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行政學의 파라다임에 關한 硏究 : 獨自性 危機와 關聯하여

        손영배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807

        After Woodrow Wilson's "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published in 1886,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discipline have developed through a century. Nevertheless, public administration was enlarged to a considerable degree in its field of concerns for such a short time. Especially, after World WarII. administrative phenomena became so diverse and heterogenous that the traditional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could not explain them scientifically. Therefore, many scholars and public administrators had to accept methods and approaches from other adjacent social sciences such as political sciences, sociology, psychology, economics and so forth. The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is due to the extensive and disordered acceptance of methodoligies for theory - building. Problems raised by those engaged in theory- building of public administrat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leading paradigm in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Second, it lacks the main focus because of so many diverse foci. Third, the traditional theorizers are being challenged by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school. Fourth, there are no original scientific languages in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To solve these four problems, this paper suggested as follows : First, the future of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emphasiz the directions of middle range theory. Because it must evade the distinguishable uniformity and principle of the past, find out all of aspects and variables in relation with problems from a diverse viewpoints. Second, according as the object of study in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extending continually, it has to analyze its phenomena being connected with the open system of public administration. Third, the major purpose of public administration is to achieve the multi-valuable emphasis on the ultimate values. Thus, it has also included the new standards of public administrative appreciation through the amendment - responses, representatives, responsibilities - regardless of the pursuit of efficiency, democracy and social public administration. But, the more time is going on, the more seriousness of the scopes and t- he methods related with public administration's identity crisis are increasing. In order to search these problems with the consistent system, this study manage to endeaver all possible efforts.

      • 행정고등고시와 행정학 교육에 관한 연구 : 행정고시 행정학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이애진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그 동안의 한국 행정학이 어떠한 변화 과정을 통하여 발전되어 왔으며, 어떠한 연구부문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는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 되었다. 특히, 행정학이 시대적 특성과 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실제 공공부문의 관리자를 양성하는 교육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학 연구경향과 행정학 교육적 측면으로서 행정학 교과서의 교육 내용이 행정실무가를 배출하는 관문인 행정고등고시 행정학 시험문제 내용의 경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 되었다. 한국 행정학 연구의 경향과 교육내용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경향 분석 결과와 교과서 분석의 연구결과를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기준으로 행정학 출제문제 내용분석 결과와 비교를 시도하였다. 또한 기존 행정학 개론서 분석에 추가적으로 최근 행정학 수험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구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행정학 연구 영역과 행정학 출제 영역에서 행정이론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행정학 출제 문제의 경우 전반적으로 행정개혁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도입된 제도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행정이론과 가치, 이념 등과 연계하여 한국 행정 현실에서 적합성, 평가 등 전반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동안의 행정학 교과서(개론서) 내용구성은 행정학 연구경향과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정부의 변화나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변화되고 시대적 수요를 반영하여 왔으며, 그 주요 구성은 인사, 조직, 재무를 주축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교육내용 구성에 있어 교과서 수요자가 주요 고려 대상으로 포함됨으로써, 행정고시 준비생들이 행정학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 행정학자들이 집필한 행정학 교과서를 통해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와 행정학이 아니면 다룰 수 없는 행정의 가치들을 전달받도록 해야 할 필요성을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과정에 있어서 기존학자들의 행정학 연구경향의 결과와 개론서의 흐름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비교의 범위가 제한적 이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차후 행정학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분석을 통해 연관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행정학 연구와 행정학 교육의 연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행정학의 연구경향 : 2008-2012 :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김성민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2008-2012년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회보에 게재된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의 주제와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자 속성, 기타 연구환경, 키워드 범주 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행정학의 최근 연구경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행정학 관련 주요 논의와 방향의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들은 행정환경 변화와 공공문제,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등에 대응하여, 연구의 관심과 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조직 내부적으로는 행정개혁과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가 많으며, 외적으로는 거버넌스와 갈등관리, 시민사회, 사회적 약자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대상의 확장과 새로운 이론 및 연구방법의 도입은 문제지향성과 연합학문지향성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학의 성격에 기인한 것이지만, 한국적 맥락에 부합하지 않는 이론의 무분별한 도입과 유행에 따른 연구주제 변화가 행정학의 정체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하기에, 엄격한 관찰과 이론의 형성 및 검증, 행정학 개념의 축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연구의 성격에 있어서 현실에 대한 처방과 이론적 검증 및 함의 제시를 동시에 하는 연구들이 많아 논문의 성격을 바탕으로 이론지향성과 문제지향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학계 내에서 연구방법의 엄격성과 연구결과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이론지향성과 문제지향성에 대한 평가와 비판, 토론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한편 행정철학, 가치, 이념 등을 통해 현상에 접근하는 규범적 연구가 부족하기에, 연구 비율에 있어서 설명과 처방, 규범에 대한 균형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이론을 검증하거나 이론을 통해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와 기준의 설정을 통해 현상을 평가하거나 개념을 측정하는 연구가 많은 것에 비해 현실에 대한 기술과 탐색을 통해 새로운 이론을 형성하는 귀납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질적연구방법에 있어서 2차인용자료를 통해 이론에 따라 현상을 설명하는 사례연구 비율이 높아, 민족지학적 연구방법과 내용분석 등을 활용한 질적자료의 분석 및 해석적 접근이 부족하다. 한편 양적연구의 경우, 설문을 통해 횡단면 연구를 하는 비율이 높아, 시간의 고려가 필요한 분석의 경우 연구자들이 장기적 연구설계를 통해 횡단면-시계열 자료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설문의 경우, 비확률적 표본추출과 표본 대표성 문제 등의 한계 속에서 표본오차의 발생가능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양적 분석기법은 자료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교화 되고 있지만, 무조건 최신의 분석방법을 활용하려 하기보다는 가장 적합한 분석방법을 선택하고, 기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결과 해석에 반영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연구자 특성에 있어서 공동연구와 3인 이상 저자 연구의 비율은 과거에 비해 상승하였으며, 연구자간 관계는 연구자 소속과 출신학교의 인적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구자의 소속과 학위수여 대학이 소수의 기관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타전공 학위수여자와 공공부문 소속 실무자 비율이 매우 낮아, 연합학문과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행정학의 특성과는 부합하지 않았다. 한편 정부(교육부)와 학교, 학회는 연구지원금과 학회발표, 학위수여 논문 등을 통해 행정연구자의 연구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계 내에 창의적 연구를 권장하는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정부, 학교, 학회의 연구자들에 대한 지원과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 東學의 合理性 理論에 대한 硏究 : 베버의 觀點과 對比하여

        조대현 京畿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7791

        이 글은 동학사상이 지니고 있는 근대성 내지는 합리성의 이미지를 서구적 합리성, 즉 서양 근대성에 대한 막스 베버의 분석과 비교하여 보는 것을 주제로 한다. 합리성은 그 개념 자체가 대단히 애매모호한 것이며 상황에 따라 다의적 혹은 상대주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현대적 합리성 이론의 시조라 할 수 있는 베버에서부터 최근의 허버트 사이몬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합리성은 그 순수한 논리적 형식에 있어서는 오직 하나뿐인 합리적 기준이나 상태를 상정할 때에만 성립할 수 있는 개념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구체적 현실에서 사람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내용들은 항상 인간적, 역사적 제약에 의해 규정되어 왔다는 것이 베버를 비롯한 가치다원주의자들의 공통적인 해석이다. 베버의 설명처럼 합리성의 현실적 내용은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는 이해되기 어려운 것이다. 실재의 인간들이 합리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가치체계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며, 다시 그 가치체계를 성립시킨 것은 그 사회의 역사적 경험이겠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사회가 가지고 있는 합리성의 개념은 합리성에 관한 하나의 절대적 범주이기보다는 만일 조건이 변화한다면 바뀔 수도 있는 일종의 ‘이론’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각 사회가 발전시켜 온 합리성 이론이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라면, 그리하여 미국인들이 일반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내용과 한국인들이 합리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내용이 서로 다를 수 있다면, 그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대단히 유익한 작업이 될 것이다. 만일 베버의 주장처럼 이 차이가 사실이라면 미국 행정학자들과 한국의 행정학자들은 비유하자면, 합리성이라는 같은 개념을 두고도 동상이몽의 처지에 빠져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한국의 행정학자들이 학문적으로 서양인들과 동일한 합리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행정학자가 아닌 한국인들 일반이 가지고 있을 합리성의 개념은 서양과 다른 것일 수 있다. 아마도 현대 한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개념은 서구적 개념과 한국 전통의 관점이 혼합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개념적 차이가 한국의 행정현실과 행정학 연구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은 대단히 클 것임에 틀림없다. 한국 행정학이 이 영향을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그 차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구적 변용이 본격적으로 가해지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한국 고유의 합리성 이론을 동학을 통해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확인된 합리성에 관한 한국적 이론을 서양 근대사회에서 발전한 합리성 이론에 대한 베버의 분석결과와 대조하여 보았다. 베버는 서양 근대사회가 이룩한 합리성의 한 형태를 그 발생과정과 특이성, 한계 등에 비추어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버는 서양사회가 목적-수단 합리성과 형식합리성을 일면적으로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고 진단하였다. 베버의 합리화론은 이러한 서양 특유의 합리성이 발전하게 된 계기와 원인을 추적하였다. 합리화에 있어 베버는 종교적 관념의 역할에 특히 주목하였다. 베버는 서양의 근대적 합리성이 발달하게 되는 정신적 기반은 프로테스탄티즘이었다고 해석하였다. 베버에 의하면 역사적으로 중국사회가 서구와는 구별되는 합리성의 한 형태를 발전시킨 것은 유교와 도교의 종교적 에토스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베버는 중국의 유교가 이념적으로 가치합리성과 실질합리성을 중시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세계에서는 도교의 주술적 비합리성과 타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논평하였다. 그러나 베버는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였던 동양적 합리성의 이념이 서구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해 하나의 대안적 처방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본 논문은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이 지니는 이러한 대안적 성격을 동학사상 속에서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프로테스탄티즘과 서양 근대의 합리성에 대한 베버의 분석과 동학사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을 비교해 보는 연구전략을 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첫째, 한국인들이 역사적으로 발전시켜 온 합리성의 이론과 서양 근대의 합리성 이론은 내용적으로 서로 다른 특질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합리성의 비교를 위한 베버의 범주들은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을 적절히 포착해 내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셋째, 동양적 합리성은 相補性과 陰陽論的 사고방식, 氣哲學的 순환의 원리, 도덕합리성, 동양적 휴머니즘의 요소 등을 혼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동학사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神人合一의 정신과 지상천국의 이념은 한국사상사의 유구한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서, 합리성에 관한 한국 특유의 이론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동학사상 속에 반영되고 있는 한국적 합리성의 이론은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모형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한국 행정학의 학문적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유익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학을 비롯한 동양사상이 근대적 합리성의 발전에 유익하지 못한 영향을 미쳤다는 베버의 논평과 달리, 동학은 동양사상을 기초로 하였으면서도 한국인들의 근대적 각성과 합리적 인간형의 출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된다.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전통사상의 요소와 근대성이 반드시 서로 상충하는 것만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동학은 한국의 전통사상들과 서민들의 일상적 지혜 등을 흡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상적 지향과 사회적 효과에 있어서는 근대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 나아가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한 처방의 모색에 있어서도 참고할 만한 특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동학사상 속에「易」의 상보적 사고방식과 음양론적 개념, 종합화의 원리 등이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학사상은 상보적 합리성과 음양론적 합리성, 종합적 합리성 등을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동학의 중심교리인 侍天主는 휴머니즘적 지향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에 의해 빈번히 지적되어 왔다. 동학은 음양 상보성과 소통합리적 사고방식 등을 통해 휴머니즘적 성격을 띠는 侍天合理性의 경지를 교리적으로 체계화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동학사상이 구현하고 있는 합리성 이론의 최고의 형태는 시천합리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합리성의 다른 기준들과 달리 시천합리성은 실질적으로 정의된 개념이다. 여기에는 일정한 궁극적 가치체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시천합리성은 신인합일을 최고의 가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인합일주의는 그 하위 범주로서 동양적 인본주의와 평등사상, 공동체 정신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Rationality is one of the basic ideals in Public Administration. So, the way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rationality is of great importanc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essence, rationality is a concept of having only one ideal status. But it is rarely possible to define the ultimate meaning of rationality. This thesis adopted the theory of rationality from Max Weber as a theoretical model. In social sciences, with regard to the way of dealing with rationality, there are two polemical points of view in modern sociology: absolutism and relativism. Absolutists assume only one absolutely rational status. But the relativists assert that there cannot he absolutely rational knowledge, and we can only approach the human rationality under the conditions of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of the times. This thesis studied the theory of rationality from the viewpoint that is derived from a dialectical synthesis of absolutism and relativism. This point of view, which may be called 'dialectical approach', was elaborated by Ru¨diger Bubner, who is a philosopher in modern Germany. Max Weber suggested that Occidental concepts of rationality and Oriental concepts of rationality differ in quality. By means of wide ranging comparative analysis of Occidental and Oriental civilizations, Weber pursued the differences in courses, mechanisms and peculiarities of rationalization process between modern Western society and Oriental society. According to Weber, the types of rationality that have been advanced especially in modern Europe are purposive rationality in individual behavior and. formal rationality in social dimensions. In the modern age, Occidental societies developed into the societies of instrumental-formal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societies, including China, developed a kind of substantive rationality based on Confucian morality. Now, the point is the process of Oriental rationalization, that resulted in societies which is very irrational in formal standards. As compared to this, formal rationality of modern Europe had offere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ational capitalist system. Max Weber's social thought is a synthesis of three parts, which consists of economic explanations on the social base, religious ideological analysis of the super-structure and the theory of domination in social system. Therefore we may call Weber's perspective on society as 'a compound eyed view'. In the pre-modern era, Oriental societies had more positive conditions for the capitalism than Occidental societies, in respects of economic base and social structure. The reason why, in spite of the unfavorable conditions, only Western societies developed the rational capitalism in modern times is that a combination of religious ethos in Protestantism with capitalist economic system made better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formally rational culture in Western societies. Chinese Confucianism has developed no less rational spirit than Protestant ethic. However, unlike the Protestantism showing the 'selective affinity' for capitalist system, Confucianism of China had a selective affinity for the patrimonial domination system of Oriental societies. Due to these facts, Weber commented, development of modern capitalist system in China was retarded. Weber diagnosed Occidental rationality, which is based on formal rationality, as accompanying strict limits. Formal rationality is in conflict with substantive rationality. And in modern societies irreconcilable conflicts are in progress, in the criteria of substantive rationality. Weber was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Occidental rationality. He had a deep sympathy for the life of human being in the modernized world who cannot but make a contradictory choices of living. Weber thought of Oriental rationality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s of Occidental rationality. Because, in Weber's analysis, Oriental rationality have entirely different principles and ideological foundations from those of the Occident. Getting a clue from Weber's observations on the Western and Eastern rationality, this thesis traced Oriental rationality to its origin, contents and plans for the future. In this process, this thesis analyzed chiefly the Dong-Hak thought. As Gary G. Hamilton pointed out, Weber's study of Oriental society raised fundamentally negative questions on Chinese society and positive questions on Western societies. Weber made every effort at looking for the things that existed in Occidental societies, but not in China. Weber observed the Oriental societies in the standpoint of an European.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study Oriental socie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Orientals. Accordingly, this thesi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task of finding the factors that were in Oriental societies, but not in the Occident. This thesis tried to show the contemporary values of Oriental rationality, which are embodied in Dong-Hak thought,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to the analysis of Max Weber on the Occidental rationality. It seems that Weber set up six categories of rationality. Weber defined purposive rationality(ends-means rationality) and value rationality in individual behavior, formal rationality and substantive rationality in social dimension, and subjective rationality and objective rationality in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 But the fact that Weber's categories of rationality are insufficient for the tools of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rationality was proved by an analysis of the theory of rationality in Dong-Hak thought. So, in this thesis, an attempt was made to design some new categories of rationality.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Oriental theory of rationality is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Historically, both Western and Oriental thought have developed the concept of equilibrium. But while the concept of equilibrium in western thinking was, as it were, centered on the equilibrium by offset(balance of rival), to the contrary, the Oriental concept of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y equilibrium(balance in harmony). If we can characterize the Occidental rationality as bipolar rationality, we may also define the Oriental rationality as complementary rationality. Complementary rationality is a kind of synthetic rationality. It may be able to conceptualize the analytical rationality in opposition to the concept of synthetic rationality. It is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in the Science of Divination(the Science of Changes 易學) that had a great influence over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mentary way of thinking. So, the Oriental rationality may be called the Yin-Yang rationality. From Yin-Yang rationality we can distinguish some more sub-categories of rationality, that is to say Yin rationality and Yang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thought elaborated a method of thinking, that can be called communicative rationality, by the concepts of Qilogy(氣學). Western concepts of rationality differ from Eastern concepts in the fact that the former stressed the utilitarian side of rationality and the latter pursued the moral side of rationality. Dong-Hak inherited the philosophical tradition pursuing the unity of God and man, from the ancient Korean thought. By the spirit of God-man unity Dong-Hak elevated the Korean humanism to the highest stage in the world. In this sense, the theory rationality in Dong-Hak is a theory of humanist rationality. Humanistic rationality is the antonym of instrumental rationality which has been censured by the critical theorists of Frankfurt School. Dong-Hak is a thought that seems to embraced all the principles of Oriental rationalit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make moral and intellectual excellence for the Dong-Hak thought is the ideal of 'Si-Cheon-Ju'(means enshrine God). In short,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theory of rationality in Dong-Hak is founded on, so to speak, Si-Cheon rationality.

      • M. Walzer의 복합평등론의 행정학적 함의

        이상호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43

        사회적 형평성은 행정학의 매우 중요한 주제다. 행정학에서 사회적 형평성은 60-70년대 신행정학에 의해 중요한 논의의 주제로 부각되었다. 신행정학은 J. Rawls의 정의론에 기대어 사회적 형평성을 이론화하였다. 그러나 더 이상의 논의는 전개되지 못하고 있다. 행정학에서 사회적 형평성은 J. Rawls의 정의론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 어원으로 볼 때, 형평성은 맥락과 상황에 정의의 원리의 유연한 적용을 의미하는 조절 이념이다. 따라서 하나의 정의론에 국한하여 형평성을 논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형평성 이론을 발전시키려면 다양한 정의론에 대한 논의와 심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J. Rawls의 보편주의적 정의론에 반대하면서 다원주의적 정의론을 주장한 M. Walzer의 복합평등론을 연구함으로써 사회적 형평성의 행정학적 논의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모색하였다. Social equity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theory and practice in public administration.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1970s provoked social equity for discussion. social equity was based on the Rawls' Theory of justice. But, no further discussion to develop the theory of social equity has made and social equity has remained generally identical with Rawls' conception of justice in public administration. By nature, equity is an adjusting idea that flexibly applies the formal principles of justice to concrete situation. Therefore, it seems undesirable that the social equity is theorized on only one concept of justice, as there are many concepts. In order to develop the theory of equ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compare it with various conceptions of justice. This thesis examines theory of justice by Michael Walzer among the various theories of justice that are critical of Rawls' Theory of justice. The recommendation of Rawls is to apply the principles of justice to every social sphere universally. Walzer criticizes that Rawls' theory is simplistic. Because goods are socially valued and each good has a unique equity, it may seem valid to Walzer that various principle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goods. Walzer's theory of justice focuses on identifying the social goods and searching for the distributing principles fitting to each social good. So Walzer's theory of justice is named as a complex equality or theory of pluralistic justice. Because of flexibility, Walzer' theory has an affinity with the conception of equity. This thesis illuminates the potential of Walzer's theory of justice in developing the theory of equity, and argues the significance of Walzer's theory in public administration.

      • 行政學의 파라다임에 관한 硏究

        조주영 東亞大學校 1982 국내석사

        RANK : 247727

        Ⅰ. Introduction There is one way of explaining how public administration came to its present predicament. Thought in the field has been guided by three successive paradigm. Each Paradigm can be shown to pose major Problems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aradigmatic status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frame of reference for a normal science. And the historical approach and other several approaches were adopted as the method of this study. In the scope of this study, I classified the paradigm change of public administration into Traditional, Behavioral, and Humanist/Systemic paradigm. Each paradigm characterized according to four criteria that is, The matter of value, locus and focus, administrative variable, and structure for organizing work. Ⅱ. Theoretical Background of Paradigm.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term "paradigm" but it is used in two different senses. One is the entire constellation of beliefs, values, techniques, and so on shared by the members of a given community. The other is paradigm as shared examples (examplar). Ⅲ. Paradigms in Public Administration This chapt reviewed the practices of traditional paradigm and Behavioral Paradigm. First,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heory are: (1) The mission of administration was economy and efficiency (2) The focus of this paradigm was "Principles" of administration, and the locus was centered in the government's bureaucracy. (3) Dominant emphasis was placed upon limited structural elements. (4) This paradigm fixated on prescriptive, on how the public administrators world should be. Second, the behavioral paradigm was characterized by its concentration on the behavior of human beings, and by the explicit advocacy of scientific method. The real stuffs of this Paradigm were not the institution, history and law, but the behaviors of individuals. And public administration considered the "internal" stages of the public policy-making process. Finally, this paradigm was essentially descriptive. Ⅳ. Critical Comments on the Paradigms in Public Administration. Administrative phenomena were treated as if these paradigms were closed systems. The concept of rational- economic man represented the assumption about people underlying the traditional paradigm. But the rational man concept was replaced by the social man concept which was subsequently replaced by the self-actualizing man concept of the behavioral paradigm. The behavioral paradigm attacked the formal-structual approach and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ncertain or natural elements in organizational life. Ⅴ. Identity Crisis and New Paradigm in Public Administration This chapter is to grope for new paradigm-Humanist/Systemic paradigm-relating to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To begin, the third paradigm is called "humanist" because it places far stronger emphasis on the needs of the sovereign individual than does the behavioral model The second basic orientation in the third paradigm is called "systemic" because it proposes to utilize tools and models for analysis that are oriented toward maximizing some sort of broad social utility based on rigorous analysis of the most comprehensive possible set of social priorities and objectives. This Paradigm, then, is one huge conceptual suture seeking to bring together much that has been practically disparate. Critically, also, these theories and technologies are but recently and □□□□□ developed. This elemental fact is a source of substantial mischief Ⅵ. Conclusion When public administrationis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alue-orientation, public administration can be related closely to philosophy, science, and prescription. In this connection, the humanist/systemic paradigm rests on substantial bodies of theorie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both humanist and Systemic components. In sum, this paradigm is an attractive candidate for the academic status of Public administration, at least because of advantages being made from extraordinary science to normal science.

      • 行政學硏究에서의 接近方法에 대한 理解

        송영우 慶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711

        This study begins with two problem statements as. follows: "What's the best kinds of approach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What kinds of approaches can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pproache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o point out weakness of each approach. This study reviews textbooks of public administration published 1955 through 1984 in Korea. Content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s for this study was adopted. In this study, various techniques of content analysis is not applied because of the various constraints. By this reason, the research is confined to comparison of contents of textbook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ach approach has its own utility, relevance arid limits. Thirty-three kinds of approaches introduced in textbooks of public administration explain each side of complex administrative phenomena. Each approach, however, can not describe, explain and predict whole characteristics of public adminstration.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although contingency approaches are available, a comprehensive approach like 'The process of cumulative social science' can be developed.

      • 行政學의 正體性危機와 學問性定立에 관한 硏究

        배석보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711

        The problem of identity crisis in public administration is that public administration can come into being or not as a independent discipline. After Woodrow Wison's " The Study of Administration " in 1887,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discipline reacted to one century. But, despite of so short a time, public administration have been enlarged greatly in it's field of concern. Especially, after World War Ⅱ, administrative phenomena became so diverse and heterogenous that the traditional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couel not explain them theoretically. Therefore , many students aid public administrationists had to accept more methods and approaches from other sciences , such as, politics, sociology, psychologys economics, etc, than from public administration. The crisis of identity of public administration is due to these extensive, disordered acceptance of methodologies into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re the cause of the identity crisis in public administration is, and to establish where public administration may go. Because, there are various views as to concerning the cause of the identity crisis in public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by the traditional approach of public administration,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changed administrative phenomena after world Ⅱ. subject-matter, the problem of conceptual boundary, and variousness problem of public administration's object. On the other hands, it is the problems of paradigm on public administration by concept of paradigm T.S Kuhn presented, that is, much of it is concerned with what paradigm is. The important thing in public administration is how to achieve value-neutral approach by using scientific methods of study. New Public Administration thory emerged at the minnowbrook conference on September, 1968. The points emphasizing in this new theory are relevance, normative character, social equity, change, and participation etc. With these new values, thor surmount administrative conservatism, if not entirely disapproving traditional public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it is impossible that every discipline has a complete and independent reality of knowledge. Especially, because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open exchange of the theory of each discipline is prevalent, nowadays it is more impossible for every discipline to have a complete and independent reality of knowledge. Therefore, the problem of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can be resolved by the concepts 'locus' and 'focus' of public administration which was emerged in the late of 20 century. That is, when 'locus' is considered in relation with politics, and 'focus' is placed in administrative system, the identity crisis of public administration can be surmounted. Besides, according to this thesis the leading paradigm in the future will be a systematic-paradigm that views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as sub-system of political science, that emphasizes that public administration's original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 with political science. Last of all, Owing to devetion of her energy into introducing foreign theories, the Korea has suffered many difficulties in implant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Therefore we should pay heed not to satisfy the interpretation and introduce of foreign theories and approaches but to develop appropriate models and theories which go with our administra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