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위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적정성에 관한 연구 : 바느질 수업을 중심으로

        김영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497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위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개발된 교수·학습자료에 대한 적정성을 분석하여 바느질 수업에 적합한 내용을 찾아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의생활 영역의 바느질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고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의 양과 수준, 목표 타당도, 흥미도를 조사하여 개발된 자료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학생에게는 수업의 양과 수준, 실생활과의 관련도, 흥미도를 조사하여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서울, 인천, 경기 지역 237명의 교사와 인천광역시 P초등학교의 1개 학급 학생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생들에게 9월 2주부터 11월 2주까지 약 10주간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자료를 적용하였다. 교사의 적정성 검사는 결과를 빈도 분석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육 경력과 학교 소재지에 따른 의생활 교수·학습자료의 학습량, 내용수준, 내용의 타당도, 흥미도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학생의 적정성 검사는 빈도 분석으로 평균, 표준표차를 산출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와 함께 심층적 분석을 위해 포트폴리오, 행동 관찰 기록, 질문 분석 등의 정성적 평가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재량활동을 위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내용에 대하여 교육 경력과 학교 소재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학습의 양, 학습의 수준, 목표 타당도, 흥미도면에서 모두 적정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재량활동을 위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내용에 대하여 학습의 양, 학습의 수준, 실생활과의 관련도, 흥미도에서 적정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코바늘로 작은 가방 만들기’는 학습의 양이 다소 많고 수준이 약간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적용 후 실시한 실습활동에 대한 자기평가와 느낀 점 쓰기 및 일기장에 기록된 소감문 쓰기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긍심과 협응력, 창의력, 문제해결력이 향상 되었다. 넷째,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적용 후 학생들의 행동을 분석한 결과 일의 가치와 작업으로 완성된 물건의 소중함을 깨닫고 있었으며 바느질 기능을 진로와 연결해 보려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다섯째,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적용 후 달라진 점에 대한 질문 분석 결과 학생들은 집중력과 인내심, 차분한 마음, 실천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하면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이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재량활동을 위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로 개발된 내용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적정한 것이며 이를 적용한 후에는 학생의 바느질 기능의 향상 및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위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적정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실과 교육목표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자료가 개발 되었고, 개발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적정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므로 이 교수·학습자료를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개발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하여 재량활동 시간이 아닌 실과 시간에 수업을 하고 기존 교육과정의 의생활 교수·학습자료와의 차이점을 검증할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의 특성상 남 녀 학생을 함께 지도해야 하는데 바느질 수업에 대한 남 녀 학생의 기능과 흥미도의 차이가 커서 교수·학습에 어려움이 생긴다. 따라서 남 녀의 특성을 고려한 의생활 교수·학습자료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는 학생에게만 자료를 직접 적용하였고 교사는 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자료의 검토만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교사가 수업을 직접 실시하고 검사를 실시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학생들에게 바느질 기능 수업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재량활동 시간과 함께 계발 활동 시간에 할 수 있는 다양한 바느질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생들은 실생활과 관련이 있으며 흥미로운 용품 만들기를 매우 좋아하고 열심히 작업한다. 학생들의 요구와 교육목표에 맞는 교수·학습자료가 개발되면 학생들의 바느질 기능의 향상과 함께 교육목표의 달성도도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요구를 고려한 교수·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후속 연구는 꾸준히 계속 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teaching contents adequate for the sewing class by developing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and analyzing the relevance of the developed material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sewing in the area of clothing life, and analyzed the relevance of the developed materials by surveying teachers on the volume and level of class, the validity of goals, and interestingness. With students, we analyzed relevance by surveying on the volume and level of class, relevancy to real life, and interesting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7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a class of students at P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For the sampled students, we applied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discretionary activity hours for around 10 weeks from the 2nd week of September to the 2nd week of November. From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teachers on the relevance of the materials were obtain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olume of learning, the level of contents, the validity of contents, and interestingness of the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location. From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students on the relevance of the materials were obtain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frequency analysis. Survey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WIN. For in-depth analysis, additionally, we performed qualitative analyses such as portfolio, behavior observation record, and question analysis. From this study were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though showing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experience and school location,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ntents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relevant in terms of the volume of learning, the level of learning, the validity of goals, and interestingness. Seco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contents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relevant in terms of the volume of learning, the level of learning, relevancy to real life, and interestingness, but that the contents for ‘Making a small bag with a crochet needle’ were somewhat large in volume and difficult.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ents’ self-evaluation on the practical activities, their writings of what they felt, and their diarie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students’ self-esteem, coordination ability,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improved.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ents’ behavio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works and the value of things completed through work, and showed the attitude of connecting sewing functions to their career.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ents’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d any difference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ncentration, patience, calm mind, and practice, and gained the belief ‘I can do if I try.’ Accordingly, it was proved that the contents of the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relevant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sewing functions and affective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as follows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relevance of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First,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iming at the education goals of practical art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to be relevant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distribute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Seco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pply the developed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practical arts classes rather than in discretionary activity hours an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other existing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the curriculum. Thir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gether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teaching-learning because there are large differences in function and interest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sewing class. Accordingly,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clothing life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Fourth, in this study,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applied only to students, and the teachers just reviewed the materials without teaching them in their classes. Thus, for getting more accurate result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at which the teachers give classes and assess the students by themselves. Fifth, in order to provide sufficient sewing function classes to students, we need to develop various sew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vailable in discretionary activity hours and developmental activity hours. Sixth, students love and participate diligently in making things interesting and relevant to real life. If we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meet students’ needs and education goals, such materials will enhance students’ sewing functions and the achievement of education goals. Accordingly,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needs.

      • 언어·문화 통합 학습을 위한 초등영어 교재 개발

        김수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4942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언어와 문화가 통합적으로 제시된 초등학교 영어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영어 교재는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문화 내용이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문화 교육의 목표인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언어와 문화를 통합한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언어·문화 통합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해 문화 교육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과 이를 반영한 교과서 문화 코너의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를 대상으로 문화 교육 및 자료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언어·문화를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제 중심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화 주제를 중심으로 적절한 언어 기능과 문화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조직하였다. 교수요목에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 수준에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언어·문화 통합 학습 활동을 고안하였으며, 수정된 문화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활동을 배열하고 교재를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문화 내용의 부족과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 교재는 풍부한 문화 내용을 담아 문화 자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일상생활과 가깝지만 제시 빈도가 낮은 문화 유형과 배경을 고르게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문화 내용과 의사소통 기능과의 연계 비율을 높이고 계열성이 자주 나타나는 문화 유형을 파악하여 교재 개발에 반영하여야 한다. 둘째, 교재는 문화 교육 시간 및 자료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언어와 문화를 함께 학습하도록 하여 교육 시간을 확보하고 문화 내용을 주제로 삼아 교재를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교사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어권 문화의 의사소통 방식을 고려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교재에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학습 중심의 교재에서 벗어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의사소통 기능 학습에 문화 내용을 통합하여 영어와 문화를 함께 교수·학습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연구를 통해 얻은 교재 개발의 방향이 교육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언어·문화 통합 교육과정의 개발이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주제 중심 접근법 이외에도 언어와 문화를 통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언어와 문화가 통합된 교수·학습 활동과 교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lementary school English materials in which language and culture are integrated for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Because the English materials previously focus on acquiring communication skills, culture content is sometimes negle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language ​​and culture to solve these limits and develop English materials that can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sufficient cultural education. First, the literature on cultural education was reviewed to develop the language-culture integrated materials.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ulture columns reflecting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In addition, a demand survey on cultural education and materials was conducted for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of English material development was established. As a method for integrating language and culture, a theme focused approach was used, and the syllabus was organized by selecting appropriate language functions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cultural them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set in the syllabus, specific language-culture integrated learning activities were devised by utilizing teaching-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learners' level. English materials were construct that arrang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revised learner-centered 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nglish materials that are developed to solve the lack and imbalance of cultural contents must fulfill the role of cultural materials, including sufficient cultural contents, and reflect the culture types and backgrounds that are close to daily life but have a low frequency of presentation. In addition, cultural materials related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hould be used to link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The type of culture in which series is often seen should be also reflected in textbook development.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cultural education time and materials, the education time should be secured by learning language and culture together. Throughout the whole language learning process, materials using cultural content as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construc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deal with culture of ideas, such as communication methods of English-speaking culture, by reflecting the needs of teachers, and to develop variou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be reflected in materials. Third,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beyond the language skill learning, language-culture integrated English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teach and learn English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by integrating culture contents into communication function learning.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se studies. First, in order for the direction of materials development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to be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al field,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first. Second, in addition to the theme focuse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apply various ways to integrate language and culture. Thir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variety of language and cultu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materials so that they can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nglish classes.

      • 중학교 2학년 과학 『여러 가지 운동』단원의 기초수학을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김수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4939

        이 연구는 기초수학의 내용과 방법을 이용하여 과학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중학교 2학년 과학 『여러 가지 운동』단원의 기초수학을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여러 가지 운동』단원을 <물체의 위치와 이동거리>, <물체의 빠르기와 속력>, <등속 직선운동>, <속력이 변하는 직선운동>, <등속 원운동>, <주기 운동>의 6개의 학습주제로 나눈 후, 학습주제별로 적절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자료는 기초수학을 이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기초수학을 이용한 학습 활동지, 기초수학을 이용한 교사용 지도 자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용 학습 활동지는 【과학문제 제시】→【과학문제와 관련된 기초수학 문제 제시】→【기초수학을 이용한 과학개념 이해】의 세 단계의 구조를 따른다. 이 자료의 기본이 되는 수학적 개념이 기초수학 내용을 넘어 선 것도 있어 다소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서 적절히 활동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 자료는 정규 수업과정 뿐만 아니라, 상설과학반, 계발활동의 과학반, 방과 후 과학반 학생들의 교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실제로 교육현장에 적용하지 못하였다. 이 자료가 학업성취도 변화,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를 변화 시키는 데 효과적인지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여기서 다루지 않은 단원과 새로운 학습전략을 추가해도 좋은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using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basic mathematics in the unit 『Various Motions』 on the science textbook of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And the study has also made research to help a basic mathematics to apply to science matters. The unit 『Various Motions』 is divided into six learning subjects. First, posi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a body. Second, velocity and speed of a body. Third, uniform rectilineal motions. Fourth, straight line motion which speed is changeable. Fifth, uniform circular motion. Sixth, periodic motion. And then proper teaching learning materials are developed according to learning subjects. These materials are made up of three parts by using a basic mathematics. Firstly a teaching-learning curriculum. Secondly learning activity papers. And thirdly teacher's teaching materials. There are three steps on student's learning activity paper. The first step is presentation of science questions. The second step is presentation of basic math matters relevant to scientific matters. The third step is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 by using a basic mathematics. There are some matters in the data. Some concepts on the data are required more deep understanding than the concept of a basic mathematics so that teachers should adjust the activities for student's level. The materials can be used for not only a regular class course but also a permanent science club, a science club of active development and an after-school science club. The result on the study has not been applied to a practical instruction spot. The study needs to find more research about whether these materials are efficient to develop scholastic achievement, interest and attitude in science. If more units which have not been investigated here are studied and a new learning strategy is added, the study would be better.

      • 한국(예장통합)과 미국(장로교)의 교회학교 고등부 공과 비교 : D. Campbell Wyckoff와 Iris V. Cully 이론을 중심으로

        석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4886

        본 논문은 한국(예장통합)과 미국(장로교)의 교회학교 고등부 공과를 비교 분석 함으로써 나타난 유사점과 상이점을 통해 한국 기독교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기독교 교육과정 개선과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이론으로는 전통주의적 입장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을 설명한 위코프 이론과, 개념-경험주의적 입장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을 설명한 컬리 이론, 재개념주의적 입장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을 설명한 휴브너 이론을 소개한다. 교회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미국 개신교 교회학교 교육과정의 역사를 살펴보면 1960년대로 들어선 이후 위코프의 자문 아래 시작된 “협동 커리큘럼 기획”(The Cooperative Curriculum Project: C.C.P.)과 1967년에 또 다른 초교파적인 교육과정 운동인 “공동교육개발”(Joint Educational Development)이 주목할 만한 과업이었다. 이후 개 교단을 중심으로 새로운 커리큘럼 개발은 착수 되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개정의 역사를 이루어 오고 있다. 한국의 기독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미국의 영향을 받아 1970년대 이후에는 개 교단별로 커리률럼이 개발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이러한 역사속에서 교단의 공과를 편찬하고 있는 미국 장로교단 출판사인 GCP의 Senior high school 공과와 한국 장로교(예장통합)의 고등부 공과를 기독교 교육과정에 이론적인 영향을 많이 끼친 위코프과 컬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의 방법은 “비교교육학”의 연구 방법 중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공과를 비교한다. 한국과 미국 고등부 공과의 비교 분석에 대한 결과를 통해서 한국 교회학교 교육과정에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한다. 첫째, 한국 교회학교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환경면에서 공과 수업을 위한 공간의 활용과 다양한 교육 자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잠재적 교육 과정을 고려한 내용 선택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목표는 실천 가능하며 평가될 수 있는 목표로 세분화되고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학년 구분이 없는 공과의 단계적 내용 구성을 제안한다. 다섯째 교회학교 교사가 전문성과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수를 위한 자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영역에만 치우치지 않은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한 학생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기독교 교육과정을 다른 나라와 비교함으로써 기독교 교육과정의 개선점을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며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기술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ristian curriculum in Korean churches and to suggest useful perspectives on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curriculum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und through analysis on the textbook for high school of sunday school published in presbyterian churches of Korea and America. With these purposes, I suggest the Christian curriculum theories by D. Campbell Wyckoff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by Iris V. Cully from the conceptual-empiricist perspective and by Dwayne E. Huebner from the reconceptualist perspective Sunday school curriculum is based on these Christian curriculum theories. Historically, in protestant sunday school curriculum in America, the most remarkable works since 1960's are "The Cooperative Curriculum Project"(C.C.P.) and "Joint Education Development" (J.E.D.) Since then, each denomination has revised and developed the curricula and Christian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developed in each denomination since 1970's, influenced by C.C.P. and J.E.D. In this stream, senior high school textbook published by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and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and textbook for high school of Korea presbyterian churches are compared with theories of D. Campbell Wyckoff and Iris V. Cully,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the Christian curriculum. I compare two countries' textbooks of Sunday school on the social science theoretical method which is one of the methods for study in the "Comparative Education". Through the conclusion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two countries' textbooks for high school of Sunday school, I suggest the followings. The first, in curriculum of Sunday school in Korea, the spacial utilization and the use of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is asked for the lesson of the Sunday school in the context for learning. The second, the selectiveness of contents for the hidden curriculum is needed when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chosen. The third, the educational objectives have to be divided and specified to be practiced and evaluated. The fourth, I suggest that the textbook should have different courses according to grades. The fifth, enough information to teach has to be offered so that teachers can get the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s teacher. The last, I suggest that many kinds of learning methods which are not biased cognitively should be offered for student-bas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conclusion, this Article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improvements of Christian curriculum are found by comparing the Christian curriculum in Korea with that of other country and describes the special ways to achieve this.

      • A Comparison of a Team Versus an Individual Approach to Learning in an Onlin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Carling, Linda Z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Johns Hopkins 2016 해외박사(DDOD)

        RANK : 4634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high-performance teaming approach on motivation and engagement as compared to an individual approach in an online alternativ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e study sample included 104 teachers from all grade levels and subject areas enrolled in the program. Five intact groups of participants in two reading courses were assigned to a control or treatment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completed the course individually, while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condition worked in structured learning teams. Asynchronous course discussions were led by the instructor in the individual approach, and led by team members in the team approach. The courses, designed for learner motivation, were controlled in both condition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lectronic Learning Community (ELC) provided a web-based platform for each course, enabling students in both conditions to access course materials and engage in asynchronous discussions with class members and instructor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data on four dependent variables were collected: (a) motivation toward course interest, with four subcomponents of student motivation; (b) motivation toward instructional materials, with four subcomponents of student motivation; (c) frequency of participants’ interactions; and (d) perceived quality of the interactions.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motivation toward the course overall, and mor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oward the course between participants working in teams than working individually. Also,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satisfaction toward th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participants in the team approach. Study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working in teams had higher engagement than students working individually based on a higher rate of posting and an increase in the reported quality of interaction over time in the team approach. Findings contribute to meeting a demonstrated need for an onlin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and a configuration for structuring teams in an onlin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