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페인에 사는 화교가정 자녀의 다중언어 교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위, 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는 현재 글로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국가와 국가, 민족과 민족, 문화와 문화 간의 소통과 교류, 경쟁과 협력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주요 소통 수단인 언어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져서 다중언어 교육도 관심을 많이 받게 되었다. 중국은 예로부터 다민족·다문화 국가이며 민족 간 교류와 언어 다양성 보호를 위해 일찍이 소수민족 지역에서 다중언어 교육을 해왔다. 하지만 다중언어 능력을 익힐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고 다중언어 교육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주소이다. 연구자는 수년간 대외 중국어 교습 경험을 통해 스페인에 사는 화교 자녀들이 보편적으로 다양한 언어 능력을 사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스페인 또한 중국처럼 다민족·다문화 국가이자 일찍이 다중언어 교육을 해왔다. 스페인에 사는 화교 자녀들의 언어 환경은 대부분 나라와 비교하여 더 복잡하지만, 이들 화교 자녀들의 다중언어 능력은 오히려 더 뛰어나다. 이런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현상으로, 가정 언어 환경의 영향, 부모의 인식과 교육 방식, 국가·학교 언어 교육 정책의 영향 등을 중요한 예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landinin &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스페인에 사는 화교 가정 자녀들의 다중언어 교육 경험을 연구 대상과의 대화를 통해 다른 다문화 가정 자녀와 중국 일반가정 자녀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페인에 사는 화교 가정 자녀들의 다중언어 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다중언어 교육에 대한 화교 가정 어머니와 자녀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다중언어 교육을 받은 화교 가정의 경험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가자는 스페인에 사는 3개의 화교 가정에 속하는 어머니와 아이들이다. 아이들은 현재 다중언어 교육을 받고 있으며 본 연구를 위해 2021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이때, 인터뷰 자료, 현장 메모, 강의실 관찰, 사진, 동영상 등을 수집한 데이터로 인코딩된 서술이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페인에 사는 화교 가정 자녀들의 다중언어 교육 경험들은 공통으로 남다른 언어 환경이 제공되었고, 부모의 적극적인 태도, 학교 내 우수한 다중언어 교육 방식과 다양한 교육 활동들의 도움을 받아 자녀들의 다중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하는 화교 가정 어머니는 자녀에게 다중언어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반드시 다중언어 교육을 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가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다중언어 교육은 크게 어렵지 않고, 어머니는 다중언어 교육이 일찍 시작될수록 아이들의 다중언어 발달에 유리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다중언어 교육을 받은 화교 가정의 경험이 주는 의미가 크게 나타났다. 먼저 아이에게 자신감과 자부심 등 마음을 고무시키는 힘을 가지게 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다중언어 교육은 아이들에게 강한 정체성과 건전한 세계관을 만들어 다중 문화에 대해 알게 해 주었다. 그리고 이런 성공 경험은 다른 가정에서도 모범이 되며 아이의 다중언어 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작용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의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다중언어 교육의 경험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교육법이 결과적으로 성공한 비결은 가정이나 국가, 학교 한쪽의 노력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이 세 기관 모두가 함께 작용하여 아이의 다중언어 학습에 흥미를 불러일으켜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었던 점에 있다. 이를 본보기로 삼아 국가, 학교, 부모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더 좋은 정책과 교육 자원 및 교육 방법과 부모의 협조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world we live in has now entered a globalized multicultural society. In such a background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mong countries, nations and cultures have become more frequent. At the same time the role of language as the main means of communic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Multilingual education has also received widespread attention. China has been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ountry since ancient times. In order to protect inter-ethnic communication and linguistic diversity. China has carried out multilingual education in ethnic minority areas long ago. However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can master multiple language abilities and multiple language education is not going very smoothly. Through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foreigners Chinese, the researcher can observe that the Chinese children who are living in Spain generally use multiple language abilities. Spain is also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country like China. It has conducted multi-language education a long time ago. The language environment for the Chinese children living in Spain is more complicated than that in most countries, but the multiple language abilities are more prominent for Chinese children overseas. This ability is not innate, but it is form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fluence of family language environment, parents' cognition and education methods, the influence of national and school language education policie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mult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Chinese families living in Spain based on Clandinin & Connelly's narrative inquiry through conversations with the study subjects and bring implications to the children from other multicultural families and from Chinese ordinary famil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ultilingual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children of Chinese families living in Spain? Second what do the mothers and children of overseas Chinese families think about multilingu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overseas Chinese family experience receiving multilingual education?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in this study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others and children belonging to three Chinese families who are living in Spain. The children are currently receiving multilingual educ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2021 to October 2021 for this study. At this time coded narratives were carried out by collecting data such as interview materials, on-site notes, classroom observations, photos and video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multilingual educ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from overseas Chinese families living in Spain had in common that they got help from providing a distinctive language environment,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parents, the excellent multilingual education methods in the school and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hey had brought positive effects to children's multilingual development. Second mothers from overseas Chinese familie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believed that multilingual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for their children and had a strong will to provide multilingual education. Moreover,they thought that multilingual education was not difficult, and the earlier multilingual education started, the better it would be for children's multilingual development. Third the experience of overseas Chinese families receiving multilingual education was of great significance. First of all it could be seen that children had inspiring powers such as self-confidence and pride. In addition, multilingual education had also cultivated children's strong sense of identity and a sound worldview, allowing them to understand multiple cultures. Moreover this successful experience also played a demonstrative role in other families and had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ltilingual education. Through such research results we have learned about participants’ active and effective multilingual education experience. The secret to the ultimate success of their educational methods is that they cannot only rely on the separated efforts of the family, the country, and the school, but make three parts together to let children be interested in multilingual learning and produce greater results. Taking this as an example, the necessity of better policies and educational resources, educational methods, and parental assistance are put forward based on the interaction of the country, school and parents.

      • 한국 화교교육 연구 : 세대별 교육 경험 탐색

        김명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from the historical standpoint by analyzing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by generation. The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has been implemented independently from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education over 100 years, bu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has not been known in detail. Thus, this researcher used th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oral history to examine the educational experience by generations in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 13 subjects ranging from those in their sixties who were educated in the 1950’s to those in teens who are currently receiving education in the 2010’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no them from October of 2009 to March of 2011.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been establishing the independent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retain their tradition and culture. However, with the phenomenon of re-emigration to other countries since the late 1970’s, the number of overseas Chinese has rapidly decrease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Chinese residents in Korea ha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students, poor financial situation for the school, difficulties in hiring teachers and the drop in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for overseas Chinese in Korea. First, the first priority in the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is Chinese language. From the 1950’s to the 1970’s, overseas Chinese lived amongst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were naturally exposed to the language and acquired it. However, recently, the rate of marriage between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Koreans is on the rise and the children of overseas Chinese tend to get exposed to Korean more than Chinese through internet and the media. Consequently, the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is heading towards the direction where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s more stressed gradually. Second, the secondary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ntering college in Taiwan, but since the Korea-China diplomatic treaty in 1992,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entering Korean universities is steadily increasing. Since overseas Chinese receive education from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amongst themselves, when they enter college,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apting in Taiwan and Korea. Students who enter college in Taiwan are told they are “Koreans” from people of Taiwan, the country of their citizenship. Furthermore, they experien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ducation they have received and the education in their native country. The students who entered Korean colleges, in many cases, have failed to adapt to Korean society due to difficulty in speaking Korea and discrepancy in the way classes are run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took leave from school and who end up not graduating has been considerable. Third,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the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to include the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how their children would be able to live alongside Koreans in their settlement while retaining their culture. Since the overseas Chinese have already settled down over three or four generations, the overseas Chinese education must prepare the measures for them to live proudly as a member of the society in Korea. Fourth, it is evident that the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has been implemented independently in Korea but in some ways, Korean government has responded to the education for overseas Chinese as a hand off policy. More diverse support policies would be needed for the education of overseas Chinese to establish itself as a foreign school. Moreover, a joint effort between Korean government and the overseas Chinese society would be required for their children to receive a quality education such as the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reatments and benefits for the teachers. 본 연구는 한국 화교의 교육 경험을 세대별로 분석함으로써 화교교육의 실제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화교교육은 100년 이상 한국 사회에서 소학교부터 고등학교 교육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으로 실시해 왔으나, 이들의 교육 경험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 사회와 대만, 화교 사회의 정치․사회적인 변화들이 화교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그러한 변화들은 화교 개인에게 어떠한 교육적 경험으로 인식되어 왔는지 알아보고자 질적 연구방법(구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950년대 교육을 받았던 60대부터, 2010년대 현재 교육을 받고 있는 10대에 이르기까지 13명이다.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각각 2회씩 진행하였다. 화교들은 한국에서 중국 문화와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중국식 교육체계를 구축해 왔다. 그러나 화교들은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 대만, 일본 등으로 재이주 하면서 그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화교 인구의 감소는 학생 수 감소로, 학교 재정의 열악함, 교사 채용의 어려움, 교육의 질 하락 등으로 이어졌다. 화교교육이 이러한 과정에 이르게 된 원인은 무엇이며, 화교교육 내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있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앞으로 화교교육이 나아갈 방향도 모색해 보았다. 화교들의 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교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화교들은 자녀에게 자신이 부모로부터 물려받았던 중국식 전통교육 외에도 한국 사회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가정에서부터 물려주고 있었다. 화교들은 자녀에게 “남의 나라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라며 한국 사회에 대한 경계 태도를 어렸을 때부터 부모로부터 배워왔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화교들이 받아 온 차별정책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1990년도에 들어와 각종 차별정책이 사라지면서 이들의 가정교육 내용도 변화하였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20대)부터 한국 사회에 대한 “편견”이나 “경계하는 태도”는 점차 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육은 언어를 읽고 쓰고 익히고, 다양한 중국문화를 체험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왔다. 과거 화교들은 화교들끼리 모여 살았기 때문에 아이들이 중국어를 사용하고 배우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그러나 근래 화교들의 국제결혼이 증가함으로써 아이들은 중국어보다는 한국어 사용이 더욱 익숙해졌다. 이와 함께 인터넷이나 TV 등 대중매체의 발달은 아이들의 언어 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소학교 교육은 아이들에게 중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 셋째, 한중수교를 전후로 하여 화교 학생들의 대학 진학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화교의 중등교육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학 진학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들은 대만에 있는 대학을 목표로 교육이 운영되어왔는데 한중수교 전후부터 한국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이 늘고 있다. 화교들은 대학에 입학하면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으로 대학을 진학한 학생들은 국적 소유지인 대만 사람들로부터 오히려 “한국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또한, 대만에 가서 자신이 배웠던 교육과 본국 교육의 격차를 경험한다. 한국 대학에 들어간 학생들도 한국 사회에 대한 적응력(한국어 사용의 어려움, 수업 방식의 이질감)을 키우지 못해 해마다 휴학생이 늘고, 끝내 졸업을 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았다. 넷째, 화교들은 앞으로 자신의 민족정체성을 이어가는 교육과 동시에 이주지인 한국에서 사람들과 “어떻게 더불어 살 것인가?”에 관한 교육내용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미 3세, 4세까지 한국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화교의 자녀가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당당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화교교육 차원에서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화교교육이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실시되어 왔지만 한국 정부에서 화교교육을 방임 정책으로 일관해 온 측면이 있었다. 앞으로 다문화사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화교교육이 외국인학교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요청된다. 한국 정부와 화교 사회는 화교 자녀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함께 연구에서 지적된 교육환경 및 화교 교사 처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 북한화교의 형성과 역할에 관한 연구

        이승엽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Overseas Chinese signified the people of Chinese reside aboard. The number of Overseas Chinese abroad reaches 50 millions in 2008 throughout the world. This dissertation aims to look at the formation, role and implications about the Overseas Chinese in North Korea from the time they settled down to modern times. The most researchers were not interested in the Overseas Chinese in North Korea. In the Korean Peninsular, they were settled in 1882. But they have lived divided for the tragic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people of living in North Korea territory, they were the first people of Overseas Chinese in North Korea. This dissertation tried to analyze the Overseas Chinese's socio-economic role in North Korea. In briefly, I have estimated that 4,000 people lived in North Korea. Their nationality is China, however they have identity cards issued from North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But they have Chinese passport. The Jo-seon-Hwa-gyo-ryon-hap-hoe (The community of Overseas Chinese in North Korea) was founded in December 1946. The communit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both China and North Korea. Until the early of 1980s, their economic situations were similar to North Korean, however the economic gap was increased because they had started to trade in North Korea. The Overseas Chinese plays various roles in North Korea. Firstly, in respect of the economy, they act as a commodity supplier, a private moneylender, a creater of employment, a contraband trader and a participant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 North Korea. Secondly, in respect of the society, the people played roles of supplying information from aborad into North Korea and vice versa, making new social relations and a resident abroad. In conclusion, the Overseas Chines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group in North Korea. Moreover, China's economic growth gives the Overseas Chinese in North Korea strength.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the Overseas Chinese for predicting North Korea's socio-economic changing.

      • 화교(華僑)를 통한 동남아지역 무슬림 선교방법 연구

        김종천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동남아시아는 태평양과 인도양을 연결하는 교량적인 위치에 있다. 세계 경제의 한 축을 이루는 한·중·일 3국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원유가 말라카 해협을 통과한다. 중국은 세계의 리더로 부상하면서 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동남아시아에 접근하고 있다. 미국도 오바마 정권이 들어서면서 ‘아시아로의 회귀’라는 대외정책을 통하여 중국의 독주를 견제한다. 특히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일어나는 갈등에 적극 개입하여 베트남과 필리핀의 입장에서 중국을 향한 발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필자는 여기에서 동남아시아에 대한 정치·경제적인 관심보다는 선교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려고 한다. 동남아시아는 과거 서구의 식민지 지배를 당했다.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은 무력으로 점령하여 자국의 경제적 이익만을 추구했다. 그 사이에 동남아시아 사람들은 전통적인 종교인 불교나 이슬람교를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지금은 사회주의의 국가로, 이슬람 국가로 자신들의 고유한 정체성을 담보한 채 독립 국가를 형성하고 있다. 21세기는 지구화와 정보화라는 흐름 속에서 새로운 디아스포라 시대가 열렸다. 각 민족국가라는 개념이 약화되면서 초국가적인 개념이 등장하였다. 특히 필자는 초기교회 선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유대인 디아스포라처럼 동남아시아 전역에 존재하는 중국인 디아스포라에 주목한다. 동남아시아에서 화교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화교는 긴 역사만큼 고난과 아픔을 겪었다. 지금은 각 나라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중국의 경제적인 성공 뒤에 화교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화교는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세계적인 관심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화교들을 부각시키지만, 필자는 화교에 대해 선교학적 시각으로 접근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동남아시아의 화교교회를 통한 무슬림 선교의 중요성과 무슬림 선교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식민지 시대에 형성된 복합사회의 구조에서 토착 원주민과 분리되었던 화교가 공존의 선교를 통해 동남아인들과 함께 하는 삶을 제안한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선교를, 사회현상으로서 디아스포라 선교를 계속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협력을 통한 동반자 선교를 동남아시아에서 무슬림 선교방법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제시할 것이다.

      • 재한 화교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웨이팅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韓國華僑在第二語言──韓語的環境下成長,故韓語表達可說溝通無礙。惟入讀華僑小學,直至升讀華僑高中,皆使用根據台灣教育部頒布之《課程綱要》所編撰的中文教科書授課,韓語課程則需待至小學三年級始學習,授課時數為小學三年級以上一週一節;國中一週三節;高中一至二年級一週三節;高中三年級則依入學目標而異。以進入韓國的大學為目標者一週六節,而選擇台灣的大學為入讀目標者則全無韓語課程。其中,韓語寫作在一週一至六節的課程中,所佔比例不到一成,故華僑學生自小學到高中,可說無系統性的受過寫作訓練。又,學生在華僑小學至高中一路求學成長,所接觸者皆為華僑及華人教育模式,因此進入韓國的大學就讀後,對韓國式的教學環境及教育方式易產生適應不良,甚或是韓語書面語言使用上感到困難而挫折感倍增,進而造成休學或退學案例層出不窮。 本研究以在學之華僑大學生為研究對象進行問卷調查,根據研究調查結果顯示:對多數華僑學生而言,大學課程中,撰寫報告、筆記等相關書面活動上往往力不從心。在將專業領域知識與自我想法融合後轉化為有條不紊的文字的過程中,華僑學生必須經歷一段艱辛的推敲琢磨。因此,作者認為:華僑高中生應在入讀大學前提升自我寫作能力,以具備可探討學術學問的寫作水準。本研究亦針對韓語課程授課教師進行訪談,以了解漢城華僑中學高中部韓語課程的教學現況。根據訪談內容,該校高中部韓語課程為一週三至六節,其中寫作時間佔相當低的比率,只約為五至十分鐘;而一般韓國高中皆會設置的寫作課程,在漢城華僑中學則完全沒有。韓語課程授課教師認為:若將普通韓國高中生的寫作能力設為一百分,則華僑高中生的能力只得四十分的水準。綜合以上訪談及調查結果,除能了解寫作對華僑學生而言為一大負擔外,更能證明華僑學生的寫作能力遠不及其口語表達。 寫作能力並非與生俱來,須經長時間循序漸進的訓練才能提升。因此,本研究以訪談及問卷的資料分析結果為本,結合相關基礎理論與文獻探討結果,設計以華僑高中生為對象的具體教學內容。透過系統化教學設計,再配合引導式教學策略,以期達到提升華僑高中生寫作能力之目標。此外,多元題材及文體的寫作訓練,不只能拓展華僑學生寫作思路,更可幫助華僑學生培養批判性思考能力及分析、歸納等評估能力,以利華僑學生更明確、有調理地表達自我想法。

      • 韓國華僑의 現地化와 네트워크構想

        이종우 東亞大學校 東北亞國際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들이 국내의 한 구성원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들을 중개로 한 화교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한국화교들의 지위향상은 물론 한국의 경제사회발전의 한 축을 담당케 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청나라 말부터 본격적으로 해외로 이주한 화교들은 특유의 기질과 상술로 현재 동남아지역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어 상위 10대 기업의 대부분을 경영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의 경제권을 대부분 장악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은 첫째, 재일동포들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대우와 법적·제도적 모순을 말하기 이전에 국내에 체류하는 소수민족인 화교들에 대한 차별이 철폐되고 이들이 한국의 경제사회를 구성하는 한 구성원으로서 발전의 한 축을 형성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점과, 둘째 자본의 세계화와 초국가적 기업이 보편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화교들이 급속히 발전하는 중국경제와 동남아 화교자본과 연계하여 하나의 네크워크를 형성함으로서 한국의 발전에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다. 이를 위해서는 화교들이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융화되는데 걸림돌이 되는 각종 법적·제도적 차별대우의 철폐와 법적지위의 향상, 화교들에 대한 각종 교육제도의 정비, 점차적인 참정권 및 피선거권 부여문제, 화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제도적 장애물의 제거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까지 한국정부에 의해 추진되었다가 계획으로만 그친 차이나타운의 건립을 추진함으로써 이 지역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대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을 중간기지로 하여 막강한 자본과 조직을 가진 동남아 화교자본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으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한국화교와 차이나타운을 중개기지로 하여 연결되는 글로벌 화교네트워크는 중국시장 뿐만 아니라 동남아 각지에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화교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어 긴밀한 동반자로서 파트너쉽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차이나타운 건설은 외자도입에 의한 관광유치, 화교 네트워크와의 연계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그동안 한화들에 대해 부적절했던 정책을 탈피하여 실질적인 융화정책으로서 중화경제권과의 우호증진 뿐만 아니라 한국내부의 세계화를 이룩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localization strategy so that Chinese merchants in Korea can play their roles as the proper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It also aims to build a network system of the Chinese in Korea as a way of improving their status and letting them contribute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t home. The Chinese abroad have been successful, especially in Southeast Asia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art of trade have won a special trademark or fame. They manage most of top 10 enterprises in Southeast Asia and exert a great economic influence in the bloc. The full-length research about them is necessary owing to the following reasons: 1) Unequal differentiation towards Chinese merchants in Korea should be lifted so they can play their roles as the members of the Korean economic society. 2)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trend towards capital globalization and global industrialization, a networking system with the Chinese residents in Southeast Asia and the rapidly-developing Chinese econom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Therefore, diverse kinds of legal and systematic differentiation towards the Chinese residents in Korea should be abolished. Their legal status ought to be upgraded, educational system arranged, electoral rights given, and systematic hurdles removed. In addition, the past plan of building a China Town should be immediately execu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 will elicit massive tourist income as well as the enormous capital force of Chinese merchants in Southeast Asia. In sum, there will be a lot to earn from a harmonious network among the Chinese merchants in Korea, the Chinese market, and the Chinese abroad in Southeast Asia. The China Town in Korea will not only help earn money of foreign tourists, but also serve as an active friendly approach towards the Chinese inhabitants in Korea. In other words, the localization and networking of the Chinese merchants in Korea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 화교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화교사회 비교를 중심으로

        영정미유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이문화 사회가 소수집단의 정체성 형성 및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화교집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과 일본을 비교조건으로 연구하였다.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되는 변수를 내부적 구조와 외부적 조건으로 크게 이분하고 각 변수에 변화가 일어난 시기를 두 나라의 시대 배경을 검토하여 그것이 화교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준 것인지 분석하였다. 내부적 구조로 1)화교사회 내의 사회조직 2)화교학교와 화교교육을 선정하였으며 외부적 조건으로 1)거주 국의 관련규제입법 2)거주 국의 상황변화를 선정하였다. 연구시기의 한정에 대해서는 현지조사 시행 시에는 중국과의 국교수립이 정체성의 형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지만, 인터뷰 결과 일시적인 상황변화보다 위에 언급한 각 변수 내에 일어난 변화와 그것을 둘러싼 배경이 독자적인 화교의 정체성을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화교는 원래 구성원의 대부분이 山東省 출신이라는 집단의 동질성이 강하기 때문에 화교사회 내의 결속력, 연대감도 강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사회단체의 성격이나 화교교육기관의 특성을 보면 알 수 있다. 더군다나 한국정부의 대 외국인에 대한 규제입법이 외환위기 전후까지 배제적이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한국사회와 화교사회와의 단절감을 유발시키며 보다 그들만의 연대감을 강화하는데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리하여 한국화교가 만들어낸 것이 韓華라는 그들만의 새로운 정체성이다. 韓華라는 정체성은 다른 나라에 있는 화교들과는 차별화하여 한국에 살고 있는 화교라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으며 또 하나의 집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韓華라는 정체성은 한국화교 구성원의 동질성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일본화교의 구성원은 출신지의 다양성으로 인해 집단의 결속력이 약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화교단체의 대립구조나 화교교육기관의 현황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화교집단 구성원의 다양성은 재일 KOREAN의 존재와 더불어 일본정부의 대 외국인 정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패전 후 초기부터 재일외국인들에게 영주권을 부여하게 된 것이 강제연행으로 데려온 일부 화교와 재일 KOREAN의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화교는 한국화교와 비해 보다 거주 국에 동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모국에 대한 화제에 이르면 확고하고 정통한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 혹은 대만을 주장한다. 이럴 때의 그들은 일본인이 아닌 중국인이며 화교이다. 그래서 일본화교는 각자가 가지고 있는 배경으로 그들의 정체성도 다양한 개인적 정체성을 갖게 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으로 알 수 있는 것은 한국과 일본의 화교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것은 내부적 구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적 구조에 차이를 초래한 것이 바로 화교집단 구성원의 배경이었다. 동질성이 강한 한국화교는 韓華라는 새로운 집단정체성을 형성하였으며, 다양성이 강한 일본화교는 각자가 개인적인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즉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그 집단 구성원의 배경이라는 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effect the different culture will have on the process of making ethnic group’s identity. For that, I selected Chinese Overseas as the subject of study and choose Korean and Japanese society as a comparative condition. Firstly I divided variability, which will have an effect on change of identity, to two: internal structure and external condition. I examined when the change happened with what kind of historical background in each of variability in two societies. Speaking concretely, 1) social organization in Chinese overseas society 2) Chinese overseas school and ethnic education were selected as an inside structure and 1) related regulation and legislation, 2) the change of circumstance in residential district were selected as an external condition. For about the limitation of study period, when I did the field survey I expected the time to restore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would have an effect on making their identity, but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it was found that not one-time situation change but changes in variability which I referred previously and background which surrounded such variability created their (Korean society’s or Japanese society’s) original identity. The homogeneity of Chinese Overseas in Korea is so strong because the great part of them is from Shan-Dong Province. So it can be supposed that their belonging to this region creates a strong bond between themselves. We can find this fact and distinctive feature in their social organization or educational institution. Besides Korean government’s regulation for foreigner have been exclusive until financial crisis that made them become extinct from Korean society and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And what Chinese oversea in Korea created is new identity, “Han-Hua”. This distinguishes them from Chinese Overseas in other countries and those in Korea. Also, it has a meaning of one ethnic group. So it can be said that the identity “Han-Hua” is made from homogeneity of members, and also is new group identity. In contrast to Chinese Overseas in Korea, the members of the Chinese community residing in Japanese are from various provinces of mainland China, so we can guess that their solidarity is weak. We can find conflict among their organization or disruption of their rational school. The variety of their members would have an effect on Japanese government making policy for foreigners with Korean Japanese. After World War 2, why denizen ship was given for foreigners who had lived in Japan in early days was exist of Chinese and Korean who were forced to be taken for labor. So compared to Korean Chinese Overseas, those Chinese in Japan should have been assimilated to residential distinct. But if it gets to think about their mother country, they insist on legitimate country i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r Taiwan firmness. In such a situation,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a Chinese (or Chinese Oversea). So as for Japanese Chinese Oversea, they got to have a variable personal identity with each background. Through such an analysis, we can find that internal structure of the ethnic group had a large effect on the creation of a group identity. What caused the difference of internal structure between Korean Chinese society and Japanese Chinese one is the origin of their ancestors. Korean Chinese Overseas whose homogeneity is strong created the new group identity “Han-Hua” and Japanese Chinese people, whose origins vary have yet to unite to form a common identity. Thus, the creation of ethnic group identity may be greatly attributed to membership and background of ethnic group.

      • 在韓 華僑의 企業經營에 대한 實證的 硏究

        추미란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76 국내석사

        RANK : 247807

        Both Korea and China lands are located within a very close distance geographically the history of Chinese residing in Korea is permanently long. They basically built their living by means of merchandising not only in small cities but in big scaled cities in Korea. The trade transport regula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merchant from when they signed a treaty in 1822-1910 Prior to Japanese government over Korea, it was a quite a golden age for the Chinese. The trade administered by Chinese merchants was monopolistic i n Korea and also several Chinese farmers exclusively supplied vegetables to big cities. Generally speaking, the Chinese - running restaurants which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economy of Chinese residing in Korea have been a bit promoted the help of Koreas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but farming grocery industry and other medium and small type business are still having hard time and keeping both ends meet, only the Chinese-Medicine business and other industrial business on small scale seem to be promoting. As a whole, it is a bit hard to manage all. kinds of business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 and financial situation of Chinese in Korea have been suffering, comparing to the remarkable economic progress of Korea. Thesis on study business management of Oversea-Chinese in Korea practices Historical.

      • 한국 화교의 정체성 연구 : 부산지역 화교사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인닝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 최다규모의 디아스포라집단인 화인들은 동아시아 및 동남아 ASEAN국가를 포함한 세계 곳곳에서 중요한 경제역량으로 그 위상을 발산하고 있는 반면, 한국화교들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심지어 제도적 측면에 있어서도 상당한 규제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거주국 국적 또는 중국국적을 소유한 여타 국가 화교들과는 달리 한국 화교 대부분은 국적은 대만에, 거주는 한국에, 고향은 중국 대륙에 두고 있다는 특수성이 존재한다. 냉전체제라는 상황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한국 화교들은 국가적 단절과 이데올로기적 갈등 속에서 출신국가인 중국과 멀어졌고, 오히려 대만 국적을 취득하고 그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과의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화교들의 자기들의 고향인 중국 본토에서 새로운 기회구조를 형성해 나가기 시작하면서 한국화교들은 여타 지역 화교들에 비해 복잡한 정체성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디아스포라적 시각에서 볼때, 한국 화교들은 시대적 상황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특수한 인식과 감각을 공유하면서 거주국의 통제와 억압에 대해 적극적으로 적응, 변화해 왔다. 한국 화교는 ‘한국화(韓國化)된 중국인(中國人)’ 즉, 중국인의 정체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으면서 한국에서 거주 또는 영주하고 있다. 그러나 모국의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그들의 국가적 정체성은 불분명하다. 또한 한국에로의 귀화현상이 증가하면서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 획일화에는 상당한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화교들의 이러한 ‘다중적 정체성’은 대체로 어떤 양상을 띠고 있는가, 그들의 디아스포라적 성격을 어떻게 규명할 것인가.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정체성의 일반적 이론을 근거로 부산지역 한국화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써 본 논문은 문헌자료 분석과 현지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정부의 각종 통계자료, 신문보도 자료를 이 연구의 일차 자료가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자들의 연구논문과 보고서, 그리고 인터넷자료는 본 연구의 2차 자료가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부산에 거주한 화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한국 화교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화교의 '사회 인식'과 '민족 특성'에 초점을 맞춰, ‘민족 의식’ ‘소수민족 의식’ ‘중국?대만의 화교정책인식’ ‘국가 인식’ ‘언어’ ‘문화’등 문항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의 표집 이원은 20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문항에 따른 응답자의 전체적인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백분비(N%)를 산출하였고, 또 각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화교들은 가깝게 지내고 있으며, 이들은 높은 긍지감으로 자지고 있다. 또한 한국 화교는 중화민족으로서의 의식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소수민족인식부분에서는 대다수 화교들은 한국인과의 관계가 원만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따라서 대부분 부산 화교는 한국인과 원만하게 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부산 화교는 그들의 한국에서의 성공을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낮은 성공 가능성이 한국 정부의 화교정책에서 기인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민족정체성의 민족 특성인 언어, 문화 등의 측면에서는 중화민족으로서의 특성이 강하게 보이고 있으면, 부산 화교는 ‘중국인’으로써 민족문화를 잘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화교사회가 한국에 오래 정착하게 되면서 화교 3세들은 한국 문화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산 화교들은 문화와 언어 등 민족적 특성에서 중국이나 대만 어느 한편에도 치우치지 않으면, 그들은 자신들만의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부산 화교들은 한국 사회에 대해 강한 지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설문결과 분석에 따르면, 부산 화교와 한국인의 통혼 숫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부산 화교들은 필요에 따라 한국 국적의 취득도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화교 젊은 세대는 한국 사회에 동화되면서 차세대에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점차 사라지는 우려도 제기 되고 있다. 오늘날까지 중국의 공향을 방문하는 화교는 대부분 50대 이상의 화교 2세들이다. 3세, 4세 화교들은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강한 '한국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 화교들은 점점 ‘한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현지사회에 적극적으로 적응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화교들의 적응유형은 통합형으로 변할 것이라는 추론을 내리고자 한다. 화교들은 점차 거주국의 주류사회에 활발히 참여하면서도 자신들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Huaqiao (Overseas Chinese) is one of the largest diasporic groups in the world. Huaqiao exercise strong influence on ASEAN economy as well as that in other parts of the world. By contrast, the Huaqiao in Korea are economically and socially subordinate. Unlike other Huaqiao, whose ancestors were from the coastal regionin southern parts of China and who were merged into the host countries due to the course of naturalization, the Korean Huaqiao, among whose population approximately 90% were originally from Shandong Province, obtained Taiwanese nationality. During the period of the Cold War, the Korean Huaqiao severed their relations with China, whilst the Taiwanese government invited Huaqiaos along by promoting an anti-PRC ideological campaign. Ye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has been increasing an influence on the Korean Huaqiao, since 1992 when the PRC restored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The Korean Huaqiao are eager to enhance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China’s booming economy and its capitalization. Moreover, the new policy ado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s encouraged the Korean Huaqiao to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They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as “Chinese Korean”, rather than emphasizing their association with their homeland in China.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Korean Huaqiao present ‘multiple identities’, and how they describe their characteristics as diasporic community. The author analyzes the shifting identity of the Korean Huaqiao in Busan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the thesis uses both written material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the author designed and carried out. The literature study includes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news information published by both Chinese and Korean governments as primary sources of the analysis. The thesis also includes the analysis of academic papers and Internet materials produced by both Korean and Chinese researchers. The questionnaire survey focuses on the following six subjects, when investigating the Korean Huaquiao’s social position and ethnic identity: Awareness of huaqiao's national consciousness, sources of their identity as minority group, China/Taiwan’s Huaqiao policy, a social position acknowledged by the Korean government, language, and cultur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0 people in the area of Busan in September 2007. The data are process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in whic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nd analysis of variances are used. The result shows that the Korean Huaqiao have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among their community members and also are proud of their Chineseness. Most of the Huaqiao population in Busan have integrated into society and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Koreans. Yet, they remain pessimistic about their success in Korea society. They believe the Korea government does not provide an equal opportunity with foreign residents. The Korean Huaqiao have maintained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as sources of their ethic identity. However, the third and forth generations of the Korean Huaqiao have been assimilated into Korea society. They are in the process of Koreanization. The thesis presents how the young generation in Busan tend to integrate Korean society more intensively than the previous generations did. This discussion is supported by the increasing rate of intermarriage between Huaqiao and Korean. The third and forth generations of the Busan Huaqiao may consider to obtain Korea nationality if it was necessary. They begin to absorb their “Koreanness” as parts of their identity. By contrast, many second generation of the Huaqiao hold strong sense of attachment to their hometown in China and reconfirm their Chinese identity by paying a visit to their homeland. The Korean Huaqiao have been constructing “Chinese-Korean” identity. On the one hand, they maintain Chinese tradition and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y attempt to integrate themselves into their host society. The Korea government should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the Korean Huaqiao in society and provide them with a support for facilitating their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