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ndropanax morbifera와 Commersonia bartramia 추출물의 항암능 및 화학감작효과 분석

        박성규 가천대학교 ← 경원대학교 (X) 2018 국내석사

        RANK : 232383

        Dendropanax morbifera (DM)와 Commersonia bartramia (CB)의 추출물의 항암능과 화학감작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식물체 잎의 추출물을 HeLa (자궁경부암 세포주), SNU-1077 (자궁내막암 세포주), SK-OV-3 (난소암 세포주), HT-29 (대장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MTT 분석을 시행하였다. 항암능 실험에서 4종의 암세포주 세포독성과 정상 세포주인 MRC-5에 대한 DM, CB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비교했을 때 4종의 암세포주 세포독성이 더 높았다. 화학감작능 실험에서 HeLa에 DM 추출물 + paclitaxel, SNU-1077는 CB 추출물 + parclitaxel, SK-OV-3는 DM 추출물 + docetaxel, HT-29의 경우 CB 추출물 + irinotecan에서 Inhibition rate (IR)값이 증가였다. 화학감작능은 암종에 따라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항암제가 상이하였다. 암세포를 3차원 조직배양 방법을 사용하는 3차원 조직배양 항암제 감수성 검사 (3-Dimensional Histoculture Drug Response Assay: 3-D HDRA) 방법을 사용하여 항암능과 화학감작능을 확인하였다. DM 추출물과 paclitaxel을 혼합하여 난소암 세포주 조직에 처리하였고, CB 추출물과 irinotecan을 혼합하여 대장암 세포주 조직에 처리하였다. 항암제와 DM, CB 추출물을 혼합한 항암제를 처리했을 때 난소암 조직과 대장암조직에서 세포사멸이 증가하였다. DM과 CB 추출물을 HeLa, SNU-1077, SK-OV-3, HT-29에 첨가하여Drugspoter로 약제 내성 유전자의 발현 차이를 분석하였다. HeLa + DM 추출물에서 항암제 내성유전자 ABCB1, ABCC1, ABCB1의 발현이 감소, SNU-1077 + CB 추출물에서 항암제 내성유전자 ABCC1, ABCC10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DM, CB 추출물이 항암제 내성유전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K-OV-3 + DM 추출물에서 항암제 내성유전자 ABCC10, ABCB1와 HT-29 + CB 추출물에서 항암제 내성유전자 ABCC2는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3D-HDRA, 화학감작능 분석에서 기존 항암제보다 높은 IR 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DM, CB 추출물이 항암제에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DM, CB 추출물은 항암제 및 화학감작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inhibitory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neointima formation and myocardial injury

        임리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367

        최근 WHO 통계에 따르면, 심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원인 1위인 질환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심비대증,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등과 같은 심장질환과 동맥경화나 재협착과 같은 혈관질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소재 개발이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칠나무의 추출물이 동맥경화와 재협착의 원인이 되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지와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는 심근세포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황칠나무는 두통, 염증성 질환, 신경쇠약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위한 전통 의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심혈관질환에 대한 황칠추출물의 효과 및 그 기전은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MTT assay와 BrdU assay를 시행하여, 25g/ml의 황칠추출물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유의적인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한 바, 이 후 이 농도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황칠추출물의 처리시 2D와 3D 이동성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유의적인 이동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황칠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포이동의 지표인 MMP2, 9의 발현변화를 q-PCR, western blot, zymographic analysis를 통해 확인한 바, MMP2와 9 모두 황칠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줌으로서 이는 황칠추출물의 혈관평활근세포 이동 억제효과가 MMP2, 9에 특이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의 증식과 이동에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로 알려진 AKT와 ERK의 인산화정도를 western blot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인산화된 AKT와 ERK의 양이 황칠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서, 황칠추출물이 MMP2와 9에 특이적으로 AKT와 ERK의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PDGF에 의해 유도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제안한다. 더 나아가 동물모델의 H&E staining 결과에서, 4주간 황칠추출물을 전혀 먹이지 않은 대조군은 풍선확장술 시행 후 현저한 혈관내막형성이 진행되었으나 풍선확장술 전 2주간 황칠추출물을 먹인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시 약 60%의 혈관내막형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N/M ratio 역시 대조군과 비교시 54%로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을 통해 황칠추출물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과 이동억제효과를 확인한 바, 세포증식의 지표인 PCNA와 Ki-67의 증식활성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수축성 혈관평활근세포의 지표인 α-SMA의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하였고, 세포이동의 중요한 지표인 MMP2, 9 활성의 유의적 감소를 확인하였다. 조직 표본에서 시행한 western blot과 q-PCR 결과에서도 MMP2와 PC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어, 황칠추출물의 증식과 이동억제효과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심근세포의 허혈손상에 대한 황칠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저산소 30분/재산소 1시간씩 처리된 심근세포에 결정된 농도의 황칠추출물을 처리하였는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사멸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심근세포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따른 ROS양을 측정한 결과, 황칠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ROS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여 약 50%이상의 ROS 감소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세포질내에 증가된 칼슘이온농도가 황칠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세포질내 칼슘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칼슘항상성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채널인 SERCA2a와 RYR2의 경우, 허혈/재관류손상으로 인해 감소되었던 SERCA2a와 증가되었던 RYR2가 황칠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에서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황칠추출물이 심근세포에서 허혈/재관류 손상에 의한 칼슘채널의 변화를 통해 칼슘항상성을 유지하고, ROS 발생억제효과를 통해 심장보호 효과를 가진다고 제안한다. 황칠추출물에 추가로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가 있는 천연소재를 탐색한 결과, 질경이의 뿌리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이며, 소나무 껍질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억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각각의 좀 더 자세한 작용기전을 밝히기 위한 추가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최근 유방암이나 피부편평상피세포암의 이동과 전이에 MMP13이 중요한 매개인자로 밝혀지면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서 MMP13의 역할을 밝히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MMP 특이적 억제제를 처리하였을 때, 2D와 3D 이동 실험 모두에서 MMP2와 9과 마찬가지로 MMP13도 이동억제효과를 보여주었으며, siRNA로 MMP13 발현을 억제한 세포의 이동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동억제제로서 기존논문에서 입증된 cordycepin을 처리하여 세포이동을 억제한 후 MMP13의 발현을 확인한 western blot과 q-PCR 결과에서, MMP2, 9뿐만이 아니라 MMP13도 감소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AKT와 ERK가 MMP13의 신호전달체계임 확인하여, 이 같은 결과들을 통해, MMP2, 9에 이어 MMP13도 AKT와 ERK의 인산화를 통해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the WHO, cardiovascular diseases (CVD)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globally.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e heart diseases such as, cardiomegaly, heart failure, myocardial infarction, arrhythmia and 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and restenosi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has recently been actively conducted for the treatment of such cardiovascular diseases.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 from Dendropanax morbifera (D. morbifera)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being cause of atherosclerosis and restenosis, furthermore, on cardiomyocyte apoptosis after myocardial injury.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s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headache, infectious diseases and general debility. However, the effect of extract from D. morbifera on vascular diseases 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in detail.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working concentration, MTT assay and BrdU assay were performed. The proliferativ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40% in RAoSMCs treated 25 g/ml of D. morbifera, which has been determined as the working concentration in further study. In 2-D and 3-D migration assay, the treatment of extracts from D. morbifer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AoSMCs migration by more than 40% and ~50%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 of the extracts from D. morbifera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2 and 9 whereas the levels of MMP 7 were not altered. Also western blot assay results through both the media and cell lysate showed that D. morbifera significantly reduced the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induced MMP2 and 9 expression.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with gelatin zymographic assay. Also the phosphorylated levels of AKT and ERK 1/2 were increased in PDGF-treated RAoSMCs, which has been selectively decreased in D. morbifera-treated RAoSMC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kt and ERK are likely a downstream target of D. morbifera-mediated signaling that regulates MMP2 and MMP9 expression and their functions in cell migration in RAoSMCs. Further, neointima formation in balloon-injured rat carotid arter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tracts from D. morbifera-treated rats by 50~60%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s. Also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balloon-injured vessels of the extracts from D. morbifera-treated rats using ki-67 and PCNA antibodies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proliferative activity in the neointimal layer. Western blot analyses for tissue lysates showed similar results of 50~70% decrease compared to controls. In addition, immunohistochemistry of balloon-injured vessels in the extracts from D. morbifera-treated to rats with antibody to MMP2, 9 revealed with a reduction of the migratory activity in the neointimal layer. Furthermore, the expression level of MMP2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tracts from D. morbifera-treated to rats by 60~75% compared to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from D. morbifera inhibit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RAoSMCs also reduce neointima formation after balloon injury in rat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extracts of D. morbifera on hypoxia/reoxygenation (H/R) injured cardiomyocytes (CMC) were investigated. The condition of cardiomyocytes with H (30min)/R (1hr) decreased the cell number, but the treatment of D. morbifera inhibited CMC death induced apoptos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gress of apoptosis in CMC are regulated by D. morbifera after H/R. D. morbifera treated CMC reduced ROS generation an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i)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the condition of H/R). Also DM attenuated abnormal changes of RyR2 and SERCA2a genes in hypoxic cardiomyocytes by western bl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M ameliorates ROS generation and Ca2+i homeostasis as preventing dysregulation of calcium regulatory proteins in the heart, thereby producing the cardioprotective effect and reduction in hypoxic cardiomyocytes damage. In order to screen the natural products having activitie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31 more extracts besides D. morbifera were tested. Then, each extracts were tested whether they have anti-proliferative and anti-migratory activities on RAoSMCs. A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is specific on anti-proliferation and those of Pinus densiflora is specific on anti-migration in RAoSMC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reveal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the extracts on the regulation of RAoSMCs. Because MMP13 is associated with tumor cells migration, hypothesized that MMP 13 participates in VSMC migration induced by certain stimuli such as PDGF and angiotensin II (Ang II). This study found that the mRNA level of MMP13 in RAoSMCs was increased by both PDGF and Ang II. Also observed the significant decrease of migration in PDGF- or Ang II-treated RAoSMCs by MMP13 specific inhibitor treatment. Silencing of MMP13 by a specific small interfering RNA (siRNA)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the active form of MMP13, which is followed by the decreased migration of PDGF-or Ang II-treated RAoSMCs. Interestingly, the study observed synergistic inhibitory effects on migration by treatment with MMP2 and 13 or MMP9 and 13 inhibitors compared with that in single treatments. Moreover, found that cordycepin, a known inhibitor of VSMC migration, caused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MMP2, 9, and 13 expression in PDGF-treated RAoSMC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stimuli regulate MMP13 expression in VSMCs, analyzed the effects of signal mediator inhibitors on MMP13 expression and found that an Akt or ERK-specific inhibitors, but not PI3K inhibitor, significantly decreased MMP13 expression levels. Together, these study strongly suggest that MMP13 involves VSMCs migration via an Akt and ERK-dependent regulation.

      •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및 Antimicrobial Hexapeptides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의 Biofilm 환경에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이경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35

        본 연구에서는 gram-positive이면서 피부 감염 및 폐렴, 수막염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병원균 중 하나인 Staphylococcus aureus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적인 항균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항생제 내성과 더불어 미생물의 제어를 어렵게 하는 biofilm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동남아시아와 한국의 제주도에 자생하는 식물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잎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DPL1, DPL2, DPL3, DPL4, DPL5로 명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antimicrobial peptides(AMPs)는 박테리아, 곰팡이, 원생생물, 바이러스에 대한 광범위한 항생제 활성을 가진 작은 펩타이드이다. AMPs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위해서 최소한 6개의 아미노산이 필요하며, 10개의 hexapeptides 후보를 사용하여 항균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비극성 용매인 n-haxane에 의해 분획된 DPL1 추출물의 처리가 살아있는 세포 수를 측정하였을 때 대상 균주의 생장 억제를 보였으며, top agar assay 실험 결과를 통해서 pH와 온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DPL1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의 사멸을 측정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미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SEM image 분석을 통해서 DPL1 추출물의 처리가 S. aureus의 외형 변화를 유도하는지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단일 세포들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S. aureus의 biofilm 환경에서 DPL1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우선, DPL1 추출물을 biofilm에 처리한 후 생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resorufin assay를 진행하였고, 살아있는 세균을 확인하기 위해서 단일 집락의 수를 측정하였다. 두 실험 모두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물질의 처리 시간과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Biofilm 형성 초기 단계에서 일부 박테리아는 운동성의 차이를 이용하므로, swimming과 swarming motility assay를 통해서 관찰하였다. 또한, Crystal violet staining을 진행하여 biofilm의 형성 과정 동안에 두께 변화를 관찰하였다. 형광 현미경과 공초점 레이져 스캐닝 현미경(CLSM)을 통해서 biofilm을 관찰하였을 때, biofilm 표면의 세포의 생장 억제 뿐만 아니라 biofilm 내부 세포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EM image 분석을 통해서 DPL1 추출물의 처리는 biofilm 사이를 끼어들어가면서 손상을 입은 세포나 세포의 잔해의 응집 유도를 관찰하였다. 더불어, 항생제와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esorufin assay, LIVE/DEAD bacterial viability assay를 진행하였다. 실제로 항생제와 DPL1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조합 처리하였을 때 더 높은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낮은 농도의 항생제와 DPL1 추출물을 조합 처리하였을 때에도 항균 효과 유지하였다. Antimicrobial hexapeptides(AMPs)는 S. aureus 균주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AMPs에의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농도와 시간에 따른 항균효과가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S. aureus를 표적 균주로 하여 직접적인 생장억제 뿐만 아니라 biofilm 내에서의 미생물 제어가 기대되며, resorufin assay와 LIVE/DEAD bacterial viability assay을 통해서 DPL1 추출물보다 더 뛰어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황칠나무 잎의 추출물과 hexapeptide의 처리는 병원균의 성장 억제 뿐만 아니라 그들이 형성하는 biofilm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황칠나무의 종자발아 향상 및 부정근 기내배양

        최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Dendropanax morbifera, a perennial woody plant belonging to Araliaceae, is a unique indigenous species in Korea and distributed in South Jeolla nam-do provinces. Beside from being used as dye coloring in ancient, recently this plant has been popular to be used as health-functional materials to enhance human of immune system, blood circulation, serum insulin, nervous system stability and hair damage mitigation protection, etc.. However, the plant are caused by slow growth and low germination rate.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germination rate of D. morbifera seeds, and establish in vitro mass culture system of D. morbifer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GA3 (50 mg/L) to D. morbifera seeds increased germination ratio as 58% compared with 12% ratio of non-treated seeds after 50day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germination ratio after storing 15 or 30days with four kinds of treatments (lower temperature (LT) and/or wet condition storage after with or without GA3 treatment for 2 hours) at 55th-day in soil. In case of storing 15days treatment, seeds germination ratio was observed as 72% at GA3 2h treat → LT·wet storage) > 50% (GA3 2h treat → wet treat) > 31% (non-Treat → LT·wet treat) > 22% (non-treat → wet treat) in order of high germination. In case of storing 30days treatment, seeds germination ratio was observed as 64% (GA3 2h treat → LT·wet treat) > 45% (GA3 2h treat → wet treat) > 41% (non-treat → LT·wet treat) > 27% (non-treat → wet treat) in order of high germination. In conclusion, the seed germination ratio was increased at the best by treatment of GA3 hormone for 2 hours and storage with LT and wet condition for 15days. To establish of in vitro tissue culture system of D. morbifera, firstly callus was induced from native D. morbifera leaves on WPM medium including 30 g/L sucrose supplemented with 0.5, 1.0, 2.0 mg/L of 2.4-D and/or BA. After 5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induction of callus was obtained from the 0.5 mg/L of 2.4-D combined with 2.0 mg/L of BA. To induce adventitious root, callus was cultured on three different medium (MS, WPM, B5)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0, 1, 3, 5 mg/L) of various kinds of auxins (IBA, IAA and NAA). After 8 weeks of culture, the better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 was obtained on WPM medium than MS or B5 medium. The best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 was obtained on WPM medium containing 3.0 mg/L of IBA hormone. Obtained adventitious roots were best-grown in liquid culture containing WPM medium supplemented with 3.0 mg/L IBA and 30 g/L sucrose. Finally, optimization of mass culture for adventitious roots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in 18.3 L bioreactor contacting ½ WPM medium supplemented with 3.0 mg/L IBA and 30 g/L sucrose. This study showed that increased germination ratio of seed and mass 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derived from native D. morbifera leaves, which might contribute to maintain this plants to provide materials for products and further analysis. 본 연구는 황칠나무 과실의 특성 및 발아율 증가시키고, 황칠나무의 잎 절편체로부터 부정근을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시키기 위해 연구하였다. 황칠나무 화경에서 분리한 열매 평균 개수는 44개, 길이 9.96 mm, 너비 6.4 mm, 무게 0.31 g로 조사되었다. 열매 속에는 5개의 종자가 있었고 5개 중 1개가 비립일 가능성이 50%이며 종자의 평균 길이 6.33 mm, 폭 2.23 mm, 두께 1.8 mm이였다. 현미경으로 종자의 배와 배유를 살펴본 결과 채종 즉시 종자의 상태는 미숙배임을 알 수 있었다. 수세한 종자를 생장호르몬 GA3 50 mg/L 처리한 처리구와 무처리구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50일 경과 후 GA3를 처리한 처리구 58%, 무처리구 12%로 GA3 호르몬 처리 하였을 때 발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가지 저장방법(GA3 처리 후 저온습윤저장, 저온습윤저장, GA3 처리 후 습윤저장, 습윤저장)을 15일과 30일로 나누어 처리한 후 토양에 파종 후 55일째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GA3 처리 후 15일 저온습윤저장 72%, GA3 처리 후 30일 저온습윤저장 64%, GA3 처리 후 15일 습윤저장 50%, GA3 처리 후 30일 습윤저장 45%, 30일 저온습윤저장 41%. 15일 저온습윤저장 31%, 30일 습윤저장 27%, 15일 습윤저장 22% 순으로 발아율이 높았으며, GA3를 처리하고 저온습윤저장 하였을 때 가장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부에서 100년 동안 자생한 황칠나무 잎을 채취하여 부정근을 유도하는 실험을 하였다. 잎 절편체로부터 캘러스를 유기시키기 위하여 sucrose 30 g/L 를 첨가한 MS배지와 WPM배지에 실험한 결과 5주차 WPM배지에서 50%의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WPM배지에 2.4-D 와 BA 호르몬은 각각 0, 0.5, 1, 2 mg/L씩 단일·혼합처리한 결과 2.4-D 0.5 mg/L와 BA 2 mg/L를 혼합처리한 처리구에서 2주차에 100%가 형성됨을 확인 하였다. 유기된 캘러스로부터 부정근을 유도시키기 위해 sucrose 30 g/L 를 첨가한 MS, WPM, B5 배지에 auxin류 호르몬인 IBA, IAA, NAA를 각각 0, 1, 3, 5 mg/L를 첨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S배지와 B5배지는 전반적으로 부정근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4주 경과 후 WPM배지에서 부정근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IBA 3 mg/L 호르몬에서 캘러스 개체당 5.19개가 형성되었으며, 그 평균길이는 16.42 mm였다. 2차 부정근 유도시 적정호르몬은 1차 부정근 유도 호르몬과 동일한 IBA 3 mg/L이였으며, 액체배양 호르몬 역시 IBA 3 mg/L로 확인되었다. 액체배양시 적정 sucrose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½ WPM배지와 WPM배지에 IBA 3 mg/L를 첨가하고 sucrose를 0, 10, 30, 50 g/L씩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sucrose 0, 10 g/L에서는 부정근 증식이 저조하였으며 30 g/L과 50 g/L에서 증식이 활발하였다. 하지만 ½ WPM배지와 WPM배지에 sucrose 30 g/L과 50 g/L의 증식량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어 경제적인 면을 생각했을 때 ½ WPM와 sucrose 30 g/L를 첨가한 배지가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으로 낮은 황칠나무의 종자 발아율을 12%에서 60~80%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오래된 황칠나무 잎 절편체로부터 캘러스를 유기하여 황칠부정근을 대량생산하여 산업에 필요한 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against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without blocking chemotherapeutic efficacy in animal models

        Kim, Jisu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7

        Cisplatin (CDDP)은 광범위한 고형 종양들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화학 요법제 이다. 하지만, 많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신장 손상 (AKI)에 의해 임상적 사용이 제한된다.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Cisplatin 유도성 AKI에 대한 성공적으로 보호하는 치료법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Dendropanax morbifera (DM)의 Cisplatin 유도 성 AKI에 대한 신장 보호 효과를 조사하고 cisplatin 화학 요법 동안 효과적으로 표적화 될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실험 디자인에서 5일간 실험을 하였으며, 4 마리의 수컷 Sprague-Dawley 쥐 그룹; Control; Cisplatin (6 mg / kg, i.p.); DM (25 mg / kg, p.o.) 과 복합군으로 DM (25 mg / kg, p.o.)을 Cisplatin 주사 2 시간 전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isplatin의 투여로 신장의 정상 조직 학적 구조 변화와 함께 체중 감소, 혈액 요소 질소 (BUN) 및 크레아티닌 증가와 TNF- α, IL-1β, IL-6, IL-10 를 포함한 염증 유발 사이토 카인 수준이 감소되었다. SBP1, KIM-1, NGAL 및 TIMP-1과 같은 단백질 기반 신 독성 생체 표지 물질의 요로 배설 또한 Cisplatin 군에서 증가하였다. 반대로, DM은 신장 손상 생체 표지 물질 (BUN, 크레아티닌 및 KIM-1, NGAL 및 SBP1)의 현저한 감소로 명백한 Cisplatin 유도 신장 독성을 유의하게 보호했다. DM 치료는 내인성 항산화제 활성 (SOD 및 Catalase)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장에서 Cisplatin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DM 치료는 또한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특히, DM의 보호 효과는 조직 병리학적 검사에서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DM 처리로 인한 신장은 Cisplatin에 의해 유발된 근위 세뇨관에서의 심한 신장 손상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종양 이종 이식 모델에서 DM은 형질 전환된 대장암 세포에 Cisplatin 매개 항암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isplatin의 화학 요법 활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Cisplatin 유도성 AKI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결과는 Cisplatin에 의한 신 독성에서 DM의 보호적인 역할을 보여주며 Cisplatin에 기초한 암 치료 중에 renoprotective agent에 사용되는 신뢰할 수 있는 전략이다. Cisplatin (CDDP) is generally used chemotherapeutic material for treatment of various solid tumors. However, its clinical use is limited by occurs acute kidney injury (AKI) in many patients. Despite intensive research, there is no successful protective therapy against CDDP-induced AKI.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monstrate renoprotec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DM) on CDDP-induced AKI and which can be effectively targeted during CDDP chemotherapy. In the experimental design, four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Control (vehicle); CDDP (6 mg/kg, i.p.); DM (25 mg/kg, oral) for 5 days; and DM (25 mg/kg, oral) 2 h before CDDP injection. In the present research, injection of CDDP decreased body weight, but increased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cluding TNF- α, IL-1β, IL-6, IL-10 along with alteration in normal histological architecture of kidney. Urinary nephrotoxicity biomarkers like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also increased in the CDDP-treated group. On the contrary, DM significantly protected CDDP-induced nephrotoxicity which was evident by significant reduction of renal injury biomarkers (BUN, creatinine, and KIM-1, NGAL, and SBP1). DM treatment markedly reduced CDDP-induced oxidative stress in kidney by activating endogenous antioxidants activities (SOD and catalase). Further, DM treatment also reduce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particular, protective effect of DM was clearly observed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herein, kidneys from DM treatment markedly reduced CDDP-induced severe kidney damages in the proximal tubules. In tumor xenograft model, DM did not affect CDDP-mediated anticancer activity in transfected colon cancer cells, but enhanced the chemotherapeutic activity of CDDP as well as exhibited protective effects on CDDP-induced AKI. These results demonstrate protective effects of DM in CDDP-induced nephrotoxicity and suggest as a reliable strategy used for renoprotective agent during CDDP-based cancer therapy.

      • Isolation and quantitation of neuroprotective compounds in Dendropanax morbifera leaves inhibiting glutamate-induced oxidative cell death in HT22 mouse hippocampal neuronal cells

        박혜진 아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03

        Dendropanax morbifera (DM) has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migraines. Glutamate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have emerged as the possible triggers implicated in migraine pathogenesis. We aimed to examin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DM leaves (DML) and its principal constituents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cell death in HT22 mouse hippocampal neuronal cells. Molecular authentication of DML was assessed using DNA barcoding analysis. Four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DML were prepared and subjected to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ochemical assays. Neuroprotective effects of DML extracts and its principal compounds were evaluated using relevant biochemical and imaging assays that measure cell viability/death, ROS generation, Ca2+ level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AIF nuclear translocation. The sequences of matK, rbcL, atpF-H, and psbK-I in DML were identical with those in voucher specimens, confirming that DML was indeed D. morbifera.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DML (DMLE)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and phenolic content, and prominent DPPH/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ctivities.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DMLE and characterized as quercetin, isoquercitrin, hyperoside, rutin, and chlorogenic acid. The content of these compounds was quantitated in DMLE and DMLB using validated HPLC-UV method which is validated following the ICH Q2(R1) guideline in terms of specificity, linearity, LOD, LOQ, accuracy and precision. In the HT22 cell model, glutamate was shown to be the causative agent for apoptotic cell death via elevation of intracellular ROS and Ca2+ levels, induction of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and membrane permeabilization, and translocation of AIF to the nucleus. Of note, N-acetyl-L-cysteine and necrostatin-1, but not z-VAD-fmk, completely prevented glutamate-induced cell death, implying that oxidative stress and AIF translocation were pivotal in glutamate cytotoxicity. DMLE, quercetin and isoquercitrin significantly recovered glutamate-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y completely inhibited intracellular/mitochondrial ROS generation, the elevation of Ca2+ levels,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duced by glutamate during early exposure within 8 h. It significantly reversed subsequent AIF nuclear translocation after 12 h of treatment. Antioxidant activities of DMLE may be the protective mechanism that regulates homeostatic balance of ROS and Ca2+ as well as maintains mitochondrial function. Quercetin and isoquercitrin were confirmed as principals in DMLE, and isobologram study showed mild synergism between them. DMLE, quercetin and isoquercitrin show significant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Therefore, DM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candidate for neurological disorders propagated by glutamate toxicity. Keywords Dendropanax morbifera; glutamate oxidative toxicity; HT22; neuroprotection; AIF

      • Dendropanax morbifera Lev.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사람 구강암 세포 KB의 apoptosis 유도

        조선호 조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2191

        ABSTRACT Induction of Apoptosis by Dendropanax morbifera Lev. Methanol Extract in KB Human Oral Cancer Cells Cho, Seon-Ho Advisor: Prof. Kim, Do Kyung, Ph.D. Department of Biod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Dendropanax morbifera is evergreen broad-leaved arboreous tree belongs to the araliaceae. The country of origin is mainly the South Korea. The scientific name is Dendropanax morbifera that component is based compound polyacetylenes. Recently, many researchs have been conducted about anti-cancer effects using Dendropanax morbifera in liver cancer, lung cancer, cervical cancer, and so on. However, th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oral cancer is not clearly established. Therefor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on cell growth and apoptosis induction in oral cancer cell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cell growth and apoptosis induction in oral cancer cells, it was examined by inhibition of cell growth (MTT assay), nuclear staining with DAPI, DNA fragmentation analysis determination of caspase activation and immunoblotting in KB human oral cancer cel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Dendropanax morbifera methanol(DMME) extract induced the inhibition of cell growth depended on the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treatment time and concentration in KB cells. 2.DMME observed the changing nuclear size and nuclear condensation in KB cells. 3. DMME induced the DNA fragmentation in KB cells. 4.DMME promoted proteolytic cleavages of procaspase-3, -7, -8 and -9 with the increases in the amount of cleaved caspase-3, -7,-8 and -9. 5. Cleaved PARP was increased by DMME in KB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ndropanax morbifera can induce the suppression of cell growth through the cell apoptosis pathways in KB human oral cancer cells, and that it many have potential properties for anti-cancer drug discovery. KEY WORDS:Dendropanax morbifera, Anti-cancer therapy, Apoptosis, Cell death, KB human oral cancer cells.

      • Improvement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on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에 관한 연구

        Jung, Myung-a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140

        남성갱년기(테스토스테론 결핍 증후군)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전형적인 증상들과 혈청 테스토스테론 결핍을 동반하는 임상적 생화학적 증후군이다. 이 증후군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여러 신체 기관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남성갱년기는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기분의 변화(mood changes) 및 신체적 변화(body changes) 증상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남서해안과 제주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황칠나무는 멜라닌 생성억제로 인한 미백, 항산화, 항암, 면역증진, 신경안정, 지질개선 효과, 항당뇨 효과, 전염병 억제 및 무기력 개선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황칠나무의 남성갱년기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칠 잎 열수추출물의 남성갱년기 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령 수컷 쥐 모델에서 황칠 잎 열수추출물의 남성갱년기 증상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 Serum testosterone과 DHEAs와 같은 남성호르몬 바이오마커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testosterone과 결합하여 기능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축 활성에 관여하는 신경계관련 호르몬인 GnRH, LH와 FSH 분비가 증가하였다. 황칠 잎 열수추출물 투여에 따른 간독성 지표인 GOT와 GPT 수치에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남성호르몬 치료요법에 대한 안전성 지표인 전립선특이항원인 PSA 수치도 대조군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지질농도에 있어서도 황칠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LDL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또한 운동수행능력을 평가하기위해 로타로드, 트레드밀, 강제수영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 총 정자수를 측정한 결과 황칠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고환 조직 염색 결과 황칠 투여군에서 정자수가 증가하고, 정자형성세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성기능 저하는 남성갱년기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두 번째로 성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황칠 추출물의 교미행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미행동 평가는 수컷이 암컷의 등위에 올라타는 행동의 개시까지의 시간 (ML), mounting 횟수 (MF), 수컷이 암컷의 등위에 삽입까지의 시간 (IL), intromission 횟수 (IF)와 최초 intromission에서 두 번째 intromission까지의 걸리는 시간 (PEI)을 비디오 분석하였다. 황칠 잎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MF와 IF 횟수는 증가한 반면, ML, IL 및 PEI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샘플 워시아웃 14일후에도 교미행동 분석을 수행한 결과 ML, IL 및 PEI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황칠이 성기능 강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세 번째 장에서는 in vitro와 ex vivo에서 황칠 추출물과 분획물의 발기 기능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황칠 잎 열수추출물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증가시켰다. 과산화수로 산화스트레스 유발된 Leydig cell에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황칠 잎 열수추출물이 처리된 Leydig cell에서 3β-HSD 발현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E에 의해 수축된 음경해면체의 평활근이 황칠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한 결과 유의성 있게 이완효과를 나타냈다. 황칠 열수 추출물의 분획물 중 EtOAc 층에서 가장 큰 이완효과를 보였다. 혈관내피세포에서 eNOS 발현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 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cGMP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음경해면체평활근세포에서 PDE5 mRNA 발현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음경해면체평활근세포에서 황칠 열수 추출물의 분획물 중 EtOAc은 세포내 칼슘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CCSMC에서 KCl과 AVP로 증가된 칼슘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칠 추출물이 안전하고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을 위한 우수한 천연물 후보물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TDS), also known as late-onset hypogonadism (LOH), is a clinical and biochemical syndrome associated with advancing age and characterized by typical symptoms and deficiency in serum testosterone levels. It may results in a significant detriment in the quality of life and adversely affect the function of multiple organ systems. TDS presents as sexual dysfunction, mood changes, and body changes.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Araliaceae), an endemic species in South Korea, is distributed across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However, the use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on TDS has not been studied in detail. Therefore,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DM) on TDS was studied. In the first part of study, the effects of DM on TDS in aging male rats was investigated. Androgenic hormones, such as serum testosterone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Sex hormone-binding globulin (SHBG)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M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neurohormones related in HPG-axis such as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luteinizing hormone (LH),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patic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and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 levels in the DM treatment group.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as a safety marker for testosterone therapy,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ontrol group. Triglyceride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Latency time in rotarod, treadmill, and swimming tests was increased by DM treatment. Furthermore, the sperm number of epididymis increased in the DM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istological analysis of testis tissue showed that the seminiferous tubules were uniform in size and shape and were lined by regularly arranged rows of spermatogenic cells. Sexual dysfunction is the most specific symptom of TDS in aging man.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effects of DM on sexual behavior in male rats was investigated. Mount frequency (MF) and intromission frequency (I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intromission latency (IL) was decreased in the DM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M enhances sexual motivation/arousal in male rats. In the third part of study, the effects of DM on erectile function ex vivo and in vitro was evaluated.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estosterone levels was observed in Leydig TM3 cells treated with DM. In H2O2-induced TM3 cells, testosterone leve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reatment of cells with 3, 10, 30 and 100 µg/mL of DM significantly increased testosterone levels compared to that of H2O2-induced cells. 3β-HSD expression is a prerequisite for testosterone production in Leydig cells. DM significantly increased 3β-HSD protein expression. DM and its solvent fractions induced relaxation of phenylepherine (PE) - precontracted corpus cavernosum (relaxation effect: 70.9±14.4% at 2 mg/mL). Among the five fractions, the EtOAc fraction (DMEA) showed the strong relaxation effect. Treatment of cells with 100 µg/mL of DM significantly increased eNOS expression. DM at various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cGMP levels.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DE5 assay and mRNA expression in CCSMCs by DM treat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To identify the Ca2+ inhibitory effect of the DMEA on CCSMCs, we performed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measurement experiments. The DMEA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basal [Ca2+]i in CCSMCs. Our study shows that the increase in [Ca2+]i induced by 100 mM KCl in CCSMCs was suppressed by active DMEA. Furthermore the DMEA diminished the increase of [Ca2+]i induced by AVP in CCSMCs. In this study, our results suggest that DM is may be utilized as an efficacious resources to alleviate symptoms of TDS.

      •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와 D. trifidus (Thunberg) Makino의 분류학적 재검토

        문명옥 제주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2127

        분류학적 형질에 있어 논란이 되어온 한국의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와 일본에 분포하는 Dendropanax trifidus (Thunberg) Makino를 대상으로, 분류군의 한계를 명확히 하고자 제주도를 비롯한 한국의 4개 지역과 일본의 3개 지역에서 채집된 생체표본과 건조표본을 통해 꽃잎의 길이, 폭 등 37개의 정량적인 항목과 열매의 형태, 수액의 색 등 17개의 정성적인 형질을 바탕으로 수리분류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문헌사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과 일본 두 분류군의 식별형질로 알려진 열매의 형태는 타원형에서 구형가지 일본과 한국 두 지역 모두 다양한 변이의 폭을 보였으며, 수피에 상처를 내었을 때 분비되는 칠의 색깔은 처음엔 우유빛으로 나오다가 황변하였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열매의 형질과 수액의 색은 두 분류군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주었고 다른 정성적 외부형질 또한 일치하였다. 조사된 화기, 잎, 열매의 정량적 피부형질을 바탕으로 두 분류군 간에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분류군의 모든 형질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와 Dendropanax trifidus (Thunberg) Makino는 하나의 분류군으로 판단된다. Seven populations of Korean and Japanese Dendropanax taxa were sampled from Karea and Japan to investigate 37 quantitative and 17 qualitative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fruits and sap color are not an characters, also other external characters made no distinction between two taxa: The morphology of fruit showed bark by wound changed from milky white to brown. To know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taxa, discriminant analysis were carried out based on external characters of flowers. leaves and fruits. These characters were not diagnostic because of overlap in reality. All these characters are no longer available for distinguishing these two taxa.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and Dendropanax trifidus (Thunberg) Makino.

      •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Lev.] 우수개체의 선발 및 증식에 관한 연구

        김민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094

        황칠수액 분비 우수개체를 선발하고, 선발 개체군을 중심으로 방향성 정유성분의 동정 및 개체간 주요 정유성분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수액의 분비량을 기준으로 우수개체를 선발하고, 선발 개체를 중심으로 황칠나무의 수액의 주요 정유성분이 동정되었다. 정유성분은 1,6-atadiene-3-ol., α-terpinene, α-cubebene, α-ylangene, α-copane, β-elemene, germacrene D, α-selinene, β-selinene, δ-cadinene, γ-cardinene, germacrene B, germacrene D-4-ol, 등이 주요 성분이었으며, 그 중 germacrene D가 가장 높은 구성비를 이루었다. 선발된 각 개체목이 분비하는 수액 성분의 생성 패턴에서 차이가 존재하였고 서식 환경에 따른 정유성분의 생성 패턴에서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시기별 황칠수액량과 주요 정유성분들의 함량 변화에서도 채칠시기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개체를 효과적으로 증식시키기 위하여 캘러스 배양을 통한 체세포 재분화 및 shoots multiplication을 유도하였다. 기내에서 무균적으로 발아시켜 배양중인 황칠나무의 뿌리, 줄기 그리고 잎 절편체를 1mg/L 2,4-D와 1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캘러스를 통한 재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부조건에서는 부정근이 나타났다. 그리고 5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 액아를 치상하여 shoots multiplication을 유도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selection of the superior individuals for Hwangchil lacquer, the identification of major aromatic essential oils in lacquer and the pattern of major components in essential oils of selected trees. The Hwangchil lacquer yields showed the difference by native areas, age and individuals. Some superior individuals were selected on lacquer yields and analyzed for the essential oils. Major compounds were 1,6-atadiene-3-ol, α-terpinene, α-cubebene, α-ylangene, α-copane, β-elemene, germacrene-D, β-selinene, α-selinene, δ-cadinene, γ-cardinene, germacrene B, germacrene D-4-ol. Germacrene D was the most principle components among those. Besides, the difference of relative content ratio of each major compounds in selected trees showed by individuals, population and native areas. The possibility of plant regeneration from Dendropanax morbifera were established. Calli were induced from root, stem and leaf explants of cultured Dendropanax morbifera using MS (Murashige and Skoog, 1962)medium containing 1mg/L 2,4-D and 1mg/L BA. But plant regeneration through callus cultures of Dendropanax morbifera was not developed. Some conditions appear adventitious root. Multiple shoot formation was obtained from excised axillary buds of Dendropanax morbifera cultured on MS media containing 5mg/L B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