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ubstep 요소를 포함한 Electronic 음악의 제작과 연구 : 창작곡 ‘Take you high’를 중심으로

        오경수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현시대 국내외 대중음악의 다양한 장르 중 일렉트로닉 음악, 그 중 특히 덥스텝에 초점을 맞춰 분석, 연구한 결과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여러 레퍼런스 곡의 구조적, 기술적인 부분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부분들이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적용되는지를 창작곡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렉트로닉 음악을 제작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몇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있으며 그것은 아래 세 가지로 요약해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주요 음원의 음압과 주파수 분포의 중요성이다. 댄스음악의 한 장르인 만큼 리듬과 테마가 되는 음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다른 악기가 연주되지 않을 때에도 리듬만으로 충분한 음압이 유지되어야 하고, 또한 가청주파수를 가득 채울 만큼 폭 넓게 주파수가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가상악기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여러 프리셋들을 창작곡에 그대로 적용한다면 곡의 독특함과 고유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일렉트로닉 음악에서는 가상악기 내부 설정 값의 변화를 통한 모듈레이션이나 가상이펙터를 통한 모듈레이션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 셋째, 본 창작곡에서 사용된 리튠된 보컬의 반복적인 사용과 하드코어 신스 음원, 워블 베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배치를 통해서 알 수 있듯, 복잡하게 편집된 파형이나 음악적 요소가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반복되는 과정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일렉트로닉 음악에는 차별화된 소리의 지속적인 변화, 청취자의 기억에 각인시키기 위한 반복, 저중고 음역대 간의 균형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제작된 곡은 청취자들의 관심을 보다 쉽게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nalyzes and researches electronic music, which is one of many genres in contemporary popular music, especially focusing on Dubstep. This study analyzes constructional and technical elements from various existing reference music sources, and identifies how these elements are practically applied through the original composition 'Take You High'.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producing electronic music. First of all is the importance of loudness and frequency distribution. As electronic music is a kind of dance music, selecting the right rhythm and theme sound is crucial, In addition, rhythm should be able to maintain loudness of a music by itself even when other instruments are not being played, and frequencies of sounds also should be distributed widely enough to cover all audible frequencies. Secondly, modulations by changing presets of virtual instruments or by virtual effects must be carried out. If presets are used as provided from the manufacturers without any modulation, the composition's uniqueness and originality can be damaged. Lastly, as identified through the repetitive use of re-tuned vocals and arranging diverse forms of synth sounds and wobble bass in the original composition 'Take You High', complicatedly edited wave forms or musical elements must be repeated with some variation in the music. As we studied above, continuous changes of unique sounds, repetition of them for listeners to remember, and a balance among all ranges of frequencies are essential for electronic music, and music produced based on these three elements may make it easier to be received attention by audiences.

      •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 연구 : 스크릴렉스 음악의 <험블>을 중심으로

        김민정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4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현대 덥스텝 제작 분석과 스크릴렉스의 <험블>을 통해 덥스텝의 파생 장르인 글리치 합의 제작 기법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웨이브테이블은 현대에 사용률이 높은 합성방식이며 날로 발전해가는 가상악기의 합성방식중 하나이다. 웨이브테이블 합성방식이란 악기의 원음 샘플을 사용하여 악기음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원음 샘플의 단일 주기 파형을 변조 하거나 합성하여 새로운 음색을 만드는 방식이다. 다른 합성 방식에 비해 원음 샘플을 사용하여 음질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이 있어 웨이브테이블 합성방식을 사용한 가상악기 세럼을 이용하여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을 연구한다. 덥스텝 음악은 레게에 뿌리를 두고 발전된 전자음악 장르이다. 이 음악의 특징은 드럼과 베이스를 증폭 시키는 등 보컬의 역할이 강조되지 않은 연주 음악 형태를 띠며 대부분 단조로 무겁고 어두운 성격을 가진다. 셔플이나 당김음을 포함하는 하프 패턴을 기반으로 두고 있으며 3연음을 사용하여 절름거리는 느낌을 준다. 덥스텝은 다양한 장르 합성으로 명칭이 다르게 불리는데, 덥스텝과 힙합이 합성된 장르를 글리치 합이라 명칭한다. 이러한 덥스텝 파생 장르 글리치 합 제작기법을 웨이블테이블 신시사이저 세럼을 이용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분석하고 이 합성방식의 가상악기를 이용하여 덥스텝 제작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웨이브테이블 이전의 합성방식과 이러한 방식이 나오게 된 이유를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하고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를 통해 이의 활용을 살펴본다.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로 X사의 세럼을 이용한다.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은 스크릴렉스의 <험블>을 중심으로 하며 덥스텝과 글리치 합에 대한 연구를 한다. 덥스텝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험블>의 모음 악보를 제작하고 곡 구성을 분석하였다. 세럼을 이용해 <험블>의 사운드를 연구 제작한 후 웨이브테이블을 이용해 목소리 효과음을 제작하고 구간마다 달라지는 주요 신스 브라스 주파수를 비교 하였다. 또한 제작 사운드의 오실레이터와 필터, LFO, 매트릭스의 설정 값을 그림과 표로 한다. 또한, 덥스텝 사운드 주파수 특징주파수를 알기위해 타 장르와 애널라이저 스펙트럼을 비교분석 한다. 이를 위한 비교 장르는 덥스텝, 팝 음악, 발라드 음악으로 한정한다. 그리고 <험블>의 원음과 제작곡 또한 주파수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는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차별화된 사운드효과를 만들고 덥스텝 음악 기법과 사운드 제작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주류 음악이었던 덥스텝이 오늘날 수많은 장르 합성을 통해 다양한 하위 장르를 만들어 냈다. 이 연구를 통해 웨이브테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사운드 제작과 덥스텝 음악과 글리치 합 음악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덥스텝의 합성 장르와 사운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