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위험 관리에 있어 GARCH류 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검정

        김문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7년 IMF 위기를 계기로 우리나라 환율제도는 시장평균 환율제도에서 자유변동 환율제도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와 더불어 금융자율화와 금융개방에 따라 환율의 변동폭은 첨차 커져가고 있어 금융기관이나 기업 모두 환위험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새로이 도입된 자유변동 환율제도 하에서의 환율 변동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유변동 환율제도 하에서의 우리나라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GARCH류 모형의 추정을 통하여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환위험 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GARCH류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변동 환율제도로 변경된 이후의 원/달러 종가 로그수익률을 바탕으로 GARCH류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고, 그것이 시사하는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그리고 나서 추정된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VaR를 계산하고 실제수익률과 비교하는 사후검증을 통하여 환위험 관리에 있어 유용한 GARCH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원/달러 환율 변동성은 충격의 지속성 즉 장기 기억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GARCH류 모형의 모수 중 이동항과 회전항이 대부분 음의 값으로 관측되었는데, 주목할 만한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추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VaR를 측정한 후 실패율, 모형의 적정성과 정교성, BIS 기준에의 부합성 등을 사후 검증 해본 결과, 사후 검증 기준에 따라 다른 GARCH 모형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금융기관이나 기업은 처해진 주변 환경과 목적에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여 환위험 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orea became the country adopting a free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in 1997. Recently in the new stream of open economy macroeconomics, a lot of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nalysis of exchange risk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validity of GARCH class model in managing exchage rate risk in Korea. In this research, the daily returns of the Korean won-US dollar exchange rate between April 1 1998 and May 30 2003 was us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GARCH class models. And each GARCH model's ability of risk-forecasting is back-tested for 347 trading days. Consequently, There is no model which is always superior in all backtesting cases. But GARCH class models are thought to be appropriate in managing exchange rate risk. VaR users and risk managers who need to manage exchange risk should choose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purpose.

      • 換危險管理에 관한 考察

        박종윤 慶北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ixed exchange rate system, which sustained the stability of post-war international transaction, was substituted by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as of parch 1973. This was, for the most part,caused by the federal deficit of us $, which had much to do with the skyrocketed oil price. In addition to that, the elastic shifting of international capital was activated giving rise to the neo-protectionism. This trend exposed international banks and corporations to the foreign exchange risk in the management of foreign trade and capital transaction. Korea, which, from the 1960s, rapidly developed into a member of world economy, was no exception. In February 1980, Korea adopted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linked to the SDR (Special Drawing Rights) basket. The change affected seriously the decision - making of Korean business entities which has much to do with international transaction. In other words, the rapid growth of international trade and monetary market, and fluctuating exchange rate issued more than a practical problem on the management of foreign exchange risk and foreign exchange exposure. Accordingly, domestic banks and corporations ha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osses and gains accompanied by exchange risk which strongly affects the whole business achievements and even, in some cases, lead companies to a bankrupcy or a complete loss of foreign market. As for domestic companies, understanding for th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ands at a mere level, thus suffering unnecessary losses, which, otherwise, can be avoidable. Currently, consistent increase of Won currency value and expansion of foreign trade and capital transaction are making things more complex. Modern businsses entites should cover or protect the foreign exchange risk produced by the changing value of international currencies at home and abroad. In the long run, they have to try to spontaneously perform new methods to make gains from the ups and downs of currency values. The peculiar of Korean companies are as follows : 1) the backwardness of domestic monetary market deprived of self-determination, to a great extert, in meeting properly the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by the excessive interruption by the government concerned, 2) non-efficiently controlling regulations of foreign - exchange related laws, 3) unconvertability of Won currency in foreign exchange market, 4) non-existence of foreign exchange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5) the poor experience or inability of companies to collect and justly evaluate foreign exchange market informations, 6) the want of specialized foreign exchange dealers, and 7) the limitations of dealers,rights which is essential for them to spontaneously and efficiently react foreige risks. This treatise, treating mainly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s aimed 1) to upgrade the poor recognition to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foreign exchange exposure and foreign exchange risk, 2) to compare and analyze ways of foreign exchange risk forecasting and managing techniques, and to connect those techniques with domestic managerial status, 3) to suggest the most beneficial theoretical methods which are regarded to be best adequate for domestic companies, 4)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in th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5) lastly and conclusively, to show the ultimate long - term directions for right solutions and to suggest, under current limited circumstances, practical ways to face and meet exchange risks.

      • 새로운 환위험관리수단으로서의 환율변동보험에 관한 연구

        박창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accelerated integ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financial markets, it is forecasted that the variability of the foreign rate will greatly increase. The exchange rate fluctuation insurance brings benefits to both the market and the exporter by introducing into the institutional zone of the market exporters staying away from the market due to the limit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 Thus, it can be seen that it has the function of supplementing and curing the market failure in an active sense. The noteworthy fact is that some commercial insurance firms have confirmed the market demand of the exporters and considered operating the exchange insuranc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mmercial insurance, which can provide the more diverse means for hedging against the risk for the exporters alienated from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 the future. On the one hand, it is judged that the export insurance corporation has expanded the base for demand of the exchange rat fluctuation insurance to some extent now, two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xchange rate fluctuation insurance, but more exporters should be enabled to use the system more easily through sustaine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insurance contract, the convenience in using the system and the like. Especiall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n active examination of the exchange rate fluctuation insurance within the range of not being contrary to the intent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xport insurance corporation established for Korean export promotion.

      • 중소기업 환위험관리 우선순위와 정책지원 전략과제에 관한 연구

        신기룡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환위험관리 의사결정에 대한 정책지원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 대내․외 환위험 관리전략방법 및 정책지원요소의 우선순위와 중요성 가중치를 전문가와 수출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자료를 AHP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 계층분석과정)을 적용하여 계산하고, 상위 관리전략 요인들의 쌍별 중요도 변동에 대한 시나리오분석을 통해 계산된 우선순위 및 가중치들의 변화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환위험 본질과 관리전략 수단, 헤징의 전략과 환위험관리의 필요성, 평기기준, 관리 성과의 비교평가 방법 등을 고찰하였다. 수출중소기업의 환위험 관리 실태와 추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실태조사를 토대로 환위험관리정책 도전과제를 제시하였다. 전문가들은 대분류 상위방법으로는 외부관리전략, 하위기법으로 선물환계약, 환변동보험을 중소기업들은 대분류 상위방법으로는 내부관리전략, 하위기법으로 가격변경, 매칭, 상계를 최우선 관리전략으로 평가했다. 정책지원요소는 전문가들은 컨설팅지원, S/W무상지원, 보험가입지원을, 중소기업들은 보험가입지원, 경영안정자금지원, 컨설팅지원 순으로 평가했다. 주요어 : 환위험관리, 정책지원, AHP, 우선순위, 쌍별 중요도, 시나리오분석, 가중치, 내부·외부관리방안, 매칭, 상계, 리딩과 래깅, 통화선물, 통화옵션, 외화대출

      • 韓國과 臺灣企業의 換危險 管理에 관한 比較硏究

        임혜자 京畿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90년대 이후 자본자유화의 확대로 국제적인 자본 유출입이 활발하여 한국을 위시한 신흥시장으로 자본이 이동이 활발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대만의 기업들은 환차손을 크게 입었으나, 환율변동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나 관리전략에 대한 대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과 대만의 기업들은 환율변동에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며 외환 위험 관리를 통하여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이익을 보전하는 것이 주요한 사안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기업의 환위험 관리 실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양국 기업들의 환위험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기술 통계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대만기업이 환율 예측 및 관리, 환위험 관리 태도 및 정책, 환위험 관리 전략 사용 및 효과평가에 대한 차이를 분석 비교하고, 카이스퀘어검증을 통하여 기업특성(업종별, 국제화 정도, 해외투자의 유무, 환위험 관리 전담부서의 유무, 환위험 관리 내부규정의 유무)과 환위험 관리 행태(환율변동과 화사영업과의 관계, 환율예측 여부, 환위험관리 목적, 환위험관리 태도, 환위험 관리업무 전담부서, 환위험 관리정책 결정부서, 환위험 관리효과 평가 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대만기업의 환율예측 및 관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만은 한국보다는 환율변동 예측을 하고 있는 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대만기업의 주요 해외거래통화는 미국 달러화, 일본 엔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기업의 환율예측주기는 주로 부정기적, 분기별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만기업은 부정기적, 월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대만기업의 환율예측 담당부서는 주로 재무부서와 외국환은행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비슷한 조사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한국과 대만기업의 환율자료(root)는 양국 모두 주로 은행자료와 신문잡지를 사용하고 있었다. 한국과 대만기업들의 환위험 관리 태도 및 정책에 대한 실증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대만기업의 환위험 관리 목적은 주로 환차손의 극소화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대만기업의 헷징 태도는 주로 환위험이 일정 기준액 이상시 헷징을 하는 것으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났으며, 헷징을 하지 않는 한국기업이 대만기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대만기업의 환위험 관리 정책은 대부분의 기업이 이사장 혹은 이사회에서 결정, 재무 담당부서 결정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위험 관리업무 담당부서로는 대다수가 재무 담당 부서, 외환은행에 위탁 등의 순으로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대부분의 한국과 대만기업이 환위험 관리를 위한 내부 규정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편, 거래와 환산 환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한국의 기업에서 주로 상계, 리딩과 래킹, 가격전략, 선물환계약과 통화스왑 등의 기법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대만의 기업에서는 외화예금, 자산/부채 헷징법, 리딩과 래킹, 선물환계약과 통화스왑 등의 기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한국기업은 경제적 환위험 관리보다는 관리기법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잘 볼 수 있었다. 경제적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한국기업은 주로 품질과 설계능력의 제고, 신상품의 개발, 생산능력과 상품부부가가치의 제고, 판로의 증가, 자금과 금융조달루트의 분산, 전문인원 혹은 전담부서를 지정하여 환위험 관리를 담당 등의 기법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대만의 기업은 R&D의 강화, 품질과 설계능력의 제고, 생산능력과 상품부가가치의 제고, 판로의 증가, 대외자산은 강세화폐로 보유와 대외부채는 약세화폐로 보유, 자금과 금융조달루트의 분산, 국제재무관리인력의 양성, 외부커뮤니케이션과 연계의 강화 등의 기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한편, 한국과 대만기업들의 기업특성과 환위험관리 행태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대만의 전기·전자산업이 환율변동에 대하여 비전기·비전자업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화정도가 높을수록 환율변동이 회사영업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해외투자를 하고 있다고 응답하는 대만기업이 해외투자를 하고 있지 않은 기업보다는 내부부서로 환위험 관리업무를 전담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전문적으로 환위험을 관리하는 기업의 경우 환위험 관리정책 결정은 부서장 담당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담부서를 설치하지 않는 기업의 경우 주로 이사장이나 이사회가 관리정책을 결정하는 것과 비교해 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내부규정이 있는 기업의 전체가 내부부서로 환위험을 관리하고 있었으며, 내부규정이 없는 기업은 외부부서도 함께 이용하여 환위험 관리를 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한국과 대만기업들의 환위험관리 문제점으로 도출된 것은 환위험 관리에 대한 인식부족,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환율예측의 곤란, 환위험관리 전문인력 부족과 전담조직 미비, 경영층의 환위험 인식 부족 등이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업차원에서 경영자의 인식전환, 환위험 관리체계의 시스템화, 환위험관리 전문인력의 양성, 환위험관리 통합분석의 구축, 적절한 환위험 관리기법의 선택 등이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이외 함께 국가정책 및 제도적 차원에 정부기관의 지원, 금융기관의 협조, 금융감독원의 감독 강화 등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道入90年代以後, 因資本自由化持續擴大, 使得國際間的資本移動更加快速, 以韓國爲首的新輿市場國家的資本移動亦趨活路. 貿易依存度高的韓國與台灣企業也因之受到匯率變動影響而産生匯兌損失, 但兩國企業至今對外匯凰險的認識與管理仍顯不足. 因此, 兩國企業應如何因應匯率變動風險, 將損失降至最低而保全企業的利益, 乃成爲兩國企業未來最主要的課題. 本硏究透過問卷調査來瞭解目前韓國與台灣企業的的外匯風險管理況, 竝針對兩國在外匯風險管理上的缺失, 提出適當的改善方案. 本硏究利用敍述統計來分析比較兩國企業在匯率預測與管理, 外匯風險管理態度與政策, 外匯鳳險管理策略的應用與管理績效評점等的差異; 竝利用잡方險定來分析探討企業特性(業種別, 國際化程度, 是否徙事海外投資, 是否設立外匯風險管理事責部門, 有無制定外匯風險管理辦法)與外匯風險管理型態(匯率變動對公司的營運影響, 是否從事匯率變動預測, 避險動機, 外匯風險管理態度, 外匯風險管理部門, 外匯風險管理決策部門與績效評점)間是否有顯著的相關關係. 首先, 韓國與台灣企業在匯率預測與管理上的實證分析結果如下: 一, 台灣企業比韓國企業較常從事匯率變動預測; 二, 兩國企業的主要交易貨幣類似, 分別爲美元與日圓; 三, 韓國企業的匯率預測週期主要依序爲不定期與每季, 台灣企業則爲不定期與每月; 四, 韓國與台灣企業的匯率預測工作大都由財務部門或委託外匯銀行負責; 五, 韓國企業的匯率預削資料來源主要爲參考銀行資料與報章雜誌. 其次, 韓國與台灣企業在外匯風險管理態度與政策上的實證分析結果如下: 一, 兩國企業的避險動機主要爲降低外匯風險, 但韓國不從事避險的企業比率較台灣高; 二, 兩國企業的外匯風險管理態度主要爲"外匯風險在一定標準額之上才避險"; 三, 有設立外匯風險管理專責部門的台灣企業比韓國多; 未設立的原因, 韓國企業爲缺乏相關專業人員, 台灣企業則主要考量成本因素; 四, 韓國與台灣企業的外匯風險管理決策大都由董事長或總經理決定, 其次爲財務經理; 外匯風險管理工作則大多數由財務部門負責, 其次則爲委託外匯銀行負責; 五, 兩國企業大都未制定相關的外匯風險管理辦法. 령外, 爲了降低交易與換算風險, 韓國企業主要使用應收應付帳款互相抵銷法, 資金的提前或延後, 價格策略, 遠期外匯契約與換匯交易等外匯風險管理策略; 台灣企業則主要使用外弊在款, 資産負債避險法, 資金的提前或延後, 遠期外匯契約與換匯交易等管理策略. 只有極少數的韓國企業使用如下的策略來管理經濟風險 : 提升品質和設計能力, 開發新商品, 提高産能或産品附加價値, 增加行銷通路, 分散資金及融資來源, 指派專人或部門負責外匯風險管理工作等策略; 台灣企業則主要使用如下的策略來管理經濟風險 : 加强R&D, 提升品質和設計能力, 提高産能或産品附加價値, 增加行銷通路, 對外資産以强勢貨幣持有/對外負債以弱勢貨幣持有, 分散資金及融資來源, 敎育訓練一培養國際才管人才, 加强與外部資訊聯繫等策略. 最後, 則是韓國與台灣企業的企業特性與外匯風險管理型態間的相關關係探計其實證分析結果如下:一, 匯率變動對電機/電子業的營運影響比非電機/電子業大; 二, 國際化程度愈高的企業匯率變勤對其公可的營運影響愈大; 三, 有從事海外投資的企業由公司內部來管理外匯風險較未從事海外投資的企業來的多; 四, 有設立外匯風險理專責部門的企業大都由財務經理來決定外匯風險管理決策, 但未設立外匯風險管理專責部門的企業則主要由董事長或總經理決定之; 五, 有制定外匯風險管理辦法的企業全部由公司內部部門來孰行外匯風險理工作, 但未制定外匯風險管理辦法的企業則常委託公司外部部門來管理外匯風險. 透過實證分析結果來探討韓國與台灣企業在外匯風險管理上的缺失, 可整理如下:對外匯風險管理認知不足, 因外匯風險變動性高導致外匯預測不易, 缺乏管理外匯風險的專門人才及專責部門, 公可管理階層對外匯風險管理認知不足等缺失. 本論文針對缺失提出改善方案如下 : 在企業方面, 公司管理階層應加强外匯風險管理的相關知識, 外匯風險管理體制系統化, 培養外匯風險管理人才, 加强外匯風險管理的統合分析, 選用適當的外匯風險管理策略等; 同時, 在國家政策與制度方面, 政府機關的全力支援, 金融機關的積極協助與强化金融監督的機能等雙管齊下, 企業才能有效管理外匯風險.

      • 韓國 企業의 效率的 外換管理 方案에 관한 硏究

        배상목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3

        1997년 12월 完全自律變動換率制度실시 이후 정부의 환율관리기능이 약화되고 외환거래가 자유화되면서 환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으므로 한국기업들의 환관리실태를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韓國企業들의 換管理형태는 영업부서 또는 자금부서 등에서 총괄하여 관리하는 권한분산형태로서 외환위험 관리와 외환의 현금흐름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換危險관리에 대한 경영자의 인식부족으로 실무책임자들의 헷징(hedging) 거래 결과가 헷징거래를 하지 않았을 경우 보다 불리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그것을 환위험 제거에 따른 비용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환거래 손실로 인정하여 책임을 묻고 있다. 셋째, 환위험관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할 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단기적인 관점에서 그 성과를 판단하여 조기에 중단하거나, 지나치게 투기적인 거래를 하다가 큰 손실을 입은 후 에는 환거래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효율적인 환위험관리를 위해서는 換露出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派生金融商品을 이용하는 등 환위험 관리기법들은 거의가 환노출에 대한 사전분석 없이 기업내부에서 할 수 있는 소극적인 방법과 先物換去來 등에 의존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제 문제점을 개선하여 환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 첫째, 리딩과 래깅(Leading & Lagging), 네팅(Netting), 포트폴리오의 다양화, 선물환거래(Forward Exchange Transaction), 통화선물거래(Currency Futures), 통화옵션거래(Currency Option), 환위험 보험부보 등 다양한 환위험 관리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환위험 관리비용은 미래의 사고에 대비하여 보험에 드는 것과 같은 것이므로 환위험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기업활동의 정상적인 비용으로 생각하여 外換專門人力의 養成, 환위험회피 전담조직의 구성 등 종합적인 환위험관리체제를 수립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환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관리체제를 책임제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經營層의 積極的인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기업의 외국환포지션에 대한 일부 규제를 완화시키면서 외화대출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外國換銀行이 보유한 외화자금을 특정한 용도 이외에는 그 대출이 금지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외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외화부채를 증가시킬 경우에 외국환은행이 기업에게 용도제한 없이 일정금액까지 외화대출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외국환은행들의 단기간 외환 과부족을 해소하고 외환 포지션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외화 콜시장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기업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先物換市場을 中小企業의 모든 업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선물환거래의 대부분이 외국은행의 국내지점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대고객거래 계약의 만기가 7일이하의 초단기 거래인 선물환거래가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외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선물환거래는 미미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환은행들이 專門人力을 확보하고 외국환은행들이 외환포시션관리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륵 외환관리규제를 완화하고 외국환은행간의 선물환거래 정보교환체제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외부적기법 중 선물환계약 다음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 금융선물거래중에서도 통화선물거래와 통화옵션거래이다. 이러한 통화선물거래와 통화옵션거래는 공적거래로서 사적거래인 선물환거래와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현재 운영중인 韓國先物去來所를 적극 활용하여 환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외환콜거래, 선물환거래, 통화스왑거래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계약체결 의사를 알릴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여 情報交換體制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외환위험관리를 위한 제도를 해당 기업들에게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도에 대한 홍보는 계약체결을 용이하게 하며 제도적 장치를 이용하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여섯째, 선진국간의 무역에서는 환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출의 대금은 대개 수출국의 통화로 결제하고 있으므로 한국기업들도 수출대금을 원화로 결제 받을 수 있도록 원화의 對外交換性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할 필요가 있다. 원화의 국제화를 위하여서는 외국인이 원화를 보유하는 것이 허용되고 외국인보유 원화자금을 외화자금과 교환하는 것이 허용되는 등 원화의 대외교환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외국인들이 非居住者 원화예금계정의 자금을 사용하여 외화를 매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비거주자 자유원화계정제도의 시행이 필요하다. 일곱째, 대금결제기간이 1년이상인 延拂輸出의 경우는 대금회수시까지 환율 변동으로 인하여 수출업체가 부담하는 환위험이 매우 크므로 현재 대만과 일본에서 실시하고 있는 輸出 換率變動保險制度를 시행 할 필요가 있다. 연불수출시에는 연불수입 등이 빈번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네팅이나 매칭 등의 내적기법을 사용하여 외환위험을 회피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선물환계약 등의 외부적기법을 사용하려고 할 경우에 거래시장의 동향을 분석하여 계약을 성사시키기 어려우므로 계약기간이 1년이상인 연불수출의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실의 3%내지 20%까지 보험금을 지급하는 환율변동보험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덟째, 외환관련 전문인력은 외국환은행에서 외국환거래를 담당하는 인원과 기업에서 외국환관리를 하는 인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국내 외국환은행은 전문인력이 부족한데다가 외환거래를 담당하는 인원들을 외국은행 국내지점에게 빼앗기고 있는 실정이므로 專門人力을 육성하기 위하여서는 일차적으로 외국환은행과 기업들이 노력을 하여야 하겠지만 전문인력이 갖는 외부효과를 감안하여 정부가 외환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외국환은행이나 기업체에서 이의 비용을 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한국기업들은 操危險管理의 목적을 환손실의 최소화에 두고 환율예측 기간은 3개월 이상의 장기간이고 예측의 빈도도 매주 이상의 장기간이며, 예측치는 담당부서의 판단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환위험관리기법은 先物換去來와 스왑(Swap)去來를 들수 있으며, 외환거래시 가장 자주 사용하는 통화는 미달러화와 일본엔화 등을 들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외환거래에 관련된 規制를 완화하고 外換去來 節次를 간소화하며, 국내 외환정보 입수체계의 확립과 더불어 브로케제도의 도입과 선물환시장의 육성, 연구활동체계의 확립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기업들은 완전자율변동환율 제도하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의 극복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the late 1997, the exchange rate system in Korea has been changed at market average to make it flexibly perfectly. The Exchange rate, under perfect flexibly exchange rate system,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and supply of foreign exchange market rather than the value of gold or US dollar. However, the fluctuation of exchange rate has caused various kinds of foreign exchange risk for the companies which has performed international transactions because of difference between contract and payment in time. Owing to the fluctuation of exchange rate, we had suffered from the financial damage with an amount of 7 trillion 8,000 billion won in 1997 and 1 trillion 8,900 billion won in 1998. Therefore, we took the heart of the necessity of foreign exchange risk control. For this,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wake up companies through the revision of exchange control rules which can tolerate the use of exchange risk control method such as "currency swap", "financial futures", and "currency option",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icient exchange control plans through finding and analyzing conditions and problems in Korean firms' exchange risk control.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survey is made with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academic journals, books and pap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conduc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find and analyze the conditions and problems in Korean firm's exchange risk control.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says the purpose and the range of this study. Chapter 2 explains the measurement method of "foreign exchange exposure" and introduces the "internal management technique" & the "external management technique" to minimize the foreign exchange risk. Chapter 3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 of foreign exchange control in Korea and Taiwan focusing on the method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example analysis. Chapter 4 provides the efficient exchange control plans. And Chapter 5 summarizes the conclusion providing the guideline of future study. A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its analysis, I found a few problems of the foreign exchange risk control in the Korean firms. First, there was not separation in duties. Sales department or accounting department(Cashier) totally performed the control of foreign exchange risk and cashflows for foreign exchange. Second, the lack of manager's understanding for the foreign exchange risk was pointed. Third, there was a trend that they had put an emphasis on short term results rather than long term ones. Finally, they depended on the passive ways which could be performed without making a previous study for the foreign exchange exposure and using forward exchange transaction simply. To control the efficient exchange risk in the Korean firms, four plans can be insisted as follows; 1. They should use positive exchange risk control methods such as "leading and lagging", "netting", "diversify of portfolio", "forward exchange transaction", "currency future", "currency option" and "insure against the exchange risk". 2.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total foreign exchange risk control system ; upbringing of specialist and composition of responsible squad for foreign exchange risk evasion. 3. CEO(chief executive officers) must show interest in the exchange risk control and take part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exchange risk. 4. It is important to use "The Korea Futures Exchange". I think each company in Korea should continue in making its efforts and studies in these fields in order to deal with the foreign exchange risk.

      • 회계적 환위험 및 환위험관리의 정보효과

        김영욱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ccounting foreign exchange risk exposure (FXR) on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ERC) and the effect of account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effectiveness (FXRM) on ERC.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mpa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efforts that the firms have made for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verify the necessity of active and systematic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n particular, using currency derivatives. In this study, two key variables are FXR and FXRM. FXR is the value of {(foreign assets + foreign liabilities)/total asset}. FXRM is the negative absolute value of {(gain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 loss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 gain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 loss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 gain on currency derivatives evaluation - loss on currency derivatives evaluation - loss on currency derivatives evaluation + gain on currency derivatives transaction - loss on currency derivatives transaction + gain on firm commitment evaluation - loss on firm commitment evaluation)/total sales}. This study uses as sample the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KSE) for the years 2011-2013 whose fiscal years end in December. The financial data for measuring FXR and FXRM are manually extracted from the notes to IFRS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of the sample firms. They include the items such as monetary foreign assets and liabilities, gains and losses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and translation, and gains and losses on currency derivatives transaction and evaluation (including gains and losses on firm commitments). This study performs the empirical analyses using research model based on the models in Easton and Harris(1991)과 Ali and Zarowin(199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r a firm’s FXR is, the smaller ERC of the firm is. Second, the higher a firm’s FXRM is, the larger ERC of the firm is. Third, the effect of FXRM on ERC is smaller for high FXR group than for low FXR group. Fourth,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not observed for the pooled sample. However, controlling for FXRM,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observed for high FXRM group whereas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not observed for low FXRM group. Finally,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larger for high FXR group than for low FXR group. In summary, the aforesaid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may evaluate negatively the earnings of high FXR firms and evaluate positively the earnings of high FXRM firms, which may be less likely for high FXR firms than for low FXR firms.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for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investors may evaluate incrementally and positively the earnings of high FXRM firms whereas investors may evaluate incrementally and negatively the earnings of low FXR firm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counting literature on foreign exchange risk and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have institu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various interested parties. Specifically,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effect of FXR on ERC and the effect of FXRM on ERC by focusing on FXR and FXRM. Second, the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Third, the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at the effect of FXRM itself on ERCs may be affected by FXR. Finally, this study may have institu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various interested parties by communicating the importance of FXR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XRM. 본 연구에서는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와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 정도를 중심으로 이들 두 요소가 환위험 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추가로 통화파생상품을 이용한 환위험관리가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기존 환위험관리 노력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환위험관리 특히, 통화파생상품을 이용한 환위험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IFRS)를 최초로 도입하여 연결재무정보와 별도재무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연결법인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 재무정보 중 회계적 환위험 노출과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 측정에 사용되는 외화자산과 외화부채, 외환손익항목 및 통화파생상품손익(확정계약손익 포함)항목은 표본기업의 외부연결감사보고서 주석에서 수작업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Easton and Harris(1991)과 Ali and Zarowin(1992) 모형에 기초한 검증모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이익반응계수는 유의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둘째,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높을수록 이익반응계수는 유의적으로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셋째,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화파생상품을 사용하는 환위험 관리의 이익반응계수에 대한 증분적·긍정적인 영향은 전체 기업집단에 대한 분석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환위험관리 효과 정도를 통제한 후에는 환위험관리 효과가 높은 집단에서 그 영향이 관찰되었으며, 반면에 환위험관리 효과가 낮은 집단에서는 전체 기업집단에서와 마찬가지로 관찰되지 않았다. 끝으로, 통화파생상품 사용이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증분적·긍정적 영향은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큰 집단에 대하여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환위험 노출 정도가 작은 집단에서는 오히려 통화파생상품 사용의 증분적·부정적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기업의 이익은 투자자들로부터 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높을수록 기업의 이익은 시장에서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기업의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작게 나타난다. 또한 통화파생상품을 사용하여 환위험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환위험관리 효과 정도가 높은 기업의 이익은 투자자들로부터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이러한 효과는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환위험 노출 정도가 작은 기업의 이익은 오히려 투자자들로부터 더 부정적으로 평가 받게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환위험과 환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및 제도적·정책적 측면에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회계적 환위험과 회계적 환위험관리에 중점을 두고,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 및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이익의 가치관련성(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둘째, 통화파생상품을 사용하는 외부적 환위험 관리방법이 투자자들에 의해 증분적·긍정적으로 평가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셋째, 회계적 환위험관리와 외부적 환위험 관리방법의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회계적 환위험 및 환위험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전달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김창국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2

        환율이란 서로 다른 두 통화간의 교환비율로서 한 통화의 가치를 다른 통화의 단위수로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환위험이란 이종통화의 교환시 예상치 못했던 환율변동으로 인하여 현재가치로 표시되는 기업의 미래 기대 현금 흐름에 있어서 손실을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환위험관리란 환율변동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기업의 수익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재무적활동을 의미한다. 본질적으로 기업에 있어서의 환위험관리는 수익극대화의 추구가 아니라 위험의 최소화 또는 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하는 방어적 활동으로 이는 곧 기업활동으로 얻어진 이득을 환율의 변동으로부터 방어하려는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위험을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떻게 인식·관리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있는지를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96년 12월말 결산 상장법인 중 제조, 건설, 무역, 운수 등 50개를 선정하여 환위험의 인식도, 발생실태, 관리대상, 정보체계, 주요기법, 관리조직 및 장애요인 그리고 국가정책 및 제도적 차원의 실태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위험에 대한 지식의 정도에 대해서는 55%정도가 실무적으로 이용할 정도로 많이 안다고 나타났고, 61% 정도가 환위험은 심각하나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환위험의 관리목표에 있어서는 49%가 순손실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환율정보는 주로 국내은행과 외국은행 국내지점에 의존하고 있으며 임시로 환율변동의 방향, 범위, 특정값을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위험관리를 위해 기업들은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투자가 극히 부족하였으며 실무자에 대한 교육기회도 미비하였다. (4) 현행 선물환거래 방법은 오버나잇(overnight : O/N) 거래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정부의 환율정책이 일방적이고 임의적으로 이루어진 결과라고 생각된다. (5) 우리나라 기업의 외환거래는 주로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통한 거래였으며 이들 금융기업은 한국의 외환관리 및 외환시장의 발달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기업의 환위험관리 장애요인은 전문적인 외환실무자의 미확보 및 교육훈련의 부족, 중간경영층의 과중한 책임부담, 최고경영자의 인식부족, 제도 및 외환시장의 미발달로 나타났다. (7) 환위험관리의 개선방향은 전문요원의 육성, 연수강화 및 실무능력의 배양, 신종 금융기법인 금융 선물거래, 옵션 등의 도입, 원화의 자유 교환성 제고, 외환매매 밋 자금이동의 자유화 확대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선방안에 대한 전략을 요약해 보면 첫째, 제도적 차원에서는 단기 금융시장의 육성이 필요하다. 국내 단기 금융시장의 육성을 통해 금리가 시장 매카니즘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되고 금리 재정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개별기업의 차원에서는 환위험관리를 담당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이를위해 기업은 국내·외 연수기회의 확대와 자체적인 환위험관리를 통해 오직 환위험관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전문요원을 양성해야 하겠다. 셋째, 내부적 관리기법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 금융시장의 미발달로 환위험관리를 위한 외부적거래의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 내부적으로 환노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고하고 나머지 환노출은 외부적기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환위험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은 담당 재무자 선에 일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연속성과 정확성 그리고 결단성을 요구하는 환위험관리 기법은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실무자에게 위임하고 경영자는 총채적인 관점에서 관리결과를 평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Foreign exchange rate is a unit of the countries currency in terms of another ones. Therefore, foreign exchange risk implies the loss of the present value of cash to the unexpected changes in exchange rate. Exchange rate management means financial activities prevent profit loss incurred by exchange rate fluctuation. Exchange rate management in firms level is not activities for maximization of profit but financial ones for minimization of loss or risk.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analyser how Korean enterprises recognize, control and establish strategies to cope with this risk. Directions and solutions for the foreign exchange risk are suggested. 31 firms out of 50 major listed companies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are surveyed. Those are Manufacturing, Construction, Trade and Transportation closing at December 31.1996. Question are on degree of recognition frequency of occurrence, obstacles, national policy and institution of exchange risk.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 (1) 55.8% of the answered firms recognize the exchange risk to the degree that they can avail thi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erception of exchange risk os very high. (2) They are collecting informations mainly from branches of foreign banks, and are frequently forecasting trend and fluctuation range, of foreign exchange risk. (3) Investments on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for dealing with exchange risk are insufficiant, Also training opportunities to be given to the staffs are very limited. (4) Currently used major instrument of forward exchange transaction is overnight transaction, which is resulted from the Government's unilateral and arbitrary decision upon foreign exchange policy. (5) Exchange transaction through branch of foreign banks are used by common Korean industries and their foreign branches are making a contribution to managing foreign ecchange and developing foreign exchange market. (6) Major factors to hinder industries' exchange risk managements are ⅰ) shortage of matured dealers, ⅱ) lack of education and training chances for the staffs, ⅲ) too much responsibility to management ⅳ) lack of top management's understanding. ⅴ) pre-mature status of foreign exchange market and institution and ⅵ) difficulrs in acquiring foreign informations. (7) I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exchange risk management that the provision of various kind of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to improve the practical abilities of dealers, the import of new techniques such a Financial Futures and Options, the enhancement of flexible interchangiability of Won currency, the deregulation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nd money flows. Suggestion for improving exchange risk management can be summarized. ⅰ) The development of money market is necessary in industrial level. Because it can assure spontaneous settling of interest rate though market mechanism and facilitate brisk interest arbitrage transaction. ⅱ) In each firm's level, dealers should be raised. For this, each firm should expan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held both domestic and abroad. Also, simulation programs must be set up in the company for the staffs. Through these various services, each firm can develop dealers who can concentrate on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ⅲ) To make most of internal techniques for exchange risk management are utmost necessary. Because unfledged domestic money market keeps industrial from applying external techniques to foreign exchange management. Therefore, our firms should work on the measure to reduce exchange loss internally. After that, utmost efforts to do so though external techniques will be necessary. ⅳ) It would be desirable to delegate authority to dealers with sufficient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decision making over foreign risk management, which requires promptness, accurancy and resolution. Top management had better assess the performance from the overall point of view.

      •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장길수 충남대학교 1985 국내석사

        RANK : 248702

        As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in business become increasingly high, the international finance manager must develop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rategies to fit the exchange rate fluctuating. Before developing th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rategies, he must get explicit conception of the foreign exchange risk or exposure. The previous studies cannot interpretate the concept of foreign exchange risk sufficiently, then in this study a new taxonomy of foreign exchange risk is introduced. To put it briefly, current realized and fixed risk is so-called transaction risk, current unrealized and fixed risk is so-called translation risk, current no-fixed risk is the contractual transaction risk causing on indefinite future date, future fixed risk is measured as a opportunity costs, future no-fixed risk is the limited concept of economic risk, inclusive risk is the concept of including all foreign exchange risks. As a result of the emperical survey, this new taxonomy of foreign exchange risk become applicable to interpretate the concept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ing the foreign exchange risk efficiently, international finance manager mus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foreign exchange risk, get th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programs, foreast future exchange rate, set up the foreign exchange risk information system, establish th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objectives, and prepare th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investiqating foreign exchange management state in Korea business and the investigated business number was 45. As a result of the emperical survey in Korea business, the degree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quality is ranked by business size and type. (1) Big trading companies (2) Banks dealing with foreign exchange (3) International manufacturing companies (4) Small trading companies (5) Local banks (6) Home manufacturing companies Korea business manages foreign exchange risk as that: (1) Degree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foreign exchange risk is depend on foreign currency denominated trade size or frequency. (2) The higher degree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foreign exchange risk is, the better management program foreign exchange risk is. (3) Exchange rate forcasting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foreign exchange loss, but Korea business has not effective exchange rate forcasting systems. (4) Banks dealing with foreign exchange have the better foreign exchange information systems. (5) Most of all Korea business have defensive objectives in foreign exchange management. (6) Korea business uses before-exchange contract as a foreign exchange management strategies.

      •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위험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온정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외관광여행사의 성격상 외환위험관리는 대단히 중요한 관리 업무이지만 외환에 관한 인식도 부족하고 외환위험관리전략, 외환위험관리기법에 관해서도 잘 모르는 실정이다. 외환위험관리를 한다는 것은 국가경제적 측면에서는 외환손실방지라는 측면과 국제기업간 측면에서는 건전한 기업풍토를 조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외관광여행사 외환위험관리의 발생요인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위험관리전략과 절차를 수립하고 또한 국외관광여행사의 적절한 외환위험관리기법을 적용하여, 국외관광여행사 재무구조의 안정에 도움이 되는 외환위험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조사(documentary study) 둘째, 실증조사(empirical study)방법은 실무자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설문지를 방문, 개별면접조사(personnal interview survey method)를 통해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02년 11월 12월 두달간 조사되었다 총 설문지 배포 부수는 조사기간동안 20부를 배포하여 전체 2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한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위험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x^2(Chi-square)검증, 빈도와 백분율, t-test(검증), 그리고 One- 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두집단간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외환관리기법을 H여행사에 적용하여 통화선물환과 통화옵션 구매의 경우의 추정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분석결과에 대한 토의결과에서 환율관련 인식도에 있어 두집단의 환율에 대한 인지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무자들은 환율에 대하여 잘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집단간 환율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전문가 집단에서는 상당히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실무자들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집단간 환율변동이 국외관광여행사의 매출 및 수익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전문가집단은 매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실무자들은 이에 대해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연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험관리에 있어 두집단간 외환위험 관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집단은 보통정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반면에 실무자들은 이에 대해 필요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험 관리를 하는 주된 목적에 대해 두집단간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외환손실의 극소화에 있다고 두집단에 외환위험 관리를 하는 목적에 대하여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관광여행사에 있어 외환위험에 대한 기본수용 태도는 공격적 외환노출 관리전략인 환차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관리전략이 아니라 방어적 전략인 외환위험을 극소화하기 위한 소극적 전략을 말하는 것으로 외환위험관리는 환차익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환율변동위험을 최소화하며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기업경영의 불확실성을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겠다. 두집단에 있어서 외환위험 내부적 관리기법과 외부적 관리기법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전문가집단은 그 중요순위를 내·외부적 관리기법을 고르게 지목하였는데 실무자집단은 내부적 관리에 대해 편중되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자집단의 경우 외부적관리기법에 대해 잘 모르며 내부적 관리 기법에 편중되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랜드사에게 래깅을 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부서가 없더라도 전문직원이 근무, 부서 및 전문직원이 근무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현제 대부분의 국외관광여행사가 부서도 없으며 비전문 직원이 상황에 따라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사 추정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외부적관리기법인 선물환 통화옵션의 파생상품의 구매로, 혹은 내부적관리기법인 매칭의 일종인 지불의 경우에도 일 중 변동폭에 따라 크게는 당기순이익 대비 50%에서 적게는 14%정도까지 환차익을 볼 수도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외환위험관리방안에 있어 전문가들은 전문기관에 위탁교육을 실시하여 담당직원들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회사에서 지원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외환위험 교육은 반듯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는 반면, 실무자들은 외환위험 관리자의 교육이 전혀 불필요하거나 미실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 외환위험 관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는 전문가집단은 국외관광여행사직원들의 외환위험 관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상당히 주장하였으나, 실무자들은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험 관리의 장애요소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집단에서는 외환전문가의 부족과 경영층의 인식부족에 같이 50%로 나타나 여행업이 외환의 불모지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실무자에서는 전문가의 부족에 41.7%가 나와 전문성 결여를 장애요소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환위험 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전문가집단은 전문가의 육성, 외부전문가의 도입이 55.0% 가장 높았고, 경영진의 외환위험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35.0%가 필요하다고 하여 전반적으로 기업의 내부에서의 처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인식한 반면, 실무자들은 전문가의 육성, 외부전문가의 도입에 31.5% 경영진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28.0%, 공동 또는 위탁해서 관리하는 단체나 기관의 설립이 25.0%로 자체적인 해결과 위탁에 대한 관심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사례분석결과에 대한 토의결과는 H사 사례를 통해 분석의 과거년도인 1997년과 분석의 기준년도인 2001년의 외환 노출가능액을 여러 사례별로 도출 하여 보면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외관광여행사 패키지 시장 점유율 18.2%로 나누어 한국국외시장 전체로 확대해보고 EAP와 World 기준으로 확대해보면 경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외환노출에 대한 외환위협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H사의 2001년 8∼10월 실제 통계를 기초로 전문가집단과 권한 외부적외환관리기법의 일부인 파생상품 중 3개월물 선물환구매시 최악의 가정인 최고환율시 지불인 경우, 선평균환율시 지불의 경우, 실지불의 경우에 환차익을 볼 수 있는 결과가 도출 되었고, 1개월물 선물환구매시 최고환율시 지불의 경우 환차익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환율시 실지불시 마이너스의 나타나고 있는데 이런 경우 다른 추정사례에서 결합옵션의 활용 사례의 경우 선물환과 풋 옵션을 등가로 동시 구매하면 헷지가 가능 할 수 있다 통화옵션을 이용해서 헷지를 할 경우를 결과를 분석하면 최저환율시 3개월물 통화옵션구매 최고 환율로 상승했을 경우, 평균환율시 3개월물 통화옵션구매 최고 환율로 상승했을 경우, 최저환율일 때 3개월물 통화옵션을 구매하였더라면, 실지불의 경우, 최저환율시 1개월물 통화옵션구매 평균 환율로 상승했을 경우, 평균환율시 1개월물 통화옵션구매 최고 환율로 상승했을 경우, 최저환율일 때 통화옵션을 구매하였더라면 실지불시, 모두 환차익을 볼 수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위험 관리방안 살펴보면 첫째, 외환노출정도와 영업이익대비 사례별 환차손을 감안해 볼 때 국외관광여행사에 있어 외환위험에 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재인식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외환교육이 필요하다. 하나의 방안은 학계의 역할을 논할 수 있는데 학계는 관광분야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관광관련학과 학생들에게 재무관리 회계 등에 관한 수업을 신설, 보강하여 국외관광여행사의 재무관련 전분가의 양성 등을 통하여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업의 최고경영자의 외환위험인식전환과 외환위험 관리비용은 기업경영의 불확실성에 대한 일종의 보험료라는 인식 하에 외환관리의 당위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환노출 현황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외관광여행사의 포지션 운영조직과 커버조직의 구분 운영을 통한 권한과 책임소재를 확립하고 구체적인 포지션관리체제를 완비하여 거래한도, 손실한도를 정하는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노출파악을 하고 장단기 환율예측능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외환위험에 대한 대내적, 대외적 관리기법 결정 각 기법에 수반되는 거래비용과 기법의 효율성을 비교, 검토해야 한다. 셋째, 외환위험 관리전략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으로 기업의 규모에 따라 효과와 비용의 측면에서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환차손이나 환율변동으로부터 국외관광여행사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환위험관리전략이 매우 절실하다. 넷째, 다양한 외환관리기법의 활용으로 국외관광여행사에 있어 외환위험관리의 주된 목적은 방어적인 외환위험관리로 건전한 재무관리하고 국제기업간 측면에서는 건전한 기업풍토를 조성하고 국민적 측면에서는 안정적인 여행풍토에 도움이 되어 양자가 Win-Win이 되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다양한 외환위험관리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한계는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위험관리에 대하여 현재까지 뚜렷하게 정립된 학설이나 이론은 충분치 많아서 외환위험관리에 대한 자료와 선행연구가 부재하였던 것이다. 선행연구의 부재는 차후 연구할 과제가 많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현실적으로 국외관광여행사는 그 역할과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재무구조의 영세성이라는 구조적 취약과, 현업에서의 경영자들의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영업외수익 영업외지출에 대한 경시현상과 재무 회계 외환관련 전문인의 부족 등으로 외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거래 규모가 재무비율상에 상대적으로 작고 아직은 원화의 달러화에 대한 환율변동폭이 그렇게 크지 않다라는 점에서 국외관광여행사 외환위험관리에 관한 논의가 다소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되는 전략 및 방안은 국외관광여행사의 재무경영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최고경영자 및 재무담당자의 의지가 뒷받침되어야 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실질적 대안으로 활용되기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새로운 시대에 국제적 기업으로서 또한 건전한 국민관광산업으로 도약하고 환율 및 금리의 지나친 변화, 격변하는 국제금융시장에서 대규모화 되어가는 국외관광여행사들이 직면하는 외환위험을 적절히 조절하여 국외관광여행사의 외환위험관리 등, 재무구조의 체계확립으로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하는데 조금 이라도 기여하기를 바란다.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hould be important for an outbound tourist company who sells outbound tourism package Nonetheless, most outbound tourist companies has lack of knowledge in terms of foreign exchange as well as strategy and method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s Korea is getting to be more international in these days, to manage foreign exchange risk could help us avoid foreign exchange loss considering national economy and create sound corporate culture in terms inter- company relationship. Besides, to manage foreign exchange risk would provide Korean people with more stable tour environment. In other word, to manage foreign exchange risk would be good for public and welfa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method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n order for tourist companies to recognize necessity and factor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plan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apply it. Eventually, those would be helpful for financial structural of tourist companies. For obtai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have done documentary study, empirical study and case study of H tourist company. In chapter 1, I brought up issues and describ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explained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in chapter 1 and described definition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n chapter 2. In chapter 2, as theoretical background, I studied management characteristic of outbound companies mentioned in chapter 1. In chapter 2, I discuss about concept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and theoretical ground thereon. In chapter 3, I explained strategy and methods of foreign risk management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In chapter 4, I show current status of foreign exchange exposure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Lastly, in chapter 5, I review precedent researches regard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n chapter 3, Research plan and Analysis methods, I have done research on level of knowledge by persons who practically work on foreign exchange areas. Besides, I have done research on two groups, which are persons who work on foreign exchange areas and expertise thereof. In this chapter 3, I mention the purpose of research, selection of subject of research, research method, research period, analysis method, and etc. I explain about survey in paragraph 1, case study on H tourist company in paragraph 2 and discuss about result of case study in paragraph 3. Based on result of analysis in chapter 3, in chapter 4, Analysis research and Discussion, I discuss about method of foreign risk management and solution thereof as well as limitation thereof. Besides, I explain about result of survey and analysis thereof in paragraph 1, H companys strategy in paragraph 2 and limitation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n paragraph 4. In chapter 5, as conclusion, I summarize result of this research and suggest future study to be done. As review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plan of outbound tourist companies based on result of analysis, at first, I realize necessity of re- knowledge regarding importance of foreign exchange risk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when it comes to considering foreign exchange exposure of outbound tourism and foreign exchange gain and loss through case study. Education of foreign exchange will be necessary for such re-knowledge. As one of education methods, I would like to mention about role of university and special school which would Introspect the past, analyze it, anticipate future and suggest solution for future. In this regard, it would be necessary for tourism specialized schools and tourism related universities to enhance financial management and accounting field for their students by establishing finance related curriculums and training finance specialist in the tourism area. As another method, CEO of a tourist company should realize that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s not for obtaining foreign exchange gain, but for minimizing risk caused by foreign exchange and eventually enhancing company value. Besides, CEO should know cost for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s a kind of insurance for uncertainty of business and realize importance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econdly, analysis of status of foreign exchange exposure should be done. It would be necessary to clarify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position operation part and cover part of an outbound tourist company. After then, by establishing position operation system, an outbound tourist company should determine transaction limitation, loss limitation and understand foreign exchange risk. Also, the outbound tourist company should determine internal and external management strategy for foreign exchange risk and analyze expenses and cost incurred by such management in comparison of its efficiency for company. Third, it is necessity of establishing strategy system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ince it would be difficult for small outbound tourist companies to hire an expert for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for small outbound tourist companies to utilize in an easy way in order to manage foreign exchange risk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d eventually protect profit of outbound tourist companies. There are six step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which are step of researching on precedence relating to foreign exchange risk, step of establishing information system of foreign exchange risk though analysi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ep of reviewing problem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ep of searching alternative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step of evaluation. Forth, it is to utilize method of foreign exchange management. CEO and CFO or finance people have knowledge on foreign exchange exposure but have lack of knowledge on practical method to manage such foreign exchange risk. As an internal management method, Lagging is often used, however it would hurt landing companies In this study, I focus on foreign currency forward and foreign currency option for management method of foreign risk. Through case study of 2001s financial document of H tourist company, I found out that H company was able to avoid foreign exchange loss by managing 3 month and 1month currency feature and by using combination of currency option, currency feature and put option. However, it should not be disregarded that in case using hedging did give disadvantage as compared to not using hedging, we should accept cost incurred by such hedging disadvantage as cost to remove foreign exchange risk. Besides, we should know that we have lack of knowledge regarding hedging.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main purpose of defensive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s to maintain sound finance, make sound inter-company relationship and contribute in stable travel environment for people. For win-win for both outbound tourist companies and tour people, it would be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method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Big limitation in this study is that there has not been certain study or research regard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since relevant theory was not established enough. Lack of study on this matter shows us that there will be lots of opportunities for us to study in the area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econd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iscussion on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would be regarded impractical since (1) financial structure of most outbound tourist companies is weak, (2)management of outbound tourist companies disregard foreign exchange loss or gain because such is a non-operating income or a non-operating expenditure and there is lack of foreign exchange specialist in those companies, (3)the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in those outbound tourist companies occupies small portion relatively and (4)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rate is not high. Therefore, it would take some time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to apply strategy and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and to get benefit from it. However, in the long term,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strategy and method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2002 Wouldcup and Asian game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outbound tourism of Korea and enhance image of Korea. Since outbound tour by domestic people be expected to be increased as Korean economic situation is getting better. As outbound tourism takes important position in comprehensive tourism industry,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risk and interest rate is getting high, it is inevitable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to utilize derivatives, which is one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methods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pany value in the long-term perspective. Depending on how to use derivatives, a company could go into bankrupt or get great benefit from them. Foreign exchange management by using feature transaction and currency option would be necessary for outbound tourist companies to establish systematic financial structure and manage company effectively as well as surviv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