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의회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광역의회를 중심으로

        전선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0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는 1991년 30년만에 지방의회를 구성하고, 4년뒤인 1995년에는 시장·군수·도지사를 주민이 직접 선거함으로써 지방자치제도의 기틀을 완성하였다. 이로써 중앙정부의 지방행정구역에 지나지 않았던 자치단체는 주민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자치’단체로서, 자치단체장은 중앙정부의 지휘와 감독에 따르는 일선행정기관이 아니라 자치단체의 목적을 수행하는 집행기관으로서 그리고 주민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주민대표기관으로, 구시대의 자문기관과는 비교할 수 없게 바뀌었다. 지방의회는 주민의 의사를 형성하고 통합·조정하는 자치단체의 의사결정기관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의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볼 때 지역주민들의 기대에 못미치는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것은 지난 30여년간 중앙집권적 권력체계에 익숙해진 정치인, 공무원, 주민모두가 새롭게 접하게된 지방의회에 대하여 지나치게 높은기대를 한데에도 원인이 있지만, 이렇게 된데에는 중앙집권시대 때 만들어진 각종법령을 지방자치시대에 알맞게 개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의회만 구성하였기 때문에 지방의회가 본연의 역할을 다하기에는 법적·제도적인 제약이 많았다는 점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목적은 지방의회 제2기로 평가되는 95년부터 3년간의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실태를 분석하고 지방의회의 회기운영에 있어 민주성·능률성·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개선함으로써 지방의회가 의정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체계를 가지고 있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연구방법을 기술하였다. 제2장은 지방의회의 회의운영·이론적 배경에 관하여 고찰을 시도하였다. 지방자치시대의 지방의회의 존재이유와 지방의회의 지위, 지방의회의 권한에 관한여 논하였다. 그리고 선행논문 3편을 집중분석하여 살펴보고, 연구분석의 틀을 구성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의회제도를 살펴보고, 지방의회의 운영 및 회의유형, 지방의원의 지위 및 자질, 지방의회의 예산·결산심사, 행정사무감사·조사, 의회사무처기구와 인사권등에 관하여 현실태를 파악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방의회의 운영상 측면, 법적·제도적 측면, 행태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앞서 분석하고 살펴본 문제점에 대해 개선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골자를 살펴보면, 지방의회운영에 관하여 본회의 운영은 시·도정질문시 중복질문을 피하고, 서류제출 요구범위도 줄이며, 집행부의 질문에 대한 답변시에는 주민의 대표기관인 점을 깊이 인식하고 충실한 답변을 기하여야 하며, 행정의 다양화. 전문화 추세에 맞게 상임위원회수도 늘리고 위원회에 소속된 위원수는 5~6명으로 축소하는 한편, 교육위원회 운영체계도 개선하여 이원화되어 있는 예비심사단계를 일원화시켜 효율성을 기하도록 제시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정치·행정권한을 강화하기위해 지방분권의 확대실시와 행정사무감사시기조정·정부예산확정일과 연계한 회계연도의 변경, 회기운영의 신축적인 운용과 회기수당지급의 현실화, 지방의원의 유급직도입검토, 주민세급납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예산·결산의 심의내실화, 행정사무감사·조사의 실효성확보 및 인사권독립 등 법적·제도적 문제점을 조속개선하여야 하고 또 지방의원들의 역할제고를 위해서는 지역이기주의불식과 청렴성등 지방의원의 자질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제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지난 10년간의 의정활동 성과를 거울삼아 21세기에는 지방자치의 꽃을 피워야 하겠다. A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 was formally launched through the 1991 revitalization of local councils and the 1995 direct election of mayors and governors. Local governments and councils, which had been only lower-level administrative uni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past, became autonomy bodies for the purpose of their residents' welfare promotion, executives implementing their own duties, and representatives responsible for their residents. As a result of this, local councils have acquired their position as decision-making organizations which formulate, integrate and coordinate the residents' viewpoints. However, local councils do not receive a high reputation from the residents in a number of aspect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politicians, public servants and resident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the central government system for the past thirty years, have had too much expectation over the roles of local councils. In this regard, there is a more fundamental cause for such a problem; we can point out the fact that as some of the nation's laws and regulations enacted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system still remain in force, they prevent local councils from playing their own roles to the fullest.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has been to explore the efficient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local councils' activities by means of analyzing those outcomes made for the last three years (1995~1998) and reviewing the democracy,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the overall operation of local councils. For doing this, the basic frameworks of this thesis are given in the following: Chapter 1 describ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Chapter 2 examines the operation of local councils and its relevant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its establishment rationale, legal position and rights; Chapter 3 investigates the system and session operations of local council, the position and calibre of local councils' members, annual budgets, administrative audit, secretariate system and personnel; Chapter 4 looks into the problems addressed in Chapter 3 -- the operation, legal matters and other institutional aspects of local councils; and Chapter 5 sugges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and solution on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ose suggested solutions are in the following: in the operation of plenary sessions, questions should not be duplicated, the requested scope of document submission should be narrowed down, and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sincere and adequate answers. And the number of Standing Committees should be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polar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those Committee members should be reduced to five or six, and the binary system of education committee in preliminary examinations should be united into a single framework.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ights of local autonomous bodies, the local system of divided powers should be expanded. And other subsequent improvement methods are suggested as below: the opening-time coordination of administrative audits, the revision of fiscal year connected with budgeting schedu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flexible operation of sessions, the normalization of session allowances, the regular salary system for the council members, the intensification of budgeting review procedures related to the local tax incomes, the substantive implementation of administrative audits and investigations, and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personnel management. And, for the enhancement of the council members' roles, the regional factionalism should be eliminated, and those council members's capabilities should be increased. In the era of full-fledged localization in Korea, based on the past ten years'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in local council operations, the future endeavors should be carried out in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way.

      • 中等 科學敎科의 效率的 運營을 위한 敎科經營體制에 관한 硏究

        최동우 韓國敎員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0

        이 연구는 중등학교 과학교과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견해를 조사·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원이 지각하는 중등학교 과학교과의 운영 실태는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2. 중등학교 과학교과의 경영체제에 대한 교원의 요구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제작한 질문지를 통계처리하여 해결하였다. 이때 문제점은 과학교과의 운영 실태가 미흡하다고 반응한 교원들에게만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교원 120명이었다. 연구자는 사용가능한 104부의 질문지 자료를 SPSS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문항의 성격에 맞게 x^(2)검정, t검정, F검정의 결과값을 출력하여 분석·해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중등학교 과학교과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과의 교육목표와 방침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었고, 문제점은 과학교과의 교육목표달성을 위한 경영방침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과학교과의 교육목표달성을 위한 경영방침을 구체적으로 기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학교과의 인적·물적자원에 대한 조직계획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보통으로 수립되어 있었고 문제점은 과학교과의 운영조직인 과학부 조직이 교수보다는 업무중심으로 계획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관리자와 교사들의 충분한 협의와 과학부 조직을 교수중심으로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과학교과경영의 활동계획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잘 수립되어 있었고, 문제점은 과학부 조직구성원의 역할분담 계획이 직접적인 교육활동보다는 교과관련 업무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과학교과경영의 활동계획 수립시 저경력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교과관련 업무 중심으로 역할분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과학교과경영에 대한 평가계획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보통으로 수립되어 있었고, 문제점은 평가방법과 대상, 평가결과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미흡하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평가방법과 대상, 평가결과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과학교과경영을 위한 조직편성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보통으로 편성되어 있었고, 문제점은 교과협의회와 연구·연수조직의 편성이 비효율적이고 과학부 구성원의 역할이 업무중심으로 분담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교과협의회와 연구·연수조직을 효율적으로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과학교과경영을 위한 조건 정비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잘 정비되어 있었고, 문제점은 과학교과 운영을 위한 교과환경(실험실, 연구실 등)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과학교과 운영을 위한 교과환경(실험실, 연구실 등)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과학교사의 연구·연수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보통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문제점은 과학교과의 연구·연수조직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교사들의 연수기회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과학교과의 연구·연수조직을 활성화하고 연수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덟째, 과학교과경영에 대한 평가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평가의 합리도가 보통이었고, 문제점은 평가목표와 평가준거가 불명확하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평가목표와 평가준거를 명확히 기술하여야 할 것이다. 아홉째, 과학교과경영에 대한 평가결과의 활용에 대해 실태면에서는 대부분 중등학교에서 평가결과가 보통으로 활용되고 있었고, 문제점은 평가결과가 학생들의 학력평가로 끝나고 과학교과경영의 모든 단계별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평가결과를 과학교과경영의 전 과정에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2. 중등학교 과학교과의 경영체제에 대한 요구에 관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과의 교육목표와 방침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년도 과학교과의 교육실태를 면밀히 검토하여 경영방침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기술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교과의 인적·물적자원에 대한 조직계획을 충실하게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학부, 교과협의회, 연구·연수조직을 교육활동 중심으로 치밀하게 계획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과경영의 활동계획이 더욱 잘 수립되기 위해서는 계획 수립시 과학부 조직구성원의 역할분담을 교육활동 중심으로 계획하며 교과협의회, 연구·연수조직의 세부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교과경영에 대한 평가계획이 잘 수립되기 위해서는 평가결과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준거를 명확하게 제시하여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과학교과경영을 위한 조직을 잘 편성하기 위해서는 과학부, 교과협의회, 연구·연수조직을 교육활동 중심으로 효율적으로 편성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과학교과경영을 위한 조건을 더욱 잘 정비하기 위해서는 교과내용에 부합되는 세부적인 과학교과예산을 편성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과학교사의 연구·연수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교과의 연구·연수조직을 다양화하여 과학교사의 연구·연수가 내실있게 운영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과학교과경영에 대한 평가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 평가목표와 평가준거를 명확히 기술하고 과학교과경영의 전과정에서 투입·과정·산출요인을 고려한 합리적인 평가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과학교과경영에 대한 평가결과가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평가결과를 과학교과경영의 모든 단계에서 각 단계에 알맞은 방법으로 학생들의 지도자료로 충분히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교육행정)학위 논문임.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opinions of teacher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science subject in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the issues of study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What do teachers think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and problems of science subject in secondary schools? 2. What are the teachers' requests about the management system of science matter in secondary schools? The above issues of study were solved by taking statistics on the questionnaires based on documentary investigation. The subject of research was 120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schools in Kyeonggi-do. The researcher perform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y outputting resultant values of x^(2)test, t test, and F te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after inputting 104 available copies of questionnaire materials into the SPSS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nclusion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and problems of science subject in secondary schools we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purpose and principle of science subject was set normal in the most secondary schools, and the management principle was not concretely describ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science subject. Second, The actual organization of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is normal. So the system of science department is task-centered rather than instruction-centered. Third, The activity plan on the management of science subject was well established and the problems about this is that the role division of teachers is also task-centered. Fourth, The evaluation plan on the management of science subject is normal compared with the standard, and the problems are that the detail scheme of ways, subjects, and applications is deficient. Fifth, The organ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science subject in the secondary schools is normal and the problem of formation is inefficient and task-centered. Sixth, The condition for the management of science subject was well established, but the actual environment(lab, study room, etc.) is deficient. So the budget of science subject should be organized being related to the contents of science subject. Seventh, Most science teachers' research and training is normal and the problems are that they are operated formally and the chances are very deficient. Eighth, The rationalism of evaluation is normal and evaluational purpose and base are indefinite. And the improvement points are to clarify them and to evaluate the factor of input, process, and output in every level. Ninth, In most secondary schools, the result of evaluation was normally utilized and it was not used in every level of the mangement of science subject. 2. The conclusions about the requests of mamagement system of science matter in secondary school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s needed to set the principles more rationally and the principles should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econd, It is necessary that the enough discussion between teachers and manager should be made and the system should be planned to be more instruction-centered. Third, Young teachers' participation are needed in establishing the plan of the subject management more instruction-centered and more detail. Forth, We need to establish the detail plan about the way, subjec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and offer definite evaluation base. Fifth, To organize a better system, the science department instruction-centered should be formed. Sixth, The specified budget conforming to the contents should be composed to improve actual conditions(lab, study room, etc.). Seventh, It is necessary to vary the system and to offer enough chances. Eighth,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evaluation purpose and base definitely and to evaluate rationally considering all the factors. Ninth, In order to make good use of the result of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it sufficiently as a student guide material in every level.

      • 學校運營委員會의 運營實態 硏究 : 榮州市, 奉化郡 學校運營委員會를 中心으로

        金明煥 동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민주적 정착을 위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의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과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시행상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제도적인 개선과 효율적인 운영 방향 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주시, 봉화군내 초, 중등학교 학교운영위원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여 성별, 연령별, 학력별, 학교급지별 등으로 구분하여 결과 처리를 하였다. 학부모위원 선출에서 현재는 선출방식의 미흡으로 그 대표성은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참여율을 극대화한 학부모회의 공식화로 대표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또 교사위원은 경력별, 성별에 따라 민주적 절차에 의한 비례대표제로, 지역위원은 지역사회의 대표성을 띈 인사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좀 더 대표성 있는 위원을 선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교운영위원의 전문성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운영상의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대표성을 가진 인사를 선출한 후 다양한 연수 활동 등을 제공하고 학교정보를 공개하여 위원으로서 소양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 의사결정에서 모든 위원들이 동등한 권한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 의제 심의에 있어 학교장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교사, 학부모위원 활동의 위축을 시사하므로 교사들이 소극적, 수동적 참여에서 탈피하여 전문적 입장에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 한차원 높은 역할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서 나타나고 있는 역기능들은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조 강화를 통해 순기능으로 정착시키고, 좀 더 바람직한 학교 공동체를 만드는 노력을 통해 합리적인 운영체제를 발전시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for the democratic settlement of School Operation Committee, look into what the Committee is meant to, the basic direction and actual operation status of it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nd then tried to find the way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effective operation by examining the problems in operation.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nd collected from 414 members of the Committe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Bongwha County, Youngjoo City, and the data were classified and treated by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grade of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actual operation status of School Operation Committee Currently, the selected parents members of the Committee fail to fully secure their representative rights due to inappropriate way of election. Therefore, their representativeness needs to be reinforced by formalizing the Parents Association maximizing members' participation, and the Committee should be consisted of more representative members by preparing the device to elect teacher members by proportional system of democratic steps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gender, and to elect more representative district members. Since the members of School Operation Committee who turned out to lack specialty could cause malfunction to its operation, their grounding as the members should be developed by providing them diverse training programs and information on school, after electing representative members. The equal right for every member in decision making may be ideal, but actually it turned out that the principals have exercised the largest influence on actual deliberation, and since this means the dispirit of teachers and parents' activity, their one levelled-up function including coordination as professional should be pursued, escaping from negative and passive participation. Therefore, the malfunctions shown in operating School Operation Committee should be settled down as normal function through the reinforced close cooperation between school, parents, and community, and the reasonable oper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efforts to make more desirable school community.

      • SCM에 의한 물류센터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효섭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3

        As the logistics center is one of warehouse businesses, which can be divided into own warehouse and rent warehouse by operation type. The study had been done mainly with the domestic situations and cases in order to fi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ogistics centers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The findings thereof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ogistics centers in Korea are undergoing the difficulties of the management due to falling profitability by severe competition among unprofessional small-medium businesses since July 2000 when the warehouse business license system was abolished. Exaggeration of the vision of the warehouse business invited the rapidly rising number of the wareho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since 1997, which is supersaturated against the logistics volume. In the meantime, there showed overs and shorts locally. Secondly, the logistics centers in Korea are out of date comparing to the advanced countries. The national logistics expenditure of Korea has been maintained 12.4% against GDP for last 10 years, which accounts for high cost system. The level of investment in SOC of Korea ranked the global 21stas of 2002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gistics based facility was of the global 23rd rank. Thirdly, the logistics centers in Korea turned out necessary for the studies and the strategy not only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grow as the North-East logistics hub but also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logistics base and centers on the verge of the globalization, the openness and the progress of the Korea-China-Japan FTA, by thoroughly resolving their paltriness, unprofessionalism of warehouse operation, receiving-sending and dissatisfactory position as a base for the distribution. Fourthly, most of the logistics centers in Korea have the high-cost and low-efficiency structure due to imperfect market system, tougher competition and coming of foreign warehouse operators. Thus, paltriness of logistics warehouse business (decrease of occupancy, aging facility and facility extremity), simple piling warehouse, insufficient information system and shortage of professionals failed to make the logistics centers advanced, the concerns for small-medium companies tobe put aside by the absolute lack of accumulative capital, too many logistics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shortage of management technology of logistics center operation, difficulties to find right workers for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floods of unlicensed warehouse runners. In order to improve the foregoing problems, the study set out the following point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settlement of the logistic centers in addition to IT and standardization to improve the logistics center network. Firstly, the strong interest and support of the top management are required. The change of the existing organiz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practices is necessarily accompanied to operate the logistic center. That is, since the change ofthe old idea and way of management - particularly innovation of transaction practices ? as one of management innovation is necessarily accompanied, proactive interest and support of the top management, close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 or with transaction counterparts and education and PR for employees are required. Secondly, the proactive use of IT is required. Today, the key in the most of the logistics innovation is about how much IT can be used. While the activities to connect logistics activities related information flow to the concerned depar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is the main scope of IT use for an individual company, extending the organizations? business, i.e. between distributors and manufacturers, logistics operators and specialized transportation and warehouse operators, and manufacturers and suppliers, is the main scope of SCM. Thirdly, the change of organization structure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s accompanied. In order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logistics center system properly, as adjustment and integration all over the supply network are required, the collaboration beyond the boundary of organizations is required. Also in SCM, the suppliers and the manufacturers must adjust logistics activity and performance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end users with the focus on the end users as well as wholesalers and retailers directly connected in the supply chain. The SCM organization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reduce time, cost and inventory all over the supply chain by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물류센터는 창고업의 일환으로 실제 운영상으로는 자가 창고와 영업창고로 구분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물류센터의 운영 현황과 발전적 시사점 모색을 위해 국내 현황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물류센터는 2000년 7월부터 창고업등록제가 폐지됨에 따라 경쟁 격화,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중소 영세업체들의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하락으로 경영의 어려움을 갖고 있고, 창고업 비전에 대한 과대포장 등으로 1997년 이후 수도권 중심으로 한 창고 숫자의 급격히 증가로 수도권에는 물동량 대비 과포화 상태이며 지역별로는 물동량의 상황에 따라 과부족의 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국내의 물류센터는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많이 낙후되어 있는 실정으로 지난 10여년간 우리나라 국가물류비는 GDP대비 12.4%대의 고비용 체제를 지속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수준은 2002년 기준으로 세계 21위이고, 물류기반시설의 경쟁력은 세계23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의 물류센터는 영세성과 창고 운영의 비전문성, 수.배송 및 유통가공 활동을 거점으로서의 역할 미흡에 대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소하므로서 동북아 물류 허브(Hub)로서 성장할 기회는 물론 , 세계화 및 개방화와 한중일 FTA의 진전으로 인한 물류거점과 물류센터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한 연구활동 및 대응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의 물류센터는 불완전한 시장구조와 경쟁강화, 외국 창고업체의 진출로 인한 고비용, 저효율 구조가 확산되어 있어 물류창고업의 영세성(임대율 저하, 시설노후화, 시설양극화), 단순적치형창고, 정보시스템화 미흡, 전문인력부족으로 인하여 선진 물류센터화의 선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축적자본의 절대 부족에 따른 중소업체의 배제우려, 물류센터의 수도권 편중, 물류센터 운영의 관리기술 부족, 열악한 작업환경에 의한 구인난, 무허가 창고업체 난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물류센터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정보화 및 표준화와 다음과 같은 물류센터의 성공적인 운영과 정착을 위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최고경영자층의 강력한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물류센터 운영에는 기존의 조직구조 및 업무 관행의 변경이 반드시 수반된다. 즉, 일종의 경영혁신으로서 기존 사고의 변화와 경영방식의 변경. 특히 거래관행의 개혁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므로 최고 경영층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그리고 사내 부서간 또는 거래 상대방과의 긴밀한 협조체계, 직원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 IT)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오늘날 거의 모든 물류 개혁에 있어서의 초점은 정보기술을 얼마만큼 활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물류활동과 관련된 정보의 흐름을 조직내 관련부서로 연결하는 활동이 개별 기업의 관점에서 취할 수 있는 IT 활용의 주 영역이라고 한다면, 이를 조직간으로 확대하여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간, 그리고 물류업체와 전문적인 운송?창고회사간,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로 연결하는 것은 SCM의 관점에서 취하게 되는 주 활용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조직구조와 성과측정 시스템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물류센터의 시스템 도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공급망 전반에 걸친 조정과 통합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직간의 경계를 넘어선 협력업무가 필요하다. 또, 공급망관리(SCM)에서는 공급업체와 제조업체들이 공급망에서 직접 연결되는 도소매상뿐만 아니라 최종 소비자에게 초점을 두고 최종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물류활동과 성과측정 시스템을 조정시켜 나가야 한다. SCM은 성과측정 시스템에 공급체인 전반에 걸친 시간?비용?재고의 감소를 꾀할 수 있도록 집단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을 설계하여야 한다.

      • 특기·적성 미술교육의 효율적 운영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張明淑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which has an important interaction with textbook activities is an educational policy that was gener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is name was changed from 'educational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Education Reformation Plans in May 31, 1995 to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ducational aim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howed four aims together with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and management plans to the province and the city branch office.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al problems which are being enforced at present with four aims. I presented some basic tips on this study to activate the specialty aptitude that was high interested latest after exploring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developmental reformation pla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students' parents and tutors who attending the specialty aptitude class in seven elementary school in Gimcheon. Consequently, I observed whether the results are reaching to the four aims which were presented from the authorities. Here are some outcomes by four aims. First, we should provide the student with the chances which are able to extend students' aptitudes and hobbies. As a result of the first aim by students' investigation, we should be in a hurry with developing various programs but don't have enough time. To be a creative learning with thinking of the students' interest, concerning, personal difference which are the 7th curriculum basic directions, the authorities have to supply every school with the fine arts classroom, the material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lass variously, and the class which can use the computer. In these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student will be a help to develop their characters and aptitudes. Second, we hav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ersonal costs about the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problem of our countr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students' parental recognition about this problem, we had cut down the personal costs but some schools has been less effective than the personal institutes at the point of the operation. To improve this, the tutor try to make a high quality class and to come true the quorum-individual class. After then, the students' parents should depend on the authorities. Third, we have to promote the club-centered cultures together with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To solve this, we try to open the exhibition of student work to show their cultivated abilities for one year to the teacher, the other students and their parents. Fourth,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must assimilate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to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use school facilities and local, social and personal activities to the maximum. To accomplish this, school have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using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s a result, the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is operated effectively when these aims are gone well with. To progress the tutors' practicing will, the enthusiastic attitudes for class and their abilities, the authorities should make the tutor educate in the training center periodically. If teachers, parents and authorities are interested with this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continuously, the students will take the high quality class with satisfaction and enj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