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PT의 實證分析과 曜日效果에 關한 硏究

        최정휴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7

        I. Introduction The Arbitage Pricing Model (APM), as a testable alternative to the well-known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is a very attractive asset pricing model that explains the cross-sectional variation in asset returns. A good deal of empirical evidence that there exist multiple factors in return generating processes led to the creation of the APM. On the back of Roll's critique on the testability of the CAPM, the APT has evloved as a more acceptable theory in empirical works. The APM is based on the K-factor return generating model, and requires no utility assumption beyond monotonicity and concavity. On the other side, The seasonality of common stock returns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on average, Monday's returns are negative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st of the week. This Monday effect can be seen as an evidence against the assumption of market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validity and superiority of the APM and the existence of the Monday effect by the APM in the Korean stock market. II. Theoretical Background 1. APT The APT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neoclassical assumption of a perfectly competitive and frictionless asset market and also assumes that investors believe homogeneously that the random returns on assets are governed by a K-factor generating model. The return generating model can be written as: R_i= E_i+b_i1 F₁+‥‥+b_ik F_k+ε_i where: E_i : the expected return on the i^th asset. F_j : the mean zero j^th common factor to the returns of all assets. b_i : the sensitivity of asset i's returns to the movements in the common factor F_j ε_i : unsystematic risk component, idiosyncratic to the i^th asset. Investors are expected to maximize the arbitrage profits from arbitrage transaction. In a well diversified economy with no arbitrage opportunity, the equilibrium expected returns on the i^th asset is given by: E_j=λ_0+λ₁b_i1 +‥‥+λ_kb_ik This pricing relationship is the central conclusion of the APT and the cornerstone of empirical testing. If there is a riskfree asset(or a zero beta), its returns will be λ_0. The other parameters, λ_0,……,λ_k, can be interpreted as a risk premium corresponding to the common factors F₁,……,F_k. 2. Monday Effect Using the APT, a testing of the Monday effect, an anomaly of return a associated with the seasonal influence, can be conducted as follows: S_jt = R_jt -R ̄_j where, S_jt : the exess rate of return of stock j on day of the week t R_jt : average rate of return of stock j on day of the week t R ̄_j : expected rate of return of stock j by APM III.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stock market 1. Data The sample consists of 100 common stocks which were listed and traded continuously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from 4 January 1987 to 26 December 1991(1,457 trading days). For each of the common stocks in the sample, daily returns were counted, including dividends and capital gains with appropriate adjustments for capital changes such as stock splits.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was chosen as a proxy for the market portfolio. 2. Methodology (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ao, and Scree-test we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and PA2 was used for an empirical study on APT. (2) To see how the data support the models,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 of cross-ectional regression of asset's expected returns on the factor loadings for the APT and the betas for the CAPM. (3) To compar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wo models, regression of residuals and the own variance were applied. (4) To test the existence of the Monday effect,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of excess rate of return on each stock for each day of the week by the APM was performed. 3. Empirical Results The empirical results are: (1)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was determined 5. this was chiefly based on the results of Scree-test. As the size of the factor analystic model increased, the number of relevant factors increased. Though the number of relevant factors depended on the size of the factor model, the number of general and important common factors didn't increase but kept constant. (2)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 intercept terms λ_0 are different across various asset groups, and across various time periods (day of the week). (3) The APT had more explanatory power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an the CAPM. (4) Monday's returns tended to be lower than the rest of the week, but the tendency was found only in bear market periods. IV. Conclusion The results here show that (1) The APM in the Korean stock market is valid. (2)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PM has superiority over that of the CAPM in the Korean stock market. (3) The Monday effect in the Korean stock market exists, but it does only in bear market periods. In this study, some limitations exist; (1) The sample size and the number of observations may not be large enough to test the validity of APT in the Korean stock market. (2) The various factor analysis methods and criteria for determinating the significant factors can make the process to determine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subjective. (3)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mon factors was not made. Despite the limitations above, this paper hopefully could provide the groundwork for further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PM to the Korean stock market.

      • GRC에서 APT攻擊의 效果的인 對應方案에 관한 硏究

        박정준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의 기하급수적인 확산과 더불어 IT환경의 빅뱅(big bang)현상은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되고, SNS의 활성화로 이어지면서 공격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매우 유리한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어서 그 위협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특히, 공격의 목적이 경제적이거나, 정치적인 특정 목표를 대상으로 조직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치밀한 전략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이른바 “지능형 지속 위협” (이후 APT)에 대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공격 기법들이 융합된 형태를 갖추면서 대응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따라 보안 업계는 그동안 다양한 솔루션들 예컨대, UTM, IPS, 웹방화벽, DDoS전용장비와 최근에 APT방어 솔루션에서 빅데이터(big data) 기반의 융합관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APT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PT공격은 제로데이(zero-day)악성코드, 스피어피싱(spear phishing) 등 더욱 진화된 형태로 이어지고 있어서, 기업의 이미지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국가 사회적인 문제로 그 심각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에는 APT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이 단편적인 기술적, 관리적인 측면에 의존하는 경향이 매우 크고, 공격의 특성에 따른 전반적인 보안 프레임웍을 수립하고 개선해 나가는 방식이 아닌, 보안 이슈가 발생할 때 마다 새로운 솔루션을 도입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수동적인 관리체계가 반복되고 있는데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PT공격 대응에 있어서 무엇이 문제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방안을 GRC에서 살펴보고, APT공격 대응 방안을 재정립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방어체계를 수립하고 보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APT 分讓價 自律化 이후 住宅 市場 活性化 方案에 關한 硏究

        손상준 建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housing sale price control policy had been modified into "upper-limited housing price" and "cost-linked system". But its main function was to enable to government to directly control the housing prices to foster middle-class people against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As the year-long recession of housing market has been more aggravated by IMF bail out program. So, one began to feel to feel liberalization of housing price, due to such problems rigid financing, shortage of financing, insolvent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recession of housing construction business, stable housing price, restructuring of housing markets, reduced conflict around supply of houses. After all, government has bothered to liberalize the housing sale price of apartment houses in an effort to activate the real estate market and relieve the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of their difficulties. As the government allowed the private housing constructors to determine the prices liberalizationly for the private houses constructed on in the capital area in 1998, the conventional housing supply program initiated by the government had to be changed on the full scale. With this liberalization of apartment sale prices, the medium-large size apartment to which high premiums were added under the past price control system can be priced at the market level. Here, the goals lie in control of speculative temporary demands, guaranty of construct's proper profits and promotion of construction market. As it is, the positive aspect of the liberalized housing sale prices may be the change from the past suppliers' market to consumers' market. On the other hands, as constructors can price their houses under no obligation of constructing a certain ratio of small size houses, they may well prefer the medium-large size apartments which will assure them of a greater profit, while supplying the small size apartments only within the scope of support from the National Housing Fund, being unfavorable to the low-income class or homeless poor people. The specific measures to activate the housing market by reinforcing the positive aspects of the fre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upply of housing sites in the capital area - in particular Seoul in order to help lower the price of the sites affecting the housing prices most. Second, the public agencies policy make for homeless poor people or low-income class.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tax and finanical incentives to increase the supply housing for poor homeless people, while controlling the construction of the medium-large size houses. Third, depriving the National Housing Fund and reducing of first-class bonds revenues would cause great difficulties to the private housing funds, it is needed to expand fiscal or financing for housing, reinstate the roles of the public sector to support the lower-income households, and rearrange the housing tax system and distribution market. Moreover, the construction companies in order to relieve of their increasing financial burden due to the post-constriction sales, the government is requested to divert some of the public funds or national bond management funds to finance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y are also requested to secure their fluidity gradually and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ock of the public land, reinforce its land supply and demand control functions Forth, the public agencies are requested to take initia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quasi-farmlands, are engaged in the distribution of real estate to establish an order of the real estate market. Fifth, the tax of housing transaction should be reduced, while that of ownership be increased to control the demands for medium-large size houses. It is hoped that the discussed above adopted to the changing real estate market would be useful to activation of the housing market.

      • 積極的 父母役割 訓練(APT) 集團 프로그램의 效果性에 관한 硏究

        서미경 湖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Active Parenting Today; APT) 이 긍정적인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변화와 생활만족도 향상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N시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면서 부모역할 훈련에 참가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삼았다. 실험집단은 훈련에 참가한 어머니 13명과 부모교육에 관심은 있으나 훈련에 참가하지 않은 15명을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고, 총 28명이 대상이 되었다, 최근에 국내에서 많이 보급된 Michael H. Popkin의 APT 훈련 프로그램을 대상자들에게 실행되었다. APT 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생활만족도, 행복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PT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어머니의 양육태도검사와 생활만족도, 행복도를 검사하였다. 총8회에 걸쳐 APT 훈련을 실시하였고, 훈련기간동안 성실하게 참가한 실험집단 13명과, 관심은 있으나 참석하지 않는 통제집단 15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훈련 전, 훈련 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의 분석은 APT 훈련시작 전에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유사성을 검토하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각각의 훈련 전, 훈련 후 검사점수 차이를 t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APT 훈련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유의 차를 t -검증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변화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훈련 전에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동일 선상에서 출발하였고, 실험 집단의 훈련 전, 후 어머니의 양육태도변화와 하위영역의 수용적 양육태도, 외향적 태도, 독립심 권장, 자율성 조장, 애정적 양육태도의 변화는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나, 통제 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둘째, 생활만족도에서는 실험집단의 훈련 전, 후 생활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개인 만족도, 가족 만족도, 사회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훈련 후 실험 집단에서 통제 집단보다 생활 만족도가 높아졌음은 APT 훈련이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셋째, 행복도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훈련 전의 행복도는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훈련 전, 후 행복도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훈련 후 행복도 에서는 약간 높아지고, 통제 집단의 행복도는 낮아졌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행복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APT 훈련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향상됨으로서 부모- 자녀 관계가 좋아지고 생활만족도가 높아질 때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만족한 생활로 발전 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 측면에서도, APT 훈련은 부모 - 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화목한 가족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s to prove what positive affects the Active Parenting Today (APT) would have on the positive mother‘s nurturing attitude and an improvement on the living satisfaction rate as it may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pare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xecuting the parent roles. As for a studying method, I chose my experimental subjects as the mot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arenting educational training while using the public libraries located in the 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of 13 mot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of 15 mot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parenting education yet has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tal of 28 study subjects. Michael H. Popkin‘s APT program was executed upon the subjects as it is already recently, widely, and domestically supplied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nurturing style, living satisfaction rate, and happiness rate of the mothers through APT program, such matters were tested throughout the mothers as in prior and post to the APT program. The APT program was experimented over total of 8 times while the data is finally analyzed by the 13 experimental group members who earnest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and the 15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members. As an analysis of the result, first, the homogeneity was tested in between the two groups as by examining +/- of the test scores as before the training. Second, the two groups'both prior and post training test scores were examined in comparison of +/- of which the result was analyzed in the t-Test as to see the validity in each groups. Third, the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of the prior and post training test scores were t-Test, and lastl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valid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following after the AP training. The outcome produced after the mentioned study process is as below: 1.. As for the mothers' nurturing style chang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ad both started on a same line in prior to the training, and before the train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mothers'nurturing style change, accommodative nurturing style of subordinate area, external attitude,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promotion of liberty, and change in affectionate nurturing style had increased quiet bit yet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much change at all. 2.. In the living satisfaction rate, the experimental group's prior and post living satisfaction rate showed a noticeable improvement for the its elements such as the personal, family, and social satisfaction. An increase of the living satisfaction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raining tells that the APT program has had affected the living satisfaction rate. 3. As for the happiness rate,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between the two groups in before the training.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an experimental group, it did not indicate much of the difference while the both groups' happiness rate had increased slightly after the training as with the rate decreasing a bit for the control group of where the difference i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hown. It proved to be that the program did not influence the increasing of the both groups' happiness rate. Observing such study result, the APT program had showed that the mothers' nurturing style was change in a positive way. In addition, their positive nurturing style increasing had caus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o improve while developing up to a satisfactory living in personal, family, and social living. Therefore, in a social welfare view, the APT program can be appointed as the useful program for the happy family living with a positive change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 적극적 부모역할(APT)훈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10대 자녀들을 중심으로

        박정자 梨花女子大學交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부모교육 훈련 프로그램으로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10대의 자녀를 위한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ctive Parenting of Teens: APT)'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의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춘천시 교육청에 속한 '학생 상담 봉사자'들 중 10대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60명과 통제집단 30명으로 나누어 최근에 국내에서 보급된 Popkin의 APT훈련을 실행하였다. APT훈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 또는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 의사소통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APT 훈련의 사전·사후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검사와, 부모용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녀에게는 자녀용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10회에 걸쳐서 APT훈련을 실시하였고, 본 훈련 기간 중 결석 및 지각, 조퇴를 한 번도 하지 않고 성실히 참가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PT훈련 이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둘째 APT훈련 이후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는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셋째 APT훈련 이후 자녀가'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는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넷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또한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와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사이에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PT훈련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어머니-자녀 의사 소통 정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가 높아지며,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가 높아질수록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은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된다고 해서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가 반드시 높아진다고 할 수는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ctive Parenting of Teens(AIT)' train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a desirable parent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n the increase of mother's self-esteem and on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other child communication. To conduct this study, both an experimental group 60 and a controled group of 30 mothers of teens, who are volunteer consultants attached to Chuncheon Educational Institution, were given Popkin's APT training which recently came into wide use in Korea. To find out the effects of APT training on both mothers' self-esteem and the improvement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experiments on mothers' self-esteem,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have bee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of 60 mothers received 10 sessions of APT training in all and we analysed the findings of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ed group composed of 30 mothers respectively who have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PT training. Second, the quality of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PT training. Third, the quality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FT training.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increase in mothers' self-esteem an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others' perception of self esteem increase.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mothers' self esteem an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t was not significant. From these findings,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APT training was effective on both mothers' self-esteem increas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n addition, as mothers' self-esteem increased,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mproved and as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mproved so di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elf-esteem increas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t. Even though mothers' self-esteem increased, we can not necessarily say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ncreased.

      • STEP과 APT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철학과 그 효용성에 관한 비교 연구

        이혜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Childhood is the period when the basis for human growth forms, and parents of children in this important period become the first teachers and affec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m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however, various kinds of families form and confusions and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are being caused. Non-systematic ways for raising children being disgorged from public media and books even make worse the confusions in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wo parent education programs of STEP and APT both of which combined and systematized the previous theories, to elucidate how the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democratic ways for education is applied in each program, to look into what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its effectiveness suggest on the modern parent educati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is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literatures of the original authors in the parts of theoretical background, purposes and goals, contents, methods, roles and functions of leaders, and assessment, and the effectiveness is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empirical studies on the parents of babyhood which are made in Korea. STEP(Systematic Training Effective Parenting) is a combined and stepwise parent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D. Dinkmeyer and G. D. Mckay. APT(Active Parenting Today), being widely used recently, is made by M. H. Popkin based on theory of democratic children raising and various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common essence of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and STEP.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theories of A. Adler and R. Dreikurs, the essence of STEP and APT is democratic ways for education laying emphasis on the feeling of love and the mutual respe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common goal of both programs is improvement of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democratic ways for education. The expected models of parents are responsible and active ones who afford opportunities to children, help them grow sense of responsibility, and respect their children. They also try to understand the motives of children's faulty actions, guide children's behaviors by letting them experience the logical results instead of punishing them, and help children obtain sense of self-worth as human beings by encouraging them. STEP and APT have programs common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have common core themes and contents. The difference between STEP and APT is how they present : STEP gives detailed descriptions while APT gives essential summaries utilizing tables and figures. In the aspects of education methods to help understand diverse situations of education, STEP mainly uses audio tapes while also utilizing various media like videos, charts and tables, and APT highlights the advantages of videos and runs educations following the contents of videos.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roles of teachers and in the environments of education along the education media. In the aspect of assessment, STEP starts parent education by the evaluations and discussions on the previous homeworks, while APT has time slots for checking the homeworks in the middle of education program. The analyses based on empirical studies, with parents of young children being the target of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TEP and APT containing the above education philosophies show that the most continuously verified effect is the positive change in education attitudes. Parents, thanks to the programs, discarded formal authorities which they sticked to previously and started to think their children have independent personalities. They also started to have self-confidences and patience in educating their children. These changes in parents affected positively the behaviors of children, and naturally the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resolved.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ples were improved as the conflicts between them caused by issues on educating children resolved. The changes in home affected positively the kindergarten and also improved socialities of the children. Although STEP and APT are adopted from abroad, many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showed that it is positive to apply them in Korea. Application of these two programs in Korea laid the groundwork for activation of systematic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brought the opportunities for the improvement in relations between parents-and-parents, teachers-and-parents, teachers-and-young children as well as parents-and-young children. By making it possible to be trained in STEP and APT at kindergarten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agencies, networking with the local communities is also benefited. In conclusion, the following items are suggested from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two parent education programs of STEP and APT :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ong-term follow-up programs to maintain the post-effects of parent educa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fathers to participate in educating children instead of focusing on education by the mothers only,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fathers,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se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perform further studies on some aspects of STEP such as education stress,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sense of effectiveness in education and those of APT such as social behaviors,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Fourth, new parent-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for the environments of Korea. It is also expected to develop professional assessment criteria for children of young ages. 유아기는 인간성장의 기반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이러한 중요한 시기에 부모는 자녀에게 있어 최초의 교사로서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특성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생겨나고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혼란과 어려움이 생기고 있다. 대중매체와 서적에서 쏟아지는 체계성 없는 자녀 양육방법은 오히려 부모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이론을 종합하여 체계화한 STEP과 APT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비교함으로써 민주적인 양육방식을 기초로 한 교육철학이 각각의 프로그램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교육철학과 그 효용성이 현대부모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육철학은 이론적 배경, 목적 및 목표, 내용, 방법, 지도자의 임무 및 역할, 평가의 세부영역으로 나누어 원작자의 지도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효용성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의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STEP은 ‘Systematic Training Effective Parenting(효율적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체계적 훈련)’으로 플로리다 주의 의사소통 및 동기 유발 훈련 연구소의 Dinkmeyer와 아리조나 대학의 Mckay가 체계화한 종합적이고 단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다. APT는 ‘Active Parenting Today(현대의 적극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으로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와 STEP의 중핵적인 요소, 즉 민주적 자녀양육이론과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에 근거하여 Popkin이 제작한 프로그램으로 최근 들어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STEP과 APT는 Adler와 Dreikurs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부모와 자녀간의 사랑의 감정과 존중의 태도가 중요시되는 민주적인 양육방식을 기초로 한다. 두 프로그램의 목표는 민주적인 양육방식을 통한 자녀와의 관계개선이다. 추구하는 부모 모델은 각각 책임 있는 부모와 적극적인 부모로서 자녀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고 책임감을 기르도록 하고, 자녀를 존중한다. 또한 아동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동기를 이해하고 처벌 대신 사랑과 논리적인 결과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행동을 지도하도록 하고 격려를 통해 아동에게 인간으로서의 가치감을 가지게 한다. STEP과 APT는 이러한 공통적인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각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는데 핵심적인 주제와 내용이 공통적이다. 다만, 이를 어떠한 맥락에서 제시하는가에 차이를 보이는데 STEP이 서술적, 구체적이라면 APT는 도표와 그림을 사용하여 개괄적, 요약적이다. 교육방법 면에서 여러 가지 양육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매체로서 STEP은 비디오와 오디오, 차트, 도표 등의 다양한 자료를 융통성 있게 사용하되 주로 오디오 테이프를 통하여 여러 가지 양육 상황에 대한 도움을 주고, APT는 비디오의 장점을 부각하여 비디오의 내용에 따라 교육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교수매체에 따라 교사의 역할, 교육환경에도 차이가 있다. 평가 면에서 STEP은 지난 주 과제에 대한 평가와 토의로 부모교육을 시작하는 반면 APT는 교육시간 중간에 과제를 점검하는 시간이 있다. 이러한 교육철학이 포함된 STEP과 APT가 어떠한 효용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가장 꾸준하게 검증된 효과는 양육태도의 긍정적인 변화이다. 부모들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집해오던 권위의식을 포기하게 되었으며 자녀를 동등한 인격체로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자녀양육에 대하여 자신감과 인내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부모의 변화는 자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자녀와의 갈등이 해소되었다. 나아가 자녀양육으로 인한 부부갈등도 해소되어 부부관계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가정에서의 변화는 유치원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성 또한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두 프로그램은 외국에서 도입되었으나 효용성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한국적 적용에 긍정적임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체계가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의 기초가 마련되었고 부모와 유아 간의 관계 향상 뿐 아니라 부모와 부모, 교사와 부모,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 향상의 계기도 마련하였다. 각 프로그램의 과정을 유치원, 평생교육프로그램, 상담기관 등에서도 훈련을 받아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연계에도 공헌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STEP과 APT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부모교육의 사후효과들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후속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어머니 위주의 부모교육에서 벗어나 아버지의 참여를 권장하고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방안과 효과검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STEP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양육 효능감에 대한 연구와 APT의 사회적 행동,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유아시기의 특성과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는 유아기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적인 평가척도의 개 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효율적인 APT 대응 시스템 운영 모델

        한은혜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진보하는 IT의 혁명적인 기술 발전에 따라 사이버 보안에 대한 위협과 보안 사고는 함께 증가하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 큰 규모의 APT 보안 사고가 국내와 해외에서 다수 발생 하였다. 특히 보안 사고에 대한 피해 사실을 해당 조직 내부에서 스스로 알기 전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알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빅데이터, IoT 등의 IT 기술 발전과 함께 수집되는 민감한 데이터의 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고 있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주요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등 여러 보안 대책을 세워 이러한 위협으로부터 보호 대책을 세우지만 극도로 지능화된 APT의 경우 내부 침투 사실을 인지하는 것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APT의 보안위협은 소규모, 대규모 기업 및 공공 기관을 포함하여 전 업계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PT에 대한 대응전략을 사이버킬체인 기반으로 연구하면서 그 중 가장 큰 취약점인 SSL에 대한 현황과 그 이외의 취약점에 대한 대응 대책을 연구하고 운영인력과 운영 조직의 업무 환경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APT 대응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보안관제 환경에서의 APT 공격에 대한 대응모델 연구

        장창욱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APT attack groups targeting domestic companies and establishes the APT attack response process based on the cyber response matrix model, and how to respond, analyze and take action in case of infringement. This study, various response models for APT attacks in the security operation center environment were studied, and finally, an F3EAD extension model combining the merits of each response model was presented and studied. 인터넷, 사물인터넷 및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더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공격은 대부분 금전적 이윤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주로 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악성코드를 사용하여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APT 공격 그룹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사이버 대응 매트릭스 모델을 바탕으로 APT 공격 대응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침해발생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무엇을 분석하고 조치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 설정 및 기준수립 등을 통해서 기업 환경에서의 APT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하고자 합니다.

      • 교사들에게 적용한 적극적 부모역할 프로그램(A.P.T)이 학급운영 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희경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논문은 APT 프로그램이 교사에게 적용 실시되어졌을 때 학급을 운영하는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면접에 의한 경험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APT 부모 역할 프로그램을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수집한 면담 녹취록, 소감문, 교육 기록서를 분석했을 때 교사가 학급을 운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APT 적극적 부모 역할 훈련 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급운영 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면 프로그램의 훈련 내용에 따라 나타나는 구체적인 행동과 태도의 변화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학급운영이론에서 제시하는 교사의 역할과 APT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부모의 역할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렇게 교사와 부모의 역할은 크게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APT 프로그램을 교사에게 실시하여 부모역할이 아닌 교사역할의 능력을 신장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PT프로그램 훈련에 참가했던 서울지역 중등학교 교사 28명중 면담에 응한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면접을 주 연구방법으로 하여, 면담 결과를 녹취하여 기록하였고 참가자의 내적인 변화를 알 수 있는 자료인 교육 후의 소감문, 그리고 프로그램 실시 당시의 기록서와 평가서를 토대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APT 프로그램을 교사에게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학급운영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극적 부모역할 프로그램(Active Parenting Today)이 교사 역할(학급 운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참가교사들은 자신의 학급운영 태도가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변했고, 학생을 존중하는 자세로 학급을 운영하는 태도를 지니게 되었다. 둘째, 교사의 역할과 학급운영에 대한 가치를 찾고 교육자로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점이다.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강점을 찾고, 자신의 교육적 역량에 대한 의지와 다짐을 하게 된 것에 대한 의의가 매우 컸다. 셋째, 교사들은 학생들을 이해하게 되었다. 발달단계나 청소년의 특징, 행동 목적에 대해 알게 되어 학생 지도 방법이 개선되었다. 넷째, 학급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얻게 되어 학생들과의 관계 개선이나 학급운영, 학생생활지도에 변화가 생겼다. 다섯째, APT프로그램의 참가하기 전과 후의 태도 변화로 주목할 만한 것으로 학생과 적극적 의사소통의 방법과 의미를 알게 되어 면담에 임하는 자세가 크게 달라졌다는 것이다. 여섯째, 프로그램을 참가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교육관, 교직관에 대한 고민을 하고 그 과정에서 교사가 역할을 다해야 하는 사명감을 찾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참가자들은 다양한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동료 교사들에게 추천할 것과 추수 지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까지 제시하는 등 적극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교사에게 적용했을 때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ctive Parenting Today (APt)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teachers’ ability on class management when APT program is applied to them.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alitative analysis on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whether APT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teachers’ class managing ability when it is applied to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changes on teachers’ actions and attitude with each training content of the program if the APT program is effective to them.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roles of teachers from the theory of class management and those of parents from APT. Therefore, APT was applied to teachers to improve the ability of teachers’ roles as it was applied to improve ability of parents’ roles since there is a great correlation between them. APT Program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parent training programs because the experience and the practice through video trainings and various activities in the program are effective on role training.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thirteen teachers among twenty eight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South Korea who participated in APT program. The main method of the study was the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participant's essays, records, and evaluations were qualitatively studied to determine participants’ internal changes. In conclusion, APT program on teachers was effective in terms of class management ability developmen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APT program applied to teachers. First, the attitude of participants on class management has changed democraticaly and autonomously. They started to manage their class with the respect on their students. Second, the teachers found the value of teachers’ roles and the class management and they became proud of themselves as educators. It is meaningful that they found their strength by themselves as educators. Third, the teachers began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more. They learned stages of development, aspects of adolescence and purpose of actions. Therefore, their ways of managing students have been. Forth, they gained various knowledges and skills for class manageme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class management, and student guidances were changed. Fifth, the teachers' attitudes on interview with students were changed after they participated in APT program because they recognized meanings and ways of active communications with students. Sixth, they had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their views of education and roles of educato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y made commitments to their roles as educators. The participants reported various results from the program. They would recommend the program to their colleague teachers and suggested needs of development in the follow-up service program. In conclusion, they evaluated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abil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