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 공간 명사의 의미 확장에 관한 연구

        김은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extension of English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English spatial noun point, line, plane are polysemous words whose meanings are conceptually related through metaphorical and metonymic links, so we propose the semantic network of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based on Langacker(1990)'s semantic network model. In chapter 1, I elaborate the objective and method of this study. We use corpus programs, COCA(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and BYU-BNC(British National Corpus) to avoid the polysemy fallacy. In chapter 2, introduce theoretical backgrounds. In chapter 3, I discuss the prototype of spatial noun point, line, plane based on English dictionaries and etymology dictionary, and then define their prototype. Each of them are defined as 'minute amount, single item in a whole', 'a long thin mark' and 'a flat surface'. In chapter 4, I investigate the metaphorical and metonymic meaning extension of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and semantic relation of them. The extended meaning of them are divided into concrete extended meanings and abstract extended meanings. The concrete extended meanings of spatial noun point are sign '.' and 'place', and the abstract extended meanings are 'time', 'idea', 'main idea', 'fact', 'purpose' and 'quality'. The concrete extended meanings of spatial noun line are 'row of people or things', 'written or printed words', 'product', 'boundary', 'track', 'boundary of an area', 'pipe', 'phone', 'rope, wire, etc' and 'shape', and the abstract extended meanings are 'division', 'series', 'melody', 'spoken words', 'way of doing something' and 'area or branch of activity'. The concrete extended meaning of spatial noun plane is 'surface' and the abstract extended meaning is 'level'. As I mentioned earlier I use corpus programs, COCA(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and BYU-BNC(British National Corpus) to avoid the polysemy fallacy. 150 sentences each of them are extracted, and then we analyze the aspect of meaning extension of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In chapter 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various meanings associated with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networks. Also meaning extension of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are based on the metaphor, metonymy, human cognition and experience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spatial concept constitute human body, mind and the world and human cognition is based on this spatial concept, so that we can understand that human cognition, that is spatial concept is reflected in meaning extension and usage of meaning. The main point in this thesis is that human body, mind and the world are related with spatial concept. Human cognition is based on spatial concept and spatial noun point, line and plane are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of this spatial concept. The meaning of these are extended from prototype to concrete extended meaning and abstract extended meaning and these meaning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forming the networks. The meaning extension and usage of these meanings are related with human cognition so we can understand that spatial concept is an important part of language.

      • 어원에 기반한 다의어의 원형의미와 의미 확장의 원리

        우청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의 목적은 어원에 기반 하여 원형의미를 정하고, 원형의미에서 확장 되는 의미의 확장 원리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원형의미는 확장된 의미를 인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의미이다. 원형의미를 선정하는 선정기준은 최초의 의미, 통시적으로 가장 먼저 쓰인 의미 또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인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만일 최초의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할 수 없다면 이와 같은 최초의 의미는 원형의미로 선정되지 않는 것이다. 만일 가장 흔히 쓰이는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할 수 없다면 이와 같은 의미도 원형의미로 선택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원형의미를 기본의미 또는 기본이미지로 제시하였다. 기본의미는 최초의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하면서 동시에 그 의미가 현재에도 사용되는 의미이다. 기본이미지는 최초의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하지만, 그 의미가 현재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의미이다. 의미 확장의 9가지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유사성의 원리이다. 둘째는 구체화의 원리이다. 셋째는 일반화의 원리이다. 넷째는 인접성의 원리이다. 다섯째는 인과관계의 원리이다. 여섯째는 의미의 일부분의 원리이다. 일곱째는 전문화의 원리이다. 여덟째는 양화의 원리이다. 아홉째는 악화의 원리이다. 모든 단어는 확장된 의미를 인지적으로 연결하는 원형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확장된 의미는 의미 확장의 원리를 기반으로 원형의미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그래서 만일 학습자가 어떤 단어의 원형의미를 알고 의미 확장의 원리를 인지하고 있다면, 그 학습자는 다의어를 더 쉽고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원형의미는 확장된 의미와 인지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의어의 각각의 의미를 하나의 의미 군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휘의 원형의미와 의미 확장의 원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학습자가 다의어를 학습할 때 이 연구가 효과적인 학습도구가 될 것이다.

      • 韓·日両言語の比喩による意味拡張の研究 : 五感語彙を中心に

        金炫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유에 의한 의미확장의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양언어의 「오감(五感)」에 관한 어휘를 대상으로 의미분석을 하여 그 의미확장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오감(五感) 어휘」를 선정한 것은, 가능한 같은 조건의 어휘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것이 양언어를 고찰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즉, 「시각」「청각」「후각」「촉가」「미각」에 관한 어휘의 의미확장을 고찰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시각에 관해서는「目」과「눈」, 「見る」와「보다」, 청각에 관해서는「耳」와「귀」, 「聞く」と「듣다」, 촉각에 관해서는 「手」과「손」, 「触る」와「만지다」, 후각에 관해서는「鼻」와「코」, 「嗅ぐ」와「(냄새)맡다」, 마지막으로 미각에 관해서는「口」과「입」, 「味わう」와「맛보다」를 대상으로 각각의 의미분석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어휘들은 2개이상의 의미를 가진 다이어(多義語)이므로, 이러한 다이어는 그 복수(複数)의 의미 사이에 무엇인가의 상관관계(相関関係)가 있기 마련이며, 그 상관관계에는 인지언어학(認知言語学)에서 거론되는 인지적 기반에 의한 비유(比喩)가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에는 인지언어학의 인지적 기반 중 「비교(比較)」, 「정밀화(精密化), 특정화(特定化)」, 참조점(参照点:reference point) 이라고 하는 세가지가 인지적기반이 바탕이 되어 있다고 하는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이들은 각각 구체적인 비유로 비교의 인지적기반에 의해 메타파(metaphor:隠喩:은유)가 나타나고, 참조점의 인지적기반에 의해 메트노미(metonymy:換喩:환유), 그리고 정밀화, 특정화의 인지적기반에 의해 시네크도키(synecdoche:提喩:제유)와 같은 비유가 나타나고, 이 세가지의 비유는 의미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의미확장의 메카니즘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비유에 의한 의미확장의 메카니즘에 따라 일본어와 한국어의 오감어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는 오감과 관련된 어휘에 있어서서는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빈번하게 의미확장이 일어나서 일본어 쪽이 하나의 어휘가 보다 많은 의미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오감어휘는 모두 다의어로, 모두 2개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그 복수의 의미들은 상관관계를 가지로 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셋째는 오감에 관한 어휘에 있어서는 한국어와 일본어 둘다 메트노미(환유) > 메타파(은유) > 시네크도키(제유)의 순을 활발하게 의미확장이 일어나고 있다. 즉 메트노미(환유)에 의한 의미확장이 가장 활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는 본고의 연구대상의 분석 결과, 메타파(은유)에 의한 의미확장에 있어서는 일본어쪽이 한국어보다 38%정도 많음이 확인 되었다. 즉 일본어는 메타파(은유)에 의한 의미확장이 한국어보다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는 양언어의 오감어휘를 대상으로 의미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 대상이 오감어휘였기 때문에, 양 언어에 있어서 조건이 유사한 만큼, 의미확장의 결과도 유사한 점이 많지만, 의미확장의 전체적인 수는 일본어 쪽이 많았으며, 각각의 구체적인 의미확장의 방향은 양언어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의미분석 결과에 의하여 한・일 양언어의 오감어휘의 비유에 의한 의미확장의 양상을 고찰하여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일본어는 한국어에 비해 의미확장이 활발하여, 하나의 어휘가 보다 많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면 일본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로서 일본어를 학습할 때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일본어 어휘를 학습할 때는 한 어휘가 가지고 있는 복수의 의미에 유의하여 학습한다면, 학습효과가 높아짐은 물론이고 보다 실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의미확장과 그 특징을 알 수 있었지만, 엄밀하게 볼 때, 이번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오감에 관한 어휘만을 고찰하였기 때문에, 보다 보편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향후 연구대상의 폭을 더 넓혀 고찰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뚜렷한 결과를 위해 다의어 이외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지만, 많은 용례와 많은 의미확장이 일어나고 있는 ‘관용어’의 의미분석은 향후의 흥미로운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의 과제로서는 본 논문과 같은 의미확장의 연구방법으로 보다 폭넓은 연구대상의 의미분석을 하여 의미확장의 양상을 고찰한다면 한국어와 일본어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명사 {어머니}의 형식과 의미 확장

        김광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한국어 명사 {어머니}의 형식과 의미 확장을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어머니}는 호칭어로 사용되는 어휘로서 언어 사용자 의 경험이 의미 확장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망을 가진다. 이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대상 및 목적과 선행연구, 이론적 배경 그리고 연구 방법을 논의한다. 제 2장에서는 {어머니}의 단일형식과 복합형식의 사용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어머니}의 원형의미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형식·의미 확장의 모습을 확인하도록 한다. 제 4장에서는 {어머니}의 유의어 자격을 가진 {어미/ 엄마/ 어머님/ 모(母)}의 형식·의미 확장이 원형의미를 중심으로 어떤 모습을 보이며 확장·사용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원형의미 파악과 유의어의 의미 확장 유형을 확인하여 한국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어머니}의 형식·의미 확장 모형의 악을 목표로 한다. This report intends to dig deep into the form and the extended meaning of {어머니 emeni} the Korean word for mother from cognitive meaning point of view. {어머니 emeni} is used as an address form. The user‘s personal experience influences significantly on the extended meaning and has various semantic network by individuals.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e subject of the research, goal and preliminary research, theoretical backdrop and the research method are to be discussed: In the second chapter,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dentified in the use of single and plural form of {어머니 emeni} will be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the prototype meaning of {어머니 emeni} will be set forth and the extended form and the meaning of {어머니 emeni} will be confirmed based on this; and in the forth chapter, how “the meaning and the form of {어미 emi/ 엄마 emma/ 어머님 emenim/ 모 mo}”, which are synonymous to {어머니 emeni} extend from the prototype meaning and how they are extended and used will be looked into.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model of extended meaning and form of {어머니 emeni} that is perceived by Korean users with the means of clarifying the prototype meaning of {어머니 emeni} and looking into the types of extended meanings of synonym.

      • '가다'의 의미확장에 대한 연구

        신홍명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다의어의 여러 의미들이 하나의 원형의미로부터 파생되며 이러한 원형의미가 실제적인 문맥과 상황에 사용되면서 의미확장이 이루어지고 또 일정한 방향에서 이루어 진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것은 다의어의 의미확장 현상이 단순하 시간적 순차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개념화에 기인하고, 인간의 여러 가지 인지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연구의 방향으로 삼아 다의어 생성과 의미확장의 일반적 원리를 찾아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본 논문에서 주요하게 논의된 것을 정리하면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먼저 3.1장에서는 실제 다의 분석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으로 인지의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 보았다. 3.2장에서는 인지의미론적 입장에서 다의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목적으로 다의어의 정의를 살펴보고, 다의어의 의미구조에 대한 고전이론적 관점과 원형이론적 관점을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원형이론에 확장과 도식의 기제를 추가한 Langacker의 도식이론이 다의어 낱말들이 갖는 의미적 연관성을 포괄적으로 보여 줄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다의어의 의미는 원형의미와 확장의미가 계층적 구조를 이루며, 원형의미는 그 어휘가 가장 기본적이고 전형적인 문맥의미로 파악하고, 확장의미는 은유와 환유에 의한 의미확장과 문맥에서의 쓰임까지도 포함된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4장에서는 3.1장과 3.2장의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동사 '가다'의 의미확장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가다'의 사전의미를 분석해 보고 기존의 사전의미 배열순서에 일관성이 있는 기준이 없음을 지적하였다. 그 다음 '가다'의 원형의미와 '가다'의 논항으로 사용된 '행위자, 출발점, 도착점'이 어떤 양상으로 확장되어 가는지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가다'는 원형의미가 시간과 공간의 장소 이동이 중심이라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다'의 논항에서 중심적으로 이용되는 행동주의 구체성과 도착점으로 의미확장을 분석하였다. 행동주의 추상성에서 상태의 변화는 '가다'의 마지막 변화라고 가정을 하였다. 그리고 '가다'는 행위주가 [+구체적, +생물]에서[+구체적, -생물]로 의미가 확장 되었음을 살펴 보았고, 행위주(A)가 [+인간]이라는 구체적에서 [+추상적]이라는 비구체적으로 의미가 확장될 때, 출발점과 도착점 역시 문장에서 더욱 더 희미해진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확장 순서는 사전기술에 있어서 기준점이 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한 어휘의 다의적인 양상은 결국 인간의 여러 가지 인지기제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것은 인어가 인간의 사고와 독립된 체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실제 언어가 사용될 때는 화자나 청자, 상황 등의 비언어적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에 사전에 기술된 의미만을 가지고 다의성을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다'라는 동사만을 대상으로 다의 의미를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동사 전체의 의미분석에 얼마만큼의 일반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한계가 지적될 수 있다. 이것은 개별 다의어 동사 하나하나에 대한 의미분석이 이루어져야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한국어와 영어의 신체어 의미 확장에 관한 연구

        김도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presents the meaning extension of body-part terms such as the kan, simjang, bijang, dam, jang, bae, sok, and kaseum and their English counterparts the liver, heart, spleen, gall bladder, intestine, belly, innards, and chest. 1st in both Korean kan and English liver,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LIVER] and [A PERSON OR AN OBJECT IS LIVER] are the ontological metaphors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EMOTION IS LIVER] is a similar conceptu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 Korean kan has much more emotional expressions than the English liver. And [MIND IS LIVER] is a similar conceptu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y have the difference mainly between ‘the kan's size’ in Korean and ‘the liver's color’ in English. Korean is related to the Yin-yang and the Five-element theory that connects the size of kan and mental state. In contrast, Metaphtonymy can be applied to vocabularies with ‘-livered’ in English, and particularly ‘yellow-livered’ is associated with the four humoral doctrine that connects ‘yellow bile’ with the liver. Also, [A PERSON OR AN OBJECT IS LIVER] is a similar conceptu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y have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extension. In Korean, the kan has the metonymic extension, meaning ‘person’ or ‘thing’. In contrast, ‘chopped liver’ has the metaphoric extension, meaning ‘worthless man’ or ‘useless stuff’ in English. 2st in both Korean simjang and English heart,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HEART] and [THE IMPORTANT PART IS HEART] are the ontological metaphors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EMOTION IS HEART] is a similar conceptu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 Korean simjang has more specific physiological metonymy than the English heart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And [MIND IS HEART] is a similar conceptual metaphor in both English and Korean, but they have the difference mainly between ‘the simjang's strength and size’ in Korean and ‘the heart's weight, strength, size, and count’ in English. Metaphtonymy with the interaction of metaphor and metonymy can be applied to vocabularies with ‘-hearted’ in English, whereas the specific physiological metonymy refers to the meaning extension in Korean. 3st in both Korean bijang and English spleen,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SPLEEN] is the ontologic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ization. Korean is related to the Yin-yang and the Five-element theory that connects the biwi(spleen and stomach) and mental state. In contrast, English is associated with the four humoral doctrine that connects ‘black bile’ with the spleen. 4st in both Korean dam and English gall bladder,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GALL BLADDER] is the ontologic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ization. Korean is related to the Yin-yang and the Five-element theory that connects ‘the dam's strength and size’ and mental state. In contrast, English is associated with the four humoral doctrine that connects ‘yellow bile’ with the gall. 5st in both Korean jang and English intestine,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INTESTINE] is the ontologic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ization. [EMOTION IS INTESTINE] is a conceptual metaphor in Korean, but [A PERSON OR THE IMPORTANT PART IS INTESTINE] is a conceptual metaphor in English. 6st in both Korean bae and English belly,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BELLY] and [THE MIDDLE PART IS BELLY] are the ontological metaphors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ization. [SEX IS BELLY] is a conceptual metaphor in Korean, but [A PERSON IS BELLY] is a conceptual metaphor in English. 7st in both Korean sok and English innards,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conceptualization. [THE INNER PARTS ARE INNARDS] is the ontologic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S ARE INNARDS] is a conceptual metaphor in Korean, but is not a conceptual metaphor in English. 8st in both Korean kaseum and English chest,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conceptualization. [MIND IS CHEST] is the ontological metaphor in both Korean and English.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ization. [EMOTION IS CHEST] is a conceptual metaphor in Korean, but [THE MIDDLE OR THE INNER PART IS CHEST] is a conceptual metaphor in English. So far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laims with the Lakoff(1993) and Kövecses(2000) that human has universality because of physic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nd also has individuality according to the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In short, the meaning extension of body-part terms such as the liver, heart, spleen, gall bladder, intestine, belly, innards, and chest in both Korean and English has similarities in the conceptualization even though there are the different systems of languages, and also has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탈착동사 확장의미 교육의 등급화 연구

        쑹메이란 호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탈착동사 확장의미의 사용빈도를 조사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에서 제시한 탈착동사의 확장의미를 비교, 대조 분석하여 한·중 탈착동사 간에 나타나는 의미적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면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탈착동사 확장의미 교육의 등급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탈착동사 확장의미의 순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현대 국어의 의미확장 연구

        이건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현대 국어의 의미확장에 대해서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려는 데 목적을 둔다. 실제로 국어 연구에서 다년간 통사론의 중심연구 경향으로 의미론의 연구에 소홀함이 있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필자는 그 원인이 현대 학문의 이론 의존적인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한다. 국어 연구에서는 이론 의존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개념상 큰 대립이 있어 왔는데, 필자는 이것들을 어떻게 상호 관련시키고 조화시켜 균형성을 획득하는가가 언어 연구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기초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것에 대한 지금까지의 양립 불가능한 이해는 다음과 같다. (1) 철학적 →이성주의 : 경험주의 (2) 심리학적 →언어능력 : 인지능력 (3) 언어학적 →순수언어학적 의미 : 백과사전적 의미 위의 양립 불가능한 이해는 각 시기의 국어 연구에서 암묵적으로 인정하거나 지나쳐 온 개념들이다. 환언하면 그것은 이론 의존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당연시해 왔다는 것이다. (1)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성주의(객관주의) 시각으로써 언어를 보는 모형은 모든 언어 현상이 하나의 모형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다양한 언어 현상을 접하면서 하나의 모형으로 살필수 없는 언어 현상이 많이 부각되고 발견되었다. 따라서 다원화된 시각의 필요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성주의와 경험주의 논의는 양자가 각 극단으로 치우쳐 이해되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데 본 논문은 철학적인 시각에서 '체험주의'(experientialism)라는 새로운 시각에 바탕을 두고자 한다. (2)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언어 연구의 성립 근거로써, 순수 언어학자들의 입장은 인지능력과는 무관한 '언어능력'의 독립성을 주장하고, 심리학자들은 언어능력이 일반 인지능력과 독립적일 수 없다는 주장을 펴 보임으로써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두 능력의 상호 보완성을 인정하는 입장에 서고자 한다. 그것은 우리 두뇌의 능력에 객관성과 주관성을 상호 인정하는 유연한 입장에 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언어학적 의미론의 관점에서는 순수한 언어적 지식 이외의 지식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순수 언어학적 입장과는 달리 백과사전적 지식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에 서 있다. 그것은 우리 '삶의 양식 으로서의 진리는 모두 우리의 지식일 수 있다는 근거에서 이다. 이와 같은 바탕 위에서 본 논문은 현대 국어에 편재하는 다양한 합성어, 다의어, 문법화 범주에 드러나는 의미확장 등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말하는 의미확장 현상은 언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사고도 은유적 원리에 근거하여 의미를 창출하고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에서 살핀 의미확장 현상을 검토하기 위한 언어적 가설을 잠정적으로 세워보면 다음과 같다. (4) ㄱ. 물리적 ·구체적인 요소는 영상 도식(image schema)을 형성하며 이것은 우리가 지각하고 경험할 수 있는 영역이다. ㄴ. 영상 도식은 은유적 투사(metaphorical projection)를 통해 추상적 ·문화적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 위의 가설에 드러난 개념들은 최근 '상상력 이론'을 전개해 가고 있는 M. Johnson의 논의 개념들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 부류의 철학적 경향을 '체험주의'라고 부르고 있는데, 체험주의의 주된 주장은 우리의 모든 사고와 이해의 뿌리가 우리의 신체적 활동에 기초해 있으며, 더욱 복잡하고 추상적인 사고는 이를 토대로 확장된다는 것이다. 체험주의에 대한 이해는 이성주의 대 경험주의의 양극단의 대립적인 양상으로부터 우리의 이해에 양극단의 시각이 공존할 수 있다는 좀더 포괄적인 해명과 바탕을 마련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보인 언어적 범주들의 귀결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어에서의 의미확장은 사물의 명명 단계에서 우리의 개념화 과정이 출현하고 있고, 그런 인식은 외부 사물과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지각적, 운동수행적 능력이 모두 중요하게 부각한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자연화된 인식론'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추상적 인지의 단계도 우리의 신체적·물리적 활동에 근거해서 확장되는 것을 언어의 쓰임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의 기재로 은유와 환유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다의어 범주에서는 중심적 의미와 비중심적 의미 사이에 비대칭적인 관계가 놓여 있으며, 그 사이에는 원형 효과가 드러난다. 그리고 중심의미와 비중심의미 사이는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의미들이 아니라 서로 관련된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음을 동사 '잡다'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문법화 범주에서는 의미가 한 범주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범주와 범주 사이에서도 늘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살필 수 있다. 또한 문법화의 확장경향이 다음과 같이 드러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문법성의 기준에서 볼 때 어휘적 표현이 문법적 표현으로 전이해 가고, 덜 문법적인 표현이 더 문법적인 표현으로 되어 간다. 이러한 변화는 정도의 면에서도 문법성의 정도가 더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어휘적 표현에서 문법적 표현으로 확장되어 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구체적 영역에서 추상적 영역으로의 변화이다. 구체적인 영역에서는 인간의 관점에서 사물을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기준으로 '사람 > 대상 > 행위 > 공간 > 시간 > 질'로의 변이가 주로 이루어진다. 셋째, 형태 구조의 기준에서 보면 구절 및 통사적 구조가 형태소적 구조로 변해가고 있다. 또, 내용어에서 형식어로의 변화 과정을 보이는데, 이러한 과정은 넓은 시각에서 의미확장이라고 간주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hich it sees the meaning extension of Korean tries to observe is a place system. From Korean research with research center tendency of many years syntax it is negligent it is it will not be able to recognize actually in research in the semantics center. This paper judges with the fact that cause originates to the objection depend character of today study. From Korean research it came from with objection depend character and at concept there was it came but big opposition and, this study the trade name relates these how and it harmonizes and a balance characteristic it acquires there to be to language research, it precedes and percentage as the fundamental subject which is important it thinks. Compatibility until of the now against it the gain and loss which is impossible with after words is same. (1) philosophy → Reason(objectivity) attention : Experience attention (2) psychology → language ability : cognitive ability (3) linguistics → pure language meaning : encyclopedia meaning Dignity compatibility the gain and loss which is impossible recognizes tacitness from Korean research of each time to go to extremes, all concept it admits. When it rephrases, it comes from with objection depend character and the proper hour sun it came it is a thing. When seeing from (1) philosophy viewpoint, objectivity attention with time the model which sees a language all language actual condition could be explained in one model must be is the thing. But the language actual condition which is various it came in contact and the language actual condition which is not the possibility of observing in one model being plentifully embossed, it was discovered. Consequently necessity of the time when it has become human nature percentage there is a necessity. If until now the objection axis, when from seeing, reason attention and experience attention discussion the circumstances right hits at angle extreme and it is understood and the place it will not can recognize this study which it sees experientialism is from philosophy time and character it lets in the time and it does to sleep. With formation ground of language research, cognitive ability is the position of the pure language scholars and asserts the independence of attache grudge language ability from (2) psychology viewpoints, the psychology sleeping field is running independent one with the ability where cognitive ability is generality is not assertion phye with charge the parallel line. It stands in the position where this study which it sees recognizes the trade name complement characteristic of two abilities and it does to sleep. It in ability of our brain the trade name recognizes an objectivity and a subjective characteristic stands means the thing in soft position. From viewpoint of (3) language semantics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the knowledge other than the language enemy's territory which is pure it is not with pure linguistic position differently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an encyclopedia knowledge it is there is to from a position. It the truth as of form of our life style' all our knowledge one is from ground. With this study which it sees from above same character the compound which is various is omnipresent in today Korean, the polysemy, illuminate the meaning extension back intensively in grammaticalization category and it do to sleep. It saw from, the meaning extension actual condition which talks the bay being applied it knows the thing our accident based on metaphor principal creates meaning in language and it is using it means. It saw from, when it investigates the meaning extension actual condition which it observes with the provisional enemy it tries to make stand the language construction for, with after words it is same. (4) a. The physical and concrete element will form the image schema and this we will perceive and it is a domain we will be able to experience. b. The image schema will burn metaphor threw to lead, abstraction. It could be expanded in culture domain. The concepts which become known in dignity construction recently develop an imagination theory and it is to accept the discussion concepts of the M. Johnson which is going. The place where as experientialism it calls the philosophy tendency of this category, this study which experientialism is principal the root of our all thought and gain and loss is to do foundation in our body activity, it is complicated more and abstraction domain it is extended it is a thing with the base which will reach. The gain and loss against an experience attention anode grade time it will be able to coexist in our gain and loss from be opposed aspect of anode grade of opposite attention large experience attention the little more the gun intense enemy, will be the water shortage to prepare an explanation and a character. The conclusion of the language categories which are visible from this study which sees a like this time with character with after words is same, first, meaning extension from compound our conception process appearing from the designation phase of thing, like that recognition with external thing entirely without having a relation it knows our perception and motion accomplishment ability all to be important, it embosses must recognize a point it is a thing. Namely must recognize the epistemology which has become natural it is a thing. Also abstraction being and also the phase us body to be based to a physical activity being extended language it is used and to lead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the metaphor and metonymy are important with completion of extension and operates viscosity is not a possibility of leaving out. The polysemy from category the relationship asymmetry is to be put between center meaning and specific gravity mentality meaning to between the that the prototype effect becomes known. And between center meaning and specific gravity core meaning which exist with indigenous know are forming the meaning watch which relates with each other, freezing to death variousness' it leads and there is a possibility where it tries to observe. From grammaticalization category meaning being fixed from one category knows will increase even from between category and category, it is changing there is a possibility of observing the thing. Also the grammatical reconciliation extension tendency with after words is a possibility it is becoming known together of trying to observe. First, when seeing from grammatical sincerity standard, the lexical expression spreads with a grammatical expression and it goes, the grammatical expression which will take becomes more grammatical expression and it goes. Like this change even from the cotton of degree that as the burden the grammaticalization degree to do more the expansion door it goes with a grammatical expression whole from lexical express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It is a change in abstraction domain from second, concrete domain. From concrete domain seeing a thing from viewpoint of the human being the general place, person > object > action > space > time > mutation' with quality becomes accomplished mainly in the standard which will reach. Third, when it sees from standard of form structure, the phrase and syntax structure explanation are going with a morpheme structure. Also, the elder brother it is cool from inside terminology and with the place where it is visible a change process, like this one process as the meaning extension is regarded from wide time.

      •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와 개념화 연구

        장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고는 인지의미론의 방법으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지의미론은 언어를 인간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객관 세계에 대한 개념화로 보고 연구하는 방법론으로, 개념화 과정은 물리적․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고 주장한다. 공간 경험은 인간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신체적 경험이며, 따라서 우리는 덜 구체적인 경험을 개념화하기 위해 공간 경험을 사용한다. 이미 많은 인지언어학적 연구가 비공간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공간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를 사용하는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포착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고는 현대중국어에서 공간 개념의 하위 개념인 공간 척도 개념을 나타내는 공간척도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들 어휘의 의미와 의미 확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어에서 공간 척도를 가지고 비공간 경험을 인지하고 표현하는 개념화 방식을 밝혔다. 공간척도사는 차원 공간에서 존재하는 사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량 혹은 두 사물 간 떨어져 있는 거리의 양에 대한 척도의 의미를 원형의미로 삼는 어휘이다. 통사적․의미적 기준에 근거하여 본고는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를 ‘大/小’, ‘长/短’, ‘宽/窄’, ‘高/低(矮)’, ‘厚/薄’, ‘深/浅’, ‘粗/细’, ‘遠/近’ 등의 여덟 쌍으로 규정하고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먼저 개별적인 시각에서 중국어 공간척도사 각 대립어 쌍의 의미를 자형의미․원형의미․확장의미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자형의미는 이들 어휘들이 가지는 글자로서의 어원적 의미이며, 자형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어 공간척도 개념의 문자화가 공간사물과 공간이동 개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는 공시적인 측면에서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단어로서의 의미이다.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원형의미인 공간량 척도의미를 고찰함에 있어서 인지의미론의 바탕․윤곽․탄도체․지표 등의 개념을 적용하였고, 공간척도사 원형의미의 서술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x차원의 대상 공간물을 바탕으로 두고, 이 공간물의 y차원적인 공간량(tr)과 기준(lm)의 관계를 윤곽으로 부각한다. (x≥y) 이 모형을 가지고 본고는 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원형의미의 의미구조를 규명하였고, 아울러 영상도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이러한 원형의미가 공간영역에서 출발하여 사물은유․그릇은유․지향적 은유․구조적 은유․주관화 등 다양한 기제에 의해서 감각․시간․사건․추상․주관영역 등 다양한 인지영역으로 폭넓게 투영되어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 의미 확장의 신체적․인지적․문화적 근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고는 공간척도사의 의미와 의미 확장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을 정리하여, 한국어․영어의 경우와 대조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언어의 공간척도사에 반영된 개념화 방식은 공통점이 주를 이룬다. 이는 인간이 공통된 물리 환경과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통점 외에 차이점도 있는데, 지각, 시간 및 추상물에 대한 개념화에 있어서 중국어가 한국어와 영어보다 공간척도 개념에 더욱 의존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본고는 중국인의 전체적이고 공간적인 사유 방식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본고는 중국어 공간척도사 8쌍을 대상으로 삼고, 이들 어휘의 자형의미․공간의미․확장의미를 살피고 이에 반영된 공간척도 개념과 비공간 경험의 개념화 방식을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한국어․영어의 개념화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서 보편성과 상대성을 규명하였고 아울러 그것의 물리적․문화적․인지적 근거를 밝혔다. 이로써 공간척도사의 의미 및 공간척도와 관련된 개념화 방식을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