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D시뮬레이션 사용에 따른 국내 환경조각의 조형적 변화상 연구

        김영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is generalized, an infinite amount of information is produced and reprocessed in real time through various digital devices before it is widely used. Anyone can easily produce information and get access to a high level of information in real time. It is now possible to visit almost every city in the world through the Internet. Now, the 21st century is considered to be the period which cannot be described without mention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Also, the field of art has been influenced by the digitalized period, so digital tools are used in various field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mong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field of art is more subject to the digital environment than others. Even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of art and the field of technology still causes some argument, it is a fact that the current cutting-edge technology combined with the cutting-edge info-communication of the 21st century greatly influences the field of art. The development of such a graphic technology as the 3D simulation changes the essence of art which must be based on the related material or the technology required to handle it. Since the environmental sculpture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mplicated social environment with various aspects thoroughly and provide appropriate works to the public society. The work tools like the 3D simulation can be regarded as the most optimal work tools which can be us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Also, they can be regarded as the most optimal tools which can be used to manufacture the environmental sculpture which reflects various demands of the public society, which are more complicated than those of the pas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ociety. Since 1990󰡑s when the 3D modeling program became common, the 3D simulation has been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sculpture in Korea. Regarding the domestic environmental structure, the computer graphic work has been used to manufacture an inspection board for various contents. Regarding the graphic works in the early stage, the editing works to combine the pictures of the works with other background views were mainly executed. However, as the 3D modeling program was distributed, the modeling process for the sculpture works was executed through computers as well. The computer graphic works were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perspective views for the first time. Now, they are regarded as the essential work tool which must be appli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in regard to designing,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stages for the domestic environmental sculpture. Also, at the sit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al sculpture, the 3D simulation has become common, providing the formative changes which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The field of sculpture has not shown any big change over the centuri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used in the field. From the prehistorical sculpture to the one found in the 20th century, such strong materials as [Soil and Paddles], [Stone and Chisel] and [Bronze and Casting] have been continuously used. However, as the digital environment was introduced in the field of sculpture, various changes have been emerged. Since the early 1990󰡑s when the 3D simulation was introduced to the environmental sculptur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to the environmental sculpture over the past 20 years as shown in the complicated social environment at the moment. Also, artists' views have been changed, so have their works. Regarding the convenient work environment, the workplace filled with dust and the sound of a hammer has been changed to the one filled with the shining light of a monitor. The work environment in which almost every material existing on the earth can be used is provided through the screen of the monitor. As the way of using the materials has become simple and easy, the shapes and types of the works have been changed. As a result, the previous structural works have been combined with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They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complicated and multi-functional works with such factors as lighting, installation and media. Reflecting such a situation, the structural sculpture took about 84.5% among the sculpture works in Korea before the year of 2000. However, the proportion was weakened to be 23.2% after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non-structural sculpture took 43.8%. Such changes show that the environmental sculpture works in Korea have been changed from the structural form to the non-structural one. Also, the artist's sense has been changed a lot. As a result, both the previous way of manufacturing academic sculpture works and the way of planning, managing and supervising the works like those applied by the modern architects are considered. Currently, the environmental sculptors use computers to consider and design their works and make blueprints for the modeling process in regard to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The works which are completed this way are divided into individual parts and manufactured at the factory according to different processes. The whol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ilar to that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 artists who can actively utilize the 3D simulation are now accustomed to the mouse or keyboard of the computer rather than hammers and chisel. They are now trying to make the works showing light, music and video images rather than human figures. The environmental sculpture of the 21st century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every kind of work from the installation to the application with the help of the computer simulation. As the 3D simulation is used in the process of making sculpture, such positive aspects as shown below are provided. Firstly, by actively utilizing such characteristics as the unlimited change and duplication provided by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works, it is possible to make the sculpture with various shapes. Also,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emergence of the sculpture with the formative process which represents various ways of making sculpture. Secondly, by using the convenient organic and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a,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emergence of the sculpture which can communicate with other types of media. Such a fact means that the production of the sculpture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genres such as music, light and sound. Third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emergence of the sculpture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urban architecture in the supplementary process. Such a process is possible on the condi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sculpture, which have existed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or architecture, are removed. All these works compose the media for the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their environment,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of art. Regarding such a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n sculpture is moving out of the frame of the fixed independent environmental sculpture shown in the previous period. The field of art which is based on the digital environment in the related process shows such problems as the weakening aspect of aesthetics caused by the excessive visual dependence in the execution process or in regard to the related result and the weakening of the traditional materials caused by the usage of specific ones. However, the programs related to the 3D simulation work have been developed, while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As such programs and techniques will be continuously used, it seems that various problems will be gradually solved. Furthermore, even if the 3D simulation is currently used mainly for the environmental sculpture, the range of usage for the 3D simulation will be expanded to other areas. As a result, it will be used effectively as a field of pure art. Now, regarding the domestic environmental sculpture, the role of the computer simulation has been expanded so much that it is impossible to execute the entire process from the designing stage to the executing stage without the help of the high-tech digital media and the computer simul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omestic environmental sculpture is currently in the neo-techne period which is removing the border between art and science through computers.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usage of the 3D simulation not only plays the role of a simple tool but also influences the formative change of the entire environmental sculpture. 20세기는 사진과 영화, 컴퓨터 등 여러 가지 시각매체들이 등장하면서 미술사에 있어서도 커다란 전환기를 맞았던 시기였다. 이들 다양한 매체들의 중심에서 컴퓨터는 각 매체 간 통합과 소통을 이뤄내면서 21세기 미술의 현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초창기 컴퓨터는 단순한 이미지 생산이나 합성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술이 발달된 1980년대 이후에는 컴퓨터미술이라는 장르를 별도로 구별해야 할 만큼 사용방법이 다양해지고 빈번해졌다. 환경조각 영역에서 컴퓨터는 1980년대 후반 개인용 컴퓨터 보급과 3D 그래픽 프로그램의 일반적 사용에 따라 서서히 사용되기 시작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90년대 이후 각종 공모전의 심사용 도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컴퓨터 그래픽 작업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주로 작품 사진과 배경의 합성을 위한 조감도용 편집이 이루어졌다. 이후 3D 모델링 프로그램이 보급되면서 조각 작품의 모델링도 컴퓨터상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디지털 환경의 도입은 조각 분야에서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고 특히 환경 조각은 전통 조각에서 별도로 독립해야 할 만큼 조형적 변화의 폭이 크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작가의식의 변화는 이러한 첨단 디지털 매체의 간섭에 의해서 촉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환경조각이 디지털화 되었다는 것은 도구적 수단의 변화나 이전시대의 미학적 가치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조각의 개념과 존재형식, 작품이 놓일 환경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공간인식을 망라하는 것이며, 무엇보다 공간 개념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은 종래의 수동적인 응시 관념의 대상에서 능동적이고 구성(Composition)적인 차원으로 바뀌게 되었다. 2000년 이후 3D시뮬레이션이 보편화 되면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나무, 대리석, 화강석, 철, 브론즈 외에도 유리, 스텐리스 스틸, L.E.D, 각종 플라스틱, 광고용 판넬, 아크릴, 각종 필름, 가죽, 천 까지 다양한 소재들이 작품에 등장하게 된다. 3D 시뮬레이션을 작품제작에 적극 활용하는 작가들은 그 제작 방식 및 시공에 있어서도 3D 시뮬레이션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다. 환경조각은 작품의 규모나 재료에 따라서 제작 방식이나 현장시공 방법이 다양하다. 특히 현대 환경조각은 움직이는 조각 외에도 각종 전기, 전자장치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나 대형 전광판과 같은 건축 구조물들과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작된다. 위와 같이 복잡한 구조의 조형물들은 설계에서 시공에 이르는 전 과정에 시뮬레이션화 된 공정이 적용될 때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위와 같이 투시용 조감도 제작으로부터 시작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은 이제 우리나라 환경 조각에서는 작품 설계, 제작, 설치 등 작품제작의 전반적인 과정에 반드시 거처야 하는 필수 작업도구로 발전되었다. 3D시뮬레이션을 작품에 적극 활용하는 작가들은 이제 정이나 망치보다 마우스나 키보드에 익숙하게 되었고 인물형상 보다는 빛이나, 음악, 영상이 가미된 작품을 꿈꾸고 있다. 21세기 환경조각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도움으로 어떠한 작품이든 구상과정에서 작품의 시공에 이르기까지 일괄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급속도로 확장된 컴퓨터 작업 환경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과실재(過實在)의 문제나 특정재료에 치우쳐 획일화된 작품경향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미술 분야의 모든 문제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리를 잡아갔던 과거 전례처럼 각 부분별로 시간을 두고 차츰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의 환경조각의 현장에는 3D 시뮬레이션(3D Simulation)이 일반화 되어 이전 시대와는 확연히 다른 조형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3D 시뮬레이션이 환경조각에 도입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현재 3D 시뮬레이션의 보편화에 따른 조형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3D 시뮬레이션이 환경조각에 도입된지 20년이 되어가는 현시점에서 3D 시뮬레이션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와 그로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해 고찰 한다. 또한 보편화된 3D 시뮬레이션의 미학적 지위와 유용성을 연구하고 다양한 현대미술 흐름 속에서 3D 가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예술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3D 시뮬레이션 제작 툴들이 환경조형물 공모전에 편중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3D 시뮬레이션을 순수미술(fine art)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美術 敎育과 環境彫刻 藝術의 敎育的 接近

        이은래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개성, 자율성, 다양성, 대중성울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에 따라 현대 환경 미술 작품들의 양상 역시 변화되어 왔다. 이 같은 변화의 양상들은 환경 조형물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환경조각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문헌연구 중심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환경조각을 통한 미술 교육의 의의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현대의 도시 공간은 인간 활동의 중심지이고 환경조각은 인간이 활동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인간과 정서적, 심리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발달하여 왔다. 오늘날의 환경조각이 인간이 공유할 수 있는 미적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조형요소들의 조화, 균형, 질서가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에 건축과 조각의 역할이 크다고 하겠다. 그리스 시대 장식적이고 기념비적인 기능에 지나지 않았던 조각이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 점차 건축에서 독립되어 발전해 오다가 오늘날에는 다시 서로 조화로운 결합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여왔다. 환경조각의 형성과정 속에서 우리나라는 불상, 토속적 Object가 있었으나 이는 상징적 대상으로의 접근이었고, 순수 예술적 의미는 적은 편이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 도시 공간의 환경물은 실질적인 예술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기보다는 한정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단일한 미술 경향을 띠던 과거의 환경물이기에 그러한 경향을 띠었던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현대의 미술 경향은 다양한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현대 미술은 다양한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세계적인 미술 경향으로, 오늘날의 주된 경향인 모더니즘과 대별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일면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개인적 밀실 속에서 개인의 비기로서 있었던 조각은 Public한 공간 속으로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며, 다양한 가치들이 수렴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다시 말해, 잃어버린 시간과 장소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조각을 매체로 한 공동성을 창출해 나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현대의 환경 조각은 상징적 혹은 단일한 가치의 대좌에서 벗어나 환경에 뛰어들면서 현대 도시 공간 속에서 창조적인 미적 가치를 드러내는 시도들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은 우리나라에서 반영되고 있는 추세인데, 과거 비구상적 추상조각 탄생 이전의 상징적 교도적인 것으로서의 기념비적 조각이었다면, 오늘날의 환경조각은 과거의 환경조각과 비교할 때, 그것이 놓여있는 공간을 심미적으로 풍요롭게 하는데 그 주된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조각은 인간이 정서적, 심리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시간적, 공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바로 여기에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다양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는 현대 환경조각은 다양한 시각과 창조적인 안목의 견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교육에 적절히 접목 반영하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미적 정서의 함양은 물론이고, 창조적인 발상 및 성숙한 인격체로서의 성장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는 학생들이 현대의 환경조각을 통해 미적 가치를 함양하고, 함양된 안목을 통해 창조적인 표현활동 및 감상 활동을 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그리고 미술 교육에 있어 궁극적인 목표도 이와 일맥상통한다고 보면, 미술교육은 환경조각을 통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창조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환경조형물의 개념 파악을 시작으로, 크게, 공공미술로서의 환경조각, 환경미술로서의 환경조각,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의 환경조각에 대한 개념 정리를 하였다. 그 다음으로 환경조각의 이해를 통하여 환경조각의 기능 및 의의를 탐색하고, 환경조각의 조형적 요소에 대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환경조각을 크게 설립목적과 지각적 경험적 측면에 따라 분류하여 탐색보고, 현대의 환경미술과 현대조각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환경조각에 대한 이해와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시대적 흐름과 무관하지 않은 환경조각의 양상과 흐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에 있어서의 그 방향과 대안 모색에 있어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미적체험활동을 통한 접근, 표현활동을 통한 접근, 감상활동을 통한 접근이 그것이다. 우선, 학생들의 미적 체험에 관한 고찰하여 보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미적 감수성을 길러줌으로써 생활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함을 물론, 학생들이 주어지는 환경을 그저 살아야 하는 운명적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자신이 환경을 친 자연적이고 친 인간적인 것으로 개선하고 가꿀 수 있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바라볼 수 있도록 의식의 깨우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는 시각 환경에 우선 관심을 갖고 그것들을 나름대로 읽고 판단하고 이해하고 분석하고 비평하고 개선해 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환경조각을 통한 교육은 가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박물관이나 책에서 찾는 미술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찾는 미술, 이것이 소양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보편교육으로서의 미술, 학교에서 추구해야 할 미술교육을 달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요컨대, 교육적 접근을 통한 환경조각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는 것은 첫째, 학생들이 이 교육적 가치를 함양하여 성숙한 인격을 갖출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둘째, 본 연구에서 수행한 환경조각의 발전과정과 양상에 대한 모색은 곧, 다양한 교육적 가치 발견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셋째, 환경조각의 교육적 가치 모색은 창조적이면서 발전적인 환경조각이 나타나게 하는 기반을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환경조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조각에 관한 교육적 접근을 수행하였다. In keeping with the trend of post modernism placing emphasis on individuality, autonomy, diversity, and popularity, aspect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art has been also changed. The aspects of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environmental sculptur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by conside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in art education focused on documentary study. Contemporary urban spaces are the center of human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been developed while forming close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in terms of emotion. In order for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to have aesthetic value human beings can share, harmony and balance of plastic elements should be attained. Actually finally, mentioned in study, architectures and sculptures has play a significant role. Sculptures were limited to decorative function in Greek period however today's sculptures show harmony and balance after sculptures have developed since the age of Renaissance. There were buddhist statues and native object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sculptures in Korea but it was limited to symbolic meaning and lacked purely artistic meaning. Environmental sculptures of urban areas in the early delivered limited message to citizens instead of providing artistic features citizens can share. The reason for the limited function of previous environmental sculptures was due to conventional unitary art trend. However, today's art thrend shows pluralistic image. Pluralistic trend in art is prevalent throughout the world and it reflects post modernism. This attempt is to active in Korea. Previous sculptures were limited to symbolic functions while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place emphasis on aesthetic effect on citizens.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the values human beings can share emotionally and for this reason,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roach for environmental sculptures.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reflecting diversity enables citizens to have diverse perspectives and creative thinking. If the merit of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is applied to education appropriately, it enables students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and aesthetic emotion and to grow as accomplished person. This goal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lot of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inking, appreciate artwork and enhance eyes for aesthetic values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As the ultimate goal of art education coincides with the objective mentioned above, art education should be given by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Hereupon, this study organized concepts -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environmental sculptures as public art, environmental sculptures as environmental art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from the viewpoint of post-modernism. Then,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xamined by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plastic elements were examined focused on relevant documents and advance research. Then, the aspect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xamined by study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art and sculptures by classifying sculptures according to installation purposes. Examined the aspects and trend of sculptures from Greek age to modern times helped to find directions and solutions for educational approach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oday's art education, educational approach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classified the following three methods -approach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expression activitie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Leading students to appreciate aesthetic value enables them to enjoy art by enhancing aesthetic sensibility and to have active attitude toward life by awakening to themselv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addition, the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leading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visual environment and understand and appreciate it. Art education should be given by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joy artworks in the daily life instead of textbooks or museums. Educational values by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At first, it enables students to have mature personality by enhancing educational values. Secondly, consideration for aspec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onducted in this study can enhance the possibility of finding diverse educational values. At last, to seek the educational valu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contribute to building the foundation to develop more outstanding and creative environmental sculptures. Educational approaches toward sculptures were conducted based o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 都市環境造形에 대한 硏究 : 都心彫刻을 中心으로

        조의현 朝鮮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space in modern times which was caused by the Brancusi's discovery of the primitive sculpture in early 20 century was started the abstract movement of the scupture and the variation of the location in sculpture were started. Seperated from closed space, and going through combining with natural space, and combining with architecture in urban space. Sculpture, together architecture, occupied a great part of the artificial surroundings to modern times, and become an important essential element which purified the man's mental world, as in all art divisions. The reason that sculpture became an essential constituent unit of the urban surroundings like this, dues not only to the beauty that sculpture itself emanates, but all so the summary of a certain place characteristics, and to the rearrangement of the discursive circumference. The formative surroundings which this thesis aims at not set limites to sculptur only, but includes allround art meaning. Therefore, restricting of the breadth much more with the messes by means of close interchange relations with various art fields, such as architecture, City Plan, music, and literature is the great task. Surroundings are not dependent on by whom it was composed, and by what intention it was composed. By whomever it was made, by what intention it was started, it is recognized as surrounding, I say, by real ralationships with present men. Modern sculpture must leave the closed space of the museum or art gallery, and be with the masses in public square, and discharge its duties as a new nature in city space where the nature die a way. It must take not only the constant the nature die a way. It must take not only the constant effort of the artist himself and the inevitable of all arts, but also the rigorous cooperation which material, administrative situations support actively.

      • 환경조각의 조형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석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은 고대로부터 과학문명이 발달한 현재까지 그들이 사유하고 풍미했던 시대의 환경을 조형적 언어로 표현해 왔다. 환경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조각에 있어서 고대 예술인들의 신에 대한 숭배와 불가항력적인 대자연에 대한 경외, 혹은 자신의 불멸영생을 위한 염원에서 비롯된 본능적인 반응으로서 최초의 야외조각이 출현한 이래 예술이 역사나 개인의 감각적 경험에 의해 점차 진보됨에 따라 야외조각 또한 그 맥을 함께 해왔다. 환경조각은 감각적인 의미의 조각으로서, 실용적인 의미인 동시에, 도시환경 조성까지도 함께 하는 폭넓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환경조형물은 생활공간 속에서 대중과 함께 호흡하고 느껴야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과 조화(調和)를 이루면서 작가의 개성이 살아나야 한다는 것과, 가장 주관적인 개성으로서 대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像徵的)이며, 직접적인 표상(表象)을 가져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더욱 어려운 점은 모든 예술작품에서 항상 문제가 되어온 직접적이며, 단순한 공감대를 만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현대의 환경조각은 시대적 변화에 편승하여 컴퓨터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시각표현을 통한 놀랄 만한 가능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래서, 예술가의 작품창작활동에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있으며 특정 시스템의 성능이나 기술적인 정보에 대한 상당한 정도의 지식도 필요하게 되었다. 도시환경에 있어 환경조형물은 단순한 감상대상이 아니라, 관객과 작품이 하나가 되고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지표의 기능으로서 공간을 한정해 주는 구실을 하며, 오브제(object)로서 무미건조한 도시생활환경에 하나의 악센트를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작품 자체로서의 예술성을 지니면서 주변 환경과의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며 인간의 정서적인 면을 고양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시 조형 공간에서 환경 조각의 특성 및 역할에 관 한 연구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도시 환경과 인간의 생활 속에 존재하는 조형은 어떤 관계인지를 밝히려고 한다. 그리고, 인간의 생활 환경과 조형물은 현대 사회에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고, 도시 조형에 있어서 환경조각이 갖는 조형적 특성과 환경조각의 이론적 배경을 여러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3D프로그램을 활용한 작품의 예시를 통해 새로운 형식의 작업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근거해 향후 환경조각이 지향해야할 가치와 역할을 모색해 보았다. As part of an environment, humans have been the subject who endlessly creates new environments and make new life surroundings, starting with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A human is the creature of an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reator of an environment. Environment belongs to all humans, and all humans have a right to live in a beautiful environment. The natural space of a city, whose function has become complicated and vari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has lost its essential position. Instead, artificial environment space is replacing the natural space in the corner of a city. Due to such a reason, people living in a city should build a cozy and comfortable space for human life with plentiful emotion. Thus, the modern city is paying attention to outside space following the necessity of a rest space such as parks and squares. In the way,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creating a more beautiful environment and building a plentiful city in terms of emotion are needed. As one of these efforts, environment art in urban spaceis one of solution plans to build a city formation. Environmental artallows a new understanding to be formed within daily things and consciousness and createsa fresh and plentiful urban space, arousing and harmonizing the surroundingenvironment. Also, as it leads arts,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public, to be absorbed into the daily life of the public, humans can find their own existence in environment. Environment artplays an important role to infuse vitality into alienated citizens and to recover the lost humanity. Thus, the creation and installation of artistic environmental sculptures will positively influ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creation of a cultural space', which cultivates the emotion of citizens and increasesthe quality of their life. Environmental sculptures in city environment are not a structure to be simply seen but play a role of defining the space as the function of an indicator, which leads a work to be one with viewers and can participateitself in environment. In addition, as an object, theycan give an accent to city environment. Moreover, holding artistry as a work, they can cultivate the emotion of a human. If citizens can pleasantly talk with friends within a space of beautiful artistic works and feel beauty from them, living in a dreary city must not be only a dry and monotonous life.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a representative formative art through which citizens can feel artistic inspiration in urban space. As the city is a place in which unspecific many people live, its major aim is that it allows citizens to live healthily, stably, freshly, and effectively. However, it must not be judged as a personal taste or temporary economic value. When environmental sculptures that reflect the culture and unique features of a city and that have consideration for the future of the city, the city can be improved asa high-quality city in which citizens can experience artistic senses and feel emotional stability. Thus, this research trie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ificial city environment and sculptures in the daily lives of citizens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urban space. In addition, the research find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environment of a human and sculptures in modern society, examin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city form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environmental sculptures from the various viewpoints.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focusing on literatures. Also, it attempts to define the role of an environmental sculpture in urban space by analyzing environmental sculptures through a division according to the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comparing past Western and domestic environmental sculptures from the viewpoint of sculpture history. Based on the research, the paper suggests a positive prospect of environmental sculptures.

      • 都市環境彫刻과 色彩의 相互補完的 이미지에 관한 硏究

        허영미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Man's sole pursuit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s resulted in today's nondescript and disordered cities. Nowadays cities have been furnished with much environmental sculpture to express their cultural and historical distinctiveness. In the case of our country, the government's unplanned policies resulted in much urban-environmental sculpture being installed hastily or else abandoned.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suggested in the harmonization between the urban architecture and the materials and color of the sculpture. Owing to various citizens' needs and the cultural development, architecture has diversified in the aspects of material and form, so that the urban-environmental sculpture needs to acquire a more delicate harmony in its materials and colors Therefore we need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landscapes through the embodiment of complementary images between the environmental sculpture and the color of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course of the production of colored environmental sculpture, the natural and historical elements of the urban environment should be expressed properly in images in order for the sculpture to reflect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space and take root as a living necessity. The shapes and elements of the colored environmental sculpture must harmonize to create a visual landscape that can attract the citizens' attention and lead the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culpture. Also, as the colored environmental sculpture may be considered as one of the barometers of urban cultural level, we must formulate a system in which experts can produce the sculpture and its change and variety can be acquired in the long run. Moreover, the colored environmental sculpture needs to express the distinctive urban image by harmonizing the tradition and the existing colors and create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citizens through color psychology and color images which will induce vitality. Because it seems difficult for the sole improvement of the colored environmental sculpture to improve the whole urban landscape, it will have to reflect the experts' advice and the citizens' interests in order to create harmonized coloring by coordinating the sculpture and the color under comprehensive and detailed plans. Color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olding element and therefore much relevant research is required.

      • 現代彫刻에 있어서 都市環境彫刻의 特殊性에 관한 硏究

        이영훈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We can easily see sculptures in parks and in city spaces without going to a museum, gallery, sanctuary or palace to see them these days. These phenomena are caused by the separation of sculpture from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setting in th twentieth century. Modern sculpture now goes with structure, and moreover, has planned a new harmony and encounter with nature. As the result of this, environmental sculpture has brought a new change into the city environment, to give the citizens a concern and to activate them to recover lost humanity. The essence, present condition, point and specializ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environmental sculpture is in need of space within the city, it can have an individuality of place when physical form, human action, and environmental meaning are all in harmony. Second, the public, who is an observer, is an appreciator and a participant. To see environmental sculpture directly is a basic element to finding its essence. Thus, visual analysis is needed for environmental perception in installing a piece of sculpture. Third, environmental sculpture can be understood as a type of space art. When made, i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is constructed and discussed as a part of a comprehensive, complex plan, it can lead in the creation of city culture and it can recreate city formative space. Fourth, Korean traditional sculptural factors which have not been pigeonholed should be found and creation should be made by tradition for appreciation, morality and function In addition, the city we live needs a living space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 consciousness of citizen's participation, environmental specialists and intensive attention and enlargement.

      • 환경조각에 관한 연구

        김슬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Modern civilization focusing on material production gave humans richness. But cities are faced with a serious problem, loss of humanity as it is gradually unified and getting desolate. In this city civilization, humans got to need emotional stability and new environment and recognize that environmental sculptures for emotional purification of them and better environment are required in the dreary city space. Korea has also distributed space to artworks in completion of buildings for recent several year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installed in every public space of big cit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environment and in addition new cultural space has begun to appear by forming regular sculpture parks in the whole country.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he public viewpoint and examin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m in various angle. The ultimate purpose of it is to raise an eye for distinguishing valuable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he modern city spac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sculptures focusing on the general meaning of them is arrang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y are understood by grasping the flow of them since 1960s that it had begun to emphasize by the forming backgrounds of it in Korea and Western countries. The valu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diversified and the importance is emphasized as the public characteristics were expanded and social and cultural desire was done due to the rapid change of cities and appearance of the public. The value of environmental sculpture that is meaningful for the public in the modern city space are analyzed by dividing it largely into modern fine arts and the public fine arts And the value is as follow: First,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expand the area of sculpture and ar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modern fine arts as the overall exchange of various genres. As reality about humans which was the past theme with simplicity is substituted for reappearance of dailiness,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make a strong contrast with sublime beauty of monumental sculptures in the past and have the great value of art character in the modern fine arts. Second, many middle colors were traditionally used in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but many splendid colors have appeared in the modern times. use of splendid colors in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is modernistic, b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o diversification and the refined change and can be the most suitable medium that can provide pyschological agrements for you. Third,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provide visual sense of direction for persons who live in the complicated city life and have the effect of landmark of visual concentration in the structural recognition. Forth,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the value of monument that presents the change of modern society which reflect monumental property for symbolization of community spirit of the general public, contradiction of the modern society and individual psychology or desire. Fifth,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resting space and meeting space with beauty that the works have by themselves for the city space and make it change to public cultural space of meeting. These valu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organ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rather than forming independently and are totally done with complicated factors. To make the public love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very much, originality with artworks as well as structure and stability and durability of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will have the desirable value when they ultimately raise the spirit of the public, become a resting place of their mind and mutually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y showing the reality of our society. To install the suitable environmental sculptures for our formative space, architects, landscape architects, urban environmental experts, administrations, owners of businesses and the public as well as artists should raise overall cultural eyes for them. 물질 생산에 주력해온 현대의 문명은 인간에게 풍요를 주었지만 도시는 점점 획일화되고 삭막해짐에 따라 인간성 상실이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런 도시 문명 속에서 인간은 정서적 안정, 새로운 환경이라는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고, 삭막한 도시공간에 인간의 정서적 순화와 보다 좋은 환경을 위한 환경조각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수년간 건축물 준공 시 미술장식품으로써 공간을 할애하고 설치하도록 하여 대도시마다 공적 공간에 문화적 예술적 환경을 위해 환경조각이 설치되고 있으며 더불어 전국 도처에 본격적인 조각공원이 조성되어 새로운 문화공간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공공의 관점에서 환경조각의 의미를 연구하고 구체적인 예를 통해 환경조각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현대 도시공간에서 가치 있는 환경조각을 식별 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기 위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환경조각의 일반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환경조각의 개념을 정리하고 서양과 우리나라의 환경조각의 형성 배경을 통해 환경조각이 부각되기 시작한 60년대 이후의 환경조각의 흐름을 파악하며, 환경조각을 이해한다. 도시의 빠른 변화와 대중의 출현으로 공공적 성격도 확장되고 사회적, 문화적 욕구가 팽 참 됨으로써 환경조각의 가치도 다양화 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현대의 도시공간에서 대중에게 의미를 갖는 환경조각의 가치를 크게 현대미술과 공공미술로서 가치로 나누어 분석하며 그 가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환경조각은 현대의 미술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여러 장르의 교류와 종합으로서 조각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다양화, 다변화 되고 있다. 단순성과 함께 과거의 주제였던 인간에 대한 리얼리티가 일상성의 재현이라는 것으로 대치되면서 과거 기념비적인 조각의 숭고미와 강한 대조를 이루며, 현대미술에서의 작품성으로 큰 가치를 가진다. 둘째. 전통적으로 환경조각에서 색채는 중간색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대에서는 화려한 색채가 많이 등장한다. 환경조각에서의 화려한 색채사용은 현대적이며, 주변 환경의 다양성과 세련된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고, 심리적으로 쾌적감을 줄 수 있는 가장 직접적 매개체가 될 수 도 있다. 셋째. 환경조각은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도시민에게는 시각적인 방향감각을 제공해주며, 구조적 인식에 있어서 시각집중의 랜드 마크의 효과를 갖고 있다. 넷째. 일반 대중의 공동체 의식을 표상하기 위한 기념비적인 속성과 현대사회의 모순, 개인의 심리나 욕구 등을 반영하는 현대사회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뉴멘트 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다섯째. 환경조각은 도시공간을 작품자체가 가지는 아름다움과 더불어 대중에게 휴식공간과 만남의 공간을 제공하여, 만남의 공적인 문화공간으로 변모하게 한다. 이러한 환경조각의 가치들은 독자적으로 형성되기 보다는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환경조각이 많은 대중들 에게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구조와 안전성 및 재료의 내구성뿐 아니라 예술작품이 갖는 참신성도 염두 해 두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대중들의 정신을 고양시키고 마음의 안식처가 되며 우리의 사회현실을 담아내어 대중과 상호소통을 이룰 때 환경조각이 바람직한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조형공간에 적합한 환경조각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가 뿐 아니라 건축가, 조경전문가, 도시환경전문가, 행정가, 기업주 그리고 대중 모두가 총체적인 문화적 안목을 키워야 가능한 것이다.

      • 도시광장의 환경 조각이 장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도시환경 조각 사례를 중심으로

        정쉔줴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은 20세기 80년대 이후 도시 건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도시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비약적인 발전은 일련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예를 들면, 도시환경의 발전에 따라 사회 혼란과 결핍 가치 현상이 나타나고, 일부 도시 경관 요소와 도 시 경관 시스템에서 많은 모순과 낮은 결합도 현상이 나타나 강한 시각적 충돌을 초래하였으며, 환경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정체성이 소실되고, 문화의 단절과 가치관의 혼란은 전통사회의 구조와 역할 인식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하여 환경 경관은 전체적으로 조화롭고 통일된 시각적 인상을 형성할 수 없다. 생태과학의 부상과 함께 공공환경 예술에 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국의 도시화는 예술작품을 통해 심신 건강과 정서 함양, 그리고 삶의 질 향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각과 장소성의 상관관계는 도시환경을 해결하는 데 있 어 핵심 요소이며, 조각과 장소의 좋은 관계 조성은 일상 사물과 가치 인식에 대한 새로운 공감과 주변 환경을 정화하고, 인간에게 심리적·생리적으로 큰 영향을 미쳐 인공환경을 더욱 자 연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로 분하였다. 첫째, 장소 이론에 대 한 선행연구를 통해 장소성 형성 원리와 구조를 파악하고 도시광장 장소성 요소의 형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최종적으로 광장 장소성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둘째, 환경 조각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도시환경 조각의 기능적 특징을 파악하고 다양한 유형의 조각 특징과 기능적 역할을 분석하여 환경 조각의 표현 특성요소를 도출하며, 장소와 환경 조각 간 의 연관성을 위해 이론적 기초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셋째, 중국의 대표적인 환경 조각 사례를 분석하여 다양한 유형의 환경 조각 표현 특성이 서로 다른 도시광장에서 장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도시광장 환경 조각의 장소성 기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도시환경 조각 장소성 형성에 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서로 다른 도시광장의 환경 조각 디자인의 설치 방안을 연구하는 데 참고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중학교 미술교육에서의 환경 조각에 대한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박희원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환경 조각의 개념부터 현대미술의 환경 조각을 알아본 연구이다. 현대미술의 환경조각에서는 광범위하다. 생태, 실내, 외부 등 모든 곳에서 환경 조각을 발견할 수 있다. 모든 것이 환경 조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미술교과서에서는 미술이 제한적인 범위에서 개념, 활동 수업이 진행되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미술교과서에서는 환경조각에 관한 개념과 그에 대한 범위가 나와있지 않다. 그저 교과서에 나오는 것은 환경은 환경, 조각은 조각으로 따로 학습을 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 미술 교과서에서 환경 부분은 와이비엠, 금성출판사, 지학사, 해냄에듀가 있고, 조각 부분은 미래앤, 미진사, 아침나라, 천재교과서로 둘로 나뉜다. 이렇게 교과서를 선정한 이유는 교과서의 범위가 얼마나 차지 하는지에 순서를 두었다. 이러한 것들을 출판사마다 비교를 하며, 학습 구성의 방향과 학습구성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출판사마다 학습구성이 완벽하지는 않다. 그것에 보완해야할 점, 개선해야할 점들을 생각하면서 연구를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환경 조각이 광범위하다는 것을 말해주면서 환경 조각을 교과서에서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환경 조각에 대해 배우게 되면 학생들이 훨씬 더 창의적이고, 미술에 대한 시야가 넓어질 것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 교육에서의 환경 조각에 대한 연구이다. 주요어 : 환경 조각, 미술교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