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일과 삶의 균형(WLB)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수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밝히고,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WLB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WLB 및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WLB는 매개역할을 하는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여성 1인 기업가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성실하게 응답을 완료한 180명의 설문을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먼저 기술통계 및 빈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각 변인 간의 관련성 확인을 위해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 및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차이도 비교적 분명하였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 중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력이 있는 변인은 자기주도적 태도로 확인되었으며, 외재적 요인은 가치지향적 태도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만족 사이를 WLB가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인 가치지향적, 자기주도적 태도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외재적 요인 관계에서 WLB의 ‘일-가족’, ‘일-여가’, ‘일-성장’ 균형은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결과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이다.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 즉, 가치지향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태도가 원활하게 이뤄질 때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여성 1인 기업가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WLB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만족 사이에 여성 1인 기업가의 WLB가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직무만족간의 연구영역 확장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사회의 증가하고 있는 여성 1인 기업인이 자신의 경력개발에 있어서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며 효율적인 경력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cover the structural effects of the professional career attitude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on job satisfaction, and to empirically analyze and review the impact of the professional career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with WLB as a medium. Specific research issue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rotean of career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Second, when including work-life balance as mediating variable, what is the effect of protean of career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For this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women one-person in companies currently active, and a survey of 180 people who had completed their responses with integrity was used as a study. In this study, the one way ANOVA (One 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by post-testing. Baron and Kenny (1986) used the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 method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nd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protean of career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rotean of career attitudes, factors with the most influence on intrinsic factor of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the most influence on external factor of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values-driven predisposition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WLB has the effect of mediating between protean of career attitude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and job satisfac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First, it proved that protean of career attitude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is an important variable job satisfaction. It is the subordinate factor of protean of career attitude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that is, when the self-directed and values-driven predispositions are smoothly done, it increases the job satisfaction. Second, WLB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of career attitudes of the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and job satisfac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WLB, a women in one-person companies, acts as a partial agent betwee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meaningful in expanding the research area betwee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our society's increasing number of one female entrepreneurs will be able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individual work and life in developing their careers and contribute to efficient career management.

      •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형성의 의미탐색

        변향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형성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로 강의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형성의 현상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형성 경험을 통하여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에서 Colaizzi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강의 교수 경력 10년 이상이면서 1인기업 경력 5년 이상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 7명을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주도적 선택, 경험 너머의 배움, 개인적 경력 성공의 3개 주제군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내용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는 자신의 주도적 선택에 따른 특별한 경력태도 경험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경력태도를 재구성해 나간다는 점이다. 둘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경력태도 경험의 과정은 전문성을 갖추며 성장하고 있었다. 셋째,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형성으로 인해 개인적 경력 성공의 심리적인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형성 경험을 통해 자신의 좋아하는 분야의 일을 찾기 위한 열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보이면서 그 과정은 생존의 의미가 아닌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일을 찾기 위한 열정적인 삶의 태도를 보였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다양한 경험은 결국엔 일을 통한 열정이 자신이 추구하는 경력태도를 구체화하게 되고, 이것은 개인의 성장뿐 아니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성장을 함께 도모하고 있었다. 자신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과정은 ‘도전자’이자 ‘학습자’ 되기로 자신의 일에 대한 확신과 흔들림 없이 도전하고 자신의 길을 견고하게 다지는 기반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 시작 동기와 교수자로서의 경력태도 형성의 경험 인식과 그들의 행동적인 특성과 삶의 변화 등을 다각도로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 본 연구는 향후 1인기업 평생교육 교수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후속 연구가 가능할 수 있는 연구의 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otean career attitude formation of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for this study. First, what motivates individuals to begin teaching as one-person enterprises in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protean career attitude form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 one-person enterprises? Third, what changes emerge through the process of protean career attitude formation of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o explore the aforementioned research question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pecifically Colaizzi's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Seven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had a teaching experience of over 10 years and an one-person enterprise experience of over 5 yea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bsequently analyzed. As a result, three thematic clusters were identified: proactive choice, learning beyond experiences, and personal career succ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iscover their identity and reconstruct their career attitudes through unique career attitude experiences driven by their proactive choices. Second, the process of career attitude experiences among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volved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and personal growth. Third, the formation of protean career attitudes among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resulted 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experience of protean career attitude formation among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ey demonstrated an attitude of living a passionate life in pursuit of finding work in their preferred field. This process showcased an attitude of living a passionate life not for the sake of survival, but rather for finding work in their preferred field that they enjoy. The diverse experiences of protean career attitude ultimately lead to the concretization of individuals' desired career attitudes through their passion for work. This not only contributes to personal growth but also fosters the growth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nts. The instructors recognized that becoming both a 'challenger' and a 'learner'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diverse experiences and engaging in learning to secure their expertise is the foundation for having unwavering confidence and taking on challenges in their work, as well as solidifying their own path. This study explored the motivations for individuals to begin teaching as one-person enterprises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career attitude formation as instructors, as well as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life chang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As a result,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in-depth research on the protean career attitude experience of one-person enterpri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provided a research field where follow-up studies could be possible.

      • 1인 창조기업의 경영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정책을 조절변수로 

        장동민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정부의 지원정책이 1인 창조기업의 경영성과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로서 그간 추진되어온 정부의 지원 사업들이 1인창조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1인 창조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1인 창조기업가 특성, 1인 창조기업 특성, 환경요인에 대하여 도출하였다. 정부의 지원정책을 조절변수로하여 어떠한 요인들을 통해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 그간 추진되어온 정부 지원정책의 효과에 대하여 시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창조기업가의 특성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1인 창조기업 특성은 1인창조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1인 창조기업의 환경적 요인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그간 1인 창조기업을 대상으로한 정부의 지원정책 대부분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를 통해 정부는 더 나은 정책 마련하고, 이를 통해 1인 창조기업의 발전을 견인하기를 기대한다.

      •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태도 및 1인창작전문기업 육성 방안

        류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828

        본 연구는 생태계 관점에서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문제점의 발견과 그 정책적 해결 방안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첫째,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시장 구조 확인과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의 확인 및 역할, 상호관계들의 파악 시도 둘째, 문민정부에서 현재까지 문화산업분야, 문화콘텐츠 창작분야, 문화콘텐츠 분야 등의 정책 분석과 정부의 전반적인 창업 정책 분석 셋째,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과 유사 기업군들에 대한 특성 및 성공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의 특성에 대한 분석 시도 넷째,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행동적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태도에 대한 선행연구 다섯째, 이상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창작자의 창업에 대한 태도 분석을 위해 정량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량조사는 문화콘텐츠 창작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다양한 능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여섯째, 문화콘텐츠 각 분야별 창업에 대한 요구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심도 높은 파악을 위해 문화콘텐츠 창작자 8명을 대상으로 한 FGI와 문화콘텐츠 전문가 15명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곱째, 이상의 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은 전공 또는 희망 직종에 관계없이 모두 창업에 대해 낮은 태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상태에서는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는 이루어 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이에 대한 적극적 해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현재 문화콘텐츠 창작자의 창업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 확보이다. 때문에 창업은 창업 후 보다도 창업에 대한 의사결정 이전 단계에서의 지원과 배려가 중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는 전략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단계별 지원을 필요로 한다. 첫째, 창작기능습득단계로 창업 가치에 대한 인식과 창업에 대한 심리적 특성 강화, 도전의식 등이 주요 요소가 된다. 둘째, 창업관심단계로 사업전개에 필요한 마케팅, 경영, 인터넷 등 사업화 능력 배양과 자신감 확보, 상담지원 활동의 강화, 인큐베이팅 활동, 문화콘텐츠 분야별 특성에 따른 특성화된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교류와 사업 아이템 개발 지원이 중요하다. 셋째, 창업준비단계로 창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 향상 및 초기 창작활동을 위한 다양한 제작 지원책 마련이다. 맞춤형 창업정보 제공과 멘토링 프로그램, 상품 제작을 위한 지원 및 복지적 관점에서의 지원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창업초기단계로 제작인프라 지원, 마케팅과 유통 지원, 공동 프로젝트 전개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주체로서 정부, 지자체, 대학 등은 각각의 위상에 맞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핵심 지원 요소로는 창업 공간, 네트워크 구축, 장비 및 기술적 지원 등으로 지원 주체 세 곳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기본 요소들이다. 지원 주체별로는 대학의 경우 교과 과정 내에 학점과 연계하여 재학 중에 사업 아이템이 완성될 수 있는 기반 조성과 창업에 대한 긍정적 가치 인식 확대를 하여야 하며, 지자체는 창업 준비 및 초기 단계에 경제적 기반 환경 조성과 지역 기반 문화콘텐츠 창작물들의 유통・마케팅 지원을, 정부는 지자체와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 활동과 제도·법률적 지원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업을 통한 1차 창작물의 양적, 질적 확대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체의 활성화는 물론 방송·통신·전자 등 대부분의 기존 산업에서 경쟁력 확보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인창작전문회사는 문화콘텐츠 1차 창작물 생산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상으로서 이들의 활성화는 문화콘텐츠 생태계 전체의 활성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위계적 구조의 개선, 창작물이 아닌 창작자 중심의 가치 인식, 자본과 유통이 아닌 창의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쟁, 특정 분야만의 왜곡된 선택과 집중이 아닌 문화콘텐츠 전 분야에 걸친 공동의 발전, 기술자·비사회적 예술가로서가 아닌 창작자로서의 존재 인식, 대학 그리고 정책의 역할에 대한 명확성 확보, 마지막으로 창작 중심 상태에서 창작자들 간의 협력과 공동 발전 모색 등이 문화콘텐츠 1인창작전문기업 육성의 핵심적인 가치이며 나아가 문화콘텐츠 생태계 전체의 활기를 만들어 내는 핵심적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discovering problem areas based o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business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exploring ways to resolve policy matters. To that end, the paper makes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First, the paper identifies cultural contents business structure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cultural contents ecosystem and their functions and mutual relations; second, the paper analyzes policy areas, such as cultural business sector, cultural contents creation sector, cultural contents sector from the dawn of the civilian government to today, and analyzes the government's general entrepreneurial policy; third, the paper, through reviewing pri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and similar business entitie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fourth, in order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reato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business matters, the paper reviews prior studies on them; fifth,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studies, the paper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reators' attitudes on business foundation. A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paper conducted tests on 500 cultural contents creators, and through this, the paper was able to find out their psychological attitudes and various capabilities towards business foundation. Sixth, in order to attain in-depth analysis of demands for each sector in cultural contents business and its revitalization schemes, the paper conducted FGI on 8 cultural contents creators and expert test on 15 cultural contents experts. Sevent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paper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cultural contents one-person companies. As for the paper's findings, the cultural contents creators showed low attitude on business foundation regardless of the person's major or job that one wants to land 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revitalization of business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would not be realiz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e matter ultimately. Present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business attitude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is psychological factor, and it pertains to securing awareness about the business foundation and confidence. Therefore, as for establishing a business, it is more important to provide support and needed attention during stages before one arrives at a decision to establish a business, than to give them after one has already established a business. For revitalizing cultural contents creators' business establishment, the following step-by-step support is needed in strategic point of view. First, as acquisition stage for creative functions, awareness about business value, psychological reinforcement on founding a business, and a sense of challenge are primary elements. Second, as nurturing interest stage for founding a business, honing the needed business skills, such as marketing, managing, and internet skills, securing self-confidence, reinforcing counseling activities, supporting incubating activities, providing specialized support to each cultural contents sector, facilitating exchanges through building networks, and supporting development of business items are important. Third, as preparation stage for founding a business, forming social values about founding a business and providing various assistance programs for initial creative projects are important.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on founding a business, mentoring programs, support in development business items, and assistance programs from welfare point of view are necessary. Fourth, as initial stage of founding a business, providing production infrastructures, marketing and distribution supports, and structures for coope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are needed. As supporting entities for revitalizing business foundations of cultural contents creators,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ies must each perform its role consistent with its authority. As for primary support areas, providing space for founding a business, network structure, and equipment and technical support are basic areas on which these three supporting entities must consider providing services on. As for the universities, they must consider creating a foundation where students can develop business items while they are in school and for which they could obtain credit hours so that positive value on business foundation can be instilled. As for the local government, they need to create an economic foundation on which to support preparatory and initial stages of business foundation and to provid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ervices for regional cultural contents business products. As for the central government, it needs to provide policies that can induce cooperations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universities, and systemic and legal foundations. The expans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irst level products through cultural contents creators' business foundation can be said to be the central factor to not only the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cultural contents business but also the securing of competitive edge for the existing businesses like media,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One-person companies are central players in first level cultural contents products and their revitalization implies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cultural contents ecosystem. To that end, for promotion of one-person companies on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the emphasis must be put on improv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awareness of the value put on creator-centeredness rather than product-centeredness, new competition focusing on creativity rather than capital and distribution, general and equal development of the entire cultural

      • 공유오피스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연구

        김원준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3

        본 연구는 공유 오피스 이용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공유오피스의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포함한 구성요소들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사업형태에 따른 이용자별 구성요소의 우선순위가 추후 공유오피스 조성에 있어 이용 대상자에 따라 제공할 공유 오피스의 공간요소 제공 수준 및 범위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오피스 사무공간의 개념 변화 속에서 공유오피스의 등장과 진화를 파악하고, 둘째, 공유오피스 사용자를 분석하여 공유 오피스 유형을 구분하고, 셋째, 사용자별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여 향후 공유 오피스 구성시 가이드라인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공유오피스의 공급은 약 20년 전인 IMF 직후에 시작 되었는데 산업으로 분류할 만큼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는 공유경제의 확산과 더불어 2010년부터 많은 성장을 하게 되었고 그 성장의 중심에 있는 위워크의 2016년 국내 진출로 인해 코워킹오피스는 공유오피스 시장을 전통 비즈니스센터형과 코워킹오피스의 양분화를 이루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는 2015년 페스트파이브가 코워킹오피스 비즈니스를 단기간내에 다수점을 출점하면서 위워크와 더불어 임대시장으의 조건을 주도할 만큼 활성화가 되고 있다. 이에 임대산업과는 관련이 없는 대기업들도 코워킹오피스를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높은 공실률이 지속되는 임대시장에서 많은 건물주들이 직접 공급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하였다. 공유오피스는 계약의 형태로는 일정공간을 임대하여 소규모 공간으로 분할하여 재임대하는 전대 사업이다. 이런 계약관계와 상관없이 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자신이 속한 사업형태에 따라 공유 오피스를 선택하여 이용하게 되는데, 코워킹 오피스의 출현은 이 선택의 범위를 물리적인 공간의 영역으로 한정하지 않고 그 공간에서 벌어지는 이벤트, 이용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의 유무, 또 그러한 프로그램의 질적인 우수성까지로 확장하였다. 공유 경제의 확산은 이런 코워킹 오피스의 급속한 확산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리고 만성적 공실에서 벗어나 건물의 수익률을 원활하게 하고자 하는 건물주나 신사업의 주체로서 공유오피스를 조성하고자 하는 공급자들에게 공유오피스의 구성요소들 중 어떠한 요소를 우선시하여야 하는가는 공유오피스 운영에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비즈니스센터형이나 코워킹오피스형 모두 금액적인 부분으로만 사업 운영을 고려할 수는 없다. 일반 오피스 임대는 아무것도 가공되지 않은 채로 임차인이 직접 공간을 구성하는데 반해 공유 오피스는 입지, 면적, 건물의 퀄리티 등의 기본적인 임대 여건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사업형태에 따라 차별화된 공간을 구성하여 상품화해야 한다. 공유오피스의 주 이용자인 소규모 사업자의 확산이 가속화 되는 환경 속에서 이들이 잘 정착하고 정형화된 사업체로 자리잡는 것은 금융위기 이후 지속 침체된 경제를 극복하는데 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도 각 사업형태별 소규모 사업자의 니즈를 잘 반영된 공유 오피스의 공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급자가 보유하고 있는 환경 즉 제한된 공간과 물리적, 입지적 환경에 공간을 구성하여 공유오피스를 공급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상위개념의 1개층 요인으로서 고유업무공간과 업무지원공간 그리고 공유오피스의 양분화를 이끈 코워킹오피스의 컨테츠적 요소가 담긴 영역인 사업확장지원공간의 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하위요인의 2개층 요소로는 ‘고유업무공간’영역에 대해서는 다섯가지 항목, ‘업무지원공간’과 ‘사업확장’영역에서는 각각 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 13가지의 항목을 기준으로 공유오피스의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도심권역내 공유오피스를 선정하여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에 있어서는 전통비즈니스센터형과 코워킹 오피스형 입주자를 나누어 조사하지는 않았으나 설문 내용에 있어서 사업형태와 입주하고 있는 공유오피스의 유형을 구분하여 사업형태별 공유오피스의 유형별로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실제 이용자를 중심으로 1:1 설문을 실시하여 유효 인원 101명의 중요도 답변을 AHP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국내 상위 업체의 대표 및 운영 담당 임원을 만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많지 않은 표본수로 인한 제한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설문을 통해서 얻은 결론으로는 첫째, 공유오피스 이용자를 스타트업과 비스타트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사업운영에 있어 두 그룹이 생각하는 공유오피스의 구성요소의 중요도가 다르게 조사되었다. 둘째, 상위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 스타트업과 비스타트업에게 모두 고유업무공간이 가장 중요하였다. 셋째, 상위요인의 중요도 분석에 있어 두 그룹 간 두 번째 중요요인은 스타트업은 업무지원공간이, 비스타트업은 사업확장지원공간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종합 가중치에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공유오피스 공급시 고려할 만한 사항이 제시 되었다. 결론의 네가지 분석을 종합해 볼 때 공급자는 공유오피스 조성시 고유업무공간에 구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유형, 이 논문에서는 스타트업과 비스타트업으로 구분 하였으므로 스타트업 대상으로는 사업확장지원공간을 활용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적절히 구성하고 비스타트업을 대상으로는 업무지원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유오피스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공급자로 하여금 공유오피스 조성시 사용자의 니즈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스타트업과 비스타트업의 공유오피스 이용자들을 연구하였으나 스타트업의 비중이 높아 다양한 비스타트업종의 공유오피스 이용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코워킹오피스의 국내 출현이 채 2년밖에 안되었고, 이용자들의 입주기간이 짧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공유오피스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공유오피스의 수요층인 소규모 사업자의 증가가 서울로만 국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울 도심권을 넘어 전국적으로 연구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서울 내에서도 부도심과 도심권역의 이면 도로에 있는 빌딩의 공유오피스 공급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shared office components including the community program perceived by the users, and thereupon, suggest their priorities depending on the business types and thereby, propose the level and scope of the spatial elements of the shared office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shared offices. To this end, this study 1) reviews the emergence and evolvement of the shared offices affected by the changed concept of the office space, 2) analyzes the shared office users' perceptions to categorize the shared offices, and 3) analyzes the importance of the shared office components depending on users to suggest a guideline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shared office. Shared offices began to be developed about 20 years ago or just after the IMF bailout program, but their market has yet to be established enough to define them as an industrial sector. Nevertheless, as the concept of the shared economy h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hare offices have grown much since 2010. In 2016, the leading shared office company 'We Work' advanced into the Korean market, and thus, Core King Office began to draw attention, with the shared office market divided into the traditional business center type and the Core King office type. In 2015, FastFive launched multiple co-working offices in Korea, and thus, are now leading the rental office markets together with We Work. Thus, the large companies who were not related with the rental industry began to supply the co-working offices, and in the rental office markets where vacancy ratio is high, many building owners are going to supply the shared offices to users directly. Shared office business is a sub-lease business where a businessman rented a certain office space and then, comparted it to be re-leased to many lessees. Regardless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s, the users select the shared offices befitting their own business types. As co-working offices have emerged, the scope of users' selection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space, but expanded to the events within the space, inter-tenant program, and some qualitative business aspects. Expansion of the shared economy supports the rapid expansion of such co-working offices. The building owners who want to enhance the rental profits or the suppliers who like to develop the shared offices need to know about the priorities among their components, because such knowledge is important for their management of the shared offices. In both business center type and co-working office type, the rental business cannot well be operated only in terms of profits. While tenants tend to design the space that is void in case of the ordinary office lease, the shared office developers/managers are obliged to compose differentiated spaces in reference to location, area and building quality to meet potential tenants' business needs, and thereby, commercialize the compartments of the office building. Since small businessmen or the potential clients of the shared office market are spreading, it is deemed necessary to supply the shared offices reflecting their diversified need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shared office components assuming that the supplier should compose office spaces within the limited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ed space and geographic conditions to meet clients' needs. For the one-story space, this study composed original office space, business support space and business expansion space; the business expansion space contained contents of the co-working office that is one of the two pillars in the shared office market. For 2-story sub-components, 'the original office space' was divided into 5 sections, while 'business support space' and 'business expansion one' were divided each into 4 sec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each shared office component based on these 13 sections, this study sampled the shared offices in a downtown of Seoul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shared office users. In this survey, users of the traditional business center type were not separated from the co-working office users, but in the questionnaire, the office type was divid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each shared office component. This study had a face-to-face interview with the shared office users, and used AHP technique to analyze the responses from 101 users, and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CEO of a high-ranking shared office operator and its director-in -charge in an effort to offset the mal-effects of the small sample. The analysis of the surve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users of the shared office users could be divided into startups and non-startups. The importance conceived of the shared office components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upper factors, the original office space was most important for both groups. Thirdly, the second most important component was business support space for the startups, and business expansion support space for the non-startups. Lastly, based on the weighted results, some considerations for supply of the shared offices were suggested. Summing up, suppliers were surveyed centering around the composition of the office spaces, while users were divided into startups and non-startups. It was deemed necessary to compose the business support spaces appropriately for the startups, while enhancing the efficient business support spaces for non-startup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shared office components and thereby, suggested a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the shared offices reflecting users' needs. However, this study may be limi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ampled startup users and non-startup ones, but since the startups overwhelm the non-startups in terms of numbers,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isolate the non-startups' users of the shared offices. Secondly, it is only 2 years since the co-working offices were introduced to Korea and moreover, the users have been working in their shared offices for a short period. Hence, this study should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continuously.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expand their scope throughout the nation since the clients of shared offices are not limited to Seoul. At the same time, Seoul should be divided into sub-downtowns and downtown and thereby, the possibility that the shared office buildings could be developed on the backside roads should be explored.

      • 1인 창조기업의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컨설턴트의 역량과 경영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양희철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7

        ABSTRACT A Study of the Effect of Consulting on One-Person Creative Company -Focused on Consultant Competency &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Yang, Hee-Cheol Major in Management Consulting Dept. of Knowledge Service & Consulting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Service Consulting Hansung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onsulting on one-person creative company by the consultant's competency and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mprove consulting performance for one-person creative company. Consultant's competency is classified as basic, task and managerial competency.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by business planning ability, specialist knowledge, utilization ability of external resources, and the level of reliability about consulting, passion, target consciousness, and sense of ethics. Consulting performance is classified as the degree of completion for consulting project and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manager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agerial competency of consultant's competency give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performance. Task competency gives no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completion for consulting project but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managerial performance and consulting performance. The basic qualities of consultant's competency gives no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performance. Second, the level of reliability about consulting that is one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performance. Entrepreneur's passion gives no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managerial performance but have an effect on the degree of completion for consulting project and of consulting performance. But the more specialist knowledge increases, the less consulting performance declines. Meanwhile, the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show no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consultant's competency and consult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as the task and managerial competency of consultant's competency, the level of reliability about consulting, passion, and sense of ethics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improve, the consulting gives mo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ntribution toward consulting performance. And this suggests that consulting performance can be different by consultant's competency and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when one-person creative company gets a professional consulting. Level of reliability about consulting, passion, sense of ethic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y CEO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for consulting performance. This thesis would lead consulting firm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consultants. For one-person creative company’s CEO, this should be helpful when they are making decisions related to consulting. Results of this study also can be useful for government and enterprise supporting agency to establish the policy direction. Key words: one-person creative company, consulting, consultant's competency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consulting performance, the degree of completion for consulting project,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managerial performance. 국 문 초 록 1인 창조기업의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컨설턴트의 역량과 경영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지식서비스&컨설팅학과 매니지먼트컨설팅 전공 양 희 철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에 대한 컨설팅 시 컨설턴트의 역량과 경영자의 특성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1인 창조기업을 위한 컨설팅 성과를 제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컨설턴트의 역량은 기본자질, 직무역량 및 관리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1인 창조기업 경영자의 특성은 업종 전문지식, 사업 기획력, 외부자원 활용능력, 컨설팅에 대한 신뢰도, 열정, 목표의식, 윤리의식으로, 컨설팅 성과는 컨설팅 프로젝트 완성도와 경영 성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컨설턴트의 역량 중 관리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역량은 컨설팅 프로젝트 완성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경영 성과와 컨설팅 성과에는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컨설턴트의 기본자질은 컨설팅 성과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 특성 중 컨설팅에 대한 신뢰도는 컨설팅 성과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자의 열정은 경영 성과에는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컨설팅 프로젝트 완성도와 컨설팅 성과에는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영자의 업종 전문지식은 높을수록 컨설팅 성과는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경영자의 특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 분석한 결과 전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컨설턴트의 직무역량과 관리역량 그리고 1인 창조기업 경영자의 컨설팅 신뢰도, 열정 및 윤리의식 등이 향상 될수록 1인 창조기업의 컨설팅 성과는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인 창조기업이 경영성과의 개선을 위해 컨설팅을 수진할 때, 컨설턴트의 역량과 1인 창조기업 경영자의 특성에 따라 컨설팅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과 1인 창조기업 경영자가 높은 수준의 윤리의식 및 열정을 가지고 해당 컨설팅을 신뢰하는 것이 컨설팅 성과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 컨설턴트의 양성을 통한 컨설팅사의 경쟁력 강화와 1인 창조기업 CEO의 컨설팅 관련 의사결정 및 정부나 기업지원기관의 1인 창조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설정 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주요어】1인 창조기업, 컨설팅, 컨설턴트의 역량, 경영자의 특성, 컨설팅 성과, 컨설팅 프로젝트 완성도, 경영성과

      • 1인 콘텐츠 창작자의 경영자 역량 및 특징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작자의 특성을 조절효과로

        하창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47

        2019년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문화 예술 관람률이 80%를 돌파하고, 5G,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시장이 전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콘텐츠 산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콘텐츠 산업은 21세기 경제를 이끌어갈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콘텐츠 산업의 매출액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5.6% 이상씩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콘텐츠 산업이 성장하는 이유는 콘텐츠의 수요가 확대되고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웹툰, 유튜브 등과 같은 플랫폼이 발달함에 따라 1인 크리에이터, 1인 콘텐츠 창작자의 창업의 흐름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에 정부도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각종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고 창업에 대한 지원 등을 약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실제로 1인 기업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됐을 때 경영성과를 내지 못하고 폐업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콘텐츠 분야에서 좋은 경영성과를 이뤄내기 위해 필요한 방법 등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즉, 콘텐츠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여 1인 창조기업에 초점을 맞추었고, 기본적인 기업이 가지고 있어야 할 장점 등을 채택하여 해당 역량과 특징이 콘텐츠 관련 사업의 경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주요 변수인 1인 창조 기업 경영자의 역량 및 특징, 경영성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였고, 창조기업의 역량 하위 변인은 ‘전문지식’과 ‘네트워크’, 창조기업의 특징의 하위 변인으로는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을 활용하였다. 조절변인으로는 콘텐츠 창작자의 특성을 활용하였고, 종속변수는 경영성과로 총 7가지로 요인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역량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일부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하위요인으로는 인적 네트워크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 지식의 경우 정(+)의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전문지식이 낮아도 경영성과를 이뤄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경영자의 창업가적 특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하위요인으로는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콘텐츠창작자의 특성이 경영자의 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일부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하위요인으로는 인적 네트워크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콘텐츠창작자의 특성이 경영자의 창업가적 특징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단계적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해 조절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분석된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창조기업은 일반 회사보다도 외부와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사업이 유지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특히 네트워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 둘째, 콘텐츠의 특성상 1인 콘텐츠 기업의 경우 혁신성, 성취성, 위험감수성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을 통해 경영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운영제도를 수립해야 한다. 셋째, 콘텐츠 업종의 특성상 1인 창조기업의 경영자가 각 변인의 요소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충분히 성과를 낼 수 있고, 네트워크 부분은 반드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As South Korea’s rate of enjoying culture and arts exceeded 80% for the first time in 2019 and the 5G and Over-the-Top (OTT) market expands throughout the world, expectations and attention towards the contents industry are growing more than ever. In addition, the contents industry is receiving attention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lead the global economy in the 21st century, with an average sales growth of 5.6% between 2013 and 2017. The causes of its growth are increased demand for contents and development and the widespread of platform such as KakaoPage, Naver Webtoon, and YouTube, which have expanded the number of startups such as one-person creators and one-person contents creators. To nurture the contents industry, the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various policies and promised support for startups. However, many one-person companies have also shut down due to the inability to generate management performance.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and find methods for them to generate positive management performances in the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by reflecting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adopted the strengths the companies should have, in order to examine how such competence and characteristics impacted contents industry’s management performance. Using SPSS 23.0, this research conducted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verified the research model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clarified the causality between its major variables, which are the managerial competence, characteristic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This study also us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network’ as the sub-variables of creative companies’ competence as well as ‘innovativeness’, ‘desire to accomplish’, and ‘risk sensitivity’ as the sub-variables of creative companies’ characteristics. Finally, this research used contents’ creators’ characteristics as moderating variables and used management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7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a few factors of managerial compet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human network was the subfactor having positive impacts. While professional knowledge did not have a positive (+) impact, the study confirmed that low professional knowledge could also achieve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all factors of manager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while innovativeness, the desire to accomplish, and risk sensitivity had positive impacts as the subfactors. Third, a few factors of contents creators’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managerial competence and performance, and its subfactor with positive impacts was human network.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ntents creators’ characteristics on manager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erformance could not be confirmed because it could not satisfy the phased condi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should put in more effects to manage their networks since their business is often maintained based on partnership with the outside more than regular companies. Second, one-person contents companies need innovativeness, achievement, and risk sensitivity due to the nature of contents and should establish an operation standard to generate management performances. Finally, manager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should be able to generate enough performances despite the shortage of each variable and setup a system to manage their networks, due to the nature of contents industry.

      • 1인 창조기업 경영자의 역량 및 특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근탁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7

        세계적인 경제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제체제가 산업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 그리고 창조기반 경제라는 새로운 경제체제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지식기반경제에서 양질의 정보를 빠르게 획득하는 것을 벗어나 지식들을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해 가공하고 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미래지향 산업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1인 창조기업이 성장, 발전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지며 산업 여건을 조성함으로 인해 1인 창조기업의 육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특성에 맞춘 정부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을 경영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역량 및 특징에 따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정부지원정책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 지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1인 창조기업 경영자와 정책개발자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첫째, 경영자의 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경영자의 역량은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의 역량은 전문지식, 사업기획력, 인적네트워크로 구성하였다. 전문지식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업기획력과 인적 네트워크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초기의 경영자들의 전문지식이 상업성 있는 상품으로 발전까지는 개인의 전문지식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났으며, 사업화 과정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비즈니스를 위한 사업기획력은 사업아이템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성공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인적 네트워크는 규모가 작은 1인 창조기업들이 그 동안 관계를 지속해 온 지인들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올리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아 이와 같은 결과나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경영자의 특징과 경영성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영자의 특징은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의 특징은 도전정신, 몰입정도, 목표추구, 혁신성 네가지의 요인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도전정신과 몰입정도는 기존연구들과 같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창업기업들의 성공요인이다. 이는 1인 창조기업 경영자에게 반드시 요구됨을 의미한다. 하지만 목표추구와 혁신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설문대상자의 주관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는 요인들로 1인 창조기업 특성인 개인의 성향이 반영됨으로 일관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기 어려웠다고 판단된다. 특히 목표추구 요인의 경우는 정확하고 확고한 목표를 정하여 비즈니스를 하는 1인 창조기업이 많지 않다. 셋째, 경영자의 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정부지원정책은 부분적으로 영향이 미친다고 나타났다. 전문지식의 경우 정부지원정책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경영성과에 영향이 미치고 있었다. 사업기획력의 경우 역시 정부지원 정책에 따라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1인 창조기업 경영자의 역량 중 인적네트워크는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경영자의 특징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정부지원정책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경영자의 특징 가운데 도전정신과 목표추구는 정부지원정책이 높다고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정부지원정책의 1인 창조기업 경영자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를 발휘한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경영자의 특징 중 몰입정도와 혁신성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