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본회퍼 신학에 나타난 교회와 세상의 관계

        송창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논문에서 연구되어진 것은 본회퍼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 가운데 나타난 교회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본회퍼의 작품들을 년대별로 살펴보면서 초기 사상에서 후기 사상에 이르기까지 본회퍼의 사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형성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본회퍼의 교회론 연구를 통하여 세상을 향한 교회의 존재의미가 무엇인지를 찾아, 오늘의 교회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우리는 미래를 향하여 부단히 변혁되어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기독교의 전통적인 교훈과 도덕 내지 윤리는 이 흐름에 민감하지 않으면 뒤떨어진 한 낱 과거의 유산으로 남게 될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 그 자체는 영혼 불멸의 진리이지만 그 말씀의 해석과 그들을 받아들이는 상황은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기독교는 새로운 모습의 종교형태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에 와 있다. 기독교가 교회라는 울타리 안에서 오랫동안 안주하여 왔으나 시대가 더 이상 이런 안일한 상태를 허용할 수 없게 되었으니 이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야 할 역사적 시점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교회 안에서 말씀으로 재무장하고 밖으로 뛰어 나가야 할 때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회퍼의 사상은 현실의 시대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본회퍼는 제도나 조직이나 권위등 비인간적인 일체 거부한다. 본회퍼가 처해진 당시의 최대의 적은 나치였다. 그러면 지금의 적은 무엇일까? 이는 인간성을 거부하는 공산주의, 사회적 부조리, 빈곤, 범죄, 등 모든 비인간화의 요소들이 본회퍼의 적이다. 이러한 적들에 대항하여 싸우는 것이 그의 비종교화이며 하나님 뜻의 구현이다. 여기에 그의 세상적인 삶의 의의가 있다. 그가 부르짖는 교회 안에서 밖으로 초월적인 것에서 실제적인 것으로 그리스도의 말씀 위에 이루어지는 모든 것이 교회의 생명이고 그를 찾는 의의가 바로 여기에 있다. We tried to find out the concept of church based on the Dietrich Bonhoeffer's works. For this thesis, we investigated his works chronologically and studied what Dietrich Bonhoeffer's thoughts had been like and how it had gradually changed from his earlier thoughts to his late on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essential meaning and mission of present church un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rough the Dietrich Bonhoffer's works. Nowdays, we human beings are living in the situation which has been changing continuously toward the future. If moral and ethical teaching's of christian churches cannot correspond to this changing in situation sensitively, they will be behind this age and may be remained as past heritage, too. Though God's word, itself, is the eternal truth, interpretatio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God's word must be depended upon the change of the age. In this respect, our Christianity must seek new type of relig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ge. Christianity has being in the castle of church at ease. However, our society does not want this easy existence of christianity in church by this change of the situation, and we must seek another way for it repidly. Right now we must change the outer world by rearmament of God's word so that we can proclaim the Truth of God. In actuality, Bonhoeffer's ideology can be the demand of this age. Dietrich Bonhoeffer denies all kind of organizations, authorities and unhumane matters. Bonhoeffer's enemy of his age was the very Nazism. Now, what are the enemies of these days? They are the elements of inhumanity such as communism which denies the humanity, social unrighteous, poverty and crime. It is Bonhoeffer's religionless Christianity and the realization of God's will to struggle against enemies. The viewpoint of the struggle mentioned above the worth of life. He asserted that it is the purpose of Church to complete anything on the base of God's word.

      •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론 연구 : 그리스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임왕성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objective of the thesis is to study what significance Jesus Christ has for us when we are faced with new circumstances of today, based on the analysis over Bonhoeffer‘s understandings on Jesus Christ laying stress on 'present meaning of Christ', which stems from the question: 'Who is Jesus Christ to us today?'Bonhoeffer's life can not be separated from his theological studies. He agonized over the identities of Jesus Christ and Church in the merciless realities under Hitler, and all the aspects of his theology wholly reflect such agonies including Christology. Upon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theology centered on Reuter's theology in one hand, Bonhoeffer accumulated fresh theological significance that could meet the request of that era through active conversations with liberal theology and newly-appearing dialectical theology. Such methodology which attempted to explain the changed world in a novel way, based on the existing tradition, led to the non-religious interpretation on Christianity. While traditional discussions on Christianity were usually to answer epistemological 'How' questions, Bonhoeffer points out that most of the matters raised by these 'How' questions are the result of efforts to insert a subject into existing diagrams and systems. Therefore, he contends that questions on Christ should be shifted from 'How' to 'Who'. Also he discusses the limitations at that time when liberal theologists tried to define Jesus Christ based on His 'doings', and argues that understanding Jesus Christ should begin with understanding His 'personality' because God is an intrinsically relational being from Bonhoeffer's knowledge. On these grounds, he disapproves of the pre-existing 'analogia entis', but suggests the new 'analogia relationis'.Using such methodology, Bonhoeffer affirms the historical Jesus in terms of 'religious significance'. However, he keeps a negative voice about historical studies on Jesus led by 'Jesus Seminary' which tried to prove Jesus with rather factual and scientific tools. At this point, by the means of critical Christology, he examines different forms of heresies which had appeared throughout the history of traditional Christianity. The heresies were common in a sense that they raised 'How' questions in trying to describe the nature of Christ objectively and logically. Therefore the only allowed question concerning Christ is 'Who', through which Bonhoeffer understands the appearance of Jesus Christ in history as incarnation and disgrace.Most basically, Bonhoeffer understands Jesus Christ as 'personal presence', meaning Jesus Christ is present not as the personality of power or force, but as the consummate person. Also this presence has the structure of 'Pro-me'. Christ who is present personally exists in the Church in the form of His words, sacraments and communities. Jesus Christ reveals Himself in Church through His words, and exists through the sacramental symbol and as communities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yself and God who is 'Pro-me'. On the other hand, Christ is not confined only to Church, but is also in human existence, history and nature. In the centre of human existence, Christ does works impossible for human; in history, Christ is presnet as the judge and mediator; and Christ exists in nature through its salvation.Bonhoeffer‘s Christology was work of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to discover new meanings of Jesus in the new circumstances of the time.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of Bonhoeffer's, the thesis tries to answer: Who is Jesus in today's new context? The pivotal issues we face today is 'the crisis of the creation',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the crisis of the ecosystem' and 'the crisis of globalization'. More specifically on the meltdown of globalization, two subjects are 'the crisis of economic polarization' and 'the crisis of war(terrorism)'. Bonhoeffer understands nature as the place where Jesus Christ is present. Therefore destroying nature and disturbing the order of the ecosystem means destroying and disturbing Jesus Christ. Globalization causes economic polarization and war(terrorism). Above all, economic polarization is a new issue relating to poverty in our generation. Bonhoeffer sees Jesus Christ as 'the being for others' and the concrete presence of others is the realities of impoverishment and affliction. This is why uniting with our neighbours in the scene of poverty and suffering is a sure way to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Christ. Also the problem of war(terrorism) is our reality which was shared with the existent situations in Bonhoeffer's time. He argues that peace which subdues the threat of war(terrorism) is feasible because Christ is present, and he considers this peace as 'part of God's World built on land'.On the other hand, Jesus Christ is also in the centre of healing the creation in the form of the ministry which puts God's creatures under suppression on the centre of 'eco-economic healing' as Sallie McFague promotes, and in the form of universal Christ working for the salvation of every creature. Jesus Christ who was incarnated exists in the field of real 'life evangelism' which recovers interrelations in the society of every creature that have been destroyed due to oppressive relations.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제기하면서 시작된 본회퍼의 그리스도 이해를 그리스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하여 오늘 우리가 맞고 있는 새로운 상황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본회퍼의 생애는 그의 신학과 분리될 수 없다. 그는 히틀러 치하의 냉혹한 현실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의 의미에 대해 고민했고, 그 고민들은 그리스도론을 비롯한 그의 신학 전반에 스며들어 있다. 한편 본회퍼는 루터신학을 중심으로 한 전통 신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유주의 신학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변증법적 신학과의 활발한 대화를 통하여 당시의 시대적 요청에 응답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의미들을 찾아내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전통을 근거로 하여 변화된 시대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방법론이 그리스도교의 비종교적 해석으로 나타난다.그리스도론과 관련하여 기존에 논의되었던 내용들은 주로 ‘어떻게’라는 질문으로 제기되는 인식론적 물음에 대한 대답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하지만 본회퍼는 ‘어떻게’라는 질문으로 제기되는 거의 모든 내용들이 대상을 기존에 존재하는 도식과 체계에 편입시키려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므로 본회퍼는 그리스도에 대한 질문 자체가 기존 ‘어떻게’의 인식론적 질문에서 ‘누구’의 존재론적 질문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당시의 자유주의신학의 영향으로 예수그리스도를 ‘행위’를 근거로 하여 이해하려 했을 때의 한계를 지적하고, ‘인격’에서부터 시작하는 그리스도이해를 주장한다. 본회퍼에게 있어서 하나님은 철저히 관계적 존재이다. 이를 근거로 하여 본회퍼는 기존의 존재유비 신학을 거부하고 새로운 관계유비신학을 제시했다.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하여 본회퍼는 역사적 예수를 ‘신앙적 의미’에서 긍정한다. 하지만 예수를 사실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하려 한 예수 세미나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예수 연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여기에서 본회퍼는 비판적 그리스도론이라는 이름으로 기독교 전통에서 나타났던 다양한 이단들의 형태를 살핀다. 이러한 이단들의 공통된 특징은 ‘어떻게’라는 질문을 통해 그리스도의 속성을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나타내려 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유일한 질문은 ‘누구냐’이다. 이 질문을 통해 본회퍼는 역사 속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형태를 성육신과 수욕으로 이해한다.본회퍼는 기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 현존’으로 이해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힘이나 동력의 인격성이 아닌 분명한 인격자로 현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존은 ‘나를 위한’이라고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인격적으로 현존하는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서 말씀과 성례전과 공동체로서 현존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서 말씀을 통하여 스스로를 계시하고, 성례전적 상징을 통하여 현존한다. 그리고 나를 위한 존재로서 나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한 공동체로서 현존한다. 한편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 갇히지 않고 인간 실존과 역사 그리고 자연 안에 현존한다. 그는 인간실존의 중심에서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성취하신다. 역사 안에서 그리스도는 심판자와 중보자로 현존한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자연의 구속으로 그 안에 현존한다.본회퍼의 그리스도론은 신학적 재해석 작업이다. 당시의 새로운 정황 속에서 새로운 예수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본회퍼의 그리스도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오늘 우리가 맞고 있는 새로운 정황 속에서 예수는 누구인가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았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중심적인 문제는 ‘창조세계의 위기’이다. 이러한 ‘창조세계의 위기’는 ‘생태계의 위기’와 ‘세계화의 위기’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세계화의 위기’는 구체적으로 ‘경제양극화의 위기’와 ‘전쟁(테러)의 위기’이다.본회퍼는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의 장소로서 자연을 이해했다. 따라서 자연을 파괴하고 생태계의 질서를 훼손시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파괴하고 훼손하는 것이다. 세계화는 경제양극화와 전쟁을 야기한다. 먼저 경제양극화는 우리 시대가 안고 있는 새로운 빈곤의 문제이다. 본회퍼는 예수 그리스도를 ‘타자를 위한 존재’로 이해했으며, 타자의 구체적인 실존은 가난과 고난이라는 현실이다. 따라서 가난과 고난의 현장에 있는 이웃들과 연대하는 것을 통해 그리스도의 현존에 참여할 수 있다. 전쟁(테러)의 문제는 본회퍼가 처해있던 실존적 상황을 공유하는 우리의 현실이다. 본회퍼는 전쟁(테러)을 뛰어넘는 평화는 그리스도의 현존 때문에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화를 본회퍼는 ‘지상에 건설된 하나님 나라의 일부’로 보았다.한편 예수 그리스도는 창조세계 치유 가운데도 현존한다. 샐리 맥페이그가 주장하는 생태경제적 치유의 중심에 예수 그리스도는 억압받는 하나님의 피조물에 관심을 두는 사역으로, 그리고 모든 창조물의 구원을 위한 우주적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현존한다. 그리고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지배억압 관계로 인해 파괴된 모든 피조세계의 상호관계를 회복하는 생명선교의 현장에 현존한다.

      •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론

        김경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 삼위일체론 연구에 있어서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전까지의 삼위일체론 연구와 어떠한 점에서 구별되는지, 또한 그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기독교 역사에서 볼 때 삼위일체 교리는 초대교회의 이단과의 논쟁 가운데서 교회와 신학을 보호하며 기독교의 진리를 고수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은 삼위일체론의 사변성에 대해 언급하며, 인간의 이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비의 교리로 또는 우리의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교리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경향은 이제까지 삼위일체 교리가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 서방교회 신학의 전통을 중심으로 이어져 내려온 데 기인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몰트만은 하나님의 삼위되심은 세 분이라는 것에서부터 그의 삼위일체론을 전개한다. 그에 의하면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이 순환적 사랑과 교제를 통하여 하나가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케 하는 것은 무한한 사랑의 힘이다. 다시 말하면, 몰트만이 말하는 삼위 하나님이 한 분이 되는 것은 숫자적 의미에서 삼위 하나님이 한 분이 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순환적 존재방식을 통하여 서로 간에 함께 거하시는 독특한 삶의 모습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을 “순환적 삼위일체론”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그가 말하는 순환적 삼위일체론의 내용은 무엇인가? 순환의 개념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 그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의 출발점은 무엇인가? 순환적 삼위일체론과 하나님 나라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그의 삼위일체 교리가 현대신학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 그의 삼위일체론에 대하여 일부에서 비판하는 “삼신론적 경향”에 대한 대안과 극복 방안은 무엇인가? 등 이러한 물음들은 이 논문에서 함께 다루어야 할 구체적인 주제들이다. Ⅱ장에서는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을 연구하기에 앞서 이제까지 삼위일체론의 역사적 논의와 현대 신학자들이 다루고 있는 삼위일체론과 그에 대한 몰트만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는 역사적으로 초대교회에서 이단과의 논쟁가운데서 형성되었다. 오늘날까지 삼위일체 교리는 서방교회의 전통에 따라 발전되어 왔는데 서방교회 신학은 일반적으로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서방교회 삼위일체 신학의 초석을 놓은 터툴리안은 “한 실체-세 인격”으로 삼위일체 도식을 정의하였고, 20세기 신·구교 신학을 대표하는 칼 바르트와 칼 라너의 삼위일체도 서방교회의 전통에 따라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것을 전제하였다. Ⅲ장에서는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의 근거로 삼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그 십자가 사건이 가지는 삼위일체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몰트만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하나님의 사건으로 보았다. 아들이 고난 당하고 죽을 때, 아버지는 무한한 사랑의 영인 성령 가운데서 함께 아파하고, 고난 당하였다. 그러므로 십자가는 아들의 고난이자 아버지의 고난이었다. 그러므로 몰트만에게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관계의 사건이요, 삼위일체적 사건이다. Ⅳ장에서는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의 핵심 내용으로서 순환의 개념과 삼위 하나님의 일체성을 다루었다. 순환(페리코레시스)은 삼위 하나님의 하나됨을 나타내는 개념인 동시에 삼위 하나님의 개체성을 확립하면서 서로 간의 사랑의 사귐과 교제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몰트만에 의하면 삼위 하나님의 일체성은 성부와 성령이 성자와 함께 있고, 성부와 성자가 성령과 함께 있고, 성자와 성령이 성부와 함께 있는 세 분 하나님의 순환적 삶 속에 있다. 삼위 하나님이 한 분이 되는 것이 삼위일체가 아니고 삼위 하나님이 순환적 존재방식을 통해 상대방 안에 침투해 계시고, 상대방과 함께 거하시는 하나님의 독특한 삶의 모습을 설명한 것이다. 즉, 하나님의 하나되심은 삼위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적 삶에 있다. 이것을 가능케 하는 것은 완전한 사랑의 힘이다. 그러므로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이 세 분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이삼위 하나님이 페리코레시스적 방식으로 하나임을 설명하는 삼위일체론이다. Ⅴ장에서는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의 실천 과제를 다루면서 그가 제기하는 삼위일체론적 역사 이해와 자유론을 통하여 하나님 나라의 신학적인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몰트만은 삼위일체론을 사회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 일반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이해의 토대는 절대 주권자요 권능과 위엄의 하나님으로서 인식되었고, 신학이나 예배의 대상으로서 머물러 있어서 우리의 실제적인 삶 속에서 참된 의미를 가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몰트만은 그의 삼위일체론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우리의 삶 속에서 그리고 우리들의 사귐 속에서, 그리스도의 공동체의 예배와 성만찬에서, 세례 속에서 함께 하는 분이라는 새로운 신학의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Ⅵ장에서는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이 현대신학에 끼친 영향들을 청치신학, 여성신학, 생태신학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동안 군주적 유일신론은 황제의 군주적 통치와 교황의 교권적 통치의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이것은 다양한 국가와 공동체를 위태롭게 하는 것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귐과 교제와는 근본적으로 거리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몰트만은 경제, 정치, 사회, 인종, 문화, 자연 세계의 해방을 주장하며 삶의 전 영역에 걸쳐서 그의 정치신학을 광범위하게 전개하였다. 또한 오늘날 가부장적 남성 중심의 사상으로부터 야기되는 문제들을 비판하며, 삼위일체론적 사귐은 남자들과 여자들이 지배와 억압 없이 상호간에 존중하며 인정하는 자유로운 사귐과 생활 공간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몰트만은 생태 환경의 위기를 바라보면서 하나님과 세계를 이원론으로 구분하는 유일신론적 신관을 비판하며, 세계 안의 하나님과 하나님 안에 있는 세계를 강조하는 삼위일체론적 순환의 원리를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은 삼위의 일체성을 일신론적(Monotheistic) 일체성이 아닌 삼위일체론적 일체성으로 이해하였다. 그의 삼위일체론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 하나님이 상호 깊은 사랑의 페리코레시스를 통해 함께 거하시고, 상호 침투해 거하시면서 하나가 되시는 하나님의 삶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이 일부에서 비판하는 것처럼 삼신론은 아니다. 이러한 경향은 이제까지의 삼위일체론이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대전제를 가지고 내려온 서방교회 전통의 영향으로 기인한 것이다. 오히려 몰트만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와 성서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동·서방 교회가 공인하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년)의 전통을 충실히 따르는 성서적이고 정통적인 삼위일체론이다. 또한 그의 순환적 삼위일체론은 그 동안 이론적이고 사변적인 신학으로 여겨지던 삼위일체론을 실천적으로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은 구체적으로 정치신학과 해방신학, 여성신학, 생태신학에 대한 기여로 나타났다. 그리고 몰트만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건으로 봄으로써 그 동안 전통적인 삼위일체론이 하나님에 대해서만 논의한 것에 반해, 세계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사회의 현실과 고통과 아픔에 동참하며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20세기의 대 신학자요, 행동하는 신앙인이요, 진실한 그리스도의 증인이었던 한 사람, 디트리히 본회퍼(1906-1945)가 주장하고 있는 그리스도에 대한 정의(正義)를 중심으로 그의 그리스도론의 특성과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특별히 본 논문은 본회퍼의 많은 저작 중에서 그리스도론 관련 자료를 살펴봄으로써, '그리스도의 인격적 현존'이라는 핵심개념을 포착하여 그의 그리스도론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신학적 의의와 더불어 그 공헌점을 연구하였다. 본회퍼 신학이 철저하게 그리스도 중심적이요 그리스도 지배적인 신학, 곧 '그리스도론' 임에도 불구하고, 본회퍼의 그리스도론에 대해서는 그의 영향력에 비해 매우 미흡하게 연구되었으며 또한 지금까지 본회퍼의 그리스도론을 연구한 국내의 학위논문들은 본회퍼의 신학적 방법론, 특히 '그리스도의 인격적 현존' 개념을 오해하거나 일부분만을 언급하고 있음을 밝혀두었다. 따라서 '인격적 현존' 개념이 본회퍼의 그리스도론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격적 현존' 개념에 대해 세밀한 연구가 없었다는 것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또한 그의 신학의 중심이 그리스도, 특히 '타자를 위해 존재하는 그리스도' 임을 감안할 때, 그의타자를 '위해' , 타자와 '더불어' 존재하는 그리스도 이해에 대한 연구도 단순히 실천 위주의 사회성만을 강조했지, 인격적으로 현존하신 그리스도의 인격행위인 '대리행위' , '십자가 신학'에 관한 연구는 미약하다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본회퍼의 핵심적 신학구조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연구이며, 본 논문은 이러한 입장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위와 같은 연구 작업에 의해서 본회퍼의 그리스도론에 대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먼저, 필자는 본회퍼의 '그리스도론 강의'의 신학적 의의와 공헌점을 철저하게 그리스도 중심적인 사고와 신학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 두고싶다. 그의 신학전개는 철저하게 그리스도 중심적이었으며, '그리스도론 강의'는 그 핵심이다. 둘째로, 본회퍼는 자신의 그리스도론의 핵심을 '그리스도의 인격적 현존'을 강조했다는 점에 두고 싶다. 이전의 자유주의 신학이 그리스도를 사변적이고 학문적인 위치에서 연구하였다면, 이제 본회퍼는 '그리스도의 인격적인 현존'에 초점을 맞추고 “예수 그리스도는 오늘 우리에게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그리스도를 학문적인 위치에서부터 우리 곁에 가까이 계신 분으로, 그리고 우리와 인격적으로 관계를 갖는 존재로 인식시킨 것이다. 셋째로, 그리스도의 현존 위치에 대한 시야를 확대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본회퍼는 그리스도가 인간 존재와 역사 및 하나님과 자연 사이의 중심과 중보자가 됨을 지적하였다. 특별히 이러한 그리스도 현존 위치에 대한 언급은 그리스도인의 책임적인 삶을 강조하는 기반을 놓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존재'로서의 그리스도와 그의 인격적 현존으로서의 '타자를 위한 교회'를 강조하였다는 것이다. 특별히 본회퍼 신학의 중심개념인 '대리행위'와 '십자가 신학'을 통해 '타자를 위해 대신하여 고난받는 그리스도'를 이해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그리스도와 및 그리스도의 인격적 현존으로서의 교회가 타자를 '위한' , 타자와 '더불어' 존재하는 교회이어야 함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가 '타자를 위한 존재'이듯이, 그리스도인의 삶은 이 세상 속에서 타자를 위하여 고난받는 책임적인 삶(사랑, 필자 주)을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eculiarity and character of christology by Dietrich Bonhoeffer(1906-1945). He was a great theologian of the 20th century, an active believer, and a true witness of Christ. Among his many great writings that are related to Christology he especially tries to grasp the core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 existence of Christ' and the study of the theological meaning that his Christology gives us today and its contribution. Despite that his theology is thoroughly Christ centered and Christ dominant, Dietrich Bonhoeffer's Christology is rarely studied in contrast with his influence. Until now the domestic theses for degree studying Bonhoeffer's Christology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the characteristic existence of Christ and referred to very little. It is, thus, deeply to be regretted that there has not been minute research about the concept of characteristic existence in spite of its being core concept to understand his Christology. Furthermore, when we consider that the kernel of his theology is Christ, especially Christ being for other the being, many people have emphasized simple practice centered sociability and seldom studied 'deputyship' and 'theology of cross'. With respect to this, this study is indispensable to grasp the central structure of his theology and has its meaning. With the help of this study,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theological meaning and contribution of his Christology is his Christ centered methodology and 'the lecture of Christology'. In the second place, Bonhoeffer puts the kernel of his Christology into the characteristic existence of Christ. Whereas the former liberalism studied Christ speculatively and academically, Bonhoeffe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existence of Christ', and emphasized the question that "Who is Jesus Christ for us today?" This helps us understand Christ as being near and related with us personally from an academical position. Lastly, he enlarges our sight over the position of Christ's existence. Firmly, Bonhoeffer points out that Christ is the center and mediator of human existence, history, God and nature. His referrence, therefore, to the existential position of Christ laid basis emphasizing responsible life of Christians. In conclusion, he emphasizes Christ as 'being for otherness' and church for otherness as his characteristic existence. In particular, he understands 'suffering Christ in place of otherness' through 'deputyship' and "theology of cross', the central concept of his theology. Through this he examines the church as the characteristic existence of Christ to be 'for' otherness and be 'with' otherness. Therefore, as Jesus Christ is 'being for otherness', the life of Christians is to be responsible life suffering for others in the world.

      • Dietrich Bonhoeffer’s Theology as a Missionary Hermeneutic of Intercultural Translation: This-Worldliness for the Sake of the World

        Maddox, Devin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Southeastern Bapti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255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Dietrich Bonhoeffer’s theology can be read as a theology of mission. Mission is the underlying theme that demonstrates a high degree of continuity between his early and later writings. Bonhoeffer’s early theology (e.g. Sanctorum Communio, Act and Being) and later theology (e.g. Ethics, prison writings, e.g. “religionless Christianity”) are often regarded in Bonhoeffer studies as having a high degree of discontinuity. This study proposes a contrary reading of Bonhoeffer’s early and later theology—one that posits a significant degree of continuity between the two. Borrowing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translation,” adapted from David W. Congdon’s missiological reading of Rudolph Bultmann’s theology in The Mission of Demythologizing: Rudolph Bultmann’s Dialectical Theology, this dissertation highlights the logic of mission in all of Bonhoeffer’s major works and shows that mission is a helpful lens for reading Bonhoeffer.

      • A study on the pacifism of Dietrich Bonhoeffer :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윤리의 관한 연구

        류완형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253

        이 연구의 목적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사상을 고찰함에 있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평화를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으로 이해했다. 하나님의 계명으로 평화는 구체성을 갖고있고, 신앙의 결정의 문제로서 정치적 책임적 행위이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평화주의자였다. 그러나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 안에서 최후의 수단으로서 저항을 선택하였다. 디트리히 본회퍼가 현대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남긴 고민은 평화를 위한 책임을 이해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평화를 위해 살고 평화를 이끌어 나아가는 것이다. 평화는 언제나 주어진 상태가 아닌 실현되어 가는 과정이다. 정의로운 평화가 실현되도록 일을 하여야한다. 디트리히 본회퍼가 진정한 교회의 모습을 "타자를 위한 교회"에서 지적하였듯이, 교회는 평화를 위하여 존재하는 교회가 되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