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1세기 한국 사회가 요청하는 사제의 역할에 대한 고찰

        박혁호 부산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격변의 시대', '예측 불허의 시기'라고 하는 21세기의 과학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의 형태를 새롭게 바꿔놓았고,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시대에 뒤쳐져서 살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정보화, 세계화, 다원화로 대변되는 21세기 사회 안에서 종교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가톨릭교회도 변화의 물결에서 제외될 수는 없다. 그리고 이런 급격한 변화의 기운이 거스를 수 없는 것이라면 변화에 좀 더 현명하게 대처하는 노력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만약 교회가 변화의 추세를 파악하지 못하고, 또 미래에 대한 연구와 대안적 미래 제시에 소홀히 한다면 세계사의 흐름에 뒤쳐지고 말 것이며, 그 존립의 위기마저 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가톨릭교회도 변화에 적응하고 또 사회에 하느님 나라가 완성될 수 있도록 사회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회 안에서 핵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사제가 먼저 시대의 상황을 정확히 읽고 이해하여 그에 맞게 적응해나가야 할 것이다. 격변의 시대가 될 21세기는 지금까지의 가치관들의 붕괴되고, 합리주의와 개인주의적 사고가 팽배해질 것이며, 물질 만능의 문화는 더욱 세속회의 추구를 부채질 할 것이다. 이러한 위기의 시대에 직면한 사제들은 결코 변할 수 없는 복음을 세상에 전해야 하고, 성부의 뜻을 받들며 성령의 도움을 힘입고 그리스도 예수님을 대신하여 역사와 사회 속에서 구원사업을 계승, 구현해야 하는 역할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위기의 시대이며, 급변의 미래인 21세기의 한국 사회를 전망해보고, 이 미래를 잘 대처해 나갈 수 있기 위해 교회의 핵심인 사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주제의 성격상 교회 안에서의 사제의 역할보다는 21세기라는 새로운 시대적 상황 안에서 한국 사회가 사제들에게 요청하는 대 사회적 역할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 논문의 본문은 크게 4장으로 나뉘어 진다. 먼저 1장에서는 21세기의 한국의 미래를 위한 전망을 해보았는데, 21세기 과학과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인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세계화 흐름 속에 한국 사회는 다양한 변화의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계화 경제라는 거창한 이름 뒤에서 강자에게는 풍요가 약자에게는 끝없는 빈곤의 악순환 만이 있는 철저한 약육강식의 논리가 숨어있어 한국 사회 안에서 다양한 빈곤, 소외, 인권 문제를 유발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혁명은 인간의 정신적 가치를 퇴보하게 만들어 인간성 상실과 소외, 그리고 가치관 혼란, 윤리의식 부재 등의 문제들을 유발시킬 것이다. 여기에다 통일 문제와 환경문제, 가정 공동체의 붕괴,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의 증가 등 다양한 문제의 발생이 예견되고 있다. 2장에서는 21세기 한국 사회가 요청하는 사제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교회가 이 땅에 발을 내디디면서부터 지금까지 한국 사회 안에서 어떤 역할들을 해왔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았는데, 실제 한국의 역사 안에서도 비록 부정적인 부분도 많이 있었지만 많은 사제들이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위해 시대의 요구들을 읽어내고 그 요구들을 위해 투신 해왔던 것이다. 특히 가난하고 고통받고 소외된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 인권문제, 그리고 정의 등에서 많은 활동들을 해왔음을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사제직에 대한 신학적 고찰로서, 사제가 누구이고, 무엇을 해야 하며, 사회 안에서 어떤 역하들을 해야 할 것인지를 고찰해 보았는데, 사제는 예수님의 사명을 계승하는 직분으로서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위해 세상 안에서 주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세상을 성화시키며, 세상에 대해서 봉사하여야 하며, 하느님 나라 완성에 저해되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제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사명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은 21세기 한국 사회가 요청하는 사제의 역할로써, 21세기 한국 사회의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사제의 역할을 사제직의 3가지 직분인 예언직, 사제직, 왕직의 차원으로 나눠서 연구해 보았다. 사제는 소외와 지속적인 빈곤, 심각한 인권문제를 야기시킬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맞서 가톨릭 경제윤리를 재정립하고, 교육과 홍보, 그리고 NGO와의 연대 등을 통해 공동선을 위한 행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며, 도덕적 양심의 마비, 인간 생명의 근본 가치의 경시, 순간적 만족과 개인의 편의추구, '존재'보다 '소유'의 중시와 같은 세속주의에서 유래된 죽음의 문화에 반대하여, 복음적 가치 제시를 통한 생명문화 창조 운동을 전개해 나가야 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환경오염과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태계 파괴에 맞서 여러 단체와 연대하여 생태계를 파괴 정책과 개발 계획들에 대한 감시와 반대운동의 전개해야 할 것이며, 그리스도교 고유의 환경 영성 개발, 의식 개혁 작업, 체계적인 환경교육, 근검절약 문화 보급을 위해서도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가 생명 윤리 위원회와 같은 법적 기구화의 설립과 교육, 다양한 논의들을 통해 생명과학에 대한 사회적 통제와 인간 존엄성 존중이라는 윤리성 확립을 위해서 노력함으로써 가톨릭 생명 윤리를 세상에 전파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제직 수행의 차원에서는 화해 일치, 성화의 중개자로서, 한층 가능성 높은 문제로 전망되는 통일을 위해 남북한 서로간의 이해와 민족 공동체 의식함양, 그리고 공존의식 함양을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또한 사회 구조의 변화와 가족의 기능약화로 인한 가정 문제해결을 위해, 가정사목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달과 풍부한 물질문명의 부작용으로 소외와 영적 공허감을 체험하여 영성적 차원의 열망으로 가득하게 될 사람들을 위해 사제는 교회의 오랜 전통이었으며, 위대한 영성의 전통인 묵상, 관상 기도를 한국인의 심성과 시대에 맞고 비그리스도인들도 체험할 수 있도록 변화, 적응 시키는 노력과 함께 이런 기도의 전통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들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양산될 인정받고 싶은 욕구, 공동체에 소속되고 싶은 욕구를 가진 "고독한 군중"을 위해 나눔과 섬김이 영성을 통해 심화된 기초공동체를 통한 형제, 자매적 공동체를 가꾸어 소외되고 고독한 이들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왕직 수행의 차원에서 사제는 자본의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있어 정보의 자본화로 인한, 자본 분배와 불평등과 심각한 빈부 격차의 심화로 늘어날 사회적, 경제적 소외 계층들을 위해, 적극적 관심, 분배 정의를 위한 다각적 노력과 사회 복지 활동들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 안에서 역할 상실에 따른 무력감, 고독감과 소외감, 경제적 궁핍 등을 통한 사회적, 심리적인 문제들이 발생할 노인들을 위해, 사제는 노인들을 공경하는 풍토 조성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과 노년을 잘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어려운 노인들을 위한 복지시설과 재가 복지 서비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21세기 정보 소유로 인해 심화될 부의 편중을 막기 위해 정보 소외 계층에 대한 인터넷 교육과 활용을 통해 정보화 대열에 합류시키는 노력과 함께 올바른 인터넷 문화 정립을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21세기의 국제화 시대, 지구촌 시대에 있어, 우리의 고유한 문화나 전통이 외래문화에 의해 잠식되어 문화적으로 종속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우리 문화와 전통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관심을 강화하는 교육과 좋은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연구와 실천도 아울러 해나가야 할 것임을 제시해 보았다. 이상이 본 논문의 주요 내용들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21세기 한국 사회의 모든 변화를 정확하게 전망해서 그에 대한 사제들의 역할들을 모두 제시한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 언급한 것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사실 21세기 급변하는 한국 사회가 어떻게 변화 될지 그것은 아무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그러기에 한국 사회가 요청하는 사제의 역할들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제들은 깨어서 미래 한국 사회를 끊임없이 예측하고, 복음적 시각으로 그 예측들을 분석하고 자신의 역할들을 계속 설정해 나가야 한다. 그러할 때 사제는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대로 사회를 복음화 시키고, 이 땅에 하느님 나라를 오게 하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21세기 예극(豫剧:중국 하남성의 지방 오페라)의 혁신에 관한 연구

        사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예극은 중국에서 가장 큰 지방극의 종류로 중국 5대 희곡극 중 하나이다.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각 지방의 전통극 중 경극(京劇) 다음으로 영향력이 크다. 또한, 중국에서 전문 희곡 단체와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지방극이기도 하다. 2006년 5월 20일 중국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최초로 중국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21세기는 중국의 발전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시대이다.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 이래 시진핑(習近平) 총서기는 문화자신(文化自信)이 지닌 중요한 의미를 거듭 강조했다. 이러한 참신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중국의 많은 전통 연극, 희곡 등의 민족 전통 예술은 유례없는 지위를 얻었고 더욱 선명한 민족 예술 전승과 "문화 자각"의 의미를 부여받았다. 예술 종사자들의 모든 활동은 신성한 역사적, 문화적 사명감을 부여받아 민족 전통 예술의 발전을 직접적으로 촉진하였다. 21세기에 창의적 발전으로 거듭난 신예극과 현대 예극은 내포하는 표현 방식 및 구체적 형태와 스타일에서 기존 예극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청나라 초기 '허난 딱따기극'라고 불린 전통 예극에서 처음 형성되어 문학, 성악, 기악, 미술, 무용, 잡기, 무술 등을 아우르는 종합 무대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21세기에 새로운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신예극은 전통 예극의 표현 기능을 계승한 뒤 웹사이트, 숏영상, 라이브 방송, 위챗방, 웨이보를 포함하는 인터넷으로 발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전파 모델을 갖추고 있다. 특히 뉴미디어의 전승 및 전파의 기능적 잠재력을 발굴하여 신예극의 빠른 전파 및 더 넓은 범위로의 전파를 보장한다. 이러한 뉴미디어 환경에서 사람들은 다원 문화주의의 충격과 자극을 받아 심미관이 끊임없이 변화하였고, 다원 문화의 흡수는 예극 문화 예술 발전의 새로운 모델이 되었다. 또한, 정보와 과학 기술이라는 배경 속에서 문화 전파의 방식과 수단도 더욱 다양해졌다. 예극은 21세기의 사회 발전 양상과 사회 발전의 필요성을 모두 포착했다. 혁신과 변혁을 추구하고 시대에 순응하며 관객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예극 배우부터 전파자까지 모두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다양하고 다채롭게 변화시켰다. 시장 발전의 규칙을 이해하고 파악하여 전통적인 전파 루트와 당대의 뉴미디어를 결합하였다. 해외에서의 예극 공연을 시도하고 다른 지역의 음악 형식과 발전 경험을 과감히 참고해 다방면으로 활용하며 예극 음악을 점점 더 많은 곳으로 가져갔다. 또한, 공연 형식과 내용을 개선해 예극의 문화 정수와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였다. 예극을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에 알리고 세계 사람들에게 환영받는 희곡 문화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논문은 21세기 이후 20년간 시대 맥락에 입각하여 중국 전통 예극 본체의 예술 특징과 깊은 문화적 함의를 정리하고 예극 노래의 전반적 스타일과 대중적 감상을 위한 예술 형식의 정신과 기질적 잠재력을 발굴하여 당대 문화 언어 환경에서 예극이 발전해야 할 방향을 정리하였다. 현대 예극과 전통 예극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심리, 본체의 특징, 문화적 함의 및 발전 패러다임 등을 수용하는 측면에서 독창적이며 21세기 사회, 역사, 문화, 예술적 언어 환경에 적합한 참신한 예술 형태이다. 각 지방 희곡 음률의 활용, 민요 요소의 융합, 기악 악단의 변동, 종류별 악기의 증감, 표현 내용의 변화 등은 이러한 전통 예술의 발전을 둘러싸고 끊임없이 에너지와 동력을 제공하였다. 21세기 들어 20년간 예극 예술의 발전은 과거와는 다른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참신한 콘텐츠가 대거 등장하였고 정보를 받아들이는 경로나 방식에도 새로운 배경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강한 시대적 특징을 지닌다. 오늘날 21세기처럼 인류의 다문화 교류가 이처럼 빈번히 일어난 적은 없었다. 또 이처럼 넓은 영역에서 이와 같이 심도 있게 이루어진 적도 없었다. 세계 경제가 발전하고 중국이 역내 대국에서 세계 대국으로, 세계 무대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세계와의 교류가 점점 밀접해졌다. 이는 중국이 세계를 알아야 할 뿐 아니라 세계도 중국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희곡은 중국의 우수한 전통문화 중 하나이며 중국의 풍부한 문화 소양의 상징이다. 예극은 경극, 황매희(黃梅劇) 등 전통 연극과 함께 중국 전통 예술의 전승을 뒷받침하는 흔치 않은 문화 자산이자 세계 문화 자산이다. 예극은 해외에서 영향력 있고 중국 문화와 예술적 특징을 대표할 수 있는 또 다른 장르가 되었다. 본문에서는 예극이 국내외에 미치는 강한 영향력의 발전 모델과 현대 예극을 더욱 잘 전파하는 방법, 국내외 문화 교류 전개의 새로운 방향 모색, 그로 인한 현대 예극 예술의 교류 수준 제고와 국제로의 전파 범위 확대에 관해 논술하였다. 예극이 해외에서의 발전을 통해 세계 각국, 각종 예술과 우호적인 교류 관계를 맺으면서 매우 효율적인 매개체가 되었다. 또한, 예극 문화의 해외 전파는 해외 연극에 새로운 시사점과 영감을 주어 해외 연극의 발전 촉진과 희곡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Henan Opera, the largest local opera in China and one of the five Chinese opera, has a wide influence which is only second to Beijing Opera, ranking first among local traditional operas in China and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rofessional opera groups and practitioners in China. Approved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 Henan opera was included in the first batch of Chin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May 20, 2006. The 21st century is a wholly new age for the development of China. Since the 18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President Xi Jinping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self-confidence.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era, many traditional Chinese art like traditional dramas as well as operas have gained unprecedented status and have been endowed with more disinctive national art inheritance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cultural consciousness” Besides, all activities of art workers are given a sacred sense of historical and cultural mission which directl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national art. The new Henan Opera and modern Henan Opera that have undergone innovative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traditional Henan Opera in terms of connotation expression,specific form and style. The traditional Henan Opera, which was first formed in the early years of the Qing Dynasty and called “Henan Bangzi Opera” and integrating literature, vocal music, instrumental music, art, dance, acrobatics and martial arts, is a comprehensive stage art. This characteristic has a new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On the basis of inhereting the expressive functions of traditional Henan Opera, the new Henan Opera has developed into the network, including the websites, short videos, live broadcasts, Wechat groups, Weibo and other more efficient and diverse communication modes, especially the discovery of the potential of the new media’s inheretance and dissemination funcions provides guarantee condition for the rapid dissemination and wider dissemination of the new Henan Opera. In this new media environment, people are impacted and stimulated by multiculturalism, and their aesthetic values are constantly changing. The eclecticism of multiculturalism has become a new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Henan Opera culture and art. And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ways and means of cultural transmission are also more diverse. Henan Opera captures the social development situation and social development needs in the 21st century.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seeking innovation and reform, conforming to the times, and satisfying the audience's aesthetic needs, both actors and communicators of Henan Opera have achieved the goal of making this traditional art form diverse and colorful. Henan Opera performers and disseminators try to perform Henan Opera abroad, boldly learn from the music forms and development experience of other regions, learn from various sources, bring Henan Opera music to more and more places, improve the performance form and content, and give full play to the cultural essence and value of Henan Opera. Efforts are made to spread Henan Opera throughout China and even the world, so that it can develop into a opera culture that is welcom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Based on the context of the 20 years since the 21st century, this thesis sorts out the ontological artistic features and deep cultural conno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Henan Opera, explores the overall style of Henan Opera singing and the potential of the spirit and temperament of the art form for both refined and popular appreciation, and organizes the development ideas of Henan Opera i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odern Henan Opera and traditional Henan Opera. For example, both of them are unique in accepting psychology, ontological characteristics, cultural connotation and development paradigm. Henan Opera is a brand-new art form that adapts to the social,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context of the 21st century. Whether it is the use of local opera tones, the integration of folk song elements, or the change of instrumental band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musical instrument types, and the change of expression content, all of them provide a steady stream of energy and motiv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traditional art. In the 20 years since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Henan Opera has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A large number of novel contents have appeared, and the channels and ways of people receiving information have appeared many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the new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re very distinct. Huma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as never been so frequent, and involves such a broad field and reaches such a depth as it does today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economy and China's transition from a regional power to a world power, China has gradually moved to the center of the world stage, and China's exchanges with the world have become more and more close. This is not only because China needs to understand the world, but the world also needs to understand China. Opera is one of China's outstanding traditional cultures and a symbol of China's rich cultural heritage. As a rare cultural wealth and a world cultural wealth, Henan Opera, together with Peking Opera, Huangmei Opera and other traditional dramas, supports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Chinese art. Henan Opera once became another type of drama with great influence overseas, which can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lture and art.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model of Henan Opera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at home and abroad and the method of better dissemination of modern Henan Opera. 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Henan Opera overseas, it has become an efficient carrier for establishing friendly exchanges with all countries and various arts in the world. The overseas dissemination of Henan Opera culture brings new inspiration to overseas dramas,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overseas dramas, and accelerates the globalization of operas.

      •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이봉덕 淑明女子大學校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It is anticipated that, in the 21st century, aesthetic sense will be altered radicall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value systems and ethical standards as the society as a whole is changing into industrial, informational and knowledge-based entity.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which marks the transitional period, new aesthetic sense and identities have already emerged and they extended influence to society, arts and fashion trends. Accordingly signs of changes in aesthetic paradigms are being observed in these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st century and to verify them. It is expected that aesthetic analytical tools and investigative foundations to identify changing fashion trend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tudy.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s together. The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detect fashion form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fashion of the 21st century. Through this method, changes in fashi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21st transitional period based o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ism, avant-garde, post-modernism and 21st century new paradigm. With this analys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period were established. The aim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to verify content validity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to probe 800 photos of recent Pr t-a-Porter Collections for two years. For the theoretical basis, macro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s were screened based on the paradigm shifts theory of Thomas Kuhn. After this procedure, consecutive changes of modernism fashion, avant-garde fashion, post-modernism fashion and the New Millenium fashion were thoroughly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rough this investigation, paradigmatic changes in fash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21st century transitional period were determined. After this analysis, content validity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verified through quantitative method based upo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J. B. Paoletti. Distribution. Changing trends of the changes were also examined. First,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mai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21st transitional period were hybrid, thechnicism, neo-retro, new-naturalism, and multi-nationalism. Peculiar features of each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orizontal diversity is important in hybrid. It accepts multiplicity instead of a fixed value system. Every aspect of this characteristics overlaps each other rather than pursuing independence. Fashion shows cross-dressing of man's and woman's dress as well as mixing of high fashion and street styles. 2. The purpose of technicism is to provide convenience to human being through the co-existence with technical civilization. In fashion, multiple function clothes and future-oriented clothes take a balance just as the humanity and technology maintain a balance together. 3. In neo-retro, main features take historical elements in order to satisfy human desires and historical satire. Fashion accepts the past fashion styles, mix-up of present styles and uncivilized elements into the clothes making. 4. New-naturalism strives to recover humanity and nature with the desire of pursuing natural purity and spiritual richness. Fashion accepts natural elements and emphasis of human body. 5. Multi-nationalism emphasizes the phenomenon of each culture by giving influence to other cultures through interaction and reinforcing its own cultural identity. Fashion accepts non-western features and elements of other nations. Secondly, the subsequent quantitativ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It was found that 85% of the clothes analyzed showed these five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suppor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qualitative methods. 2.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s, the new-naturalism shows the most significant trend and neo-retro was also found as one of the leading features along with the new-naturalism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frequency of technicism is less than expected. 3.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ash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shion designers and seasonal changes show that new-naturalism, neo-retro and hybrid spread relatively evenly among each designer. Technicism shows significant variance among designers. Even though these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clothes made by the designers, there is seasonal differences. In spring and summer, new-naturalism takes a strong position whereas in fall and winter, neo-retro and new-naturalism appear at about the same rate. New-naturalism has constant and overall appearance, but it shows a seasonal fluctuation and this trend dwindles with the elapse of time. The quantitative study confirmed that the five characteristics analyzed by the qualitative study explain 85% of the whole clothes analyzed. This result suppor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hion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fashion designers and the elapse of time. In conclusion, the transitional fashion in the 21st century follows the post-modern trends with diversity and indeterminacy as the basis of changes. It was revealed that past-oriented and natural trends emerged simultaneously. This means that the post-modernism paradigm continues to exist at the present time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ost-modernism are becoming more and more significant. This trend can be interpreted as appearance of the new humanistic aesthetic paradigms that pursue nature and purity as opposed to the technology-driven development and civilization. The post-modernism based on anti-aesthetic pursuit with the denial of reasons and rationality has been destroying the traditional design concept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influence will continue to exert persistent and dominant influence in the future fashion industry. 21세기의 사회는 고도산업사회, 정보화사회, 지식사회로서 새로운 가치관과 윤리관이 도 입됨에 따라 미의식도 급격히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전환기라 할 수 있는 현시점에도 벌써 새로운 미의식과 정체성이 나타나, 사회·문화·예술, 그리고 패션에까지 영향을 미침 으로써 패션계에서는 이미 미학적 패러다임의 변화의 징후가 표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패션의 미학적 분석 틀과 패션의 변화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 토대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정성분석법은 21세기 전환기 패 션의 형성과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였는데,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포스트모더니 즘, 21세기 뉴 패러다임의 발생과 전개를 중심으로 패션의 미학 특성 변화를 고찰하고, 패션 문화 현상에서 나타난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정량분석법은 정성 분석을 통해 파악된 내용의 타당성을 다시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방법으로는 2000년 봄/여름부터 2001년 가을/겨울까지 2년간의 프레타 포르테 컬렉션 패션 사진 800장을 분석 하는 내용분석법을 택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토마스 쿤(Thomas Kuhn)의 '패러다임 변환(paradigm shifts)'이론을 준거로 삼아 먼저 사회와 문화의 거시적 변화를 살펴본 후, 모더니즘 패션, 아방가르드 패 션, 포스트모더니즘 패션, 뉴 밀레니엄 패션의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패션의 패러 다임의 변화를 파악하고,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파올레티 (J. B. Paoletti)의 내용분석 방법을 응용한 정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정성분석에서 파악된 내 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그 분포와 변동추이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성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으로 혼성(hybrid), 기술지상주의(technicism), 신 복고(neo-retro), 신 자연주의(new-natu -ralism), 다 민족주의 (multi-nationalism)의 다섯 가지가 도출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혼성은 수평적인 다양성을 중시하고 굳어진 가치체계 대신 다양성을 수용하며 모든 영 역이 독자성을 추구하기 보다 상호 침투하는 특성을 보인다. 패션은 남성복식과 여성복식의 혼용, 하이 패션과 스트리트 스타일의 혼재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2. 기술지상주의에 있어서 기술의 목적은 기계문명과의 공존을 통해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패션은 복합기능 복식, 미래지향의 복식 등 인간과 기술이 상호작용과 조 화를 이루고 있다. 3. 신 복고적 특성은 과거 역사적 요소 도입에 의해 인간적 욕구를 충족하고 역사적 유희 를 즐기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 패션에 있어서 과거 복식의 차용, 과거와 현재 스타일 의 혼재, 비문명적인 요소 등을 도입하고 있다. 4. 신 자연주의적 특성은 인간성 회복 및 자연과 함께 하고자 하는 자연회귀의 경향과 자 연의 순수성과 여유 및 정신적 풍요를 갈망하는 경향으로 패션에 있어서 자연적 요소의 도 입, 인간 신체 강조 등을 통하여 표출되고 있다. 5. 다 민족주의는 각 민족의 고유문화가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문화에 영향을 주는 현상 과 자신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패션에 있어서는 비서구적 동양풍 의상, 각 민족적 요소의 도입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정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패션특성 분포현황을 분석한 결과, 내용분석 대상 패션 중에서 85% 이상이 정성분석에 서 도출된 패션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정성분석에 의한 21세기 전환기 패 션의 미학적 특성 도출 및 분류가 논리적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주된 특성 다섯 가지 중에서 신 자연주의 특성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신 복고는 신 자연주의와 함께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주도적 특성으로 파 악되었다. 그러나 기술지상주의 특성은 예상보다 빈도수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3. 패션특성의 디자이너별·시즌별 분포와 변동추이를 분석한 결과, 신 자연주의나 신 복 고, 혼성의 특성은 각 디자이너에게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지상주 의 특성은 디자이너에 따라 편차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패션특성들은 각 디자이너들 작 품에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나, 디자이너별 편차는 확실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패션특성 출현빈도는 시즌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신 자연주의 특성의 경우 봄/여름 컬렉션에서는 매우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을/겨울 컬렉션에서는 신 복고 경향과 거 의 동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신 자연주의의 경우 전체적으로 출현 빈도가 많기는 하지만 각 시즌별로 변동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후반기에 갈수록 편차가 줄어들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성분석을 통해 밝혀진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다섯 가지는 뒤이 은 정량분석의 결과에서 내용분석 대상 의상 특성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나 정성분석의 내용을 지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패션특성들이 각 디자이너와 시즌별 로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특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사상을 기본으로 하여 생성·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다 원성과 관용성이 각 특성의 형성과 발전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현재에도 다원성과 불확정성을 기반으로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패러다임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 며, 탈 장르, 탈 경계, 탈 중심 현상이 21세기 전환기에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 미한다. 특히 20세기에서 21세기로 바뀌는 전환기 패션 특성의 주류가 복고적이고 자연 친 화적 경향을 보이는 것은 기술 위주의 발전과 문명에 대한 반발과 함께, 현대인의 자연과 순수 추구 경향으로 인해 미학의 특성이 인간 중심(humanism)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 다는 과정으로 파악된다. 이성과 합리성 개념의 전복을 의미하는 탈 미학을 중심으로 한 포 스트모더니즘은 시대 조류의 부정과 대중으로부터의 이탈을 특징으로 종래의 디자인 개념을 파괴해왔으며, 그 영향은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주도적인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 21세기 새신자목회의 중요성 : 21세기 새로운 한국교회성장을 바라며

        박종석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끔까지 본 논문은 1. 초기 한국교회의 새신자 양육 2. 21세기 한국교회의 변화전망 3. 21세기형 목회구조로 전환 4. 21세기 목회의 정보화 및 미디어를 활용 5. 새신자 목회에서의 새신자의 정의 6. 새신자의 유형 7.성경에 나타난 새신자 교육 8. 초대교회 새신자 교육의 방법 9. 새신자 양육의 실제 로 이루어져있다. 21세기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엘빈 토플러가 그의 책 제 3의 물결 미래쇼크 권력이동에서 예언한대로 21세기는 기존의 생각과 틀에서는 생각할 수 없고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교회는 이 시대적 흐름에 대세에 뒤쳐져서는 안되고 오히려 시대를 이끌어 갈수 있는 리더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는 스스로의 변화를 추구해야 하며, 시대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이다. 좀더 치밀하고 계획적으로 이 시대적 변화의 요구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21세기에 목회에서 새신자의 목회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소외당하기 쉬운 개인 한사람 한사람의 영혼에 관심을 갖고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성숙시켜야 하는 목회적 책임을 다하는 목회의 한 방편이라고 생각한다. 21세기는 갑작스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되는 사람이 많이 생기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교회에서도 새신자들은 기존의 신자들에 비해 복음에 대해 그리고 신앙에 대해 교회질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그들을 하나님의 자녀로 예수 그리스도의 일꾼으로 그리고 교회의 일꾼으로 성장시키는 문제는 시대가 변화되어도 교회에서 추구해야 할 목표이며 목적이 됨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가 온 목적은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을 위해 오셨다고 했듯이 21세기의 목회에서 새로운 한 사람의 새신자를 위해 전력을 다하는 목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21세기의 목회에서 새신자의 목회의 중요성을 열거했다. 시대가 변화가 되고 예수 그리스도는 언제나 잃어버린 양 한 마리(새신자)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잃지 말고 그 양 한 마리가 주님안에 성장하는 것이 쇠퇴하고 있는 한국 교회의 성장에 다시 한번 기폭제가 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 하고 싶다. 새신자 한 사람을 성장시키는 것은 그리 간단치 않다. 그래도 초대교회 4세기에서 긴 인내를 가지고 교육을 시켰듯이 한국교회도 다급하게 서둘지 말고 교육을 시켜 주님의 제자가 살아가야할 올바른 길을 알고 그리고 그 앎을 삶으로 실천할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데 게으리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에서 적극적으로 교육적인 프로그램 계발과 그들에게 다가갈수 있고 같이 신앙생활 할 수 있는 참신한 프로그램 계발과 애정을 갖고 다가가야 할 것이다. 그제서야 다시 한번 한국교회의 정직한 성장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 21세기 패션 연구를 위한 유행 형성 모델의 구축 및 패션 컬렉션으로의 적용

        김지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의복의 착용은 기능적 역할의 수행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작용의 매개체로서 착용자의 가치관이나 몸의 표현 방식, 시대의 생활 양식과 문화를 가늠해볼 수 있는 주요한 척도로 다양한 측면에서의 수용과 해석이 가능하다. 복식의 수용과 전파, 해석에 작용하는 사회 변동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복합적이고 전면적인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현실 세계 변화와 이론적 지식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변화하는 사회에 적합한 지식 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사회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패션과 디자인 분야의 연구에 적합한 유행 형성 모델을 제안하여 현대 사회에 적합한 트렌드의 논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1세기의 유행 발생 현상에 대한 탐색적 차원으로서 본 연구를 통해 학술적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데에 연구 의의가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의 고찰,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둘째, 유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구성된 유행 형성 모델을 제시하고 셋째, 제시한 이론을 사례 분석에 적용하여 21세기의 유행 발생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례 분석의 연구 범위로는 패션 컬렉션의 지속적 발표 여부와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평가를 바탕으로 6개의 패션브랜드(버버리, 샤넬, 구찌, 에르메스, 루이비통, 프라다)를 선정하고 2000 S/S부터 2023 S/S까지 레디투웨어 컬렉션에서 표현된 패션 컬렉션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회학적 연구 방법의 린네식 모형과 뷔퐁식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고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여 ‘문헌(데이터, 자료) 고찰 ⟶ 아이디어로서의 이론을 제안 ⟶ 이론을 뒷밤침해주는 증거로서 패션 컬렉션 사례 분석에 적용하여 검증’ 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패션 컬렉션의 공시적ㆍ통시적 분석을 통해 사회 변동에 따른 패션의 경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행 형성 모델 즉, 21세기 패션 컬렉션에 영향을 미친 유행 형성 요인에 대해 문화, 공간, 문명, 체계, 개념의 다섯 가지 요인과 각 요인의 세부 구성 요소를 통해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21세기의 유행에 대한 의미는 문화, 공간, 문명, 체계, 개념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선택받은 흐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행 형성 요인을 패션 컬렉션의 분석 내용에 적용한 결과 공간의 탈경계화, 문화적 포용력의 향상, 대립과 모순의 공존, 경계과 구별에 대한 이중적 시각, 유행의 강도와 주기, 종류의 다양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의 사회 변화에 적합한 유행 형성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패션 컬렉션에 실재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21세기의 유행 현상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도모하고자 하였으나 패션 컬렉션의 분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패션 컬렉션의 형성 모델 중, 유행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브랜드, 디자이너, 대중에 변화에 따른 결과를 도출해 보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패션과 디자인 분야의 학술적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lothing not only plays a functional role but also serves as a medium for social action. It can be conceive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estimating values, ways of thinking, lifestyle and culture.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social change that affects the emergence and interpretation of fashion trends is gradually developed in a complex and comprehensive manner. Therefore, it is time to build a robust knowledge system suitable for a drastically changing society to bridge the gap between real world changes and theoretical knowledge. Based on these reasons, this study proposes a trend-forming model suitable for the research field of fashion and design on a sociological approach, and seeks for a practical methodology for discussing the modern trend features. It has great value that the basic academic data could be provided through an exploratory dimension study for the factors leading the 21st century fashion trends. To this end, a trend-forming model composed of trend influencing factors was presented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for this study and applied to this study. As the scope of this study, six fashion brands (Burberry, Chanel, Hermes, Gucci, Louis Vuitton, and Prada) were selected due to the continuous announcement of fashion collections and being evaluated as exceptional interbrand value. Furthermore, the scope of the case studies was limited to ready- to-wear collections announced from 2000 S/S to 2023 S/S.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the Linnaean and Buffon model on the view of the sociological research method and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The process of trend forming model is carried out by firstly, performing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for this study, then proposing the ‘trend-forming model’, and finally verifying it by proving the applicability of the trend-forming model into a fashion collection case analysis. A great effort is made to clearly understand the fashion collection case studies,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nalysis,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This study presented a trend-forming model that influenced fashion collections in the 21st century with respect to those five factors: culture, space, civilization, system, and concept. Therefore, trends in the 21st century are heavily defined by the complicated interactions among culture, space, civilization, system, and concept. As a result of applying trend forming factors to the analysis of fashion collections, it is found that transcending space, improvement of cultural tolerance, coexistence of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dual perspectives on boundaries and distinctions, diversification of trends(intensity, cycle, variety of types) are observed. In this study, an innovative and meaningful discussion has been made by constructing a trend-forming model suitable for drastic soci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and applying it to fashion collections. The follow-up studies on brands, designers, and the public are suggested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trends that only affected the formation of fashion collections.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above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basic data for academic discussions in the field of fashion and design.

      • 21세기의 교회성장과 예배의 역동성

        김상배 베뢰아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교회성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예배 운영과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예배가 교회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며, 21세기 교회성장에 있어서 예배의 역동적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는 정보화, 세계화, 개방화, 다원화 시대로 전 세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와 문화 전반에 과학화가 이루어지는 초고속의 시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어떻게 하면 이 시대의 흐름에 밀려가는 것이 아니라 시대를 앞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온전히 설 수 있는가? 21세기 한국교회를 전망해 본다. 둘째, 교회성장에 있어서 필수적 요소인 예배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초대교회와 같은 신앙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드렸던 신령과 진정한 예배는 무엇인가를 연구해 본다. 마지막으로 교회성장과 예배의 상관성 그리고 현재 드리고 있는 예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앞으로 21세기의 교회성장은 역동적인 예배를 통한 예배갱신이 연구의 과제임을 살펴본다. 예배는 인간과 하나님의 인격적 만남이요,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을 만나 거룩한 영광과 존귀를 돌리는 축제의 현장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아버지의 뜻을 다 이루시고 우리와 하나님 사이의 막힌 담을 허무시고 화목케 하셨다. 예수그리스도는 부활하셔서 성령을 보내 주시고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의 온전한 회복이 하나님의 바램이요 그의 기뻐하시는 바임을 말씀 하셨다. 이제 21세기의 교회는 초고속화 되는 문명 가운데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나타내는 역동적인 예배가 요구된다. 죽어있는 예배가 아닌 산 예배를 드려야 한다. 성령과 신유의 역사가 일어났던 초대교회와 같이 모든 성도들이 함께 전도하고 모여서 부활의 소망으로 예배를 드려야 한다. 예배는 교회성장의 가장 중요한 관건이요 필수적 요소이다.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목회자의 예배 철학이 중요하다. 성도만 예배를 드린다는 관점에서 불신자들에게 예배를 이해시키고 진정한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깨닫게 해주는 일 또한 교회의 사명이다. 열린예배는 동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해 하나님을 알게 할 것인가에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적 충격을 줄이고 그들의 시각에서 참 하나님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열린예배에 대한 논쟁은 앞으로 많은 연구와 검토를 필요로 한다. 21세기의 예배는 교회성장에 있어서 역동적인 예배를 전망케 한다. 역동적인 예배를 위해 교회는 성장을 위한 예배의 철학과 설교를 준비해야 한다. 역동적인 예배 속에는 승리와 부활의 기쁨이 있고, 축제로서의 찬양과 회개와 중보로서의 기도가 있다. 그리고 삶을 통한 예배는 전도와 양육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제 우리는 예수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의 참뜻을 깨닫고, 진리이신 예수를 바로 알고 성령의 역사 하심이 있는 역동적 예배가 성경이 제시하고 있는 것이며, 그 예배를 드림으로 교회성장을 가져오게 될 것을 21세기에는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s to inspect proper understanding about church growth, leading manner of worship service and its character, to research on how worship service affect church growth, and to consider a dynamic change of worship service on church growth.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21st century is an information-oriented, globalized, opened and pluralized age, an age of rapidity, in which scienticism will be paradigm of society and culture at large through network. In this situation, how can church be strengthened as body of Christ pioneering the age, not being lead by the age? This research surveys 21st century's church of Korea. Second, this research considers biblical and theological meaning of worship service as essential point of church growth, and researches on meaning of worship service in spirit and truth which church as ecclesia of faith gave to Him, like the early churches. Third,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service and church growth, and problems of worship service recent church gives to Him. I considered that renewal of worship service to dynamic worship service is the subject of 21st century's church growth. Worship worship service is personal encounter of God and human being, and a feast in which human creature meets God the creator and gives him the glory and honor. Jesus Christ completed all the will of Father God and reconciled us to God destroying the barrier. Jesus Christ resurrected, sent us the Holy Spirit, and commented us that perfect recovery of worship service in spirit and truth was God's hope and pleasure. A dynamic worship worship service showing the presence of God requires in 21st century church, in a superhigh-speedy civilization. We must give him an alive service, not a dead worship service. Like the early churches, in which the Spirit worked and gave His healing touch, all the saints must preach the gospel and gather to worship with the hope of resurrection. Worship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point of church growth. And pastor's philosophy of worship service is important for chruch growth. Since only the saints attend in worship service, it is the duty of church to make unbelievers understand worship service and let them know how to give Him a real worship service. Opened worship service is to let the people of contemporary age to know God by making a more effective way to preach the gospel. It's to let them experience the real God on their point, diminishing cultural impact. Nonetheless many of merits of opened worship service, it must be far more argued and researched. In 21st century, we can expect dynamic worship service that effects largely to church growth. For dynamic worship service, a church must prepare sermons and philosophy of worship service that can activate church growth. In a dynamic worship service, there must be pleasure of resurrection, praises as feast and prayer for repentance and meditation. And worship service like this must activate preaching and teaching the Bible. Now we must recognize the real meaning of worship service in spirit and truth which Jesus Christ commented. It is written in Bible that we must give Him a dynamic worship service in which all the ecclesia come to know Jesus Christ properly and the Holy Spirit works. By doing this, we can expect church growth in 21st century.

      • 21세기 사회 문화 경향과 니트웨어 디자인 분석 : 2000년 이후 Pret-a-porter를 중심으로

        김미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 현대 사회는 ‘디지털 시대’로 정의되어지고 있는 가운데,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기술은 이제 우리의 생활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어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들이 실현화되어, 인간은 기술문명 혜택으로 인한 편리함과 풍요로운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근로 시간 단축이라는 이점을 가져다주었고, 이로 인한 주5일 근무 체제로의 변화를 통해 여가의 확대와 스포츠 참여 생활화 등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의복의 활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캐주얼·스포츠적 라이프 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캐주얼·스포츠웨어 시장의 핵심 제품인 니트웨어의 소비와 착용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디지털 사회의 특성을 살펴보고, 21세기 사회 문화 트렌드를 고찰하여, 트렌드 맥락에서 니트웨어 디자인을 분석한 후, 21세기 라이프스타일과 감성에 부합하는 패션으로서의 그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과 조사 보고서, 선행 연구 자료들을 통해 21세기 디지털 사회의 특징과 사회 문화 트렌드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패션 컬렉션지 COLLEZIONI DONNA Pret-a-porter와 패션정보사이트 www.style.com을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니트웨어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21세기 사회의 특성과 사회 문화 트렌드를 고찰한 결과, 하이테크, 하이터치, 글로벌화, 개인화로 4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니트웨어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테크에서의 특징은 하이테크 이미지가 반영된 미래적인 디자인과 하이테크 소재, 아이템의 다양화, 패턴의 입체화로 나타났다. 신소재의 개발로 인한 소재의 다양화는 편성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 아이템의 다양화로 이어졌고, 컴퓨터 자동 편기의 개발과 편성 테크닉의 발달로 인체의 곡선을 살릴 수 있는 인체공학적이고 입체적인 패턴이 개발되어, 니트에서만이 나타낼 수 있는 조직을 이용한 시너지 효과로 더욱더 독창적인 조형미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하이터치는 인간의 감성과 정서를 채워주는 레트로, 페미닌, 로맨틱, 에스닉, 원시주의로 나타났다. 실에서 출발하여 가장 원초적인 수공예 기법으로 역사가 깊은 니트는 하이터치적인 요소를 표현함에 있어서 적합한 소재라 할 수 있으며, 테크놀로지의 부족함을 채워줌과 동시에 감성을 자극하고 끊임없이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될 것이라 여겨진다. 셋째, 글로벌화는 하이브리드 현상으로 나타났다. 혼성과 절충의 개념인 하이브리드는 현대의 다문화 시대에서 각 장르간의 퓨전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니트웨어에서는 여러 나라의 민속적인 문양과 디테일 등 에스닉 요소가 모던하게 표현되었고, 이러한 하이브리드 패션은 현대의 다문화 시대에서 새로운 장르로 인식되고 있다. 넷째, 개인화는 코쿠닝과 웰빙 현상으로 나타났는데, 코쿠닝의 영향으로 니트웨어에서는 감춤과 은둔의 이미지와 함께 신체를 편안하게 감싸는 오버사이즈와 벌룬형 실루엣의 캐주얼로 나타났다. 신체와 정신 건강의 조화로움을 추구하는 웰빙은 자연친화적 경향의 에콜로지 룩과 스포츠 웨어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신축성과 기능성을 갖춘 니트웨어는 스포츠 웨어로서 최적의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21세기 사회 문화 트렌드를 토대로 니트웨어 디자인의 경향을 4가지 키워드로 분류하여 고찰하여 본 결과, 사회 문화 트렌드는 하이테크로 인해 반작용과 균형작용으로 하이터치 현상이 나타났으며, 글로벌화와 개인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회 문화 트렌드가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절충하며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이테크에서 나타난 하이테크 신소재, 아이템의 다양화와 패턴의 입체화는 다른 트렌드에 영향을 미치며, 각 트렌드의 니트웨어 디자인 표현을 위한 베이스가 된다고 본다. 따라서, 21세기 니트웨어 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 니트웨어 디자인의 다양한 표현 기법은 하이테크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나 근본적으로는 인간성 회복과 인간의 감성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소재의 개발과 표현기법의 다양성으로 인해 우븐웨어에서만 가능했던 표현을 니트웨어로 대신할 수 있게 되었고, 점차 니트웨어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이 커지고 있다. 셋째, 니트웨어 디자인 트렌드는 에스닉, 레트로, 스포티 캐주얼 3가지로 분류되며, 이는 다양하고 잡다한 문화 현상들을 포괄하는 다원주의의 의미를 지닌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이 21세기에도 지속적으로 그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니트웨어는 21세기 사회 문화 트렌드를 반영함과 동시에 소재와 기법의 다양성으로 여러 가지 패션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고, 퓨전적인 요소를 수용하는데 있어서 용이하여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 뿐만 아니라 근무복, 포멀웨어로도 더욱 많이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니트는 여가선용 수단으로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 치료법으로 쓰이기도 하고, 개인의 개성과 자아를 표현할 수 있는 현대 패션으로서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사회 문화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 인간의 감성에 부합하는 최적의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The contemporary society of the 21th century is defined as the ‘digital age’, and the highly developed digital technology has penetrated deeply into our life and made realized those things which were unimaginable in the past. Human beings have come to enjoy the convenience and abundant life due to the benefit of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e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the advantage of decreasing the working hours. The change into the five-day week system has com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uch as the expansion of leisure, the living habits of participation in sports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casual·sportive lifestyle pursuing the activity and convenience of clothing all over the world has come to be popular, and accordingly the consumption and dressing of knitwear, the core product of the casual · sportswear market, has tended to increase rapidly.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knitwear as the fashion corresponding to the lifestyle and emotion of the 21th century.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society of the 21th century, investigate the sociocultural trends of the 21th century and analyze the design of knitwear in the context of its trend. In the research method,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society of the 21th century and its sociocultural trend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report, previous studies and analyze the design of knitwear over the period between 2000 and 2008 using the fashion collection magazine of COLLEZIONI DONNA Pret-a-porter and the fashion information website of www.style.com.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21th-century society and its sociocultural trend. As a result, four key words such as hightech, hightouch,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were elicited. On this basis,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design of knitwear. In consequence,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hightech included the futuristic design and hightech material reflecting the hightech image, the diversification of items, the 3-dimensional pattern. Th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has led to the diversification of items with the knitting technology. The ergonomic and 3-dimensional pattern highlighting the curved line of the human body was develop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operated automatic knitting machine and the development of the knitting technique, and the more original plastic beauty could come to be expressed by the synergistic effect using the texture that could be expressed only in the knit. Second, hightouch was shown as the retro, feminine, romantic, ethnic and primitivism that filled the human sentiments and emotions. The knit of long history as the most primary handicraft technique, starting with thread, can be said to be the material appropriate in expressing the element of hightouch and is thought to continue to fill the insufficiency of technology and excite the emotions and be used as the motif of design. Third, globalization was shown as the hybrid phenomenon. The hybrid is the concept of mixture and eclecticism. The phenomenon of fusion among genres in the contemporary multi-cultural age has continued, and the ethnic element such as the ethnic patterns and details of several countries and the like has been expressed in a modern fashion, and this hybrid fashion is understood as a new genre in the contemporary multi-cultural age. Fourth, individualization was shown as the phenomenon of cocooning and wellbeing and as the casual of oversize and ballon-type silhouette encircling the body comfortably with the image of concealment and hermitage in the knitwear through the influence of cocooning. The wellbeing pursuing the harmony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led to the expansion of the ecological look and sportswear of the nature-friendly tendency and the knitwear equipped with flexibility and functionality can be said to be the optimal item as sportswear. Like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knitwears design by dividing it into four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sociocultural trends of the 21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the sociocultural trend showed the phenomenon of hightouch through reaction and balance action due to hightech and led to the phenomenon of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trends are not independent but compromis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New hightech materials, the diversification of items and the 3-dimensionalization of the pattern have an impact on other trends and become the basis for expressing the knitwear design of each trend.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ab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knitwear design of the 21th centur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ressive technique of knitwear design originated from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but fundamentally expressed th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the human emotion. Second, the expression made possible only in woven wear can be replaced with knitwear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the diversity of expressive techniques, and the domain that can be expressed by knitwear gradually is gradually expanding. Third, the trend of knitwear design is classified into ethnic, retro and sporty casual look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because the phenomenon of post-modernism having the meaning of pluralism including diverse and hybrid cultural phenomena continue to have an impact on the 21th century. It is thought that knitwear not only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trends of the 21th century but also make it possible to express several fashion images due to the diversi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make it easy to accommodate the fusion element. So it is thought to be used more as the uniform, formal wear and the like as well as casual wear and sports wear. And knit is used to release stress as the recreational means and as mental therap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nitwear is the optimal item corresponding to the sociocultural trend, lifestyle and human emotions of the 21th-century digital age as the contemporary fashion that can express the individual personality and ego.

      • 21세기 미술관의 패러다임에 따른 공립미술관 발전방안 연구 : 부산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김현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91

        1995년 지방자치시대가 열린 이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립미술관이 서울, 광주, 부산, 대전, 포항 등이 개관 · 운영하였으며 대구에서도 올 하반기에 개관할 예정이다. 또한 공립미술관이 없는 지자체에서는 지역민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을 시키기 위해 설립 및 개관을 계속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듯 활발한 개관 및 설립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내실 있는 운영이 뒷받침 되지 않아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이 일괄적이고 획일화하여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문화시설로서 입지를 굳히지 못하고 있다. 이는 대다수의 공립미술관이 광범위한 설립목적을 앞세웠을 뿐 모호한 미션과 비전으로 타 지역미술관과의 뚜렷한 차별성이 없으며 그에 따라 전시기획 및 소장품 수집, 교육프로그램 또한 일률적이며 반복적인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관람객들은 미술관에서 호기심의 충족과 특별한 즐거움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공립미술관은 21세기의 도래와 함께 새로운 사회적 흐름을 맞이하였으므로 더 이상은 전시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지역민과의 소통과 교감을 중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해야 한다. 21세기 미술관의 패러다임에 따르면 무엇보다 미술관이 대중의 참여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삶의 질과 수준을 고양시켜 대중과의 소통을 가장 우선시한다. 따라서 미술관은 안일한 운영으로 기본적인 역할과 기능만을 수행할 것이 아니라 변화의 흐름 가운데서 실질적으로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첫 번째 광역시 부산의 유일한 공립미술관인 부산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열린 미술관, 소통하는 미술관으로 성장하기 위한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외의 우수 운영 미술관 사례를 통해 21세기의 올바른 미술관의 운영은 어떠한지 이에 따른 적용 가능한 쟁점이 무엇인지 도출하여 부산시립미술관만의 전략을 세우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기반시설 중 특히 미술관 시설이 부족한 부산의 미술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부산시립미술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21세기 미술관의 패러다임에 부합하도록 미술관의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하고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발전시켜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inaugurated in 1995, public art museums which are being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had been opened in Seoul, Gwangju, Busan, Daejeon, Pohang and another one is expected to open in Daegu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Moreover, some municipalities without public art centre are discussing the opening continuously to meet cultural needs of the residents. Despite the vigorous activities for the opening or foundation of the art centre, it is not firmly positioned for the public art museum to represent local community because of less substantial operating and its roles and functions are too standardized. This is because most public art museums have ambiguous missions or visions; therefore it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public and local museums. Furthermore, planning exhibition, collection and educational programme are also filled with uniformity or repetitiveness. In this respect, spectators cannot meet their curiosity and they also have not experienced special pleasure. Now that public art museums faced the new social flow with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 they should propose a complex cultural facility that focuses on communication and communion among the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paradigm of the art museum, by enlarging the public participation opportunities of the art centre must be the top priority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and level. Thus, an art gallery ought to operate not only for the basic role and function but also establish diverse strategies to communicate with public more practically amid the flow of changes. On this point, this article would propose the necessity of improvements for the art museum by grasping its operating status and drawbacks focused on Busan Museum of Art which is the only public art gallery in Busan. Additionally, by presenting some cases of good operating museums, I tried to draw up a strategy aiming only for Busan Museum of Art through looking at the correct operating of the art gallery in the 21st century or applicable issues. Lastly, this article has sought development of Busan Museum of Art to vitalize the art and culture in Busan that is short of art facilities. It is certainly needed for municipalitie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rt galleri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paradigm; then the art museum could be a complex cultural facility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m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