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학교 적응 비교 연구

        유향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학교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성격 특성과 학교 적응은 상관이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외동이에 대한 최근의 인식 변화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바람직한 학교 생활을 위한 교육적 처치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시내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중 외동이 86명과 형제아 179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용 표준화 성격 진단 검사지, 학교 적응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의 α를 산출하였고, 성격 특성과 학교 적응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상관 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 비교에서 형제아는 외동이보다 안정성,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별에 따른 성격 특성 비교에서는 안정성에서 남·여 모두 형제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동이와 형제아의 학교 적응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별에 따른 학교 적응 비교에서도 남·여 집단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은 학교 적응과 대부분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외동이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성, 사려성, 순이었고, 형제아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활동성, 책임성, 우월성, 남향성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은 안정성과 사회성외에는 성격상 커다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고, 학교 적응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성격 특성과 학교 적응의 관계는 성격 특성이 좋은 아동이 학교 적응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raits of personality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to analyze correlati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provide helpful data for their educational treatment about only child. The only child 86 and sibling child 179 were selected in 4th, 5th, 6th grade children in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s the tools of measurement, "Personality Diagnosis Test for the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it was used to measure. For the data analysis, yield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each group, executes t-test in order to verify the meaningful differences and analysi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n comparison of the traits of the personalitie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sociability of sibling children are higher than those of only children. Also, the emotional stability of sibling children are higher than that of only children in all of male, female group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raits of the personality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only child, two factors of the traits of personalities sociability and reflectiveness turned out to influence school adjustment. In sibling child, four factors of the traits of personalities general activity, responsibility, superiority, masculinity influence school adjustment. From these abov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except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ly child and sibling child, in comparison of school adjus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 형제 유·무와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손정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이 형제 유․무에 따라, 형제아인 경우 출생순위에 따라, 그리고 학교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점차 늘어나고 있는 외동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이 진로계획이나 진로결정을 하는 과정에 있어 진로지도 및 상담을 제공하고자 할 때, 동일한 연령이나 발달 단계에 있는 중학생이더라도 그 진로성숙 수준과 준비행동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환경적, 가족적 변인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내담자 중심적인 진로상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이들이 선택한 진로는 직업이나 대인관계,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영역뿐 만 아니라 삶의 방향과 질에도 영향을 끼쳐 인격적으로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이를 밝혀보고자 한다. 첫째, 형제 유․무에 따라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는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는 학교지역에 따라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형제 유․무와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4개 중학교 1, 2 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지역 별 중학생 외동이와 형제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학업 성취도와 생활 수준이 통상적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구분하기에 비교적 용이한 강남지역 소재의 중학교와 강북지역 소재의 중학교를 임의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임 언, 정윤경, 상경아, 2001)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WIN) 13.0을 이용하여 검사지 응답자의 일반적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구하였고, 형제 유․무와 학교지역에 따라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형제아의 경우 출생순위 별로 진로성숙 태도, 진로성숙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형제 유․무별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간 상관관계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Fisher z 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요인별로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 유․무별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진로성숙의 태도와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둘째, 형제 유․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외동이, 첫째 형제아, 둘째 형제아 순으로 진로성숙 태도와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의 평점이 높게 나왔고, 사후검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셋째,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 중학생의 학교지역에 따른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강남지역이 강북지역 학교의 중학생보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하위영역 여러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넷째, 형제 유․무와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수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 중학생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외동이의 열등성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여러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전반적으로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형제 유무가 중학교 시기 즉, 신체적으로 급격히 발달할 뿐만 아니라 적성과 능력 ,태도, 가치관 등이 집중적으로 발달하는 중요한 진로발달 단계인 탐색기(Super, 1957)의 청소년들에게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발달 과정의 중요한 시기에 들어선 중학생들이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 중 형제 유무라는 특정한 가족변인과 학교지역이 관련 요인이 되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hat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they have siblings or not, birth order if they have sibling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the area school is located. And providing scientific base about chang of social recognition toward the only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When attempting to give guidance and counseling to teenagers during their career planning or choosing a career proper effective client centered counseling services that considers the various environmental, family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maturity or preparation it would help immensely as it would not only affect the career choices, social relations and general everyday life areas, it will also affect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life allowing middle schoolers, though at the same age or level of development, to grow into adults of mature personalities.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and determin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at who has siblings or not? Second, do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the only child and the child who has sibling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t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do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the only child and the child who has sibling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they are siblings or not and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identify these problems the questionnaires were intended for 350 students who are first and second year in four middl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Looking at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ife standard to compare middle schoolers who are the only child and have siblings according to school sector we have dividedly selected schools in the Gangnam area and schools in the Gangbuk for considerably easy categorization. Used career maturity level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in KRIVET(2001) to measure career maturity(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nalysis method, used SPSS(WIN) 13.0 to calculate the average, stand deviation, and percentage to find out commo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respondent. And T-test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 school area and whether they have siblings or not. in the case who has siblings, One Way ANOVA were used to see an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attitude, career maturity abil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ry out an Pearson correlation and Fisher z-test verify to find out an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only child and siblings. Significance level of statistics were verified at (P<.05), (P<.01), (P<.001) by factors.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was summar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iblings or not.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ly high.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iblings or not and birth order siblings.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generally in lower area, the average of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high in the only child, first born child next, second born child order and the result was similar at Duncan Verif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are only child and birth order siblings.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only child and Gangman area middle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higher on many subordinate parts of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Gangbuk area. Fourth, in relationship between child who has siblings of not and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difference partially and the relationship of a middle school child who is the only child were more higher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Examining these results, contrary to past researches which was focused on only child's complex, in this study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generally shown high standard to child who has siblings. Having siblings or not is not decisive factor of adolescent who are in Exploration stage(Super, 1957) which is important career development stage that develops not just physically but also aptitude, ability, attitude and values focused, but it acts as related factor at some more part. Ground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ing that specific family variable that is whether there is siblings or not and school area is being related factor in the reas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s in the important period of career development shown a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朴賢珠 水原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를 밝혀보고 성격 특성과 양육 태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의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아동의 어머니들이였으며 조사를 위한 측정도구로서 질문지를 사용 하였다. 총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여 그중 256부가 회수되었고 228부(외동이 92부, 형제아 136부)가 분석 처리 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분석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 F-test, Pearson 적률 상관 관계 등에 의해 통계 처리 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이와 형제아에 따른 성격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동이는 여아보다 남아가 더 활동성과 충동성이 높았고 형제아는 유의차가 없었다. 외동이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지배성이 높게 나타났고, 형제아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성격 특성은 외동이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형제아는 직업을 갖지 않은 어머니를 둔 형제아가 사려성이 더 높았다. 둘째, 외동이와 형제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동이의 어머니는 여아에게 더 민주.자율적이고 과보호적이었고, 형제아의 어머니 양육 태도는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외동이 어머니의 경우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민주.자율적이고 애정.수용적이었으며 형제아의 어머니는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애정.수용적인 양육 태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태도는 외동이와 형제아 양집단 모두 유의차가 없었다. 셋째, 외동이와 형제아의 성격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있어서 권위.통제적-민주.자율적 영역에서 외동이는 활동성, 충동성, 사회성이 낮게 나타났고, 형제아일때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적대.거부적-애정.수용적 영역에서 외동이는 지배성이 높게 나타났고, 형제아는 활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과보호 자유방임적 영역은 외동이 집단에서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고 형제아는 사회성이 낮게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nly-child's and sibling-child'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Mothers' Attitude. The differences in the only-child's and sibling-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mothers' attitudes between two groups and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sex of child,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mothers' occupa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a total of 228 children's mothers'(only-child 92, sibling-children 136) were selected from children between 4 and 7 years of age. Of 350 questionnairs sheets, 228 sheet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They were done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t fallows; First, do the only-child's and sibling-children's personality traits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relational variable factors? According to Children's sex; A only-brother was liable to the more impulsive and activity than a only-daughter.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 only-child's was dominance and sibling-children's were sociability.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s; sibling-children's were reflectiveness. Secondly, do the only-child's mother's and sibling-Children'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relational variable factores? Only-child's mothers' showed their a only-daughter was more democratic-autonomous and overprotective child-rearing attitudes. Only-child's mothers' showed the higher education a mothers' recieved, the more democratic.autonomous, affectionate.acceptant child-rearing attitude. Sibling-childen's mothers' showed, the higher education a mothers' received, the more affectionate-acceptant child-rearing attitude. Third, do the relationship between only-child's and sibling-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make any differences? When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as regulative,control-democratic.autonomous; only-child's activity, impulsiveness and sociability were negative relation. When her attitudes was antagenism.rejection-affectionate.aceptance;only-child's dominance was positive relation. sibling-Children's activity were negative relation. When her attitudes was overprotection-non interference; only-child's emotion stability was positive relation. Sibling-children's sociability were negative relation.

      • 외동아와 형제아의 애착과 자기애의 비교

        배매리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중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외동아 104명(남자 51명, 여자 53명)과 형제아 111명(남자 57명, 여자 54명)을 대상으로 외동아와 형제아의 애착과 자기애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애착과 자기애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가 제작하고 옥정이 번안한 부·모·또래 애착척도(IPPA-R)와, Raskin과 Hall이 제작하고 강유임이 번역하여 재구성한 자기애 성격 검사지(NP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또래 애착 차이 비교에서는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부 애착이 높았다. 부 애착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과 소외감 영역에서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애착 수준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외동아와 형제아의 애착을 비교해 본 결과 다른 집단보다 여-외동아의 부 애착이 가장 높았고, 여-외동아의 또래애착도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았다. 셋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기애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성별에 따른 자기애도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넷째, 부·모·또래 애착과 자기애간에는 일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 애착의 신뢰감과 의사소통은 자기애의 권력과 정적인 관계를, 부 소외감은 자기애의 특권의식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났다. 또래 애착 전체는 자기애의 전체 성향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남-형제아는 어머니와의 애착이 높을수록, 그 밖의 다른 집단은 또래와의 애착이 높을수록 자기애의 권력요인과 가장 높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차이

        김미선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6

        급격한 사회의 변화로 인해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증가되고, 가족구조의 변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외동아는 자연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외동아에 대한 과거의 연구들은 부정적인 관점과 고정관념이 그래도 받아들여졌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외동아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외동아에 대한 최근의 인식변화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일선 학교에서 외동아를 포함한 전반적인 아동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효과적인 기초자료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1.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2.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3.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1.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사회성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2.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3.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기도 일산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의 6학년 아동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310명을 표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자료수집에 적합하지 못한 응답을 한 대상자 50명을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통계적 부분에 사용한 최종대상자는 총 260명(외동아 140명, 형제아 12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사회성,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모든 자료는 SPSS (WIN) 10.1(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기본 통계치로 평균(X^( ̄))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다. 또한,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ㆍ자아존중감ㆍ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F검증(M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남외동아와 여외동아의 사회성ㆍ자아존중감ㆍ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기위해서도 F검증(M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사회성의 차이를 보면 남외동아의 사회성이 여외동아의 사회성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다섯째,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보면 남외동아의 자아존중감이 여외동아의 자아존중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여섯째, 외동아중에서 남녀 아동간 학교적응의 차이를 보면 남외동아의 학교적응이 여외동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의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외동아에 대한 편견이나 부정적인 시각이 일반적인 외동아의 발달특성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는 과거로부터 고정 관념화된 영향과 최근 외동아 발생에 대한 사회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외동아에 대한 잘못된 편견과 부정적 시각을 수정해야할 것이다. 둘째, 교육현장에서는 외동아들의 의존적이고 이기적일 수 있는 단면을 학교와 같은 집단생활을 통해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강화시켜야겠다. 그리고 외동아중 남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키워주기 위한 교사의 관심과 부모의 양육 태도의 변화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가정에서 외동아들의 부모는 아동이 부모를 더 애정적으로 인식하고 높은 질의 긍정적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도록 해야하되,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지나치지 않을 정도를 유지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지적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외동아와 형제아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표집대상이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조사대상수가 적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일반화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연령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인간이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 요구되는 자질과 특성은 크게 지적영역, 정의적 영역, 기능적 영역의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영역만으로 인간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많은 정의적 영역중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세가지 요소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 세가지 요인만으로 외동아와 형제아의 차이를 모두 설명할 수 는 없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형제아의 표집시 출생순위, 형제간의 연령차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이를 고려한 표집이 이루어져야 연구의 결과가 심층적일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형제아의 출생순위와 형제간의 연령차, 동성과 이성형제아등을 나누어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남외동아와 여외동아의 차이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밝히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여외동아가 남외동아보다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이 높은 이유와 근거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Family system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rapid social changes, one of which is the number of children in a family. Currently only child families have increased in Korea. In general. we have negative thinking on the only child in terms of their affective domains such as sociability, altruism, morality, cooperation,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nly children with siblings children in terms of their sociability,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earch topic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their sociability?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their self esteem?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their school adjustment? <4>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boy and girl only children in terms of their sociability? <5>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boy and girl only children in terms of their self esteem? <6>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boy and girl only children in terms of their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310 students were sampled in Ilsan-si, Kyunggi-do, and 140 only and 120 sibling children were used in data analyses finally, excluding 50 due to the incomplete answering. Sociability Scale, Self-Esteem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0.1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their sociability.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their self esteem.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the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their school adjustment. Fourth, sociability of the boy only childre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irl only children. Fifth, self esteem of the boy only childre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irl only children. Sixth, school adjustment of the boy only childre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irl only children.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s below : First, teachers need to change the negative viewpoint and bias on the only children. Second, boy only children need to raise their sociability,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ird, future researches need nation-wide sampling and more systematized scales of sociability,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future researches need to compare only children with sibling children in terms of more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Fifth, future researches need to explain why sociability, self 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boy only children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girl only children.

      •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력 차이

        정희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5

        최근 들어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가족구성에 있어서 외동아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외동아가 우리나라 사회구조의 중심축이 될 것이고 외동아의 올바른 학교적응 및 사회화는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이 어떤 영향을 받고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여섯째, 외동아와 형제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광역시 소재의 6개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의 외동아 133명과 형제아 133명이다. 외동아와 비교할 형제아는 외동아의 질문지의 숫자와 맞추어 각 외동아가 소재한 학교에서 난수표방식으로 형제아 질문지를 임의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따른 초등학교 외동아와 형제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의사소통, 폐쇄형 의사소통 모두에서 형제아가 더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비교에서는 외동아와 형제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교적응력에 있어서 형제아가 외동아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교우관계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교적응력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더 많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하여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적응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외동아가 형제아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외동이와 兄弟兒의 自我槪念, 學業에 대한 態度와 學習習慣에 관한 比較 硏究

        백경숙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774

        본 연구는 외동이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개념, 학업에 대한 태도와 학습습관의 세 영역에서 외동이를 형제아와 비교 연구하여 그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외동이와 형제아의 자아개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하위 영역으로 일반적 자아개념, 학업적 자아개념과 비학업적 자아개념의 세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가? 2. 외동이와 형제아의 학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하위 영역으로 학업에 대한 태도, 교우관계와 교사에 대한 태도의 세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가? 3. 외동이와 형제아의 학습습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하위 영역으로 주의 집중행동, 학습기술 적용행동과 자율학습 행동의 세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2개 국민학교의 3학년과 4학년 아동으로, 외동이 119 명과 형제아 183명으로 총 302 명 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아개념의 경우 오만록 (1986) 이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로, 학업에 대한 태도와 학습습관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박경숙, 이혜선 (1976) 의 학업에 관한 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지필검사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로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의 α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아개념의 비교에 있어서 각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학업에 대한 태도의 비교에 있어서 각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학습습관에 관한 비교에 있어서 각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동이에 있어서 형제아와 비교하여 자아개념에 차이가 없으며, 학교적응 면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외동이기 때문에 형제아와 비교하여 문제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외동이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는 단지 편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gative stereotypes of only children. It is intended to compare the only child with sibling child about Self-Concept,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Study Hab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2 children from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tal samples are composed of 119 only children (66 : 3rd graders, 53 : 4th graders) and 183 sibling children (88 : 3rd graders, 95 : 4th graders). Self-Concept scale developed by OH, MAN ROK (1986) i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self-concept.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the study habit, questionaires which are developed by PARK, KYUNG SOOK & LEE, RAE SHUN (1976),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Study Habit Scale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used. The obtained data are analyzed to get th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y chil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ibling child about self-concept. Second, the only chil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ibling child about attitude toward learning. Third, the only chil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ibling child about study habit.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only chil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ibling child about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we find that negative views about only children are prejudiced opinions.

      •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혜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58

        본 연구에서는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와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외동아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일선 교사들에게 아동지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6개의 초등학교 24학급에 설문지를 돌려 그 중 회수된 설문지 중 691부를 대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성 검사지, 자기효능감 검사지, 학교적응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5.0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외동아와 형제아간의 사회성,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s Samples t-test)과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외동아가 형제아보다 사회성,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의 대부분의 하위변인들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나 사회성의 하위변인인 자신감은 사교성, 자기효능감의 자신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체 아동의 경우 사회성이 자기효능감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동아는 자기효능감이 사회성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크며, 형제아는 사회성만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 아동의 경우는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이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교수업적응 부분을 제외하고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는 학교수업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외동아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은 학교적응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형제아의 경우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들은 학교적응의 하위변인에 대부분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교수업적응과 학교친구적응에서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가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동아와 형제아의 학교적응에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이 각각 다른 영향력을 가지므로 이들의 학교적응을 높힐 수 있는 방법이 다르게 모색되어야 한다. 외동아와 형제아가 모든 면에서 어느 한쪽이 불리하거나 우월할 수 있다는 견해 보다는 외동아의 강점과 형제아의 강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이 이뤄질 때에 편견 없이 이 사회에서 외동아와 형제아가 함께 건강한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형제 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과보호가 고등학생의 협력의지 및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이현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10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overprotection on high-school students' cooper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by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siblings, mediated by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it aimed to provide teachers with basic data about only child. Data were collected from 340 students, consisting of 91 only-children and 249 sibling children, in the 1st and 2nd year of highschool in Goyangsi, Kyeonggi-do. The Overprotection Scale based on teenager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Skill Rating System - Student Form Ⅱ and the Scale of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were used for this study.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a MANOVA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mothers' overprotecti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oper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by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ibling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psychological independence was mediated or not when mothers' overprotection affects adolescents' cooper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by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siblings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mothers' overprotection and anxiety and the degree of affection from mothers of only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of sibling childre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oper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between only and sibling.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rrel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sibling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ooper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for only children but not for sibling children. Third, for only children, psychological independence is fully mediated when mother's overprotection affects cooperation will, while no mediation effect for the influence of mother's overprotection on leadership life skills. And for sibling children, there was no mediation effect of the influence of mother's overprotecton on both cooperation will and leadership life skills. Based on the results, firstly, we can't say whether only children are better or worse than sibling children and secondly, it will be helpful to counsel only children in the way of raising the degree of their psychological independence rather than dealing with their mothers' overprotection when it comes to their cooperation will in the group life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siblings.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외동아와 형제아 간에 어머니의 과보호, 심리적 독립, 협력의지, 리더십생활기술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와 각 변인들 간에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형제 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과보호가 고등학생의 협력의지 및 리더십생활기술에 영향을 줄 때 심리적 독립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외동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일선 교사들이 외동아를 지도할 때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4개의 고등학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회수된 설문지 외동아 91부, 형제아 249부 총 340부를 대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어머니의 과보호 검사지, 심리적 독립 검사지,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검사지,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형제 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과보호, 심리적 독립, 협력의지, 리더십생활기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분석(MANOVA)를 사용하였다. 또한 변인들 간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형제 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과보호가 협력의지 및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 독립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수준에 있어 외동아가 형제아에 비해 과잉보호 및 불안이 높고, 어머니로부터 과잉애정을 많이 받는다고 느낀다. 그러나 외동아와 형제아 사이에 심리적 독립, 협력의지 및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형제 유무와 관계없이 고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심리적 독립, 협력의지 및 리더십 생활기술 간에 각각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동아의 경우엔 심리적 독립과 협력의지 및 리더십생활기술 사이에는 각각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형제아의 경우엔 심리적 독립과 협력의지 및 리더십생활기술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에 있어서는 외동아의 경우 어머니의 과보호가 협력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는 없었으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리적 독립은 완전매개됨이 검증되었으며, 형제아의 경우 어머니의 과보호가 협력의지와 리더십생활기술 모두에 대해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 외동아와 형제아가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심리적 독립, 협력의지, 리더십생활기술에서의 차이는 없으므로 외동아와 형제아 중 어느 한 쪽이 불리하거나 우월할 수 있다는 부정적 견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동아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를 고려할 때, 교육현장에서 청소년 외동아의 단체생활 협력의지를 다룰 경우 어머니의 과보호 정도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외동아의 심리적 독립을 키울 수 있는 방향으로 상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