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 창업 기업의 창업자 역량과 생존율의 관계에 관한 탐색연구

        조병준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6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s competency on the survival rate of the startup firm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One-Person startup firm on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y and the increasing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terest in One-Person startup firm. For this study, we selected 4 survival factors and examined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survival rate of One-Person startup firm and each factor. In addition, we set 3 hypotheses and verified. The information of One-Person startup firm that was gathered by Statistics Korea from 2013 to 2015 was used for this research sampl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SPSS 18.0 analysis method and Holt model was applied to the entrepreneur’s competency and the 5 year survival rate of the One-Person startup firms in 3 years. Also, the analysis that is conducted by MADM method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 entrepreneur’s work career and the current work place of the entrepreneur was ranked No.1 and the advice network for startup followed. The survival rate of One-Person startup firm in manufacturing industry, profess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only has positive. In the other areas, the survival rate indicates negative. The proposed three hypotheses are meaningful in this study. In order to make a policy for the support of One-Person startup firm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e policy that can develope and support entrepreneur’s competency will be needed. Key Word : One-Person startup firms, Founder capability, Survival rate, Survival factor, Holt prediction methodology

      •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태도 및 1인창작전문기업 육성 방안

        류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32445

        본 연구는 생태계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문제점의 발견과 그 정책적 해결 방안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첫째,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시장 구조 확인과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의 확인 및 역할, 상호관계들의 파악 시도 둘째, 문민정부에서 현재까지 문화산업분야, 문화콘텐츠 창작분야, 문화콘텐츠 분야 등의 정책 분석과 정부의 전반적인 창업 정책 분석 셋째,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과 유사 기업군들에 대한 특성 및 성공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의 특성에 대한 분석 시도 넷째,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행동적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 다섯째, 이상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창작자의 창업에 대한 태도 분석을 위해 정량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량조사는 문화콘텐츠 창작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다양한 능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여섯째, 문화콘텐츠 각 분야별 창업에 대한 요구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심도 높은 파악을 위해 문화콘텐츠 창작자 8명을 대상으로 한 FGI와 문화콘텐츠 전문가 15명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곱째, 이상의 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은 전공 또는 희망 직종에 관계없이 모두 창업에 대해 낮은 태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상태에서는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는 이루어 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이에 대한 적극적 해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현재 문화콘텐츠 창작자의 창업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 확보이다. 때문에 창업은 창업 후 보다도 창업에 대한 의사결정 이전 단계에서의 지원과 배려가 중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는 전략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단계별 지원을 필요로 한다. 첫째, 창작기능습득단계로 창업 가치에 대한 인식과 창업에 대한 심리적 특성 강화, 도전의식 등이 주요 요소가 된다. 둘째, 창업관심단계로 사업전개에 필요한 마케팅, 경영, 인터넷 등 사업화 능력 배양과 자신감 확보, 상담지원 활동의 강화, 인큐베이팅 활동, 문화콘텐츠 분야별 특성에 따른 특성화된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교류와 사업 아이템 개발 지원이 중요하다. 셋째, 창업준비단계로 창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 향상 및 초기 창작활동을 위한 다양한 제작 지원책 마련이다. 맞춤형 창업정보 제공과 멘토링 프로그램, 상품 제작을 위한 지원 및 복지적 관점에서의 지원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창업초기단계로 제작인프라 지원, 마케팅과 유통 지원, 공동 프로젝트 전개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주체로서 정부, 지자체, 대학 등은 각각의 위상에 맞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핵심 지원 요소로는 창업 공간, 네트워크 구축, 장비 및 기술적 지원 등으로 지원 주체 세 곳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기본 요소들이다. 지원 주체별로는 대학의 경우 교과 과정 내에 학점과 연계하여 재학 중에 사업 아이템이 완성될 수 있는 기반 조성과 창업에 대한 긍정적 가치 인식 확대를 하여야 하며, 지자체는 창업 준비 및 초기 단계에 경제적 기반 환경 조성과 지역 기반 문화콘텐츠 창작물들의 유통・마케팅 지원을, 정부는 지자체와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 활동과 제도·법률적 지원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을 통한 1차 창작물의 양적, 질적 확대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체의 활성화는 물론 방송·통신·전자 등 대부분의 기존 산업에서 경쟁력 확보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인창작전문회사는 문화콘텐츠 1차 창작물 생산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상으로서 이들의 활성화는 문화콘텐츠 생태계 전체의 활성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위계적 구조의 개선, 창작물이 아닌 창작자 중심의 가치 인식, 자본과 유통이 아닌 창의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쟁, 특정 분야만의 왜곡된 선택과 집중이 아닌 문화콘텐츠 전 분야에 걸친 공동의 발전, 기술자·비사회적 예술가로서가 아닌 창작자로서의 존재 인식, 대학 그리고 정책의 역할에 대한 명확성 확보, 마지막으로 창작 중심 상태에서 창작자들 간의 협력과 공동 발전 모색 등이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 육성의 핵심적인 가치이며 나아가 문화콘텐츠 생태계 전체의 활기를 만들어 내는 핵심적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discovering problem areas based o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business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exploring ways to resolve policy matters. To that end, the paper makes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First, the paper identifies cultural contents business structure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cultural contents ecosystem and their functions and mutual relations; second, the paper analyzes policy areas, such as cultural business sector, cultural contents creation sector, cultural contents sector from the dawn of the civilian government to today, and analyzes the government's general entrepreneurial policy; third, the paper, through reviewing pri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and similar business entitie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fourth, in order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reato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business matters, the paper reviews prior studies on them; fifth,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studies, the paper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reators' attitudes on business foundation. A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paper conducted tests on 500 cultural contents creators, and through this, the paper was able to find out their psychological attitudes and various capabilities towards business foundation. Sixth, in order to attain in-depth analysis of demands for each sector in cultural contents business and its revitalization schemes, the paper conducted FGI on 8 cultural contents creators and expert test on 15 cultural contents experts. Sevent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paper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As for the paper's findings, the cultural contents creators showed low attitude on business foundation regardless of the person's major or job that one wants to land 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revitalization of business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would not be realiz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e matter ultimately. Present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business attitude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is psychological factor, and it pertains to securing awareness about the business foundation and confidence. Therefore, as for establishing a business, it is more important to provide support and needed attention during stages before one arrives at a decision to establish a business, than to give them after one has already established a business. For revitalizing cultural contents creators' business establishment, the following step-by-step support is needed in strategic point of view. First, as acquisition stage for creative functions, awareness about business value, psychological reinforcement on founding a business, and a sense of challenge are primary elements. Second, as nurturing interest stage for founding a business, honing the needed business skills, such as marketing, managing, and internet skills, securing self-confidence, reinforcing counseling activities, supporting incubating activities, providing specialized support to each cultural contents sector, facilitating exchanges through building networks, and supporting development of business items are important. Third, as preparation stage for founding a business, forming social values about founding a business and providing various assistance programs for initial creative projects are important.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on founding a business, mentoring programs, support in development business items, and assistance programs from welfare point of view are necessary. Fourth, as initial stage of founding a business, providing production infrastructures, marketing and distribution supports, and structures for coope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are needed. As supporting entities for revitalizing business foundations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must each perform its role consistent with its authority. As for primary support areas, providing space for founding a business, network structure, and equipment and technical support are basic areas on which these three supporting entities must consider providing services on. As for the universities, they must consider creating a foundation where students can develop business items while they are in school and for which they could obtain credit hours so that positive value on business foundation can be instilled. As for the local government, they need to create an economic foundation on which to support preparatory and initial stages of business foundation and to provid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ervices for regional cultural contents business products. As for the central government, it needs to provide policies that can induce cooperations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universities, and systemic and legal foundations. The expans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irst level products through cultural contents creators' business foundation can be said to be the central factor to not only the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cultural contents business but also the securing of competitive edge for the existing businesses like media,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One-person companies are central players in first level cultural contents products and their revitalization implies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cultural contents ecosystem. To that end, for promotion of one-person companies on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the emphasis must be put on improv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awareness of the value put on creator-centeredness rather than product-centeredness, new competition focusing on creativity rather than capital and distribution, general and equal development of the entire cultural

      •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지원 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문화예술 분야의 1인창업을 중심으로

        김연희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31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지원 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의 1인 창업기업중 창업지원 제도를 받은 30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사고의 하위변수인 공감, 통합적사고, 낙관주의, 실험주의 그리고 협업과 창업가정신의 하위변수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그리고 문화예술 분야의 창업지원 제도의 하위변수인 자금지원제도, 교육 및 컨설팅 지원제도, 창작지원제도가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은 창업가정신의 진취성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창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과 혁신성 또한 비 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디자인사고특성중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실험주의 요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낙관주의와 공감 능력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 분야의 1인 창업기업의 창업지원 제도는 자금지원 제도, 교육 및 컨설팅 제도, 창작지원 제도 모두 문화예술 1인 창업기업의 비 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비즈니스센터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 개발 및 유형별 서비스 품질의 비교

        김승섭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236

        논문요약 국내 비즈니스센터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 개발 및 유형별 서비스 품질의 비교 교통 및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구촌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모든 규모의 비즈니스는 국경을 허물고 다양한 장소에서의 업무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지식기반 창조기업’ 이라 불리는 개인의 형태를 띠는 작은 기업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더욱 많은 독립된 업무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결과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센터 수요자의 욕구와 필요에 맞는 비즈니스센터의 전문적인 서비스에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고, 이미 국내에는 민간과 정부와 공공단체에서 공식지정 되거나 되지 않은 다양한 유형의 비즈니스센터가 유형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서비스 품질도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비즈니스센터의 서비스 품질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비즈니스센터의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정성조사를 통해 초기 69개 설문 문항이 도출되었고, 이 후 구성개념과 측정 문항에 대해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9개의 구성요인과 36개 예비문항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서는 내용타당성 비율(CVR; content validity ratio)을 적용하여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435명의 비즈니스센터 이용자들에게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센터의 품질을 평가하도록 조사가 실시되었다. 개발된 비즈니스센터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의 개발단계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차원성 검증과 문항의 내적일관성을 기준으로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이후 차원의 재검증을 비롯하여 구성타당성 및 예측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이에 비즈니스센터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구성요인은 ‘공익성’, ‘책임성’, ‘외형성’, ‘신속성’, ‘신뢰성’, ‘친절성’, ‘전문성’, ‘편리성’으로 8개 요인의 총 3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첫째, 신뢰성은 서비스가 약속대로 수행되는 것, 정확한 서비스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둘째, 신속성은 직원의 대응 속도로, 고객의 문제를 우선순위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빠르고 즉각적인 업무 지원에 관한 것으로 4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셋째, 친절성으로 개별적 배려와 관심도, 친밀하게 느끼는 수준에 관한 것을 의미하며 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넷째, 전문성은 서비스의 전달과 내용의 수준, 인력의 자신감, 능력, 경력 등을 의미하며, 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책임성은 서비스가 충실성 있게 제공되는지의 여부로서 정보와 지식의 제공에 있어서 성실함과 관련된 의미로 5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여섯째, 외형성은 제공하는 제반 시설 및 공간과 결부된 서비스 활용의 정도로 센터 내, 외부 환경이 이용자에게 편하게 제공되는가를 의미하며 5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일곱째, 편리성은 서비스 이용의 편리함 정도로 정보를 활용하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편함 정도를 의미하며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여덟째, 공익성은 센터 이용 및 지원 정책을 편파적이지 않게 집행하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특정 방향에 편중이 없음을 느끼는 서비스의 공정한 수혜 정도에 관련한 제반 서비스로 7개 항목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비즈니스센터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비즈니스센터 서비스 품질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적합한 비즈니스센터로의 변화를 시작하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주제어 : 비즈니스센터,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창업보육센터 비즈니스센터 서비스 품질,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

      • 1인 미용기업 창업자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윤미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16047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ategy planning and marketing with a goal of improving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s of One-Person Beauty Company Entrepreneur in cosmetology by investigating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s by the One-Person Beauty Company Entrepreneur general characteristics in cosmetology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psychological traits, skills, business management cap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direct survey, mail survey,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300 One-Person Beauty Company Entrepreneur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April 15 to May 10. Among the collected data, 265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ased o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13 questions), skills (4 questions), business management capability (12 questions), business performances (6 questions) and demographic matters (9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using JAMOVI 12.18.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model, furthermor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Results: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rketing competenc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30s. In high-educated entrepreneurs, al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psychological traits, skills, business management capability) were high.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 of running business prior to the start of the business, ‘desire for achievement’ and ‘skills’ were high. Second, concerning differences in business performanc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ducation only among age, experience of business management and educati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s were greater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in terms of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business performances, psychological traits and skills revealed no direct influence while business management capability showed a direc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s.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n cosmetology One-Person Beauty Company Entrepreneur, education is a key factor i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an entrepreneur (CEO)’s education level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s. In addition, business management capability can have a direc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s. To enhance such business performances of One-Person Beauty Company Entrepreneur in cosmetology,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entrepreneurs to build the ability to utilize the latest technologies and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make efforts for managing funds and securing regular customers and actively promote marketing. Keywords: One-Person Company, One-Person Beauty Company,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Business Performances 연구목적: 1인 미용기업 창업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창업자역량 및 경영성과 차이를 알아보고, 창업자역량 특성의 하위 변수인 심리적 특성, 기술적 특성, 경영관리 능력이 미용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1인 미용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경남 지역 1인 미용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창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4월 15일에서 5월 10일까지 설문조사(직접 조사 및 우편조사,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을 실시하였고, 최종 26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13문항, 창업자의 기술적 특성 4문항, 창업자의 경영관리 능력 12문항, 창업자의 사업성과 6문항, 인구 통계적인 사항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Jamovi 12.18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독립 t-검증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연구 모형에 설정된 변인 간 관계 및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창업자역량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은 경영관리능력 증 마케팅 역량이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업자가 고학력인 경우 모든 창업자역량의 심리적 특성, 기술적 특성, 경영관리 능력이 높았고 창업 이전 경영 경험이 있는 경우 심리적 특성의 성취욕과 기술적 능력이 높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 경영 경험, 학력 요인 중 학력만 경영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학력이 높을수록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가 높았다. 셋째, 창업자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과 기술적 특성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으며, 경영관리 능력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1인 미용기업 창업자의 학력이 창업자의 역량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창업자(경영자)의 교육수준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창업자의 경영관리 역량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1인 미용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창업자가 최신 기술 및 고객 관리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금 관리, 단골 고객 확보를 위한 노력 및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 1인 창조기업 성장을 위한 전략모델에 관한 연구 : 창조경제 시대의 복합 생태계 구축을 중심으로

        지중현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99535

        세계시장은 이미 날로 세분화되고 다양화되는 소비자 계층과 취향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 기업이 성공하는 창조경제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는 창의적 혁신보다는 점진적 기술개발과 가격인하를 통하여 기존 시장을 지배해온 대기업 위주의 성장정책과 무리한 창업 유도를 위한 진입장벽 완화에만 과도한 비중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2007년 25.5% 수준이던 국내 대졸자 실업률은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직후 29.4%, 2009년 33.7%에서 2010년 41.8%로 급상승하는 등 현 정부의 고용 성적표는 낙제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공급과잉으로 고용 없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 시장에 창조경제시대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적절한 정책과 제도 구축 없이 무분별한 재정지원만을 앞세운다면, 한국은 2001년의 벤처기업 사태를 답습할 수밖에 없다. 즉, 규모의 경제를 통한 가격경쟁력 또는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투자를 통한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 등 기존의 경쟁요소 보다 소비주체동향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둔 창의적 제품기획력이 더 중요한 경쟁우위요소로 등장한 지금, 한국 정부는 중소기업 및 1인 창조기업의 역동성을 강화하여 기존의 대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정책을 수행해야하는 시점인 것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점에 초점을 맞춰, 21세기 창조경제시대에 맞는 한국형 1인 창조기업 성장을 위한 전략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의 주안점은 앞선 벤처기업에 대한 정책 실패를 교훈 삼아 어느 특정 단계 혹은 특정 산업에 대한 집중지원이 아닌 모든 1인창조기업의 창업부터 시장퇴출까지의 전 단계에 걸쳐 적절한 그러나 일관된 정책이행에 있다. 한 예로, 기업의 시장진입 단계에서는 사업화를 위한 시장진입장벽(Entry barrier) 완화 정책을, 성장단계에서는 아이디어 거래시장을 통한 안정적 사업실현을 위한 표준제도 도입, 성숙단계에서는 성공적인 1인창조기업의 중소기업으로의, 그리고 중소기업의 대기업으로의 성장을 장려하는 한편, 실패한 기업이 시장 내외부적으로 최소한의 희생으로 신속하게 퇴출할 수 있도록 퇴출장벽(Exit barrier) 완화정책 등이 병행 추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업주기(Company life cycle)를 모두 포괄하되 각 단계마다 세부적인 대책을 마련하는‘창조경제화 정책’이 적절히 이행된다면, 한국 시장경제는 오늘날의 대기업 일변도에서 창조성과 시장역량이 역동적으로 선순환되는 복합기업 생태계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계를 기반으로 창조적 사업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1인 창조기업이 되어 직접, 또는 아웃소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경제 가치사슬에 참여함으로서 경제 가치를 생산하는 흐름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세계시장 개방은 또다시 새로운 형태의 복합생태계인 소규모의 1인 창조기업, 중규모의 사업화 기업 그리고 대규모의 시장 기업을 탄생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정부의 능동적인 대응이 요구됨을 시사 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