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보육시설 중심으로

        강정은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보육시설 중심으로) 본 연구는 보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을 인천광역시로 한정하여 90명을 선정 후 사전승인과 동의를 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시설관련요인을 살펴보고 업무인식정도와 리더십, 학습적 지원이 보육교사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중 시설장에 대한 리더십이 높게 나타났는데 그중 시설장이 교사에 대한 업무를 적절히 정하고 상세히 설명해 준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업무지원인식에 대해서는 동료관계로 인한 갈등은 없으며, 학습지원인식에서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교육을 받고 있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영역에서 영유아의 관계가 매우 좋음이 나타났으나 교사의 지도성과 사회적 인식부분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위와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업무인식수준이나 지도성, 영유아와의 관계, 사회적 인식에 대하여 민간 및 가정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상대적으로 교사 효능감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효능감에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업무지원인식과 지도성, 시설장의 리더십에 대하여 교사효능감과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지만 사회적 인식에 대해서는 낮은 효능감을 나타냈다. 또한 학습지원인식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영역 중 학습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이 교사효능감에 대한 가장 큰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고 본인이 인지하는 건강상태가 양호하며, 애들과의 관계가 좋다고 인식할수록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설정원이 작은 규모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국가로부터 지원받는 국공립보육시설과 직장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는 민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업무지원과 학습지원이 잘 된다고 인식할수록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론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화 되고 심화된 콘텐츠로 재교육이 필요하며,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나 후생복지 및 신분보장이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인정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 중국 유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희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2020년 충청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이용하여 총 252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누락 또는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없었으며, 표집 된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회수한 후에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 21.0 ver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이 진로정체감 하위요인인 정서와 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이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정서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과 준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에서도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인 결정성, 준비성 및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하면 중국 유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유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국 생활 및 학업에 충실히 한다면 진로정체감을 높이고 진로성숙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수빈 경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컴퓨터 및 정보기술(IT)의 발달로 기업에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향상으로 호텔들도 경영에 필요한 호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호텔에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은 각 부서, 시스템 그리고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의 품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품질은 각 부서들 간에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고객 서비스를 위한 정보의 생성과 흐름, 그리고 각 부서간 이루어지는 정보의 공유 관계 및 각 부서별로 고객 서비스를 위하여 활용하는 정보의 유형과 품질 등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을 위한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국내 4성, 5성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21일 3주간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2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21부를 제외하였으며 4성 호텔 172부, 5성 호텔 31부가 회수되어 총 203부의 설문지를 분석해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에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설 1은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호텔 정보시스템 품질의 하위 요인 중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리고 시스템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 2는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의 하위 요인인 시스템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그리고 정보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스템 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3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이며 자기조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 되었다. 가설 4는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며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5는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며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어,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에서 세 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은 자기효능감의 두 가지 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서비스 품질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정보품질은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 해결을 위해 종사원 스스로 극복해나가는 자신의 모습을 통하여 자기 효능감이 높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호텔 종사원들의 직접적인 정보공유와 업무지식은 팀원 사이에서 원활하고 긍정적인 지식공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분위기가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호텔 종사원 동료간에 지식공유를위해서 경영성과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으로는 호텔 내 실무공동체 팀을 형성하셔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있다. 둘째,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에서 세 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은 직무스트레스의 두 가지 요인인 ‘직무요구’과 ‘직무자율성결여’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텔 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정보 품질은 직무요구에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정보시스템의 품질 가운데 서비스품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호텔종사원은 인적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관계로 다양한 고객을 접함으로써 직원의 과다 업무 스트레스가 높아 질 경우 적절한 휴식을 취해서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시킬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두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된 ‘자신감’과 ‘자기조절’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의 두 가지 요인인 ‘직무요구’과 ‘직무자율성결여’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가운데 자기조절은 직무자율성결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업무가 종사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스킬이 높으면 업무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져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아 질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종사원의 직무수행이 자기효능감 통해서 기대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나는 선행연구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사원들이 자기 업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정을 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개발, 개별 상담 등을 통하여 종사원에게 무리한 부담과 긴장감의 조성은 지양하고, 그들의 열의와 의욕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여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성과가 높아짐으로써 경영의 효율성 및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호텔정보시스템 품질에 의한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호텔기업은 호텔정보시스템 품질 향상과 더불어 호텔종사원들의 자신이 맡은 임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서 호텔종사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해서 직무성과에 맞는 방법을 찾아서 종사원들에게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domestic hotels have also developed hotel information systems necessary for management and used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ement 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by using information systems in companie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customers in hotels is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departments, systems and members. Service quality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generation and flow of information for customer service that is organically formed between departments, and the sharing relationship of inform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the type and quality of information used for customer service by department. Since the quality control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for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self-efficacy by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performance" on hotel employe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 star and 5 star hotel workers.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3 weeks from April 1, 2020 to April 21, 2020, and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224 questionnaires. Among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21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172 four-star hotels and 31 five-star hotels were retrieved and 2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analyze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an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relation to research hypotheses proposed by the current study.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hotel information system quality,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ce. However, the hypothesis that service qua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ce was rejected. And while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the hypothesis that information qualit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will affect self-efficacy was partially adopted. Second,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hotel information syst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requirements, and the hypothesis that information qualit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requirements was rejected. In addition, the assumption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self-sufficienc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will affect job stress has been partially adopted. Third, the hypothesis that self-regulation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elf-sufficienc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was partially adop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as been adopted, indicating that self-efficacy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Fifth, the hypothesis that job stres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as been adopted, indicating that job stres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Followings are meaningful suggestions or solut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First, Th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extracted from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factors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among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service qua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nfidence. And among the quality of hotel information system, the quality of inform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self-efficacy can be enhanced through the self-assessment of the employees themselves to solve the problem. In other words, direct information sharing and work knowledge of hotel employee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task to promote smooth and positive knowledge-sharing activities among team members. To share knowledge among hotel employees, practical measure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clude forming a working community team in the hotel to support development. Second, Th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extracted from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factors of job stress, 'work demand' and 'work self-compensation', while the quality of the hotel's information syst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requirements. And among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the service qua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f-sufficiency of the job. As hotel employees have a high proportion of huma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take proper rest and relieve their job stress if the employee's excessive work stress increases by contacting various customers. Third,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xtracted as two factors of self-efficacy, showed that self-efficacy had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factors of job stress, "work demand" and "work self-regulation," and among self-efficacy, self-regul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elf-regulation. If a job has high knowledge and skills, expectations for the job will increase and job stress will increase through self-efficacy.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way to reduce job stress if the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job could properly control expectations through self-efficacy. Fourth, an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self-efficacy affects job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prior research, which shows that it is possible through self-efficacy in order to influence job performance, was discovered. Therefore, the atmosphere should be adjusted so that employees can actively do their jobs. Fifth, an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job stress affects job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prioritize the management of job stress for hotel employees, we will avoid creating excessive burden and tension for employee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and individual counseling, and will help them perform their duties with enthusiasm and mo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creased job perform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As abov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lf-efficacy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performance by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the hotel company hop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tel information system an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hotel workers can be more active in their duties, so that hotel workers can find out what they want to do, find ways to suit their job performance, and present directions to employees.

      • 방송 영상제작인의 자기효능감이 영상콘텐츠 제작창의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오재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fluence that broadcast visual production director's self-efficacy on the visual content producti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reby in the effec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8 people as the subjects to the study, who are involved in domestic broadcast visual production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ing, local broadcasters,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home shopping, cable, and freelancers, etc.,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5.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s that th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out of the sub-factors of a broadcast visual production director’s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video content producti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self-regulation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finds out that the work it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ut of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ity of video content production. It reveals that the factors: work it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pportunities for promo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broadcasting visual production director. It i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that a broadcast visual production director’s self-confidence has on the video content production creativity. In the influence that th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self-confidence have on each job performance, the mediated effect of work itself was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that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s on the job performance, work itself and personal relationship were the significant mediated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ffect that it examined the self-efficacy had a direct influence on video content producti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at the target of broadcast video producers and sought various efficient ways to practically apply i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n how the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had influence.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방송 영상제작인의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 영상콘텐츠 제작 창의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영향에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지상파, 지역 방송사, 종합편성채널, 홈쇼핑, 케이블, 프리랜서 등 국내 방송 영상제작인력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방송 영상제작인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영상콘텐츠 제작 창의성과 직무성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업무자체와 대인관계가 영상콘텐츠 제작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업무자체, 대인관계, 승진기회 요인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송 영상제작인의 자신감이 영상콘텐츠 제작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업무자체 요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했으며,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각각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업무자체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과제난이도 선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업무자체, 대인관계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방송 영상제작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이 영상콘텐츠 제작 창의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그 영향에 있어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백나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미술치료과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김아영, 차은정(1996)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의 3개 하위영역으로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자아정체감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이승국(1999)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6개의 하위영역이 있고,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으로 구분되어 총 4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질적분석으로는 K-HTP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경남소재에 위치 해있고, A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3 여학생이며, B센터에 의뢰가 들어와 상담을 시작하게 되었다. 미술치료를 2014년 8월부터 2015년 1월까지 40분씩 주1회로 총 23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운 것만 선호를 하던 부분, 자신 없어 도전하지 않았던 부분, 어렵게만 생각했던 부분들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발견하고, 스스로 과제난이도 선호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 작업과정에서 완성에 대한 성취감을 획득하게 되면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탐색으로 인해 자기를 이해하고 자신을 수용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여 스스로 목표를 설정,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워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어 자신의 미래, 꿈에 대한 긍정적인 목표와 미래 확신성이 확립되면서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의 중학생에게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쉽게 미술로 표현함에 있어 긍정적인 자아상이 확립되고, 이로 인해 자신에 대한 효능감과 ‘나는 누구인지’에 대한 정체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자기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는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부분이 많으나,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경험적 연구의 효과 검증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 therapy a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hat is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the self-identi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ird, What is a change in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due to the process of art therapy? A general self-efficacy scale(1996) by Kim ah-young and Cha eun-jung was used to grasp the level of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measure consisted of three sub-regions: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he difficulty of the challenge and it had total 24 questions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ools that were used to grasp the level of self-identity was "Korean-type self-identity Inspection" developed by Park ah-chang(1996) and modified by Lee sung-kuk(1999). This measure had six sub-regions of 48 questions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subjectivity, self-acception, conviction on the future, goal orientation, self-directedness and intimacy. K-HTP was taken not only b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ut after as well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mong the third grader female students in Gyeongnam middle school A on the request to B center. The Art Therapy Program proceeded 23 times totally, once a week for 40 minutes each from August 2014 to January 2015. First,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ho had a preference of simple easy things over difficult ones, and didn't challenge for lack of confidence went through a remarkable changes. They found a positive energy that they can do anything through the art therapy program and the capability of deciding the level of difficulty with the work was improved. And they could achieve a sense of completion in the workflow, as a result it was found to affect the self-efficacy. Secondly,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identity. By understanding their own self and adopting it through looking within themselves, it was possible to accept their own self, establish a positive self-image, set their goals, make a specific plan for the future. And as a result it had an effects on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These results show us that positive self-image is established in expressing difficult parts to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dolescence by art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increase.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identity. Although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preceded research in many part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stagnation, it also has a limit to generalize for all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Therefore, the effect verification of continued application and empirical research for this is required.

      •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머감각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안수정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행동 동기요인으로 교사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이 갖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유머감각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유머감각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머감각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수정 보완된 설문지를 경상남도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유아교사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한 총 220부의 응답을 SPSS 25.0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v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Hayes(2013)가 제시한 매개효과 분석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유머감각의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3.70점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연계 및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 효능감, 교수 효능감, 의사결정 참여 효능감, 지역기관 연계 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전체 평균은 4.10점이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머감각의 전체 평균은 3.59점으로 나타났으며 유머생성, 유머선호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유머감각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각 변인의 하위요인은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그러나 유머감각의 하위요인 중 유머선호도는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중 가정연계 및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 효능감과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머감각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의 유머감각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머감각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유머생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머 선호도는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지, 유머감각의 영향과 매개효과를 규명하였으며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는 유머를 활용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즐거운 놀이 분위기의 교실을 조성하고 나아가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마련하여 교사효능감 증진을 도와야 할 것이다.

      • 교직헌신도와 교사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현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사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는 교사가 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이며 그들의 삶의 질이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개인의 주관적인 만족뿐만 아니라 한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대한 측면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인 심리적 안녕감을 살펴봄으로써 초등교사의 삶의 질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결혼유무, 경력, 직위, 담당학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설정하여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 및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가 초등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규명되었을 때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결혼유무, 경력, 직위, 담당학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유무, 직위는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인이 경력(5년 이하, 6년-10년, 11-15년, 16-20년, 20년 이상)은 심리적 안녕감 중 개인적 성장에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 5년 이하의 교사와 6년-10년 경력의 교사가 20년 이상의 교사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 심리적 안녕감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인은 각각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의 모든 하위영역이 심리적 안녕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고 교직헌신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았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심리적 안녕감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교직헌신도의 하위영역 중 전문의식이 심리적 안녕감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넷째, 교직헌신도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의 상호작용, 자기조절효능감과 전문의식의 상호작용, 전문의식과 자신감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문의식과 자신감의 경우 심리적 안녕감의 일부 하위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통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동일한 전문의식을 가진 교사라도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통제력에서는 자신감이 조절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factors including Teacher Efficacy, Commitment to Teach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would increa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lp enhance the qu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To meet these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How 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re ther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distinction of sex, position, career of teaching, marriage status, grade in charge)? 2.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Commitment to Teaching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3. How are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4. Are there any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s moderator on the relations between Commitment to Teaching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tool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with 46 questions developed by Ryff(1989) and revised by Kim Myeong-So, Kim Hae-Won, Cha Myeong-Ho(2001). The tool for measuring the Commitment to Teaching is Commitment of Teaching Questionnaire(CTQ) with 15 questions developed by Rho, Jong Hee(2004) and the tool for measuring the Teacher Efficacy is Teacher Efficacy Scale with 25 questions developed by Lee Hyun Jeong(1998) and verified by Kim A Young and Kim Mi Jin(2004). A questionnaire survey of 2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were processed in which 199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Independent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ree factors including Teacher Efficacy, Commitment to Teaching, Psychological Well-Be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know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know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s moderator on the relations between Commitment to Teaching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by identifying if there is a difference of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he career of teaching, the grade in charge, and marriage status.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by the career of teaching, the teachers whose career is less than 10 years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whose career is more than 20 years.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by the grade in charge and marriage status, the subject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5th-6th grade homeroom teachers and the unmarried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married teachers.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 Efficacy, Commitment to Teaching,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nalyz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mmitment to Teach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Third,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nalyzed. The subscales of Teacher Efficacy such as self-control and confid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scale of Commitment to Teaching such as professional conscious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s moderator on the relations between Commitment to Teaching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 Efficacy didn't work as a moderator in relation of Commitment to Teaching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 subscale of Teacher Efficacy, confidence worked as a moderator between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al Mastery. Key words : Psychological Well-Being, Commitment to Teaching, Teacher Efficacy, moderat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간의 관계

        정유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의 동기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켜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내겠다는 교육의 목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교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생활 현장에서 의도하는 바의 바람직한 성과를 이루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동기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기의 주 요소들인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에 대한 고찰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동기적 구인들의 관계를 알아 보고 우리가 교육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생각해 보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중고 학년별로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에서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에서 남녀별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가 출생서열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숙달목표는 수행목표보다 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줄 것이다. 내적통제소재는 외적통제소재보다 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숙달목표는 내적통제소재보다 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부천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 3개학급 107명, 서울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 112명, 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 114명 총 33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남녀별 학년별 출생서열별 차이를 보기위해 분산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10.0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 번째 연구문제, 초중고 학년별로 각 동기적 요소들의 차이 를 보기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하락하는 경향이 있었고, 숙달목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고, 수행목표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적통제소재는 초등학교가 가장 높았고, 중고등학교로 올라감에 따라 약간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외적통제소재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가 가장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내적통제에 대한 신념이 증가한다는 선행연구(Penk, 1969)와는 다른 결과를 산출했다. 그러나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적통제지각의 발달 연구(최경숙, 1996)에서 초등학교 5학년의 경우 내적통제지각이, 중1의 경우 외적통제지각이, 중3의 경우 다시 내적통제지각이 높게 나왔다는 연구 와 유사하게 초등학생이 높은 내적통제지각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이훈구(1980)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가장 높은 외적통제를 한다고 나타나 있다. 두 번째, 각 변인간에 남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자기효능감과 외적통제소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숙달목표, 수행목표, 내적통제소재에서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통제와 연령과는 의미있는 상관이 없다는 선행연구(안귀덕, 1986)와는 일치하는 결론이었다. 세 번째, 각 변인 간에 출생서열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한 결과는 외적통제소재 외의 다른 변인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독자의 자기효능감, 숙달목표, 수행목표, 내적통제소재가 높게 나타났다. 출생서열에 따른 동기적 요인들의 차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네 번째, 숙달목표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숙달지향이 베타계수 .468로 자기효능감에 대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고, 수행지향은 베타계수 .154, 그 다음으로 내적통제, 외적통제 순으로 자기효능감을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Stepwise 방법을 이용한 중다 회귀분석에서는 숙달목표지향이 자기효능감을 약 28%로 설명하고 외적 통제성 변인이 추가되어 약 3%의 설명력이 상승하고, 수행지향 변인이 들어가서 2%가 상승하여 약 33%의 설명력을 갖게 되고 마지막으로 내적통제소재가 투입되어 모두 35%로 자기효능감을 설명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선행연구(김의철, 박영신,1999)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고 지적한 것처럼 동기적 요인들을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학교에서의 성취뿐 아니라 더 포괄적인 분야에서도 성취를 높일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내적통제소재와 학업성취와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고, 자기효능감과의 관계가 밀접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학업성취에 있어서 내적통제요인 중 노력귀인이 매우 높은 관련이 있고 이 노력은 “나는 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과 다르지 않다.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외통제소재는 교육현장에서 서로 순환적 관계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자기효능감은 숙달목표를 지향하게 되고 결과에 대해 내적귀인을 하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자기효능감에 또다시 영향을 미치는 순환이 성립된다. 인간행동 특성에 대한 동기는 다양하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동기와 정서간의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비교문화적 연구도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동기는 개인 내부의 상황만으로 설명된다기보다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더 잘 설명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자들은 동기와 관련된 성격특성은 바뀔 수 있다(Slavin, 1991)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주위 사람들의 언어적 설득과 격려는 자기 효능감을 증가시킨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긍정적 피드백을 주어 효능감과 수행을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단순히 몇몇 실험과 연구에서 밝혀낸 사실들만 가지고 강의실에서 토론하는 것 보다 실천적 모색을 통하여 힘있고 살아있는 학문으로써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사회과학은 관찰과 실천의 학문임을 그리고 그 어떤 학문보다 역 동적이고 실천적 상호작용이 그 특성임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goal-orientation,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consider their application in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are 334 boys and girls who are with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in the area of Seoul and Puchon.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the Self-Efficacy Scale made by Sherer and Maddux, the Goal-Orientation Test developed by Ames and Archer, which was translated by Hee-Jung, Yoo, and Locus of Control Scale made by Nowicki and Strickland. For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0.0 program was conducted. To see the sex-difference in variables, t-test was used; and to see the the difference of the school step in variables, ANOVA was use; and to see the degree of the influence among the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to see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was used. A summary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self-efficay, as the school step moved up to a higher, it showed lower. Mastery-goal was appeared at best in elementary students, and it went down in middle school then, it went up in high school.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performance-goal tth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locus of control,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ternal control and internal control tended to low as school steps go up. The more school steps went up, the more external control appeared. Second, in relation to the sex difference, first of all, girls had higher self-efficacy than boy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ut it was not significant, otherwise girls had higher self-efficacy than boys in high school and it was significant(t=-2.346, P=.021). Elementary girlsm tended to adopt mastery-goal than boys, boys tended to adopt mastery-goal than girl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irls showed more performance-goal than boys through all the school steps consistently. In the locus of control, girls were more internals than boys, at the other hand, boys were more internals in middle school but it was not significant. High school girls had more internal control than boys and it was significant(t=-2.090, P=.039). Boys were more externals than girls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it was significant except elementary school. Third, the study problem that there may be difference accoding to birth-order among the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ldest sons were externals and it was significant.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as a rule, the only child had higher self-efficacy, mastery-goal, performance-goal, internal control. Fourth, in relation goal-orientation, locus of control, mastery-goals with self-efficacy, mastery-goals demonstrated self-efficacy more than performance-goal, internal control influenced self-efficacy more than external control and mastery-goals reported higher influence to self-efficacy among the variables. Motivational variables may play a key role in predicting success inducational context, in that sense, self-efficacy, goal-orientation, locus of control may be strong predictor in a social setting as well as in a learning situation.

      •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만 3세 ~ 만 5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통제능력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이 정서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이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세, 만 4세, 만 5세 담임교사와 해당 반 유아들로, 총 36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20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자료들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유아와 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음악 교수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이 모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인 유아의 정서통제능력에 정적 상관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교수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개인적 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나 일반적 효능감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 다음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부적응적 정서조절에서는 음악 교수 효능감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부적응적 정서조절에서는 음악 교수 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효능감에서만 유의한 부적 영향을 보였으며 개인적 효능감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이룬 연구들 중 국내에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중요성을 알고 많은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를 통해 교사의 음악 교수 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정서조절능력을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