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색채의 활용방법에 관한 연구 : RGB와 CMYK의 매체적용에 관한 시각적 편차분석을 중심으로

        정민주 慶星大學校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788

        Emergence of computer has entailed birth of a new area, digitals, and now it is possible to codify all analogues. That is, a new area of digital colors has come into being now that they can compare and express colors as data with accurate figures. Even in digital colors which have data values to measure accurate data and figur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colors human cannot perceive and that colors can turn into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adaptation state of human perception. Especially, though occurrence of visual deviation is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media after RGB is converted into CMYK according to property of colors, studies on color deviation that occur in the color scope human cannot perceive still have a lot of things to be desir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methods to reduce visual deviations in using digital colors and methods to express colors artists intended. The result of the first experiment revealed that there were error icons in converting RGB into CMYK, and that when RGB data values with formed error icons were converted into CMYK, there occurred more visual deviations than those values without. The result of the second experiment showed that in applying CMYK to printing, data values with bigger visual deviations were selected out of 100 data values from total 4900 CMYK data values, and the facto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data values through this study have limits that it did not present data values from a variety of media, so further studies through various media are needed about diverse visual deviations. Colors are not easy materials.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digital colors intended in the process of input-display-output. Now that methods to reduce errors are desperately need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offer helpful methods to reduce some vidual deviations in applying digital colors when referring to the properties of digital colors this study specified and the data values with RGB errors listed in the appendix and to reduce errors in carrying out purposes of design work.

      • 퍼스널컬러를 활용한 맥(MAC)립스틱 컬러차트 개발연구

        우희승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26

        소비자들은 립스틱 컬러 선택 시 제품을 출시하는 회사별로 차이가 있고, 색채 표기로만 선택하기에는 이해도가 매우 부족하다. 특히 컬러에 익숙하지도 않고 비슷한 컬러들이 많아 비교하기도 매우 어렵다. 색의 확신이 없어서 늘 자주 쓰는 립스틱 컬러만 사용하게 되는 악순환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개인에게 맞는 퍼스널컬러(Personal Color)를 제안하기 위하여 4계절로 구분할 수 있는 립스틱컬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립스틱 컬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퍼스널컬러의 인지정도를 기존 립스틱 제품의 컬러분석을 통해 웜톤과 쿨톤으로 분류하고, 평균값 색상 도출과 PCCS톤을 분류한 후 색체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4계절 립스틱 컬러차트를 개발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은 립스틱컬러를 가지고 있고 인지도가 높은 맥(MAC)의 립스틱을 선택하여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2020 버전으로 디지털 색체계 CMYK 값을 3회 추출한 평균값으로 각 시리즈별 컬러를 알아보았다. 총 202개의 컬러 중 웜의 분포는 122개였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 분포를 보면 겨울이 70컬러로 가장 많았고 봄이 41개러 가장 작았음을 알 수 있다. 새로운 컬러로 만든 4계절 분포도를 보면 봄 12컬러 여름 7컬러 가을 17컬러 겨울 14컬러가 나왔다. 새로운 4계절 차트는 가을이 17컬러로 가장 많은 컬러가 나왔고, 여름이 7컬러로 가장 작게 나왔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4계절 차트를 만들었다. 봄은 RED 3, PINK 3, BROWN 2, BEIGE 2, ORANGE 1, NUDE 1개 컬러, 여름은 RED 2, PINK 4, PURPLE 1개의 컬러, 가을은 RED 4, PINK 3, BROWN 6, BEIGE 3, NUDE 1개의 컬러, 그리고 겨울은 RED 5, PINK 3, PURPLE 3, BROWN 3개의 컬러로 차트를 만들었다. 맥(MAC) 제품에서 소비자들이 립스틱 컬러를 선택함에 있어 퍼스널컬러 기준으로 컬러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이번 연구결과를 통한 립스틱 컬러차트를 활용하면 립스틱 컬러를 선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새로 만든 4계절 컬러차트를 이용한 퍼스널컬러 립스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제안된 4계절 컬러차트를 기반으로 한 퍼스널컬러 립스틱이란 새로운 시리즈를 만들어 제품을 출시하면 소비자들이 더욱 편하게 구매할 수 있어 시장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When choosing a lipstick color, consumers differ for each company that launches the product, and they do not have enough understanding to choose only with color markings.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compare because I am not familiar with the color and there are many similar colors. It becomes a vicious cycle of not being sure about the color, so I always use only the lipstick color that I use ofte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pstick colors that can be divided into four seasons in order to propose personal colors suitable for individuals. This study is very complex, and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various lipstick colors,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personal color is classified into warm tone and cool tone through color analysis of existing lipstick products, and average value of color after deriving average value color and classifying PCCS tone was calculated. And the main purpose is to develop a four-season lipstick color chart using these research results. We selected MAC lipsticks, which currently have the most lipstick colors and are highly recognized, and examined the colors of each series with the average value extracted three times with the Adobe Illustrator 2020 version of the digital color system CMYK. Among the total of 202 colors, the distribution of warm was 122, and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the four seasons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it can be seen that winter had the most colors with 70 colors and spring had the smallest with 41 colors. Looking at the distribution map of the four seasons made with new colors, 12 colors in spring, 7 colors in summer, 17 colors in autumn, and 14 colors in winter came out. In the new 4-season chart, autumn has the most colors with 17 colors, and summer has the least with 7 colo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four-season chart was created. RED 3, PINK 3, BROWN 2, BEIGE 2, ORANGE 1, NUDE 1 color for spring, RED 2, PINK 4, PURPLE 1 color for summer, RED 4, PINK 3, BROWN 6, BEIGE 3, NUDE for autumn 1 color, and winter made a chart with RED 5, PINK 3, PURPLE 3, BROWN 3 colors. When choosing a lipstick color for MAC products, it is not easy for consumers to choose a color based on their personal color. Therefore, using the lipstick color ch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great help in choosing a lipstick color. Also, I would like to suggest a personal color lipstick using the newly created 4-season color chart. If a new series of personal color lipstick based on the proposed four-season color chart is created and release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of great help to marketability as consumers can purchase it more comfortably.

      • 잉크량과 도트 가시성에 기반한 6색 분리 방법

        김중현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338

        With a rapid development of Hi-Fi printer, the method of six-color separation to reproduce photo quality image is need. Six-color separation is to decompose the digital values of four colorant CMYK (cyan, magenta, yellow, and black) into the digital values of six colorant CMYKlclm (cyan, magenta, yellow, black, light cyan, and light magenta). In the conventional method, excessive amounts of ink are used to reproduce smoother gradation. However, excessive colorants brings about the wetness and rumple of photo ink jet paper and the waste of unnecessary ink when an image is printed. Accordingly, the reduction of excessive colorants are required to obtain more pleasing printing.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six-color separation using limit of total ink-amount and having lesser dot-visibility. First,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CMY input digital values with 6 steps each channel and CMYlclm candidates digital values with 19 steps each channel. The generated CMY input digital values are printed and then measured for obtaining values of CIELAB space. And then, using the generated CMYlclm candidates, spectral reflectances of CMYlclm candidates are estimated. This is carried out through the printer characterization based on Neugebauer model. Next, to acquire the values of CIELAB space of estimated spectral reflectances for CMYlclm candidates, preferentially, spectral reflectances of candidates are transformed into values of CIEXYZ. And values of CIEXYZ are transformed into values of CIELAB. In order to obtain visually similar values in the CIELAB space between input and output, it is required to extract values of CIELAB candidates corresponding to values of CIELAB space for CMY input digital values for CMYlclm digital values. This needs the calculation of the color difference. And it is needed to reduce global excessive colorants. Using the sum of C, M, Y, lc, and lm as threshold, it is conducted to extract candidates which reduced total ink-amount for extracted candidates using the color difference metric. This is the process to minimize excessive colorants in all the regions including the bright and dark regions. And, to reduce excessive colorants of limited parts, maximum digital values of lc and lm are used as threshold. CMYlclm digital values reducing all excessive colorants are extracted through selective method of candidates applying different dot-visibility ordering according to maximum digital values of lc and lm. Last, the look-up table of digital values which is separated into six-color is made out. Consequently, the proposed method has advantage which saves the wasted ink-amounts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excessive colorants.

      • 감법혼색 색상환 개발 및 색상환 교구 개발 연구

        김소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25

        색채는 초, 중, 고등학생의 기초학력 필수 교육과정에서 학습되어지고 있다. 색채의 과학적 측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혼색이론이 등장하였고 색채 학습의 필요성과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색채를 학습하는 교육과정에서 전통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기능, 기술, 미적 관점에 국한되어 이론과 경험적 관점의 실제적 적용의 차이에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색채의 가짓수가 다양하고 색채 값을 숫자로 표기하는 디지트(Digits) 표기법과 4차원의 애니메이션에서 2차원의 인쇄물로 표현되는 원리 등 학습되어져야 할 색채의 학습요소가 다양하지만 여전히 물감, 색지등과 같은 아날로그 실습도구를 활용한 1차원적인 색채 교육으로 인한 이론과 실제적 적용의 차이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편적으로 학습되어지는 전통적인 색채이론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시대적 상황에 맞는 실용적인 감법혼색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되었다. 감법혼색 색상환의 개발과 개발된 색상환을 교육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구의 개발로 확장하여 학습효과성 검증을 위한 실증연구가 함께 진행되었다. 경험적 색채 교육을 위한 감법혼색 색상환을 개발하였고 연구는 교수적⦁비교수적 산출물과 그 프로그램의 포괄적인 설계⦁개발 프로젝트로 분석-설계-개발-평가의 연구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감법혼색 색상환 교구의 개발과정은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구현된 프로토타입을 버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하여 최종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대표적인 유형의 나선형 모델인 진화적 프로토타입 모델을 채택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만족한 결과물이 나올 때 까지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며 최종 완성품을 만드는 개발 방식으로 계획,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연구자의 감법혼색 색상환에 대한 전문가 검증의 일환으로 특허 출원과 특허등록, 디자인 등록의 절차를 함께 진행하였고 2020년 7월 10일 디자인등록을 완료, 2021년 2월 5일 특허등록이 완료되어 전문가 검증을 완료하였다. 색상환 개발과 함께 교구로의 활용을 위해 교구 개발과 개발 교구를 활용한 교육안 개발이 함께 진행되었다. 일반적인 미술과 교수⦁학습 ‘도입-전개-정리 및 평가’의 단계로 귀납적 사고 학습 모형으로 교육안이 개발되었다. 체계적인 색채교육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는 시기인 중학교 1학년 미술교과 색채단원을 기준으로 학습요구분석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맞는 교구 활용 교육안을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감법혼색 색상환 교구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질집단 사후검사 설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증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존 교구를 활용한 통제집단과 개발교구를 활용한 실험집단의 두 집단간 차이를 통계 분석하였고 실험교구가 기존교구에 비해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 정보전달성, 학업성취도가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 감법혼색 색상환이 특허 등록 및 디자인 등록의 과정으로 신규성, 창작성, 공업성, 이용가능성, 진보성, 산업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이 완료되었고 실증연구를 통해 감법혼색 색상환이 색채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함에 따라 감법혼색 색상환의 교육적 활용을 제안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미술교육과정에서 색채에 대한 양적, 질적 미비함이 드러나고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현실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색채교육 내용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개선을 위한 방법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론과 실제 적용의 차이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이론중심의 전통적 색채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적인 교육내용의 개선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의 개정 및 교구활용의 변화를 제안하는 것이다. 색채교육에 대한 인식변화로 색채교육에 대한 변화와 발전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