기능과 역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는 세부적인 업무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업무분석과 실제 적용시 일관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실제 대규모 건축프로젝트 사례에 본 IDEF0 기반의 VE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개선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 정책수행단계를 제안하였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지원하는 각종 표준양식(Template)을 개발하였으며, 시공사의 VE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안의 다양성을 넓히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였고, 파일럿(Pilot)시공 등 검증 절차를 보강하여 컨스트럭터빌리티 향상을 위한 VE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건설프로젝트의 원가절감과 기술력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고 판단되며 학문적 관점에서는 기존 VE 프로세스의 개념적 전개과정을 확장시켜 IDEF0 모델개발을 통해 투입요소(Input), 산출물(Output), 제어요소(Control) 등 세부 기준을 정립하여 VE와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개발

        황영규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1

        Aged housing,unlike remodeling projects has the requirement of having to demolish the existing structure before a building can be built. In the process, there is a large quantity of construction waste produced, which must be disposed of in an environment-friendly way. There have been increasing regulations for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managing the waste, and certification of building materials. Such regulations have called for toughening of the requirements in remodeling and demolition. The studies that have been made on aged housing demolition have focused on productivity improvement in demolition. However, in order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laws and regulations on demolition waste, a new method managing and handling the waste at the construction site. In this respect,this study has focused on developing an environ ment-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process model for ecological disposal of construction waste. This will reduce the schedule growth, cost overrun, and having to rework, which are the results of a lack of systematic demolition planning. It will enhance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safety for the workers in the demolition work. Sorting the waste materials and recycling them will increase the rate of recycling and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o meet the current stringent waste management regulations,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what the environment-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process model calls for. First, prior to actual demolition, a demolition drawing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work breakdown structure, which will set the scope of demolition and allow sorting out the waste materials. This will, in turn, enable the user to access accurate information on the disposal, landfill, and recycling and to gather information in advance work details. Second, it defines the demolition activities and draws a diagra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through the IDEF0 process model and allows systematic demolition work. The output data of the IDEF0 can be utilized in demolition and repairs and maintenance work, and remodeling. Third, the process in which the waste is sorted and disposed of is included in the process model, and the waste materials can be sorted out and recycled that are produced in the demolition process. This will reduce the waste disposal costs and increase the rate of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This study has used several case studies of housing and used a simulation in an environment-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process model and quantitatively produced the effects of improvement. The value that is offered by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the study uses an environment-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process model, offering economyand safety and inducing environment-friendly project management for the ultimate purpose of environment-friendly remodel -ing. If we restate the anticipated benefits that are suggested i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y would consist of primary (inside elements) and secondary (outside elements) benefits in improvement. The primary benefit is the improvement in the remodeling demolition management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securing of safety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in demolition work. The secondary benefit is reduction of waste materials, reduction of waste disposal costs, mana -gement/supervision by the plan and drawing, inducement of enhancement of technology and improvement in technical expertise, improvement in technical and economic factors, and saving of resources and recycling, reduction of contaminants, complaints about safety and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user's trust in the demolition process, and promotion of remodeling policy, and improve -ment in other social and industrial factors. 노후 공동주택으로 인하여 주거환경 악화, 설비 노후화로 인한 건축물의 성능저하, 구조성능의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므로 노후 공동주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고, 2006년 말 국토해양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향후 5년이내에 15년이상 되는 노후 공동주택의 수는 277만세대 이상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노후 공동주택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사업추진의 용이성 때문에 재건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천연골재의 부족, 폐기물 발생으로 인한 자연환경 파괴, 국가적 자원의 낭비, 재건축 단지 인근 지역의 전세대란 초래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재건축을 추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리모델링을 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정이 선행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건설폐기물이 발생하며 이의 친환경적인 처리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져가고 있다. 최근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순환골재 품질인증 및 관리에 관한 규칙」등 폐기물 관련법이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발표되고 있으며 리모델링 철거공사 시 발생하는 폐기물 역시 관련법에 따라 처리되고 관리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철거공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철거공사의 생산성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폐기물 관련법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친환경 철거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설폐기물의 현장차원의 관리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폐기물의 친환경적인 처리를 위하여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현행 체계적인 철거공사 계획의 미흡으로 발생하는 공기 및 비용, 재작업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철거 중 발생 할 수 있는 구조안전 및 작업자의 안전이 고려된 철거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분리철거를 통해 철거자재의 재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행 철거방식으로는 최근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순환골재 품질인증 및 관리에 관한 규칙」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거작업 전 리모델링 철거도면을 작성하여 철거 WBS(Work Break -down Structure)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고 철거작업의 범위와 철거도면에 의해 분리철거를 하므로 폐기물의 소각, 매립, 재활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파악되고 상세 작업내용을 사전에 숙지토록 한다. 둘째, 철거작업의 Activity를 정의하고 각 Activity간 상호 연계를 IDEF0 프로세스 모델로 도식화하여 각 작업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철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IDEF0의 Output 자료를 철거공사와 후속 공정인 보수보강공사와 리모델링 본 공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셋째, 폐기물이 분리 철거되는 과정을 프로세스 모델에 포함시켜 리모델링 철거시 발생되는 폐기물이 선별/분리되어 장외반출 되도록하여 기존의 철거방식인 선철거 후 분리 방식에 의한 폐기물 중간처리 비용을 줄이고 폐자재의 재활용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공동주택을 사례단지로 선정하여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용하고, 그 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물들이 갖는 궁극적인 가치(Value) 및 연구의 의미는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여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환경친환적인 공사관리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친환경 리모델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다시 결론화하여 제시하자면 연구결과물에 의한 1차적인(내부요인) 개선과 2차적인(외부 영향요인) 개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차적인 개선은 리모델링 철거관리 프로세스를 개선시켰다는 것과 그와 동시에 철거공사의 안전성/친환경성을 확보 또는 향상시켰다는 것이다. 2차적인 개선은 혼합폐기물 저감, 폐기물처리비 저감, 계획서 및 도면에 의한 관리/감독, 철거업체의 기술경쟁 유도 및 기술력 향상, 철거 재시공 및 하자 감소 등 기술적/경제적 요인의 개선과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 환경유해요인 감소, 안전 및 환경측면 민원감소, 사용자의 철거과정 신뢰성 향상, 리모델링 정책 활성화 촉진 등 사회적/산업적 요인의 개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노후 공동주택의 주차장 리모델링 계획 기법 절차 모델 개발

        윤보형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0

        Due to the housing shortage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the 1980s and 1990s, the government has supplied mass housing units with the construction policy of 2 million homes. As of 2017, about 9.13 million housing units are in use, about 2.84 million old-age housing units have been in service for more than 15 years, about 2.57 million housing units have been in service for more than 20 years, It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 old housing complexes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facilities and facilities, lack of parking space, and especially in a housing complex built between the 1970s and 1980s, the lack of parking space is very serious. Since the 1980s,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have led to inconveniences for residen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of automobiles. Remodeling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housing complexes. However, remodeling of residential areas such as plan expansion and improvement,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improvement of facility performance is mainly focused, and parking lot remodeling field is more important than parking lot remodeling plan Guidelines and plans are lacking. In the remodeling business of existing apartment hous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 step-by-step and systematic method and procedure model that can support the design of parking lots. Consider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complex, there is no method and formalized index to apply the parking lot extension and main entrance technology step.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ormalized parking lot remodeling planning procedure model by linking the parking lot expansion and main entrance plan so that the parking lot can be systematically planned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complex. In this study, detailed characteristics applicable to parking lot enlargement were analyzed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and planning factors for parking lot remodeling in old apartment complexes. Through the function expansion technique of the technology tree, the parking lot enlargement planning technology was analyzed and derived. Expert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technology tree. Using IDEF0 modeling, we developed a systematic and formalized process to support parking lot remodeling plan by applying parking lot expansion and main entry planning process to process model. We have developed software prototypes developed for the system to validate the developed process and to utilize and use the process in the actual practice. To evaluate the developed programs quantitatively and to prove their accuracy, we conducted a case - control assignment and evaluated appropriateness, usability, and usability based on expert verification. Finally, SWOT analysis summarizes the anticipated effects and limitations of actual use of the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direction to make the actual parking lot remodeling plan considering the planning factors of the complex,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mplex. It provided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basic planning of the remodeling project. It is anticipated that planning design books can be used as guides and review materials. When planning the parking lot of the actual remodeling complex using the developed processes and programs, currently there are functional limitations to support all the various tasks of the designe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tructural, construction and economic factors of the parking lot expansion and main entry technology, if the remodeling elements of the main and main scope are complemented through the linkage, it is expected that the overall remodeling plan will be more effective. 1980∼9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수도권의 주택부족 현상으로 정부에서는 주택 200만호 건설 정책으로 공동주택들을 대량 공급하였다. 2017년을 기준으로, 전체 공동주택은 약 913만호 중 사용연수가 15년을 초과한 노후 공동주택은 약 284만호, 사용연수가 20년을 초과한 노후 공동주택 수는 약 257만호이며 그 수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후 공동주택은 주거 성능 저하, 설비 및 시설의 노후화, 주차공간 부족 등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고, 특히 1970∼80년대 사이에 지어진 공동주택 단지에서는 주차공간 부족이 매우 심각하다. 198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발달 및 경제 수준 향상으로 인해 자가용 보급률의 증가로 주민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극심한 주차난을 겪고 있다. 노후 공동주택 단지의 주거 환경 개선 방안으로 리모델링 제시되고 있지만, 평면확장 및 개선, 구조체 보강, 설비성능의 향상 등 주호·주동 차원의 리모델링이 위주이고, 주차장 리모델링 분야는 중요도에 비해 주차장 리모델링 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이나 계획안 등이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사업에서 주차장 계획설계 지원이 가능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 모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고, 기존 단지의 조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주차장 확대 및 주동 진입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과 정형화된 지표는 부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의 조건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주차장을 계획할 수 있도록 주차장 확대 및 주동 진입 계획을 연계하여 정형화된 주차장 리모델링 계획 절차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노후 공동주택 단지에 주차장 리모델링을 위하여 단지의 특성과 계획적 요인을 반영하여 주차장 확대 계획 시 적용 가능한 세부기능을 분석하고, 기술트리의 기능전개 기법을 통하여 주차장 확대 계획 기술을 분석·도출하였고, 전문가 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기술트리의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IDEF0 모델링을 활용하여 주차장 확대 및 주동 진입 계획 과정을 프로세스 모델에 포함시켜 주차장 리모델링 계획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정형화된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세스의 검증과 실제 실무에서의 프로세스 활용과 도입을 위하여 시스템으로 발전된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정확도를 입증하기 위해 사례단지 대입을 실시하였고, 또한 전문가 검증을 토대로 적정성, 사용성,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실제 활용할 경우 예상되는 기대효과 및 한계점을 SWOT분석으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단지의 계획적 요인, 단지의 조건과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 주차장 리모델링 계획 설정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기본계획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계획설계 도서를 작성할 경우 가이드 및 검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개발된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제 리모델링 대상 단지의 주차장을 계획할 경우, 설계자의 다양한 업무를 전부 지원하게에 현재로는 기능적 한계가 있으며, 주차장 확대 및 주동 진입 기술의 구조적, 시공적, 경제적 요인들을 추가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주동·주호 범위의 리모델링 요소 또한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을 보완한다면 단지 전체의 리모델링 계획으로 그 실효성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페트리 넷을 이용한 조선소 패널 블록 조립 라인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한상동 창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5

        Shipbuilding industries have been struggling to reduce production time and cost of their products in many aspects. Manufacturing systems have been changed, new production lines and robots have been installed, and new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s have been adopted in order to achieve shorter time-to-market and higher productivity. Simulation based manufacturing, digital manufacturing, or virtual manufacturing simulation, whatever the name means, is an approach to achieve such a goal.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in a shipbuilding process at a shipyard, a virtual manufacturing simulation development has been driven. This paper proposes a modeling and simulation process of a panel-block assembly line in a shipyard. The panel-block assembly line is an assembly process to produce a main panel of a flat block and a curved block. In this paper, its activity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expression of IDEF0(Integration DEFinition 0), and its process i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and modeled by Petri nets. A commercial discrete event simulation tool, QUEST?, is used for virtual panel-block assembly line and simulation. The modeling results by Petri nets are mapped to elements of the simulation tool. Finally, an integrated simulation environment of panel-block assembly line is implemented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virtual panel-block assembly line model. With the help of IDEF0 and Petri nets, we could systematically analyze and describe the panel-block assembly line process that are characterized as being concurrent, asynchronous, distributed, parallel, nondeterministic, and/or stochastic. Also, the dynamic and concurrent activities of a panel-block assembly line system were able to be simulated. A timing concept can be included into the Petri nets model to evaluate performance and dependability issues of the system. Existing simulation implementation methodology that uses IDEF0 is not efficient in analying the dynamic acvitity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completes simulation model after repeated trial and error. Such being the case, this paper suggested process model which uses Petri nets with function model which uses IDEF0 method of production line for implementation of simulation model. Systematic analysis and modeling methodology for implementation of simulation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various parameters of simulation model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lso, suggested methodology plays a key part in deciding the main factors and valuation basis of model.

      • Process Modeling for Feasibility Analysis of Military Facility Development Project

        김수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4

        The level of facilities between military and private sector has been widen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civilian standards while large scale improvement of military facilities are carried out on the same basis for a long period of time. Meanwhile,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changing conditions from the military's point of view,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the relocation, integration, and redeployment of military facilities as part of its basic Defense Reform plan.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reorganization of the unit requires a large amount of budget, and the need for the reorganization of unit is increasing due to the full-scale reorganization of the Defense Reform. In addition to deriving the exact requirements from the planning phase,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correct decisions on the requirem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feasibility analysis procedures. However, due to the practical conditions of the unit and absence of standardized methodology, problems with project being delayed due to over-estimated or insufficient requirements continues to occur. In this research, feasibility analysis model is developed and systematized by establishing items to be analyzed and elements that are related in order to enable individual corps to perform project feasibility analysis work more objectively and efficiently at the stage of raising the requirements for the reorganization facility project. IDEF0 functional model is used as a method of process modeling. As a result of constructing the model through a model development process consisting of a total of four steps, a model consisting of six main activities, twenty-five detailed sub-activities, and related ICOM elements was proposed. A case study using actual corps’ facility information was conducted to derive supplementary items of the proposed model. Finally,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by military installation experts on the effectiveness for verification. Based on the proposed process model, individual corps are able to accurately derive the requirements from the requirement making stage and to provide a clear basis for their requirement being requested. In addition, it will help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from the requesting individual corps to the higher level of command with decision-making authority. 방대한 물량의 군 시설개선은 동일한 기준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한편, 민간시설의 기준과 국민의 눈높이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게 되면서 군과 민간 간의 시설 수준의 격차가 심화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국민의 인식과 생활환경의 변화에 뒤처지지 않고,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군사시설에 대한 발전 방향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군 차원에서도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방개혁 기본계획의 일환으로 국방·군사시설의 이전 및 통합, 재배치를 실시 중이다. 부대개편 시설사업은 그 특성상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며, 국방개혁에 따른 부대개편이 본격화되면서 부대개편 시설사업 소요는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재원은 한정되어 있어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이 필요하다. 소요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정확한 소요의 도출과 함께 제기하는 소요의 규모와 비용에 대한 명확한 근거 마련을 위해 소요를 제기하는 부대도 사업타당성 분석 절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요 추진에 관한 올바른 의사결정이 요구되나, 사용부대의 현실적인 여건과 표준화된 분석 방법론의 부재 등의 이유로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소요를 건의하게 되어 사업 진행 중 과책정 혹은 소요부족 판정으로 소요 변경에 따른 사업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대개편 시설사업의 소요제기 단계에서 사용부대가 사업타당성 분석업무를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분석대상 항목과 분석 관련 요소들을 정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시스템화하여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중 IDEF0 기능 모델을 활용하며, 총 4단계로 이루어진 모델 개발과정을 통해 모델을 구축한 결과 6개의 핵심 절차와 25개의 세부단계로 구성하였다. 실제 군 시설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해봄으로써 추가적인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프로세스 모델의 검증은 군 시설사업 전문가 집단에 의한 평가를 통하여 모델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프로세스 모델을 바탕으로 사용부대는 소요제기 단계에서부터 정확한 소요 도출이 가능하고, 제기하는 소요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부대개편 시설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소요를 제기하는 사용부대에서부터 사업 관련 의사결정권이 있는 제대까지 참여주체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율운항 컨테이너 선박의 외형 디자인에 대한 고찰

        김민지 부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1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gins, innovative changes are being pursued in all areas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particular, autonomous ships are getting a lot of attention from various fields as a new challenge for innovative technology. However, project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in korea and abroad often aim to study only the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so the new exterior design has not been specifically presented. Therefore, in this study, I intend to conduct a study on the exterior design of container ships in preparation for the autonomous ships operation in the future. There are various degrees of autonomy for autonomous ship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ach classification. Based on IMO standards, autonomy levels a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Level 1 is a level where a crew member on board supports decision-making, level 2 is a level where a crew member is on board and some parts are remotely controlled, and level 3 is a level where the system is operated without a crew member on board. The remote control stage, stage 4, is a stage in which the crew does not on board and is operated only by the embeded system. In this study, IMO definition 3rd and 4th stages, where crews are not on board, are targeted. Give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global market for autonomous ships, fully autonomous ships without crews are expected to grow steadily at a rate of 56.6% each year. Therefore, looking at the future prospects, it would be worthwhile to develop a ship that operates completely autonomously by a system with advanced sensors and communication. Autonomous ships have the biggest change in spatial arrangement compared to conventional ships. Since the crew does not on board,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accommodation will be eliminated and only the minimum space for maintenance and cargo management will be retained inside the ship.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security threats such as hacking and cyber threats, as well as ways to protect cargo in an unattended state. Future ships, such as autonomous ships, should consider changing from diesel-based enforcement systems to eco-friendly fuels such as LNG. As eco-friendly factors such as reducing pollutant emissions are compulsory for ships to be built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applied technologies, 5 cases of autonomous ship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5 exterior design cases, most of the scales are developed mainly for small containers, and the method of removing the accommodation, using eco-friendly fuel, and cover the cargo area was selected. The research model was modeled by applying the IDEF0 methodology. It is a concept that if design requirements are entered as input, the exterior design of an autonomous container ship will come out as output. The sub-modeling includes engineering calculations first, comparison with general container ships second, and ship color selection third. For the feeder-class container ship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more specifically, a ship model in which two 40-feet containers wer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en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ur in the height direction was presented. Based on this model, the final ship dimensions wer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total hull length, width, hull depth, length between hull waterlines, and draft. It was confirmed that all four ratios calculated for the verification were near the trend line, and the fit was satisfied. The data required for the calculation used 253 KR registered container ships. Next, general container ship drawings similar to the hull dimensions determined above were taken to compare the differences. The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of accommodation, cargo area, forecastle, stern area, cargo unloading crane, eco-friendly fuel, and communication antenna system of autonomous ships were compared. In this process, three types of switchgear were proposed to protect the cargo area and compared them in terms of cargo stowage convenience, switchgear operation safety, and wind resistance during navigation. As a result, sliding type switchgear was reflected in the design. The exterior design of the autonomous container ship wa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final ship dimensions based on engineering calculations and design requirements derived from comparison with general container ships. Lastly,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ship without a crew member, it is also important to determine the color to avoid collision with other ships or pirates. From the perspective of threats from the outside, I divided the colors from two perspective. A noticeable color and an unnoticeable color. As a result of the survey, 86% chosen the noticeable color and 76% chosen orange. In conclusion,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ship with no crew on board, it can be better to take noticeable color for exterior and among them, the preference for orange is high. 제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해운, 항만 등 조선 산업의 전 분야에서도 혁신 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특히 자율운항선박은 혁신성장 기술에 대한 새로운 도전 과제로 다방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기존 선박에 자율운항 시스템만을 탑재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아 새로운 선박 외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자율운항선박 운용에 대비하여 컨테이너선을 대상으로 외형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자율운항선박은 국제기구 및 각 선급에 의해 다양한 자율화 등급이 존재한다. IMO기준으로 자율화 등급은 4단계로 분류되는데, 1단계는 승선한 선원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 2단계는 선원이 승선하고 일부는 원격 제어되는 단계, 3단계는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시스템이 원격 제어되는 단계, 4단계는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선내 자동화 시스템만으로 운용되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원이 승선하지 않는 IMO 정의 3, 4단계를 목표로 한다. 자율운항선박의 글로벌 시장현황 및 전망을 살펴보아도 선원의 간섭이 없는 완전 자율운항선박은 매년 56.6%의 가파른 성장이 예측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전망으로 미루어보아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고도화된 센서와 통신으로 시스템에 의해 완전히 자율적으로 운항하는 선박을 개발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것이다. 자율운항 선박은 기존 선박과 비교했을 때 공간배치에서 가장 큰 변화가 있다. 선원이 승선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거주구역을 없애고 선박 내부 공간은 유지보수 및 화물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구역만을 유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무인 상태에서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과 해킹, 사이버 위협과 같은 보안 위협 등에도 대비해야 한다. 앞으로 설계되는 선박은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 친환경 요소가 강제되므로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미래선박은 디젤 기반 추진 시스템에서 LNG 등의 친환경 연료로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위와 같은 적용 기술을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 사례를 분석하였다. 5개 외형 사례 분석결과 규모는 대부분 소형 컨테이너 위주로 개발 되고 있으며, 거주구역 제거, 친환경연료 사용, 화물 구역 밀폐 방식을 선택하였다. IDEF0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모델링하였다. Input으로 디자인 요구 조건을 넣으면 Output으로 자율운항 컨테이너 선박 외형 디자인이 나오는 개념이다. 하위 모델링으로는 첫 번째로 공학 계산, 두 번째로 일반 컨테이너 선박과 비교, 세 번째로 선박 색상 선정이 있다. 연구 대상으로 정한 피더급 컨테이너 선박을 더 구체적으로 40피트 컨테이너를 길이 방향으로 2개, 폭 방향으로 10개, 높이 방향으로 4개의 컨테이너를 배치한 선박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을 기준으로 선체 총 길이, 선폭, 선체 깊이, 선체 수선 간 길이, 흘수를 계산하여 최종 선박 치수를 결정하였고 마지막으로 제시 모델을 통해 도출한 선체 주요 치수 값이 조선공학적으로 적합한지 검증하였다. 적합성 검증을 위해 계산한 4가지 비율은 모두 추세선 부근에 존재함을 확인하고 적합성이 만족함을 검증하였다.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는 한국선급 등록선박 컨테이너 253척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위에서 결정한 선체 치수와 비슷한 일반 컨테이너 선박 도면을 가져와 자율운항선박과 선원 거주구, 화물 구역, 선수구역, 선미구역, 화물 하역용 크레인, 친환경 연료, 통신 안테나 배치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이 과정에서 화물 구역을 보호하기 위해 3가지 유형의 개폐장치를 제시하고 화물적재 편의성, 개폐장치 운용안전성, 항해 중 바람저항력 관점에서 장단점을 비교하고 슬라이딩 방식을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공학 계산 결과에 따른 최종 선박 치수, 일반 컨테이너 선박과의 비교를 통해 도출한 디자인 요구 조건을 반영하여 자율운항 컨테이너 선박의 외형 디자인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원이 승선하지 않는 자율운항선박의 경우 다른 선박과의 충돌 또는 해적 등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선박의 색상을 정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외부로부터의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눈에 띄는 색, 눈에 띄지 않는 색으로 2가지 색상으로 나누고, 눈에 띄는 색의 경우 보색개념을 적용해 푸른 바다와 보색을 이루는 주황색, 노란색으로 정하고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 86%가 눈에 띄는 색, 76%가 주황색을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선원이 한명도 탑승하지 않는 자율운항선박의 경우 도장색은 눈에 띄는 색이 좋으며, 그 중에서도 주황색의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사례분석에 의한 설계변경 지원 프로세스

        남혜원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0

        국내 설계변경에 관한 최근 연구들은 설계변경의 요인 및 문제점분석, 책임관계 분석, 절차상의 문제점, 제도적인 문제점 등이 활발히 연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는 설계변경에 대한 문제점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졌으나, 설계변경관리의 프로세스 및 적용성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외와 다르게 설계발주를 위한 준비기간이 짧고, 저가수주의 경향이 있어, 설계 및 대부분의 공사단계에서 많은 설계변경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설계변경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수립 및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설계변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설계단계별 설계변경 발생이 가장 높은 ‘실시설계’를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국내·외 설계변경 관련업무와 전문가 면담을 통한 설계변경에 관한 일반적인 개념, 현황 파악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건설 사업에서 발생하는 설계변경 사례들의 프로젝트 성격 및 규모별, 발주방식별 참여 주체의 영향력을 고려한 ‘다중가중치’라는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참여 주체들의 의사를 명확하게 반영하고, 설계변경 최종 대안 선정에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설계변경 최종 대안 선정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건축 설계변경 사례를 분석하여, 설계변경 사유로 인한 관련성이 있는 설계변경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각 프로세스 별 기능을 정의하고, 기능 간 체계적인 연계를 통하여 설계변경 프로세스의 참여 주체들 간의 의사소통 및 정보의 교환으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연관관계와 입출력 관계를 규명한 IDEF0모델을 제시하였다. ‘설계변경 최종 대안 선정 프로세스’의 적용성 검증을 위하여 설계변경 사례를 적용한 결과, 기존의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평가와는 달리, 참여 주체들의 의사 반영 및 프로젝트 발주방식별 참여주체의 영향력을 고려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설계변경이 발생 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변경 최종 대안 선정 프로세스’는 설계변경사유와 관련된 영향요소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설계변경 최종 대안 선정에 있어 효율적인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has been known that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change of the design has been finding out some of key points such as the factors of the change of desig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responsibilities, problems on the process and the system.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been handling the problem on changing of design, it was appeared to be insufficient on the research of the process management and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In our cases, the preparation period for a design order and there is a tendency of the low in price of order so that many changes occurs from the design phrase on the construction site. The a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and practices are not implemented. Therefore accurate understanding and efficient controlling is required. The research range should be limited by taking the item which is showing the highest ratio for the design change. From the interview with the personnel in charge of design or with the specialists, we find out the general concept, present state and pre-research. We offer the alternative idea which includes the intention of all participants and will derive objective results as we apply the evaluation method, so we called, the multi-weight which is considerated some of factors, special features of instances of design change occurred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classification by size and the way of order. Defining each process by function with the method for controlling of related design change information, we bring up the IDEF0 model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atic and logical connection and input-output of all participants for change of design The result which applied design change instances for the verification of application which was named the alternative selection process of design change, this is proved to be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nvolving the idea of participants and influence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on the existing method, As mention above, as design change occurred, it is proved that the alternative selection process of design change presented in the research would derive the order of priority among influence factors related with reason of design change and support for making a decision efficiently with selecting the alternative method of design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