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계정보를 이용한 외식기업의 효율성 분석

        이승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회계정보 즉, 외부감사보고서를 이용하여 국내 외식기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술적 효율성, 순수기술적 효율성, 규모 효율성 등을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규모의 보수(Returns to scale)역시 살펴보았다. 또한 외식기업의 경영특성을 세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여 좀 더 효율적인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국내브랜드, 해외브랜드 그리고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복합브랜드로 구분하였고, 둘째로는 대기업계열과 비 대기업계열로 구분하였다. 마지막 셋째로는 프랜차이즈와 비 프랜차이즈로 구분하여 각 특성 별 효율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투입요소로는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형자산, 매출원가,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를 선택하였고, 산출요소로는 매출액과 당기 순이익을 선택하여 외식기업의 실질적 목표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경영특성에 따른 외식기업간 효율성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기술효율성에 있어서는 국내브랜드를 사용하는 외식기업이 외국브랜드를 사용하는 외식기업보다 상대적인 효율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합브랜드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을 나타내 복합브랜드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쉬운 점은 표본기준에 맞는 복합브랜드의 수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순수기술효율성에 있어서는 해외브랜드, 복합브랜드, 국내브랜드의 순서로 효율성이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규모효율성에 있어서는 복합브랜드의 경우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 브랜드 전략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기업계열의 외식기업과 비대기업계열의 외식기업의 효율성 분석을 보면, 기술효율성을 제외하고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모두 미세하게 대기업계열의 경우가 효율적으로 나왔지만, 유의 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이 된다. 프랜차이즈 여부에 따른 효율성 분석의 결과는 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에 있어서는 프랜차이즈가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고 순수기술효율성은 그 반대로 비 프랜차이즈가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볼 때 프랜차이즈를 운영을 하는 것이 외식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매출 규모가 클수록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가져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계열이냐 아니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내용을 최종적으로 분석해 보면, 복합브랜드 가지고 있고 프랜차이즈 운영을 하는 대기업계열의 외식기업의 경우가 가장 효율성이 높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국내 외식업계의 경영개선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omestic foodservice companies using accounting information, the external audit report. And this study has checked out Returns to Scale together measuring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efficiency to scale and etc. in systematic and definite. And also, this study has tried to arrange more efficient analysis by distinguishing the management nature of foodservice companies in three ways as below: Firstly, foodservice brands have been distinguished by domestic, overseas and multi brands that have both. Secondly, they have been distinguished by Big businesses VS Small-medium businesses. Lastly, they have been distinguished Franchise VS none franchised. This study has distinguished the companies by above three ways and analyzed if there is any differences in efficiency per each nature. For secure the objectivity, tangible assets, cost of goods sold,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 were taken as putting elements. And selling element and net profit during the term were chosen as calculating elements so that it can corresponds with the actual purpose of foodservice companies. As a result, we have found out that there is different efficiency among foodservice companies as the management nature- in technical efficiency, the foodservice companies using domestic brands showed more relative efficiency than using oversea brands. But they showed less relative efficiency than multi brands so that multi brands showed the best efficiency. One of regrets in it is that the number of multi brands matching specimen standard were not enough. In pure technical efficiency, it showed that the efficiency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overseas brand, multi brand, domestic brand. In efficiency to scale, multi brand showed the most effective and it seems that the brand strategy improves efficiency. When we see the foodservice companies of big businesses and small-medium businesses, the companies of big businesses showed slightly more value in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efficiency to scale but the difference is not meaningful. In the results of analysis for efficiency of franchise, franchise showed more value in technical efficiency and efficiency to scale but non franchise showed more value in pure technical efficiency. Overall, it is shown that managing franchise is easier in operating efficiency of foodservice company and bigger the selling expense, easier to get stable profit structure. It hasn’t shown meaningful results by distinguishing which it is big group subsidiary or not. When we analyze the above finally, we can say that the foodservice company of big businesses, who have multi branded with franchise, is the most efficient. At the end, if this study can be anyhelp for improving management of domestic foodservice business, I would be very glad.

      • 교차효율성 기법을 이용한 단위부대의 효율성 측정과 순위결정

        박진칠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DMU(의사결정단위, Decision Making Unit)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기법중 하나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DEA기법은 대상 DMU를 효율적이거나 비효율적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산출된 효율성 지수는 전체 DMU를 서열을 결정하는 척도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효율성을 잣대로 한 서열결정은 DEA의 출현이후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DEA를 기반으로 한 서열결정관련 기법 중 교차효율성 모형(Cross󰠏efficiency model) 을 다루고 있다. 교차효율성 모형은 DMU 각각의 가중치를 모두 고려하여 평가의 공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체 DMU의 서열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새로운 제약조건을 추가한 교차효율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두 가지 제약조건이란 투입 및 산출요소별 평가에 기여하는 정도를 가중합(weighted sum) 비율로 제약한 것으로, 첫째, 측정요소별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평가자의 의도를 반영하고, 둘째, 요소별 최소반영비율을 지정하여 가중치의 왜곡사용 현상을 감소시켜 평가의 공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이는 전통적인 DEA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상기 두 가지 제약조건을 반영한 기존의 연구(서상범, 박명섭, 2006)를 교차효율성 기법에 까지 확대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제시된 연구모형은 기존의 교차효율성 모형이 전체 DMU를 서열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활용하고, 가중치의 왜곡사용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나 일부는 여전히 허용되고 있는 점과 평가자의 의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기존의 연구로 보완하고자 제시되었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육군의 12개 단위부대의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모형과 비교분석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추가된 제약조건으로 인해 요소별 가중합 비율이 변동하여 약간의 순위변동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전통적인 DEA기법이 자신에게 유리한 평가 요소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중치 왜곡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DMU가 일부 자신에게 유리한 분야의 실적향상에만 치우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평가자(또는 군에서의 지휘관)의 의도를 반영하여 측정함으로 인해 평가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측정요소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특정분야에 대한 피평가 조직의 노력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국방조직 관련 DEA기법 연구가 (비)효율적인 조직의 식별에 편중되었던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군 조직의 순위결정 기법과 관련한 연구노력을 제고 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고속도로 운영예산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자료포락분석과 2단계 사후분석을 중심으로

        이희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공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기업의 재무 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수익 확충이 절실하지만 공익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인해 수익 확충에는 일정한 제약이 존재 한다. 따라서 공기업의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예산의 합리적 운용을 통한 예산효율성 증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한국도로공사의 지사조직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속도로 운영예산 효율성의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예산의 합리적 운용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지출절약 측면에서의 재무건전성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론적인 검토와 선행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인건비, 통행료징수비, 시설관리비, 기타경비를 투입변수로 관리연장과 출구교통량을 산출변수로 한 표준 자료포락분석과 부트스트랩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예산효율성을 분석하였고, 예산의 관리기능 및 예산효율성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가변 규모수익 부트스트랩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측정된 효율성 점수를 종속변수로 정책 환경(지사등급제, 민간위탁의 확대, 하이패스 이용률의 확대)과 물리적 환경(터널연장, 교량면적, 공용연수, 통과교통량)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예산효율성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사등급제는 기술적 효율성 개선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자료포락분석을 중심으로 지사의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지사 등급 간 효율성 차이의 주요 원인은 기술적 효율성 보다는 규모 효율성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지사등급 간 기술적 효율성 격차를 살펴본 결과 지사등급제에서 가정한 등급 간 효율성 격차는 발생하고 있지만, 그 격차의 순위는 지사등급제의 가정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규모 효율화 방안의 수립이 필요하고 기술적 효율성 향상에 관해서는 등급 간 효율성 격차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으며 등급 내의 기술적 효율성 격차도 고려하는 방향으로의 정책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민간위탁이 예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 다만 민간위탁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예산효율성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점은 공개경쟁의 확대 및 위탁 설계금액의 적정성이 확보되는 방향으로의 지속적인 정책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하이패스 확대가 예산 낭비가능성이 있다는 일부의 지적도 있으나,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하이패스 이용확대 정책은 산출 증가의 효과가 아닌 비용절감을 통해 예산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이패스 이용 확대는 지․정체 개선뿐 아니라 실질적인 예산 절감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환경의 예산효율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터널연장과 통과교통량의 경우 예산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교량면적의 경우에는 예산효율성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의 예산효율성에 대한 영향분석은 자료포락분석 결과와의 결합을 통해 보다 구체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지사의 예산효율성 추이를 살펴 본 결과 효율성이 높은 지사는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낮은 지사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위 예산효율성의 체계적 고정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본 연구의 물리적 환경 요인의 분석 결과와 자료포락분석 결과의 결합을 통해 적정 예산 규모를 도출한다면 이러한 예산효율성의 체계적 고정성의 문제점 개선과 예산의 관리 기능 향상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병원경영효율성 측정과 인과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김기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병원경영매커니즘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전반부에서는 DEA 모형, AHP 기법, DEA와 AHP 통합모형인 DEA/AR-AHP 및 DEA-AHP 모형을 이용하여 병원경영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후반부에서는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하여 병원경영매커니즘을 구성하는 요인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병원경영효율성 결과를 재평가 하였다. 이 연구에서 창의적으로 시도한 노력은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AHP 기법에 ‘효율성=산출/투입’ 개념을 적용하여 병원경영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투입계층(Input Hierarchy)과 산출계층(Output Hierarchy)를 별도로 구축하여 각각의 결과(Input Score & Output Score)를 구한 후, 효율성 개념에서 나누어 병원경영효율성 값을 구하였다 둘째, 병원경영효율성을 ‘내부프로세스-고객-재무’ 관점에서 3개의 부분효율성(Sub Efficiency)으로 분해하여 효율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효율성이 효율병원으로 나타났다 하더라도, 개선해야 할 부분효율성은 무엇인지, 어느 요인에 기인하여 효율병원으로 측정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개의 부분효율성과 전체효율성(Overall Efficiency)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투입변수는 인력, 병상 수, 의료비용이 사용되었으며, 산출변수는 효율성 종류별로 각각 평균재원일수와 병상가동률, 환자 수와 환자만족도, 의료수익 등이 사용되었다. 셋째, ‘병원자원-내부프로세스-고객-재무’로 이어지는 병영경영매커니즘의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를 규명하고, 인과관계에 의한 영향력 정보를 이용하여 병원경영효율성 결과를 재평가 하였다. 잠재요인 간 인과관계를 5개의 가설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병원자원 → 내부프로세스’, ‘병원자원 → 고객’, ‘내부프로세스 → 고객’, ‘내부프로세스 → 재무’, ‘고객 → 재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병원자원 → 고객’과 ‘고객 → 재무’ 경로의 인과관계(영향력)이 다른 경로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병원자원이 내부프로세스, 고객, 재무에 미치는 총 효과를 이용하여 DEA 모형에 병원경영효율성 결과를 재평가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연속적 자료포락분석 기법(Sequential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50개 병원을 ‘Tier 1 효율그룹’, ‘Tier 2 효율그룹’, ‘Tier 3 효율그룹’, ‘비효율그룹’으로 구분하고, 비효율병원이 단계별로 효율병원으로 갈 수 있는 벤치마크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병원산업은 지금까지 비영리영역에서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해오면서 경제성장과 함께 양적으로 크게 발전해 왔다. 앞으로도 고령화 진행과 더불어 병원산업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앞서 주도하면서, 지속 성장 발전해 갈 것이다. 하지만 병상의 과잉 공급, 의료인력 공급의 부족, 요양병원과 중소병원의 도산율 증가 등 구조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환경적 변화와 여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병원산업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적 병원경영효율성 분석 모형은 50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효율성과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병원산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임을 실증하였다. 주제어 : 병원경영효율성(Hospital Management Efficiency),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부분효율성(Sub Efficiency), 전체효율성(Overall Efficiency), 내부프로세스효율성(Internal Process Efficiency), 고객효율성(Customer Efficiency), 재무효율성(Financial Efficiency)

      • ASEAN 지역 항만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영준 한국해양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Growth of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on a large scale between Korea and ASEAN nations has seen a recent rise in the maritime logistics industry, leading Hyundai Merchant Marine and Hanjin Shipping to increase shipping routes between these areas.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promoting national strategies to increase the influence on the emerging market by connect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for maritime transport, port and global logistics parts with policies to support Korea logistics companies’ investment. ODA policy wa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effort to support the overseas investment of maritime-related business. Although there were well-developed ports in the ASEAN region such as Singapore port(Singapore) and Tanjung Pelepas port(Malaysia) in terms of the facilities, the ports remained ill-equipped to meet the challenges of handling increased cargo traffic in this area because most of the ASEAN nations are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ASEAN maritime transport network, each port’s efficiency was a crucial factor that should be calculated periodically.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ir ports, ASEAN nations should have expected not only the advancement of the port industry itself but also the emergence of related industries. These port related industries generate the employment and income by inducting direct investment to the port and adjacent area. In this regard, i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 nation's as well a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npac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port operations in the 32 ports belonging to 9 ASEAN nations through the use of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Using the DEA-CCR model, efficiency ranking was found that 4 out of 32 ports in 2007, 3 in 2008, 2 in 2009, and 2 in 2010 were measured as efficient ports. Meanwhile, the results of DEA-BCC model was found that 11 out of 32 ports in 2007, 11 in 2008, 13 in 2009, and 12 in 2010 are efficient. This study yielded two major findings. First, the ports assessed as inefficient need to benchmark similar ports in size and structure from the ports that are assessed as effici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Secondl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termine potential candidates and country for an international port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 with Kore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ASEAN port network by developing the infrastructures of ill-equipped ports.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be useful for private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that are struggling to find oversea market for new opportunity.

      • 종합병원 특성별 효율성 분석

        김종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 2000년대 이후 정부의 규제 · 사회환경변화 · 과잉공급으로 인한 출혈경쟁 등으로 인하여 의료기관 경영악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하여 효율성을 중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DEA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종합병원 특성에 따른 효율성을 분석하고, 비효율성의 원인을 파악하여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병원경영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278개 종합병원을 분석하였다. 투입물과 산출물이 다양하고 계량적으로 나타내기 어려우며, 사전에 구체적인 함수형태 가정하여 모수를 추정하기 어려운 의료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DEA의 CCR모형과 BCC모형을 사용하여 전체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을 파악하고, 효율성값을 통해 집단 간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kruskal Wallis검정을 실시하였으며, DEA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성의 원인 분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특성별 효율성 분석 결과 설립주체별 자원효율성 분석에서 순수기술효율성에서는 민간개인병원(0.6706), 규모효율성에서는 사립대학병원(8287)이 가장 높았으며, 재무효율성 분석에서는 민간개인병원이 모든 측면에서 효율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집단 간 비교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재지별 재무효율성 분석에서 광역시지역(0.5987)이 순수기술효율성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원효율성과 재무효율성의 규모효율성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병상규모별 분석결과 자원효율성과의 순수기술효율성은 300병상 미만(0.7175)이 가장 높았으며, 규모효율성은 300-499병상(0.9143)이 높았다. 재무효율성에서 순수기술효율성은 300병상 미만(0.8908), 규모효율성 역시 300병상 미만(0.9876)이 가장 높았으며,병상규모에 따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효율성의 요인분석을 위한 회귀분석결과 95%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원효율성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간호사수(.430)이며,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의사수(-.129), 의료지원직수(-.248), 병상수(-.149)였다. 재무효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건비(.093)이며, 관리운영비(-.099)는 효율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설립주체와 소재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DEA를 통한 분석결과 의료기관 특성 중 설립주체와 병상규모에 따른 효율성의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설립주체별 분석에서 자원효율성보다는 재무효율성에서 공공병원이 많이 떨어졌다. 다라서 공공병원의 재무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공성 역할에 대한 재정지원과 함께 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병상규모에 따라 효율성 차이가 있었는데, 적절한 병상규모를 통하여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종합병원, 효율성, 의료기관 특성, DEA, 자료포락분석

      • 이동통신 서비스의 통합품질 측정 및 효율성 평가모형 구축

        한경희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방법론이 제시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측정하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KCSI(Korea Customer Index)라는 서비스 평가지표를 도입하면서,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라는 홍보문구가 낯설지 않을 만큼 서비스는 우리 생활에 아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서비스의 시작은 고객을 이해하고, 고객을 위한 기업의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품질 측정연구는 다양한 방향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각 산업의 특성에 맞는 가장 최적의 서비스 품질 모형을 구축하여, 상호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의 핵심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품질은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정확하게 찾아내는가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정성적인 지표를 구체적으로 정량화하여 이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구체화된 서비스의 요구사항이나, 요구사항을 선정한 이후 서비스 개선 반영 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서비스 품질 요인이 만족도, 재구매, 구전과 같은 고객의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행위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를 제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기업의 서비스 평가할 연구는 미흡하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효익을 평가할 지표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의 통합적인 인과관계모델을 제시하고, 고객의 요구 사항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기업의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 효율성을 도입하여 이를 서비스 평가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 모델을 기존의 서비스 품질의 모델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와 제품의 통합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동통신은 서로 다른 사업자이지만 실제 동일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 분야로 기존의 연구에서 일부 제품 품질 속성을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분야와 제품 분야의 통합모델을 구축하여 상호 연관관계를 구체화시켰으며, 최종적으로 이동통신의 통합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동통신의 통합모델을 제시하였으나 각 통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기본적인 특징의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이동통신사 별 데이터를 통합모델에 적용하여 각 통신사 서비스 모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통신사별 서비스 정책 또는 핸드폰 제조업체의 핵심속성이 통신사별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셋째, 서비스의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효율성 분석방법 중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라고 하는 비모수 검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DEA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기존의 효율성 분석과는 달리 투입요소와 산출요소가 다양하여 하나의 효율성 지수로 표현하기 힘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수준을 이동통신사에 따른 제조사별 효율성을 측정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효율성 분석의 최적의 값이 나왔다고 하더라도 절대적인 효율성을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의 개선에 따라서 효율성이 재고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에 따라서 2008년(2008년 4~6월)에 수집한 데이터와 2009년(2009년 1~4월)동안 수집한 데이터를 각 통신사에 따라 핸드폰 제조사별 효율성을 비교 평가 하였다. 이동통신사에 따라서 핸드폰 제조사의 효율성을 측정한 이유는 각 통신사별 효율성이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라서 각 제품의 개선이 실제 서비스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동통신의 총체적인 서비스 흐름의 단계를 파악하고 서비스와 제품간의 상호연계를 입증하였다. 또한 제품에 따라서 서비스의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각 통신사와 제조사의 연합마케팅이 실제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서비스의 효율성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지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 특허 질적 수준과 경영효율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제약 및 바이오 기업을 중심으로

        채희수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바이오 및 제약산업은 국내외 환경변화로 인하여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블록버스터급 신약개발을 위한 새로운 차원의 비즈니스 모델이 구상되고 있다. 이에 제약 기업들은 매출규모의 감소와 신약개발 비용 증가요인들을 상쇄하기 위해 생명공학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기업들과 M&A 및 라이선싱 계약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여 기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산업분류 상 바이오 및 제약기업에 속한 156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재무변수와 자료포락분석(DEA)을 통해 기업의 경영효율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경영효율성과 등록율, 피인용지수, 패밀리국가 수, 스마트 점수 등 기존에 많이 활용되지 않은 특허 질적 수준 지표와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별로는 바이오기업보다 제약기업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고, 모형별로는 CCR, BCC, BCC 값을 CCR로 나눈 값인 규모효율성 중 규모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기업보다 제약기업이 기술보다는 규모에 대해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있다는 것과 바이오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발전과 함께 적정한 규모를 고려한 효율성 향상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바이오 및 제약기업 전체의 특허 질적 수준과 경영효율성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특허 질적 지표로 출원 또는 등록 건수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특허 질적 수준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고 정부 R&D 성과지표로 사용되는 특허등급평가 점수를 사용하여 기업의 경영효율성과의 유의성을 실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have been dynamic due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 fierce competition for new drug development has begun and new business models are being envisioned. Therefore,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actively pursuing M&A and licensing agreements to offset the decline in sales and the increase in drug development costs with biotechnology-based biotechnology companies to increase their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the firm was derived through the financial variable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of 156 companies belonging to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industry in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We have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efficiency and patent registration rate, the index of citations, the number of family countries, and the smart score, which are not well utili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pharmaceutical companies is higher than that of biotechnology companies and by model, SE among CCR, BCC and SE was the highest. This suggests that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producing more efficiently than technology in terms of scale rather than biotechnology companies, and that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biotechnology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echnology and improve efficiency considering appropriate scale. Nex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tent qual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entire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fore, we use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or registrations as a qualitative index of patents, but in this study, we use the patent grade score, which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patent, And the significance of that.

      • DEA와 malmquist 기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과학관 효율성 분석

        김영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modern science museums are a space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at serves the scientific culture which combines art and culture far beyond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principles and popularization of science. Responding to the shift of scientific paradigm and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new measures to revitalize the science museums have taken, and they are becoming more specialized. However, the majority of science museums in Korea have tended to focus on quantitative growth. From a mid- to long-term point of view, new approaches and perspectives are in needs to establish a new vision and operation strategy for the science museum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statu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ience museums can be the most significant part for the qualitative growth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museums. The increase of investment cost and the heightened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science museums require more objective evaluations based on the overall aspects of an operation status of the organizations and reflection of the outcomes in establishing strategic plans. The evaluation processes of the science museums should be a means of continuous development and action method.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professional evaluation system existing in Korea that systematically appraise efficiency and operation status of science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efficiency status of the science museums in the spread of scientific culture with their public services. The analysis data is based on variables by taking the specificity of the science museums into account and ninety-nine science museums were selected amo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in Korea from the statistical resources of science museum operational status for three years from 2015 to 2017.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establishing new methodology to asses the performance of the science museums in Korea, the study carried out static and dynamic analyses on their performance efficiency. These mesurements were taken to analyze data for improving the assessment: DEA as a nonarithmetic efficiency measurement, the Malmquist for productivity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It summarizes previous studies on quantitative approaches to measuring public service performance and its efficiency, and it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science museums and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problems they have based on them. First, the relative efficiency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in Korea is not high. Although the ratio of the relative efficiency distribution of science museums diffe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model of DEA, the BCC model based on the variable return of scale, is most often used recently. Considering the efficiency analysis using the BCC model, less than 20% of 99 science museums are appeared to be efficient operators. Second, the efficiency of the AHP-DEA (Fixed Weighted) model is relatively low in all models compared to the basic models of efficiency values in DEA. Third,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according to national,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is as follows. The national science museums did not operate at the optimal scale from 2015 to 2017. There is a large number of DRS cases in them, and the output supposed to have not made against the input. In the case of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efficiency could improve if more investment made to expand the scale because the IRS situation is relatively large. Four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dynamic efficiency of the science museums is as follows. The efficiency values of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s from 2015 to 2017. The private science museums have consistently and efficiently running operations for the past three years. Given the results of the study, science museums should utilize efficiency analysis as a methodological aspect of evaluation for continuous growth. The science museums in Korea have maintained their exclusive status in the city,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tend to be insensitive to efficient management and did not achieve higher public service level until now. Reflecting the public demand of higher expectation on the services and their missio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science museums should construct a means of diagnosing the operation status and measuring their achievements on the evidence-based tool that establishes scientific policy. As an evaluation system, efficiency analysis can play such a role. If an additional rational basis added on the selection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in the future, efficiency analysi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fficient operations of science museums in Korea. 새로운 과학관 패러다임 변화와 과학기술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우리나라 과학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마련되면서 시민 참여와 소통의 공간으로써 과학관이 점점 전문화·특성화가 되어가고 있지만, 우리나라 과학관은 양적 성장에만 주력하였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과학관 비전 및 운영전략 수립에 따른 새로운 접근과 시각이 필요한 가운데 과학관 조직 및 운영에 대한 명확하고, 전문적인 진단은 과학관 개선을 위해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질적 성장 과정이 될 수 있다. 과거에 비해 과학관에 투자하는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과학관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측면들을 고려한 객관적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결과를 과학관 전략적 계획에 반영해야 하며, 과학관 조직에 있어서 평가의 과정은 지속적인 발전의 방법이며 실천수단으로 작용해야 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과학관 조직 및 운영을 진단하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은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나라 과학관이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과학관 운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관의 특수성을 고려한 변수들을 선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2015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3개년도의 과학관 운영현황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과학관으로 분류된 우리나라 국·공·사립과학관 중 99개 과학관을 효율성 분석 기관으로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과학관 운영성과를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론이 정립되어야 한다는 인식 아래, 우리나라 과학관 효율성을 정·동태적으로 분석해보고, 이를 제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기본적 방법론으로 비모수적 효율성 측정 방법인 DEA와 생산성 분석을 위한 Malmquist 방법, 그리고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공공서비스를 이해하고 공공 부문 효율성이 무엇을 의미하며 공공기관 성과 측정에 대한 정량적인 기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고, 우리나라 과학관 현황 및 평가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첫째, 우리나라 국·공·사립과학관의 상대적 효율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포의 비율은 DEA 기법의 적용모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최근 DEA를 이용한 효율성 분석들을 고려할 때, 규모수익가변을 전제로 하는 BCC모형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효율적인 과학관은 99개 과학관중 20% 미만임을 알 수 있다. 둘째, DEA와 AHP-DEA(고정가중치) 기법에 의한 과학관의 효율성 비교분석은 AHP-DEA(고정가중치)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값이 기본 모형 효율성 값보다 전체적으로 모든 모형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을 나타냈다. 셋째, 국·공·사립과학관에 따른 효율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국립과학관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최적의 규모에서 경영활동을 하지 않았고, DRS 기관이 상대적으로 더 많아, 투입에 비해 산출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공·사립과학관의 경우, IRS 기관이 상대적으로 많아 규모를 확장하는 투자가 더 이루어질 경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과학관의 동태적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2015∼2017년 기간에는 국립과학관보다 공·사립과학관의 효율성이 높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 사립과학관이 상대적으로 3년 동안 과학관을 지속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과학관이 과학문화 서비스라고 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측면으로써 과학관 효율성 분석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지금까지 과학관은 한 도시에 하나밖에 없는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했고, 정부조직이라 경영에 둔감했으며 경쟁을 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앞으로는 과학관이 보다 열린 공간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관의 운영 상태를 진단하고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증거 기반의 과학적인 정책 수립 체계를 도입하는 과학관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며, 효율성 분석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향후 변수의 선정에 합리적인 근거를 추가로 확보한다면 효율성 분석이 우리나라 과학관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아울렛 쇼핑몰의 경영성과 분석 : 계층적 퍼지 DEA 방법을 중심으로

        이욱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Analysi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Outlet Shopping Mall. -Focusing on the Method of Hierarchical Fuzzy DEA- Lee, Uk Jae Department of Real Estat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Domestic outlet distribution began in 1994 with the concept of outlet mall in the form of department stores. Since the 2000s, it has first emerged in the form of downtown outlets oriented for inexpensive brand such as the Dangsan branch of 2001 Outlet, the Incheon branch of New Core outlet, and the Seongnam branch of Save Zone. Later, with the opportunity of opening the suburban premium outlet shown by Shinsegae in 2007, outlet shopping malls have been spreaded throughout the country, becoming a major distribution channel. Meanwhile, as department stores are in recession and recognized as a new distribution channel, they are reorgznied into Shinsaege, Lotte Shopping and Hyundai Department Store so called "retail conglomerate-oriented specialized outlet shopping malls". Outlet distribution has maintained a high growth rate over the last 10 years but inefficient stores are being emerged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among distribution companies, excessive opening of outlets without considering location conditions, an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distribution industries such as online, etc. As of 2019, the number of outlet shopping malls throughout the country is about 190. As such department stores and complex shopping malls are excessively rolled out or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location factors, the profitability of stores are getting worse. In this study, DEA efficiency assessment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Outlet Shopping Mall which occupies important part in the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and present the cause of inefficiency and mprovement plan. To supplement the analytic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DEA analysis, AHP weight analysis and HFD analysis using the fuzzy method were performed are combined.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shopping malls are typical location-oriented type of busines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large discount stores, efficiency cannot be fully described only by the internal factors of the store.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tion competitiveness, we divided the individual outlet shopping malls per land use district and compared each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firs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efficiency with only DEA internal factors, the efficiency value corresponds to 0.748, [quasi-efficiency], and the resulting value of the efficiency which considers the external variables is 0.804, indicating that the efficiency value may vary with the adoption of the variables. Second, based on the AHP survey results of a group of distribution experts, the weight of each factor was calculated and the importance of the external factor was the population(33.7%)> the rate of supplying the road(26.8%)> the land cost(25%) > the income(14.5%). The importance of internal factors was the number of brands(35.3%)> the business area(27.4%)>the number of F.N.B stores(14.8%)>the number of parking cars (9.3%). After the application of this to the DEA weight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efficiency value was 0.733. In particular, DMU whose characters of efficiency chang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existing DEA analysis, had 19 stores, an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EA analysis, in other words, problems with the discrimination between DMUs and the mistake of recognizing inefficient DMUs as efficient DMUs are solved while it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efficiency assessment by applying the weight by AHP factor. Third, the relative importance induced with AHP dual comparision matrix calculated the weight of each factors by using Chang(1996)'s Extent Analsis Method. The weight value of the external factor is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road(31.4%) > Land cost (27.5%) > income (9.7%). Population (-2.3%), roads (4.6%), land (2.5%), and income (–4.8%) are calculated rather than the preceding AHP weights so that the order of importance by factor was the sam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HP weights in population and income was identified. In other words, traditional DEA analysis could not accurately distinguish the efficient store through relative evaluation between DMUs by applying the same weights, and the more specifically the weight per factors of the evaluation standards is applied, the more accurately the efficiency can be evaluated. The degree of inefficiency increase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best DMU objectively and benchmark it. The analysis of store efficienc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tion competitiveness is: first, efficiency by land use area is high in the order of planned management area > industrial areas > commercial areas > residential areas > natural green areas. The efficiency values for the DEA, AHP-DEA and HFD analyses in the planned management area are 0.926, 0.884, and 0.856 respectively. The area where the outer premium outlet is mainly located are Yeoju and Siheung Shinsegae Simon Premium Outlets in Gyeonggi Province and Lotte Outlet in Buyeo,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the case of industrial sites, the efficiency values are 0.993, 0.901, and 0.836 respectively,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Seoul, is a representative industrial area. The area called Guro Industrial Complex was constructed as the first light industrial complex in Korea by the government's policy, and so textile, clothing, and sewing factories were located. Its advantages are low land costs and abundant related infrastructure,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labor. The efficiency of commercial land is 0.791, 0.707, and 0.628 respectively. It was found to be less efficient than industrial sites and planned management. The reason why the area is low efficient despite the large floating population like the central and general commercial areas is that the customers are dispersed to different areas because of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retailers. The proliferation of suburban premium outlets and complex shopping malls is driving down sales in adjacent urban outlets, and the decline in offline sales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reason due to the increase in online shopping over the past decade. Second, in the case of commercial areas with the largest number of outlet shopping malls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30 out of 32 stores, about 94% were inefficient. In addition, inefficient DMUs that were not identified in the DEA analysis were recognized with the use of the AHP-DEA and HFD techniques. Third, as the result of classifyingother outlet shopping malls by types, it was turned out that suburban premium outlets are more efficient than urban ones, and that the larger the area is, the more premium outlets are concentrated, and the more brand contents lead to the more efficiency. Suburban premium outlets are more efficient compared to urban premium outlets where spatial constraints and competition among the retail industry have been intensifi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value that the content of commercial real estate will provide to shoppers must be clearly establish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cent trends of consumption and apply them to configurations of store tenant. Third, offline stores also need to reconsider their business paradigm for continuous growth of non-face-to-face online sales. This also includes improvements based on Omni Channel. Fourth, distribution companies that are preparing to open new stores need to actively utilize undeveloped areas that have been incorporated into state-owned land in the city center, such as suburban areas, railway sites, and history instead of more competitive downtown commercial areas. Fifth, location competitiveness is not created as a temporary effort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It also need to accompany continuous investment and improvement efforts. Sixth, in order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assessment target, it is useful to analyze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assessment. It is also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EA analyses with AHP-DEA and HFD methods using fuzzy techniques. keywords : Efficiency, DEA, AHP-DEA, HFD, Location, Outlet Shopping Mall 아울렛 쇼핑몰의 경영성과 분석 - 계층적 퍼지 DEA 방법을 중심으로 - 이 욱 재 강원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국내 아울렛 유통은 1994년 백화점 형태의 아울렛몰(Outlet Mall)이라는 개념으로 시작하여 2000년대 이후부터 2001아울렛 당산점, 뉴코아 아울렛 인천점, 세이브존 성남점과 같은 저렴한 브랜드 중심의 도심형 아울렛 형태로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2007년 신세계에서 선보인 교외형 프리미엄아울렛의 개점을 계기로 아울렛 쇼핑몰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주요한 유통채널로 자리 잡았다. 한편, 백화점이 침체기를 맞으면서 새로운 유통판로로서 아울렛 쇼핑몰이 하나의 대안으로 인식되면서 신세계를 비롯한 롯데쇼핑, 현대백화점 등 이른바 유통 대기업 중심의 전문 아울렛 쇼핑몰로 재편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아울렛 유통은 최근 10년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였으나 유통기업 간의 과당경쟁으로 인해 입지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출점, 온라인 등의 비대면 유통산업의 확산 등으로 비효율 점포들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2019년 기준 전국 아울렛 쇼핑몰 수는 약 190여 개로 백화점, 복합쇼핑몰 등과 동일 지역에 과다출점 되어 있거나 입지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지역에 중복으로 출점하여 점당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산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아울렛 쇼핑몰의 점포경쟁력을 분석하고 비효율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DEA 효율성 평가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DEA 분석이 가지고 있는 분석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AHP 가중치 분석과 퍼지 기법을 활용한 HFD 분석을 병행하였다. 한편 아울렛 쇼핑몰은 백화점, 대형할인점과 같이 대표적인 입지 중심 업태이므로 점포 내부의 요인만을 가지고는 효율성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지경쟁력의 관점으로 해당 개별 아울렛 쇼핑몰을 토지용도지역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차이를 비교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DEA 내부요인만을 가지고 분석한 효율성 값은 0.748로 준효율적에 해당하며, 외부변수까지 고려하여 분석한 효율성 값은 0.804로서 변수 채용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유통 전문가 집단의 AHP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는데, 외부요인의 중요도는 인구수 33.7% > 도로보급률 26.8% > 토지비용 25.0% > 소득 14.5% 순이며, 내부요인의 중요도는 브랜드 수 35.3% > 영업면적 27.4% > F.N.B매장 수 14.8% > 주차대수 13.3% > 영업 기간 9.3% 순 나타났다. 이를 DEA 가중치 분석에 적용한 결과, 효율성 값은 0.733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 DEA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효율성의 형질이 변경된 DMU는 19개 점포가 있었는데, 이런 결과는 전통적인 DEA 분석이 가지고 있는 한계 즉, 동일한 가중치 적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DMU 간의 변별력의 문제 및 비효율 DMU를 효율 DMU로 잘못 인식하는 정확성의 문제들을 AHP 요인별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효율성 평가의 정확도가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AHP 쌍대비교 행렬로 유도한 상대적 중요도를 Chang(1996)의 Extent Analsis Method를 이용하여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외부요인의 가중치 값은 인구수·도로 31.4% > 토지비용 27.5% > 소득 9.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값은 선행한 AHP 가중치보다 인구수 –2.3%p, 도로 4.6%p, 토지 2.5%p, 소득 –4.8%p 만큼 변화된 것이다. 분석결과 요인별 중요도의 순서는 동일하나 인구수와 소득에서 AHP 가중치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전통적인 DEA 분석은 동일한 가중치 적용으로 DMU 간의 상대평가를 통해 효율 점포의 구분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평가 기준들의 요인별 가중치를 세분하여 적용할수록 더 정확히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비효율의 정도가 높아지므로 객관적으로 가장 우수한 DMU를 선별하여 벤치마크할 수 있다. 입지경쟁력 관점에서 점포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토지용도지역별 효율성은 계획관리지 > 공업지 > 상업지> 주거지 > 자연녹지 순으로 효율성이 높았으며, 계획관리지역의 DEA, AHP-DEA, HFD 분석의 효율성 값은 각각 0.926, 0.884, 0.856이다. 외곽형 프리미엄 아울렛이 주로 위치한 지역으로 특히 경기지역의 여주ㆍ시흥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과 충남 부여의 롯데아울렛 부여점이 여기에 해당한다. 공업지의 경우 효율성 값은 각각 0.993, 0.901, 0.836으로 대표적인 공업지역인 서울 금천구 가산동이 여기에 해당한다. 과거 구로공단으로 불리던 이곳은 정부 시책에 의해 국내 최초의 경공업 단지로 조성되어 섬유, 의류, 봉제공장들이 위치 하였으며, 저렴한 토지비용과 교통, 노동력을 비롯한 관련 인프라가 풍부한 것이 장점이다. 상업지의 효율성은 각각 0.791, 0.707, 0.628로서 공업지 및 계획관리지보다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상업지 및 일반상업지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고 집객이 보장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효율성이 낮은 이유는 유통업체 간 과당경쟁으로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쇼핑객이 분산되고,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및 복합쇼핑몰의 확산으로 인해 인접한 도심형 아울렛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10년 사이 온라인 쇼핑의 증가로 인한 오프라인 매출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의 아울렛 쇼핑몰이 가장 많이 분포된 상업지의 경우 총 32개 점포 중에 30개, 94%가 비효율상태로 나타났으며 AHP-DEA, HFD 기법을 활용하여 DEA 분석에서 판별하지 못한 비효율적인 DMU들을 AHP-DEA, HFD 기법을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기타 아울렛 쇼핑몰의 유형별 분류 결과,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이 도심형보다 효율성이 높고, 면적이 넓을수록, 프리미엄 아울렛이 집중된 지역일수록, 브랜드 콘텐츠가 많을수록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간적인 제약과 유통업계 간 경쟁이 심화한 도심형 아울렛에 비해서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이 더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할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 부동산의 콘텐츠가 쇼핑객들에게 제공할 가치를 분명하게 정립해야 한다. 둘째, 최근의 소비성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점포 테넌트 구성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대면 온라인 매출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응하여 오프라인 점포도 영업 패러다임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옴니채널(Omni Channel)기반에 의한 개선이 이에 해당한다. 넷째, 신규점포 출점을 준비하고 있는 유통기업은 경쟁이 심화한 도심 상업지보다 초기 투자비용이 보더 저렴한 교외지역이나 철도용지나 역사(驛舍) 등 국유지로 편입되어 미개발지로 남아 있는 도심지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입지경쟁력은 개발 초기에 일시적인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지속적인 투자와 개선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여섯째, 평가대상의 효율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가대상의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을 같이 고려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유용하며, 전통적인 DEA 분석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AHP-DEA 및 퍼지 기법을 활용한 HFD 방법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