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직과정을 이수한 교육대학원생의 내러티브 탐색 : 지구과학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연유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2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심리적, 환경적,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이들이 가진 교직에 대한 희망 사이의 갈등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육대학원생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① 연구 참여자들의 학부 교육과정과 지구과학 임용시험의 내용 차이 ② 학부 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의 커리큘럼의 연계성 부족 ③ 부족한 지구과학 관련 내용지식을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 채워주지 못함 ④ 학과 구성원들과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소외감 ⑤ 일반대학원생과 비교해 차별적인 장학제도와 학사제도와 같은 이유로 인해 어려움과 불안을 겪고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진 희망 요소에 의해 현 상황을 감내하고 있지만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교직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희망 사이에서 심리적 갈등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수요를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및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지 못하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현 시점의 교육대학원이 현직 교사의 재양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구성원 모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더 나은 교육대학원의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xiety derived from budgetary, mental problems and surroundings that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hree graduate students majoring Earth Science examined conflict situations that the students have by using a narrative inquiry technique. The main finding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①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curriculum and materials suggested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ion test of Earth Science ② Lack of relatedness betwee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the on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③ Relatively poor contents i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not enough for the students to achieve appropriate level of Earth science-related major competency ④ The graduate students’ alienation resulted from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in their major ⑤ Unsatisfactory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specially in scholarship compared to the general graduate schools. Second, with their hope, the study participants bear the inferior situation mentioned above. However, they are in the state of mental conflict of whether they should be a secondary school teacher, or they should try looking into redirecting their career path and that resulted from inferior circumstanc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collecting and scrutinizing demands of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fulfill their needs. Second, psychological counseling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overcoming their anxieties by themselves. This study expec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ut emphasis on training incumbent teachers but suggests ways that can also satisfy the students, making better surroundings for all members.

      •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현황

        임유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03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examine the educational status of graduate schools in dental hygiene, and seek to systemize the operation plan. Methods: The operation status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dental hygiene open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net data collection. In addi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ned subjects, it was analyzed through the ADHA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s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Dental Hygien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admission to the Korean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and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creased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department's opening, and it was operated stably.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in Korea, research skills can be improved and the ability to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 professional dental hygienist can be developed. However, the lack of curriculum such as leadership and professional collaboration can be a limit to fostering talented people with various abiliti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subjects in each field will be opened to expand the options of graduate students and foster various tal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us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achieve academic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through 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status and setting of human resources and core competencies. 치위생학 대학원이 2007년 최초로 개설된 후 15년간 운영되고 있다. 대학원 학위과정은 해당 학문분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학문의 연계성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교육의 표준화는 치위생학 학문체계를 확립해나갈 수 있는 기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운영현황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치위생학 대학원 교육현황을 고찰하고, 운영방안의 체계화를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 교육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에 개설되어있는 치위생학 대학원을 대상으로 운영현황과 교육과정을 설문지와 인터넷 자료 수집을 통해 조사하였다. 운영현황으로는 전공 개설 현황과 입학자격, 졸업요건, 입학생 및 졸업생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으로는 각 대학원의 개설과목 명, 과목 수, 실습과목 운영과 같은 내용을 조사하였다. 또한 개설과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체계와 미국치과위생사협회에서 제안하는 ADHA Graduate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es 분류를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 과정의 입학 지원자와 입학자 수, 재적생 수는 학과 개설 초반에 비해 그 수가 증가하였으며, 안정적이게 운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위취득자의 경우도 석사학위의 경우 2012년도 이후, 박사학위의 경우 2017년 이후부터 꾸준하게 학위취득자를 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학자격과 졸업요건을 미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미국은 1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요구하는 입학조건 혹은 실습 및 인턴십 과목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두는 등 임상능력을 비교적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 졸업요건에 학술지 투고에 대한 조건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을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체계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연구치위생 관련 교과목이 31.77% , 임상치위생 관련 교과목이 27.76%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치위생 관련 교과목은 8.70%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ADHA Graduate Dental Hygiene Program Aims and Outcomes 분류에 따라 한국 치위생학 일반대학원 교과목 분류하였을 때, 학문과 연구 분야(33.11%)와 보건정책과 인력정책에 관련한 교과목(26.76%)이 가장 많았다. 반면 리더쉽 분야(2.68%)와 전문직 간 협업과 통합돌봄 분야(4.35%)에 대한 개설이 미비했다. 이는 한국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통해 연구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적인 치과위생사로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리더쉽과 전문직 간 협업과 같이 치과위생사의 전문직화에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의 부족은 여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분야의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해 대학원 재적생들의 선택권을 넓히고, 다양한 인재를 양성하길 기대한다. 한국의 치위생학 대학원의 교육현황을 살펴본 결과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대학원의 통일된 교육목표와 교육수준을 설정한다면, 더욱더 체계화된 질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위생학 대학원의 운영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지속적인 운영현황 파악과 인재상 및 핵심역량 설정 등을 통하여 치위생학의 학문적 발전을 이루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김다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00570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fter determining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main function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investigating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establishment of curriculum subjects. The data of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was collected and reclassifi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standar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diversified fie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aterial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rrent sit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e information regard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not precisely provided. Second, even though there is a field regarding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statutes of university by each graduate schoo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sistent curriculum either through proposing a reference point with precise division or through mutual exchanges among graduation schools of education. Third, man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rms of number of subjects imparted by each graduate school. It is possible that higher number of subjects can be helpful for obtainment of divers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check if the established subjects are properly operated in effect. Also, it is required for universities with fewer subjects to reconsider if the subject distribution is sufficiently distributed to prepare the students to be qualifie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ome universities without a proper establishment of necessary subjects emphasized by curriculum of department of Music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2009,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bituation in daily lives and appreciation of music. Considering th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in charge of turning out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is fundamental to establish curriculum bearing the real education field in mind. Fifth,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curriculum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unity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number of subjects and field division in 11 universities, it is essential to propose a precise central reference standard even though all subjects are not identical among the universities. Last, based on the inquiry into the establishment condition of curriculum over 5 semesters of 11 graduate schools, it turned out that no university had established all the subjects as determined in the curriculum program.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graduate students and prospective applicants with exact information on established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some extent for preparing concrete standards and system of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future and contributes to providing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diverse and deeper knowledge for creating a better music education future.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 주요기능을 규명해보고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설치현황을 조사한 후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학교별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현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운영 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고, 추후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편성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교육과정 기준에 맞게 재분류하고 범주화 하여 다양한 영역으로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과부에서 제시한 <교원양성기관의 현황>자료 중 교육대학원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았다. 교육대학원에 대한 자료나 정보가 더욱 세밀히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부에서 제시한 영역이 있긴 하나, 교육과정이 각 대학원별 학칙 규정에 준하여 개설되어 있어서 교육과정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학교별 교과목에 차이가 컸다. 각 대학원 마다 교육과정의 전공필수, 전공선택, 기본이수과목,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의 영역구분이 재정립되어야할 것이다. 정확히 구분될 수 있는 기준점이 제시되거나 교육대학원 간의 상호교류를 통해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각 대학원간 과목수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과목수가 많은 것이 다양한 지식 습득에 좋을 것이나 개설된 과목이 실질적으로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며, 과목수가 적은 학교는 중등교원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에 대한 충분한 과목 배분이 이루어졌는지 제고해야할 것이다. 넷째,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 생활화, 감상 영역을 위한 과목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학교가 있었다. 교육대학원은 중등교원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교육현실에서 실제로 교육을 하게 되는 것을 염두 하여 과목설정을 해야 한다. 다섯째,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11개 학교의 교육과정 편제, 과목 수, 영역 구분이 통일성이 없으므로 모든 과목이 동일하진 않더라도 중심이 되는 정확한 기준점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11개 대학원의 5학기 동안의 개설현황을 알아보았는데, 교육과정표에 설정한 과목이 모두 개설된 학교가 한 학교도 없었다. 물론 학교의 상황과 원생 수, 교수진에 따라 과목이 학교별로 개설되긴 하나 원생 또는 입학희망자 에게 개설과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홈페이지 및 각종 요람에 제시한 교육과정 설정에 대한 업데이트를 하거나 설정해놓은 교육과정에 맞게 교과목을 개설해야한다. 교육대학원은 특수대학원의 한 부분에 속해있기 때문에 교육대학원만을 위한 법적 근거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학교별로 교육과정 기준을 자체적으로 세우므로 많은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본 연구가 작은 시작점이 되어서 후에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체계가 마련되어 원생들이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하고 깊은 지식을 습득하여 더 나은 음악교육의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해 본다.

      • 교육대학원생의 중등 국어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이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00570

        고등교육의 중심이 점차 대학원으로 이동하고 있는 사회적 추세에 따라, 대학원의 경쟁력 강화 및 질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학원 중에서도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의 한계를 겪고 있다 지적받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교육대학원생이 경험했던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 및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적 역동을 탐색하여 교육대학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국어 교육대학원 및 교육실습 현장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연구 목적으로 상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는 교육대학원 입학 이전에 어떤 경험을 했는가? 둘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는 교육대학원 안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 셋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교육대학원생으로 어떤 경험을 했는가? 넷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예비 국어 교사로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 다섯째, 교육대학원이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의 교육실습을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주 혹은 복수전공하고, 국어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면서 교육대학원에서 진행된 교육실습의 전 과정을 경험한 사람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1:1 심층 인터뷰를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서파일의 형태로 전사하였다. 또한 Giorgi(1985)의 기술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4단계를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단계에서는 전사한 자료를 몇 차례 읽으면서 총체적 의미를 파악한 후 연구 자료 속 다양한 의미단위를 구별하고 확정지었으며, 확정된 의미단위들을 추상적이고 학문적인 용어로 변환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들을 엮어서 본질 구조로 통합하였다. 분석 결과,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학문적인 용어로 전환하면서 총 24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고, 의미단위들을 통합하여 21개의 하의구성요소와 5개의 구성요소를 확정하였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예비 중등 국어 교사가 교육대학원 입학하기 이전의 경험>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국어 교육인의 내적 가치 중시 2) 국어 교육과 유사한 분야의 전공에 종사한 경험 3) 진로에 대한 가까운 지인들의 지지와 성원이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국어 교육대학원 안에서의 경험>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현직 교사와 비 현직 교사와의 구분에서 느껴지는 소외감 2)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 3) 국어 교육 역량의 향상 4) 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교육이 연결되지 않는다는 괴리감이었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교육대학원생으로 겪는 것>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교육대학원생이라는 것이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미친 긍정적 영향 2) 교육대학원생이라는 것이 교육실습 수행에 미친 영향 3) 교육대학원생에 대한 주변의 기대와 선입견 4) 교육대학원생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에서 느낀 불안감이었다. 네 번째 구성요소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예비 국어 교사로서 겪는 것>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부족함이 많은 초보로서의 자각 2) 교육실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수용과 도전 3) 진로에 대한 확신 4) 예비 교사로서의 자신감 증진 5)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느꼈던 긍정적/ 부정적 경험 6) 참관 수업을 통한 교육관의 변화 7) 비효율적인 교생일지 작성에 대한 부담이었다. 마지막 구성요소인 <국어 교육대학원이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의 교육실습을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교육실습 수행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수업 확대의 필요성 2)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 간의 교류 확대 3) 행정 차원에서의 교육실습 균등화에 대한 필요성이었다. 현재까지 예비 교사에 관한 연구들은 상당수 진척되었지만 그 초점은 주로 초등 및 중등 사범대학 학생들에게 맞추어 있었고, 기존의 연구만으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 교과 교사의 고유한 경험을 구별해 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러한 한계의 극복을 위해 교육대학원생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 교과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심층적 내적 역동을 탐색하기 위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그들의 고유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대학원생의 교육실습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힌 것에서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육성을 통하여 현 교육실습 제도가 어떤 식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밝힘으로 교육대학원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예비 교과 교사들은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및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학업생활을 이어가는 과정 및 교육대학원에서 습득한 지식을 최초로 실행해 보는 교육실습 수행 과정 시 심리적 불안을 느끼거나, 초보자로서의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이 교육실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교육대학원생이 자각하고 있는 어려움의 정체와 그들이 생각하는 해결방안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중등 교사를 꿈꾸는 예비 교과 교사들이 겪는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에 직, 간접적인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As the center of the higher education is shifting gradually to the graduate schools, the important issues are reinforcement of graduate schools' competitiveness and management of their quality. Nevertheles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eem to face a sluggish qualitative growth compared with their quantitative growth. In such circumstances, the researcher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perceived it necessary to reflect on her internal dynamics experienced during her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and her field practices and thereby, put forwards some suggestions conducive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the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had undergone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Thus, the study points were set up as follows; what would the subjects experience during their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and field practices?; what implications would such experiences have for them?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for the above study points, some specific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experiences did the subjects have before their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ly, what experiences did the subjects have during their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Thirdly, what experiences did the subjects have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Fourthly, how would the subjects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the field practice as a preliminary teacher? Fifthly, what should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mplement for the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field practic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fo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us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sampled 10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who would be subject to an one-to-one in-depth interview; all of them had studied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major or dual major at college, and were being enrolled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urther, had undergone the entire course of the field practices operated by thei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ere transcribed into a data file. Then,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4 stages of Giorgi(1985)'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ad the transcribed file several times to understand its contents comprehensively, and thereafter, divided and determined the diversified semantic units of the data, and then, converted them into abstract and academic terminology, and lastly, organized them into a structure of essence. As a result of analysis, some redundant parts were removed, and a total of 24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after they had been converted academically. Thus, the semantic units were unified to determine 21 sub-constructs and 5 constructs. The first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before their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sub-constructs were 1) emphasis on Korean language educators' internal value, 2) experience of the majors similar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3) close acquaintances'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subjects' decision on their future career. The second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during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Its sub-construct were 1) a sense of alienation due to the distinction between incumbent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2) difficulty of communication with their classmates, 3)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4) perceived separation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hird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Its sub-constructs were 1) positive effects of their statu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dvisor teachers, 2) effects of their statu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on their performance of field practices, 3) acquaintances' expectation of and prejudice about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4) fear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The fourth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 Its sub-constructs were 1) awareness of their novice teacher requested for much improvement, 2) accommodation and challenge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3) confidence in their future career, 4) enhancement of pride as a preliminary teacher, 5)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advisor teachers, 6) change of their view of education due to their observation of the actual classroom education, and 7) psychological burden on the ineffective intern teacher's daily report. The last construct was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subjects' field practices.' Its sub-constructs were 1)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curriculum directly related with the field practices, 2) expansion of exchanges between incumbent teachers and preliminary ones, and 3) equalization of the field practices in the dimension of school administration. So far, many preced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liminary teachers, but their focus is primarily o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Hence, it was perceived that the existing studies alone would not be sufficient to distinguish subjects' unique experiences from other preliminary secondary teachers' ones. This study is perceived significant in that it sampled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or the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reby, designed an interview paper to review their in-depth internal dynamics and their unique experiences. Furthermore,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some fundamental structure of subjects' field practice experiences, but also put forwards some suggestions about the reform measures of the current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field practice system; the reform measures were explored through researchers' in-depth interview with the subjects to find the ways to help improve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s.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hope to be secondary school teachers by completing the courses operated b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less aware of their reality, much less informed of their future career. Therefore, they would feel a psychological fear or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 preliminary teacher. In such circumstances, it is percei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reduce the trials and errors experienced by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want to be ad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a secondary school teacher.

      • 실용음악전공생의 교육대학원 경험과 진로탐색에 대한 연구

        이상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00554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실용음악전공생의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과 진로탐색 과정이 그들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실용음악전공생 6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질문지를 제작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고, 네 가지 주제로 정리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의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학에 대한 정보 부족, 실용음악전공자에 대한 편견, 교육대학원의 지원서 거절 등으로 인한 것이었다. 이에 실용음악전공생들이 교육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자격에 대해 명확한 기준과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참여자들은 음악교육 분야에서 실용음악전공자에 대한 일부 편견이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들은 교육대학원 진학 과정, 교생 실습 등에서 실용음악전공자로서 차별을 느낀 경험이 있었으며, 이에 실용음악전공자가 음악교육전공으로 동등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시각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창의적이고, 유연한 음악적 가치관은 그들의 교육대학원 경험과 진로탐색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육의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음악 수업을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이 자신의 전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 음악교육에서는 실용음악 및 대중음악에 대한 수요가 충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채우고, 관련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실용음악전공 음악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대학원 내 음악교육전공생들의 진로와 전공에 대한 관련 자료들이 확충되기를 바란다. 또한, 시대에 맞추어 변화하는 음악교육 현장의 수요에 따라, 실용음악을 전공한 교사의 역할과 필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관련 음악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practical music majo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six practical music majo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organizing them into four top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several difficulties in preparing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clear standards and measures for the qualifications of practical music students to apply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ere some prejudices toward practical music majors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In fact, they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s practical music maj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that practical music majors can be equally accepted as music education majors should be impro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e and flexible musical values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is experience led to a positive recognition of one's major. Fourth, since the demand for practical music and popular music is sufficient in school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eet these demands and discuss the role of music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ed classes. Through these results, the author hope that related data on the career and major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ll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and needs of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will be discuss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music education field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active music classes.

      • 교육대학원 음악 교과목에 나타난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분석 연구

        신승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00540

        2015년 9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각 교과를 통해 핵심역량들을 키울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중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정보처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과 같은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의 흐름에 발맞추어 본 논문은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 음악 교과목들에 나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들을 분석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후 교육대학원에서 교과목들을 개설할 때 고려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교육대학원 음악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강의목표를 분석하고, 핵심역량들의 하위 요소와 관련이 있는지 비교하였다. 각 비교는 교육대학원별, 교과목별, 교과영역별, 성취영역별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11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목들은 음악정보처리 역량과 자기관리 역량과는 높은 연계성을 보인 반면, 그 외 역량들은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 순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중 음악적 소통 역량은 6가지 핵심역량 중 가장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둘째, 교과목마다 높은 연계성을 보이는 역량과 연계성을 보이지 않는 역량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전통음악이나 음악사 관련 교과목은 문화적 공동체 역량과 높은 연계성을 보였으며, 창작 관련 교과목은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그리고 악기와 관련된 교과목은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과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반면 연구 활동과 관련된 교과목은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과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일부 핵심역량들은 특정 교과 영역에서 뚜렷한 연계성을 보였다. 예를 들어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소통 역량은 교과내용학(실기) 영역에서 뚜렷한 연계성을 보였으며,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은 교과교육학 영역에서 매우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무엇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교과에서 가장 강조되어야 할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소통 역량이 교육대학원 교과목과의 연계성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인 것이 매우 특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부합하는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역시 음악 교과목에서 낮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교육대학원에서 추후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본 논문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공교육의 흐름과 더욱 연결될 수 있길 기대한다. 궁극적으로는 본 논문이 음악교육의 발전에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eptember 2015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hrough each subject core as a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mong them, music subject curriculum presented six core competencies such as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cultural community composition competence,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In keeping with this trend, this pap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music subject curriculum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considered when opening classe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presented in the teaching plan of the music subject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ompared it with the sub-factors of core competencies. The comparisons were conducted by educational graduate school, by subject, by subject area, and by achievement area,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curriculums of the music subject in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while other competencies showed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in the order of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m,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among the six core competencies. Second, closely related competences and little related competences are clearly shown. For exampl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sic history subjec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creation related subjec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and musical instrument related subjec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related to the research activities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ird, some core competencies showed clear correlation in specific subject areas. For example,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have a clear correlation in the field of subject content area (practical skills), and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has very high correlation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al area. First of all,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result in this paper is that the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at should be emphasized most in the music curriculum have relatively low correlation to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d little correlation in music subject curriculu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n be consistent with public education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as basic data when the curriculum is organize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be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김유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00524

        As the number of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is increas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are also gradually growing to satisfy the new demands from Korean education society. The majority members of GSE students are current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 bo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 courses.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these GSE students are being altered dramatically since the subject areas in their education field are diversified and also subdivided into small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 information use behavior of GSE students and suggest more effective reference service system to fulfill their needs. This study examined four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level studies and their devotion to the course works. The second factor was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SE and their core job description. The third factor was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of GSE students betwee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The fourth factor was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ow well they utilize the library based on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To understand GS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this study researched preliminary studies on similar areas. It also accomplish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tudents, who have used the library previously, started from November 20 to 30, 2016. The surveys from 146 GS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make sure the research result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the primary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teaching classes, and numerous studies emphasize that th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ty all the time.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analyze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study, the nature of elementary level teaching,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needs, and the library use behavior. The survey results were led to verify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based on student’s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job requirements. Thesis results were also utilized to quantify the differences. The findings that a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ly, most of the GSE students ar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value the studies on teaching and guidance methods the most. They often seek for teaching materials or informa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se are mostly found in online communities, seminars/professional development sessions, and the commercial websites that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Secondly, the difficulties o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by not knowing the sources and the extra accessing fees for using certain materials.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using scholarly websites rather than visiting the library; however, higher they value the graduate course works, more often they utilized the library services. Thirdly, the main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library or the library website were either their busy work schedules or being aware of other convenient ways to access the scholarly website through external sources. Librarian’s assistance was often considered unnecessary as students felt confident enough to achieve the informatio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their demands on a greater collection of major books in the library. Fourthly, the number of library visits is relevant to the number of accessing the library website and attending the library’s user educations. It is also shown that the successful library user education changes students’ point of views on librarians and their performances, and it improves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ir library experi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ed that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develop better library reference service system to support GSE studen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s as teachers and students. It will also give the library society a significant chance to support the reform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at they have yet to achieve. 전문직의 양성과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대학원의 설립과 함께 우리나라 교직 분야에서도 시대 변화와 사회 요구에 맞추어 교육전문대학원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교육전문대학원의 구성 학생은 현직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위 과정은 석사와 박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추구 방식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다변화와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주제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학업추구 목적과 학업·직무의 비중 정도를 조사하고 둘째, 초등교사의 주요직무와 직무관련 정보의 필요도와 정보의 출처를 분석하며 셋째, 교사와 대학원생으로서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를 구분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소속 도서관의 이용 정도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도서관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육전문대학원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알아보고 정보이용행태 이론을 기반으로 대학원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보이용행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성향과 정보이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우선 탐색으로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2016년 11월20일부터 10일간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임의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서 설문조사의 문항개발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예비연구의 객관적 검증과 일반적 적용을 위하여 교육전문대학원생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정보이용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은 교과수업이며 일반 교사의 특성을 함께하는 초등교사의 주요 직무는 학생지도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사의 전문적 역량은 지속적으로 신장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통해 학업추구 목적과 초등교직의 특성, 정보추구 목적과 정보의 필요도, 도서관 이용정도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경력,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의 차이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하고 도서관 이용정도의 빈도를 바탕으로 항목간의 관련성과 도서관 만족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대부분인 교육전문대학원생은 교사의 가르침과 지도방법에 대한 학업을 가장 높게 추구하며 직무분야에서는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직무관련 정보는 교과학습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지만 교과학습과 학생생활지도와 학교·학급경영 정보도 많이 필요로 하고 있었고 관련 정보는 온라인 교사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며 다음으로 동료 및 전문가와 세미나·연수자료,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교육웹정보에도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보수집의 어려운 점은 정보소재의 파악과 유료정보에 대한 부담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원 학업정보는 외부학술사이트를 선호하며 도서관 정보이용과 방문은 매우 저조하였으나 학업의 비중을 높게 추구할수록 도서관 이용정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도서관 방문과 홈페이지 접속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바쁜 일과와 외부접속으로 전자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자신의 정보활용 능력과 주변의 지인을 통해 도서관 사서의 도움 없이도 정보이용에 큰 문제가 없으며 도서관에 대한 희망사항은 전공도서의 확충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도서관 방문빈도는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자교육 수강과 관련이 있으며 이용자교육의 수강은 사서의 만족도로 이어지고 사서의 만족도는 도서관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전문성과 학위취득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보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교육전문대학원생은 물론 나아가 초등교육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BK21 사업이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0045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rain Korea 21 Project. As Brain Korea 21 Project eventually aims to foster research universities, evaluation criteria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key characteristics of research university. Research university came to be a crucial form of R&D center, as global society now takes the form of knowledge-based society. Korea as well, was influenced by this trend, and started to seek to foster research universities, thereby these universities may function as a center where knowledge and innovation is produced. However, so far, the prior function of Korea universities have been education, rather than research. Thus, to promote change following the trend described abov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several programmes to foster research universities whose main function is research rather than education. The representative programme which is to foster research universities is the Brain Korea 21 Project. The main targets became the most renowned universities of Korea, and these universities took considerable portion of the fund. Considering th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se universities have gone through the change to become research universities. To identify whether the effect of the project is clear, the study used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In this model. treatment group is comprised of the engineering colleges and science colleges of universities which took the main portion of government fund of Brain Korea 21 Project, and comparison group is comprised of engineering colleges and science colleges of Flagship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s that the universities of treatment group has clearly become closer to the form of research university. Howeve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Brain Korea 21 Project turned out to be effective only in engineering colleges. This result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eventual goal of fostering research universities is to promote futur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in research universities, as nowaday’s society is knowledge-based society. This research can be differentiated in that the unit of analysis is science colleges and engineering colleges of universities. Existing researches set the unit of analysis as each ‘team’ that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owever, the team cannot even cover a department, so it is impossible to examine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have become closer to the form of research universities. As the ultimate goal of Brain Korea 21 Project is to promote the function of research in universities, the approach taken in this study is an essential way to evaluate the Brain Korea 21 Project. 본 연구는 BK21 사업의 정책적 영향으로서, 정책 대상이 되는 중점적 수혜 대학들의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K21 사업은 전세계적으로 지식기반 사회가 도래하여, 국내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방향이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대두된 정책이다. 한국의 경우도 경제 규모가 크게 성장하고, 기술 발전 수준도 높아지게 됨에 따라, 지식기반 사회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고자 정부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 것이다. 이 때,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수립 계획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혁신시스템은 해당 국가의 기술 발전 수준에 따라 변화한다고 하였다. 동 시스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기술 단계가 발전함에 따라 혁신시스템도 함께 성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 내 대학의 역할이 부각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지식을 축적하고, 혁신을 창출해내기 위한 R&D 센터로서의 대학의 역할이 중요해진 것이다. 위와 같은 배경 하에서 한국 내 대학의 주요 기능 또한 변화하게 되었다. 본래는 기존의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수하는 교육의 기능이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연구의 기능과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혁신의 창출이 또 다른 핵심적 기능으로서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을 전환하였으며, R&D 센터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대학의 연구 기능 및 산학 연계를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정책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연구중심대학 육성 정책이다. 연구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삼는 이 연구중심대학은 국가별로 여러 형태를 띠는데, 한국은 연구중심대학 육성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이는 미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대학원중심대학의 형태인 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고자 했다. 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여러 연구중심대학 육성 정책 가운데, 가장 포괄적으로, 그리고 가장 많은 사업비를 투입한 것이 바로 1999년에 시작된 두뇌한국21 사업이다. 동 사업은 1단계와 2단계를 거쳐, 현재 3단계로 볼 수 있는 PLUS 사업까지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종료된 1단계, 2단계 사업 중, 2단계 사업을 평가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우선 1단계 사업의 경우 서울대학교가 지나치게 큰 비율의 사업비를 수혜 받았기 때문이며, 둘째로 2단계 사업의 경우 많은 주목을 받았고 이미 종료된 지 수 년이 지난 1단계 사업에 비해 2단계 사업의 평가 연구는 미비한 편이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단순 이중차이 모형(Difference-in-differences)을 사용해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변화여부를 살펴, 사업의 연구 성과를 보기보다는 해당대학 이공계열의 인력 구조가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7개 중점적 수혜대학들을 실험집단에 포함하고, 9개의 지방거점국립대학들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로서 실험집단에 속하는 대학들의 경우 연구중심대학으로의 구조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 성과를 비롯한 사업의 주요 성과지표를 사업의 효과성의 측정 지표로 삼아, 사업단 단위로 사업을 평가했던 대부분의 기존 연구와 달리, 해당 대학의 이공계열 전체를 평가의 대상으로 하여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정책을 보다 거시적·종합적 방향으로 평가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임용시험의 연계성 비교연구

        유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0021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임용시험의 1차 문항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계성을 비교연구 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원양성기관과 교사의 양성과 임용이 얼마나 적절하게 연계되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등 임용 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교원양성기관 평가결과를 토대로 A, B, C, D등급을 받은 교원양성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각각 1개씩 선정하여 총 4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영역으로 나누어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두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임용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최근 4년간 실시된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문항을 연도별로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영역별 평균 출제 비율을 분석해본 결과, 일반영어(36.9%), 영어교육학(35.3%), 영어학(18.3%), 영문학(9.5%)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일반영어 영역과 영어교육학 영역이 비슷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출제되고 있는 모습은 임용시험이 현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의 능력과 자질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 일반영어 영역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교수능력을 또한 강조하는 것의 일환으로 일반영어 영역과 비슷한 비율로 영어교육학 영역을 출제하여 영어교사의 전문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 B, C, D등급을 받은 4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영어교육학 영역에 가장 높은 비율로 교과목을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반면, 일반영어 영역에서는 교과목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고려해 볼 때,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음을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과정에서는 고급수준의 영어읽기, 영어쓰기를 통하여 영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임용시험 일반영어 영역에 대비하여 합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영문학 영역은 개론이나 순수학문 위주의 영어영문학 전공 교육과정과 유사한 교과목에서 벗어나 영어교육 현장에서 실재로 영문학을 적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기술을 익힐 수 있는 실용적인 교과목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에 가장 높은 비율로 배치되어있는 영어교육학 영역에서는 현장에서의 실제 수업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교수 기법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소개하는 교과목들도 도입하여 교원양성기관의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