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iochar and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Leclercia adecarboxylata HW04 alleviate cadmium stress in Glycine max L.

        우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Cadmium is non-essential element for organisms and it has bio-toxicity in trace amounts. Therefore, cadmium in the agricultural field is a major limiting factor for crop productivity and quality, so reducing cadmium uptake and alleviating stress are important in agriculture. To overcome this,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can be applied. It can alleviate cadmium stress in plants by reducing cadmium bioavailability, and scavenging ROS. The effect can be stronger if PGPR is applied with carrier materials such as biochar that helps its survival.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isolate the cadmium-tolerant PGPR with multiple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and to confirm the ability to alleviate cadmium stress of soybean plants. To select strains for the experiment, several isolates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and evaluated their plant growth- promoting (PGP) traits and cadmium tolerance. Previously screened isolates were inoculated into soybean seedlings and determined their ability to promote soybean growth. Based on the experiment, HW04 was selected. HW04 and biochar were then co-applied on soybeans under cadmium conditions to evaluate the mitigation of cadmium stress in soybean seedlings. In preliminary experiments, shoot length, fresh weight, and leaf numb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W04-inoculated plants. In a study on alleviating cadmium stress, soybean growth and photosynthesis were recovered as co-application under cadmium conditions. From physiological perspective, nutrient uptake increased and cadmium uptake decreased, and phytohormone analysis showed that ABA contents increased and SA contents decreased when co-application under cadmium condition. In the results of gene expression, signaling cascade gene was upregulated as co-application under cadmium con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application of HW04 and biochar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to mitigate cadmium stress in an eco-friendly manner. 카드뮴은 지구상에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중금속이다. 하지만 산업화와 도시화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한 비의도적 오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카드뮴은 작물 생산성과 품질에 큰 제한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농업에서 작물의 카드뮴 흡수 및 스트레스 완화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이오차를 운반체로 활용해 식물생육촉진 근권세균을 콩 유묘에 적용하여 카드뮴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감 기작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할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근권 토양으로부터 293개의 분리주를 확보하고 식물생육촉진능력 및 카드뮴 저항성을 검정하여 4종의 균주를 1차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균주를 콩 유묘에 접종하여 콩 유묘 생육촉진능력을 평가하여 HW04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고, 해당 균주를 대상으로 카드뮴 제거 능력과 바이오차 정착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후 카드뮴 조건에서 HW04 균주와 바이오차를 콩 유묘에 복합처리하여 콩 유묘의 생리적, 분자적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1차 선발된 4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실험 결과 HW04 처리구의 초장, 생체중, 엽수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W04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분석에서 HW04가 외부의 카드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바이오차에 안정적으로 정착함을 확인하였다. 카드뮴 조건에서의 HW04와 바이오차 복합처리시 콩 유묘의 생육 및 광합성이 회복되었다. 생리학적 측면에서 무기양분의 흡수 및 이행이 증가하고 카드뮴 흡수가 감소하였으며, 식물 호르몬 분석 결과, ABA 함량이 증가하고 SA 함량은 감소하였다.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 카드뮴 조건에서 HW04와 바이오차 복합처리에 의해 signaling cascade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HW04와 바이오차의 복합처리는 식물-미생물 상호작용과 토양 카드뮴 불용화를 통해 카드뮴 스트레스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카드뮴 조건에서 안정적인 작물 생산을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쥐의 간질세포주에서 Cadmium이 고아 핵 수용체DAX-1 유전자 발현의 전사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수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Cadmium is a heavy metal, which is widely used in industry effecting human health through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exposure. In mammals it exerts multiple toxic effects and has been classified as a human carcinogen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Several reports indicate that cadmium alters steroidogenesis both in vivo and in vitro,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s that induce this misregulation. It was shown that cadmium treatment induced the transcription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StAR) gene which important factor for steroidogenesis. A dosage-sensitive sex reversal-adrenal hypoplasia congenital-critical region on the X chromosome gene 1 (DAX-1) binding site has been identified in the human StAR promoter, and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DAX-1 exerts its negative effects by binding directly to SF-1, resulting in an inhibition of SF-1-mediated StAR gene transcrip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cadmium o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DAX-1 gene in mouse leydig tumor cell line has been reported. Cadmium chloride concentrations of 50 mM were found to decrease DAX-1 and SF-1 mRNA expression. In addition cadmium significantly reduced DAX-1 promoter activity. Cadmium also decreased the binding of SF-1 to the DAX-1 promoter as assessed from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Taken together, the results might suggest that cadmium induced down-regulation of DAX-1 express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binding of SF-1 to the DAX-1 promoter. Cadmium 은 직업과 환경적인 노출로 인류 건강을 초래하는 산업적으로 널리 쓰이는 중금속이다. 포유동물에서 Cadmium 은 다양한 독성 효과를 나타내며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 의해 사람의 발암물질로 분류되었다. 몇 몇 보고에서 Cadmium 은 in vitro 와 in vivo 에서 스테로이드 합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잘못된 변화를 유도하는 기작에 관해서는 조금만이 알려져 있다. Cadmium 을 처리하면 스테로이드 합성에 중요한 요소인 스테로이드 급성 합성 단백질 (StAR)의 전사가 유도됨이 보여졌다. DAX-1 결합 부위가 사람의 StAR promoter 내에서 동정이 되었고, 또한 DAX-1 은 SF-1 과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SF-1 이 매계하는 StAR 유전자 전사를 제한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발휘함이 보고되었다. 여기에서는 쥐의 간질 종양 세포주에서 Cadmium 이 DAX-1 유전자의 전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하였다. Cadmium Chloride 50uM 농도에서 DAX-1 과 SF-1 mRNA 발현이 감소함이 나타난다. 게다가 Cadmium 은 DAX-1 promoter 활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로부터 평가되어진 것으로, Cadmium 은 또한 DAX-1 promoter 에 SF-1 결합을 감소시킨다. 통합하면, 이 결과는 DAX-1 promoter 에 SF-1 의 결합을 제한함을 통해 Cadmium 이 DAX-1 발현의 하향조절을 유도한다고 제안 할 수 있다.

      • 쥐 고환 간질세포에서 Cadmium이 스테로이드 합성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수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Cadmium is one of the widely used industrially and environmentally dispersed heavy metal that affects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of animals including human.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of its effect on the steroidogenesis in gonad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cadmium exposure to K28 mouse testicular leydig tumor cell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mRNA level, promoter activity and protein level of the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StAR), an essential factor for steroid biosynthesis in leydig cells. Cadmium-induced StAR protein level was completely blocked by the PKA and PKC signaling inhibitors. It has been well documented that StAR gene transcription is regulated by multiple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the cAMP-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family members and SF-1. Cadmium treatment caused increase in CREB phosphorylation but did not change nuclear CREB protein level. ChIP and EMSA studies revealed that cadmium-induced phosphorylated-CREB binds to the proximal region of StAR gene promoter. Furthermore, co-transfection with CREB expression plasmi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admium-induced StAR promoter activity. However, nuclear level and affinity of SF-1 protein to the StAR proximal promoter was dramatically decreased upon exposure to cadmium.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dmium up-regulates the StAR gene expression through CREB phosphorylation rather than through SF-1 in mouse testicular leydig cells. In this study, we also demonstrated that cadmium exposure to K28 mouse testicular leydig tumor cells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pregnenolone and progesterone production. Moreover, cadmium exposure significantly diminished protein expression level of mitochondrial cytochrome P450 side chain cleavage (P450scc) and phosphorylation of hormone-sensitive lipase (HSL).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3β-HSD, P450 17α, HSL. The scavenger receptor class B type 1 (SR-B1), an essential factor for uptake of cholesterol ester in leydig cells was dramatically inecreased upon exposure to cadmium.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dmium inhibits progesterone production through suppression of P450scc expression and HSL phosphorylation in mouse testicular leydig cells. Cadmium 은 산업에 널리 사용되며 환경에 흩어져있는 중금속 중의 하나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남성 생식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생식선에서의 스테로이드 합성에 이것이 미치는 분자적 기작은 명백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 K28 쥐 고환 간질 세포에 cadmium 노출은 간질세포에서 스테로이드 생합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스테로이드 급성 합성 단백질 (StA R)의 mRNA 와 단백질 수준, prompter 활성의 의미있는 증가를 이끌었다. Cadmium 에 의해 유도된 StAR 단백질은 PKA 와 PKC 억제제에 의해 완벽하게 저해되었다. StAR 유전자 전사는 CREB 집단 구성요소와 SF-1 을 포함한 다양한 전사 인자 들에 의해 조절됨은 잘 정리되어있다. Cadmium 처리는 CREB 의 인산화를 증가시키지만 핵내 CREB 단백질 정도는 변화 시키지 않았다. Cadmium 에 의해 유도된 인산화된 CREB 단백질이 StAR promoter 근위부와 상호작용함이 ChIP 과 EMSA 실험을 통해 들러났다. 게다가, Cadmium 에 의해 유도된 StAR prompter 활성이 CREB 발현 plasmid 를 같이 transfection 했을 때 더욱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Cadmium 이 StAR 를 상향 조절하는 것은 SF-1 보다 인산화된 CREB 을 통해서라고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이 본 연구에서, K28 쥐 고환 간질 세포에 cadmium 노출은 pregnenolone 과 progesterone 생성을 크게 감소시켰다. 게다가, cadmium 노출은 미토콘드리아내의 P450scc 단백질 발현과 HSL 의 인산화를 크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3β-HSD, P450 17α, HSL 의 단백질 발현의 의미 있는 변화는 관찰되는 않았다. 간질 세포에서 cholesterol ester 유입에 중요한 요소인 SR-B1 은 cadmium 노출하에서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Cadmium 은 P450scc 발현과 HSL 인산화의 억제를 통해 pregnenolone 과 progesterone 생성을 억제한다고 제안할 수 있다.

      • 카드뮴에 의해 흰 쥐 고환에서 유도된 세포사멸 과정에 미치는 항산화제의 효과

        김지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Cadmium is highly toxic metal in various tissues and organs. Cadmium induced apoptosis through reactive oxidative specie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cadmium decreased antioxidant enzyme and induced lipid peroxidation. Furthermore cadmium induced apoptosis and necrosis characterized of DNA fragmentation, nuclear condensation and cell shrinkage. Cadmium has also been reported to induce apoptosis through difference pathway in each other cell types. However it is unclear that cadmium induced apoptosis mechanism in rat testis. Our studies investigated that cadmium the mechanism of cadmium induced apoptosis through translocation of apoptosis inducing factor (AIF) in rat testis. In addition, we checked that the effects of antioxidant such as ascorbic acid and N-acetyl-_(L)-cysteine on cadmium induced apoptosis. Our results showed that cadmium treatment induced apoptosis through TUNEL assay and DNA fragmentation in rat testis,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antioxidant inhibited cadmium-induced apoptosis as antioxidant scavenged cadmium induced oxidative stress. Testis treated cadmium underwent mitochondriamediated pathway associated with nuclear translocation of apoptosis-inducing factor (AIF). Following PARP-1 and calpain-I activation, AIF released from mitochondria to nuclear to cause DNA damage. Our studies determined that cadmium induced apoptosis through molecular PARP-1, calpain-I activation which related AIF translocation in cadmium treated rat testis.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protein expression of Bcl-2 protein family which associated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increased in cadmium treated rat testis except Bim and Bcl-x. It is notable that ascorbic acid supplementation of antioxidant blocked the release of AIF from mitochondria including PARP-1 and calpain-1 activation which closely connected AIF translocation. Final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dmium induced mitochondria-mediated apoptosis in rat testis and supplementation with antioxidants cadmium-induced apoptosis by blocked ROS generation. 카드뮴은 다양한 조직과 조직에 매우 독성이 강한 중금속이다. 카드뮴은 활성산소를 발생함으로써 세포에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이전 연구에서 카드뮴은 항산화효소의 발현을 억제하고 lipid peroxidation을 유도하게 된다. 세부적으로 카드뮴에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은 전형적인 DNA단편화, 핵의 응축, 세포수축과정의 특성을 띠게 된다. 지금까지 연구된 내용은 각기 세포에 따라 다른 기작과 과정을 통하여 카드뮴의 세포사멸이 진행된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흰 쥐의 고환에서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과정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흰쥐 고환에서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의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과정에 아스코르빈산이나 N-acetyl-_(L)-cystein 과 같은 항산화 물질에의한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카드뮴에 의한 흰 쥐 고환에서 TUNEL assay와 DNA 단편화 현상을 확인하여 세포사멸이 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카드뮴에 의해 세포사멸현상이 유도된 그룹에 항산화제를 투여하였을 때 카드뮴에 의한 효과가 카드뮴에 의해 발생되는 활성산소의 감소시켜 세포사멸의 정도를 줄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드뮴에 노출된 고환의 세포사멸과정을 연구한 결과 세포사멸인자인 AIF 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핵으로 이동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의존적인 과정을 통하여 세포사멸과정인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전 연구를 통하며 AIF는 PARP-1 과 calpain-1의 활성화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에서 핵으로 이동하여 DNA의 손상을 일으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카드뮴에 의해 AIF의 이동하는 데 PARP-1과 calpain-1이 활성화되어 카드뮴에의한 세포사멸의 한 과정에 있음을 증명하였다.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세포괴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Bcl-2 protein family의 발현 정도를 통하여 카드뮴에 의한 세포사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은 PARP-1과 calpain-1의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쳐 세포사멸에 중요한 인자인 AIF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여 카드뮴에 의한 흰 쥐 고환에서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카드뮴에 의해 흰쥐 고환에서 세포사멸과정은 활성산소에 발생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에 의존적인 AIF에 이동에 의해 유도된다. 이런 카드뮴의 효과는 항산화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 인해 카드뮴에 의해 일어난 세포사멸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카드뮴이 마우스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재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6

        카드뮴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3개군으로 나누어 plaque 형성세포분석, SRBC에 대한 용집소가 측정, 시험관내에서 PWM, LPS, Con-A에 대한 비장세포 증식반응, 간장내의 중금속 측적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대조군의 plaque형성세포수는 카드뮴 전처리군 및 비전처리군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SRBC에 대한 총 항체가는 카드뮴 전처리군과 비전처리군이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IgG항체가는 대조군보다 증가되었다(p<0.01). 3. 여러가지 마이토젠에 대한 비장림프구 증식반응은 카드뮴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억제되었으며 Con-A에 대한 증식반응은 저농도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간에서의 카드뮴 축적정도는 대조군보다 훨씬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카드뮴 유발 면역반응이 카드뮴전처리로 형성된 어떤 방어물질이 작용하여 면역특성을 경감시키며, 또한 카드뮴이 Th세포의 기능을 항진시키므로서 항체 형성을 촉진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dmium on the antibody production to sheep red blood cells(SRBC)and proliferation of mitogen-stimulated spleen cells in mice. Cadmium treated group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One is pretreated subcutaneously with low dose of cadmium chloride(0.5mg/kg) for 5 consecutive days from the -7 day relative to the time of primary SRBC immunization(Low dose cadmium treated group). The other is not pretreated with low dose of cadmium chloride(Low dose cadmium non-treated group). Both group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y with high dose of cadmium chloride(5mg/kg) 8 hours before primary immunization. Mice were immunized intraperitonealy twice with 0.2ml of 296 SRBC suspension(10^8)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s to SRBC in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both cadmium treated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y. II. The total antibody titers to SRBC in cadmium treated groups were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but titers of IgG antibody were elevated significantly(p<0.01). III. The proliferation response of spleen lymphocytes to various mitogens was suppres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cadmium and the degree of cadmium accumulation in liver was increased in the cadmium 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dmium-induced immune response of mouse was affected by some protective substance such as metallothionein produced intracellulary by various divalent heavy metals.

      • Physiologically-based extraction test(PBET) extracted and cell wall bound cadmium in lettuce (Lactuca sativa L.) grown in hydroponic solution with silicate and sulfate

        민현기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cause a serious threat to human health. In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food crops could easily absorb heavy metals, leading to heavy metal accumulation in the human body after digestion. Despite many studies on heavy metal bioavailability in food crops, there have been few related studies about heavy metal digestion of food crops in human digestive system. The effects of sulfate and silicate concentration in hydroponic solution on cadmium (Cd) in physiologically based extraction test (PBET) extract and cadmium in cell wall were investigated using 22 factorial designs. Lettuce (Lactuca sativa L.) was cultivated in hydroponic solution with 5 µM cadmium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lfate and silicate. The effects of sulfate and silicate were evaluated by examining Cd in PBET extract (mg kg-1) and Cd extractability by PBET (%). Both sulfate and silicate reduced Cd extractability by PBET (%) in lettuce and the refined model is as follows: Cd extractability by PBET (%) = 61.33-4.61×Sulfate-3.198×Silicate. However, only the silicate decreased Cd in PBET extract (mg kg-1) significantly. Thus, the refined model is as follows: PBET extracted cadmium (mg kg-1) = 3.28-0.20×Silicate. Although the Sulfate could reduce Cd extractability by PBET, it was not effective to reduce PBET extracted cadmium. The changes in the Cd in PBET residue (mg kg-1) between the cell wall fraction (CW) and cytoplasm and soluble fraction (C+S) were measur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CW reduced indigested Cd and the refined model is as follows: indigested Cd (mg kg-1) = 1.14×CW.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basic data to predict heavy metal accumulation in human body with food crop digestion 중금속은 인체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유해물질 중 하나이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성장한 농작물에 중금속은 소화과정을 통해서 인체 내부로 흡수된다. 토양에서 농작물로 흡수되는 중금속의 생물 유효도는 오랜 시간 연구되어왔지만, 이 농작물 중의 중금속의 소화 흡수에 대해선 많이 연구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수경재배에서 sulfate와 silicate의 농도가 physiologically based extraction test (PBET)에 의하여 침출되는 cadmium (Cd)과 세포벽에 존재하는 Cd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22 factorial design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상추 (Lactuca sativa L.)는 5µM Cd과 sulfate와 silicate의 농도를 다르게 처리한 된 양액에서 재배하였다. PBET의 결과는 PBET에 의하여 추출된 Cd 농도 (mg kg-1)와 PBET에 의한 Cd 추출율 (%)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Sulfate와 silicate의 농도를 높이면 PBET에 의한 Cd 추출율은 낮아졌고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Cd extractability by PBET (%) = 61.33-4.61×Sulfate-3.198×Silicate. 반면 추출물 중 Cd 농도는 sulfate의 농도 변화에 의해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silicate의 농도 상승에 의해서만 감소하였으며 그에 따른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Cd extractability by PBET (%) = 61.33-4.61×Sulfate-3.198×Silicate. PBET의 잔여물에 남은 Cd의 농도에 미치는 cell wall fraction (CW)과 cytoplasm and soluble fraction (CS)에서의 Cd농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CS에서의 농도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CW에서의 농도 상승이 PBET 잔여물에 남은 Cd의 농도를 상승시켰으며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Cd in PBET residue (mg kg-1) = 1.14×CW.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자란 농작물 속 중금속이 인체로 소화되는 정도를 예측, 통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成人의 毛髮中 cadmium 含量에 關한 疫學的 硏究

        조남중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2 국내박사

        RANK : 247805

        174 Korean adults' (97 male and 77 female in Chonnam area) hair samples were measured for hair cadmium levels and analyzed with several epidemiological factor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verage hair cadmium levels were 1.23 ppm for male and 0.99 ppm for female. 2. Average hair cadmium levels were increased as a function of age, but moderate declines were observed over 40 years of age in both sex.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in hair cadmium level by smoking status in male. 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air cadmium level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5. Relationship between water source and hair cadmium level was not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