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출소자의 사회복귀경험에 관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 - 낙인. 차별. 편견 및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
This study is to prevent and avoid social problems or disturbances caused by crime based on the research of which is scrutini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tudying the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s, detention centers, and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centers has experienced social malfeasance or their negative attitude The author has interested in the matter that how ex-convicts have overcome and recovered from ‘stigma’,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xperienced during their rehabilitation, and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tigma’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Second, what is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Third, what is the ‘prejudice’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Fourth, how to overcome and recover the ‘stigma’,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ex-convict? The six people who released from prison, detention center, and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cente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or successfully employed among those who completed the psychotherapy program course at correctional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or three times in-depth interview and several semi-interview from February 2019 to March 2020, an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scientific steps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Giorg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124 semantic uni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statement of the ex-convict's rehabilitation experience, and the semantic units were grouped into 34 sub-elements common to all participants, and finally 13 components were derived considered a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released prisoner's rehabilitation experience. The 13 components (elements?)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returning to society of the released prisoners were ‘release without preparation’, ‘return to a desolate society’, ‘back to family’, ‘relationship with friends who can not come near’, ‘stigma that can not get overcome’, prejudice implanted in the mind’, ‘discrimination by law’, ‘childhood without happiness’, ‘toward recovery’, ‘endure with a life of faith’, ‘little wishes’, ‘recoil elasticity’, and ‘stand up again’. The 13 compon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show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ll participants in one unified structure without diluting the meaning of the unique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is in a state of broken up or disconnection as family relations are not smooth. In the case of the released prisoner who had invited to the meeting between families of bride and the bridegroom of his younger brother, he could not join and turned his steps even though he arrived at appointment place. Other cases showed that released prisoners couldn’t ask family to help their needy situation because they had caused trouble and harm to their family. They want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own family, but a repeated prison life from their own faults made them hard to come closer easily to their family. They think their family does not recognize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or consider them burdensome, and do self-stigmatizing. Second, it is difficult to get an economic independence foundation and stable employment. Prisoners who have repeatedly been in prison for a habitual crime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n economic foundation such as money, housing, and work to live independently due to frequent prison life. Even after release, added to the society's negative perception of ex-convicts, low self-esteem made them hard to challenge themselves despite their personal competencies and qualities. Most of them get daily work through manpower offices, so they can not find stable workplace that can lead a planned life. Third, the social support system is not sufficient. There is no proper way to solve the problems when faced with difficulties due to the absence of a family support system which is the strongest support of the individual. The Ministry of Justice Protection and Welfare Corporation and private protection facilities exist for the protection of released prisoners, but the released prisoners feel reluctant to use those governmental support and private facilities by limitation of accommodation of those facilities and perception of another restriction after release and trauma. Fourth, their goals for their lives are not clear and they lack confidence. Due to the long-term prison life, they fell into the subculture of correction, were stricken with a victim mentality, lacked self-confidence, and didn’t have clear goals of life. Above implications show what is needed each part. The released prisoners need to make an effort to overcome self-stigmatizing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Local community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vicious circle of crime can not be prevented if the released prisoners are not embraced and accepted by the community. Case management of correctional social welfare is neede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and link resources so that they can return to society mentally soundly with resilience to neighbors who should live with us as one of the citizen. This dissertation is to understand the released prisoners and help them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practition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author expects it extends understanding prisoners and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and apply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in correctional social welfare site.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구치소 및 교도소에 수감된 후 해당 처분을 모두 마치고 다시 사회로 돌아온 출소자들의 사회복귀경험을 연구함으로서 범죄로 인한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사회분위기를 안정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출소자들이 사회복귀를 하면서 겪게 되는 ‘낙인’, ‘차별’, ‘편견’을 어떻게 대처하며 극복하고, 회복해 나아가는지를 살펴보며 다음 네 가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낙인’은 무엇인가? 둘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차별’은 무엇인가? 셋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편견’은 무엇인가? 넷째, 출소자로 살아가면서 경험한 ‘낙인’, ‘차별’, ‘편견’을 어떻게 대처하며 극복하고 회복해 나아가는가?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교정시설에서 심리치료프로그램 과정을 이수한 사람 중에서 출소 후 취업준비 중이거나 취업에 성공한 경험이 있는 1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장기간에 걸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끝까지 참여한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3차의 심층 인터뷰와 수차례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의 진술에서 124개의 의미 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의미 단위는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3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은 다음 최종적으로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의 본질적 의미로 간주하는 13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내었다. 출소자의 사회복귀 경험에 대해 도출된 13개의 구성요소는 ‘행복 없는 어린 시절’, ‘준비 없는 출소’, ‘막막한 사회로의 복귀’, ‘다가서지 못하는 친구와의 관계’, ‘벗어나지 못하는 낙인’, ‘마음에 자리 잡은 편견’, ‘법이 주는 차별’, ‘다시 가족으로’, ‘회복을 향하여’, ‘신앙생활로 견딤’, ‘움트는 회복탄력성’, ‘작은 바램들’, ‘다시 일어서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13개의 구성요소는 연구 참여자 각자의 독특한 경험의 의미가 희석되지 않으면서 전체 참여자들의 경험 의미가 하나의 통합된 구조로 나타내 주었는데, 실천적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운데 가족이 해체되거나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다. 출소자들은 가족들과 원만한 관계회복을 바라지만 지금까지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반복된 수용생활 때문에 가족들이 자신을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하지 않고 부담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생각(자기낙인)하고 편안하게 접근을 못하고 있다. 둘째,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과 안정적인 취업이 어렵다. 상습적인 범죄로 수용생활을 반복해 온 출소자는 잦은 수용생활로 인하여 스스로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는 자금, 주택, 직장 등 경제적 기반을 마련할 기회가 없었고 출소 후에도 전과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더 나아가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자존감이 낮다 보니 개인적인 역량(자격증 등)과 자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도전(이력서 제출 등)을 못하고 대부분이 단순노동이나 생산기능직 혹은 서비스직에 종사하고 있어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직장에 취업하기가 어렵다. 셋째,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미약하다. 수용생활로 인한 가족과의 소원함은 개인의 가장 든든한 지지원이었던 가족 및 친지들이 거리를 둠으로써 가족 지지체계가 부재하여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할 적절한 방법이 없다. 출소자 보호를 위한 법무부보호복지공단과 민간보호시설이 있으나 수용인원의 제한과 출소를 통하여 자유의 몸이 되었는데 출소 후에도 누군가로부터 또 다시 구속받는다는 인식과 트라우마로 공단과 시설 이용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장기적인 수용생활로 인한 교정의 환경과 문화에 대한 적응으로 심리적으로 많이 위축되어 있고 또, 사회에 대한 막연한 피해의식이 있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로 삶에 대한 목표가 분명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출소자들은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운데 가족이 해체되거나 단절된 상태에 처해 있으며,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과 안정적인 취업이 어렵고,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미약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어 스스로 자기 안에 갇혀 있는 낙인, 차별,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 지역사회에서도 출소한 이들을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포용하고 수용하지 않으면 범죄의 악순환은 막을 수 없다는 인식으로 이들을 받아들이는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이들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으로 인정하므로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정신적으로 건전하게 사회복귀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 제공과 지역 자원들을 연계하는 교정사회복지 사례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것은 결국 출소자를 이해하고 사회복귀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 소양을 갖춘 교정 전문 실천가의 양성이 필요하며 수용자에 대한 이해와 교정사회복지 현장에서도 실질적인 개입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Giorgi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남성무용수의 자기성장에 관한 본질적 의미 탐색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으로 남성무용수들이 자기성장 과정에서 삶에 어떠한 경험이 있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인간으로서 삶의 본질과 경험들은 무용수로서의 삶에 어떻게 투영이 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관점에서 연구자는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나타나는 현상의 본질은 무엇이며, 무용수로서 삶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본 연구자는 인간이 경험하는 보이지 않는 세계를 탐험하며 현상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그 의미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 선정은 연구자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에 따라 ‘의도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는 2021년 6월 3일~2021년 9월 26일까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진행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세상을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서 자기 삶의 경험에 대해 진술해 주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자기의 삶의 경험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무용수로서 성장을 해오기까지 이들의 삶에는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를 구분하고, 그 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얻어낸 의미단위는 총 183개였고, 이를 연관성에 따라 분류하여 38개의 핵심의미를 찾아냈으며, 핵심의미들을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해내었다. 남성무용수의 삶의 경험에서 나타난 자기성장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이해의 과정으로 자기의 삶에서 내‧외적인 계기와 본질적 성향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본질적 자기탐색을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의 성장을 가로막는 문제를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수용의 과정으로 현실적 자기와의 만남을 통해 자기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의 삶을 되돌아보며, 자기반성적 태도를 기반으로 자기성찰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기에 대한 연민을 느끼기도 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개방의 과정으로 현실적 자기를 수용함으로써 심화된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수용의 범위가 확장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해내기 위한 시행착오의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깨달음은 자기철학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삶의 주체로서 자기를 탐색하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삶에서 자기를 자유롭게 개방하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기의 잠재력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인간으로서 일상적 삶과 무용수로서 예술적 삶의 경계를 허물고 자기 주체적인 삶을 통해 꿈을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자기의 삶에 만족과 행복을 느끼며, 무용수로서 자기의 삶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인간은 본질적 자기탐색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의 삶을 개척해나간다. 인간의 삶에 있어 성장의 주체는 자기이며, 무용수는 무용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인간이다. 무용수에게 인간으로서 삶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가치 탐구는 무용수로서 자기를 성장하게 만들며, 인간으로서 삶의 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은 무용수 로서 자기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시킨다. 무용수의 선행경험은 문헌이나 교육으로 접할 수 있는 지식이 아닌 무용수로서 살아가기 위한 삶의 교훈이자 인생의 지침서이다. 예비무용수들은 무용수의 선행경험으로부터 현실적인 조언을 구하고, 그들의 경험을 배우는 일에 적극적으로 움직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지오르지(A.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현존하는 남성무용수들의 삶의 생생한 경험을 기술하고,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무용분야에서 자기성장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무용분야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여성노인의 가족갈등 경험에 따른 주관적 건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임근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25 국내박사
본 논문은 여성 노인의 주관적 건강을 가족갈등이라는 현상 속에서 이해하 려고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가족갈등과 개인주의 패러다임으로 황혼이혼의 증가 등 여성 노인의 결혼생활이 불안정하다. 이와 관련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 이 양적 연구를 통해 이뤄졌으나,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여성 노인 마음속 깊 이 잠재된 가족갈등과 건강의 문제를 밖으로 끌어내어 밝히는 연구에는 미흡 함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노인의 주관적 건강 문제를 가족 내에서 이 루어지는 갈등적 사건과 현상 속에서 이해하려고 하는 새로운 노년학 탐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갈등의 많은 부분을 점유하는 여성 노인의 부부갈등과 자녀와의 갈등과 주관적 건강을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맥락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족 갈등 체험의 의미는 무엇이며, 갈등시 주관적 건강은 어떻게 느 껴지는지를 연구문제로 삼았다. Giorgi의 현상학적 탐구 과정을 적용하여 이야 기 속에 담긴 사건의 분석과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심층 면담과 내용분 석, 참여자 개인의 기술을 바탕으로 상황적 구조를 이루고 공통된 경험을 통합 하여 일반적 구조를 완성하여 참여자의 중심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참 여자는 편의 추출과 목적 표집(purposive sampling)으로 1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약 7개월이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여성 노인들은 가족갈등으로 주관적 건강이 나빠지는 현상의 깨닫 는 것으로 드러났다. 첫째, 주관적 건강 의미에서는 건강관리 소홀, 건강 염려증, 노년의 행복 등 본질적 주제와 목 디스크, 입 마름 증상, 기억력 감퇴 등의 하위주제를 구성하 였다. 일반적 구조에서는 자존감 손상, 심리적 정서적 문제, 몸에 이상 증상 순 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노인의 부부갈등 경험은 경제적 어려움, 배우자의 외도, 대화와 소통 불가능, 배우자의 성격 특성 등에서 발생하고, 점점 부부 사이가 멀어지 는 현상이 나타났다. 부부갈등 경험을 통해서 일어나는 주관적 건강의 의미는 심장이 두근거리는 질환, 기억력 저하, 위장질환. 스트레스 증가, 외로움, 삶의 의욕 떨어짐, 죽고 싶은 마음 현상을 경험하였다. 셋째, 주관적 건강과 자녀와 갈등경험은 자녀의 생활 태도와 습관, 경제적 어려움, 자녀와 동거, 비혼 및 미혼, 손자녀 없는 현상 등에서 나타나고 자녀와 의 사이가 나빠지는 현상이 드러났다. 자녀와의 갈등경험을 통해서 일어나는 주관적 건강의 의미는 혈액순환 장애와 수면장애, 가슴이 답답함, 신경과민, 두 통, 자책감, 위장병, 우울감, 포기하는 마음, 걱정과 스트레스 등 현상을 경험하 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이루지 못한 여성 노인의 가족갈등과 주관적 건강에 대한 양적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Giorgi의 기 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여성 노인의 가족갈등과 주관적 건강에 대 한 이해와 분석을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여성 노인에 대한 노년학적 개입 의 유용성을 증가하였다. 여성 노인의 내부자적 관점에서 기술적 현상학을 통 해서 그 경험 현상을 이해하고, 전반적인 흐름과 맥락 속에서 본질적 의미를 추출하였다. 이로써 여성 노인의 가정생활 안정, 자녀들의 미혼, 자녀와의 동거 문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갖게 하였다. 나아가 여 성 노인들이 자신들의 주관적 건강이 소중함을 인식하고 스스로의 존중감 인 식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attempt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health of elderly women in the context of the phenomenon of family conflict. Due to family conflict and the individualism paradigm, the married life of elderly women is unstable, such as the increase in divorce in old age. Many previous studies on this matter have been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hat draws out and reveals the family conflict and health problems that are latent in the minds of elderly women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a new gerontological exploration that attempt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health problems of elderly women in the context of conflict events and phenomena that occur within the family.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xamine the marital conflicts and conflicts with children and subjective health of elderly women,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family conflicts, in a contextual manner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We aimed to address the meaning of experiencing family conflict and how subjective health is felt during conflict. We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inquiry process to analyze the events contained in the stories and explore their essential meaning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content analysis, and the descriptions of individual participants, we constructed a situational structure and integrated common experiences to complete a general struc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entral meaning of the participants. T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and the research period was approximately 7 month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elderly women realize that their subjective health worsens due to family conflict. First,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essential themes such as neglect of health management, health anxiety, and happiness in old age were composed, and sub-themes such as cervical disc, dry mouth symptoms, and memory loss were composed. In terms of general structure, self-esteem damag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nd physical abnormalities were presented in that order. Second, the experience of marital conflict in elderly women occurred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spouse infidelity, inability to communicate and talk, and personality traits of spouse, and the phenomenon of the couple gradually becoming distant was shown. The meaning of subjective health that occurs through the experience of marital conflict was experienced as heart palpitations, memory loss, gastrointestinal diseases, increased stress, loneliness, loss of will to live, and desire to die. Third, the experience of conflict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children was shown in the children’s lifestyle attitudes and habits, economic difficulties, cohabitation with children, being single and unmarried, and having no grandchildren, and the phenomenon of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orsening was revealed. The subjective health implications of experiencing conflicts with children include experiencing blood circulation disorders, sleep disorders, chest tightness, nervousness, headaches, self-reproach, gastrointestinal problems, depression, feelings of giving up, worry, and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on family conflict and subjective health of elderly women that were not achiev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t systematically enables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family conflict and subjective health of elderly women, thereby increasing the usefulness of gerontological intervention for elderly women. Through descriptive phenomenology, the experience phenomenon wa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women themselves, and the essential meaning was extracted from the overall flow and context. As a result, it has social welfar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help with the stability of elderly women's family life, unmarried children, and cohabitation with childre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of some help to elderly women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ir subjective health and recognizing their own self-esteem.
대학생의 인스타그램(SNS) 관계경험에 관한 Giorgi 현상학적 연구 : 거절민감성 의미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소통공간으로 이용되는 SNS 기능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스타그램의 관계경험을 연구하였다. 인스타그램은 20대 사이에서 중요한 대인관계의 경험 도구로 특히 인기가 많다. 그런 가운데 군중심리가 작동하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소통 방식은 오늘날 특히 20대 대학생들 삶의 일부가 될 만큼 일상에 깊숙이 침투되어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대학생의 일상에서 삶의 중요한 소통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는 인스타그램 내의 관계경험에서 느끼는 만족감, 행복감은 어떻게 작용하며 지속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에 대한 해답은 지극히 주관적 경험이기에 평가한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을 수도 있겠으나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의미에서 오프라인의 아이컨텍을 통해 이뤄지는 상호작용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오히려 온라인 소통관계 방식을 더 선호하는 군중심리 속에는 스스로의 만족감과 자기 우월감, 존재감 혹은 고립감을 경험하고 싶지 않은 몸부림일 수도 있을 것이라는 가정으로부터 본 연구는 출발되어졌다. 이러한 맥락 가운데 시작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점이 참여자들의 거절민감성이다. 실제 이들의 삶에 깊이 접속된 인스타그램에서의 소통 문제는 상대방의 의도를 정확히 알아차리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를 거절로 인식하며 발생된 거절민감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는 온라인 내에서의 소통 경험이 깊은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드러내면서 결국 피상적 감정들의 인과관계 속에서 반복적 순환구조 결과가 도출 되어졌다. 즉 인스타그램의 관계경험에서 느끼는 만족감, 행복함보다는 피상적 관계의 관계형성 모습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의 관계경험 속에서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거절민감성에 대한 의미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참여자들에게서 나타난 거절민감성은 어떤 의미가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경험되고 있는지를 깊은 내면의 심리적 모습들 속에서 탐색하며 나아가 거절민감성이 미치는 심리 내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단,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권 지역의 대학생으로 제한된 인원(6명)을 선정하여 구성된 단기적 면담의 한계를 갖고 있다는 부분에서 전체적인 평가 분석의 한계를 갖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면 인스타그램 내에서의 관계 경험에서 나타나는 거절민감성에 대한보다 근원적인 심리내적 동기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있다.
The lonely experience of middle-aged hemodialysis patients is a chronic phenomenon that accumulates in the course of life when hemodialysis is inevitable in middle age, at the peak of personal or social activities in the human development cycle, and feels lonely due to social, emotional, family support,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 to close relationships. It is also an essential experience for adaptation and independence as an objective state of being alone without social interaction, as well as a vulnerability factor of psychopathology. This solitary experience is a phenomenon that should be sufficiently explored because it acts as a psychosocial and important aspect of health in middle-aged hemodialysi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explore the phenomenon and meaning of the lonely experience of middle-aged hemodialysis pati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applied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y (Giorgi, 2009), which reveals the essence by avoiding the interpretation of researchers amo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sticking to the description of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 middle-aged patients aged 40 to 64 who had been regularly hemodialysis for more than 3 months after receiving hemodialysis treatment,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2021 to February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divided into semantic units according to Giorgi (2009) data analysis procedures and described by converting them into academic terms, and similar techniques were grouped into component statements. Among the derived statements, similar statements were combined to derive 20 sub-components and 7 components. The first component of the lonely experience of middle-aged hemodialysis patients is ‘a shackle-like dialysis life’, and sub-components include ‘lost feeling about restricted dialysis lif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diseases’, ‘The emptiness and sadness felt in the hospital space that cannot be escaped’, and ‘old age caught up in real life’. The second component is ‘the sorrow of my life that cannot be returned’, and the sub-components include ‘the glamorous life before dialysis’, ‘lost about life that did not go according to will’, and ‘loneliness felt in my current self that has changed from before’. The third component is ‘lethargic boundary between death and life’, and sub-components include ‘loneliness to the point of thinking about death’ and ‘loss of meaning in life’. The fourth component is ‘holding the edge of life with loneliness’, and the sub-components include ‘enduring alone’, and ‘living well in disease’. The fifth component is ‘complex feelings for family’, and the sub-components include ‘ambivalence toward one's family’, ‘loneliness due to not exchanging true hearts’, and ‘not helping as a family member’. The sixth component is ‘life intimidated by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caused by disease’, and the sub-components include ‘always weak anywhere’, ‘restricted work life’, ‘experience isolation due to social prejudice’, and ‘feeling lonely alone’. The seventh component is ‘struggle to escape from the swamp of loneliness’, and the sub-components include ‘Overcoming with the support of the family, which is the support of life’, and ‘Forgetting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version’. Based on the components of the lonely experience of middle-aged patients with hemodi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tructure in terms of individual internal, individual-family, individual-social, and individual-family-social relations. The lonely experience of middle-aged hemodialysis patients takes place in a context in which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ndividual internal, individual-family, individual-social, and individualfamily-social relationships are repeated cyclically within the context of lifelong treatment. It seemed to accept solitude as a negative but positive meaningful experience in diseases and treatment situations that should go together until death and to adapt to the loneliness that one continuously experiences to lead a qualitative life, and this process is constantly repeated in the ring of life under dialysis. This study, which explores the structure of the lonely experience of hemodialysis middle-aged patients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ill lay the foundation for conducting research to empirically verify the loneliness-related variables of hemodialysis middle-aged patients in the future,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ursing strategies for hemodialysis middle-aged patients. 중년 혈액투석 환자의 고독 경험은 인간의 발달 주기상 개인·사회적 활동의 절정에 있는 시기인 동시에 인생의 후반부로 진행되는 시기인 중년에 혈액투석을 해야 생명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제한된 상황 속에서 겪는 삶의 과정에서 축적되어 나타나는 만성적인 현상이며, 사회적, 정서적, 가족적 지지 및 친밀한 관계의 결핍에 대한 부정적 정서 반응으로 홀로되어 쓸쓸한 마음이나 느낌이다. 또한 정신병리의 취약성 요인만이 아닌 사회적 상호작용 없이 혼자 있는 객관적인 상태로 적응과 독립하기 위해 필수적인 경험이기도 하다. 이러한 고독 경험은 중년 혈액투석 환자들에게 심리·사회적으로 건강에 중요한 양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충분히 탐색 되어야 할 현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중년 환자의 고독 경험에 대한 현상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에서 연구자의 해석은 지양하고 참여자의 기술(description)에 충실함으로써 본질을 드러내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Giorgi, 2009)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혈액 투석 치료를 받은 지 3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시행하고 있는 40~64세의 중년 환자 11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6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2009)의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의미 단위를 나누고 이를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기술하였고, 유사한 기술을 묶어 구성 요소적인 진술로 범주화 하였다. 도출된 진술들 중 유사한 진술을 묶어 20개의 하위 구성 요소와 7개의 구성 요소로 도출하였다. 혈액투석 중년 환자의 고독 경험의 첫 번째 구성 요소는 ‘족쇄 같은 투석 생활’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제한이 많은 투석 생활에 대하여 느낀 상실감」, 「질병으로 대인관계 참여 어려움」, 「벗어날 수 없는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느끼는 공허함과 서러움」, 「현실의 삶으로 발목 잡힌 노후 」가 있다. 두 번째 구성 요소는 ‘돌아갈 수 없는 내 삶의 비애’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화려했던 투석 이전의 삶」, 「의지대로 되지 않은 삶에 대한 상실감」, 「예전과 달라진 자신의 현재 모습에서 느껴지는 쓸쓸함」이 있다. 세 번째 구성 요소는 ‘무기력한 죽음과 삶의 경계’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죽음까지 생각날 정도의 쓸쓸함」, 「삶의 의미 상실」이 있다. 네 번째 구성 요소는 ‘고독을 안고 가는 삶의 자락 붙들기’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혼자 견뎌내기」, 「질병 안에서 잘 살아보기」이 있다. 다섯 번째 구성 요소는 ‘가족에 대한 복잡한 심정’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가족에 대한 양가감정」, 「진정한 마음을 주고받지 못해 외로움」, 「가족 구성원으로서 도움이 안 됨」이 있다. 여섯 번째 구성 요소는 ‘질병으로 인한 차별과 편견에 주눅 드는 삶’으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어디서든 항상 약자」, 「제한된 직장 생활」, 「사회적 편견으로 고립을 경험」, 「혼자라는 쓸쓸함을 느낌」이 있다. 일곱 번째 구성 요소는 ‘고독의 늪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로 하위 구성 요소에는 「삶의 버팀목인 가족의 지지로 이겨내기」, 「소통과 전환으로 잊어보기」가 있다. 혈액투석 중년 환자의 고독경험의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개인 내적, 개인-가족, 개인- 사회, 개인-가족-사회관계적 측면으로 구조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액투석 중년 환자의 고독 경험은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 안에서 개인 내적, 개인-가족, 개인-사회, 개인-가족-사회관계적 측면의 구조에 따른 구성 요소가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 죽을 때까지 함께 가야할 질병 및 치료상황 안에서 고독을 부정적이기도 하지만 긍정적이기도 한 의미 있는 경험으로 받아들여 질적인 삶을 영위하고자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고독에 대해 어느 정도 적응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이 과정은 평생 투석을 받으면서 사는 삶의 고리 안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현상으로 확인된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중년 환자의 고독 경험의 구조를 탐구한 본 연구는 향후 혈액투석 중년 환자들의 고독 관련 변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 수행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들은 혈액투석 중년 환자들의 심리적응을 위한 간호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모선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2022 국내박사
본 연구에서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와 본질을 발견하여 전문상담사의 다양한 문제들을 위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상담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전문상담사들이 더 나은 학교상담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에 기초하여 두 가지의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연구문제 1)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에 관한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자료 수집을 위해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7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1년 1월부터 3월까지이고, 면대면 면담과 전화면담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으며, 경험의 본질에 집중하기 위하여 반복 작업을 여러 차례 하였고 실존적 조사, 현상학적 글쓰기 과정을 거쳤다. Giorgi의 자료 분석방법을 따라 추출한 경험의 내용은 198개의 의미단위로 정리되었으며 이를 유사한 의미를 중심으로 묶어 정리한 중심의미는 27개로 구성하였다. 27개의 중심의미에서 전문상담사 경험을 8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과정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자료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고, 지도 교수로부터 지도를 받아 타당도를 높였다. 전체 분석된 내용은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여 확인받았으며 상담심리학 박사 2인이 연구 결과 분석에 대한 객관성이나 신뢰성을 검토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의 8개 주제는‘전문상담사 거듭남’,‘알아차림으로 존재 발견하고 사명감이 높아짐’,‘유리천장 학교권위’,‘코로나-19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연속’,‘학교의 새로운 업무발생으로 우왕좌왕함’,‘보이지 않는 마음에 손으로 만져지는 근육’,‘전문상담사의 전문성 신장’,‘코로나-19로 인한 변화기대’이다. 이를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경험 진술을 들어 상황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연구 참여자들의 학교상담 현장에서의 경험은 본연의 의미 발견으로 학생들을 공감하며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을 통해 존재를 발견함으로 인해 사명감이 높아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학교권위나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학교의 새로운 업무로 인한 어려움 등이 있었다. 어려운 가운데서도 자격공부를 하였으며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자부심이 상승하였다. 이로 인해 심리적·정신적 어려움이 있는 분들을 치유해주고 싶으며 타인의 삶이 행복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은 관계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경험의 구조에 대한 전문상담사의 일관된 기술을 통해 도식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에 관한 본질적인 의미에 대해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에 본 연구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가 학교상담에서 어려움을 겪는 과정을 깊게 들여다봄으로써 연구자 본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과 함께 전문상담사들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학교상담 고충의 목소리를 듣고, 코로나-19의 학교 상담에 대한 전반적 경험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전문상담사들이 학교상담 현장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해내고, 나아가 전문상담사로서 자신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기대하며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applied to discover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and ess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due to COVID-19, and to present basic data to sol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ounseling.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wo questions based on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y.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xperience of school counseling by professional counselors due to COVID-19? Research Question 2) Essential about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due to COVID-19 What does it mean? In order to collect research data, 7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to find out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due to COVID-19.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anuary to March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face-to-face and telephone interviews. Interview content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repetitive work was constantly performed to focus on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existential investigation and phenomenological writing processes were performed.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extracted according to Giorgi's data analysis method were organized into 198 semantic units, and the central meanings were grouped around similar meanings and organized into 27 central meanings. In the 27 central meanings,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was derived into 8 topics.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process, the data were analyzed in various ways, and the validity was improved by receiving guidance from the supervisor. The entire analysis was confirmed by sending e-mails to all study participants, and two doctors in counseling psychology reviewed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eight topics of participants' experience in school counseling due to COVID-19 are "reincarn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discovering existence and increasing mission,”"glass ceiling school authority,” "continuation of anxiety and fear due to COVID-19,”"confusion of new work at school,”and "increase of professional counselors' expertise.”The contextual structure was described by citing specific experienc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at the school counseling site due to COVID-19 increased their sense of mission by empathizing with the student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ir original meaning and discovering their existence with awareness of themselves. However, there were anxiety and fear caused by school authority, COVID-19, and difficulties caused by new work at school. Despite the difficulties, the study for qualifications and their pride increases after obtaining the certificate. As a result, thay want to heal those who have psychological and mental difficulties and hope that the lives of others will be happy.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due to COVID-19 can be understood in a relational context, and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can be schematized through consistent skills of professional counselo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due to COVID-19 are as follows. In response, the researcher heard the voi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learned the overall experience of school counseling, believing that would help the researcher's own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encourage professional counselors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due to COVID-19 in the school counseling field and further positively expect their role as professional counselors and increase their value. Key word: COVID-19, Professional counselor, School counseling experience,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작업치료사가 경험하는 작업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This study made an approach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grasp essence of occupation which was experienced and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worked at a clinic. It intends to share work experience and maturity process with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investigate his identity and role.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ith a subject of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irst, which occupation is meaningful to an occupational therapist? Second, which elements do prevent an occupational therapist from realizing meaningful occupation? Third, what is the method for an occupational therapist to realize a meaningful occupation? Through such ques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tructurally draw the ‘occupation’ experienced from the viewpoint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o describe it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Snowball sampling and reputation case selection method were used for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otal 9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considering clinic experience, present working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Clinic experience extended from minimum 6 years to maximum 19 years and they were working in the various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such as medical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private center, university hospital, rehabilitation hospital and psychiatric clinic.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1~2 times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11 an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research subject were restructured through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quired for average 1hour~2 and half hours every ti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ntil saturated condition of statement and were supplemented through e-mails or phone conversations in the case of vague meanings or insufficient contents. Analysis was made in 4 phases with focus on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uring the 1st phase, the whole contents, which were described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peatedly read and then, recognized. During the 2nd phase, contents suitable for this research subject were examined and then, divided into meaning units by slash. During the 3rd phase, divided meaning units were categorized and then, transformed into academic terminologies of researcher. The 4th phase is to structurally integrate experiences described by the all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y properly reflect space-time context. Finally, 6 components and 18 sub-components were extracted. 6 components mean essence of experience as follows. Experience in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means characteristics recognized and accepted by neighborhood with respect to occupational therapy at the initial stage of clinic. Even though support was poor becaus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by people was low, meaning was placed on challenge to a new field. <Encountering with a patient> was the essence of experience to form relationships with a patient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acing with a patient, the occupational therapist had to endure embarrassing situations and also had to make efforts to form trust. <Realistic constraint> was the experience which felt limitations influenced by treatment room, people, system and the like during occupational therapy. <Coping and adaptation> means the experience that an occupational therapist pursued a change through independence, sacrifice and understanding by way of his own efforts under a given situation. Agonizing quality and role of patient’ life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it showed characteristics to communicate with a patient. <Self search and ripeness> showed characteristics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who felt ripeness, happiness and pleasure through a patient in spite of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Efforts for future growth> constitutes the essence of experience seeing the vision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n, moving forward. It revealed characteristics to continuously make efforts for fundamental worry of ‘occupation’, study, change in values and improvement of specialty. If the answer to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implied by an essential meaning, it will be as follows; Occupation experienc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was ‘a course to pursue values communicating and hav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to become ripened and grown by agonizing patient’s quality of life as a specialist’.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에서 경험하고 이해한 작업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작업 경험과 성숙 과정을 공유하고 작업치료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을 주제로 다음의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작업치료사에게 의미 있는 작업이란 무엇인가?, 둘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는 데 방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작업치료사의 의미 있는 작업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질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에서 경험한 ‘작업’을 구조적으로 도출하고 현상학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을 위해 눈덩이표집법과 세평적 사례선택방법을 이용하였고, 임상경력과 현재 근무여부, 그 외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총 9명의 작업치료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임상 경력은 최소 6년에서 최대 19년이고 현재 의료생협, 사설센터, 대학병원, 재활병원, 정신과 등의 다양한 작업치료 영역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연구 자료는 2011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고, 1~2회 심층면접과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개방형질문을 통해 연구 주제에 대한 대상자의 경험을 재구성하도록 하였고, 심층면접은 매 회 평균 1시간~2시간30분이 소요되었다. 심층면접은 진술의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이뤄졌으며,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부족한 내용은 이메일과 전화 연락을 통해 보충하였다. 분석은 질적연구의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4단계로 분석하였다. 1단계는 연구 참여자가 기술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반복하여 읽어나가면서 전체 내용을 인식하였다. 2단계는 연구 주제에 맞는 내용을 찾아 사선(/)으로 나누면서 의미 단위로 구분하였다. 3단계는 구분된 의미 단위를 범주화하여 연구자의 학문적 용어로 변형하였다. 마지막 4단계는 전체 연구 참여자들이 기술한 경험을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시공간적 맥락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추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경험의 본질을 의미한다. <작업치료 인식> 경험은 임상 초기에 작업치료에 대한 주변의 인식과 수용의 특성을 의미한다. 작업치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저조해 지원이 열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것에 의미를 뒀다. <환자와의 대면>은 작업치료사가 환자와 관계를 형성해가는 경험의 본질이다. 환자와 만나면서 당황스런 상황을 감수해야 했고,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특성을 보였다. <현실적 제약>은 작업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치료실, 사람, 제도 등에 영향을 받아 한계를 느낀 경험이다. <대처와 적응>은 주어진 상황에서 작업치료사 나름의 노력을 통해 자주성, 희생, 이해로 변화를 추구했던 경험을 의미한다. 작업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과 역할을 고민하면서 환자와 소통하는 특성을 보였다. <자아탐색과 성숙>은 환경적인 조건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통해 성숙하고, 보람과 즐거움을 느끼는 작업치료사의 특성을 볼 수 있었다. <미래의 성장을 위한 노력>은 작업치료의 비전을 바라보며 나아가는 경험의 본질을 이룬다. ‘작업’에 대한 근본적 고민, 탐구, 가치관의 변화와 전문성 증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질문인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작업’에 대한 답을 본질적 의미로 함축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치료사가 경험하는 작업은 ‘사람과 소통하고 관계 맺는 가치를 추구하며, 전문가로서 환자의 삶의 질을 고민하면서 작업치료사 본인도 성숙하고 성장해가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재가 뇌졸중 부모 돌봄경험의 본질과 구조를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뇌졸중으로 장기요양등급 3등급 이내로 인정받은 부모를 집에서 하루 6시간 이상, 주 5회 이상 돌보는 40세부터 65세 미만의 중년여성 9명을 대상으로 2024년 6월부터 2024년 9월 말까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한 개별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분석 4단계에 따라 분석된 결과, 주제와 관련된 211개의 의미단위로부터 21개의 하위주제와 5개의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제는 ‘돌봄을 맡게 된 나’로 ‘어쩔 수 없이(억지로) 돌봄’, ‘기꺼이 돌봄’ 2개의 하위주제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주제는 ‘갈수록 나를 힘들게 하는 돌봄’으로 ‘지쳐가는 나’, ‘약해져 가는 부모님’, ‘본인 뜻대로만 하려는 뇌졸중 없는 부모님’, ‘실망스러운 형제들’, ‘야속한 남편’, ‘속상하게 만드는 자녀’, ‘눈치 보게 하는 시댁 식구’, ‘만족스럽지 못한 요양보호사’ 8개의 하위주제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주제는 ‘부모님에게 매여 사라진 내 중년의 삶’으로 ‘직업을 가질 수 없거나 나의 직장 일을 제대로 할 수 없음’, ‘나의 건강을 돌볼 수 없음’, ‘나의 여가생활을 할 수 없음’, ‘내 가족과 집안을 챙길 수 없음’ 4개의 하위주제로 구성 되었다. 네 번째 주제는 ‘(그래도) 돌봄을 지속하게 하는 힘’으로 ‘자부심을 느끼는 나’, ‘나를 인정해 주는 뇌졸중 부모님’,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형제’, ‘나와 협력해 주는 남편과 자녀’, ‘격려해 주는 시댁 식구’ 5개의 하위주제로 구성되었다. 다섯 번째 주제는 ‘절실하게 느껴지는 제도적 차원의 지원’으로 ‘뇌졸중 환자의 특수한 요구를 고려한 제도의 필요’, ‘시대적 변화를 고려한 복지 제도의 지속적인 확대와 보완 필요’ 2개의 하위주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부모를 돌보는 중년여성들은 많이 지치고 자신의 인생을 누리면서 살아가지 못한 채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으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기도 하고 돌봄을 지속할 힘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에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여 서비스 내용의 개선 및 확대를 원하고, 특히 뇌졸중 부모님의 신체기능, 인지기능의 상태를 반영한 서비스 내용을 환자 개개인에게 제공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와 가족돌봄자의 요구 및 특성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재가서비스의 내용을 더욱 세분화하여 다양하게 구성하고, 이를 지원하는 제도 및 자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년여성의 건강 유지 및 삶의 질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과, 중년여성이 막중한 돌봄 부담을 덜고 한 개인으로서의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경제적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제언한다. 주요용어: 중년여성, 뇌졸중 부모, 돌봄 경험,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the essence and structure of caregiving experiences among middle-aged women providing home care for parents with stroke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included nine middle-aged women aged 40−64 who cared for parents with stroke with Long-Term Care grading of 1−3, at least 6 hours a day, 5 days a week.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ne to September 2024. The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Giorgi’s four-step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identified 211 meaning units, 21 subthemes, and 5 overarching them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me was ‘Taking on the role of a caregiver,’ with the subthemes ‘Feeling obligated to care’ and ‘Caring willingly.’ The second theme was ‘The growing challenges of caregiving,’ with subthemes including ‘Becoming increasingly exhausted,’ ‘Witnessing my parents’ decline,’ ‘Dealing with a controlling non-stroke parent,’ ‘Feeling let down by siblings,’ ‘Facing a lack of support from my husband,’ ‘Feeling frustrated by my children,’ ‘Managing judgmental in-laws,’ and ‘Being dissatisfied with caregiving support.’ The third theme was ‘Losing my own life to caregiving,’ with subthemes ‘Unable to pursue or maintain a career,’ ‘Neglecting my health,’ ‘Losing opportunities for leisure,’ and ‘Struggling to care for my own family and household.’ The fourth theme was ‘What keeps me going as a caregiver,’ with subthemes ‘Taking pride in my caregiving role,’ ‘Receiving recognition from my stroke-afflicted parent,’ ‘Getting meaningful support from siblings,’ ‘Working together with my husband and children,’ and ‘Feeling encouraged by in-laws.’ The fifth theme was ‘The urgent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with subthemes ‘The need for policies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stroke patients’ and ‘Expanding and improving welfare programs to reflect societal changes.’ This study revealed that middle-aged women caring for parents with stroke often feel physically and emotionally drained, unable to enjoy their own lives, while simultaneously experiencing both negative emotions and sources of strength from their surrounding family members. Participa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long-term care service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improvements and expansion of services. Specifically, they desired services tailored to the physical and cognitive conditions of their stroke-afflicted par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diversified and refined in-hom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o better address the needs of stroke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Additionally, support systems, resource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align with these specific need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caregivers. Institutional and policy-level support should also be established to alleviate the heavy caregiving burden and create a socioeconomic environment that allows these women to maintain their individuality and personal lives. Key words: Middle-Aged Women, Stroke-afflicted Parents, Caregiving Experience,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경옥 부산디지털대학교 휴먼서비스 대학원 2021 국내석사
According to data on the divorce rate recentely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divorce rate of middle-aged couples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divorce of middle-aged couples tends to be led by women rather than men. The problem is that many of these divorced women are in economically poor conditions, and such “unprepared middle-aged divorce” can cause not only personal loss due to family breakdown, but also social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that can help middle-aged couples in divorce crisis recover their relationship or prepare for their divorce. Along with these realistic concerns, studies o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psychological crisi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crisis are relatively active, whereas studies on Christian middle-aged wome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 a precautionary way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iddle-aged Christian women during the divorce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odel,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ix Christian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a divorce crisis, and further to seek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m. Amo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iddle-aged Christian women in divorce crisi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categorizing, and reorganizing concepts from collected data.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part that the participants solved, with the power of their faith, the painful situation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divorce crisis and the numerou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As a result of the study, 8 essential components - inward depression, darkness without exit, entirely my responsibility, need for professional help, complex emotions when facing difficulties, hopeful factors, God’s help, finding an exit - and 37 sub-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iddle-aged Christian women who experienced a divorce crisis. Among these 8 essential components, “inward depression” firstly demonstrates feelings including 4 sub-components - 1) Psychological experience of behaviour of mother-in-law, 2) Psychological experience of depression, 3) Psychological experience of being alone, 4) Longing for mother - and abbreviated meaning units. Secondly, “Darkness without exit” shows feelings of hopelessness by 4 sub-components - 1) Painful emotion of hopelessness, 2) Experience of helpless condition, 3) Resentment towards parents-in-law, 4)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other’s disappearance from home - and abbreviated meaning units. “Entirely my responsibility” reveals psychological aspects that have not changed, through 3 sub-components - 1) Expectation of buiding relationships, 2) Adherence to one’s notion, 3) Attitude of incompetent husband - and several meaning units. “Need for professional help” including 6 sub-components - 1) Husband’s twisted ideas, 2) Husband’s unreliable attitude, 3) Husband’s selfish behaviour, 4) Sympathy for husband, 5) Husband with no answer, 6) Feeling about inconsiderate husband - shows that the husband needs professional counseling. “Mixed emotions in the face of difficulties” includes 11 sub-components as follows : 1) Complex difficulties, 2) Unhappy memories of childhood, 3) Prime mover in overcoming difficulties, 4) Facing cultural difficulties, 5) Overcoming with faith, 6) Psychological experience of GOD, 7) Healing by spiritual restoration, 8) Awakening of GOD’s love, 9) Commitment to children, 10) From anxiety to gratitude, 11) Wisdom for all good things. “Hopeful factors” draws following 3 sub-components, 1) Speechlessness of mind, 2) Psychological experience of service activity, 3) Overcoming crisis only by faith, and expresses a variety of feelings within abbreviated meaning units. “God’s help” draws 3 sub-components : 1) Eyes on GOD, 2) Only by prayer and word of GOD, 3)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To finish with, “Finding an exit” includes 3 sub-components : 1) Empathy for husband, 2) Training for “letting go”, 3) Unshakable faith in GOD.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h to find the answer, all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overcome psychological difficulties within their faith through the Word of GOD, prayer, and small faith-sharing group. This study draws th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by in-depth observation and exploration of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middle-aged Christian women overcome the divorce cri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ore efficient counseling for middle-aged women suffering from divorce crisis in the future and to help them enough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vorce crisis.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시한 이혼율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중년기 부부의 이혼율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년기 부부의 이혼은 남성보다 여성이 주도하는 경향을 띠고 있는데, 문제는 이렇게 이혼을 한 여성들 중 다수가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는 점이다. 이런 “준비되지 않은 중년기의 이혼”은 가정의 해체로 인한 개인적 손실 뿐 아니라, 독거노인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 이혼 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관계가 회복될 수 있도록 혹은 그들의 이혼이 준비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고민이 필요하다. 한편 이혼위기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심리적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기독중년여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독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혼 위기 속에서 겪은 심리적 경험을 예방적 차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모델을 통해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 6명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심리적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의 구성요소를 수집된 자료들로부터 개념을 비교하고 범주화하며 재조직하는 과정을 통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이혼 위기 속에서 겪었던 고통스러운 상황들과 부부 관계에서 빚어지는 수많은 어려움들을 신앙의 힘으로 해결해냈다는 부분에 본 연구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은 8개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와 3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는데, 본질적인 구성요소 중 첫째 “내면의 우울”은 1)시어머니 처신에 대한 심리적 경험, 2)우울증에 대한 심리적 경험, 3)혼자 겪는 심리적 경험, 4)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등 4개의 하위 구성요소 및 요약된 의미단위를 포괄한 심리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두 번째, “출구가 보이지 않는 깜깜함”은 1)막막함에 대한 아픈 감정, 2)기댈 곳 없는 답답함, 3)시부모님에 대한 서운함, 4)어머니 가출로 인한 심리적 경험 등의 4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더불어 요약된 의미단위를 통해 막막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세 번째 “책임은 나의 몫으로”는 1)관계형성에 대한 변화 기대, 2)자기 생각 고수하기, 3)무능력한 남편의 행동 등의 3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갖가지 의미 단위 속에서 쉽게 변하지 않는 심리적인 부분을 보여준다. 네 번째,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함”은 1)남편의 왜곡된 생각이 불편함, 2)불성실한 남편의 태도, 3) 남편의 이기적인 행동, 4)남편을 향한 측은함, 5)희망이 보이지 않는 남편, 6) 배려 없는 남편에 대한 감정 등 6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통해 남편에게 전문적인 심리 상담이 필요하다는 점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다섯 번째 “어려움에 직면한 복합적 감정”은 1)복합적인 어려움, 2)어린 시절 아픔, 3)감당할 수 있었던 계기, 4)문화 차이를 겪음, 5)오직 믿음으로 위기 극복, 6) 하나님을 향한 깊은 심리적 경험, 7) 영적 회복을 통한 치유, 8)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음으로, 9)자식에 대한 사명감, 10)불안에서 감사로, 11)좋은 일에도 지혜가 필요함 등 11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섯 번째 “희망적인 요소”는 3개의 하위 구성요소 즉, 1)형용할 수 없는 마음. 2)이웃을 섬기며 봉사했던 심리적 경험. 3)오직 믿음으로 위기 극복을 도출하고 요약된 의미 단위 안에서 다양한 심리적 감정을 표출하였다. 일곱 번째 “하나님의 도우심”은 1)바라봄의 법칙, 2)오직 말씀과 기도로 나아감, 2)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도움 등의 3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여덟 번째 “출구를 찾아감”은 1)역지사지의 마음, 2)자신을 내려놓기 위한 훈련, 3)하나님을 향한 절대 믿음으로 등의 3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참여자들이 해답을 찾아가는 경로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으나, 그들은 모두 신앙 안에서 말씀, 기도, 소그룹 나눔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기독중년여성들이 이혼 위기를 경험하는 일련의 과정을 깊이 있게 관찰하고 탐색하여 심리적 경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냄으로써, 향후 이혼 위기를 겪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그들이 이혼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세월호 참사 후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세월호 유가족들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한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when 6 years passed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grieving experiences of bereaved parents over time. A total of 10 participa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ndividual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35 sub-themes and 8 themes were elicited as the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6 years after the disaster: changed perception, sensitiveness, chang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sappointment and anger, a sense of loss, frustration,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The experience of the bereaved parents reveal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ong basic emotional responses such as anger, fear, and depression in addition to strong grief were prevalent among bereaved parents 1 or 2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ut when 6 years passed, complex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of bereavement became more prevalent. Second, even though 6 years has passed after the disaster, the bereaved parents still experienced a sense of loss, but emotions became less intense over time. Third, the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became more complicated as the truth of the Sewol ferry disaster remains unknown. Fourth, how they dealt with the death of a child were different among participants. Furthermore, 24 sub-themes and 5 themes were identified as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grieving experiences of bereaved parents over time: restoring the balance of life, seeking the meaning of life, enduring life, the barren and dry life, and deteriorating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most participants have gradually adjusted to life or sought the meaning of life. However, sometimes they have just endured hardship in life or felt their life as dry and barren. For some of them, quality of life has deterior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reaved parents might need about six years or longer to cope with the pain of loss, and even if they seem to be adjusting positively to life, they might not be stable in every area of their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loring in depth the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at the time of six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grieving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during the six years. Most previous studies of the family members with traumatic bereavement experience have been conducted within one to three years after the traumatic event, but this study examined the long-term consequence of bereavement on the parents, and could serve as a basis for subsequent studies on the process and long-term effects of bereavement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provide empirical evidence as a basis for developing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programs based on the theories of loss and bereavement, including the semantic reconstruction theory, the DPM-R, and Worden’s task theory. Furthermor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n how to help clients suffering from traumatic bereavement to cope with it in the long term.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후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세월호 유가족들의 자녀 사별 경험과 6년여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세월호 유가족들의 자녀 사별 경험의 변화와 전개 과정은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경험의 본질적인 구조와 의미를 밝히는 데 장점이 있는 Giorgi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세월호 참사로 자녀와 사별한 유가족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인 6년의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세월호 유가족들의 자녀 사별 경험은 변화된 인식, 예민해짐, 달라진 대인관계, 실망과 분노, 상실감, 답답함과 막막함, 불안, 신체 증상이라는 8개의 대주제와 35개의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드러난 자녀 사별 경험의 특징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호 참사 초기에는 강한 비탄과 관련된 분노, 슬픔, 우울 등 기본정서적인 측면이 두드러졌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사별에 대한 인지적 측면과 복합 정서적 측면이 두드러졌다. 둘째, 세월호 유가족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움, 아쉬움, 후회 등 상대적으로 정서적 강도가 줄어든 상실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대한 활동이 길어지면서, 사별한 자녀 위주의 강한 정서적 경험을 하였던 참사 초기와는 달리 사회에 대해 증가한 관심이나 자신과 유가족들에 대한 실망과 분노 등이 나타나는 등 세월호 유가족들의 자녀 사별 경험의 양상이 자신과 세상으로 향하며 점차 확장되고 있었다. 넷째, 같은 사건으로 자녀 사별 경험을 하였지만, 이후 대처하는 모습은 연구참여자들 간에 매우 다르기도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6년여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세월호 유가족들의 자녀 사별 경험의 변화와 전개 과정은 균형감을 회복해가는 삶, 의미를 추구하는 삶, 버티는 삶, 무미건조해진 삶, 악화된 삶이라는 5개의 대주제와 24개의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다수의 연구참여자는 사별한 자녀만을 생각했던 참사 초기와는 달리 심리적,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관계적으로 점차 균형감을 회복해가는 삶이나 의미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런 것은 아니었는데, 어떤 때는 하루하루를 버티며 살기도 하고, 무미건조한 삶을 살 때도 있었으며, 심지어 더 악화된 삶을 살고 있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녀와의 외상성 사별을 경험한 부모들이 사별의 아픔을 극복하고 적응적인 삶을 능동적으로 살기 위해 6년여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고, 개인에 따라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대체로 적응적인 모습을 보여주더라도 이들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해가는 삶을 안정되게 살고 있지는 않을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 후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자녀와 사별한 유가족들의 사별 경험과 그 변화와 전개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외상성 사별을 경험한 유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국내의 연구들이 대부분 사별 후 1~3년 사이에 이루어진 연구들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는 외상성 사건으로 자녀와 사별한 유가족 부모들의 자녀 사별 경험에 관해 중장기의 모습과 의미를 드러낸 차별성을 가진 질적 연구로서, 사별 경험의 장기적인 영향 및 과정에 관한 후속 연구들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의미재구성 이론(Gillies & Neimeyer, 2006)과 DPM-R(Stroebe & Schut, 2015) 그리고 Worden(2018)의 과업이론이 연구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진술을 통해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향후 이 이론들을 기반으로 한 애도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실제적인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이 연구는 시간의 흐름과 관련하여 외상성 사별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들을 어떻게 상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문의 말미에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