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CE Genotype에 따른 노인 여성의 저항성 운동이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아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2

        본 연구는 노인 여성들에게 10주간 탄성 밴드(elastic band)와 Hand exerciser ball 등의 탄성 저항 운동 기구를 사용한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 했을 때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 효과가 ACE genotype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관찰함으로써 근력 향상을 위한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과 ACE genotype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최근 6개월 간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건강에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의 노인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ACE genotype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Ⅱ genotype(n=16, 72±6세, 153±6cm, 60±10kg, 29±4%체지방), ID genotype(n=16, 72±5세, 152±8cm, 57±12kg, 27±5%체지방), 그리고 DD genotype(n=13, 73±5세, 154±6cm, 56±7kg, 28±5%체지방). 세 그룹 모두 탄성 밴드와 Hand exerciser ball을 이용한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12-14 RPE의 강도로 10주간 주당 2회, 55분씩 진행되었다. 운동 프로그램은 준비 운동 15분, 본 운동 30분, 정리 운동 10분으로 이루어졌다. 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체구성과 악력, 배근력, 덤벨들기(30초), 앉았다 일어서기(30초) 테스트를 통해 근력 및 근지구력을 평가하였다. 1. 악력은 ID genotype과 DD genotype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Ⅱ genotype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악력의 증가 수준은 ID genotype(2.3kg)과 Ⅱ genotype(1.5kg)에 비해 DD genotype(5.9kg)이 높았다(p<.05). 2. 덤벨 들기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고(p<.05), ID genotype(21±6 times/30sec에서 27±5 times/30sec)과 Ⅱ genotype(21±4 times/30sec에서 27±5 times/30sec)에 비해 DD genotype(23±6 times/30sec에서 32±3 times/30sec)이 더 큰 변화를 보였다(p<.05). 3. 앉았다 일어서기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ID genotype(17±5 times/30sec에서 22±4 times/30sec)과 Ⅱ genotype(16±3 times/30sec에서 21±3 times/30sec)에 비해 DD genotype(17±4 times/30sec에서 25±4 times/30sec)이 더 큰 변화를 보였다 (p<.05). 4. 실험 기간 동안 배근력과 체구성은 그룹 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 여성에게 10주간 탄성 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근력 및 근지구력은 증가하였다. 특히 ID genotype과 Ⅱ genotype에 비해 DD genotype이 근력 및 근지구력의 향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levels would chang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CE genotype after a 10-week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A total of 45 women who have not participated any regular exercise programs and had no health problems limiting participation to exercise program were selected and grouped in three according to their ACE genotype: Ⅱ(n=16, 72±6, 153±6, 60±10, 29±4), ID (n=16. 72±5, 152±8, 57±12, 27±5), and DD(n=13, 73±5 yrs, 154±6 cm, 56±7 kg, 28±5% body fat). All participated in an supervised exercise program promoting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using elastic band and hand exercised balls, at an intensity of 12-14 RPE, 55min/session, 2 times/wk for 10 weeks. Each exercise session consisted of 15 min stretching, 30 min target exercises (mainly for arms and legs) followed by 10 min stretch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ll subjects underwent test sessions for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grip strength (GS), lower back strength (BS), 30-sec arm curl (AC), and 30-sec chair stand (CS) tests. 1. Compared to the baseline, GS improved significantly in ID and DD, but not in Ⅱ (p<.05). The magnitude of improvement in GS was greater in DD (5.9 kg) than ID (2.3 kg) and Ⅱ (1.5 kg) (p<.05). 2. AC improved in all groups (p<.05), but changed greater in DD (from 23±6 to 32±3) than ID (from 21±6 to 27±5) 3nd Ⅱ (from 21±4 to 27±5 times/30sec) (p<.05). 3. CS improved in all groups (p<.05), but the magnitude of change was greater in DD (from 17±4 to 25±4) than ID (from 17±5 to 22±4), and Ⅱ (from 16±3 to 21±3 times/30sec) (p<.05) 4. No changes were observed in BS and body composition among groups and between testing periods. Ten weeks of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improved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in elderly women.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was substantial in DD compared to ID and Ⅱ ACE genotype.

      • 단옥수수 F1 교잡종의 유전자형 판별 및 작물학적형질 평가

        강민정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94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otypes of sweet corn F1 hybrids and evaluate their agronomic traits. For genotyping of 50 commercial F1 sweet corn hybrids, a public SSR marker was selected for sugary1 gene and PAV marker for sugary enhancer gene was developed from the B73 reference sequence. Genotype of shrunken2 was determined phenotypically. Field trials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 same hybrids from USA, Japan and South Korea.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1. The SSR marker, bnlg 1265 was selected to identify su1 genotype. All varieties in sugary enhanced sweet corn (SE) and synergistic sweet corn (SY) group were homozygous at the su1 locus. The su1 genotype in super sweet corn (SH2) group consisted of su1 homozygous, su1 heterozygous and Su1 homozygous. Augmented super sweet corn (SHA) group had two genotypes at su1 locus, su1 homozygous and su1 heterozygous. 2. The se genotype was identified using PAV marker designed for this study. All cultivars in SE group were found se homozygous. SY and SHA group had three genotypes to se locus, se homozygous, se heterozygous and Se homozygous. The se genotype in SH2 group turned out to be se heterozygous and Se homozygous. 3. Varieties in SH2 and SHA group all exhibited homozygous sh2 phenotype. For SE and SY group, not only F1 seeds but F2 seed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genotype at sh2 locus. All varieties in SE group did not have sh2 mutant allele from the fact that no sh2 type kernels were segregated in F2 seeds. In SY group, sh2 type kernels were shown up with su1 type kernels. Eleven hybrids in SY group followed the expected segregating ratio of 3:1(su1:sh2) in F2 seeds while the other 5 hybrids did not. 4. A total of 11 genotypes was found from 50 sweet corn hybrids. The genotype (su1/su1 se/se +/+) of all varieties in SE group corresponded to inferred genotype from the common name, sugary enhanced sweet corn. The genotype of su1 and sh2 in SY group matched to expected genotype. In addition, the se genotype was different among varieties in SY group. The genotype of SH2 group was expected to be sh2 homozygous and wild type homozygous to the other two loci. Only two hybrids, however, remained in the same SH2 group while the other 5 hybrids were regrouped into SHA group. SHA group was composed of 6 different genotypes with the base genotype of sh2 homozygosity. At su1 locus, SHA group was either homozygous or heterozygous. The se locus had all possible genotypes. 5.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flowering traits from the combined analyses of variance. Among the palatability traits measured, sweetness and creaminess score tended to go along with expected feature of each group, e.g., SH2 group is high in sweetness but low in creaminess while SY group is high in sweetness and creaminess.

      • 광주ㆍ전남 지역의 A형 간염환자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

        노두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940

        배경/목적: 급성 A형 간염은 소아에서 감염되어 대부분 저절로 회복되는 급성 감염성 질환이었으나, 위생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A형 간염에 대한 면역이 감소되어 최근에 젊은 성인층에서 현증 감염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A형 간염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대부분 IA형이었다. 최근에 IIIA형의 유전자형의 비율이 증가되는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광주ㆍ전남지역에서 A형 간염 환자에서 유전자형을 파악하고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한 A형 간염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VP1/2A 부위에 대해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고 임상 양상 및 생화학 검사소견을 비교하였다. IgM anti-HAV 양성 환자의 혈청에서 RNA를 분리하여 VP1/2A 부위에 대해서 RT PCR을 통하여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기존의 발표된 유전자형과 비교하여 염기서열, 아미노산의 변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기간 중 A형 간염환자는 총 82명이었으며, 이중 67명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 RNA가 분리되어 A형 간염바이러스 검출률은 81.7%였다. A형 간염 바이러스 RNA의 검출 여부에 따라 검출군(67명)과 비검출군(15명)으로 나누어 증상 발현에서부터 채혈일까지의 기간을 비교하였을 때 비검출군에서 의의 있게 길었다. 유전자형 분석에서 IA형은 8명(11.9%), IIIA형은 59명(88.1%)으로 주된 유전자형이 IIIA형이었다. 염기서열 분석에서는 각각의 아형별 VP1/2A에서 변화 정도는 IA 형은 2%미만, IIIA는 6%로 IIIA에서 염기서열의 변화가 더 많았다. 아미노산의 치환은 IIIA형은 최대 3개까지 보였으나 IA형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IIIA형과 IA형의 유전자형에 따라 성별, 만성간염의 유무, 거주지역, 음주 여부의 임상양상과 AST, ALT, 총빌리루빈, 프로트롬빈 시간, 혈소판, 알부민 등의 검사 소견은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IIIA군에서 연령이 더 높았다. 결론 :광주ㆍ전남지역에서 발생한 A형 간염환자의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형은 주로 IIIA형이었으며,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는 없었다. 향후 다기관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A형 간염환자들에 대해 유전자형 분석과 임상 양상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Aims: Hepatitis A is a disease of self-limited episode in the children, but recently many symptomatic cases and serious complicated cases such as fulminant hepatitis and acute renal failure have been reported for previous 10 years. Dominant genotype of hepatitis A virus (HAV) had been known to genotype IA in Korea. Recently, genotypic change of HAV were reported with an upsurge of acute hepatitis A. The genotype of HAV and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enotypes were evaluated in province of Gwangju and Jeonnam. Methods: Eighty two patients of acute hepatitis A who admitted in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from November 2008 to October 2009. HAV RNA was extracted by QIAamp viral RNA mini-kit from patient sera. Reverse transcription (RT) PCR and direct sequencing for VP1/2A region of HAV were perform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all enrolled patients were recorded. Results: The HAV RNA was detected in sixty seven patients (81.7%) among enrolled 82 cases. The number of patient of genotype 1A was 8 and that of genotype IIIA was 59. The rate of genotype IIIA (88.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otype IA (11.9%). The subtype distribution of genotype IIIA were AJ299467 Norway (29 cases), HA-JNG04-09 Japan (16 cases), HS-14-12-00 Spain (13 cases) and that of genotype IA were FH1 Japan (4 cases), HA J04-3 Japan (4 cases). The change of nucleotide in genotype IIIA was less than 6% and that of IA was less than 2%. Several amino acid substitutions were found in IIIA but no amino acid change in IA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enotype IA and IIIA by nonparammetric independent t-test except age. Conclusions: The major genotype of HAV was IIIA at province of Gwangju·Jeonnam and there is no clinical difference between genotypes. To know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genotypic difference of HAV, multicenter study of many cases is needed.

      • Study on the mechanism of HBeAg negative chronic infection and liver disease progression via type I interferon signaling in patients with rt269I polymorphisms on polymerase reverse transcriptase of Hepatitis B virus genotype C

        이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39

        Background and Aims: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s a serious global health problem and causes life-threatening liver disease. In particular, genotype C shows high prevalence and sever liver disease compared with other genotype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regarding virological traits still remain uncle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factors and capacity to modulate Type I interferon (IFN-I) between two HBV polymerase polymorphisms rt269L and rt269I in genotype C. Methods: The clinical factors between rt269L and rt269I in 220 Korean chronic patients with genotype C2 infections were compared. The prevalence of preC mutations between rt269L and rt269I was compared using this cohort study and the GenBank database. For in vitro study, plasmid DNA encoding HBV genome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into hepatocytes, and HBV virions were infected using HepG2-hNTCP-C4 and HepaRG systems. In addition, hydrodynamic injection of HBV genome into mice tail were conducted for in vivo experiments. Results: The clinical cohort study indicated that rt269I was related to HBV e antigen (HBeAg) negative serostatus, lower levels of HBV DNA and HBsAg, and disease progression compared to rt269L. Furthermore, the epidemiological study showed that HBeAg negative infections of rt269I were attributed to a higher frequency of preC mutations at 1896 (G to A). In vitro and in vivo study also suggested that rt269I caused mitochondrial stress mediated STING dependent IFN-I production, resulting in decreasing HBV replication via the induction of heme-oxygenase-1. In addition, I also found that rt269I enhanced iNOS mediated NO production in an IFN-I dependent manner. Conclusion: In this study, I found that there are two polymorphisms at polymerase RT region, rt269L and rt269I, in patients infected with genotype C, which is only found in genotype C.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rt269I can contribute to HBeAg negative infections and liver disease progression in chronic patients with genotype C infections via mitochondrial stress mediated IFN-I production.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세계적으로 심각한 감염성 질환을 유발하며,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간질환을 일으킨다. 그 중 유전자형 C는 다른 유전자형에 비해 높은 병원성, 항바이러스제제 치료의 어려움, 인터페론 알파 치료의 저항성 및 간질환 악화의 급속한 진행 등의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유전자형 C에서만 발견되는 여러 유전자 변이주 및 유전자 다형성에 기인할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특성과 관련된 근본적인 기전은 여전히 분명하게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형 C에서 HBV 중합효소 내 역전사 효소rt269L부위의 두가지 다형성 (rt269L과 rt269I) 사이의 제 1형 인터페론 (IFN-I)을 조절하는 특성과 감염 환자의 임상적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유전자형 C rt269L과 rt269I에 감염된 환자 220명 사이의 임상적 요인을 비교하였으며, 감염환자 및 GenBank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두 다형성 사이의 preC 돌연변이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임상적 특성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및 간암세포 모델에서 감염시킨 후 바이러스 복제 양상, 제 1형 인터페론 신호 기전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활성질소 등을 비교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임상 데이터를 통하여rt269I 변이주가 rt269L에 비하여 혈청 내 외피항원 (HBeAg) 음성감염, 낮은 수준의 HBV DNA와 표면항원 (HBsAg), 그리고 질병의 악화를 야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rt269I 감염에 의한 외피항원 음성감염은 preC 내 1896번째 뉴클레오티드가 구아닌에서 아데노신으로 돌연변이가 생겨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연구에서는 rt269I가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매개 제 1형 인터페론 생성을 유도하여 힘옥시게나제 (heme oxygenase)-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HBV 복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t269I 변이주가 제 1형 인터페론 의존적인 방식으로 산화질소활성효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매개 활성질소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HBV 중합효소 내 역전사효소 부위에는 유전자형 C에서만 발견되는 rt269L과 rt269I 두가지 다형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의 결과는 rt269I 변이주가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매개를 통해 제 1형 인터페론을 생산하고, 이 기전이 만성감염 환자에서 외피항원 음성감염과 간 질환 악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The effectiveness of peginterferon alfa-2a plus ribavirin for chronic hepatitis C virus infection in Korean

        Jeong, Seok hoo 가천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939

        서론 만성 C형간염바이러스의 치료에 대한 지속바이러스반응률은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서구에서 만성 C형 간염바이러스 환자들을 치료하였을 때 지속바이러스 반응률은 1형 환자들에서는 40-50%, 비1형 환자들에서는 85-90%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 치료 받은 환자들은 1형에서 60-70%, 비1형에서 85-90%의 지속바이러스반응률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에서 만성C형 간염바이러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페그인터페론 알파-2a와 리바비린 병합요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만성 C형 간염으로 치료한 환자 103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을 이용한 병합요법을 시행한 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 시작 후 12주에 HCV 정성 혹은 정량검사를 시행하였던 환자 중 12주에 바이러스 음전이 일어났거나 HCV RNA 정량검사에서 2log 이상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를 조기 바이러스반응으로 정의하였다. 치료종결반응은 치료 종결 시 HCV RNA가 음전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지속바이러스반응은 치료종결반응이 치료 종료 24주 후에도 유지되는 경우로 정의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치료 시작 후 12주째 검사한 조기바이러스반응은 1형에서 84.9%, 비1형에서 90.6%였다. 치료종료바이러스반응은 유전자형 1형에서 75.5%였으며, 비1형에서 90.6%이였으며 양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46). 지속바이러스반응은 치료 종료 후 6개월 간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유전자형 1형에서는 75.5%, 비1형에서는 90.6%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명의 환자(1형 4명, 비1형 2명)가 탈락되었으며, 이중 2명(1형: 2명)은 치료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4명(1형: 2명, 비1형: 2명)은 추적 관찰이 되지 않아서 탈락되었다. 1형 환자 총 49명중 37명이 100% 용량으로 페그인터페론 알파-2a 치료를 받았으며, 35명이 지속바이러스 반응에 도달하였다. 비 1형 환자 총 30명중 15명이 100% 용량으로 페그인터페론 알파-2a 치료를 받았으며, 14명이 지속바이러스 반응에 도달하였다. 1형 환자 총 49명중 32명이 100% 용량으로 리바비린 치료를 받았으며, 27명이 지속바이러스 반응에 도달하였다. 비 1형 환자 총 30명중 29명이 100% 용량으로 리바비린 치료를 받았으며, 28명이 지속바이러스 반응에 도달하였다. 결론 한국에서 만성C형 간염바이러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페그인터페론 알파-2a와 리바비린 병합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들의 지속바이러스반응률은 서구에서 치료받은 환자들과 비교하여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Background: Sustained response rate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C may differ among ethnic groups. Wh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peginterferon alpha-2a plus ribavirin in Western country, an SVR was achieved in 40-50% of patients with genotype 1 and 75-80% with genotype non-1 (mainly genotype 2). But in Korea, SVR was achieved in 60-70% of patients with genotype 1 and 85-90% with genotype non-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peginterferon alfa-2a plus ribavirin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in Korea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who were identified by the presence of serum anti-HCV and HCV RNA from July 2004 to December 2009. Eighty-five patients with detectable HCV RNA were eligible for the study. A total of 85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was treated with peginterferon alfa-2a plus ribavirin. The early virologic response (EVR), the end of treatment virologic response (ETVR), the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SVR) and the adverse ev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EVR was 87.1%; 84.9% in genotype-1 group and 90.6% in genotype non-1 group (p=0.03). The overall ETVR was 81.2%; 75.5% in genotype 1 group and 90.6% in genotype non-1 group (p=0.30). The overall SVR was 81.2%; 75.5% in genotype 1 group and 90.6% in genotype non-1 group (p=0.30). Two patients (2 from genotype 1) dropped out due to side effects of treatment, 4 patients (2 from genotype 1 and 2 from genotype non-1) dropped out due to absence of follow-up observation. In genotype 1 group, 37 of the 49 patients received 100% peginterferon alfa-2a and 35 patients (94.6%) achieved SVR. In genotype non-1 group, 15 of the 30 patients received 100% dose of peginterferon alfa-2a and 14 patients (93.3%) achieved SVR. In genotype 1 group, 32 of the 49 patients received 100% dose of ribavirin and 27 patients (84.4%) achieved SVR. In genotype non-1 group, 29 of the 30 patients received 100% dose of ribavirin and 28 patients (96.6%) achieved SVR. Conclusions: The SVR rate of the combination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in Korean was higher compared with Western country.

      • Breeding of Yellow Soybean Lines with Large Seed Size and Hexa Null (lox1lox2lox3tilecgy1p34rs2) Genotype

        리사랏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24

        콩은 만주를 포함한 한반도 일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성숙 콩 종실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3대 영양소외에 아이소플라본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져 있어 전세계적으로 재배가 늘고 늘고 있다. 그러나, 성숙 콩 종실에는 항영양과 알러지를 유발시키는 리폭시지나아제, 쿠니츠트립신인히비터, 렉틴, 7S α’ 서브유닛, P34 단백질 및 스타키오스 성분이 포함되어져 있다. 콩가공 과정에서 고온 고압 첨가제 등으로 이러한 성분들의 함량이나 활력을 감소시키고 있지만, 유전적으로 이러한 성분들이 없는 콩 품종의 개발이 요구된다. 노란종피와 대립종자를 가지면서 4가지 항영양성분이 없으며 2가지 성분의 함량이 낮은 콩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두 모본(20J 및 19F1-4A)을 이용하여 육종집단이 창성되었으며, 리폭시지나아제와 7S α’ 서브유닛 단백질의 존재여부는 SDS 전기영동으로 쿠니츠트립신인히비터와 렉틴 단백질의 존재여부, P34 단백질 함량은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였다. 스타키오스 성분의 함량은 DNA 마커로 조사되었다. 두 모본의 교배로 얻어진 60개의 F2 종자중에서 7S α’ 서브유닛 단백질이 없고 P34 단백질의 함량이 낮은 cgy1cgy1p34p34 유전자형을 가진 4개의 종자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4개의 F2 종자는 6월21일 온실에 파종되어 F2 식물체 계통으로 전개되었다. 3개 계통 (20F-5-1, 20F-5-2, 20F-5-4)의 수확기는 10월21일이었고 20F-5-3 계통은 10월1일이었다. 4계통의 F3 종자에서 리폭시지나아제, 쿠니츠트립신인히비터, 렉틴, 7S α’ 서브유닛의 4가지 단백질 부재와 P34 단백질 저함량이 확인되었다. 스타키오스 성분의 저함량은 F1 식물체에서 확인되었다. 4계통의 F3 종자에서 종피색은 모두 노란색이며 제색은 갈색이었고 백립중은 17.4 – 21.8g이었다. 선발된 20F-5-3 계통과 20B를 이용하여 노란종피 및 제색, 대립이면서 hexa null (lox1lox2lox3tilecgy1p34rs2) 유전자형을 가진 계통을 육종하기 위하여 5개의 F1 종자가 얻어졌다. The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 legume crop native to East Asia and is now cultivated worldwide. Demand of soybean and soybean produc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because various compound of protein, oil, carbohydrates, isoflavones and many other nutrients to humans and animals. However, there are some antinutritional and allergenic factors such as lipoxygenase,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lectin, 7S α’ subunit, P34 and sachyose in mature soybean dried seed. High temperature, pressure and additives are used to remove and reduce the activity or the content of these components in soybean food processing. Genetic development of cultivars with these components-free in mature seeds is an alternative meth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breed yellow soybean strains with large seed size and hexa null (lox1lox2lox3tilecgy1p34rs2) genotype. Breeding 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two parents (20J and 19F1–4A). Presence and absence of lipoxygenase and 7S α’ subunit proteins was detected by SDS electrophoresis. KTI, lectin, and P34 proteins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 technique. Genotype of rs2 allele was identified by using DNA marker. 60 F2 seeds were harvested from the cross between 20J and 19F1-4A parents. Four F2 seeds with cgy1cgy1p34p34 genotype (absence of 7S α’ subunit protein and low content of P34 protein) were selected among 60 F2 seeds. One F2 plant (20F-5-3) with yellow seed size and hexa null genotype was selected. 20F-5-3 strain was harvested in 1 October at greenhouse and the 100-seed weight was 18.8g. Using 20F-5-3 F2 plant strain, five F1 seeds were obtained to breed yellow soybean strains with large seed size and hexa null (lox1lox2lox3tilecgy1p34rs2) genotype. One F2 strain and five F1 seed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going to use to improve new yellow soybean cultivar for large seed size with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 국내 Phytophthora infestans의 표현형 및 유전적 다양성의 변화

        최장규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23

        A pathogen that caused blight in Solananceae crops was named Phytophthora infestans in 1876. Potato late blight caused by P. infestans is destructive plant disease in potato fields of worldwide. Also, potato late blight causes the greatest damage when growing potato season in Korea.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of late blight, it is important to make effective management systems and to breed late blight resistant of potato varietie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 infestans. In this study, first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phenotypic diversity of P. infestans collected from Potato fields in Korea from 2014 to 2016. Second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genotypic diversity of P. infestans collected from 2009 to 2016 by 12 SSR markers. 63 isolates of P. infestans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potato fields from 2014 to 2016, and the proportion of A1 mating type of isolates was as high as 98%. Only one isolate that is A2 mating type was found in 2015. Metalaxyl resistant isolates from 2014 to 2016 were 77.8%, 51.8%, 22.2%. In the resistant response test of dimethomorph, 63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ensitive isolates and resistant isolates of dimethomorph were not existed in Korea Genotypic diversity of P. infestans by 12 SSR markers revealed 2 to 10 alleles by SSR marker and average alleles were identified 3 alleles. PiG11 marker was the highest polymorphic marker because 10 alleles were identified. Range of expected heterozygosity(Hexp) value was 0.046 to 0.775, and the average value was 0.508. Range of Hexp values were 0.046 to 0.775, average value is 0.508. It is estimated with four genotypes of P. infestans, KR-1, KR-2, US-11 and RU-11. KR-1 genotype of P. infestans is dominant genotype that is A1 mating type, almost sensitive isolates of metalaxyl, some isolates were resistant of metalaxyl. KR-2 genotype is appeared only in potato fields of Miryang-si, Gyeongsangnam-do province. Characteristic of this genotype is that mating type is A2 type and metalaxyl resistant response is resistant. US-11 genotype had been founded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ince 2014. This genotype is A1 type and resistant isolates of metalaxyl but some isolates is sensitive. Isolates collected from Gangwon-do province in 2015 were identified as US-11 genotype. In case of RU-1 genotype, mating type is A1 type and most of them are resistant of metalaxyl. The RU-1 genotype mainly collected in Gangwon-do province and showed a tendency to disappear since 2013. Blue-13(EU13-A2) genotype that found in European potato fields from 2004 was not found in Korea yet. 1876년에 가지과(Solanaceae)작물에서 역병(Blight)을 일으키는 균을 Phytophthora infestans로 명명하였다. 이 병원균에 의한 감자역병은 세계적으로 많은 피해를 유발하는 식물병으로서 국내에서도 감자를 재배할 때 가장 큰 피해를 유발한다. 감자역병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효율적인 방제 시스템 구축과 저항성 품종 육종이 필수적이며, 이때 감자 재배지에서 출현하는 감자 역병균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감자 재배지에서 수집한 국내 감자 역병균의 교배형과 약제저항성의 변동을 조사하였고, 국내 감자 역병균의 유전형 변화는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수집된 감자 역병균을 12개 SSR 마커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감자 재배지에서 63개 감자 역병균을 수집하였고 교배형이 A1형 균주의 비율이 98%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Metalaxyl 살균제에 저항성인 역병균은 2014년에 77.8%, 2015년에 51.8%, 2016년에 22.2%의 비율로 발견되었다. Dimethomorph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반응 실험에서는 63개 감자 역병균이 감수성으로 확인되어 아직 국내엔 dimethomorph 살균제에 저항성인 역병균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2개 SSR 마커를 이용한 국내 감자 역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로는 SSR 마커당 대립유전자가 2~10개가 분석되었으며 평균 3개의 대립유전자가 확인되었다. PiG11 마커에서 10개의 대립유전자가 확인되어 가장 높은 다형성을 보였다. Hexp 값은 0.046~0.775로 평균 값이 0.508 였다. △K 값이 K=5이지만 하나의 그룹이 KR-1의 하위그룹으로 추정되어 국내에는 4개의 감자 역병균 유전자형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KR-1 유전자형은 주로 A1형 이였고 metalaxyl 살균제에 대부분 감수성이나 저항성도 포함된다. 2009~2016년 동안 KR-1 유전자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국내 주요 유전자형으로 확인되었다. KR-2 유전자형은 경상남도 밀양시 지역의 감자 재배지에만 발생하는 유전자형으로, 교배형은 A2형, metalaxyl 살균제에 저항성 반응을 보인다. US-11 유전자형은 2014년부터 국내 남부지역 감자 재배지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유전자형으로 주로 A1형이며 metalaxyl 살균제에 주로 저항성이나 일부 균주에서 감수성 반응을 보였다. RU-11 유전자형은 교배형이 A1형이었고 대부분 metalaxyl 살균제에 저항성이었다. 주로 강원도 지역에서 주로 수집되었고 2013년이후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4년에 유럽지역 감자 재배지에서 발견되어 인도, 중국의 감자 재배지에도 발생하는 Blue-13(EU13-A2)유전자형의 감자 역병균은 국내 감자 재배지에 아직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한국 중년 남성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다형성과 혈청 인슐린과 지질 수준과의 관련성

        윤소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1 국내석사

        RANK : 2921

        아포지단백 E 유전자 다형성이 관상동맥경화증 또는 관상동맥경화증 위험 요소들에 인슐린이 미치는 영향을 변경시키는가에 대한 연구들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건강하거나 관상동맥경화증이 있는 한국 중년 남성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이 혈청 인슐린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30세에서 69세의 혈관조형술상 관상동맥경화증으로 판정된 남성환자(207명)와 이들과 나이 및 체질량지수가 유사한 건강한 남성(40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건강한 남성과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의 아포지단백 E 대립유전자 빈도는 ε2는 0.071 대 0.063, ε3은 0.829 대 0.850이었고 ε4는 0.100 대 0.087 이었다. 건강한 남성과 관상동맥경화증 환자 사이에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빈도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나이, 체질량지수, 허리와 엉덩이 둘레비, 당뇨, 음주와 흡연으로 보정한 후에,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은 건강한 남성에서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비, 아포지단백 AI와 B, 인슐린, 인슐린과 혈당비, 인슐린면적, 인슐린면적과 혈당면적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은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에서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B와 인슐린 뿐 아니라 인슐린과 혈당비에 영향을 주었다. 주요 3가지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아포지단백 E3/2, E3/3과 E4/3)과 혈청 인슐린과 지질 수준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아포지단백 E3/3 유전자형보다 아포지단백 E4/3 유전자형인 건강한 남성과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에서 더 높은 공복 인슐린 수준(43 과 25%)과 인슐린과 혈당비(47과 31%)가 보여졌으나, 아포지단백 E3/2 유전자형인 대상자들에서는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더 낮은 인슐린 면적(26과 11%)이 보여졌다. 더욱이, 아포지단백 E3/3 유전자형보다 아포지단백 E4/3 유전자형인 건강한 남성과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에서 더 높은 중성지방(25 와 17%)과 총 콜레스테롤(7 과 4%) 수준이 보여진 반면, 아포지단백 E3/2 유전자형인 대상자들에서는 더 높은 중성지방(16 과 35%)과 더 낮은 총 콜레스테롤(3 와 13%) 수준이 보여졌다. 이상의 결과는 아포지단백 E 유전자형이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대사에 주는 영향에 대한 다른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며, 아포지단백 E 유전자다형성이 혈청 인슐린 수준을 변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Limited data suggest that apolipoprotein (apo) E genotype may modify the influence of insulin on coronary artery disease (CAD) or some CAD risk factors. Our objective was to study the effects of apo E genotypes on serum lipids as well as its relation to serum insulin values in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 men with and without CAD. Methods and Results Male patients (n=207) with angiographically documented CAD who were aged 30-69 years and healthy men (n=403) with similar age and body mass index were studied. The apo E allele frequencies of healthy men vs. CAD men were 0.071 vs. 0.063 for ε2, 0.829 vs. 0.850 for ε3 and 0.100 vs. 0.087 for ε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o 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between healthy and CAD men. After adjustment for age, BMI, WHR, diabetes, current drinking and current smoking, apo E genotype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o HDL cholesterol ratio, apolipoprotein AI, apolipoprotein B, insulin, insulin to glucose ratio, insulin area and insulin area to glucose area ratio in healthy men, and on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B and insulin, as well as insulin to glucose ratio in CAD men. We study the association of three major apo E genotypes (apo E3/2, apo E3/3, and apo E4/3) with serum levels of insulin and lipids. Healthy and CAD men with the apo E4/3 genotype had higher fasting insulin levels (43 and 25%) and insulin to glucose ratio (47 and 31%), while those with the apo E3/2 genotype had lower insulin area (26 and 11%)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an those with the apo E3/3 genotype. Moreover, healthy and CAD men with the apo E4/3 genotype had higher triglyceride (25 and 17%)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7 and 4%), while those with the apo E3/2 genotype had higher triglyceride (16 and 35%) and lower total cholesterol levels (3 and 13%) than those with the apo E3/3 genotype.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oncept that,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effects of apo E genotypes on the serum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is polymorph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serum insulin levels.

      • Genotype Analysis of Varicella-Zoster Virus Isolated from Children

        곽병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911

        Background: Although outbreak of varicella or herpes zoster was decreased after introduction of varicella vaccine, varicella-zoster virus (VZV) infections by vaccine-type strains were reported. Objectives: To distinguish vaccine-type strains from wild-type strains, and determine the genotype of VZV in Korean children. Study design: VZV was isolated from vesicular lesions of the pediatric patients hospitalized for varicella or herpes zos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2009-2014. To distinguish the vaccine-type strain from the wild-type strain, sequencing analysis of open reading frame (ORF) 62 was performed. The genotype was determined by sequencing analysis of ORF 22. Results: Twenty-three patients with varicella and 27 patients with herpes zoster were included (median age 10.0 years, 16 days-19 years), and 44 patients (88%) had underlying diseases. Among 27 patients with herpes zoster, 12 patients had a past history of varicella and 1 patient had herpes zoster. According to the sequencing analysis of ORF 62, one vaccine-type strain was identified from a child with retinoblastoma receiving chemotherapy. He developed herpes zoster after 22 months of varicella vaccination without past history of varicella. Other VZV strains were wild-type strains. Genotypes determined by ORF 22 were genotype J in all patients except one. Genotype E was identified in an infant with varicella imported from Egypt.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vaccine-type strain was found in an immunocompromised child with herpes zoster. A single genotype J is prevalent in Korean children after introduction of varicella vaccine. Continuous monitoring of vaccine related VZV infection should be required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and surveillance of VZV genotype is warranted with a possible chance of spreading imported genotypes. 배경: 수두 백신이 도입된 이후 수두, 대상포진의 발생은 감소하였지만, 백신주에 의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감염증이 발생하였다는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목적: 본 연구는 소아 수두 및 대상포진 환자에서 백신주에 의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여부를 알아보고, 우리나라 소아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유전형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진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백신주와 야생주를 구분하고 유전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피부 병변의 수포액으로 Open reading frame (ORF) 62와 ORF 22 시발체를 이용하여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배양검사와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수두 환자는 23명, 대상포진 환자는 27명이었고, 연령 중앙값은 10.0 세로 생후 16일부터 19세까지 분포하였다. 기저질환이 동반된 환자는 44명(88%)이었으며, 27명의 대상포진 환자 중 과거에 수두를 앓았던 경우가 12례에서 있었고, 재발한 대상포진은 1례에서 있었다. ORF 62를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에서, 백신주에 의한 대상포진 1례가 있었으며, 망막모세포종으로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로 이전에 수두의 과거력 없이 수두 백신 접종 22개월 후에 대상포진이 발병하였다. ORF 22를 이용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유전형 분포에서는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J형이었으며, 이집트에서 수두 환자와 접촉하였던 이집트인 환자에서 E형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면역저하 소아에서 백신주에 의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소아에서 여전히 J형이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으나, 돌연변이와 유전형 변이를 통하여 변형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BDNF Genotype-related Differential Plastic Changes of White Matter Tract Integrity during Motor Recovery after Stroke

        박은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910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tial plastic changes in tract-related diffusion tensor image (DTI) parameters in the corticospinal, intrahemispheric and interhemispheric corticocortical, and alternate corticofugal motor tracts from 2 weeks (T1) to 3 months (T2) after stroke onset according to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enotyp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or impairment and tract-related DTI parameters in various white matter tracts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BDNF genotype. Materials and Method: Fifty-eight patients with subacute ischemic stroke were enrolled. Total scores of Fugl-Meyer Assessment (FMA) and DTI parameters were acquired at T1 and T2. Four template tracts related to motor recovery were reconstructed from probabilistic tractography in healthy controls. The analyzed tract-related DTI parameters were fractional anisotropy (FA), axial diffusivity (AD), and radial diffusivity (RD) in the corticospinal tract (CST), the intrahemispheric corticocortical tract from the primary motor cortex to ventral premotor cortex (M1PMv), the corpus callosum (CC), and the alternate corticofugal motor fibers (aMF).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BDNF genotype into either the Val (valine homozygotes) or Met (methionine heterozygotes and homozygotes) group. Repeated-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nge in white matter tract FA and the BDNF genotype. Other tract-related DTI parameters such as AD and RD were analyzed as the same manner.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djusted by age and volume of stroke lesion was also performed between motor impairment and tract-related DTI parameters in each group.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FMA scores or the values of FA, AD, and RD in CST, M1PMv, CC, and aMF over time between the Val group (age 64.7 ± 12.4 years, range 35-80, N = 17) and the Met group (age 62.1 ± 11.7 years, range 33-80, N = 41). However, in patients with severe motor impairment (FMA at T1 ≤50), there were significant time and BDNF genotype interaction effects in FAi, FAc, RDi, and RDc of CST, M1PMv, and aMF, and in FA and RD of CC (p < 0.05).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Di and ADc of M1PMv and RDi of M1PMv in the Val group and ADi of CST and M1PMv in the Met group are related to motor impairment at 3 months after stroke. In addition, the change in motor impairment from T1 and T2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c of M1PMv at T2 (r = -0.518, p = 0.040) in the Val group, whereas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i of CST at T1 (r = 0.344, p = 0.032) and T2 (r = 0.411, p =0.009) and FA of CC at T2 (r = 0.330, p = 0.040) in the Met group. Conclusions: Patterns of change in white matter tract integrity differed according to BDNF genotype during the subacute phase of ischemic stroke patients who suffered from severe motor impairment. BDNF genotyp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neuroplasticity in stroke pati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유전자형에 따른 뇌졸중 후 운동기능 회복과 관련된 다양한 백질 경로의 가소성을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 변화로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BDNF 유전자형에 따라 뇌졸중 발병 2주, 3개월 시점에서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CST), 동일 반구내 피질간 연결성(intrahemispheric corticocortical connection, M1PMv), 양쪽 반구간 피질간 연결성(interhemispheric corticocortical connection, CC), 피질원심성 운동 경로(alternate corticofugal motor tract, aMF)의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와 운동기능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58명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BDNF 유전자형별로 Val, Met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뇌졸중 발병 2주, 3개월 시점에 운동기능평가와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를 획득하였다. 운동기능 회복과 관련된 백질 경로의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를 구하기 위해, 정상 성인에서 추출한 4개의 백질 경로를 주형(template) 경로로 사용하였다.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는 분획 이방성, 축 방향 열 확산성, 방사 확산성을 계산하였으며, 각 환자에의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 지도를 추출하여 표준화 공간으로 이동시킨 다음, 4개의 주형 경로에 속하는 영역의 파라미터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병측, 건측 백질 경로의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 값과 병측과 건측의 비율을 구하여 BDNF 유전자형에 따른 파라미터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4개의 백질 경로의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는 BDNF 유전자형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초기 뇌졸중 중증도가 심했던 환자들에서만 재분석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산텐서영상 파라미터 값은 유의하게 변화하였으며, 분획 이방성 감소 정도와 방사 확산성 증가 정도가 Val 그룹의 환자들이 Met 그룹 환자들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발병 2주에서 3개월째 운동기능 변화량과 관련 있는 분획 이방성 파라미터는, Val 그룹에서는 동일 반구내 피질간 연결성 경로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Met 그룹에서는 피질척수로와 양쪽 반구간 피질간 연결성 경로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BDNF 유전자형에 따라 뇌졸중 후 운동기능 회복과 관련된 백질 경로들에서 서로 다른 가소성 양상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BDNF 유전자형은 뇌졸중 후 신경가소성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