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부진아를 고려한 STAD(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s) 협동학습 설계 및 구현

        이소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하면 초·중등학교에서 발생하는 학습부진아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와 함께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진 고착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선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습부진아 예방 및 처방프로그램은 매우 미약한 형편이다.학습부진아의 지도방법으로는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시하고 학습자에게 적절한 속도로 수업을 진행하는 일대일 개별화 수업이 학업 성취에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학교의 다인수 학급에서 개별화 수업을 진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그에 대한 대안으로 협동학습은 이질적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 동료와의 상호 교수에 기초한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교사는 프로그램 관리에 시간을 빼앗기지 않으므로 모둠별 지도 및 개별 지도를 할 여유가 있다. 협동학습은 경쟁학습과 개별학습의 약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상호의존성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강조하여 학업 성취를 증대하기 위한 학습방법이다. 그러므로 개별화 수업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한계인 혼자 학습하거나 이질적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없음으로 인한 인지적, 정의적 상승효과의 한계를 극복하고, 협동 학습에 의한 동료 교수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한 협동학습을 학습모델로 설계 및 구현하여 학습부진아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습부진아의 침체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방법으로 협동학습을 도입하고, 여러 협동학습 모형들 중에서 STAD(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s) 모형을 채택하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웹을 기반으로 한 STAD 협동학습 시스템을 통해 교사는 보다 편리하게 협동학습을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부진아는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협동학습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학업성취를 이루도록 한다.본 시스템은 학습자의 선수학습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이질적 학습 모둠을 생성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과 웹 기반 협동학습 사이트를 구현함으로서 기존 학습부진아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 STAD 협동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학습 모둠 생성 시 타 시스템에서는 교사가 임의로 선정하거나, 다른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교사가 모둠을 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평가시스템을 통해 구현된 교사모듈과 학생 모듈을 통해 선수학습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모둠을 생성해준다.컴퓨터를 통한 진단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이질 모둠을 형성하여 협동학습을 진행함으로서 구성원간의 상호보완적인 교수-학습형태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교사는 기존의 협동학습을 위한 모둠 구성에 필요한 수고 없이 보다 편리하게 협동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향후 협동학습과 더불어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사의 개별학습 지도방안을 추가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부진아 지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하기 위해 모둠 생성 시 개별 학습자의 성향 및 다양한 학습자의 기호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모둠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the number of the retarded learn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ontinues to increase, while most of them show signs of a permanent learning retardation. Nevertheless, the programs being operated currently by school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tarded learners seem to be too ineffective.An effective pedagogics for retarded learners may be a face-to-face teaching where each student is presented with the learning materials and at a proper speed both suitable to his or her learning level.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operate such an individualized teach program in the crowded classrooms.Another alternative may be to form an heterogeneous group and thereby, promote the interactions between excellent and retarded learners, while the teacher much free from program management can guide the group or its members individually. Such a cooperative learning may well b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s, focused on learners' mutual dependency and their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Namely, such a pedagogics may help to surmount such fundamental problems involving independent learning as lack of a symbiotic cognitive and affectionate effect due to lack of interactions among peers, while increasing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r peers' learning assistance.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consideration of retarded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reby, suggesting a new alternative for education of them. Specificall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s designed to motivate retarded learners and enhance their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and adopted the STAD (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model among them and thereby, designed and implemented it.The web-based STA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to progress and manage the cooperative learning more conveniently, while the retarded learners, being free from th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can effect a better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the cooperative learning.This study suggested the STA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ones by combining a test system identifying heterogeneous learning groups based on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s and a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ite.While the conventional grouping systems are designed to allow teachers to organize the groups arbitrarily or based on some off-line data, this system diagnoses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s through teacher's module and students' and thereupon, creates the groups automatically.In addition, since the cooperative learning progresses by the heterogeneous group formed automatically based on computerized test results, mutually complementary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ccur among members, while teachers can monitor the learning progress without being obsessed with organiz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s.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complement the system of this study by intensifying teachers' individualized tutoring of retarded learners and at the same time, reflecting individual learners' attributes and preferences o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heterogeneous learning groups.

      • TGT협동학습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 상업계 고등학교 2학년 대상

        이영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수학학습에 TGT협동학습을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수학학습에 적용하였을 때, 기존에 이루어지는 전통학습과 비교하여 학업성취도, 학습동기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협동학습의 모형을 조사하였고, TGT협동학습이 다른 협동학습과 비교하여 갖는 특징을 살펴 본 다음,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전통학습과 TGT협동학습 집단 간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유의미한가? 2. 전통학습과 TGT협동학습 집단 간 정의적 영역에 차이는 유의미한가? 2-1. 전통학습과 TGT협동학습 집단의 수학과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2. 전통학습과 TGT협동학습 집단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3. TGT협동학습을 한 학생의 어느 집단(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 더 효과적인가? 3-1. 학업성취도에 대하여는 어떠한가? 3-2. 학습동기에 대하여는 어떠한가? 3-3. 자아존중감에 대하여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을 TGT협동학습과 전통학습을, 동시에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하였고,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자아존중감인 2×2요인(Factorial Design)설계를 세워 충남 태안군에 소재하고 있는 T고등학교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TGT협동학습을, 다른 학급은 전통학습을 6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 학업성취도검사의 결과에 의해서 각기 수준이 다르게 5명씩 6개의 모둠을 구성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수업이 이루어지고 소단원이 끝날 때마다 TGT활동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기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방법에 의해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TGT협동학습에서 사용되는 학습지를 배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이 끝난 후 자율학습시간을 이용하여 사후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자아존중감의 평가가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GT협동학습은 전통학습한 집단보다 학업성취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GT협동학습을 실시한 후 실시한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유의한 차이(p=.01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TGT협동학습을 실시하면 전통학습을 한 학생보다 학업성취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어느 집단에게 더 효과를 미쳤는 지를 확인 결과, 상위집단학생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하위집단학생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더 효과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학습동기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위집단간과 하위집단간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TGT협동학습은 전통학습에 비하여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고, 특히 하위집단에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수업을 계획시 개념에 따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TGT협동학습은 상위집단보다 하위집단의 학생에게 더 효과적이다. 기간이 6주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이루어진 감도 없지 않아 있지만 TGT협동학습이 하위집단에게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에서 t-검정한 결과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고, 상호작용효과에서도 학습동기와 자아존중감에서도 하위집단에게 효과적임을 말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TGT협동학습은 전통학습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상위집단보다 학위집단의 학생들에게 TGT협동학습이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을 통한 리듬감 향상 방안 연구 : 초등학교 3, 4학년을 중심으로

        이술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을 통한 리듬감 향상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리듬감 향상을 위하여 리듬지도 단계를 체계화 하였다. 첫째 박 익히기 단계, 둘째 리듬 읽기 단계, 셋째 리듬 짓기 단계로 나누었으며 박 익히기 단계는 일정 박, 강세, 마디와 박자로 세분화 하였다. 리듬 읽기 단계는 음길이, 소리와 쉼, 리듬꼴, 리듬꼴의 반복으로 나누었으며 리듬 짓기 단계에서는 리듬 즉흥 연주, 리듬 합주, 리듬 짓기로 세분화 하였다. 각 단계의 개념 습득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리듬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음악 수업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어린이의 리듬지도단계에 있어서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학생들이 흥미 있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방법을 통하여 리듬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가 본격적인 음악수업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3, 4학년학생들의 리듬감 형성에 기여하길 바라며 이것에 대한 다양한 실험 연구를 통해 학생의 성장과 음악적 발달 특징에 맞는 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리듬감 형성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황영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의 목표는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을 통해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말하기가 다른 언어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높지만 학교 교육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Spencer Kagan이 개발한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을 적용하였다. 이 협동 학습은 수업 시간에 단 5분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협동 학습에 익숙지 않은 교사나 학생들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선행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를 밝혔으며, Ⅱ장에서는 말하기 지도를 위한 협동 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준비 훈련과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고, Ⅳ장에서는 협동 학습의 결과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에 대해 정리하여 밝혀 두었다. 연구 방법은 시 지역 초등 학교 2학년 1개 반 32명을 대상으로 9개월간 국어과 말하기 수업 중 10차시에 걸쳐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을 적용하며 관찰하는 것이다. 국어과 수업에 협동 학습을 적용하기 위하여 1학기 동안 준비 훈련 기간을 두었는데, 3월 한 달 동안 학급 세우기 활동과 모둠 세우기 활동을 하였다. 모둠은 4명을 한 모둠으로 이질적 모둠으로 구성하였고, 각 모두미들은 돌아가며 역할을 나누어 맡도록 하였다. 새로운 역할을 맡을 때는 역할 목걸이를 활용하였고, 주로 사용한 구조는 ‘이 사람을 찾아라’, ‘비슷한 친구들끼리’, ‘동심원’, ‘돌기-얼음-짝’, ‘플래시 카드’ 등을 사용하여 모둠 구성원들 끼리 서로 협동하려는 마음과 기초적인 협동 기술을 익히게 하였다. 그 다음으로 구조 중심 협동 학습 프로그램 훈련을 실시하였다. Kagan의 협동 학습 구조는 암기 숙달 구조, 사고력 신장 학습 구조, 의사소통 기술 향상 구조, 정보 교환 구조의 네 가지 구조로 분류되는데 그 구조들 중에서 말하기 지도에 효과적인 구조 10여 가지를 집중적으로 지도하였다. 생각-짝-나누기, 돌아가며 말하기, 번갈아 말하기, 말하기 칩, 텔레폰 구조 등의 프로그램 훈련을 통하여 협동 학습의 기초를 이루는 네 가지 원리인 긍정적인 상호 의존, 개인적인 책임, 동등한 참여, 동시다발적 상호 작용이 일어나게 지도하였다. 2학기에는 1학기 때 훈련한 협동 학습 프로그램을 직접 국어과 말하기 수업에 적용하였다. 협동 학습 구조를 영역별로 분류한 뒤 단원별 차시별 말하기 지도에 적합한 구조를 추출하였으며, 10차시에 걸쳐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한 후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내용 관찰은 녹음 및 녹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업 내용을 전사하여 학생들의 활동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학습 활동 결과물인 학습지와, 교사의 수업 관찰 평가표, 학생들과의 면담과 설문지를 통해,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협동 학습의 과정과 소감이 잘 나타난 학습지에는 대부분 학생들이 자신의 말하기 기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정보를 교환하는 데 효과적이라거나 사고력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협동 학습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학생들과의 면담뿐만 아니라 학기 초와 학기 말 2회에 걸친 설문을 통해서도 분명하게 나타났는데, 개인별 말하기 능력이 기능 및 태도의 양 측면에서 크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논문을 통해, Kagan의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이 초등 학교 저학년 학생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향후 협동 학습의 구조를 익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훈련이 뒤따른다면 더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무선네트워크 환경에 기반한 Web2.0에서의 적응적인 협동학습

        양창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교육의 가장 큰 목표인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협동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교수학습 도구의 발달에 따라 협동학습도 웹기반협동학습으로 발전하면서 오프라인 협동학습이 갖는 시·공간 및 정보활용의 제약을 극복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정보는 이미 만들어져 있고 가공할 수 없는 고정된 정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학습자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이 웹2.0(web2.0)이다. 그러나 웹2.0 기반의 협동학습의 학습 환경이 교실 및 컴퓨터실로 제한되면 효과도 제한적이다. 문제해결력은 대부분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되기 때문이다. 이에 웹2.0 패러다임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협동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문제해결력 신장에 초점을 두어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웹2.0을 활용한 협동학습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무선네트워크 환경은 학습 환경의 제약을 해소하여 학습자의 수요를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여 흥미유발 및 능동적인 참여를 불러 일으켰다. 웹2.0의 활용은 학생 서로가 자신의 자료를 공유하고 가공 및 재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 웹기반 협동학습이 갖는 상호작용 측면의 약화 문제를 보완해 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무선네트워크 환경의 웹2.0에서 협동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성취도와 흥미도, 만족도에서 오프라인 협동학습과 기존 웹기반 협동학습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과의 특성 및 학습 주제의 특성에 따라 성취도에서는 오프라인 및 기존 웹기반 협동학습이 큰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었지만 학습의 흥미도 및 만족도에서는 웹2.0에서 협동학습 모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흥미도와 만족도는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2.0에서 협동학습과 같이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남학생의 성취도, 흥미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변화된 모습을 살펴보면 비판적 정보 습득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기존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를 가공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 생산의 주체로서의 윤리적 책임감을 갖고 비판적으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었다. 정보의 공유 단계를 통해 인터넷 기본예절에 대해 습득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위치한 장소에서 학습 상황을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서 실생활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동료를 경쟁의 상대가 아닌 문제해결을 위한 협력자라는 인식을 갖게 되어 동료 멘토링 활동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프레젠테이션 기능을 길러주는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 학습의 기본인 프리젠테이션 능력을 길러 주었으며 다양한 화면 전환 및 효과들을 익숙하게 사용하게 되었고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손쉽게 동영상 파일을 편집하고 직접 제작함으로써 상상력과 창의력을 길러주며 컴퓨터를 완전한 학습 도구로 활용 할 수 있게 되어 ICT 활용 능력도 길러 질 수 있었다.

      •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6학년 온라인 음악창작수업 방안 연구

        문지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상호작용이 부족한 온라인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멀티미디어 자료가 풍부한 온라인 공간의 이점을 살린 창작 수업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협동학습 모형과 창작 수업 모형을 혼합한 ‘협동학습을 적용한 온라인 창작 수업 모형’을 고안하고 적용하여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의 음악 창작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은 온라인 수업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학습자 주도로 이루어지는, 개별 학습에 특화된 온라인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유발하며 사회성을 기르기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협동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면 온라인 수업에 활기를 더하면서도 동시에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도구는 음악 창작 수업의 효과를 높인다. 디지털 세대인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 도구에 쉽게 흥미를 느끼며, 대면 수업 상황과 달리 스마트 기기의 개별적 활용, 독립된 공간에서의 수업 참여 등의 특성에 의해 자신의 소리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온라인 수업 도구는 수업 진행 및 학습 활동에 획기적인 변화와 큰 효과를 주지만, 이를 유의미하게 활용하려면 수업 도구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숙련이 요구된다. 온라인 수업 도구는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기능이나 부가적인 요소들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창작 수업에서 온라인의 이점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온라인의 단점을 완화하기 위해 협동학습을 적용한 온라인 음악 창작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 사회정서학습(SEL)을 위한 협동학습 적용 기악 교수?학습방법 연구

        류연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사회정서학습(SEL)을 위한 협동학습 적용 기악 교수․학습 방법 연구 과학 기술에 의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과 국민들의 높은 학구열로 학업성취도는 높아졌지만 폭력행동이나 불안한 심리상태와 같은 다양한 문제행동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위해 정서적 공감능력과 소통하고 배려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SEL(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사회·정서 학습 프로그램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을 위한 협동학습을 적용한 기악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협동학습의 개념과 기본원리, 다양한 모형종류, 사회·정서학습과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기악영역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여 알아보았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교과서 세 가지 단원에 적용시켜 기악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리코더와 오카리나, 피페의 악기 특징, 호흡법, 주법을 정확히 배운 다음 모둠별로 학습하는 방법과 협동학습 중 기악 합주 지도에 효과적인 JigsawⅡ모형을 적용하여 원 모둠과 전문가 모둠에서 소속되어 자발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방법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회정서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다룰 수 있는 악기를 스스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둘째, 원활한 합주를 위해 맡은 파트를 책임지고 꾸준히 개인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관리 능력이 향상되고, 셋째, 합주를 통해 서로 소리를 듣고 타인을 배려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인식, 넷째, 모둠별 연습에서 능동적인 참여와 규칙과 타협하는 관계기술, 다섯째, 합주 점수를 산출하고 개별과 공동의 성취감과 우수한 모둠에게 칭찬을 건네는 활동에서 책임 있는 의사결정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음악교과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위해 기악학습에 협동학습을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본 것처럼 향후 사회정서학습을 위해 음악교과의 다양한 영역에서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음악교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교육에서도 보다 더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Instrumental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pplied to Cooperative Learning for Social Emotional Learning (SEL) Academic achievement has increased by people’s high passion for studying through various m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many problem behaviors such as violent behavior and unstable psychological conditions have to be solved. To solve these problems, SEL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 has been emphasized to enhance emotional empathy and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instrumental music learning method through cooperation for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e concept and basic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various types of model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nd the instrumental music fields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examined, and they were applied to three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to provide teaching materials of instrumental music. After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er, ocarina, and fife, which are frequently found in textbooks, and applying the effective Jigsaw II model to instrumental ensemble map during cooperative learning, they belonged to the original group or the expert group so that we can find ways of voluntary lear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ocial emotional learning effects may be obtained. First, students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instruments that they can play themselves, second, self-management skill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responsible and consistent personal practice for the part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ird, they will listen to each other and considerate others, and have social recognition, fourth, they can learn relationship skills that compromise active participation and rules, fifth, responsible decision-making skills can be improved in activities that produce ensemble scores and praising activities for communal achievements of excellent groups. As explored how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to instrumental music learning for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the music subject,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s in various fields of the music subject for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much deeper studies will continue in various subjects education as well as in music subjects.

      •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JigsawⅡ와 GI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방미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JigsawⅡ와 GI 협동학습이 학업성취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 JigsawⅡ와 GI 협동학습 이 학업성취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자기주도성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JigsawⅡ와 GI 협동학습 이 학업성취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S 전문계 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 100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4개 학급 중 2개 학급에는 JigsawⅡ 협동학습을, 다른 2개 학급에는 GI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를 위한 단원은 JigsawⅡ와 GI 협동학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고등학교 1학년 영어과 J 출판사 교과서의 Lesson 7 「Animals at Your Service」이었고, 실험처치는 연구자가 50분 단위의 수업을 주당 3시간씩 4주 동안 12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주도성 수준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처치 전과 후에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공변량 분석(ANCOVA)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13.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가설 1〉은 부정되었다. 즉,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 JigsawⅡ 협동학습과 GI 협동학습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 JigsawⅡ 협동학습과 GI 협동학습 간의 학업성취도 효과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2.〈가설 2〉는 긍정되었다. 즉, 자기주도성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JigsawⅡ 협동학습과 GI 협동학습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자기주도성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JigsawⅡ 협동학습이 GI 협동학습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수업의 구조화가 다른 JigsawⅡ 협동학습과 GI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다고 결론지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 중 자기주도성만을 고려하여 비교하였으므로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JigsawⅡ and GI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er's level of self-direction.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Hypothesis I> In the case of high self-direction level students, there would be a signigicant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JigsawⅡ and GI cooperative learning. <Hypothesis Ⅱ> In the case of low self-direction level students, there would be a signigicant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JigsawⅡ and GI cooperative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students of 4 classes of 1st grade of S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Chung-Nam. Two classes were assigned to JigsawⅡ instruction and the others GI instruction. The unit of "Lesson 7. Animals at Your Service" in the subject of English for 1st grade were taught for 12 class hours. The test of self-direction, the pre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the lesson plan(JigsawⅡ, GI), and the post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pre & post test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of ANCOVA with SPSS 13.0 for Window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Hypothesis Ⅰ> was not accepted. That is to say,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JigsawⅡ and GI cooperative learning in the high self-direction group(p>.05). 2. <Hypothesis Ⅱ> was accepted. That is to s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JigsawⅡ and GI cooperative learning in the low self-direction group(p<.05). In other words, JigsawⅡ was more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GI in the low self-direction group.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JigsawⅡ and GI cooperative learning have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er's level of self-dire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ed to choose an appropriate cooperative learning by learner's level of self-direction.

      • 협동학습을 통한 지리수업이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희열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attitude of students by applying the Jigsaw IImodel, one of various teaching strategies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experiment has designed two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learning method. The first group is applied by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The second group is applied by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experimental treatment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ree weeks with geography subjects of the first graders of four classes(127 students) in a co-educational middle school in Seoul. This study employ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ANOVA in order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wo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are not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learning achievement level. After testing hypothesis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operative method did not make any differenc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The score for the students in cooperative learning class is not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learn by the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Second, students with cooperative learning method did not show much higher levels in terms of learning interest, satisfaction, and studying motivation than students with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 Third, students with low learning ability level in the cooperative learning class has shown higher achievement than students with low learning ability i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clas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 high learning ability in traditional instruction class has shown higher achievement than students with high learning ability in the cooperative learning clas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 by applying Jigsaw II model could not give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all levels of the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would b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 learning abilit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is suggestive to be better and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high abilit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