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ul H. Hirst의 지식의 형식과 사회적 실제의 관련

        연재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Hirst는 1960년대 이후로 '지식의 형식'(forms of knomledge)을 토대로 자유 교육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그는 1980년대 이후부터 지식교육보다 '사회적 실제'(social practices)를 강조함으로써 그의 교육이론, 특히 교육과정이론이 전환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이 연구는 Hirst의 전기이론의 핵심적 개념인 지식의 형시과 후기이론의 핵심적 개념인 사회적 실제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이해함으로써 Hirst가 지식의 형식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에서 사회적 실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식의 형식의 성격과 의의, 사회적 실제의 성격과 의의, 그리고 양자간의 관련과 그것이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를 논의한다. Hirst의 지식의 형식은 '학습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 이해의 방식'으로서 '인류가 성취해 온 (공적) 유산'이며, '공적 용어로 기술되는 공적 개념구조'이다. 또한 지식의 형식은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선험적 정당화라는 독특한 방식의 정당화를 통해 그 가치를 논리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지식의 형식은 인류가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 축적 해온 이해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해의 결과물이라고 할 때 그 이해의 대상은 당연히 인류가 살아 온 세계일 것이며 이것은 있는 그대로의 구체적인 총체라는 점에서 실재(Reality)이다. 다만 실재는 인간이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실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경험적 대응물인 지식의 형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인간이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마음을 개발한다는 것이며 이것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한다면 지식의 형식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일한 경록가 되면 이런 이유에서 지식의 형식은 그 궁극적 가치를 가지게 된다. Hirst의 사회적 실제는 인간이 장기적이고 전반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전통으로 확립해온 활동의 양상(patterns of acticity)이다. 이것은 실제적인 활동으로서 공적인 전통이며,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사회적 실제는 인간이 오랜 세월동안 세계를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하는 가운데 제도, 관습, 법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행위들이 같은 양상을 가진 것끼리 축적되어온 활동의 결과물이다. 활동의 결과물이라고 할 때 그 활동의 세계 또는 활동 그 자체는 인간이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것으로써 그것은 실제(Practice)이다. 다만 실제는 경험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의 경험적 대응물인 사회적 실제 또는 활동의 양상을 통해서 접근할 수밖에 없으며 사회적 실제는 이런 의미에서 궁극적인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의 형식과 사회적 실제는 실재와 실제에 의해서 궁극적 가치를 가지며, 실재와 실제는 각각 구체적 총체의 형이상학적 개념이며 역사적, 시간적 개념으로써 동일한 총체의 상이한 측면에서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이해의 측면에서 개념화한 것이 실재라면 활동의 측면에서 개념화한 것은 실제인 것으로 이것은 결국 같은 것이다. 그리고 실재와 실제는 어떤 형식이나 양상으로 표현되기 이전의 것으로서 그것이 표현된 것 또는 경험적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지식의 형식과 사회적 실제인 것이다. 이렇게 생닫하면 지식의 형식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 사회적 실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은 궁극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사실적으로는 동일한 모습의 교육을 새념적으로 다른 측면에서 표현한 것일 뿐이며 실지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습은 이해와 활동이 동시에 나타날 수밖에 없다. 결국 Hirst의 전기이론은 경험중심교육과정으로 대표되는 괴상적인 활동을 비판하고 참된 의미에서의 활동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지식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며 후기이론은 무기력한 명제적 지식을 비판하고 지식이 생기를 되찾기 위해서는 사회적 실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교육은 다만 개념적인 것일 뿐 사실상 동일한 것이며 각각 지식과 활동이라는 상이한 차원에서 논의한 것으로 실지로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HIrst의 교육이론은 제대로 된 지식교육과 제대로 된 사회화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점, 따라서 교과와 생활은 다르지 않다는 점, 더 나아가 앎이 곧 삶이며 삶이 곧 앎이라는 교육과정이 가장 본질적 전제중의 하나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Hirst's curriculum theory to suggest that we must shift seeing education as primarily concerned with knowledge to seeing it as primarily concerned with social practic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ion between 'Forms of knowledge' and 'Social practice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to be understood. Because both of them is the core concept in Hirst's theory. Forms of knowledge are a public heritage which man has achieved, public concept structures described in public language and various ways of understanding experiences. Social practices are patterns of activity established traditionally or by deliberate institution that is engaged in for achieving the satisfaction of our needs and interests, and may be characterized practical activities in which is inherited as a public tradition. If what education ultimately pursues is to understand and live in world as it is, forms of knowledge and social practices could be justified by the 'Realty' and the 'Practice'. The Reality as logical criterion of forms of knowledge in the Hirst's former theory and the Practice as tacit source of social practices in the latter seem to be incompatible, in as much as they designate different dimensions of world as it is which may be called the 'understanding' and 'activity' dimension respectively.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 'Reality' is the ultimate end of liberal education by means of forms of knowledge and the 'Practice' is the ultimate basic of socialization by means of social practices, and these two dimensions of world as it is are comprehensively pursued in Hirst's curriculum theory. Thus, 'liberal education' and 'education of social practices' represent two distinct modes of education defining education from the two different dimensions of world as it is. Eventually, both of educations ultimately pursue the same end which they approach and see the world as it is, and both types of education are distinguished not in fact but in concept. In so far as the upper discourse is right, it may be considered that Hirst's both of education are never different each other. If so, it may be argued Hirst has the same idea of education which it pursues ultimate end of understanding and we live in world as it is and he expresses differently in concept. In the light of previous argument, Hirst's theory c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Hirst's former theory criticizes superficial activities represented by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arguing that we teach (forms of) knowledge for students to act substantially. The latter theory criticizes inactive propositional knowledge, arguing that we teach social practices for students to understand knowledge properly. In short, Hirst's curriculum theory shows that knowledge education and activity education in true sense are not separate each other. And accordingly he emphasizes the most substantial preposition that subjects and life are same, and further more, knowing is living or living is knowing.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

        김종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측정하고, 둘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며, 셋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hoi(2009)가 개발한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문항, Niehoff와 Moorman(1993)이 개발한 조직시민행동 측정문항, Rouiller와 Goldstein(1993)의 연구를 토대로 이도형(1995)가 개발한 설문 문항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행정구역별 비율 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10월 17일부터 동월 26일까지 인천 지역에 재직 중인 지방일반행정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52부가 회수되었으나(회수율 : 74.3%), 이 중 많은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9부를 제외하고 총 543부를 유효 자료로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 73.1%).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6.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각 요인별 문항에 대한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셋째,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이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넷째,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같은 분석 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그 다음으로 외부탐색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급별로 살펴본 결과, 직급이 높은 공무원은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에 있어서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이 높게 이뤄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근속년수가 긴 공무원들은 외부탐색에 있어서 무형식 학습활동 수준이 높게 이뤄지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직렬별로는 행정직과 기술직이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에 있어서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이 세무직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학습전이 정도를 분석한 결과, 직급이 높은 집단은 학습전이 정도에 있어 그 정도가 높게 이뤄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 정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직급이 높고, 근속년수가 긴 공무원들은 조직시민행동 정도가 높게 이뤄지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넷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수준, 조직시민행동과 학습전이 정도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하위 변인과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하위 변인 각각은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별로 타인과의 학습과 자기성찰이 학습전이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에 외부탐색은 학습전이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 간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회귀분석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무형식 학습 활동의 타인과의 학습과 학습전이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분석 결과,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전이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터에서의 상사, 동료, 부하 등의 구성원과의 협력 학습과 자기에 대한 성찰의 활동을 촉진 될 수 있는 환경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전이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이타심(altruism), 예의바른 행동(courtesy), 정당한 행동(sportsmanship), 양심적 행동(conscientiousness), 참여적 행동(civic virtue) 등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분위기 및 환경 조성과 기회를 함께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지방일반행정공무원, 무형식 학습, 학습전이, 조직시민행동.

      • 명사 {어머니}의 형식과 의미 확장

        김광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한국어 명사 {어머니}의 형식과 의미 확장을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어머니}는 호칭어로 사용되는 어휘로서 언어 사용자 의 경험이 의미 확장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망을 가진다. 이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대상 및 목적과 선행연구, 이론적 배경 그리고 연구 방법을 논의한다. 제 2장에서는 {어머니}의 단일형식과 복합형식의 사용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어머니}의 원형의미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형식·의미 확장의 모습을 확인하도록 한다. 제 4장에서는 {어머니}의 유의어 자격을 가진 {어미/ 엄마/ 어머님/ 모(母)}의 형식·의미 확장이 원형의미를 중심으로 어떤 모습을 보이며 확장·사용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원형의미 파악과 유의어의 의미 확장 유형을 확인하여 한국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어머니}의 형식·의미 확장 모형의 악을 목표로 한다. This report intends to dig deep into the form and the extended meaning of {어머니 emeni} the Korean word for mother from cognitive meaning point of view. {어머니 emeni} is used as an address form. The user‘s personal experience influences significantly on the extended meaning and has various semantic network by individuals.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e subject of the research, goal and preliminary research, theoretical backdrop and the research method are to be discussed: In the second chapter,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dentified in the use of single and plural form of {어머니 emeni} will be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the prototype meaning of {어머니 emeni} will be set forth and the extended form and the meaning of {어머니 emeni} will be confirmed based on this; and in the forth chapter, how “the meaning and the form of {어미 emi/ 엄마 emma/ 어머님 emenim/ 모 mo}”, which are synonymous to {어머니 emeni} extend from the prototype meaning and how they are extended and used will be looked into.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model of extended meaning and form of {어머니 emeni} that is perceived by Korean users with the means of clarifying the prototype meaning of {어머니 emeni} and looking into the types of extended meanings of synonym.

      • 형식집중에 근거한 문법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의사소통교수법을 중심으로 하는 초등영어 교육과정 안에서 유창성 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방안으로 형식집중에 근거한 문법학습 모형을 구안·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집단의 학습자 수준별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법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본 후 형식집중의 이론적 근거를 알아보고, 문법에 대한 교사의 의식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에 맞는 형식집중이론을 활용한 수업 모형 및 과제 중심의 학습활동을 고안하고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도시 ○○ 초등학교 4학년 9개 학급 중 사전에 듣기 능력, 흥미 및 자신감 면에서 동질성이 검증된 2개 반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두 반 모두 연구자가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기간은 3월 1주부터 9월 4주까지였다. 실험집단은 형식집중을 기초로 시각적 입력 강조, 다양한 방법의 주목활동, 문법의식 고양활동, 명시적 교수, 부정적 증거 제시 등을 초등영어에 맞는 형식집중 활동으로 구안하였고, 각 활동은 학습자의 무의식적인 집중을 유도하기 위하여 주로 과업형태로 제시하여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은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충실히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진단평가를 기준으로 오류분석을 하고 다른 문법지도 모형에 관한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형식집중 문법지도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먼저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 자료를 제시하고 무의식적인 주목활동을 통하여 문법의식 고양을 한 후, 학습자들이 스스로 규칙을 찾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규칙 찾기 과업활동과 안내된 활동, 유사 의사소통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의사소통 활동으로 나아가 내재화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교과서 한 단원에 맞게 모형을 설계하였다. 비교집단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의한 의사소통형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여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검증은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한 영어 능력의 학업 성취도와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의 정의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학업 성취도 면에서 듣기는 매 단원마다, 말하기는 두 단원마다 평가하였고, 흥미도와 자신감은 사전 사후 동형의 설문지를 통하여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러한 실험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집중에 근거한 문법학습이 학생들의 듣기, 말하기 영어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형식집중 문법학습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이를 적용한 4학년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형식집중 문법학습이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집단 학생의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듣기와 말하기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인 흥미도면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이, 자신감면에서 상위집단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형식집중 문법학습을 외국어 학습상황인 우리 초등영어교육의 문제점 중 하나인 입력 자료의 부족함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인식하고, 의사소통교수법을 중심으로 하여 지도하되, 우리 영어 환경을 고려하여 언어습득을 촉진시키는 한 방법으로 언어 형태에 관심을 기울이는 교수법을 결합하여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하여 형식집중에 근거한 실제 의사소통중심의 다양한 많은 활동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학습자가 스스로 문법규칙을 찾아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의사소통 활동이 포함된 유의미한 의사소통 활동이 포함된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형식집중 문법지도 수업 후 새로운 어휘나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병행되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본다. 넷째,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점에 착안하여 이에 더 나아가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전략에 따라 형식집중의 효과 연구도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s Focus on Form Approach and explores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Focus on Form to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ocus on Form draws learners' attention to linguistic features as they arise incidentally in lessons whose main focus is on meaning or communication.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grammar activities to match Focus on Form to foster both the fluency and accuracy of English. In order to testify the effects of Focus on Form in EFL elementary situation, this study was don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As theoretical foundation, Focus on Form Approach was introduced and discussed. 2.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find out how teachers feel about grammar. 3. Grammar activities based on Focus on Form were composed on a basis of the theory. 4.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pply them to the fourth-grade students showing homogeneity in their English ability and attitude. Two classes were selected out of nine ones from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selected classes scored very similar in the English listening tests and questionnaires of interests and confidence about English. One class was determined to be the experimental class, which the grammar activities based on Focus on Form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other class, the comparative class, was followed by general English curriculums.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from the first week in March to the second week in September and the experimental class participated in various grammar activities based on Focus on Form Approach. Then the test was performed focusing on two aspects: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and meaningful differences in speaking. The applications of grammar activities based on Focus on Form we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achievement level of English learning. Second, the applications of grammar activities based on Focus on Form were more effective in the field of interests and confidence in English than the comparison class. Third, Form-Focused grammar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in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of both high and low level students. In case of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high and low level students showed positive an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field of interests in English, and high level group also showed them in the field of confidence in Engl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d to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grammar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not be overlooked to develop the balanced English competence. Seco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meaningful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raise grammar consciousness to students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 and level. Third, it is meaningful to monitor if the effect of this approach is sustainable. Fourth, it is suggested to continue further study on effects which the grammar teaching through Focus on Form Approach had in different group having different strategies.

      • 청소년활동의 비형식교육적 특성이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 국제 워크캠프를 중심으로

        염진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학교교육으로 대표되는 형식교육은 지식을 가르치거나 전달하는 전통적인 역할을 담당해왔고, 그에 따라 학습자는 지식을 습득하는 교육을 받아왔다. 하지만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매일같이 생산되고 넘쳐나는 현대사회에서 교육의 역할이 단순한 지식의 전달과 습득을 넘어 학습자들 스스로 지식을 활용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변화해야 하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기존의 지식을 활용하는 인지적인 능력과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고 구조화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통합된 것이 메타인지이다. 메타인지는 메타인지적 지식과 조절로 구분된다. 메타인지 지식을 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 그리고 조건적 지식으로 구분되고, 메타인지 조절은 일반적으로 계획하기, 점검하기, 평가하기로 구분되는데 연구자들에 따라 정보관리전략과 전략수정하기가 추가되기도 한다. 메타인지를 바탕으로 인간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물론, 무엇을 학습할지, 어떻게 학습할지를 판단하는 인지적 조절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하게 된다. 또한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해야 할지, 그러한 말과 행동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등을 판단하는 인지적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유기체들과 비교하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 고도의 인지능력인 메타인지는 인간의 일생에 거쳐 형성되고 발전한다. 메타인지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자기의 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과정을 통한 경험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며 학습의 과정 안에서 이러한 반성적 사고라는 인지 활동의 기회가 학습자에게 주어져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형식교육인 학교교육의 목적이나 체제, 교육방식 등은 학습자들이 메타인지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이나 방식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고 보기 어렵다. 반성적 사고라는 경험의 재구조화 과정은 학습자 개인에게 자기 경험에 대한 숙고의 기회가 필요한데 학교교육은 개인의 고유한 경험에 우선적인 가치를 부여하거나 개인에게 숙고의 시간을 주는 것이 쉽지 않으며 개별 학습자를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것 또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형식교육 밖에서 메타인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의 가능성을 비형식교육과 청소년활동에서 찾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비형식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청소년활동과 비형식교육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청소년활동과 메타인지학습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셋째, 조사연구로서 워크캠프 참여자를 대상으로 활동 전·후 메타인지 변화를 분석하는 양적연구와 참여자들의 활동기록의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연구를 통해 청소년활동이 메타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활동 전·후의 메타인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9년에 한국에서 개최된 국제 워크캠프 9개 프로그램의 내외국인 참가자 92명을 대상으로 하여 ‘메타인지 검사(MAI, Metacognition Awareness Inventory)’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메타인지 검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을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분류된 대응표본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집단의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과 비형식교육은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 구조적 특성으로 의도적으로, 조직화된 그리고 맥락적 교육목적을 가지며 2) 내용적 특성으로는 전인적 교육을 지향하며, 생활기술 관련 암묵지를 교육의 목적이자 도구로 사용하고, 과정지향의 교육이며 3) 운영적 특성으로는 학습자 중심, 자율적 참여, 참여적인 과정, 민주적인 과정, 학습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반성적 사고 과정을 거치는 것을 파악되었다. 둘째, 청소년활동과 비형식교육의 핵심 요소인 경험학습이론과 메타인지학습이론은 공통적인 학습단계인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인 반성적 사고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성적 사고 과정으로 1) 경험학습의 반성적 관찰은 메타인지의 점검하기가 2) 경험학습의 추상적 개념화는 메타인지의 평가하기가 3) 경험학습의 능동적 실험은 메타인지의 계획하기가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메타인지학습에서의 반성적 사고 과정이 청소년활동에서는 구체적인 활동 이후에 활동 점검하기, 활동 평가하기, 활동 계획하기의 단계적 반성활동으로, 또는 활동 계획하기로 시작하여 구체적 활동 수행 이후에 활동 점검하기, 활동 평가하기의 순환적 구조로 운영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워크캠프에서는 하루의 일과 활동 이후에 오늘 돌아보기, 오늘 정리하기, 내일 계획하기의 단계로 반성활동이 진행되었다. 메타인지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활동 전·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워크캠프 참가자들의 모든 메타인지의 지식과 조절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비형식교육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인 워크캠프 참여는 참가자들의 메타인지 강화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메타인지 사전 검사 결과 내국인보다 외국인 참가자의 메타인지의 모든 요인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왔으며, 메타인지 중 5개 요인인, 선언적 지식, 조건적 지식, 계획하기, 모니터링하기, 평가하기 요인은 외국인이 내국인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 검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메타인지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비형식교육으로서의 청소년활동인 워크캠프 참여는 외국인보다 내국인의 메타인지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참여자의 활동기록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에서 참여자들은 다음의 비형식교육적 특성요소들을 경험하고 자신의 고유한 지식과 역량을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1) 활동과 관련된 맥락적 학습 2) 전인적 성장의 경험 3) 문화적 다양성과 감수성을 체득 4) 생활기술관련 암묵지 습득 5) 활동 결과가 아닌 활동 과정에서의 즐거운 배움 6) 문제해결 과정에서 참가자 중심의 소통의 중요성을 배움 7) 자율적 참여를 통한 배움과 성장 8) 리더십을 키우는 경험 9) 주체적인 갈등해결의 경험 10) 참여적이고 민주적인 과정의 중요성을 배움 11) 경험을 통해 배움 12) 지속적인 반성적 사고 활동을 경험 13) 반성적 사고를 통해 나를 알아가는 경험. 둘째, 청소년활동이 메타인지적 지식 학습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해본 결과, 메타인지의 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 조건적 지식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참여자들은 활동에 참여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고, 활동 과정에서 문제해결의 과정, 방법, 절차 등을 습득하였으며, 활동의 새로운 환경과 조건에 따라 기존의 지식을 재구성함으로써 메타인지적 지식을 습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활동이 메타인지적 조절 학습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해본 결과, 메타인지의 계획하기, 점검하기, 평가하기 요인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참여자들은 활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계획하는 인지적 기능을, 매일의 활동의 과정을 되돌아보고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점검하는 인지적 기능을, 그리고 활동의 결과나 성과를 통해 얻은 것과 배운 것을 평가하는 인지적 기능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훈련함으로써 메타인지적 조절 능력을 향상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비형식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였고 나아가 대표적인 비형식교육 분야인 청소년활동을 비형식교육적 특성을 바탕으로 조명해봄으로써 청소년활동의 형식교육과의 차별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형식교육과 청소년활동의 경험학습이론과 메타인지학습이론이 공통적으로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고찰함으로써 청소년활동과 메타인지와 관계를 제시하였다. 셋째, 청소년활동의 비형식교육적 특성이 메타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활동의 비형식교육적 특성이 참여자들의 메타인지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활동의 인지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넷째, 따라서 비형식교육인 청소년활동을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형식교육에서도 비형식교육의 특성을 활용한다면 메타인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의의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메타인지 지식과 조절 능력의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반성적 사고 과정을 포함한 비형식교육의 특성을 다양한 청소년활동에서 체계적이고 세밀하게 적용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활동의 메타인지 교육으로서의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교육적 역할을 정립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th activ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on metacogni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youth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workcamp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on non-formal education, youth activities and the metacogniti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 of international workcamps were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nspect the constru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non-formal education and youth activity. Second, the literature review on metacognition was conducted to inspect the relation between the metacogni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s well known as the core element of youth activity and non-formal education. Third, the pre-post test on metacognition was conducted to 92 international volunteers of 9 international workcamp projects held by International Workcamp Organization in Korea in 2019. The instrument the study used is the Metacognitive Awareness Inventory (Schraw & Dennison, 1994). It has 52 questions of eight sub-factors, which are the critical measures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Moreover, lastly, the report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see that volunteers might present the metacognition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NFE) imbedded in youth activities are as follows: 1) structural characteristics: NFE is intentional, structured, and has contextual learning objectives, 2) characteristics of contents: NFE aims for the holistic education and takes tacit knowledge as objectives or tools of the learning, and NFE is a process-oriented instead of goal-oriented, 3) operational characteristics: NFE is implemented based on learner-centred communication, autonomous participation, participatory and democratic process, and experience-based reflective thinking. Second, Metacognition learning theory (MLT)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ELT), which is the core element of youth activities and non-formal education, have a commonly experience-based reflective thinking process.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is shown in all stages of two learning theories: 1) self-checking or monitoring of MLT as a reflective observation of ELT, 2) evaluation of MLT as an abstract conceptualization of ELT, 3) plann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debugging strategies of MLT as an active experiment of ELT. Third, the metacognition learning theory's reflective thinking process could be implemented in youth activities like in the international workcamp project every day: 1) self-checking after daily concrete activities, 2) evaluation of the outcomes, processes of the daily activities, 3) plann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debugging strategies for activities of the next day. These cognitive processes are based on the collective reflection of the participants facilitated by the workcamp coordinator trained by the workcamp organization. Results of the pre-post test on metacognition are the following. First,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The factors of declarative, procedural and conditional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Monitoring and debugging strategies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Planning, evalu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trategies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1). Second, the average of all sub-factors of metacognition increased in the post-test. In the pre-test, foreign participants' meta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Korean participants in five factors, such as declarative and conditional knowledge,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However, In the post-test, any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bstractions of participants' reports upon perspectives regarding metacognition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are following. First, participants presented their experi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and also learning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s: contextual learning related to activities, the experience of holistic growth, learning cultural diversity and sensitiveness, acquiring tacit knowledge such as different communication skills, joy in the process of activities rather than with the result, learning and growth with autonomou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enhancing leadership, the experience of self-directed conflict resolution,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mselves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Second, participants might enhance their metacognitive knowledge. They said they learned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learned different processes, procedures and methods by the problem-solving experiences and reorganized their knowledge into new environments and conditions. Third, participants said that they used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during the projects. Mainly, during the daily evening meetings, they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thoughts that occurred from daily activities. Through consistent reflective thinking, they could use and improve their meta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evaluation, self-check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debugging strategies. With these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youth activ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particularly the workcamp,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metacognition. Further, the abstractions of participants' reports implicate the participation of workcamp may be effective in enhancing meta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and non-formal education on metacognition and its relation, developing youth activities and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metacognition. Keyword: Non-formal Education, Experiential Learning, Youth Activity, Metacognition, International Workcamp

      • 공동체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형식변화에 관한 연구

        신향화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기 1인 미디어로 성장한 블로그가 최근 들어 저널리즘적 성격을 갖는 공동체 미디어로 그 역할을 확장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초기 블로그는 주로 개인의 일기장과 같은 사적 공간이었던 상황에 비해 최근 블로그들은 개인의 이야기가 아닌 사회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제공한다. 이런 변화는 중요한 분석적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다시 말해 블로그는 흥미로운 진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블로그 형식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블로그의 진화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블로그의 형식을 내용전개 형식과 내용표현 형식으로 구분했다. 이 두 형식적 범주를 기준으로 초기 블로그와 최근 블로그 사이의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선정한 파워블로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중요한 발견을 했다. 첫째, 최근 블로그들은 초기 블로그에 비해 보다 많은 정보성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동시에 최근 블로그들은 텍스트보다 이미지를 통한 표현에 보다 치중하고 있다. 둘째, 최근 블로그들은 정보와 이미지 중심의 표현형식에 크게 의존하고 이는 자신의 의견과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의도에 근거한다. 이런 특성은 초기 블로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블로그들은 자신의 역할을 사적인 공간이 아니라 공적인 미디어 공간으로 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log which has been extending its role from a stand-alone media to journalistic community media by analyzing its format. In the early stage, the blog was limited in personal diary. This transformation could be argued to be possible with providing diverse discussions on society not just with private stories. It generates a differentiated media effect. So to speak, the blog has been evolved following a quite interesting development cours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lies on analysis of this evolutionary change, especially of its format.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 format of the blog consists of content-development format and content-presentation format. Following these two categories of blog format, it examined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blogs and the present blogs. For the examination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for powerblogs in Naver, the biggest portal in Korea. From the data analysis, it found several meaningful revelations. Firstly, these day blogs provide more informative contents than the early blogs, even if the informativeness fails to guarantee its utility. At the same time, it found that the present day blogs have a distinctive trend to rely on images rather than text. Secondly, present blogs tend to focus upon information and image centered format in order to provide their opinions and perspectives more precisely. This feature is not easily found in the early blogs. Lastly, it revealed that present day blogs try to construct of their role in public media rather than the early days' private media.

      •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학문목적 중국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소연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대학에 꾸준히 증가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형식 스키마 활성화 전략을 활용해 교재를 재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학습자과 교수자에게 좀 더 효과적인 읽기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읽기는 단순히 쓰여진 글자를 소리내거나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닌 독자가 주어진 텍스트에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역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좀 더 효과적인 읽기 학습을 위해서 학습자는 적절한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즉, 우리 기억 속의 경험인 ‘스키마’를 활용하는 것이다. 스키마는 학습자의 경험에 의한 ‘내용 스키마’와 텍스트 수사 구조에 대한 지식인 ‘형식 스키마’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형식 스키마’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형식 스키마 활용 교재와 수업에 있어서 지문은 설명적 텍스트로 하고자 한다. 설명적 텍스트는 다른 텍스트에 비해 위계적이어서 형식화하기 쉬운 상위 구조를 지니고 있고 또한 구조 표지어가 잘 드러나 있어 형식 스키마의 적용을 통한 효과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또 설명적 텍스트는 실용문으로서 외국인 학습자들의 실생활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과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전공 교재의 텍스트 역시 설명적 텍스트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할 때 설명적 텍스트 학습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식 스키마 활용을 통한 읽기 수업과 기존 읽기 수업과의 비교를 위해 현재 대전의 우송대학교 한국어 독해·회화반의 교재인 ‘경희대학교 한국어 중급2’와 비슷한 수준의 3개 대학의 교재 읽기 부분의 텍스트 비중, 설명적 텍스트의 유형과 형식 스키마 활성화 전략 가능성을 알아 보았다. 분석의 결과로 ‘경희대학교 한국어 중급2’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실험 전 설문과 질문을 통해 기존 교재를 이용한 읽기 수업에 대한 의견을 들어 보고, 4차례의 형식 스키마 활성화 읽기 수업을 실시한 후의 설문과 질문을 통해 두 수업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기존 읽기 학습에 대한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읽기 학습 시 어휘의 의미 파악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법·번역식 읽기 수업에 익숙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차례의 형식 스키마 활성화 수업을 후 학습자들은 어휘의 의미가 아닌 문장 구조를 이용한 학습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읽기 학습을 할 수 있었고 긍정적인 동기도 유발할 수 있었다고 했다. 또 담화 구조 학습법을 활용한 체계적인 쓰기 학습을 통해 부담을 가지고 있었던 쓰기 학습에 대한 부담감도 줄일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들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형식 스키마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자들로 하여금 글의 구조를 학습하게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글의 구조는 한정적이어서 습득이 가능하다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과 좀 더 효과적인 읽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objectives of this thesis include restructuring of study materials with the strategy of activating formal schema so as to enhance the reading ability of scholastic students on university campuses, and presenting students and instructors more effective method of the reading lesson based on experimental analysis. Reading is a dynamic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eaning from a given text, instead of just going over using verbal sound or eye-scanning. For more effective reading lessons, students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activating proper background knowledges. In other words, they utilize 'schema' composed of the experiences embedded in their memory. There are two kinds of schema, one 'content schema' based on student's experiences, and 'formal schema' relating to knowledges on descriptive structure. In this study, detailed utilization method of 'formal schema' is presented. Regarding texts and lessons utilizing formal schema, explanatory texts are used in this study. Explanatory texts are relatively systematic and possess high level structure, which lends to formalization more readily, and also reveal structural marker more clearly, making the effects of formal schema application more pronounced. Also, explanatory texts often are related to the actual life of foreign students directly, and are common with professional texts, making it essential to study them. For the present research, proportion of text, types of explanatory texts, and strategic potential of schema activation were studied on the texts being used in three universities in order to make comparisons between lessons utilizing formal schema activation method and lessons of conventional approach. By the way the texts selected are on the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text for 'Gyunghee University Korean Language Middle Level' being used in the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and conversation class. 'Gyunghee University Korean Language Middle Level' will be restructured util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r the experimental study, first, opinions were gathered on previous conventional lessons using the textbooks. And then opinions were gathered after lessons utilizing the formal schema activation method were given four times. The survey on the conventional method revealed that students were accustomed to grammatical and translational reading lessons in which meaning of vocabularies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After the four lessons utilizing the formal schema method, the students expressed opinions that they learned more effective reading method of utilizing the sentence structures, beyond comprehending the meanings of vocabularies, and that they felt positive motivations. Also they responded that the mental burden associated with writing lessons was reduced after they had learned systematic writing approach utilizing statement structure study method. In summary, this dissertation is for presenting methods of activating formal schema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reading capability of students with scholastic goals. It is difficult to make them study the structure of texts. Yet, the variations of text structure are limited, and if students could learn the text structure, it would have positive effect on their reading ability, and in this regard, presenting more effective method for reading lessons is quite meaningful.

      •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임민섭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importance of learning in the workplace is emphasized as it moves into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informal learning centered on learners in everyday activities. This informal learning positively affects the individual job performance and job attitude, and among the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more important because it is a concept including job behaviors and non‐job behaviors. In addition, career commitment is an important aspect of organizational‐level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dividual‐level competitiveness among job attitude variables. Nevertheless, it is hard to find any research on how informal learning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areer commit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areer commit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all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of non‐probabilistic sampling, and 26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for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common method bi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mediated effect analysis using reliability, correlation, multicollinearity, normalit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l learning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ond, the informal learning of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commitment. Third, the career commitment of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the informal learning of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a indirec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mediating the career commit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ormal learning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has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the informal learning does not necessarily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career commitment a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informal learning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workplace. Third, this stud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of workplace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by set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acticality are as follows. First, enterprises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and system in which worker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ir careers, and find effective ways to link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t the workplace with their career commitment. Second,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promote and encourage participation by prepar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system for the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suggestions fro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verse follow‐up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required. Secon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but in the follow‐up studies, more objective measurement of data collection is needed. Third,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in‐depth interviews is required. Fourth, although this study examined only the informal learning among the types of workplace learning, in the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place learning including formal learning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일터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으며, 일상적인 활동 속에서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무형식학 습에 대한 관심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형식학습은 개인의 직 무성과와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직무성과 중 조직시민행동 은 직무행위와 직무외적인 행위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직무태도 변인 중 경력몰입은 조직차원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및 개인차원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중요성이 조명되 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형식학습이 조직시민행동과 경력몰 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학습과 조직시민행동, 경력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를 구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중소기업 근로자 전체이며, 자료수집은 비확률적 표집 중 편의표집을 활용하여 총 26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동일방법편의, 평균, 표 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신뢰도, 상관관계, 다중공선성, 정규성, 요인분석, 구 조방정식 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과 조직시민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중 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은 경력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력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 식학습은 경력몰입을 완전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달리 무형식학습이 조 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무형식학습 이 조직시민행동에 반드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과 의의를 가진다. 둘째, 일터에서 의 무형식학습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매개역할로서 경력몰입의 활용효과에 대한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를 연구의 주 대상으로 설정하여 일터학습 및 무형식학습의 이론적 토대를 구 축해나가는 데 기여하였다. 실무적 차원에서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에서는 근로자들이 자신의 경력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및 체계를 마련해주어야 하고, 일터에서 이루어지는 무형식학습 활동이 경력몰 입과 연결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국가차원에서 는 중소기업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제도를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홍 보하고 참여를 독려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통해 제시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학습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 에서는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했는데, 후속 연구 에서는 자료수집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인 측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 째, 심층면담 또는 인터뷰와 같은 질적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이 연구에서 는 일터학습의 유형 중 무형식학습만을 살펴보았는데, 후속연구에서는 형식 학습이 포함된 일터학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 가치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허수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formal criticism’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apply the formal criticism to assess the value of the works from various angles. Currently, art education seeks to practice education of criticism that would enable learners to achieve competencies such as aesthetic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art culture by further expanding the categories and methods of criticism.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high-level of criticism education, there should be changes in learner’s basic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rt criticism first. For thi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integrated assessment experience for art works by using formal art criticism that is easy to learn through its systematic criticism stages even for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art criticism, and that allows them to experience the essential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of works of ar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the values of traditional art and cultural identity in order to understand various art cultures and to judge their proper valu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have art education that makes us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hich is a traditional genre that students are relatively familiar with and would allow them to see the symbolism and formative qualities of the subject-matter as well as national culture at a glance. Therefore, in this study, a program was develop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art criticism method and to apply them to develop the ability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Chapter 2 explores the concept of art criticism and art criticism educa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formal criticism. The chapter analyzes the textbook of Art for Middle School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art criticism in schools to set the direction of this program. Study shows that in the textbook,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appear only as materials for explanations such as Korean color paintings, and in actual classes, most of them are appreciation activities that only elicit emotional responses through explana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critical education that can help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and assess the value of the works. Chapter 3 analyze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formal criticism’. According to the method of art criticism and the classification of symbolism and formative qualities of the subject-matter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program consists of the ‘program for assessing the essential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critical discourse of E. B. Feldman’ and the ‘program for assessing the formativ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analytical criticism of Tom Anders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apply formal criticism were developed, as well as ability of active value assessment o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was improved. Chapter 4 pertains to the questionnaire conducted on the applied program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educational effects and measures to promote them were derived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art critici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positive effect was derived on student’s perception and interest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art criticism, and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as follows; First, learners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Second,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various formal criticism theories and ability to apply them. Third, learners were able to expand their ability to assess the symbolic meaning and value of Longevity Symbols Paintings. ocusing on these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actively promote the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formal criticism’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rning in connection with the program for appreciation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for understanding the various values of the paintings. Second, education of critical writing o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should be applied to deepen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apply the criticism model that can deepen the learning of the existing formal criticism model. Students can experience and learn art criticism by applying formal criticism to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and assessing the value of the works. In addition, by cultivating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and national cultural identity, students can find and enjoy the appropriate values in various art cultures. This learning experience will become the basis for a broader range of in-depth critical learning proposed by the current curriculum, and may be used to expand critical perspectives on various works and cultures of art. 본 논문은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가치판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십장생도를 이해하고 형식적 비평이론을 적용하여 작품의 다양한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미술교육에서는 비평의 범주와 방법을 더욱 확장하여 미적 감수성과 미술 문화 이해능력 등의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 비평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비평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학습 주체자의 미술비평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미술 작품에 대한 본질적 접근과 해석을 경험할 수 있으며 체계적 비평 단계가 있어 미술비평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도 학습하기 쉬운 형식적 미술비평을 활용하여 작품에 대한 통합적 판단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여러 미술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올바른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통미술의 가치와 문화 정체성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비교적 학생들에게 친숙한 작품이자 소재의 상징성과 조형성, 민족 문화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십장생도를 활용한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생이 형식적 미술비평 방법의 다양한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여 십장생도에 대한 가치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미술비평의 개념과 미술비평 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 가치판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미술비평에 대한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 십장생도는 전통 채색화 등에 대한 설명 요소로만 등장하고 실제 수업에서도 설명을 통한 감성적 반응 도출하는 데서 마무리되는 감상 활동이 대다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십장생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작품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비평 교육을 제안하였다. 제3장에서는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가치판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것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미술비평 방법과 십장생도 소재의 상징성과 조형성 구분에 따라 ‘펠드먼의 비평적 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본질적 가치판단 프로그램’과 ‘앤더슨의 분석적 비평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조형적 가치판단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형식적 비평이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적용 능력이 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십장생도에 대한 능동적인 가치판단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결과에서 학생의 십장생도에 대한 이해와 흥미, 미술비평에 대한 이해와 흥미도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십장생도와 미술비평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과 흥미 부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도출되었으며 교육적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습자는 십장생도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향상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는 다양한 형식적 비평이론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을 개발할 수 있었다. 셋째, 십장생도의 상징적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이 확대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 가치판단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십장생도의 다양한 가치 이해를 위한 감상 프로그램 연계학습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비판적 사고능력 심화를 위한 십장생도 비평 글쓰기 교육을 적용해야 한다. 셋째, 기존의 형식적 비평 모델에 대한 학습을 심화할 수 있는 비평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 학생은 십장생도에 형식적 비평이론을 적용하고 그 가치를 판단함으로써 미술 비평을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와 민족 문화 정체성을 함양함을 통해 다양한 미술문화 속에서도 올바른 가치를 찾고 이를 향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의 경험은 현재의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더욱 넓은 범주의 심화 된 비평 학습의 토대로써 다양한 작품과 미술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확대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소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전 차시에 걸쳐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으로 영어를 지도하였을 때, 학생들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의사소통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불안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대구시에 위치한 W초등학교 6학년 두 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비교반에는 초등 영어 교재 중심의 일반 영어 학습을 실시하였고, 실험반에는 본 연구의 목적대로 형식 초점에 근거한 문법 교수․학습을 적용하였다. 20주의 실험 기간 후 두 집단간의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 초등 영어 교재 중심의 일반 영어 학습보다 의사소통 능력 중 듣기를 제외하고는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신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통해 기본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이라는 큰 목적 아래 자연스럽게 언어의 형식에 집중하게 되었고, 의사소통의 활동에서 익힌 형식을 활용한 것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이를 적용한 6학년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불안감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은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의적 영역의 효과가 나타나기 까지는 좀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한 동일한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어 과외 학습, 실험 기간, 교사 변인 등을 통제한 조건에서 실시하여,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정확하게 검증하여야 하겠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문법을 배제한 채 기능과 의미만을 중시하여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형식 초점에 근거한 문법 교수․학습을 의사소통 교수법 내에서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후속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다양한 교수 기법 및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 영어 지도에서 문법 학습의 실시 여부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EFL 상황의 문제점인 입력 자료의 부족함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고려하는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문법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교수 기법이 연구,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형식 초점에 근거한 의사소통 중심의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연구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ESL 환경에서 개발된 영어 교수법을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EFL 환경에 적합한 영어 교수법으로서 형식 초점에 근거한 의사소통 교수법을 연구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형식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효과를 좀 더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서 평가 문항을 시제, 대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등의 문법 항목 중심으로 제작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