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실요법 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종숙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에 비해 사회성이 유의하게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에 비해 학교적응력이 유의하게 높아질 것이다. 가설 3.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력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횡성의 ㅎ초등학교 6학년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Greshman & Elliot(1990)이 개발한 SSRS 학생용 설문지를 문성원(1997)이 우리 실정에 맞게 적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적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정순(1993)과 전호택(1993)의 검사지를 유윤희(1994)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현실요법 상담 프로그램은 Sullo, L. A. and Sullo, R. A.(1990)의 'I am Learning to be happy‘를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 번안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가설3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 초등학생이 통제집단의 초등학생에 비해 사회성의 하위요인 전체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 초등학생이 통제집단 초등학생에 비해 학교적응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현실요법 상담을 받은 실험집단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현실요법 상담은 초등학생들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set up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After applying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here will b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Hypothesis 2> After applying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here will b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Hypothesis 3>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sixth grade students at H elementary school in Hoengseong who hop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for students which Moon Seongwon(1996) translated, the corrected work of Greshman & Elliot(1990)'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s the method of social skills and the school adjustment ability scale developed by Im Jeongsun(1993) and Jeon Hotaek(1993) and adapted by You Younhee(1994). I adapted this program based on 'I am Learning to be happy- which was translated and reformed in korea - created by Sullo, L. A. and Sullo, R. A.(1990).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times ; twice a week and 60 minutes at a time. The controlled group was given no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s such as pre-post test. ANCOVA was applied to prov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hypothesis 3.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whole sub-factors of social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hool adjustment ability post test than the controlled group that wasn't. Third,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eality therapy counseling. Therefore, it verified that reality therapy counseling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현실요법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라승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발달단계에 있으며, 입시위주의 교육, 복잡한 사회 환경, 사회의 급격한 변화과정에서의 사회적 규범과 가치체계의 불안정과 불확실성 등으로 건강한 삶을 위협받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 성향 감소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학교상담 장면에서 적용하는 것은 청소년 개인의 현재 상황에서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이후의 사회에서의 건강한 삶과 적응 및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고등학생들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아 효능감 증진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은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우울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 효능감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로 세웠다. 본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 고등학교 2학년 5개반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검사와 우울성향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우울성향이 높은 학생 30%(34점 이상)와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 30%(61점 이하)를 절단점으로 하여 이들 중 두 가지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학생들 31명을 선발하였다. 이들 중 집단 상담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24명을 선정하여 12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의 우울성향의 평균은 31.4점(SD = .58)이고,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71.46(SD = .9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최근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박민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조사, 분석, 설계, 구안 및 적용의 과정을 거쳤으며,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한 후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김순업, 2005; 송지영, 2004; 우애령, 1994), 우울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강둘선, 2008; 전은영, 2009; 정영남, 1999), 자기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강복선, 2005; 추영미, 2005)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2009년 8월 19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9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1주에 2회씩 자기주도 학습 시간을 활용하여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는 우울성향 측정에 Beck이 제작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한흥무 등(1986)이 번안하여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 효능감 측정을 위해서는 Shere 등(1982)이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해 제작한 자기 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우울 수준의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보면 인지·정서·동기요인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의 감소의 폭이 큰 반면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생리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 효능감 증진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일반적 요인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의 증가의 폭이 큰 반면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프로그램 만족도 및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본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우울감소 및 자기 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학교상담 장면에서 고등학생의 우울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최근 청소년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는 정신건강상의 문제 행동 중 우울성향을 감소하며 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으로, 또한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어 개인의 행복을 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학교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천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고, 전문상담교사는 우울성향을 감소하고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적용과 수정 및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n adolescent is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undergoing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growth spurt, and they are threatened b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of social norms and the value system caused by cramming education, complex social environment, and radical changes in social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related group counseling program be implemented in the school counseling session to reduce their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e self-efficacy. In the long run, this program is expected for the adolescents to regain healthy and happy life not only in current situation but also in their future society after adolescen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self efficacy, and to examine how this program can help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depressive symptoms and self 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or the present study; First, how to develo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fficacy? Second, what kinds of effects this program has on depressive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Third, what kinds of effects this program has on self-efficacy impro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ese problems above a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pressing level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Secon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 efficacy level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The study for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t a high school in Goyang-si, Gyeonggi-do with the 174 participants who are in 2ndgrade from 5 different classes. Initially 31 students who met all the following criteria were selected: 1) top 30% scores on high depression level (more than 34 points) 2) top 30% scores on low self efficacy (more than 61 points). Finally, total 24 stu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Then, these 24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12 students each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ir average score of the depression tendency was 31.4 points (SD = .58) and their average score of the self efficacy was 71.46 points (SD = . 98). As a reference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Model of Systematic Consulting Program Development by Park, Min-Woo(1995)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and this revised program was verified by survey,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procedure. In addition, several resources were referred to be used in the program as follows;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Reality Therapy developed by Woo, Ae-Ryeong (1994), Jung, Young-Nam(1999), Song, Ji-Young (2004), Gang, Dul-Sun(2005),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by Gang, Dul-Sun(2008), Jeon, Un-Young(2009),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Efficacy developed by Gang, Bok-Sun (2005), Choo, Young-Mi (2005). For hypothesis testing,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dur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ime twice a week from Sep 1stto Oct. 1st after conducting pre-tes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Aug. 19th. 2009. A post-test was also administered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no program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s a pre-and a post test tool for measuring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developed by Beck was revised and its scale was modified by Han, Hueng Moo in a Korean standard. For the test tool for measuring self-efficacy, Hong, Hye-young’s amended SES (Self-Efficacy Scale designed by Sphere, 1982)questionnaire was referred based on the concept of Self-Efficacy Theory developed by Bandura (1977).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 from SPSS/Windows 12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and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nd counselor observation was also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depressing level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harp reduction in sub-categorie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 factor through changes from pre- to post-tes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hysiological facto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on self-efficacy level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sub-category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 the general fact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 to post-tes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factor and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social factor. Third, from the result of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 by session, satisfactory level of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ve symptoms and self efficacy were obtained.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designed to lower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increase self-efficacy level. Thus, this program can be utilized in the school counseling curriculum as an important documentation, aiding adolescents who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pursue on the individual's happiness through this program by lowering and preventing depressive symptom,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s well as enhancing self efficacy level. For the school, it is recommended to create appropriate environmental condition to conduct a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Also, school counselors should make an effort to continue to implement, modify and develop counseling programs, which appear effective both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ing self-efficacy.

      •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이무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리더십 생활기술은 상호 의존적인 현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실제적인 생활능력과 기술로 특히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할 것인가?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리더십 생활기술 및 현실요법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목표와 내용을 잠정적으로 설정한 후, 종합적 학교상담 관점에서 학급단위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는 방향에 따라 연구 대상 범위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회기별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리더십 생활기술 관련 하위 영역은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인간관계기술, 학습능력기술, 자기이해기술, 집단활동기술 등 6가지이다. 구성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위해 강원지역 소재 D학교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급(36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35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사전회기를 포함하여 주 2회기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각 회기별 운영시간은 중학교 수업시간에 맞추어 45분으로 하였다. 두 집단에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같은 시기에 리더십 생활기술 검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적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회기별 관찰 및 반응 내용과 만족도 검사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리더십 생활기술과 리더십 생활기술 여러 하위 요인기술 수준에 있어서 의미 있고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구안한 현실요법을 적용한 리더십생활기술 증진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첫째,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이 모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교 내 활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하여 리더십 생활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보다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 셋째, 이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급 담임 교사에 의해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시간을 이용하여 한 학기 또는 한 학년에 걸쳐 일관되게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leadership life skill is especially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as actual ability and skill for everyone living in modern society of interdependence for the students of adolesce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room-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reality therapy and test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First, what is the contents of the classroom-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reality therapy? Second, how is the effect of the classroom-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reality therap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et provisionally based on the research about leadership life skill and reality therapy, and then the program aim of every session was set and a design leadership life skill program was made from surveying of the teache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in the rang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classroom-based program from the viewpoint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The subordinate field's skills of leadership life skill using in this program were communication skill, decision-making skill, skill in getting with others, learning skill, skill in understanding self, skill in working with groups. To validate the constructed program, two classes at D middle school located in Gangwon province was composed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one class(36 students)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35 students) was the control group. Constructed program was practiced in 15 sessions for eight weeks, twice a week, 45 minutes each. No separate action was taken to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test about leadership life skill was carried out at two group. The collected data from the experiment was analysed using MANCOVA test, and then in order to complement the shortage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reaction of participants and results of satisfaction test was analysed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through reality therapy made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s in appreciating leadership life skill and the subordinate field's skills of leadership life skill. Second, it showed that the classroom-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through reality therapy that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was the effective program in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gave a opportunity to participate to every student in school activities, also, the program for enhancing leadership life skill was practiced more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by applying reality therapy, and this program might make a use discretionary class or extracurricular class and practice consistently through a school term or school year by a teacher in charge in the field of a school education.

      •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내적 통제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박유선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Internal Control and daily stress of brothers or sisters of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order.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this study was one which Reality Therapy is combined with art therapy after getting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brothers or sisters of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order. The subjects are third, fourth and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underwent first interview of a teacher working for H special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 city. The subjects and their parents consented to participation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interviews were given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ethe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re homogeneous group was checked through pretest. Post test was given after a program was completed. This study lasted from August 2013 to February 2014. This study is composed of 26 sessions. Each session lasted for 90 minutes and was on a weekly basis. As a tool for this study, Internal Control scale and daily stress scale test were adopted for quantitative test. Both pre measurement and post measurement were conducted. SPSS 18.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as used to analyze Internal Control scale and daily stress scale in order to verify effect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a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verage scor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ased on Internal Control scale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nal Control between pr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ereas post contr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7.962, p〈.01) - overall average of post experimental group was 5.40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At a pre level, omission of minor characters and clear expression were not found in kinetic school drawing(KSD) whereas at a post level. self image, classmate image and teacher image were expressed, which suggests a change in an attitude toward a friendly correlation and there w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Internal Control of the subjects. Second, analysis of a difference in average scor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based on daily stress showed that at a pre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daily stres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hereas daily stress of post experimental group rose to a significant level - overall average of daily stress of post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by 16.80 (t=6.244, p< .01) but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Parents related stress, family background related stress, friend related stress and school related st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suggests that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daily stress of brothers or sisters of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order. At a pre level, the subjects expressed heavy rain that reflected their stress in child In The Rain (PITR) whereas at a post level, amount of rain was reduced and raincoat was used, which reflects a trial to escape from a stress by using a resource coping with a stress. This study proved that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daily stress of brothers or sisters of a child who has developmental disorder.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is study is a systematic and structured program which combines Reality Therapy and art therapy.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may enhance effect on Internal Control and daily stress.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a program that combines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order and brothers or sisters of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order and a program through which all family members can participate together to make an in-depth approach and to make various analysis of Internal Control and daily stress of brothers or sisters of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order is required.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내적 통제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현실요법을 미술치료에 접목해서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구성한 프로그램이다. 연구대상은 H 시 소재 H 특수초등학교 교사의 1차 면접을 통하여 의뢰된 장애아동 형제자매 중 본인의 참여의사와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들로 초등학교 3학년부터 5학년 학생이며, 대상은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에 해당하는 아동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교사 및 부모면담을 하고 사전 검사를 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연구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26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는 내적 통제성 척도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사용하여 양적 검사를 하였으며, 사전·사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통제성 척도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통계분석자료는 SPSS 18.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통제성 척도에 의한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각 집단이 내적 통제성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내적 통제성은 전체 평균이 5.40점 정도로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t=-7.962, p〈.01),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교 생활화(KSD)그림에서 주변 인물의 생략과 명백한 표현이 보이지 않았던 사전에 비해 사후에는 자기상, 교우상, 교사상이 모두 표현되며 우호적인 상관관계를 이루어 나가려는 변화의 모습 또한 집단 원들의 내적 통제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해준다. 둘째,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에 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전에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실험집단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전체평균이 16.80점이 낮아져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나(t=6.244, p< .01),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하위요인인 부모 관련 스트레스, 가정환경 관련 스트레스, 친구 관련 스트레스, 교사 및 학교 관련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서 스트레스에 인한 굵고 많은 비를 표현하였으나, 사후에서는 비의 양도 줄어들고 인물상이 우비 입은 모습을 그리는 등 스트레스 대처자원을 활용하여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모습 또한 집단 원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해준다. 따라서 본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내적 통제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음이 긍정적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현실요법과 미술치료를 접목하여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적 통제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효과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의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는 가족구성원의 특성과 사회적 요인에 의한 다양한 분석 결과 깊이 있는 접근을 하기 위하여 발달장애아동과 형제자매를 접목한 프로그램과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양승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한 전남 지역 G읍에 위치한 G여자 중학교 3학년 여학생 28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4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1회 50분씩 8회에 걸쳐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중생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중생의 학교적응 점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자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내적통제성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심윤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실요법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내적통제성 및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학습동기와 관련된 하위요인을 세분화하고 각 요인과 관련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내적통제성과 학습동기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현실요법 집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내적 통제성과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를 보여주는가? ① 현실요법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초등학생은 내적통제성 향상을 보여주는가? ② 현실요법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초등학생은 학습동기 향상을 보여주는가? 2-1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수업동기의 향상을 보여주는가? 2-2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계속동기의 향상을 보여주는가? 2-3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본질동기의 향상을 보여주는가? 2-4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비본질동기의 향상을 보여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의 W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설정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여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8회로 구성하여, 매 회기마다 50분씩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81)에서 제작한 학생용 내적통제척도를 다시 김이천(1987)이 수정, 제작한 내적통제성 진단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 재구성하여 사전, 사후검사에 사용하였다. 학습동기 진단검사는 김용래(1995)가 제작한 학습 동기 척도를 김정애(2002)가 수정, 제작한 것으로 사전, 사후검사에 사용하였다. 검사도구에 의한 통계 및 아동들의 소감문을 종합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내적통제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현실요법 프로그램은 학습동기의 하위 요인인 비본질동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수업동기·계속동기·본질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현실요법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내적통제성과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is study first broke down the sub-factors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and tried to improv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group counseling on each factor. The followings are the subjects of study. Does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mprov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1) D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show any improvement in internal locus of control? 2) D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show any improvement in learning motivation? 2-1 Does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mprove class motivation? 2-2 Does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mprove constant motivation? 2-3 Does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mprove essence motivation? 2-4 Does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mprove non-essence motiva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69 6th students at W Elementary School in Gwangjoo. Total of two classes were selected and each class was assigned as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treated with group counseling. Group counseling consists of eight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for 50 minutes. Measuring device that this study used is in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for students produced by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1981) and revised by Kim, Yi-cheon which was revised again by this study for pre and post experiment test. Learning motivation diagnostic test produced by Kim, Yong-rae (1995) and revised by Kim, Jung-ae (2002) was used for pre and post experiment test. The study result below has been acquired by combining statistical results gained through experimental tools and the study subjects’ opinion statements. First,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realty therapy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class, constant and essence motivation while it did not have positive effect on non-essence motivation which was a sub-factor of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상담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교사-유아상호작용,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철벽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상담프로그램이 보육교사가 직무상 체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저하된 자아 존중감, 교사-유아상호작용과, 대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시기와 대상은 2012년 5월1일 ~ 2012년 7월 25일 까지 이며, 서울 S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실험군 17명 통제군 17명이다. 연구를 위한 사전 조사로 각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직무상 노출되어 있는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가한 보육교사들에게 본 연구에 대하여 설명 한 후 자발적으로 참여에 응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험, 통제 군으로 구분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그룹은 아무런 조처를 취하지 않은 다음 집단 별 평균차를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18/WIN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 alpha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사전검사 검증과 사후검사 검증,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사전-사후 검증에 대하여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Wilcoxen Ranks Test 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참여가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대인관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의 방식으로 연구한 결과 세 가지의 중요한 연구 성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사전 SD2.179에서 사후 SD2.267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사전 SD2.125에서 사후 SD3.073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점수는 사전 SD2.978에서 사후 SD4.679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점수는 사전 SD2.705에서 사후 SD4.322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대인관계 점수는 사전 SD11.077에서 사후 SD2.238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점수는 사전 SD11.187에서 사후 SD12.489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직무상 스트레스에 과다 노출로 저하된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대인관계의 하위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로 인하여 원예치료 상담프로그램은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보육교사들에게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보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

      •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병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점수가 높은 학생들 28명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28명의 학생들 중 14명을 실험집단에 무선 배치하였으며, 나머지 14명의 학생들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는 9월 3일부터 10월 2일까지 총 16시간에 걸쳐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특별한 처치없이 정상적인 일과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통계 처리에는 SPSS/WINDOWS 18.0이 이용되었으며, 분석은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현재 행동을 평가하고 욕구 충족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도록 하여 자기 삶의 주인이 바로 자신임을 인식하게 하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완화시켜 주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보여 준다. 둘째, 학습된 무기력의 7가지 하위 요인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결여, 수동성, 과시욕 결여, 책임감 결여 요인들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게 하여, 자신감 결여나 수동성, 과시욕 결여, 책임감 결여 등의 하위 요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이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어과를 제외한 수학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닌 태도 및 정서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수학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된 무기력이 감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절한 학습 프로그램이 진행된다면 수학과와 영어과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선택이론에 기반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된 무기력의 감소는 학생들의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야기하여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여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교우관계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행복감 점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O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교우관계와 행복감 점수에서 낮게 측정된 학생 14명 중에서 각자의 동의를 얻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Hudson(1987)이 제작한 것을 정미(2004)가 번안하여 사용한 교우관계 검사지와 이정화(2005)가 제작한 행복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처치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Glasser의 현실요법을 기초로 하여 Sullo(1993)가 개발한 ‘Teach Them To Be Happy’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상담은 총 8회에 걸쳐 40~60분 정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론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와 행복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교우관계 향상과 행복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욕구를 탐색하고 자신의 욕구 충족을 만족시키고 다른 사람과의 효과적인 관계형성을 맺게 도와주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행복감에 영향을 줌으로써 초등학교 생활지도에 현실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nfluence on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se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y effects on classmate relationship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Dose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y effects on happiness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 sixth-grade students a class elementary school in Deajeon. They were Tested in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and 14 students who scored lower selected. All of them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And th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organized with seven students each.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Jeong, Mi(2004)'s adapted version of Hudson(1987)'s Classmate relationship Test, Lee, Jeong-hwa(2006)'s Happiness Test. I adapted this program based on 'Teach Them To Be Happy' by L. A. Sullo(1993). It wa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reality therapy, suit the interest and level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eight times : 40-60 minutes at a time. To the effect of this program, pre-Tests and post-Test of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were carried out for both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e t-Test of SPSS 11.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classmate relationship and happi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tool enhancement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s classmates relationship and happiness.

      •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박혜숙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현실요법 이론에 기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현실요법 집단상담을 투입한 실험 집단이 교과 학습 이외에 어떠한 프로그램도 투입하지 않은 비교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각 하위 영역별 점수가 실험 처치의 투입 직후에 실시된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2. 현실요법 집단상담을 투입한 실험 집단이 교과 학습 이외에 어떠한 프로그램도 투입하지 않은 비교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각 하위 영역별 점수가 실험 처치의 투입이 있은 지 2개월 후에 실시된 추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현실요법 집단상담에 참여하기로 지원한 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중에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등 두 집단에 각각 14명씩(남 7명, 여 7명) 28명을 무선 배정하였다. 먼저, 두 집단의 모든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개인자아존중감, 사회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 등 3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자아존중감 검사(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을 주 1회, 90~120분씩 8주 동안 투입하고, 비교 집단에는 통상적인 교과 학습 이외에 다른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았다. 실험 처치가 끝난 주에 자아존중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처치가 끝난 2달 후 자아존중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에 대한 공변량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자아존중감, 사회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 등 세 개의 영역별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간 차이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사회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에 있어서 현실요법 집단상담을 투입한 실험 집단과 처치를 투입하지 않는 비교 집단 사이에 .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둘째,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자아존중감, 사회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 등 세 개의 영역별 추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학교자아존중감에 있어서만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 투입한 실험집단과 처치를 투입하지 않는 비교 집단 사이에 .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가설 2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자아존중감의 증진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집단상담을 적용 받은 아동들은 집단상담을 적용 받지 않은 아동들보다, 실험 처치를 받은 직후 학교자아존중감과 사회자아존중감이 향상된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자아존중감의 증진에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집단상담을 적용 받은 아동들은 집단상담을 적용 받지 않은 아동들보다 실험 처치를 받은 지 2개월 후에 학교자아존중감이 향상된다. 이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자아는 유아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개인의 경험과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결정되며, 인간의 성장 발달 단계 중 청소년기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 아직 초등학생들은 자기존중의 정도가 미약하고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화가 잘 이루어지게 하고, 특히 부모와 자녀들간에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라는 조직체 속에서 교사와 교우 등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학교 생활에서 자신이 느끼는 유능함을 인정하는 데에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현실요법의 기본 이론인 선택이론에서 강조하는 내면적인 개인 동기에 의해서 행동을 하지 못하므로, 학교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학생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고, 능동적으로 생활하면서 과제 수행에서의 성공 경험을 쌓는 데에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로, 현실요법 집단상담은 초등학생들에게 선택과 개인의 책임, 욕구와 행동을 관련시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하고 효과적으로 자신을 통제해 나가는 것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로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얼마나 충실하게 실시되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앞으로 상담자나 상담 조건 등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끝으로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자 교육 현장에서 현실요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in this study. Hypothesis 1 :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post test of individu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related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ich experienced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and the controlled group children. Hypothesis 2 :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follow-up test of individu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related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ich experienced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and the controlled group children. To test these hypotheses, the researcher chose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in a A elementary school in Taejon City. One class of 14 students is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and the other 14 students is in the controlled group for this comparative study. These students are tested for checking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fter 8 weeks of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e results as follows. Hypothesis 1 : The observed difference between the each two means of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self 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at is, after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the level of social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became higher significantly than controlled group children. Therefore, hypothesis 1 i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2 : The observ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ns of school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at is, follow-up test after two months later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the level of school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became higher significantly than controlled group children. Therefore, hypothesis 2 is partially accepted. Consequently,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influenced importantly in social and school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at is, when the proper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is given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t can help them improve the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