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근(2018~2021) 태풍의 발생 및 이동과 가강수량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교 환경·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구안

        김효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태풍의 발생 및 이동과 가강수량 변동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Ⅰ‘태풍’단원의 환경·재난안전 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 첫째, 5가지 태풍 사례(2021 오마이스, 2020 바비, 마이삭, 2019 타파, 2018 콩레이)를 대상으로 해수면온도, 상향장파복사, 가강수량, 일기도 자료 등을 분석하여 발생위치 및 환경을 파악하였고, 둘째, 2015개정 고등학교 지구과학Ⅰ교과서(6종)‘태풍’단원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적 측면과 재난안전교육적 측면이 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들을 토대로 고등학교 지구과학Ⅰ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마이스, 바비, 마이삭, 타파, 콩레이 등 태풍은 적도 해수면 부근에서 해수면 온도가 28℃이상으로 해수면 온도 아노말리가 증가하고 상향장파복사가 음의 아노말리를 나타내는 곳에서 발생하였다. 즉, 적도 근처 해수면 온도가 높고 강한 상승기류가 발달하는 조건에서 열대저기압이 잘 발생하였으며, 이 때 태풍 발생의 정확한 위치는 200hPa 속도 발산장의 양의 아노말리 영역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28℃ 이상의 해수면 영역에서 상향장파복사가 음의 아노말리 영역을 나타내는 곳을 주간별, 월간별로 표시하여 태풍의 발생위치와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연계하였다. 둘째, 한반도 주변의 집중호우 영향은 인도 및 아시아 몬순 지역에서 가강수량의 거대 흐름(대기의 강)이 한반도로 수송될 때 나타났다. 가강수량의 거대 흐름이 적을 때(2019 타파, 2018 콩레이)에는 태풍의 이동속도가 빠르고 태풍 자체가 한반도로 직접 상륙하는 경우로 대체로 태풍의 강수량이 적은 1차 집중호우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강수량의 거대 흐름이 많을 때(2020 바비, 마이삭, 2021 오마이스)에는 태풍이 북상하는 과정에서 태풍의 풍압에 기인한 전선발달과 함께 그에 따른 1차 집중호우가 발생하였고, 태풍과 전선 사이 고기압 영역에서는 하강 기류로 인해 열대야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그리고 태풍 자체의 이동에 따른 상륙으로 2차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등 재난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태풍과 고기압 영역 및 전선 사이의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영향을 탐색하고, 재난 안전 측면에서 태풍의 피해를 예방·대비·대응·복구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연계하였다. 셋째, 2015개정 고등학교 지구과학Ⅰ교과서(6종) 태풍단원을 환경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분석준거 1영역 태풍의 발생과 운동 원리에 대한 내용은 자세히 설명되어 있었으나, 2영역 태풍 피해와 관련한 협력적인 대처 및 극복방안에 대한 내용의 경우, 협력적 실천보다는 개인적 실천만 강조되어 있었다. 3영역 태풍과 지구계의 상호작용 내용도 한 두 가지 사례만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었고, 4영역 태풍 발생 환경(해양, 대기)을 변화시키는 원인과 대책, 5영역 태풍과 내 삶의 연결성에 대한 내용은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재난안전교육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분석준거 태풍 피해 감소 방안 마련, 태풍 대처요령, 태풍으로 인한 피해 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복구 영역 모두 교과서 6종 중 약 3종에서 작은 비중으로 간략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 측면에서는 1~5영역 요소 모두를 반영하고, 재난안전교육 측면에서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4단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였다. 넷째, 태풍 자료 분석 결과와 교과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를 도출한 결과 태풍의 발생, 태풍의 이동과 영향, 태풍의 피해사례 조사 및 대처 복구방안 탐색, 태풍 대처요령 매뉴얼 제작 및 홍보 총 4차시로 환경·재난안전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5개의 모둠이 모둠별로 하나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활동들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과 재난안전교육을 연계한 프로그램을 구안함으로써 자연재난이 자신들의 삶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발견하고, 재난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학습자가 다가올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교육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구과학 교과 및 다른 교과목에서도 재난 및 환경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한 환경·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여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환경안전교육 방안 : 환경재난 사례를 중심으로

        최소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능동적인 환경재난 대응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재난 현상·원인·영향·대응의 교육 내용과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적응 및 완화의 환경재난 대응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초등 환경안전교육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교과용 도서를 분석하여 현행 초등 환경안전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나아가 환경안전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환경재난 중심의 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수업목표를 도출하였으며,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환경안전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환경안전교육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대상으로 초등 환경안전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초등학교 5~6학년(군) 국어과, 사회과, 도덕과, 과학과, 실과 및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교과용 도서를 분석하여 환경안전교육과 연계시킬 수 있다. 둘째, 환경안전교육 방안의 주제는 환경재난을 중심으로 '미세먼지', '해양유류오염 사고', '화학물질 사고', '지진', '태풍', '산사태', '산불'의 7가지를 선정하였다. 셋째, 환경안전교육 교수·학습 모형의 절차는 '환경재난 이해하기', '사례 보기', '사례 분석하기(개별탐구)', '대응 방안 탐색하기(팀별탐구)', '대응 방안 결정하기', '대응 방안 실천하기'의 6단계로 구성하였다. 넷째, 초등 환경안전교육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 환경재난 사례, 사례 분석틀을 활용한 교수도움자료, 학습자용 사례 분석 활동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환경안전교육은 환경안전교육 주제에 따라 개발된 사례를 기초로 학습자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고 자발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 분석능력, 토론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고등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초등 환경안전교육 방안의 보완과 교육 현장에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재난 사례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례정보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환경안전교육 방안을 실제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재난환경을 위한 위치관리 서버모듈 구현

        최영민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thesis suggested organization of Message Queue(ActiveMQ), organization of disaster network with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call management plan needed to location management, location management plan considering mo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plan of subscribers in disaster area, notification service to guardians of subscribers on disaster and information service of escape information to subscribers in disaster circumstances for location management of mobile subscribers in disaster circumstances. The suggested location management server module for subscribers in disaster circumstances was realized, and the possibility of signal and data management of contents suggested by the thesis was showed by a simulator. In addition, the researcher showed a plan managing subscribers in disaster circumstances, giving escape information of disaster area to subscribers, and raising safety of subscribers in disaster circumstances, based on universally used open source and smart phone without special equipment extension or establishment of additional physical disaster network in disaster circumstances. 본 논문에서는 재난환경에서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위치관리를 위하여 Message Queue(ActiveMQ)의 구성방안, 스마트 폰 특성을 이용한 재난 망 구성방안, 위치관리에 필요한 호 관리 방안, 이동성을 고려한 위치관리 방안, 재난지역에 위치한 가입자 정보관리 방안, 재난상황 시 가입자의 보호자에 알림서비스, 재난환경에서의 가입자들에게 탈출정보 안내 서비스 등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재난환경에서 가입자를 위한 위치관리 서버모듈을 구현,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들의 시그널 및 데이터 운용의 가능성을 시뮬레이터로 보였다. 또한 재난발생 환경에서 별도의 장비증설이나 별도의 추가적인 물리적인 재난 망 구축 없이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오픈소스, 스마트 폰 기반에서 재난환경의 가입자를 관리, 가입자의 재난지역 탈출정보 제공, 재난환경에서 가입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을 보였다.

      • 환경재난 보도 프레임 연구 : 한⋅중 신문의 미세먼지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조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미세먼지 보도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출 발했다. 미세먼지는 지금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한·중 양국이 공통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가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미세먼지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인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환경재난으로 봐야 한다. 이에 따라 한·중 양국 신문보도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 미세먼지가 어떻게 발현하고 있으며 양국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를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미세먼지 발생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크게 한·중 양국 미세 먼지 관련 기사의 보도특성, 한·중 양국 미세먼지 보도의 차이, 한·중 양국 미세먼지 보 도의 주요 정보원별 프레임 유형 등 3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한 국의 <조선일보>, <한겨레>, <부산일보>, <경인일보>, <한라일보>와 중국의 <인민일 보>, <중국청년보>, <북경만보>, <신민만보>, <하북일보>로 총 10개 신문을 선정하였 다. 본 연구의 연구 기간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하였으 며 기사유형, 정보원, 프레임 등의 유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신문의 기사유형의 경우 스트레이트 기사 위주로 나타났다. 하지만 2시기에 들어가면서 스트레이트 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시기보다 감소하였고 단신기사의 건수는 1시기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의 경우 정부관련 정보원 이 많이 등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전문가 등 지식인 관련 정보원이 많이 나 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난 프레 임 유형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과 '발생현황 프레임'이었다. 이어서 발생원인 프레임, 경제 프레임, 미세먼지 위험/피해 프레임 등의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 신문의 기사유형의 경우 두시기에 보도 건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은 2013년 이전에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시기의 기사유형 중 스트레이트 기사가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였고, 2시기에 들어가면서 스트레이트 기사의 건수가 많이 나타났지만 해설/기획 기사의 건 수가 1시기보다 대폭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이트 기사와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정보원의 유형을 보면 1시기에 등장한 정보원은 정부관련 정보원 위주로 나타났으며 2 시기에도 주요 등장한 정보원 유형이 1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 신문의 프레임 유형을 분석한 결과, 1시기의 주요 프레임 유형은 발생현황 프레임으로 확인되었으며 2시기에 들어가면서 발생현황 프레임이 많이 나타났지만 다른 프레임 유 형도 1시기보다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중 양국 전체 신문이 보도한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비교한 결과는 중국의 해설/기획 기사의 건수가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 중에 사설이 없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중 양국 신문의 정보원을 보면 중국 신문 중에 환경부, 일 반 시민, 학자 등 정보원이 많이 등장하였으며, 한국 신문 중에 정부 기타 부문, 기업인 /기업, 학술 단체 등 정보원들이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중 신문의 프레임 유 형은 주요 프레임 유형 간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신문 중에 발생현 황 프레임은 전체 프레임 유형 중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중국 신문의 경우 발생원인 프레임과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의 건수는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났다. 넷째, 한·중 중앙지 신문의 보도 기사를 비교한 결과 1시기에 한국 중앙지 신문의 기 사 건수가 중국 신문보다 많았다. 모든 기사 유형에서는 한국 신문이 많이 나타난 것으 로 확인되었으나 전체 기사 유형을 보면 한·중 중앙지 신문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중 중앙지 신문의 정보원 유형을 비교한 결과, 양국 신문이 모두 정부 관련 정보원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 중에 1시기에 해당하는 중국 중앙지 신문의 건수가 많지 않아 한국 중앙지 신문보다 정보원 유형이 단일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2 시기의 경우에는 양국 중앙지 신문에 정부 관련 정보원이 공통적으로 많이 등장하였지 만 한국 신문은 사회단체가 더 많이 등장하였고 중국 신문은 일반 시민이 더 많이 나 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국 신문의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는 1시기에 정부대응 정책 프레임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 중은 미세먼지 대응 제품/홍보/기술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신문은 경제 프레임, 국제 미세먼지 위기 프레임 등 유형이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한·중 지방지 신문을 비교한 결과는 한국 신문이 주로 스트레이트 기사 위주 로 보도하였지만 중국 신문은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해설/기획 기사가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정보원의 경우에는 한국 신문 중에 정부 기타 부문, 기업인/기업, 학술 단체 등 정보원 유형들이 많이 등장한 반면, 중국 신문의 경우 환경부, 일반 시민, 의료 전문가 기상청 등의 정보원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한·중 지방지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한국 신문 중에 미세먼지 대응 제품/홍보/기술 프레임, 경제 프레임 등 유형이 중국 신문보 다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은 발생원인 프레임, 책임 프레임이 한국 신문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한·중 신문의 주 정보원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한 결과는 환경부와 관련 한 프레임 유형을 보면 한국 신문보다 중국 신문 중에 발생원인 프레임이 더 많이 나 타났다. 한국 신문 중에 발생현황 프레임과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 신문 중에 등장한 기업인/기업 정보원이 중국 신문보다 많이 등장한 것이었기 때문에 관련 프레임 유형도 중국 신문보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국 신문 중에 등장한 정보원 유형도 다양하였지만 모든 정보원이 관련한 주요 프레임 유 형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한·중 중앙지 신문의 주 정보원과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 과, 한국 신문은 기업인/기업 정보원이 경제 프레임 기사에 자주 등장하였지만, 중국 신문 중에 기업인/기업과 관련한 프레임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많 이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 신문과 한국 신문의 공통점으로 모든 프레임에서 가장 많이 연관성이 있는 정보원은 정부 기타 부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 신문의 '정부 중심 적' 보도의 특성이 한국 신문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덟째, 한·중 양국 지방지 신문의 주 정보원과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한·중 신문 중에 등장한 정부 기타 부문과 관련 한 프레임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과 발생원인 프레임, 경제 프레임 등 유형으로 확인 되었다. 이외에 중국 신문은 책임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 다. 그리고 한국 신문은 미세먼지 위험/피해 프레임의 경우 정보원이 없는 기사가 많았 지만, 중국 신문은 환경 전문가가 정보원으로 많이 등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중앙지와 지방지가 보도한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한·중 양 국 신문이 미세먼지 같은 환경재난을 보도할 때 어떤 차이성이 있는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15년 동안 보도한 기사를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해 분석 유목 중에 정보원과 프레임을 주·부로 분류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전에 시 도되지 않았던 한·중 미세먼지 등의 환경재난 관련 비교연구의 부족을 개선하였으며 중 요한 참고자료가 됐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바는 미세먼지 등 전 지구적 환경문제는 각 국가들 간에 대립이 아닌 공동적으로 대응 협력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originates from an interest in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ir reports on particulate matter (PM). Particulate matter is now a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 and both South Korea and China pay attention to the issue. Meanwhile,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signated PM 2.5 as a first-class carcinogen, particulate matter should be viewed as an environmental disaster that can present threats to human life, not just an environmental problem.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particulate matter arises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how both countries respond to i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report characteristics of PM-related article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difference of PM report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frame type by main sources of PM reports from South Korea and China were established as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In addition, the <Chosun Ilbo>, <Hankyoreh>, <Busan Ilbo>, <Gyeongin Ilbo> and <Halla Ilbo> of South Korea, and the <People’s Daily>, <China Youth Daily>, <Beijing Evening News>, <Xinmin Evening News> and <Hebei Daily> of China were set as research targets. The research period of this study rang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9, and the types of category (such as article types, information sources and fra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rticle types in Korean newspapers, straight articles were dominant. However, towards the second period, the proportion of straight article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brief news articles increased further from the first period. In the case of information 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was the highest in Korean newspapers, followed by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ntellectuals, such as expert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frames found that the most common frame types in both periods were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 and occurrence status frame, followed by the occurrence cause frame, economic frame, and PM risk/damage frames. Second, the article types of Chinese newspaper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ports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uggests that China was rarely interested in particulate matter before 2013. In the first period, straight articl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owards the second period, the number of commentary/planning articl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straight articles was not larg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were most dominant in the first period, and the dominant information sources that appeared in the second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irst perio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frame types of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the main frame type of the first period was the occurrence status frame, and the number of other frame types increased from the first period although the occurrence status frame was still dominant towards the second period. Third, a comparison of PM-related articles i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mmentary/planning articles in Chinese newspapers was higher than that in Korean newspapers, and there were no editorials among Chinese newspap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formation source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eneral citizens and scholars recorded a high percentage in Chinese newspapers, whereas information sources from the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businessmen/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constituted a large percentage in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main frame typ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The occurrence status fram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otal frame types in Korean newspapers, but the number of occurrence cause and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was higher in Chines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Four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reports of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in the first period, the number of articles in metropolitan newspapers was higher in South Korea than in China.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article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Regarding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were domina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Meanwhile, it was found that as there were not many metropolitan newspapers in China during the first period,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was further unified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newspapers of South Korea. In the second period, many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appeared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of both countries. However, more social groups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whereas more general citizen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frames of papers in both countries confirmed that in the first period, many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a smaller number of PM response product/promotion/technology frames, while Korean newspapers showed a larger number of economy and international PM-related risk fames in comparison. Fif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confirmed that the Korean newspaper reports were mainly on straight articles, but Chinese newspapers had more commentary/planning articles than straight articles. Meanwhile, more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businessmen/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appeared as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newspapers, while such information sources as the Ministry ofEnvironment, general citizens, medical experts and meteorological office most commonly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e comparison of frames in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revealed that a higher number of PM response product/promotion/technology frames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whereas there was a larger number of occurrence cause and responsibility frames in Chinese newspapers. Six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of frame types related to main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in relation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re occurrence cause frames were found in Chinese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Meanwhile, more occurrence status and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among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since there were more information sources such as businessmen/ 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Korean newspapers than in Chinese newspapers, the related frame types were also more diverse in Korean newspapers. However, although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at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were diverse, the main frame type related to all information sources was identified as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 Seventh, the frame types related to the main information sources of metropolitan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follows. In Korean newspapers, such information sources as businessmen/corporations frequently appeared in economic frame articles. However, even in articles related to businessmen/corporations among Chinese newspapers, mor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than in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the most relevant information source in all frames was found to be government, except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common poi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centered' reports in Chinese newspapers were not found in Korean newspapers. Eighth, there was a difference in frame types related to the main formation sources of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First of all, the frames related to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that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newspapers included the government response frame, occurrence cause frame and economic frame. Next, more responsibility frame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case of PM risk /damage frames, there were many articles without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newspapers, but many environmental expert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as information source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in reporting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M-related articles in both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With respect to articles reported for 15 years, information sources and frames were classified as the main and sub-categories of analysis using a sampling method to derive objective results. In situations where there were few attempts to conduct comparative studies related to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because it can serve as important reference data for future research on environmental disaster reports in South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implication of research results is tha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particulate matter, should be addressed through cooperation among countries, not confrontation between countries.

      • 남북한 소방관계 법제비교와 통일전후 발전대안의 모색

        김윤규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68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responding to human and natural disasters including fire under two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and systems. As a result of extreme military confrontation and system competition, the fire fighting and disaster response system of the North that plays the role of a safety pin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societies before and after reunification are usually pushed out of our immediate concern.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in South Korea is still left as an unexplored field like a wasteland. The present government of South Korea is trying to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normally and construct the foundation for peaceful reunification through 3 major action plans of humanistic support, construction of infra for the people’s livelihood, and recovery of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based on the principle of ‘trust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takes trust as the core concept. Construction of a trust proces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an essential process for promotion of the Inter-Korean policy. And prior preparation and construction of a response system to various disasters including fire can be essential elements as a foundation for maintaining stabilized social systems. What is required now is prior grasping of heterogeneous elements by sector through an interest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unification and in-depth research by disaster branch as well as ensuing development of concrete models that can b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reunification as sub-branches of an ideological concept. It is now about time when, as a preparatory process for reunification, sectors of fire administration and disaster response should be reviewed from prior and situational perspectives. A change in awareness of various types of disaster response anticipated before and after reunification regarding what, how, and why they should be prepared is required. It is because, to maintain stability of the governmental system to be established after reunification and to construct a social safety network of the North Korean region, this is a clear way to follow for Korean people. In this research, efforts are made to compare disaster environment and fire-fighting law and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 axis to be constructed for fire-fighting infra in the North Korean region to be resolved by fire-fighting before and after reunification. However, in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linguistic sectors, the two Koreas became quite heterogeneous due to the special environment of a divided country. Due to this extreme situation, even the simplest data on fire-fighting field that is necessary for minimum understanding such as case studies is not available in the South, not to mention of such basic data as the system of North Korean fire-fighting system,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disaster-related statistics. Hence, it would be unreasonable to expect to contain the overall picture of fire response system of the two Korea on this infertile soil. Accordingly, in this thesis, we have examined fire-fighting conditions and disaster examples of North Korea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in a limited public area. Before presenting the result of a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Fire-fighting Law, we have recorded the overall process of development in this field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the Disaster Related Laws an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Fire Fighting Law and System of South Korea. At the same time, we wanted to use this opportunity to raise certain issues that are necessary to construct the infra of fire-fighting law and system of the reunified Korea and present a comparison of provisions of the South Korean and the North Korean Fire-Fighting Law and a consolidated list of the glossaries related to fire-fighting, and to publicize the reality of the North Korean fire-fighting overseas. Main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a comparison of disaster environment and fire-fighting-conditions between the two Koreas and a comparative research on provisions of Fire-Fighting Laws between the two Koreas. In comparing the respective Fire-Fighting Law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alyses on preceding North Korean researches in other branches wer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and starting points were presented which are necessary to construct an infra in the field of fire-fighting law and system for the future through basic data such as the one publish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fire-fighting organizations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a fire-fighting response system in order to construct a disaster safety network of the North Korean society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as well as preparation for unification of fire-fighting law and system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Also, a wide range of research that covers the entire area of fire-fighting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nurture a fire-fighting industry and establish a standardized Fire-Fighting Technology Standard which can be utilized by both Koreas in common. Keywords: Trust construc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macroscopic perspective of access, disaster environment, disaster response system, Fire-Fighting Law of North Korea, fire-fighting infra, fire-fighting conditions, fire service force. standardization of fire-fighting goods 남북한은 서로 상이한 정치적 이념과 체제하에서 火災(화재)를 비롯한 인적재난과 자연재난에 대응해오고 있다. 극한 군사적 대결과 체제경쟁의 결과 통일전후 남북한 사회의 안전판 역할을 하는 북한 지역의 소방 및 재난대응체계는 늘 관심 밖으로 밀려나 있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거의 불모지와 다름없는 미개척 분야로 방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 정부는 신뢰를 핵심개념으로 하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개념으로 인도적 지원, 민생인프라 구축, 남북한 동질성 회복이라는 3대 통일기반 실천방안을 통해 남북관계를 정상적으로 발전시키고 평화적 통일기반을 구축하는데 노력해 오고 있다. 남북한의 신뢰프로세스 구축은 대북정책의 추진에 필요한 과정으로서 상호 안정된 사회체제유지를 위한 기반으로서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에 대한 사전 대비와 대응체제 마련은 필수불가결한 요건이 될 수 있다. 재난 분과별로 통일 기반구축에 대한 관심과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부문별로 이질화된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이념적 개념의 하위 분과로서 남북통일 전후에 실행 가능한 구체화된 모형들의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소방행정과 재난대응 부문 또한 통일에 대한 준비과정으로서 사전·상황적인 관점에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며 통일 전후 예견되는 종별 재난대응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왜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그것은 통일 이후 수립될 정부의 체제안정을 유지하고 북한지역의 사회 안전망을 구축함으로써 한민족이 상생할 수 있는 길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통일전후 소방이 해결해 나가야할 북한지역 소방인프라 구축의 한 축인 남북한 재난환경과 소방법제를 비교해 보았다. 하지만 남북분단이라는 처해진 특수한 환경에 의해 양측은 사회, 경제, 문화, 언어 등 많은 부문이 이질화되어왔고, 극한 단절의 결과 북한의 소방법령 체계와 재난대응 체계, 재난사례 통계 등 기초적인 데이터는 물론 연구사례와 같이 최소한의 이해에 필요한 소방분야에 대한 자료조차 국내에선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와 같이 전혀 기초가 없는 척박한 토양 위에서 남북한 소방 대응제도의 전반을 담기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공개된 제한된 영역의 범위 안에서 거시적인 관점으로 재난환경에 의한 소방여건과 북한의 재난사례를 살펴보았고, 남북한 소방법령을 비교에 앞서서 남한의 재난관련법의 변화, 남한 소방법제의 제·개정을 통한 발전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담았다, 또한 남북한 소방법의 조문비교, 소방용어 통일 등 남북한 통일 소방법제의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문제제기와 함께 북한소방의 현실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기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남북한 재난환경과 소방여건의 비교, 남북한 소방법의 조문비교연구이며 상호비교 가능한 남북한의 소방법을 중심으로 타 법제연구 분과의 북한법 선행 연구물에 대한 분석을 참조하였고, 통계청의 자료 등의 기초적인 자료를 통해 향후 소방법제 분야의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단초를 제시하였다. 소방기관이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인 안목에서 소방법제의 통합에 대한 준비와 과도기 북한사회의 재난안전망 구축을 위해 소방의 대응체제 마련에 노력을 경주해야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남북한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방산업의 육성과 표준화된 소방기술기준의 표준을 만들어 적용하도록 소방의 전 분야의 광범위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남북한 신뢰구축, 거시적 접근관점, 재난환경, 재난대응체계, 북한소방법, 소방인프라, 소방여건, 소방력. 소방용품의 표준화

      • 환경재난지역에서의 주민주도형 학습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 태안군 소원면 사례를 중심으로

        최영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mmunity led by residents focusing on informal learning among various types of learning that are carried out in environmental disaster areas. The subjects for inquiries that are needed to be answered to meet this aim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background which prompted the people of Sowon-myeon to develop resident-directed learning community, and what kind of activities were done to implement the learning community to the local community? Second, what are the feature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sident-directed learning commun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community was studied in categories of subjects of learning, learning contents, interaction, and development of resident organization. The features of the development of resident-directed learning community shown in the case of resident organization of Sowon-myeon were discover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resident-directed learning activit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region. The learning activity for development of region through iterative learning by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the Sowon-myeon Community Center which is the base of education facility of the region and solving problem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of the residents continuously, developed among residents. Second, the learning community starts out with the concer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by itself with the formation of a joint governance of private and public cooperation, and expands to various fields for regional harmony and regeneration of the community. An internal cooperative governance and an external cooperative governance are created and a learning community that is being called for by the residents' association and is needed for residents isvitalized with the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Third, the residents of Sowon-myeon resolved their troubles with informal learning with the Community Center as the center to overcome environmental disaster, and they have grown to become a more solid organization, returning to their daily lives. Learning has become a common daily activ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other residents as alway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sident-directed learning community in environmental disaster area in regards to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association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learning as the main agents of the program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y expanded their field of activity. The residents' association expanded itself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various community services and regional events and by forming an informal organization and discussing with the administration. Second, creation of resident-directed learning community led to the change in administration. The resident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to the Article 3 of ordinance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aean-gun Community Center, and it used to be operated in cooperation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administratively, but now its operation method and directions are being adjusted in a way the administration changes the political direction when the residents' association makes suggestions. Third, routinization of learning was the source of the strength for the region to overcome its crisis and it will be a potential strength to cope with critical situation in the future for the region and community. The hardship from the disaster was overcame by meeting each other in the Community Center program and sharing information. In the 6th report to the Club of Rome: No Limits to Learning (Botkin et al., 1997),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as the countermeasure to unpredictable environmental disaster as people in the world are facing a threat to survival, and the approach based on the lifelong learning can give an insight to the future crisis in the ever changing modern society and solve the new problems precisely with its innovative tendency.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lace of education expands learning as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passage of learning in creation of learning community in an unexpected environmental disaster area. A follow-up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learning commun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residents' situation is needed in the future. Also, the study of lifelong learning can be expanded by revealing the various community experiences regarding routinized learning for learning without limits that can overcome unexpected environmental disaster through the lesson from the case of the great earthquake in East Japan that occurred three years ago.

      • 佛敎葬禮文化 改善을 通한 布敎硏究 : 樹木葬을 中心으로

        유성열 위덕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19

        The best funeral ceremony in Buddhist funeral culture dates back to the funeral ceremony of the Lord Buddha originated from the type of ceremony performed on emperors of ancient india. Eight stupas have built after the cremation when the Buddha passed away. Buddhist stupas served as a new core of religion community. Funeral ceremony, the posthumous ceremony of human, is one of most important culture in our society and is a kind of huge drama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aningful process and order. In this regard, in most cases, the religion personnel performs the role of director in funeral ceremony. Through ancient and modern times, funeral ceremony in our society are inseparably related to religion. The percentage of Buddhism was hug but rise and fall repeat according to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Despite such problems, the funeral ceremony of Buddhist has formed one axis of funeral culture in our society. Even if the instruction of Buddha and its ideological foundation are well organized in the funeral ceremony of Buddhist in our society, however, there exist strict difference between implementation and reality of law, which is what this study exactly aimed at. There is serious restriction on new construction of new structure in the temple while it is utilization of existing facility in temple, and tree burial park is rough road for implementation. Then, what is the alternative? There will be expected results achieved only when the funeral ceremony is performed on true culture space of Buddhism. First of all, funeral culture requires specific facilities like graveyard, charnel house or tower. In addition, it is also affected by social environment such as social recognition and structure of population(demander). It conflicts in the relation of functions between available areas of the land, the demander and supplier. If the population of death increases or preference of social awareness changes from burial to cremation, it is required to have the facilities or site for burial that can accept the increments as factors of supply. In this regard, tree burial park has received attention as the solution for poor supply and demand environment of various funeral cultures that inevitably occur in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of funeral culture. Tree burial park has many concepts with specific nature,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burial methods. It can minimize the environmental burden, space and cost for burial while maximizing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tween land and forest. 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the burial method that has Buddhism friendly thought and philosophy that return to the nature and earth. The future of human who regard the nature as target for conquest and greed forecasts the environmental disaster by joint karma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Tree burial park is the burial method focusing on recovery of nature. Burial problem up to now occurs since they paid no attention to nature. In this regard, the selection of tree burial park is the philosophical selection reflecting the harmony with nature in the last stage of life. Our people awe the tree and is humble in front of tree that symbolize the nature. If it is the tree that imbued with spirit of ancestor, the bad practice of destroying the nature will be regarded to pray for happiness to the memory of the dead. Like this, the tree burial park provides the chance to admire the ancestor together with nature. It is said that belief and thought on Buddha are well harmonized in Buddhist type of funeral culture. Through the ceremony in which the dead and the living person bestow a favor on all life, it should be based on premise that death is not the end but the event to transfer it to the other start. It can be regarded as true service for the dead and offering to present the strong points of descendant with the purport of applauding the secret act of charity and following the sublime mind-set of ancestors under the trees in the tree burial park cultivated by the descendent as well as outdoor Buddhist lecture meeting by the temple. In addition, under the big frame that the dead and the live can coexist, it is good chance for performing the doctrine regarding where our body comes from and go to. Descendents may set up tents and enjoy camping under the trees of their ancestors. It may always open to the bereaved family like temple stay type as is carried out in the designated temple, and hold diverse type of Buddhist lecture meeting on specific date of the year for memorial service. Of course, social phenomenon(social issues) of the time and theme per generation should be selected so as to form the playground where the ancestors and overall generations can play together under the tree of memory and serve as the arena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ability of each individual serving the society, while being faithful to home by reinforcing various creative program. 불교의 장례문화에서 최고의 장례의식은 고대 인도의 왕에게 행해졌던 방식에서 유래된 부처님의 장례식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부처님 열반 후 화장하여 탑을 세운 이후 탑은 불교의 새로운 신앙공동체의 핵심이 되었다. 인간의 사후 의식인 장례문화는 우리 사회의 삶 중에서 가장 중시되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의미 있는 절차와 순서에 따라 행해지는 일종의 거대한 드라마이다. 따라서 장례의 연출자 역할을 수행하는 대부분의 경우가 종교인이다. 고금을 통하여 우리 사회의 장례는 종교와 불가분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었다. 그 중심에 불교의 비중이 컸지만, 정치 사회적 변동에 따라 부침을 거듭 하기도 하였다. 그런 적지 않은 문제점 속에서도 불교의 장례의식은 그동안 우리 사회의 장례문화의 한 축을 형성해 왔다.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과 그 사상적 토대가 불교장례문화 속에 잘 조직 돼 있지만, 법의 구현과 현실의 괴리감 또한 엄연히 존재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 고민 하고자 했던 부분이기도하다. 그것은 사찰내의 기존 시설활용이나 사찰 내에 새로운 구조물의 신설은 심각한 제약을 받고 있고, 수목장의 실현 역시 험로에 놓여 있다. 그렇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장례행위가 진정한 불교적 문화 공간에서 행해질 때 비로소 소기의 성과가 있을 것이다. 우선 장례문화는 묘지나 납골탑, 납골당처럼 특정한 시설을 요구한다. 또한 수요자인 인구 구조나 사회적 인식이라는 사회 환경의 영향도 받는다. 이는 수요자와 공급자 즉 국토의 가용 면적 간의 함수 관계에서 충돌하고 있다. 앞으로 죽을 인구가 증가하거나 사회적 인식이 매장에서 화장으로 이동하면 그 증가분을 소화 할 수 있는 양의 장묘 부지나 시설이 공급 요인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례문화의 사회적 환경 변화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제반 장례문화 행위의 열악한 수급환경에서의 출구가 수목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수목장은 전통적인 타 장법과 대비하여 갖는 특정적 성격의 개념을 많이 구성하고 있다. 환경 부담의 최소화, 장묘 공간과 비용의 최소화, 국토와 山林間 환경 보전의 극대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還歸本土, 自然回歸 즉 흙으로 돌아가는 친 불교적 사상과 철학을 가지고 있는 장법이다. 자연을 정복의 대상이나 욕망의 대상으로 삼아온 인류의 미래는 환경파괴라는 공동의 업에 의한 과보로 필연적 환경 재앙을 예고 해놓고 있다. 이에 수목장은 자연의 회복까지도 염두에 둔 장례법이다. 이제까지의 장묘문제는 자연을 염두에 두지 않았음으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수목장의 선택은 자연과의 조화를 인생의 마지막에 반영한 철학적 선택인 것이다. 우리 민족은 나무를 敬畏하고 자연을 대변하는 상징인 나무 앞에서 겸허 했다. 조상의 얼이 깃든 나무라면 자연을 파괴하던 구태도 겸허한 마음이 되어 고인을 기리고 명복을 기원 할 것이다. 이처럼 자연과 조상을 함께 경배하는 기회를 수목장은 제공한다. 불교식 장례문화 속에는 부처님에 대한 믿음과 가르침이 잘 조화 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한 의식속의 가르침을 통하여 망자와 생자가 동시에 모든 생명에게 은혜를 베푸는 의식을 통해 죽음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으로 전환 시키는 의식이라는 의미가 전제 되어야 할 것이다. 후손들의 손길로 가꾸어, 수목장림이 조성되어진 나무아래서 조상의 음덕을 기리고 그 숭고함을 본받는 취지에서 사찰측에서는 야외법회를 준비하여 그들이 각각의 소질(장기자랑)을 조상에게 베푸는 것이 진정한 보시요 참다운 공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할 수 있다는 큰 틀에서, 이 몸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인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교리적 수행차원에서, 각기 자기조상의 추모 나무 아래서 텐트를 치고 야영대회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지정 사찰에서 진행되고 있는 템플스테이방식과 같이 항상 자율적으로 유족에게 개방하되, 년 중 지정한 날짜에는 합동 위령제 성격을 띤 다채로운 법회를 열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그 시점의 사회적 현상(각종 사회문제)과 세대별 테마를 선정하여 추모 나무 아래서의 조상님과 전체 세대를 함께 아우르는 놀이마당이 되고, 다양한 창작 프로그램을 정착시켜, 가정에 충실하고 나아가 사회에 봉사하는 개개인의 능력을 계발, 함양하는 場이 되어야 할 것이다.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Environment and Safety : Infectious Diseases, Traffic Accidents, and Crime

        이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9

        Following the Korean War, South Korea embarked on urban replacement and planning initiatives aimed at catalyzing economic growth, which led to a significant concentration of the urban population.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primary focus of urban planning was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that could support economic development and accommodate the mass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During this era, man-made disasters, a consequence of population density, were only temporarily addressed. Traditional responses to traffic accidents relied on traffic engineering and road traffic studies, crime was examined through criminology, and infectious diseases were approached medically, leaving a gap in the urban planning response to man-made disasters. As cities expanded and adopted density-focused compact development, the potential for man-made disasters increased. The COVID-19 pandemic has particularly underscored the close link between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nd urban environments, influencing urban dwellers’ perceptions (personal factors) and behavior towards urban spaces. The pandemic-induced preference for personal vehicle use could lead to increased road congestion and, subsequently, higher rates of traffic accidents and crime. Thus, these disasters are interconnected, influencing urban environments and individual behaviors, and highlighting the need for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approaches. Furthermore, the compact nature of modern cities and their physical and non-physical density foster social interactions that impac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Human ecology suggests that an individual's traits are shaped by their urban environment and vice versa. This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behaviors, and the urban environmen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rban planning strategies that account for the urban environment's influence on individual behavior. This study concentrates on man-made disasters within urban environment, grounded in reciprocal determinism, and explores (1) the impact of government control policies on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and the subsequent changes in individuals' perceptions (which are personal factors) and behaviors towards urban spaces, (2) the role of urban environments in influencing traffic accidents, with personal factors contributing to over 70% of accident occurrences, and (3) the derivation of physical and non-physical urban characteristics that impact the occurrence of violent crimes, based on theories of human personal factors, behavior, and urban environment relations such as routine activity theory and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1) The study examines how governmental quarantine policies and urban environments influence individual perceptions (personal factors) and behavior changes, focusing on Seoul, South Korea, and Shanghai, China, due to their differing responses to the COVID-19 pandemic. Unlike typical man-made disasters directly caused by individual act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external factors in infectious disease spread and how these factors, coupled with related policies, affect individuals' perceptions and behaviors. The findings reveal that infectious disease spread alters individuals' risk perceptions and their views of the urban environment, with the intensity of governmental quarantine policies leading to notable differences between Seoul and Shanghai. For example, in Seoul, restrictions on indoor activitie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ference for indoor urban spaces and leisure activities during the pandemic, with a corresponding increase in outdoor activity preferences. Conversely, in Shanghai, comprehensive control policies led to a similar reduction in indoor activity preferences without a significant shift towards outdoor activities, instead fostering a preference for home-centered activities. (2) Traffic accident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ersonal factors, necessitating the consideration of driving behaviors and the impact of the urban environment during driving. By categorizing the population by ag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urban environments' physical and non-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make certain groups more vulnerable to traffic accidents and to understand how urban traits affect drivers' personal factors. As emphasized by reciprocal determinism,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rban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acts individual behavior (traffic accidents), with distinct effects based on personal factors. For example, elderly drivers are more susceptible to physical and non-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environments that generate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likely due to diminished cognitive abilities that impair their judgment and response times in busy environments (e.g., areas with high subway station accessibility and commercial areas). Moreover, urban environments with high pedestrian traffic present challenges in visibilit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accidents due to the emergence of blind spots. These outcomes suggest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pedestrian-induced physical and non-physical environments into factors influencing traffic accidents and underscore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aptitude testing systems and driving conditions at accident-prone spots, especially for elderly drivers. (3)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criminal behavior are affected by the urban environment. Drawing on reciprocal determinism and criminological theories, such as routine activity theory and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this study posits that crime is influenced by the urban environment, guardians' presence, and potential victims. Contrary to previous findings that vibrant urban interactions decrease crime occurrenc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rime's nature and impact depend on individuals' personal ffactors using urban spaces. For example, areas with a concentrated working population showed a decreased likelihood of violent crimes, whereas area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residents or significant night-time population influx showed an increased crime risk. Furthermore, social disorder was closely related to commercial activities, an essential component of urban vitality. Nightlife venues emerged as fact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crime, creating a negative spillover effect that concentrates the potential for crime in certain areas. Convenience stores operating 24/7 influenced crime due to urban characteristics such as dense population during nighttime hours and solitary operation, facilitating anonymity and promoting criminal behavior. The findings indicate that physical disorder factors (e.g., dilapidated buildings, parking lots, roads) identified in criminology do not significantly impact or only affect certain types of crime. Therefore, crime occurrences can vary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environments and personal traits, suggesting that urban disorder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associ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vitality, necessitates consideration in crime prevention policies. In summary, based on reciprocal determinism, infectious diseases, traffic accidents, and crime, while representing different types of man-made disasters, are influenced by personal factors and the urban environment (physical structure, non-physical characteristics, government policies). Environmental changes in response to disasters affect personal factors, altering individual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the urban environment. Specifically, urban crime and traffic accidents share vulnerabilities to density, necessitating targeted response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highlights the vulnerability of densely populated environments, necessitating urban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that consider safe space usage and susceptibility to disease spread, especially during pandemics.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 경제 성장을 위한 도시 재건에 주력하였고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도시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본격적인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다. 1970~1980년대 도시계획의 주요 안건은 경제성장과 대규모의 이촌향도 현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도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인구 집중과 사회경제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재난(Man-made disaster)은 일시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에서 접근되었다. 주로 교통사고는 교통공학과 도로교통, 범죄는 범죄학, 감염병은 의학 측면에서 재난 상황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도시 계획 측면에서 인적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시도는 결여되어 왔다. 도시가 성장하고 밀도 중심의 압축 개발을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상호작용과 사회 구조 변화는 인적 재난 발생 가능성을 증가 시키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대규모의 감염병 유행은 감염병 확산(취약성) 및 통제 정책이 도시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이로 인해—도시환경의 감염 취약성을 고려한 정부의 통제 정책은—도시민의 인식(인적특성)과 도시 공간 선택과 같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개인 차량 이용 선호는 도로의 차량 집중을 유발하며 팬데믹 이후 외부 통행 증가는 교통사고 증가, 범죄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이처럼, 인적 재난은 서로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인적 재난으로 인한 도시 환경 변화는 개인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도시 계획 관점에서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현대 도시의 압축적인 도시 구조와 물리적・비물리적 밀집은 도시민의 교류를 촉진하며,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도시 환경은 개인의 인적 특성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 생태학은 개인의 인적 특성은 도시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역으로 인적 특성 또한 도시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적 재난의 발생(원인)과 영향(파급효과)을 분석하는 데 있어 개인의 인적 특성-행동-도시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는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함께 반영한 학술적・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적 재난에 주목하였다. 특히, 상호결정론을 기반으로 (1)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정부의 통제 정책과 도시 환경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행동 변화에 주목하였으며, (2) 개인의 인적 특성이 충돌 사고 발생에 70% 이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인적특성(연령)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에 도시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유명하였다. 마지막으로 (3) 일상생활이론과 사회해체이론과 같은 인적 특성, 행동, 도시 환경의 관계를 다룬 범죄 이론을 바탕으로 강력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물리적, 비물리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1)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외적 요인(정부의 방역 정책)과 도시 환경과 관련된 개인의 인적 요인인 인식과 행동 변화를 동아시아의 대표 도시이자 유사한 도시 특성을 보이지만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 있어 상이한 접근 방식을 선택한 한국의 서울과 중국의 상해를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정부 정책에 따른 도시 환경에 대한 인적 특성(인식)과 행동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고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적 재난이 개인의 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과 달리, 감염병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감염병 확산과 그에 대한 정부 대응 정책이 인적 특성(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 감염병 확산은 개인의 위험 인식과 도시 환경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정부의 방역 정책 강도의 영향으로 두 도시 간 인식과 행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서울은 실내 활동에 대한 정부 조치로 인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팬데믹 중 실내 도시 공간과 여가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감소하였으며 시점 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외부 활동과 관련된 녹지 및 오픈 스페이스, 실외 체육 시설, 실외 여가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팬데믹 이전에 비해 증가하였다. 반면, 중국 상해는 필수 시설을 제외한 도시 공간 이용에 대한 전면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실내 도시 공간과 여가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서울과 같이 팬데믹 이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서울처럼 실내활동에 대한 인식이 실외활동으로 전환되지 않고 집 중심의 활동에 대한 선호로 전환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팬데믹 이전 대비 팬데믹 중 도시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는 상호결정론에서 인간이 환경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인적 특성과 행동이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울은 팬데믹이 지속됨에 따라, 1차 설문 시점(2020년) 보다 2차 설문 시점(2021년)에서 도시 환경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어 감염병 확산 중 시간 경과에 따라 개인의 인적 특성(인식)이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감염병 확산을 통제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강도에 따라 개인의 인적 특성(인식)과 행동의 변화가 발생하지만, 팬데믹이 장기간동안 지속됨에 따라 도시 환경에 대한 위험 인식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도시 환경을 대상으로 한 방역정책의 효과 유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코로나19와 같이 장기간동안 지속된 대유행 상황에서 시점에 따른 도시 공간에 대한 인식과 개인의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팬데믹 경과 시점에 따라 도시 공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것처럼, 도시 공간 이용을 통제하는 강도 높은 방역 정책이 지속되면서 실외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 하였고 방역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던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의 야간 및 주말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이 불가능해지면서 한강 공원을 비롯한 도심 내 공원 잔디밭 이용이 통제되기도 하였다. (2) 교통사고는 개인의 인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주행 행동과 주행 중 도시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적 특성 중 연령을 세분화하여 고령 운전자(만 65세 이상)와 비고령 운전자(만 65세 미만)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별 교통사고 발생에 취약한 도시 환경의 물리적・비물리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후 집단 별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환경 특성과 운전자의 인적 특성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 결정론에서 강조한 것처럼, 도시 환경은 개인의 행동(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특성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도시 환경 특성과 행동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고령 운전자는 보행자와 차량 통행을 유발하는 도시의 물리적・비물리적 특성에 취약한 반면, 비고령 운전자는 보행자의 통행을 유발하는 도시 환경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운전자는 노화로 인한 인지 능력 저하로 주행 중 발생하는 긴급 상황에 대한 판단과 대응 속도가 비고령 운전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차량 통행이 많은 환경(지하철역 접근성이 높은 지역, 상업지역)에서 개인 인적 특성의 영향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보행자 통행이 많은 도시 환경에서는 신체 능력 저하 중 가시도 손상으로 인해 사각지대에 위치한 보행자를 인식하는 등 상황 발생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에 도로 환경 외에도 보행자의 통행을 유발하는 물리적 환경과 비물리적 환경(인구, 사회경제적 특성)을 포함해야 함을 보여주며, 도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적성 검사 체계 개선과 고령 운전자를 고려한 사고 다발 지점의 주행 환경 개선(표지판 설치, 신호주기 개선 등)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3) 범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특성은 도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상호결정론과 범죄학의 일상생활이론, 사회해체이론을 기반으로 범죄가 일상생활 내 도시 환경, 감시자, 피해자 출현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물리적・비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범죄 이론 상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무질서한 공간의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선행연구에서 사람 간 상호작용이 활발한 도시 환경에서 범죄 발생 가능성이 감소한다고 밝힌 것과 달리, 상호 작용이 활발한(보행자가 많은) 도시 공간이라도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인적 특성에 따라 감시자의 역할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간을 구성하는 인적 특성에 따라 범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도출되었다. 예를 들어, 지역에 거주 주이거나 대부분의 일상 시간을 보내는 직장 인구가 집중된 지역에서는 강력 범죄 발생 가능성(5대 강력 범죄 발생 밀도)이 감소하지만, 거주 인구 중 외국인 거주민의 비중이 높거나 야간 유입인구, 외부 지역에서 이주한 인구가 많은 지역은 범죄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유입이 활발한 지역은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지역과 공간을 이용하는 자신을 타자화하는 반면, 지역에 대한 애착감이 형성된 거주민 또는 직장인구 등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일탈적 행위에 대한 개입 가능성이 높아 범죄 발생 가능성이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무질서는 도시 활력 요소인 상업 활동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상업 시설 중 유흥업소는 범죄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부(-)의 인접효과를 발생시켜 해당 지역의 범죄 발생 가능성을 집중시킨다. 24시간 운영하는 편의점은 공간의 특성(24시간 운영으로 야간 시간대 인구 밀집, 1인 운영)이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불특정 다수가 방문한다는 점에서 익명성이 보장되어 범죄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연구 결과, 범죄학에서 제시한 물리적 무질서 요인(노후된 건축물, 주차장, 도로)은 특정 범죄 유형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구 집중을 유발하는 도시의 물리적 특성과 인적 특성에 따라 범죄 발생 가능성은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도시의 무질서는 인구를 집중시키는 도시 활력과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방범 정책이 요구된다. 상호결정론을 기반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감염병과 교통 사고, 범죄는 서로 다른 인적 재난의 성격을 보이고 있으나, 재난 발생(교통사고, 범죄)에 있어서는 개인의 인적 특성과 도시환경(물리적 구조, 비물리적 특성, 정책)이 재난을 야기하는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 변화는 개인의 인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행동과 도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도시의 범죄와 교통사고는 밀도에 취약하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중 범죄는 익명성이 보장되며 상업활동이 활발하고 외부 이주민의 유입이 활발한 지역에서 범죄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교통사고는 상업활동을 비롯하여 보행자의 통행이 집중되는 도시 환경에서 개인의 인적 특성(인지반응 속도 감소, 신체적 노화 등)으로 인한 즉각적인 대응 한계로 인해 사고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집중 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감염병은 인구가 집중되는 도시 환경에서 전파된다는 점에서 공간을 대상으로 한 방역 정책이 인구 밀도가 높은 다중이용시설(주로 상업 공간)에 집중되었다. 방역 정책의 강도와 정책 대상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고려하여 안전한 공간 이용을 위하여 감염병 확산에 취약한 도시 공간 특성과 감염병 확산 취약성을 고려한 도시 계획 및 설계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 미래 환경변화에 대비한 재난관리정책의 선진화에 관한 연구

        이희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03

        우리나라는 현재 기존의 전형적인 재난 이외에도 급격한 자연환경 변화와 사회의 고도화에 따른 예상 밖의 대형 복합재난이 속출하고 있고, 이러한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재난관리시스템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으며, 대응 및 복구에 필요한 기관 간 협력 및 자원동원 등에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인적재난 및 자연재난을 포함한 모든 재난의 근원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사후 수습ㆍ복구 위주의 재난관리정책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예방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과학적인 예방기법의 개발ㆍ보급 등 예방 위주의 재난관리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 “안전한국” 실현을 목표로 삼고 있는 정부 정책은 아직도 예방사업 보다는 대응과 수습ㆍ복구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미래의 더욱 급격한 재난환경 변화를 감안하면 기존에 유지되어 왔던 재난관리정책은 과감하게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래 환경변화에 대비하여 재난정책은 선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선진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1) 기존에 발생한 대형 재난사례 및 국내․외 재난정책 현황 및 변화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고려한다. 2) 자연적, 사회적, 과학․기술적 변화 양상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한다. 3)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4)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점진적 개선을 목표로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과제를 시행한다. 5) 과제를 통해 이론적 자료 및 근거를 마련하고 예방․대비 위주의 선진화된 재난정책으로 개선해야 한다.

      •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동적 클러스터링 방법

        김희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287

        현재 지구는 온난화 문제, 환경오염 문제, 기상 이변 등으로 많은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T 과학자들은 유기적ㆍ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기에 위험 요소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래서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새로운 네트워크 시스템을 연구하게 되었고, 센서 네트워크는 현재 환경에 적용 가능한 가장 좋은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센서 네트워크는 제한된 배터리로 인하여 환경 및 재해 감지 시스템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평면 라우팅의 가장 대표적인 SPIN의 경우 노드가 질의를 주변 센서들에게 보내고 응답을 한 노드와 통신하는 방법이다. 환경 감시 및 재해 감지와 같이 넓은 지역의 대량의 센서가 존재한다면 노드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계층적 라우팅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LEACH는 환경 감시와 같이 범위가 넓게 확산이 되면 관련된 클러스터의 수가 증가하여 정보를 보내는 헤드의 수가 많아져 전송수를 증가시켜 많은 에너지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두 가지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단점에서 보듯이 환경 및 재해 감시 환경은 넓은 지역, 많은 센서를 사용 하는 공통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재난 지역의 확산을 감지한 센서가 주기적으로 자신이 설정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로 송신 하여 모든 노드가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동적으로 계층적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환경 감시 및 재난 환경에서 센서 노드가 감지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까지 전달하는 전송수를 줄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클러스터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전송 수가 증가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계층적 클러스터 헤드를 구성하는 마스터 헤드 및 최상위 마스터 헤드를 선출하여 문제를 해결 하였다. 계층적 클러스터 헤드는 클러스터 헤드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 때 하위 클러스터 헤드의 데이터를 모아 보내는 클러스터 헤드를 마스터 헤드라고 하고 마스터 헤드들의 최상위 헤드를 최상위 마스터 헤드라고 한다. 마스터 헤드의 및 최상위 마스터 헤드의 역할은 클러스터 헤드의 정보를 수집하고 싱크 노드까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프로토콜과 다르게 재난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마스터 헤드를 변화 시켜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량 감소에 영향을 준다. 마스터 헤드를 결정하는 기준은 기존 마스터 헤드와 후보 마스터 헤드 중 싱크 노드까지 가는 가장 적은 전송수를 가지는 클러스터 헤드를 마스터 헤드로 지정한다. 그리고 전송수가 같을 경우 싱크 노드와 가깝거나, 재난 및 환경 감시 데이터를 감시한 센서의 수가 적거나, 배터리 잔량이 더 많은 클러스터 헤드를 마스터 헤드를 통해 계층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여 기존 프로토콜의 변화 없이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과 본 논문에서 예시로 한 화재 환경 적용 외에 넓은 지역의 정보를 필요한 시스템(수해 방지, 환경 감시)에 적용하여 클러스터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마스터 헤드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계층적 클러스터 구성 동작 메커니즘 및 프로토콜 및 동작 과정을 설계하고, 본 연구를 화재 환경에 적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동적 클러스터링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NS-2 기반으로 에너지 효율적인 동적 클러스터링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