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헨리 제임스의 『미국인』 연구 : 주인공의 의식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정금랑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Henry James(1843-1916) attempts in his works to show the conflicts between innocent Americans and complicated Europeans, as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American(1877). Newman, the central character in this novel, a representative of the immatured and innocent American, is thrown into this confli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Newman's conflic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anging process of his consciousness in his new experiences in Europe and his quest for a better life. He has in his deeper psychology the egocentrism and materialism as a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e Gilded Age. Because Newman does not recognize the true value and culture of the Europe, he is utterly unaware of the reality of life. Chapter 2 of this thesis examines the meaning of Newman's limitations in his relations with other Americans, especially with Babcock. Newman still can not get rid of his materialistic and excessively self-sufficient attitudes or thoughts and recognize his inability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his life and to grasp the meaning of his actions. Chapter 3 examines the struggles between Newman and the Bellegardes. In their relation to Newman, Madame de Bellegarde and Urbain, who are representatives of the Old World, insist on their hierarchic and racial superiority. Unable to penetrate the European reality embodied in the Bellegardes, Newman confronts them with the simple and materialistic attitudes. Therefore, his effort to gain happiness through the marriage with Madame de Cintre comes to an end in vain. Chapter 4 argues that Newman cannot obtain mature moral sense and realize the possibility of his life in the end. Thus, Newman's renunciation in the closing scene is an unconscious evasion of his defects rather than an index of mature morality. Through The American, James tries to show us that his balanced view of the both sides of the Atlantic neither simply glorify the European way of thinking nor denounces the American philosophic foundations. While presenting the rich traditions and cultures of the European, James thinks highly of Americans' potentialities and their unique qualities, and does not scorn Americans' pride of their sense of identity. After all, James's The American is his quest for the better way of life in the modern civilization.

      • 나사의 회전에 나타난 선(善)과 악(惡)의 애매성

        인정욱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17

        The Turn of the Screw has received an amoun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for its uncanny story and the fierce deba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tale. James's skill of ambiguity makes the reading process not only more confusing but also more dynamic and richly suggestive. So far, in spite of the rich previous literary work on the ambiguity related with the actual and imaginary, much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ubject of the ambiguity between good and evil in this novel. The Freudian critics have argued that this story can be read as a psychoanalytic novel of sexual repression of the governess. From this point of view, two children, Miles and Flora are victims of the governess's insanity, and are totally innocent. On the other hand, anti-Freudian critics have thought that the governess tries to save the children from the evil of the ghost, and is innocent. However, the controversial issue is not that simple and clear and becomes more confusing, once a careful look is taken. Good and evil are eventually blured out by the end of the book; the growing ambiguity of all of the characters’ nature makes it impossible to continue to define either good or evil. Much thought has been involved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 Does innocence just mean freedom from guilt, or does it imply something a little broader, such as free from knowledge, perhaps? All these questions arise from the ambiguity James provides for the readers to ponder. Depending on how one reads the story, different characters can get assigned to the sides of good and evil ; one might decide the black and white standards of good and evil do not even apply. Finally, we are led to the conclusion that good and evil are represented by all of the characters in this tale, and it might be James's purposed setting with his skill of ambiguity.

      • 헨리 제임스 소설에 나타난 교양과 비속성

        이명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51

        본 논문은 헨리 제임스(Henry James, 1843-1916)의 소설에 나타난 ‘교양’(culture)과 ‘비속성’(vulgarity)을 19세기의 문화적 전통과 20세기의 근대적 인식이 융합된 현대화된 비평 개념으로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양과 비속성은 19세기에 널리 통용되었던 문화 비평의 개념으로서, 그 속에는 기본적으로 당대의 지배적인 문화 논리가 녹아들어 있다. 원어로 일반 계층이나 그들이 사용하는 일상어를 뜻하는 ‘비속하다’(vulgar)라는 표현은 그 근저에 비난과 경멸의 의도가 함의되어 있는데, 이 부정적인 감정은 19세기의 가치관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근대화 현상에 대한 일종의 저항 의식을 반영한다. 한 세기의 마지막과 새로운 세기의 도래를 앞둔 전환기의 동요 속에서 산업화, 기계화, 도시화, 인구 증가 등 급격한 변화가 발생했던 19세기는 기존의 가치관이 흔들리는 혼란의 시대로 인식되었다. 근대화의 거센 파고 속에서 기존의 사회 질서와 규범은 붕괴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도덕적 가치 기준이 불분명해지고 극단적으로는 사회적 무질서가 초래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전통과의 단절과 무질서, 그리고 도덕성의 상실을 야기하는 근대의 새로운 현상들은 당대의 거부감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비속성으로 규정되었다. 그리고 그 반발로서 ‘교양’이라는 가치가 대두되었는데, 교양이라는 개념 속에는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근대화로 얼룩진 전체 사회의 정화와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여겼던 인간적인 가치, 즉, 사회 질서와 규범, 그리고 예의범절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도덕성이 내포되어 있다. 제임스의 소설에 나타나는 교양과 비속성의 개념도 기본적으로는 전통과 도덕, 그리고 권위를 중시했던 19세기의 문화적 가치에 바탕을 둔다. 그러나 그의 개념들은 단순히 기존의 가치관을 고수하는 고루한 전통주의의 차원이 아니라, 그 문화적 가치를 근대 현실의 새로운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킴으로써 현대성을 지향한다는 특징이 있다. 교양과 비속성에 담긴 제임스의 이러한 유연하고 전향적인 시각은 19세기 대표적인 사회비평가인 존 러스킨(John Ruskin)과 매슈 아널드(Matthew Arnold)의 문화 비평이 조화롭게 결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러스킨과 아널드는 각각 ‘신사다움’(gentlemanliness)과 ‘교양’(culture)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화로 인해 상실될 위기에 처한 인간적 가치의 회복을 내세웠다. 러스킨과 아널드는 당시 산업 자본주의 하에서 형성된 영국 사회의 계급적 이기주의와 편협성에 대한 각성을 촉구하기 위해 ‘신사다움’과 ‘교양’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러스킨이 제시한 ‘신사다움’의 덕목은 이타심을 지향하는 도덕적 민감함과 공감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간애가 결여된 이기심은 신사다움과 대비되는 비속성으로 규정된다. 아널드의 경우 ‘교양’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사심 없는 비평 정신을 의미하는 반면 사고의 경직성과 편협함은 비속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타적 도덕성을 강조한 러스킨의 신사다움과, 이성과 지성을 강조하는 아널드의 교양은 어느 특정 계급이 아닌 모든 사람에게 요구되는 보편적인 개념으로서의 공통점을 지닌다. ‘신사다움’과 ‘교양’은 궁극적으로 인간으로서의 아름다운 삶을 지향하는 내면적 가치를 강조하며 인간애를 토대로 하는 이타심과 사회적 관계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귀족의 형식적인 교양과 중산층의 속물적인 교양을 뛰어 넘는 이상적 가치를 지향한다. 두 비평가가 정립한 ‘신사다움’과 ‘교양’은 ‘비속성’, 즉 각 계급의 도덕적 이기심과 지적 편협성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거나 양립할 수 없는 대립항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러스킨은 근대화의 유입으로 인해 기존의 질서가 위협 받는 당대의 현실에 대해 지나치게 엄격하고 감정적인 자세를 취했던 반면 아널드는 그 시대상을 좀 더 냉철하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는 차이가 있다. ‘교양’과 ‘비속성’에 투영된 제임스의 미학은 도덕적 감각과 예술적 감각을 유기적인 관계로 인식하는 러스킨의 도덕적 예술론, 그리고 아널드의 교양 철학에 담긴 사심 없고 균형감 있는 비평적 자세가 이상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된다. 초기작 『여인의 초상』(The Portrait of A Lady, 1881), 중기작 『보스턴 사람들』(The Bostonians, 1886)과 『프린세스 카사마시마』(The Princess Casamassima, 1886), 그리고 후기작 『대사들』(The Ambassadors, 1903)에서 제시되는 교양과 비속성의 다양한 양상은 러스킨과 아널드의 문화 비평을 바탕으로 정립된 제임스 특유의 삶의 철학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19세기의 문화적 가치를 20세기의 근대적 시각에서 새롭게 재해석한 그의 현대성을 보여준다. 제2장의 『여인의 초상』에서는 러스킨의 도덕적 예술론과 아널드의 비평정신을 바탕으로 이사벨 아처(Isabel Archer)의 숙녀로서의 성장을 세계주의자적 매너를 갖춘 사회적 교양의 함양으로 분석한다. 이 소설에서 미국과 유럽의 문명은 각 세계에 속한 등장인물들의 매너(manners)를 통해 드러나는데, 이들의 매너는 교양과 비속성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상대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사회적 경험이 일천하고 순진무구하며 단순한 이사벨의 매너 속에는 문명화되지 않는 신생국 미국의 문화적 수준과 그 이상이 투영되어 있다. 이사벨은 미국과는 전혀 다른 유럽의 환경, 즉 역사와 전통으로서의 영국, 사교계로서의 프랑스, 예술계로서의 이탈리아에서 국제적인 매너의 충돌을 경험함으로써 미국적 관점의 오류뿐만 아니라 유럽의 화려한 문명 속에 내재된 도덕적 타락을 깨닫는다. 이 소설에서 이상적인 사회적 교양은 미국의 순수한 도덕적 가치와 유럽의 세련된 사회적 가치가 이상적으로 결합된 세계주의자적 매너를 통해 구현되는 반면, 어느 한 국민적 관점을 고수하는 지역적 편협성은 비속성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 소설에서는 풍성한 인간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근간으로 사회적 관습과 전통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도, 지역적 한계를 초월한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에 바탕을 둔 세계주의자적 매너가 근대를 살아가는 교양인의 이상적인 기준으로 제시된다. 제3장의 『보스턴 사람들』에서는 러스킨과 아널드가 비판한 근대 문명의 비속성을 남부와 북부 상류사회의 계급적 이기심과 편협성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교양의 외피에 대해 탐구한다. 남부 대농장의 노예주이자 남성 우월주의자인 배절 랜섬(Basil Ransom)과 북부 상위 중산층 출신의 급진적 여성해방운동가인 올리브 챈슬러(Olive Chancellor)는 남북전쟁 이후 급변하는 새로운 현실 속에서도 여전히 과거의 편협하고 경직된 사고방식에 매몰되어 있는 과거 지향적 인물들이다. 배절의 시대착오성과 경직성은 옛 남부(Old South)의 기사도 정신을 기사로서의 진정한 도덕적 정의로움이 아닌, 단순히 피상적인 예법에 치중하여 숭상하는 그의 귀족주의를 통해 드러난다. 그의 기사도 정신은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역행하는 몰락한 귀족으로서의 구태의연한 사고방식일 뿐만 아니라 북부를 향한 우월감으로 표출된다는 점에서 왜곡된 교양의 성격을 띤다. 보스턴 최초의 상류층인 ‘보스턴 브라민’(Boston Brahmins) 가문 출신인 올리브는 소수의 배타적인 상류 사회가 지니는 귀족적 우월의식과 도덕적 위선을 상징한다. 특히 각종 장신구로 치장된 그녀의 응접실은 물질을 통해 교양을 과시하는 북부 상류사회의 천박성을 반영하는데, 이는 유럽 귀족의 교양 문화를 계급적 과시의 수단으로 차용한 북부의 문화적 한계를 보여준다. 배절과 올리브가 표상하는 교양은 그들의 속물근성을 포장하는 겉치레에 지나지 않으며, 정신적 가치를 배제한 채 외적 교양에 치중하는 상류사회의 보수적 형식주의를 드러낸다. 이 소설에서 제임스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현대화되지 못하고 단순히 피상적이고 왜곡적인 틀에서 답습되는 교양을 통해 미국 문화의 편협성과 보수성을 풍자한다. 제4장의 『프린세스 카사마시마』에서는 근대 산업 문명의 비속성에 대한 러스킨과 아널드의 비평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런던 군중의 군집성과 몰개성을 취향 또는 교양의 부재의 특징으로 고찰한다. 귀족인 아버지와 하층민 범죄자인 어머니 사이에서 귀천간의 결합으로 태어난 하이어신스 로빈슨(Hyacinth Robinson)은 부유하고 화려한 도시로서의 면모뿐만 아니라 빈곤과 범죄의 온상지로서의 이면을 가진 근대 도시 런던의 양면적인 모습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귀족의 후예이자 도시 하층민 노동자라는 이중 정체성을 가진 하이어신스는 둘 중 어느 세계에도 속하지 못한 중간자적 입장에서 두 세계를 경험한다. 아버지로부터 심미적인 성향을 물려받은 하이어신스는 도시 군중의 군집성과 몰개성을 취향 또는 교양의 부재에서 기인하는 비속성의 표식으로 혐오한다. 또한 그는 하층민과 귀족 세계에 대한 이분법적 선입견을 바탕으로 비속성을 오로지 하층민의 세계의 속성과 결부하고, 귀족 세계를 절대적인 아름다움으로 낭만화한 나머지 두 세계에 존재하는 비속성, 그리고 아름다움과 추함의 본질을 직시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한다. 그러나 결국 하이어신스는 모든 계급이 저마다의 비속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 자체에 아름다움과 추함이 공존한다는 사실을 깨달음으로써 종전의 미추에 대한 개념을 수정하게 된다. 즉, 그는 인간의 삶 속에는 비속성과 교양 또는 추함과 아름다움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존으로 인해 아름다움의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한다는 것을 직시한다. 이 소설에서는 계급적 편협성이 교양과 대비되는 근대의 비속성으로 인식되는 동시에, 비속성이 아름다움의 이면 또는 엄연한 삶의 현실로 인식된다는 특징이 있다. 근대의 비속성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은 한편으로는 근대화를 바라보는 러스킨과 아널드의 비판적 시각을 공유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러스킨의 감정적이고 경직된 반응 대신 아널드의 사심 없는 비평적 자세를 수용함으로써 근대의 새로운 일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제임스의 현대적 인식을 보여준다. 제5장의 『대사들』에서는 러스킨의 신사다움과 아널드의 교양 철학이 이상적으로 구현된 램버트 스트레더(Lambert Strether)의 도덕성을 ‘고답적 전통’(Genteel Tradition)의 엄격한 도덕주의와 대비함으로써, 교양의 도덕성에 대해 탐색한다. ‘고답적 전통’은 뉴잉글랜드의 소수의 청교도 공동체를 중심으로 미국인들의 의식에 깊게 뿌리 내린 유럽의 전통문화를 의미한다. 미국 건국 초기에 소수의 청교도 정착민들로부터 시작된 ‘고답적 전통’은 엄격한 도덕주의를 강조하는 칼뱅주의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급변하는 근대의 미국 사회에서는 통용될 수 없는 낡고 경직된 구습이다. 고답적 전통을 상징하는 뉴섬 부인(Mrs. Newsome)은 소설에서 한 번도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스트레더의 도덕의식을 강력하게 지배하는 인물이다. 뉴섬 부인은 외아들인 채드 뉴섬(Chad Newsome)이 유럽에서 몇 년간 귀국하지 않자 그의 배후에 사악한 유럽 여자가 있을 것이라고 미리 단정하고, 약혼자인 스트레더에게 채드를 귀국시키는 대사로서의 임무를 부여한다. 대사로서의 임무를 위해 미국 울렛(Woollett)을 떠나 유럽에 상륙함으로써 시작되는 스트레더의 유럽 여정은 그가 고답적 전통의 선입견에서 탈피하는 인식상의 성장을 보여준다. 그는 울렛과는 대조적인 유럽의 자유롭고 다채로운 환경에서 채드와 비오네 부인(Madame de Vionnet)의 정체, 그리고 그들의 관계를 자신만의 시각으로 재해석한다. 스트레더는 비오네 부인의 아픔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도덕적 상상력이 결여된 채드의 비인간적인 면모를 바탕으로, 마침내 그를 ‘신사’가 아닌 ‘짐승’으로 규정한다. 비오네 부인을 버리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채드의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행동은, 뉴섬 부인과의 약혼 관계가 끝났으나 대사로서의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스트레더의 신사다움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이 소설에서 이타심과 자발적이고 깨끗한 양심에 따라 행동하는 스트레더의 도덕적 자질은 러스킨이 정립한 신사다움의 정수이자 아널드가 교양 있는 인간의 완성의 조건으로 제시한 헤브라이즘(Hebraism)과 헬레니즘(Hellenism)의 결합을 구현한다. 또한 스트레더의 도덕성이 청교도 문화의 전통적인 도덕주의에서 자유로워지는 과정은 미국인들의 의식에 뿌리박힌 전근대적인 엄격한 도덕의식이 복잡하고 다양해진 근대의 현실에 적합한 도덕성으로 진화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제6장의 결론에서는 헨리 제임스의 작품에 나타난 교양과 비속성이 러스킨과 아널드의 문화 비평을 아우르는 개념일 뿐만 아니라 근대의 새로운 시각으로 이전 시대의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그의 현대적 비평 개념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제임스의 유연한 시각은 미국인이면서 유럽인이며 사실주의자이면서 모더니스트로서의 그의 중도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바탕으로 구현된, 삶의 비평가이자 예술가로서의 그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는 특징으로 부각된다. This thesis aims to explore 'culture' and 'vulgarity' in the novels of Henry James as the modernized concepts of criticism, which combine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nineteenth century with the modern perception of the twentieth century. Culture and vulgarity are subjects of cultural criticism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which the dominant cultural logic of the period is embedded. The word 'vulgar,' originally meaning ordinary people or their language, carries an intention of condemnation or contempt. Such negative feelings attached to the expression display a strong resistance to modernity, which clashes with the traditional values of the nineteenth century. At a transition point to the new era, the nineteenth century was in a state of confusion and in turmoil as the existing sociocultural values lost their dominance due to rapid changes such as industrialization, mechanization,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In the rising tide of modernization, the conventional social order and norms began to collapse, and in particular the moral standards became ambiguous, leading to anarchy in extreme cases. Accordingly,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the previous century, the ugly developments of modernization such as a break with tradition, social disorder, and a loss of morality were defined as 'vulgar' causing resistance and distaste. In reaction against the modern vulgarity emerged the ideal value of 'culture.' In the concept of culture lies human values such as social order and norms, and morals, which were regarded as essential not only for the growth of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purific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entire society which had been vulgarized by modernization. The notions of culture and vulgarity in James's novels are based on this cultural context of the nineteenth century valuing tradition, morality, and authority. However, his concepts are far from a traditionalist conservatism of simply rejecting modernity and sticking to an old way of thinking. Rather, James modernized the notions by critically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conventional cultural tradition in a modern reality. James's views on culture and vulgarity are built upon the ideas of the two representative social critics, John Ruskin and Matthew Arnold. Both critics proposed 'gentlemanliness' and 'culture' respectively to restore human values which were on the verge of being lost due to modernization. They emphasized the need of acquiring and disseminating 'gentlemanliness' and 'culture' in order to arouse people's mind to class selfishness and provincialism generated by industrial capitalism. Ruskin's theory proposes that the important sign of a true gentleman is in moral sensitiveness or sympathy, while selfishness or a lack of sympathy towards humanity is the mark of vulgarity. In Arnold's philosophy, culture means a critical spirit seeing things as they really are, whereas rigidity or narrow-mindedness in thinking is connected with vulgarity. Ruskin's gentlemanliness and Arnold's culture share important similarities first as an universal idea applied to everyone beyond class. Also, both 'gentlemanliness' and 'culture' put emphasis on spiritual values to enrich people's lives, and altruism and social relations based on humanity. Therefore, the ideas of Ruskin and Arnold transcend a superficial culture of the aristocracy and a snobbish culture of the middle class. These ideal notions of the social critics are clearly contrasted with the vulgarity of class selfishness and intellectual narrowness caused by modernization. However, while Ruskin was overly strict and emotional in his reaction to the changing reality of the time with the existing social order being threatened by the advent of modernization, Arnold saw the reality in a more liberal and detached perspective. James's aesthetic vision projected in his notions of culture and vulgarity demonstrates an ideal combination of Ruskin's moral aestheticism, which perceives moral sensibility and aesthetic sensibility as single and unified, and Arnold's culture theory, which sees things in a detached and balanced way. James's life philosophy is presented through various aspects of culture and vulgarity in The Portrait of A Lady (1881), The Bostonians (1886), The Princess Casamassima (1886), and The Ambassadors (1903), and each novel indicates his modern perception reinterpreting the cultural values of the nineteenth century. Chapter Two examines Isabel Archer's growth as a lady in The Portrait of A Lady as a cultivation of social refinement with cosmopolitan manners by applying Ruskin's moral aestheticism and Arnold's critical spirit. In this novel, American and European civilizations are expressed through manners of characters representing each region, and their manners reflect relative perceptions of culture and vulgarity of the two regions. The manners of innocent and simple-minded Isabel, who lacks a diverse social experience, reveal the cultural level and ideal of young and uncivilized America. By experiencing international conflict of manners in the foreign European environments of England as a world of history and tradition, France as a social world, and Italy as an aesthetic world, Isabel not only realizes the fallacy of her self-centered American perspective, but also sees moral corruption inherent in European civilization. In this novel, the ideal social refinement is exemplified as cosmopolitan manners of ideally mixing American moral integrity and refined European social manners, while vulgarity is characterized as provincialism adhering to certain national perspectives. This novel emphasizes social conventions and traditions as an essential element to enrich human life, but at the same time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sociality by suggesting cosmopolitan manners as a flexible and open-minded attitude suitable for modern society. Chapter Three investigates culture as a guise or mask by analysing class selfishness and provincialism of the upper South and North in The Bostonians, based on the ideas of modern vulgarity of Ruskin and Arnold. Basil Ransom, a Southern male chauvinist with slaves and a planation, and Olive Chancellor, a radical Northern feminist from an upper middle-class background are still stuck in an antiquated mindset of the past in the face of a rapidly changing modern reality. Basil's anachronism and rigidity is revealed through his attitude of practicing chivalry of the Old South by focusing only on its etiquette, rather than on its spiritual values. His southern chivalry as a ruined aristocrat takes on the nature of a distorted culture, in that it is not only an old way of thinking, lagging behind the changing times, but also an expression of superiority to the North. Olive, who comes from 'Boston Brahmins,' Boston's traditional upper class, stands for an aristocratic sense of superiority and moral hypocrisy of a small and isolated Northern high society. In particular, her parlour, decorated with many kinds of ornaments, represents the vulgar taste of the northern upper class that shows off culture through materialism. Olive's vulgarity reflects the cultural limitations of the North that adopts the culture of European nobility as a means of flaunting its sense of class superiority. The old-fashioned and exclusive upper class culture represented by Basil and Olive reveals vulgarity, in that it is nothing more than a distorted guise covering their snobbery which pursues external refinement without spiritual values. This novel satirizes the provincialism and conservatism of American culture by criticizing a false refinement that imitates old practices in a superficial and distorted way, while failing to modernize in line with the times. Chapter Four deals with herding and deindividuation of the London crowd in The Princess Casamassima as a manifestation of the lack of culture, or vulgarity, based on cultural criticism about modern vulgarity of Ruskin and Arnold. In this novel, modern London is portrayed as a contradiction; on the bright side, it is a prosperous and splendid city but on the dark side it is a hotbed of poverty and crime. The two sides of modern London are projected onto Hyacinth Robinson, who was born from a morganatic marriage between an aristocrat father and a lower-class criminal mother. Hyacinth, who has a dual identity as an aristocratic descendant and a member of the urban working class, experiences two worlds without fully belonging to either of them. Through the eyes of Hyacinth who inherited an aesthetic sensibility from his father, the crowding and deindividuation of the urban mob are captured as a sign of vulgarity lacking taste or refinement. He fails to understand the vulgarity of the two worlds, and the nature of beauty and ugliness by associating vulgarity only with lower-class and idealizing the aristocracy as an absolute beauty, which indicates his dichotomous preconceptions about the two classes. However, later he realizes and accepts that vulgarity or ugliness coexists with refinement or beauty in human life, and the coexistence rather enhances the values of beauty. In this novel, class provincialism is perceived as a modern vulgarity opposed to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vulgarity is accepted as the other side of beauty or the facts of life. This perception of modern vulgarity reflects the fact that James on the one hand basically shares the critical perspectives of Ruskin and Arnold, but on the other hand he develops his own modern perception by accommodating Arnold's detached critical attitude, rather than Ruskin's rigid and emotional one. Chapter Five explores a moral aspect of culture by contrasting Lambert Strether's morality in The Ambassadors, which displays an ideal combination of Ruskin's gentlemanliness and Arnold's culture, with strict moralism of 'Genteel Tradition'. Genteel Tradition is an old European culture deeply rooted in the consciousness of Americans centering around a small and isolated group of Puritan settlers in New England. Originating from a small community in the early days of America's national founding, Genteel Tradition is based on Calvinism which emphasizes rigid moralism. The Tradition refers to an outmoded and static old tradition of America that loses its foundation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American society. In this novel, the Tradition is symbolized by invisible Mrs. Newsome, who dominates Strether's moral consciousness. She sends her fiance, Strether as her ambassador to Europe in order to fetch home her only son Chad Newsome, who is believed to be seduced by an evil European woman. Strether's journey to Europe from Woollett, Massachusetts is described as a growth in his perception breaking away from prejudices of Genteel Tradition. In a liberal and diverse European environment contrasted to a rigid and monotonous life in Woollett, Strether reinterprets from his own point of view the identities of Chad and Madame de Vionnet, and their relationship. Strether ultimately defines Chad as 'a beast', not 'a gentleman' based on his lack of moral imagination and sensitivity toward Madame de Vionnet who will suffer from a broken heart after he leaves. Chad's irresponsible and selfish behavior of abandoning Madame de Vionnet and returning to Woollett is sharply contrasted with Strether's gentlemanliness of returning to Woollett without avoiding his responsibility as an ambassador although his engagement with Mrs. Newsome comes to an end. In this novel, Strether's morality, which acts on altruism, conscience, and free will, is depicted as the ideal model of Ruskin's gentlemanliness, and combination of Arnold's Hebraism and Hellenism. The evolution of Strether's morality from the conventional moralism of Puritan culture into a transcendental morality, symbolizes the process that the rigid and strict moralism in Americans' consciousness is adjusted and transformed as a flexible morality, befitting in a more complex and diverse modern reality. Chapter Six concludes that the concepts of culture and vulgarity in James's novels not only reflect the cultural criticism of Ruskin and Arnold but also illustrate James's modern perception which critically reinterprets the cultural values of the past. The flexible perception contained in these notions serves as a significant feature to prove James not only as an artist but also as a critic of life, which was realized through his own neutral and free life both as an American and as a European, and both as a realist and as a modernist.

      • 가장 있음 직한 형식의 요정이야기 : 헨리 제임스의 유령이야기와 리얼리티

        유상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51

        헨리 제임스는 실제를 재현하는 문제에 관해 19세기 리얼리즘과 20세기 모더니즘 관점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제임스의 노력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품은 유령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제임스의 첫 유령이야기부터 1890년대 유령이야기에 이르는 8편의 유령이야기를 분석하여, 현실 재현에 관한 제임스의 입장을 밝히고 『나사의 회전』 에 대한 새로운 읽기를 시도한다. 1장에서는 1864년도부터 1890년대 초반에 쓰인 세 편의 유령이야기 「어떤 오래된 옷의 로맨스」(1868), 「유령에 홀린 임대집」(1876), 「에드먼드 옴 경」(1891)을 분석한다. 초기유령이야기에서 제임스는 유령의 실재성에 관한 기존의 근거들이 잘못 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여 리얼리티의 본질과 그 인식 근거에 대해 다루려고 시도하지만 결국 유령의 존재가 초자연적인 현상임을 가정한 뒤, 유령을 대면하였을 때 드러나는 인물의 무의식에 집중한다. 그 결과 유령이라는 소재를 통해 현실 세계에서는 인식할 수 없었던 심리적 영역이 실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 1890년대 유령이야기인 「사적인 삶」(1892), 「오웬 윈그레이브」(1892), 「죽은 자의 제단」(1895), 「친구들의 친구들」(1896)을 분석한다. 이 네 편의 작품은 유령의 존재를 주장하는 인물을 등장시키며 유령이 실재하는지 만약 실재한다면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관해 문제를 제기하는데, 초기유령이야기와 달리 유령을 초자연적 현상으로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령을 목격한 인물 외에는 실재성을 알 수 없는 것으로 끝맺음한다. 제임스의 유령이야기는 이와 같이 유령의 실재성을 논의의 대상으로 남겨두기 때문에 기존 비평에서 제임스 유령이야기를 분석하기 위해 활용한 프로이트의 이론은 유령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임스 유령이야기에 들어맞지 않게 된다. 이 작품들은 오히려 유령의 존재 가능성을 인정하고 그 인식 근거에 대해 탐구한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으로 분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각 인식 주체가 각자의 리얼리티를 구성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더라도 유령은 실재할 수 있으며, 자아가 분열될 때 초자연적 세계의 유령이 현실 세계로 들어올 수 있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으로 제임스 작품을 분석하게 되면, 제임스 역시 의도적으로 각 인물이 서로 다른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령을 목격한 인물만이 유령의 실재성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임스는 이를 통해 각 인물들이 자신만의 리얼리티를 구성해나가는 심리적 과정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이전 유령이야기에서 발견되는 리얼리티에 대한 제임스의 입장과 윌리엄 제임스의 이론을 통해 『나사의 회전』(1898)을 분석한다. 이 작품 속 가정교사의 심리는 윌리엄 제임스가 분석한 다중인격 히스테리 환자들의 전형적 증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가정교사가 이와 같은 다중인격 환자라면 그녀의 분열된 자아를 통해 유령이 실재할 가능성이 생긴다. 특히 이 작품은 가정교사의 심리 속에서 그녀의 상상 속 세계가 의식을 분열시키고, 의식 분열이 그녀의 시각에 유령을 나타나게 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상상의 세계와 현실 세계가 명확히 구분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윌리엄 제임스는 존재와 비존재 사이에 “가능성의 세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제임스는 가정교사의 심리 속에서 상상 속 세계와 현실 세계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을 묘사함으로써 이 “가능성의 세계”가 의식 속에서 구현되는 과정을 문학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제임스가 서문에서 왜 가장 이상적인 유령이야기를 “가장 있음 직한 형식의 요정이야기”라고 표현했는지 알게 해 준다. 그의 유령이야기는 초자연적 세계와 상상/로맨스의 세계를 다루고 있는 “요정이야기”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 세계에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가장 있음 직한 형식의 요정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얼리티에 대한 제임스의 독특한 생각을 바탕으로 그의 유령이야기를 첫 작품부터 분석하게 된다면, 그의 유령이야기가 리얼리즘과 무관한 초자연적 이야기가 아니며 오히려 리얼리티의 본질과 그 근거에 주목한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임스의 유령이야기는 19세기적 리얼리즘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여 20세기 모더니즘에서 엿볼 수 있는 리얼리즘에 대한 생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헨리 제임스의 『나사못 조이기』에서 서술의 모호성

        백애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논문은 헨리 제임스(Henry James)의 『나사못 조이기』(The Turn of the Screw)에서 모호성(ambiguity)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임스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나사못 조이기』는 출간 이 후 독자와 평단으로부터 지속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소설의 해석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작품에 대한 이론적 흐름은 크게 프로이트적 분석과 전통적 해석의 두 갈래로 나뉘며 양측의 공방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 외에도 다각적으로 소설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끊이지 않았는데, 이처럼 『나사못 조이기』를 둘러싼 수많은 담론을 양산하는 토대가 되는 것은 작품의 모호성이다. 제임스는 작품에서 여러 가지 서술구조와 기법을 사용하여 작품의 모호성을 심화시키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설의 모호성을 각각 서술구조에서 비롯된 모호성, 신뢰할 수 없는 화자로 인한 모호성, 서술기법에서 기인하는 모호성으로 나누어 연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