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양도시의 공간적 변화가 여가관광시설의 유형과 입지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 동명대학교 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해양도시의 공간적 변화가 여가관광시설의 유형과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부산의 사례를 통해 앞서 논의하였다. 해양도시의 공간적 변화는 친수공간의 변화를 통해 입증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변화 속에서 여가관광시설의 유형과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도시 변화를 통해 여가관광시설의 입지적 패턴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은 여가관광시설의 입지적 패턴이 해양형 도시의 변천에 따라 어떠한 입지적 요인을 통해 변화되는지를 살펴보고 입지적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연구를 문헌적 고찰을 통해 하였다. 부산의 사례를 통해 시계열적인 방법을 통해 시대적 상황에 따라 분류하였다. 또한 도시의 자연발생적 측면의 역사성과 도시계획을 통한 임의 발생적 측면을 동시에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들이 도시변천에 따라 호텔의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일정한 공간적 주기성을 가진다. 둘째, 도시의 변천과정에서 각각의 도시내부의 소도시들은 차별적인 변화패턴이 나타난다. 셋째, 해양도시의 변화는 친수공간과 함께 변화되어 가고 있다. 도시의 변화 요인은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공공정책적 요인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호텔 입지를 선정함에 있어서 시장의 접근성, 환경적 편의성, 관광자원의 연계성, 수익성의 4가지의 입지 요인이 도출되었다는 것이다. 여섯 번째, 친수공간과 여가관광시설은 관광자원 중심적 입지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친수공간의 여가관광시설의 입지적 패턴을 해양도시의 여가관광시설인 호텔의 입지적 패턴의 고찰을 통해 분석해 본 결과 나타났다. 부산의 변천에 따라 나타나는 여가관광시설의 입지의 패턴 분석의 내용은 앞으로 도시의 성장 패턴에 따른 여가관광시설의 입지를 선정함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다양한 여가관광시설의 연구 대상을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는 표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spatial changes on patterns and locatio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were already discussed through the case of Busan in this study. The spatial changes of ocean cities were able to be proved by the changes of waterfront area and the effects of the changes on patterns and locatio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were researched here. The purpose to understand locational patter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reflecting the changes of cities was to recognize a social historical significance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as a social unit and develop future plans that had a broad eye to historically examine the locatio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Therefore, the study was intended to draw and understand locational influencing factors by researching which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changes of locational patter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ocean cities. The method of the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by a literature review to verify the factors through the case of Busan as an ocean city. The objectives were the hotels, which were the most influential for locations among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Based on the history that was the periodic background of Busan, a time-series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objectives. Also, history from both aspects of natural occurrence of cities and artificial occurrence by city plan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firstly, cities had a regular spatial cycle. Second, small towns in each city had distinguishable patterns in the changing progress of cities. Third, location factors were extracted to 4 locational factors such as, approach for the market, environmental convenience, connection with tourism resources and profitability. Fourth, the change factors of cities appeared through an economic factor, a social factor, a public policy factor. Fifth, the changes of ocean cities accompanied with the changes of waterfront area and especially, tourism-centered locational patterns were displayed in the relation between waterfront area and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The results of locational patter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ities would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selecting locations of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conforming to the growing patterns of cities in the future. Also it would be suggested a sample that can be interpreted by various objectives for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

      • 해양건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건축적 사례 연구 : 해수면 상승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천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산업화 이후 지속되는 지구온난화는 20세기 이후 급격히 가속화되고 있으며, 현재 이로 인한 해수면 상승, 지반 약화, 지진, 이상 기후 등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 인간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는 해수면 상승이다. 해안선에 가까이 위치하며 대체적으로 지반이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 대부분의 주요 도시들은 향후 수십년 내에 상당수가 바다에 잠길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여러 국가와 기관에서 해양 도시계획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도시계획을 포함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해수면상승에 대응하는 방식은 ‘이주’와 ‘방어’에 기반하여 진행되었고, 이것은 자연을 대상화하는 이원론적 자연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방식으로, 현재에도 이를 보완하기 위해 끊임없는 재개발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체제, 철학적으로는 ‘순응’방식에 기반한, 자연과 행위의 관계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도시/건축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양건축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해양건축의 개념을 정립하고, 해양건축물의 용도, 위치 및 형태에 따라서 계획(위치)별 분류와 시설(종류)별 분류, 에너지 공급 유형(건축적 공간)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후 해양건축의 역사를 정리하여 발전과정을 살펴보았고, 국내외 해양건축 동향을 분석하여 현대의 연구 진행상황을 파악하였다. 사례의 선정과 분석은 해양에 위치한 건축물에 대해 인터넷 웹사이트와 일반에게 공개된 정보인 기사를 검색하는 방법을 이용하였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재난상황에 적합한 사례를 선별하기 위해 102개의 착공되었거나 기실현된 해양건축 사례들을 조사하여 이들 중 ‘이주’와 ‘방어’방식에 해당하는 연안에 위치한 사례들과 연면적 10,000m2 미만의 사례들은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8개의 ‘순응’방식에 해당하는 기실현된 해양 주거시설 및 도시를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8개 사례 각각에 대한 기본 개요, 건축적 형태, 건설기술, 에너지 유형, 운영방식, 재료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에너지유형별 계획특성을 정리하고, 정부(공공)주체사업과 공공-민간협력사업, 민간주체사업과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는 여러 대응방식 중 철학적으로 동양의 일원론적 사상에 기반하며 가장 지속가능한 방식인 ‘순응’방식에 해당하는 해양건축물들의 사례분석과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이 방식의 인식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는 건축 연구에서 필요한 세부자료와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ᅠGlobal warming, which has continued since industrialization, has accelerated rapidly since the 20th century, giving rise to problems such as sea level rise, ground weakness, earthquakes, and climate change. Among them, sea level rise is one of the factors that most heavily impcat human society. Most major cities, located close to the coastline and generally below sea level, are expected to be submerged in next few decades. To respond to this matter,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in states and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including new types of urban planning, such as marine urban planning. To date, however, most of the methods being discussed to counteract the rising sea levels are centered around "migration" and "defense" - concepts that remain in the dualistic view of nature, calling for constant redevelopment and compensation. ᅠ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urban/architectural plan tha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action based on a sustainable system, approaching from a 'conformity' standpoint. ᅠ Previous studies in relation to marine architecture were used as reference and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location, and form - which then were derived into planning (location), facility (type), and energy supply (construction space). Afterwards, the history and recent trends of marine architecture studies at home and abroad were closely analyzed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modern research. Cases were mainly selected and analyzed from open websites and public articles pertaining to marine buildings, apart from coastal buildings and facilities with a floor area less than 10,000m2. From these criteria, a total of 102 marine buildings were examined to select suitable cases that can be benchmarked in the case of a disaster brought by sea level rise. Finally, a total of eight pre-implemented marine facilities and cities were selected as main subjects of the study, demonstrating the aforementioned "conformity" method. The basic overview, architectural form, construction technology, energy type, operation method, and materials of each of the eight selected cases were investigated, and the investigated data were integrated and compared. Through this,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by energy type were summari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 (public) subject projects, public-private cooperation projects, and private subject projects were identified.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awareness of this method by analyzing the status quo of sustainable marine buildings that fall under the 'conformity' method. It is also meaningful in the respect that it provides detailed data that can act as a platform for future architectural research in response to sea level rises, as well as the basic reference data necessary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 포스트휴머니즘을 적용한 해안 매립지 재야생화 : 마산해양신도시를 대상으로

        박윤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6

        This study presents a proposal for the urban planning of Masan Maritime New City, focusing on rewilding as an initiative to incorporate posthumanist elements. ' Anthropology Beyond the Human', developed by Eduardo Kohn, serves as the primary theoretical framework throughout the application of posthumanism in the planning process. Masan Maritime New City is an artificial island completed in 2019 through coastal reclamation. Coastal reclamation has faced criticism for its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high costs, and uneven distribution of benefits. However, the global trend shows a consistent increase of land reclamation projects in coastal cities. In the 21st century, the rate of reclamation aiming at commercial and residential urban land development has increased, notably evident in East Asia. This development incorporates green space planning, introducing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humans are compelled to reinvite non-human beings to the places from which they were initially forcefully excluded.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within this contradiction, expecting to unveil new possibilities in coastal landfill planning by adopting a posthumanist lens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The application of 'Anthropology Beyond the Human' encompasses all planning stages, from interpreting site conditions to formulating goals and developing action plans. Key concepts such as 'densification', 'regrounding', and 'form' were employed. Ethnographic study methodology inspired by Kohn played a pivotal role in comprehending human and non-human relationships around Masan Bay. 'Densification' and 'regrounding' were identified as primary concepts and planning goals, emphasizing a holistic approach involving both non-human life and humans, without reducing participants to human language. The concept of 'form' facilitated the realization of the plan's goals by superimposing it onto existing patterns in Masan Bay. This choic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space is ultimately shaped by a variety of beings, without reductionist interpreta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or urban design. Through this comprehensive process, the study verifies the applicability of posthumanist theory to the field of urban planning. 본 연구는 재야생화를 중심으로 마산해양신도시 내부 계획의 방 향을 제안한다. 재야생화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요소를 계획에 도입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에두아르도 콘의 ‘인간 너 머의 인류학’을 주요 이론으로 채택하여 계획의 수립에 활용하였 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는 도시계획에 있어 포스트휴머니즘 접목 의 방법을 구체화한다. 마산해양신도시는 2000년대 초반에 구상되어 해안 매립을 통해 2019년 완공된 인공섬이다. 해안 매립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 향, 높은 비용, 사업 이득의 불공정한 분배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합당성에 대한 의문 제기를 받아온 개발 방식이다. 그러나 세계 각국 연안 대도시에서 매립지의 면적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21 세기에는 상업 및 주거 용도의 도시 용지 마련을 목표로 하는 매 립 사업의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는 동아시아에서 더욱 두드러진 특징이다. 도시 용지 개발에는 녹지 계획이 포함된다. 여기서 우리 는 매립의 과정에서 강압적으로 배제하였던 비인간 생명을 인간의 필요에 따라 다시 초대하는 모순과 마주하게 된다. 포스트휴머니 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렌즈를 장착하고 해안 매립지의 계획을 수립할 때에 그 모순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본 연구는 출발 하였다. ‘인간 너머의 인류학’은 대상지 조건의 해석, 계획 목표의 수립, 실 행 방안 구축을 포함한 계획의 모든 단계에서 활용되었다. 중점적 으로 사용된 개념은 ‘농밀화’, ‘재접지’, 그리고 ‘형식’이다. 대상지 조건의 해석에 있어 필자는 콘이 사용한 연구의 방법론을 차용하 여 민족지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은 마산만을 중심으로 형 성되어 있는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면밀하게 파악하는 데 핵심 적인 역할을 하였다. ‘농밀화’와 ‘재접지’는 본 연구의 주요 개념이 자 계획의 목표로 채택되었다. 농밀화와 재접지는 연결되어 작동 하는 하나의 과정으로, 여기에는 비인간 생명과 인간이 모두 포함 된다. 두 개념은 참여자의 역할을 인간의 언어로 축소하지 않기 때문에 생명은 네트워크의 한 기계적 요소가 아닌 생동감 있는 존 재로 남아있을 수 있다. '형식'은 계획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 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사용되었다. 필자는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마산만에 이미 존재하는 패턴을 위에 계획을 얹고자 했다. 이는 ' 계획'의 주체가 인간임을 부정하지 않는 동시에 공간의 형성은 결 국 다양한 존재들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이해를 기반으로 한 선택 된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비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담긴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을 도시 계획에 적용하 는 방법과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 마산해양신도시, 포스트휴머니즘, 해안 매립지, 재야생화 학 번 : 2020-24138

      • Mega-Float City

        강태윤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해상도시 개념의 Mega-Float City는 시․공간 및 환경적인 영향에 거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부유하며 이동하는 시스템으로 도시의 중심부 가까이 위치하며 도시 지역 사회 및 경제의 전반에 연쇄적으로 관계성을 맺는다. 이러한 해양도시의 공간은 현대 도시민의 휴식공간이자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도시 경제의 발전에 다양한 기회적 요인을 제공하는 원천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해양관광도시의 감각유산에 대한 인식이 감정반응(PAD모형)과 러브마크, 트랜스포메이션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의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WANG YINGRU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섬은 복잡한 도시와 떨어져 있어 한적함이나 정적인 분위기와 같이 육지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풍광을 가지고 있다. 물질 풍요의 세상 속에 있는 현대인들은 섬 방문을 통해서 단순한 관광이 아닌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안위와 치유 그리고 재충전을 원한다. 지금은 관광 트랜드는 애정도가 높은 곳을 자주 찾으며 감성을 느끼고, 삶의 의미를 되찾고 그곳에서 행복을 느끼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인간 고유의 감각을 찾아가는 관광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유경빈, 2018). 그런 면에서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섬인 제주도의 감각유산에 대해 되짚어볼 필요를 느끼며, 해양도시로서 제주도의 감각유산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감각유산 체험에 따른 감정반응(PAD모형), 러브마크와 트랜스포메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하였다. 특별히 제주도를 방문하는 외래관광객 중 방문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해양도시로서 제주도가 지닌 감각유산이 관광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주도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유산(고유의 소리, 미각, 촉각, 향기, 감성, 정취)은 감정반응(즐거움, 지배, 각성)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 감정반응은 러브마크(친밀감, 신뢰감, 신비감, 감성, 평판, 성과)와 트랜스포메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또 러브마크가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할 것인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유산 체험은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반응의 요인 중 즐거움은 러브마크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작성과 지배의 감정반응은 러브마크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반응은 트랜스포메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러브마크도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하여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통해 감각유산에 대한 인식이 관광객의 감정반응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어떠한 부분이 관광지 러브마크와 트랜스포메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줌으로써 관광목적지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제주는 해양도시로서 섬이 가지고 있는 감각유산을 관광객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정책수립을 해야 할 것이며. 관광객들이 감각유산 체험을 통하여 정신적·육체적으로 만족하고 사랑받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이벤트, 관광코스 등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Now, more and more people are going on a trip to relieve their stress. Tourists are not just sightseeing, but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charging is the goal.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impact on emotional adjustment (PAD model), love mark, and transformation based on sensory heritage experience through prior research centered on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This study studied marine city tourism for Chinese tourists who have visited Jeju Island. Sensory heritage (unique sound, taste, touch, smell, sensibility, and mood) that can be felt in Jeju Island is based on research purposes tha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actions (pleasure, dominance, awakening), and emotional reac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lovemarks (friendly, trust, mysterious, emotional, reputation, performance), spiritual relations to transformation, and love marks's positive impact on transmission.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experience of sensory heritag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ontrol. Second, among the factors of emotional response, pleasure does not affect lovemark, but writing and dominance have been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ovemark. Third, we confirmed that emotional reac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formation and that love marks have a high impact on the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need to study sensory heritage. Touring marine cities such as Jeju Island requires more travel events and tourism courses for tourists to make positive changes mentally and mentally.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can als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and tourist attractions through the lovemarking of sensory heritage by recognizing tourists' sensory heritage, recognizing lovemarks, recognizi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and classifying various tourists accordingly.

      • 메타볼리즘의 이론에 근거한 해양도시 설계에 관한 연구 : 베링해협을 잇는 선형도시 설계

        정병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0

        Metabolism had been appeared to solve the current urban problem. They made many plans by themselves and tried to make their own architectural style. One of their project to solve the urban problem is linear marine city. Metabolist announced their marine city plan on the site of Japan. It was not only innovative idea in modern architect but had a significiant role to make their unique architectural style, which was mixed with modern architect and orientalism. Despites of their fanciful and unrealistic characterisitic, metabolism give us another point of view for architect. It can give architects some advice to think and solve current problem and to prospect and make new urbanism and architect for future.

      • IPA를 활용한 해양도시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통영 · 여수지역을 대상으로

        최슬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소개한 야간관광 100선에 선정된 야간관광지 중 경상남도 통영과 전라남도 여수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 관광객의 야간관광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지역들을 포함한 국내 해양도시의 야간문화관광 현황과 수요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상품과 야간프로그램에 관한 개발방안을 제시하여 야간문화의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의 전환, 이미지 제고, 삶의 질 개선, 관광객 유치 등 야간관광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영시 또는 여수시의 야간관광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30일부터 2020년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236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SPSS 2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편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양도시(통영과 여수) 야간관광객 유치를 위해 두 지역을 같이 분석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야간관광 선택속성으로는 야간경관의 쾌적함 청결, 분위기, 다양한 음식점, 안전성속성으로 나타났다. 통영은 야간자연경관의 쾌적함 청결, 분위기, 다양한 음식점, 인터넷 정보 속성이 나타났으며, 여수는 지역의 특색, 야간경관조명시설, 분위기, 야간 투어, 다양한 음식점으로 나타났음을 3가지 IPA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지역 모두 해양도시로써 야간경관이 아름답고 먹을거리 또한 다양하여 앞서 언급한 선택속성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더욱 많은 야간관광객 유치와 재방문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개선되어야 하는 야간관광 선택속성은 통영과 여수지역 모두 3가지 IPA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난 속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야간관광 인프라 요인은 Martilla&James(1977)의 전통적 IPA와 Deng(2007)의 수정된 IPA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속성별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두 지역을 같이 분석하였을 때 다양한 교통수단 속성만이 3가지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났다. 통영의 경우에는 야간축제 및 이벤트, 야간교통이용의 편리, 다양한 교통수단, 숙박비용 속성들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여수는 야간교통이용의 편리, 관광 정보시설, 주차장시설, 숙박비용, 입장료비용 등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통영은 여수의 해양공원에 위치한 포차거리나 버스킹 등의 야간축제 및 이벤트문화가 몰려있는 ‘핫플레이스’가 없어 다양한 연령대의 관광객 유치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공간을 많은 숙박시설이 가깝게 위치한 지역에 조성하여 야간교통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여수는 넓은 해양공원과 근처에 위치한 식당, 카페 등의 각종 시설물로 관광 정보시설 설치가 필요하며, 주말의 경우 무료로 개방되어있는 해양공원 주차장으로 인해 일명 ‘알박기주차’로 많은 관광객이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두 지역 모두 유명 관광지 특성상 교통문제와 숙박비용으로 특정 요일 관광객 몰림 현상으로 교통문제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높은 숙박비용으로 인해 관광객 유치 기간이 짧아(평균 1박) 시에서 운영하는 숙박시설을 관광코스에 포함하여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등 다양한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를 활용하여 방법론적인 비교연구를 하였으며, 관광객 입장에서의 야간관광 선택속성 평가를 통해 향후 해당 지역 또는 여러 해양도시의 야간관광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도시마케팅 전략을 위한 해양관광레저스포츠 참여동기, 제약, 도시브랜드와 관광만족의 관계

        박상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322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rincipal marketing factors necessary to establish city marketing strategy and successful city branding to activate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by exami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mitations and the effect of city brands on tourism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734 visitors for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in Yeosu, Jeollanam-do in 2007~2008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motivation, participation limitations, city brands, and tourism satisfaction factor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of study used for the survey was self-administration,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was tested by sports and tourism marketing professionals(content validity) and pre-survey(basic validity), a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Materials analysis was made through technically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study hypothesis. Finall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motivation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types in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the highest perceived motivation was found in scuba diving, followed by sea fishing and travel.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limitation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types in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the highest perceived limitation was found in travel, followed by sea fishing and scuba diving. as a result of examin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city brand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types in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the highest perceived city brands was found in travel, followed by sea fishing and scuba diving. as a result of examin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urism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types in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the highest perceived travel satisfaction was found in travel, followed by sea fishing and scuba div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limitation on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the high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structural limitation, followed by in-personal and interpersonal limitation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city brands of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the high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social limitation, followed by intellectual and rest limitation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ity brands on tourism satisfaction, the high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diversity and public relations followed by quality and price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mitation, and the effect of city brands on tourism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types of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All research hypotheses were partially or entirely adopted and these study results empirically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es. Above all, the focus should be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offered to visitors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at marine tourism leisure sports and induce their revisit. Marketing mix strategy is also necessary to formulate the methods for diversity and public relations of facilities and programs perceived by marine tourists and price reduction.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marine tourists group, participation limitation factors were not divided into in-personal and interpersonal ones, but were acted as one factor.

      •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동북아 협력에 관한 연구

        두현경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ocean is our ground, and many kinds of economic activities have been made there. But as a result of these activities, lots of pollutants have been coming from one land area to another, and once it polluted, it expands to global pollutions. Korea, North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belong to the Yellow sea and the East sea coast, and therefore, if one nation pollutes a certain land area or part of the sea, it becomes a serious matter or in the worst case, a disaster for another count교 or countries. These seas are half-closed. To avoid such disasters all ocean or coastal nations should make more serious efforts for ocean conservations and strengthen environmental cooperation together. But all nations in this region have different and complicated relationships for a very long time. Also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for ocean environment policies, regulations and social understanding toward the same goal of oce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among the nations make ocean management more difficult. Since 1994, the NOWPAP has been organized a regional network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Northwest Pacific. After a closer look at other regional sea programs in Europe, I suggest useful, and applicable plans for this area because the NOWPAP is in the early stage. To solve the regional ocean pollution problems, we can benchmark the Mediterranean Sea program, one of the UNEP's regional sea program alike NOWPAP. Also, from a geopolitical point of view, the Valtic sea is quite similar to the NorthWest Pacific, and therefore, it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material to us.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Mediterranean Sea and the Valtic Sea programs are : First,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ocean pollution problems and have tried to find out some meaningful solu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neighbor countries. Second, they make a cooperative network system in the view point of long term base. Third, gathering all possible data and policy opinions not only from administrative authorities but also from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at ironing out the opinions actually affects the policy settlements. In order to protect the Northwest Pacific ocean environment, NOWPAP should have setup the authoritative agreement system. Due to the complicated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s, international agreements can not be made easily but, in long term, they must be made. And als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policy meetings, ocean surveillance and monitoring pollutant making would be an affirmative role for NOWPAP's early progress. Additionally, to secure stable budget NOWPAP should perpare detailed planning per each program and all related nations cooperate with the same mission. At las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at the Northwest Asia's ocean environment policy should be placed in the top priority for each country.

      • 국내 항만재개발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 인천 내항 1·8부두를 중심으로

        최호준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39

        본 연구는 최근까지의 인천 내항 1·8부두의 재개발사업의 진행과정을 검토하고, 2019년 고시된 인천 내항 일원 항만재개발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사업의 방향성을 분석뿐만 아니라 해외의 항만재개발사업의 성공사례를 비교·연구하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항만 및 항만재개발사업의 정의와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인천 내항 1·8부두 현황분석과 인근지역 개황, 재개발 관련 최근 동향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도출한 시사점에 대해 벤치마킹이 가능한 일본의 요코하마시(市) 미나토미라이21(MM21), 영국의 런던시(市) 도크랜드, 독일의 함부르크시(市) 하펜시티, 호주의 시드니시(市) 달링하버의 해외사례를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5장에서는 인천시의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의 착수가 지체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성을 갖고 사업의 활성화를 시켜야 하는지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사업의 체계적인 계획과 추진을 이끌 수 있는 전담기관 신설 그리고 이를 위한 법률 제정, 진행과정 동안의 지속적인 주민과의 소통 등으로 종합적으로 개발에 대한 의지를 이해관계자들에게 보여주면 이것이 긍정적인 인식을 만들어 사업의 성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민간자본을 포함한 재원의 확보를 위해서는 사업의 사업성, 차별성, 지속성 등에 관해 별개로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셋째, 사업의 지속성과 도시의 고유이미지가 인식되면 이후의 민간자본 유치가 원활해진다. 재개발사업의 추진을 저해한 원인으로는 사업의 계획에 관한 이유로 두 차례 사업수행자공모유찰이 있었으며, 관련 기관들의 의견 차이 그리고 주민들의 비판에 따른 불확실한 사업전망 등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항만재개발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으로 규제완화 및 인센티브를 통한 기업유치와 민간과 협력체계를 갖춘 전담기관 설치, 특정요소의 차별성과 사업성 확보를 통한 도시이미지구축 그리고 사업계획의 변경을 최소화한 추진과 객관적인 수요 및 수익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