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VID19 이후 해운 환경과 정기선 서비스 품질이 화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민호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COVID 19로 인하여 해운 환경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해운 시장은 10여년의 침체기를 겪어 왔으며, COVID19의 발생은 끝없는 해운 침체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예상과는 달리 선사들의 발 빠른 선복 조정과 소비재 수요 증가가 맞물려 해운 산업은 유래 없는 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글로벌 해운 환경의 변화는 선복의 부족과 운임의 급등을 가져왔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해운 기업의 서비스 품질 요인을 살펴보고,COVID19를 전후하여 해운 서비스 품질의 중요도의 변화와 고객만족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SERVQUAL 모형을 활용하여 지각된 서비스 품질의 차원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의 중요도가 COVID19를 전후하여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 각 요인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만들 각 요인별 하부 요인을 추출하고, 일부는 추가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정기선사의 서비스 대상인 국내 포워더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102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을 토대로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VID19 이전 해운 서비스 품질 요인의 중요도는 확신성,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 반응성 순서였으나, COVID19 이후 해운 서비스 품질 요인의 중요도는 확신성, 유형성, 공감성, 반응성, 신뢰성 순서로 변동 되었다. COVID19 이후 해운 환경 변화로 인해 해운 기업의 신뢰도가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해운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요인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중 신뢰성과 반응성은 고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COVID19 전/후로 해운 기업이 서비스 품질 요인의 중요도 변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라는 부분에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정기선사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초석이 되기를 바래본다. COVID19 start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has caused many changes in the shipping environment. The shipping market has been in a depression for more than 10 year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the outbreak of COVID19 was expected to continue worse slump in shipping market.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the shipping industry is facing an incredible boom due to the rapid adjustment of capacity through global shipping company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consumer goods. Such changes in the global shipping field have resulted in a shortage of ships and a skyrocketing in ocean freight rates. I tried to examine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shipping companies and analyze the changes in importance of shipping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shipping service quality has 5 factors for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bility, assurance and empathy. I studied how these 5 factors effect to customer satisfaction using SERVQUAL model. Sub-factors for each main factor to be created based on existing studies were extracted, some were added to prepare questionnaires. And the Likert 5-point scale was used to answer. A survey was conducted on domestic freight forwarders to service by liner shipping companies, and 102 copi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using SPSS based on the collected survey. The importance factor on shipping service quality was in the order of assurance, reliability, empathy, tangibles, responsibility before COVID19. But the importance factor on shipping service quality changed in the order of assurance, tangibles, empathy, responsibility, reliability after COVID19.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in shipping company declined due to changes in the shipping environment after COVID19.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at five factors on shipping service quality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as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reliability and responsibility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as rejected since it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change in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factors in shipping compani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I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liner shipping companies.

      • COVID-19의 위험지각이 헤어미용서비스 소비심리에 미치는 영향 : 뷰티관리행동을 매개로 하여

        한기훈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소비자가 미용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심리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국내 헤어미용 서비스 전문가들에게 활로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현재 다수의 헤어미용실이 COVID-19로 인한 고객 감소로 존폐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으나, 이들의 생존을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하여 헤어미용 서비스 소비자들의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COVID-19의 위험지각과 뷰티관리행동을 설정하였으며, 요인 간 관계를 종합하여 COVID-19의 위험지각이 뷰티관리행동을 매개하여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COVID-19로 인한 위험지각은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뷰티관리행동은 소비심리 및 그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가? 3) COVID-19로 인한 위험지각이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칠 때, 뷰티관리행동은 매개 역할을 하는가?로 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3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데이터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뷰티관리행동은 소비심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뷰티관리행동이 높을수록 소비심리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 위험지각의 하위요인인 사회/환경적 위험, 경제적 위험은 소비심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실 위험지각의 하위요인인 인적 위험은 소비심리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적 위험지각의 하위요인인 사회/환경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이 높을수록 소비심리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고, 미용실 위험지각의 하위요인인 인적 위험이 높을수록 소비심리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경제적 위험, 인적 위험, 사회/환경적 위험순으로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위험과 소비심리의 관계에서 뷰티관리행동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 세계적 위기인 COVID-19 위기 상황에서도 미용실이 생존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미용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a way out to domestic beauty service professionals who are experiencing a business crisis by seeking ways to improve the risk perception that consumers want to use beauty services in the context of COVID-19. Currently, many beauty salons are experiencing a crisis of existence due to a decrease in customers due to COVID-19, but research for their survival is insufficient. To this end, by reviewing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the risk perception of COVID-19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were set as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sentiment of beauty service consumers. A relationship that affects consumer sentiment is established by mediating behavior. For the abov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Does Risk Perception due to COVID-19 Affect Consumer Sentiment? 2) Does Beauty Management Behavior affect Consumer Sentiment and its sub-factors? 3) When Risk Perception due to COVID-19 affects Consumer Sentiment, does Beauty Management Behavior play a mediating role?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68 adult men and women nationwide, and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eauty Management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Senti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Beauty Management Behavior, the higher the Consumer Sentiment. Social/environmental risk and economic risk, which are sub-factors of general risk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sentiment. -)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social/environmental risk and economic risk, which are sub-factors of general risk perception, the higher the consumer sentiment. It was found that economic risk, human risk, and social/environmental risk affect consumer sentiment in the order of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was judg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isk and consumer senti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 direction for beauty salons to survive in the COVID-19 crisis, a global crisi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vitalizing the beauty industry.

      • Clinical Usefulness of SARS-CoV-2 Detection and Diagnosis in Patients with COVID-19

        멀린 자야랄 로렌스 판찰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배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COVID-19)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SARS-CoV-2)로 인해 발병하며, 무증상 에서부터 중증까지 발현되는 호흡기 질환이다. COVID-19 진단에는 PCR검사를 이용한 분자진단과 항원항체검사를 이용한 면역학적진단법이 이용된다. PCR진단에 CDC 또는 WHO에서 권장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한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RT-qPCR)이 이용되나 임상적 유용성을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다. 바이러스 RNA 혈증 및 항원 혈증의 임상적 유용성 또한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SARS-CoV-2 RNA혈증, 항원 혈증및 변이에 따른 진단 정확도의 평가를 통해 SARS-CoV-2 진단에 사용되는 항원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RT-qPCR)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WHO 및 CDC에서 권장하는 프라이머 및 다양한 상용 프라이머와 함께 연구자가 디자인한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iNP)를 제작하여 비교하였다. COVID-19 확진은 바이러스가 배양되거나 항체가 4배 상승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의 혈청 샘플의 바이러스 RNA copies와 항원농도를 확인하여 COVID-19 환자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상부 및 하부 호흡기 검체를 이용하여 야생형, 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체에 따른 COVID-19 환자의 SARS-CoV-2에 대한 iNP RT-qPCR 의 진단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사이클 역치(Ct)의 컷오프 값을 35로 설정했을 때 WHO RdRp 프라이머와 CDC의 N1, N2, N3 프라이머를 사용한 RT-qPCR결과 객담에서 민감도 42.1~63.2%, 특이도 90.5~100%, 비인두 검체에서 민감도 65.2~69.6%, 특이도 65.2~69.6%를 보였다. 객담을 이용할 경우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비인두, 타액, 구인두 검체의 순서를 보였다. (P = 0.0193). 정확도 평가 연구 결과 iNP RT-qPCR이 WHO(P < 0.0001) 또는 CDC(N1: P = 0.0012, N2: P = 0.0013, N3: P = 0.0012) 프라이머를 사용한 RT-qPCR보다 더 나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였다. RNA혈증의 유무는 위중하거나 치명적인 환자군에서 가장 높았고(66.7%), 중증(12.5%) 및 경증 내지 중등도(1.7%)순 이였다. 입원 및 1주차 검체에서 바이러스성 RNA혈증이 검출되었으나, 증상 발현 후 2주차에 채취한 검체에서는 RNA혈증이 검출되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은 RNA혈증이 질병의 중증도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임을 보여주었고(P = 0.021), Kaplan-Meier 생존 곡선 검사상 추적 검체에서 항원 혈증 농도가 증가할 때 더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P = 0.005). 단변량 분석에서는 연령, PSI, 상승된 항원 혈증 및 RNA혈증이 사망의 예측 위험인자로 나타났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나이 및 RNA혈증이 사망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변이에 따른 진단 정확도 평가에서 iNP 유전자 RT-qPCR 검사 결과, 오미크론 변이 환자의 타액 샘플을 이용한 민감도가 델타 변이체(AUC-0.875) 및 야생형(AUC-0.878) 타액 샘플과 비교하여 더 높은 민감도(AUC-1.000)를 보였다. 그러나 SARS-CoV-2 오미크론 변이체에 감염된 환자의 백신 접종 또는 미접종 환자의 타액 샘플에서 바이러스 양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SARS-CoV-2 에 대한 RT-qPCR 분석에서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 것은 객담 검체였고 비인두, 타액, 구인두 검체의 순서를 보였다. 또한 SARS-CoV-2의 검출에서 연구자가 디자인한 RT-qPCR 의 정확도가 훨씬 높아 WHO 및 CDC 프라이머 세트에 대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SARS-CoV-2 감염의 RNA혈증은 COVID-19 환자의 임상 중증도에 대한 위험 예측 인자임을 확인했다. 항원 혈증 농도의 상승과 혈액 내 RNA혈증 바이러스 부하가 사망률과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또한 오미크론 변이의 타액 샘플이 야생형 및 델타 변이 타액 샘플보다 더 나은 민감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 mild to severe respiratory illness caused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The diagnostic accuracy of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primers in clinical practice remain unproven which includes CDC- and WHO-recommended primers. However, the clinical relevance of RNAemia and antigenemia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I aimed to examine the clinical relevance of SARS-CoV-2 RNAemia and nucleocapsid protein antigenemia in association with COVID-19 severity. In addition kinetics of viral load in various respiratory samples were tested for diagnostic accuracy according to variants of SARS-CoV-2 in COVID-19 patients. Methods: The accuracy of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were analyzed using an in-house–designed primer set (iNP) targeting the nucleocapsid protein along with WHO and CDC recommended primers and various commercial primers. The accuracy was also assessed by virus culture or seroconversion. Furthermore, we explored a cohort study of COVID-19 patients and their prospects with evidence of RNAemia using RT-qPCR in serum. In addition I explored the kinetic responses of antigenemia, RNAemia, and viral loads in various respiratory tract specimens in COVID-19 Patients along with various clinical characteristics. Moreover I analyzed the correlation of various risk factors with COVID-19 mortality. I also studied the viral load kinetics and diagnostic accuracy of COVID-19 patients with respective of SARS-CoV-2 variants, which includes wild-type, delta and omicron variants using RT-qPCR assay using upper and lower respiratory tract specimens. Results: When a cutoff value of the cycle threshold (Ct) was set to 35, RT-qPCRs using WHO RdRp primer and CDC N1, N2, and N3 primers showed sensitivity 42.1–63.2% and specificity 90.5–100% in sputum and sensitivity 65.2–69.6% and specificity 65.2–69.6% in nasopharyngeal samples. Sputum testing had the highest sensitivity, followed by nasopharyngeal testing (P = 0.0193). Our results suggest that iNP RT-qPCR has bett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n RT-qPCR with WHO (P < 0.0001) or CDC (N1: P = 0.0012, N2: P = 0.0013, N3: P = 0.0012) primers. The presence of RNAemia in critical or fatal cases was the highest (66.7%), followed by severe (12.5%) and mild to moderate (1.7%) in admission samples. Viral RNAemia was detected on admission and 1st week samples, however, RNAemia was not detected on the samples collected on the second week post-symptom onse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NAemia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the disease severity (P = 0.021), and the Kaplan-Meier survival curve estimated an increased mortality rate in COVID-19 RNAemia cases (P < 0.001). In addition, the presence of antigenemia in asymptomatic patients on admission and 1st week were 27% and 22%, however none of the samples collected on 2nd week possess any antigenemia. Kaplan–Meier survival curves predicted a higher mortality rate when there is an elevated concentration of antigenemia in follow-up samples (P = 0.005). Univariate analysis designates that age, PSI, elevated antigenemia and RNAemia were predictive rick factors of mortality and wi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and RNAemia were risk factors of mortality. In SARS-CoV-2 variant diagnostic detection the sensitivity/specificity of NP gene RT-qPCR results of saliva sample of omicron variant has higher sensitivity (AUC- 1.000) compared with delta (AUC- 0.875) and wild-type type (AUC- 0.878) saliva samples. Our results report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ral load in saliva samples of vaccinated or non-vaccinated patients infected with SARS-CoV-2 omicron variants. Conclusions: In conclusion, I demonstrated that sputum RT-qPCR analysis has the highest sensitivity, followed by nasopharyngeal, saliva, and oropharyngeal samples. We also suggests that considerable improvement is needed for RT-qPCR WHO and CDC primer sets in detection of SARS-CoV-2. In addition, RNAemia of SARS-CoV-2 infection is a predictive risk factor for clinical severity in COVID-19 patients. Furthermore we demonstrated the potential rel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antigenemia concentration and RNAemia viral load in blood in the mortality outcome. Our study suggests that the saliva sample of omicron variant have better sensitivity than wild-type type and delta variant saliva sample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ral load of saliva samples in vaccinated or non-vaccinated patients of delta and omicron variant infected patients with COVID-19.

      • Assessing the Implications of Covid19 on the Management of Public Open Spaces : A case study of Nakuru City, Kenya

        Geoffrey Kibet KEMEI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Amid the COVID-19 crisis, we feel the sting of having lost our familiar, vibrant, social and lively public places. There is great uncertainty about how COVID-19 will impact future public space design, use and perceptions.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Covid19 on the management of public open spaces in Nakuru City, Kenya. Household questionnaires, key informants' interviews, field observation and conference meetings were used in data collection.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ogether with Microsoft Excel and GIS for Nakuru City land uses and spatial implications of Covid19. It was established that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youthful, with a secondary school level of education. They were also majorly self-employed and were relaxing in open spaces because urban parks in Kenya are attractive to the jobless and those in the informal sector. Consequently, 73.3% of the respon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 physical appearance of the open spaces, which are also insecure. Amid Covid19, 94%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government measures for the mitigation of Covid19. However, 59% opposed it, as they impacted the source of their livelihoods (hawking, shoe shinning, photography, and public transport termini). Stay at home (50%) and social distancing (31%) were some of the mitigation measures that highly influenced the use of the public open spaces, as they led to the relocation of transport termini and markets, closure and limited access (33%) of the urban parks. There have been efforts to decongest the city in the past; as a result, the County Government of Nakuru took advantage of the pandemic to decongest the city with minimal opposition as they enforce Covid19 measures. Therefore, urban public transport and informal business setups within Nakuru City were highly affected, through relocation of the bus terminal and small-scale traders' market outside the CBD. This study, therefore, recommended that the Nakuru City embrace smart city governance, provide inclusive and sustainable urban parks and utilize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s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not caus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mobility behavior pattern of commuters who live within planned TOD areas.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우리는 친숙하고 활기차며 사회적이고 생기 넘치는 공공 장소를 잃어버리는 쓰라린 경험을 했다. 코로나19가 미래의 공공 공간 설계와 사용 및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매우 불분명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케냐 나쿠루 시의 공공 개방 공간의 관리에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가구 설문지, 주요 정보원 인터뷰, 현장 관찰, 회의 등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수집했다. 나쿠루 시의 토지 이용과 코로나19의 공간적 영향을 밝히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지리정보시스템(GIS)과 함께SPSS를 이용해 정량적 데이터를 분석했다. 참가자 대다수는 중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받은 젊은 남성들이었다. 또한 참가자는 주로 자영업자였으며, 도시 공원과 같이 실업자와 비공식 부문(informal sector)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열려 있는 개방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이들이었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73.3%가 안전하지 않은 개방 공간의 물리적 외관에 만족하지 못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일 때 응답자의 94%가 정부의 규제 조치는 코로나19 완화를 위한 것임을 인식했음에도, 이 중 59%는 이러한 조치는 생계 수단(매사냥, 구두닦이, 사진 촬영, 대중교통 터미널)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집에 머물기(50%)와 사회적 거리두기(31%)는 대중교통 터미널 및 시장의 이전과 도시 공원의 폐쇄 및 접근 제한(33%)으로 이어지면서 공공 개방 공간의 이용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전부터 나쿠루 시 정부는 도시의 혼잡을 줄이려는 노력을 해왔는데, 코로나19로 인한 규제 조치는 반대를 최소화하면서 도시 혼잡을 완화하는 유용한 수단이 되었다. 버스 터미널과 소규모 상인을 CBD 외곽으로 이전시킴으로써 도시 대중교통과 비공식 상점을 나쿠루 시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계획된 대중교통 지향형 개발(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지역 내에 거주하는 통근자의 이동 행동 패턴이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스마트 시티 거버넌스(smart city governance)를 수용해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공원을 제공하고 TOD를 활용할 것을 나쿠루 시 당국에 권고했다.

      • COVID19 상황시 생존수영 교육의 운영개선 방안

        김민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COVID 19 상황 시 생존수영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실내 체험교육의 문제점과 운영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생존수영 실내 체험교육 시 학생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 교육 방법의 효율성과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COVID 19 상황 시 생존수영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존수영 수영장 실기교육과 실내 체험교육을 모두 경험한 부산지역 5개 초등학교 5학년생 381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COVID 19 상황 시 생존수영 실내 체험교육의 문제점과 운영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생존수영 담당 교사 3명, 안전교육 전문가 1명, 수영장 시설운영 관계자 1명, 생존수영 전문 강사 2명, 총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한 후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 수영장 실기교육과 실내 체험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중요도, 참여도, 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생존수영 수영장 실기교육의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생존수영 실내 체험교육의 문제점은 생존수영 교육 시간의 부족, 교육 프로그램의 비체계화, 생존수영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성 저하로 나타났다. 셋째, 생존수영 실내 체험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육 방법의 효율성과 수업의 질적 향상을 재고하기 위해 도출된 운영개선 방안은 생존수영 교육시간의 확대, 생존수영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 구축,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인 블렌디드 러닝과 메타버스 교육의 도입으로 나타났다.

      • 부모의 COVID19 불안이 자녀의 COVID19 관련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반응양식에 미치는 영향 :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김인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의 만 3~8세 자녀를 둔 부모의 COVID19 불안이 자녀의 COVID19 관련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반응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의 COVID19 불안이 자녀의 COVID19 관련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8세 자녀를 둔 만 18세 이상의 부모 171명을 대상으로 COVID19 불안 척도, 양육스트레스 척도, 자녀의 COVID19 관련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대처행동에 대한 설문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의 COVID19 불안은 양육스트레스와 비지지적 반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양육스트레스는 비지지적 반응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 지지적 반응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지지적 반응은 비지지적 반응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COVID19 불안이 자녀의 COVID19 관련 부정정서 표현에 부모의 지지적, 비지지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COVID19 불안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검증하고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통해 부모의 COVID19 불안이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지지적 및 비지지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ID-19 Fear of parents of children aged 3 to 8 years old on the parental response style to their children's COVID-19-relat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the COVID-19 fear of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parenting stress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VID-19 Fear and parental response to their children's COVID-19-relat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COVID-19 fear scale, parenting stress scale, and a questionnaire about parents' coping behavior about parental response style to their children's COVID-19-relat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r 171 parents aged 18 and over with children aged 3 to 8.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COVID-19 Fea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non-supportive responses, parenting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on-supportive response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upportive responses. Supportive respons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non-supportive respons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the effects of parental COVID-19 fear on the supportive and non-supportive response of parents to their children's COVID-19-relat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parental COVID-19 Fear and parenting stress are factors that affect the parent's response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COVID-19 Fear supports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help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process of the parents’ supportive and non-supportive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 Giorgi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COVID19 이후 아동의 무용활동에 나타난 정서적 결여 연구

        황사랍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무용활동에 나타난 아동의 정서적 결여를 고찰하고 COVID19라는 특수한 현상으로 인한 아동의 정서적 변화 전반에 대한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COVID19로 인해 아동이 겪은 사회적으로 단절이 아동의 정서와 상호작용에 끼친 영향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현장 교육자들의 인식과 보완의 필요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COVID19 이후 아동의 교육현장에서 직접 아동의 무용활동을 교육한 교육자 7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방식과 분석에 있어 Giorgi(지오르기, 2004)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지오르기가 제시한 네 단계의 자료처리 방법에 근거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전사 처리하고 종합하는 과정에서 72개의 의미단위 속 19개의 중심의미를 도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개의 주제 하에 19개의 중심의미와 72개의 의미단위가 개념적 관계로 형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술함에 있어 의미 단위의 도출 과정을 기술한 후 상황적 구조 기술, 일반적 구조 기술, 종합적 구조 기술을 통한 세 단계의 기술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논의된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인한 아동의 사회적 단절과 고립, 환경 변화, 마스크의 착용은 아동의 정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여러 가지 정서적 결여가 나타나고 있다. 아동에게 이미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정서적 결여가 많은 부분에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러한 아동의 정서적 결여가 해결되지 못한 상태로 성장하면서 아동의 정서에 꾸준히 영향을 끼치며 누적되는 것이 우려된다. 이러한 아동의 정서적 결여는 단기간에 해결될 수 없으며 아동의 향후 성장과정에도 지속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따라서 COVID19를 거쳐 성장한 아동이 가질 수 있는 결여에 대한 이해와 고려가 바탕이 되어 기관과 교육자의 지속적인 관찰과 보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COVID19를 거쳐 성장한 아동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결여를 보완하기 위한 우리 사회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COVID19를 거쳐 성장한 아동이 가지는 정서적 결여에 대해 현장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음을 호소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고려와 보완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COVID19로 인한 아동의 정서변화가 고려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적인 차원에서의 보완이 요구되며 아동의 정서적 결핍을 채워줄 수 있는 문화사업 개발과 관련하여 교육계와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시급하다. 셋째, COVID19로 야기된 현상과 아동 간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보존하여 다음세대로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COVID19로 인해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엔데믹 이후에도 지속적인 추적과 관찰이 필요하며, 이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우려한 바와 같이 앞으로 다시 찾아올 제2, 제3의 팬데믹에 대비하여 긍정적 대안으로 작용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emotional deficiencies found in dance activities since the COVID-19 pandemic and deter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children’s emotional change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specifically. This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ow it affected their emotions and interactions, and explore educators’ awarenes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Therefor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educators who have taught dance activities to children in the realm of education since the pandemic. Giorgi’s (2004) propo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e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and the study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Giorgi’s four-step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process of transcribing and integrat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19 focal meanings were derived from 72 meaning units, and finally, 19 focal meanings and 72 meaning units were derived in a conceptual structure under 6 themes.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 of deriving the meaning units, after which it went through the three steps of the description process such as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and synthetic structural description. The conclusions discussed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emotional deficiencies manifested as a result of children’s social disconnection and isolation, environmental changes, and mask-wearing due to COVID-19, which adversely affected their emotions. Emotional deficiencies due to the effects of COVID-19 have already appeared in many aspects of children, and the concern is that these children continue to mature without resolving these emotional deficiencies, thereby continuously negatively affecting their emotions. These emotional deficiencies cannot be quickly resolved and will continue to have adverse effects on children’s future growth. Therefore, continuous observation is necessary and efforts based on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se deficiencies are required from institutions and educators. Second, society as a whole must pay attention to and make efforts to resolve children’s emotional deficiencies resulting from growing up during the pandemic. The participants were complaining that these children’s emotional deficiencies cannot be resolved solely by the efforts made in the educational realm. Experts must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the consideration and resolution of these issues. The educational system must also be improved so that children can be educated about the emotional changes the COVID-19 pandemic could cause. Additional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ttention and support from educational circles as well as the government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grams to make up for children’s emotional deficien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preserve the specificity of children and the phenomena caused by COVID-19 and pass it on to the next generation.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track and observe COVID-19’s impact on children, even after the pandemic. This will serve as a positive alternative in preparation for the second and third pandemics to come, as forewarned by experts in various fields.

      • SARS-CoV2 변이종에 대한 베큘로바이러스 기반 DNA 백신 개발

        장유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28

        제2형 신종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처음 발병이 보고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점차 확산되어 2021년 4월경 판데믹으로 선언되었으며 많은 감염자 및 사망자를 초래하였다. SARS-CoV2는 양성 단일 가닥 RNA genome을 지닌 코로나 바이러스로서 동물 및 인간에게 높은 전염성을 가지고 지속적인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베큘로바이러스 표면에 인간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Env(Human retrovirus envelop, HERV)를 발현하는 AcHERV DNA 백신 기반 플랫폼을 이용하여 SARS-CoV2에 대한 백신을 제작하였고 그에 따른 면역원성을 평가하였다. 백신 항원으로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S)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S 부분, S1 부분,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N 말단 도메인과 SARS-CoV2 S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eceptor binding domain, RBD)이 융합한 유전자 부분 등 총 세가지의 백신 항원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백신 항원 후보군들은 AcHERV의 전달체에 삽입하여 백신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AcHERV- COVID19 백신 후보군 3종 중 S 유전자가 도입된 AcHERV-COVID19S 백신의 경우 햄스터 동물모델에서 높은 체액 및 세포성 면역을 유도하였고, SARS-CoV2를 공격접종한 방어능 평가에서 완벽한 방어능을 보였다. 이후 SARS-CoV2 감염에 의한 폐사가 발생하는 형질 전환 실험동물인 K18-hACE2 형질전환 마우스를 이용하여 백신의 효능평가를 진행하였다. AcHERV-COVID19S 백신을 K18-hACE2 형질전환 마우스에 두 번 면역화를 진행하여 높은 체액 및 세포 매개 면역을 유도를 확인하였고, SARS-CoV2를 공격접종에 100% 방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러스 감염의 대유행 확산을 예방하는 백신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ARS-CoV2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백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SARS-CoV2는 알파부터 델타, 오미크론등 지속적인 변이주가 발생하면서 백신의 효능을 감소시켰다. AcHERV-COVID19S 백신 역시 K18-hACE2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SARS-CoV2 델타 변이주에 대한 방어능 평가 결과 50%만 생존하였다. 이러한 SARS-CoV2 델타 변이주에 대응하기 위해, AcHERV 백신 기반 플랫폼에 SARS-CoV2델타 변이주의 스파이크 유전자를 도입한 AcHERV-COVID19D 백신을 제작하였고, 교차 방어능 평가를 위해 SARS-CoV2(프로토타입)과 SARS-CoV2 델타 변이주에 대한 효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2021년 12월 이후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SARS-CoV2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효능 평가도 함께 진행하였다. 면역원성 평가에서는 AcHERV-COVID19D 백신은 프로토타입 또는 오미크론 변이주보다 델타 변이주에 대해 높은 중화 항체 유도를 확인하였고, 3종류의 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세포성 면역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종류의 SARS-CoV2 바이러스(프로토타입, 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주)들을 이용한 교차 방어능 실험에 따르면 AcHERV-COVID19D 백신을 접종한 K18-ACE2 형질전환 마우스는 델타 또는 오미크론 변이주를 공격접종 했을 때 100% 생존하였으며 SARS-CoV2 프로토타입으로 공격접종 했을 때 71.4%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AcHERV-COVID19D 백신은 델타 변이주 뿐만 아니라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해서도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오미크론 변이주와 같은 경증 병원성을 보이는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에 대한 잠재적인 백신 후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was first report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gradually spread worldwide, and a pandemic was declared around April 2021. It caused many infections and deaths. SARS-CoV2 is a 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 coronavirus, which is highly contagious in animals and humans, and continuously mutated viruses are emerging. We constructed an HERV-enveloped recombinant baculoviral DNA vaccine against SARS-CoV2 (AcHERV-COVID19S), then the immunogenicity and prophylactic effects were evaluated. For COVID-19 vaccine construction, DNA encoding SARS-CoV2 S-full or S1 or a MERS-CoV NTD domain-fused SARS-CoV2 RBD was inserted into the genome of AcHERV. Among the three prepared AcHERV-COVID19 vaccine candidates, the AcHERV-COVID19 S vaccines induce high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in hamster. In challenge tests, twice immunized AcHERV-COVID19 S showed complete protection against SARS-CoV2. After that, the efficacy of the vaccine was evaluated using K18-hACE2 Tg mice, which are transgenic experimental animals that cause death due to SARS-CoV2 infection. We immunized K18-hACE2 Tg mice twice with the AcHERV-COVID19S vaccine, confirmed induction of high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and 100% protection against SARS-CoV2 challenge test. These results support the feasibility of AcHERV-COVID19S vaccines in preventing pandemic spreads of viral infections.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and use of various types of vaccines to prevent SARS-CoV2 infection, SARS-CoV2 reduced the efficacy of the vaccine as persistent variants such as alpha, delta, and omicron occurred. A non-replicating recombinant baculovirus that delivers the SARS-CoV2 S gene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omologous challenge in a K18-hACE2 Tg mice model, but only a 50% survival rate against the virulent SARS-CoV2 Delta. In order to respond to this SARS-CoV2 delta, we developed an AcHERV-COVID19D vaccine in which the SARS-CoV2 delta spike gene was introduced into an AcHERV vaccine-based platform. For cross-protection evaluation, efficac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ARS-CoV2 prototype and the SARS-CoV2 delta varients. In addition, efficacy evaluation of the SARS-CoV2 omicron varient, which has been rapidly spreading since December 2021, was progressed. Cross-protec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mice vaccinated with the AcHERV-COVID19D showed 100% survival under challenge with Delta or Omicron, and 71.4% survival against prototype SARS-CoV2. These results support the potential of the viral vector vaccine, AcHERV-COVID19D,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virus variants such as Omicron and less pathogenic mutants.

      • 코로나로 인한 직원 만족도 변화 분석 : 온라인 기업 리뷰를 활용하여

        안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14

        코로나 19 팬더믹은 생산 및 경제활동에 광범위한 경제 붕괴를 초래했고, 소비의 급격한 감소는 모든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은 노동방식을 변하게 했다. 특히, 재택 및 원격 근무제, 탄력적 근무제를 포함하는 유연근무제 사용 근로자는 코로나 이전에 비해 약 130만 명이 증가했다. 그러나 편해진 노동환경과 대조적으로 2021년 말부터‘대 퇴사시대(The Great Resignation)’라는 용어가 대두되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코로나 기간 직장인들 삶의 우선순위와 일의 의미가 바뀌고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서 코로나 이후 직장 만족 요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하여 코로나 이후 인적자원(HR)관리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잡플래닛에 있는 KOSPI200 기업의 직원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토픽모델링으로 주제를 추출하고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결합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만족요인을 도출하였다. 토픽모델링으로 주제를 도출한 결과, 연봉, 사내 복지, 분위기, 회사 위치, 업무보고, 업무성과, 커리어, 인사고과, 근무 안정성, 조직구조, 근무 시간, 기업문화, 미래산업 총 13가지 주제들이 존재했다. 도출된 주제의 리뷰 별 확률값을 독립변수로, 기업 규모, 평균 직원 근속 년 수, 글자 수를 통제변수로 사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전체 기업의 만족 요인변화, 업종별 만족 요인변화, 직무별 만족 요인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코로나 이전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던 사내 복지, 회사 위치, 근무 시간의 변수가 코로나 이후가 되면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봉은 제조업종, 연구개발 직무, 영업/제휴 직무에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니었다. 특히, 코로나로 타격을 입은 도소매 업종은 미래산업이 만족도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이 감소함을 확인했고 다른 업종과 직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바뀌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 이전에는 단순 생계 유지 수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직원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개인의 성장과 기업의 발전 요소와 관련된 요인들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났는지에 대한 원인 분석과 질적 연구를 추가로 진행한다면 더 구체적인 인적자원 관리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a widespread economic collapse in production and economic activity, and the sharp decline in consumption has had a severe impact on all sectors.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has changed the way of working. In particular, the number of workers using flexible working systems, including telecommuting and teleworking systems, and flexible working systems, increased by about 1.3 million compared to before COVID-19. However, in contrast to the more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the term ‘The Great Resignation’ emerged from the end of 2021. In response, experts say that the priorities of life and the meaning of work are chang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refore, in this study, compared to before COVID-19, we tried to analyze how employee satisfaction factors changed after COVID-19 to help prepare HR management plans after pandemic. So, we collected employee review data of KOSPI200 companies in jobplanet.co.kr, extracted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and combine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to der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satisfaction factors.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there were a total of 13 topics: annual salary, internal welfare, atmosphere, company location, work report, work performance, career, personnel evaluation, work stability, organizational structure, working hours, corporate culture, and future industry. Changes in satisfaction factors for the entire company, changes in satisfaction factors by industry, and changes in satisfaction factors by job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probability value for each review of the derived topic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mpany siz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number of letters as control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of company welfare, company location, and working hours that had an overall effect on satisfaction before COVID-19 did not have an effect after COVID-19. Salary was a factor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R&D job, and sales/affiliation job, but it was not a factor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after the corona viru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impact of future industries on satisfaction decreased in the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hit by the COVID-19, and chang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other industries and jobs. Taken together, it can be confirmed that, before COVID-19, factors affecting simple means of livelihood affected employee satisfaction, but after COVID-19, it was confirmed that factors related to personal growth and corporate development were changing. In the future, if a cause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are additionally conducted, it will be helpful to prepare a more detailed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

      • An Analysis of the Mexican Education System’s Response to COVID-19 with a Focus on Primary Teachers’ Perspectives

        Alma Neredly Villegas Contreras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11

        Due to the appearance of COVID-19 in the world, countries like Mexico, where there are almost 35.5 million students and only 64% of its population has access to the internet, have had to resort to a tele-learning response to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to students. After more than a year, the pandemic is still ongoing and the current tele-learning response still faces challenges that require more innovation to improve, as well as to prepare for future emergencies. This study examines the tele-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y implemented by the Mexican government in response to the pandemic. Tele-learning is a distance learning model using television and radio, along with 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s, to transmit lessons to students at home. There have been limited previous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is type of strategy, especially at the primary school level. Overall,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scope of the educational response to the pandemic to identify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this model and to understand what aspects of the model could provide effective tools for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to continue to implement after the pandem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the Mexican government provide a better response for education in the event of future cris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case study approach to allow for exploration of a phenomenon within a limited context. The research took place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was a content analysis conducted to documen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Learn at Home" and the second phase was conducted as in-depth interviews with 10 primary school teachers who implemented the program with their students. For content analysis, news articles, government reports, research articles, and other sources issued by the Mexican governm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ocument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the tele-learning program called "Learn at Home" over the course of a year.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ocument and describ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s well as government and media report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n the second phase of th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rimary school teachers in Mexico who had experience implementing the "Learn at Home" program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le-learning model and the curriculum changes. The goals of the interviews were to explore teachers’ perspectives regarding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the model and to learn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students and families during the pandemic, especially regarding the role of the teacher,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and the impact of the tele-learning model on students and families. Content analysis documenting the "Learn at Home" found that this tele-learning model enabled the government to serve a vast percentage of the student population despite the existing connectivity and technology limitations in Mexico. In addi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not only children, but anyone with access to a television or radio, regardless of age or if they were enrolled in a school, had the opportunity to take classes taught by real teachers from wherever they were at the same time. This was a very meaningful and unexpected benefit of implementing education via the tele-learning model as people who were previously unable to complete their studies were now provided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do so.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to educational access by using this strategy. For example, class time was reduced by up to 50%, meaning students had less content coverage in the school year. In addition, by using a one-way communication medium, students could not have real-time feedback from teachers about their learning. In addition, teachers were unable to effectively modify instructional or evaluation methods to meet the needs of all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learning needs 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Analysis from phase two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revealed three main themes: chang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difficultie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unexpected benefits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irst, teachers expressed that their role had changed significantly, where before they had primarily transmitted knowledge and were responsible for all aspects of education, but with the tele-learning model teachers became more guides to students, and parents and children began to share responsibilities for learning. Teachers were no longer responsible for teaching the classes as children received their instruction from the "Learn at Home"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a shift in the responsibility for learning from teachers to students, so that students had more active roles in their own learning. Second, teacher interviews revealed many difficulties with implementing the "Learn at Home" program including the economic limitations of students' families which could reduce parental involvement and expose more parents and families to the virus due to their employment. As a result, families with lower incomes had more challenges to stay connected to teachers and fewer resources to support their children to learn at home. In addition, teachers faced new challenges related to how to evaluate student learning, how to form social connections with students and between peers, and how to manage the curriculum with the limited time provided for content in the tele-learning model. Third, teachers identified some positive outcomes, including that parents and communities were more involved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as a result, more aware of and appreciative of the role and work of teachers. In addition, there were unexpected benefits to the program, including that education was extended to non-traditional school-age people who had not been able to complete their education as children. This program offers some new prospects for improving adult literacy and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Finally, teachers found they learned new skills because of implementing this program, especially regarding technology. The educational response offered unexpecte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hich would be positive to continue in the future. This analysis revealed a change in the role of parents as the school and family had limited communication and learning took place in the home, so activities that normally occurred within the classroom with teachers were now being conducted by parents and family members. As a result, parents and the wider community had more knowledge about and appreciation for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rained teachers. In conclusion, the Mexican government's use of a tele-learning model with the "Learn at Home" program during the pandemic has successfully made education available and accessible via distance education to more than 30 million K-12 students. The Mexican education model offers a positive example for international aid programs or governments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would benefit from using a non-computer facilitated distance education strategy.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countries with limited infrastructure and budget limitations that seek to achieve Goal 4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which seeks to provide an inclusive, equitable, and quality education for all students by 2030.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tele-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at the primary school level and found that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pandemic, this option did allow for the continuation of basic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The study documented several aspects of the program that improved with revision and modification, including methods for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cluding using text messages and videos posted online) that were effective for providing both academic and social conne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n-going analysis of the tele-learning model and the “Learn at Home” program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and develop more viable forms of support necessary to reach vulnerable groups, such as special needs learners, language minority students, and students living in remote areas. COVID-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멕시코는 교육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기 위해 COVID-19 발생 이전과 다른 유형의 교육 전략에 의존해야 했다. 멕시코는 약 3,550만 명의 학생이 있고 인구의 64%만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다. COVID-19가 발생한 지 1년 이상이 지난 후에도 전염병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최근의 대응은 현재 관행을 개선하고 미래의 비상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더 많은 혁신이 필요한 과제에 여전히 직면해 있다. 이 연구는 전염병에 대응하여 멕시코 정부가 교육 시스템에서 구현한 새로운 교육 전략인 텔레비전과 라디오, 우편 및 전화 통신을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들에게 수업을 전송하는 원격 학습 교육 모델을 검토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수준에서 이러한 유형의 전략을 분석한 이전 연구들은 제한적이었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유행병에 대한 교육적 대응의 범위를 분석하여 원격 학습 교육 모델의 이점을 파악하고, 수정해야 할 사항을 탐색하며, 프로그램의 어떤 측면이 연구자와 정책자에게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멕시코 정부가 향후 위기에 대한 교육을 위해 더 나은 대응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도구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전염병 기간 동안 멕시코 교육 전략의 발전과 교사의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연구는 제한된 맥락에서 현상을 탐색하는 사례 연구 접근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멕시코 정부와 교육 기관이 발행한 뉴스 기사, 정부 보고서, 연구 기사 및 기타 출처의 콘텐츠 분석을 활용하여 " Learn at Home " 프로그램의 단계별 개발 과정을 탐구하여 이러한 원격 교육 전략의 기원, 적용, 결과를 파악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원격 교육의 어려움과 이점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들이 원격 학습 교육 모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다.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멕시코의 초등학교 교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목적은 전염병 기간 동안의 경험에 대한 교사들의 관점을 탐구하여 멕시코에서 일어난 일과 이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점에 대하여 보다 넓은 시각을 가지는 것이다. 연구의 첫 번째 단계에서 멕시코 교육 프로그램 "Learn at Home "은 기존 통신 연결 제한에도 불구하고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많은 학생들에게 보도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학생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접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연령과 재학 여부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실제 선생님의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동시에 주어졌다. 특히 과거에 학업을 마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도 매우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미래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고 개선되어야 하는 영역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원격 학습 교육 모델 전략을 이용하면 수업시간이 최대 50% 단축되는 것은 물론 단방향적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학생들과 상담을 할 수 없었고, 교사가 성취기준과 평가방법을 수정해야만 했다. 연구의 2단계인 교사들의 인터뷰 분석 결과에서는 3가지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교사 역할의 변화이다. COVID-19 이전에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책임을 많이 지니고 있었다면 요즘에는 “Learn at Home”이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그 역할을 하고 있고 교사는 단지 학생들의 학습을 동반해주는 역할이다. 두번째 주제는 “Learn at Home” 프로그램 시작 이후 직면했던 어려움이다. 예를 들어 교육에 대해 학부모들의 개입이 증가됨으로써 학부모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이 제한되었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도 제한되었다. 세번째 주제는 원격수업으로 인한 장점이다. 점점 일반 대중들은 교사의 일을 더 높이 평가하기 시작했다. 학부모들이 집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돌보면서 초등교사 역할의 일부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술과 교수법을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주었다. 결론적으로, 전염병 기간 동안 멕시코 정부가 원격 학습 교육 모델을 사용하여 K-12학년 3천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 전략은 이러한 유형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제 원조 프로그램 또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인 교육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2030년까지 특히 초등학교 수준에서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평등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의 목표 4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다. COVID-19에 대한 멕시코 교육의 대응을 관찰함으로써 취약 계층까지 도달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지원 형태를 이해하고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오늘날 초등교육이 직면한 과제에 대응하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방안을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