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항만보안교육 전문성 강화에 대한 연구

        방민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에서 항공기를 테러수단으로 사용한 비극적인 테러사건이 발생한 이후 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되어 ISPS Code (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 國際船舶 및 港灣施設保安規則)가 제정이 된 이후 항만보안의 중요성을 한층 인식하고 보안교육훈련을 강조하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공․항만은 2015년 11월부터 프랑스 파리테러와 북한의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하여 개성공단폐쇄 등 강경한 대응과 더불어 동남아 저소득층 국가의 사람들이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밀입국, 무단이탈 등으로 보안 강화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우리나라 공․항만은 외국인 밀입국사고와 각종 범죄행위가 발생하여 외국테러에 위협에 노출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대책회의를 통하여 보안강화대책을 발표하였으며, 이로써 각 공․항만에서는 매우 강력한 보안업무를 행하여 공․항만 이용객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가에서는 우리나라 관문인 공항만의 보안이 우선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지속적으로 보안업무를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항만에서는 ISPS Code시행 이후 2004년 7월, 2008년 2월 두 차례 우리나라를 방문한 미국 보안평가단의 항만방문 평가가 있었다. 이 평가에서 항만보안검색 및 항만시설 ․ 보안장비 운영 등 현장 이행 실태에 대하여 매우 양호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보안변화에 따라 항만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주재 제78회 국가정책조정회의(2016.2.25.)에서 확정한 「항만보안강화」는 항만보안의 중요성은 일시적이 아닌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수면위로 떠올랐다. 이는, 항만에서 발생하는 보안사고가 이제 지역적인 문제가 아니라 국경을 관리하는 국가적 문제로서 인식되어 항만에서 발생되는 보안사고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수출입의 국제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는 2007년 8월에‘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2008년 2월 4일에 시행하였다. 동 법률 제39조(보안교육 및 훈련)에 의거 국제항해선박소유자 및 항만시설소유자에게 보안책임자를 지정하여 교육훈련계획 수립 및 대통령령에 따라 정기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토록 하여 항만보안인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해양수산부는 교육대행기관을 통하여 보안 전문성을 확보하고 항만종사자와 보안요원의 교육 내실화를 기하고자 하였으나, 항만에서는 항만보안수요의 증가에 따라 선박관련교육기관은 학교 및 연구원 등 설립으로 전문화가 되어 있으나 보안종사자에 대한 보안교육기관이 전무한 실정으로 전문화된 보안교육이 실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 현재, 전 세계는 대량화 ․ 광역화 되고 있는 테러리즘에 위협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항만보안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선에서 근무하는 보안요원의 질적 향상이 매우 중요하다. 항만보안에서 요구하는 각종 규정 숙지, 과학화되고 있는 보안장비, 보안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각종 교육훈련 등을 통한 보안요원의 기준을 강화하여야 하며, 국경관리를 하는 보안요원의 정예화는 국가차원에서 보안교육시스템을 정비하여야 한다.

      • 항만보안위협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보안관리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변용남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the foundering of the Titanic, matters regarding navigational safety began to emerge, followed by the signing of the SOLAS Agreement. Recently, subsidiary agreements on the security against terrorism have also been seen around the 9․11 incident. Such agreements had begun to encourage international interests concerning the safety and security related matters. As result, most of the countries started forcing themselves to carry out these agreements immediately. For South Korea, this was not a task too difficult to execute since the nation had already been putting major efforts into reinforcing security measures on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along with establish laws, due to the special militant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the two Koreas. However, not all laws and reinforcements were in harmony, resulting in the need for further institutional adjustments in order for the different agencies and departments to react appropriately to the matters that required coherent and integrated efforts against the Threat to Port security, in particular. The most critical issue in this matter would be the assignment of the full authority of the Port security to a single agent, the Korea Maritime and Port Administration (KMPA). In line with thi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MLTM) and the regional MPAs should newly establish cells or organizations that are that are solely designated to the Port security while introducing an integrated Port security system to replace the individual efforts on each separate port of responsibility, for enhanced efficiency. This will ideally be supported by additional infra-structure or equipments including infra-red sensors, CCTVs, and automatic alarms interlocked to provide the most effective security measures, backed up by adequate information sharing mechanism with other relevant agencies, such as the Digital Message Handling System (DMHS) Additionally,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and future redevelopments and the current tendency of the opening of the ports, adequate training for the employees and the consistent mutual international cooperation will be vital in contributing to achieving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Perfect Port Security'

      • 부산항 항만보안 기능 개선 연구 : - 항만시설보안료 징수대상을 중심으로 -

        김성환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항만은 대내외적인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주요시설로 국가 경제와 국민의 생명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안보 측면의 국경에 위치한 국가중요시설이다. 또한, 테러 등의 위협으로 인한 항만사고 발생 시 국가 전체의 경제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2001년 발생한 미국 9ㆍ11 테러를 계기로 선박 및 항만시설 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ne Organization, IMO)에서 보안에 대한 논의를 거치며 국제협약(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 Code)을 제정하였다. 항만보안 강화는 세계적인 추세로 미국ㆍ유럽연합ㆍ중국 등 주요국에서 항만보안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고 보안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 중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작으로 보안 관련 환경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렇듯 치명적인 재산상의 손실,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항만에서 보안의 기능은 국가안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일 것이며, 지속적인 발전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산항 항만보안 기능의 현실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항만보안과 관련한 선행연구 조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항만보안 주요 기능을 도출하고 국내외 항만보안 운영 사례조사를 통해 타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항만보안 운영현황을 살펴본 후 국내와의 비교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산항의 항만시설보안료 징수대상(선사, 화주)을 대상으로 항만보안 기능에 대한 현재만족도 및 미래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항만보안 기능의 3가지 요인인 물리적요인, 인적요인, 정보제공시스템요인에 대한 IPA, 수정된 IPA를 수행하였다. IPA 결과, 유지ㆍ강화영역에서 모든 물리적요인(A1∼A8)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부산항을 이용하는 선박회사 및 화주사들이 항만보안 기능 중 물리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으로 유지시키고 강화해 나갈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수정된 IPA 결과 중요실행요인인 ‘항만보안요원의 역량 및 전문성(B3)’의 경우 IPA 결과에서 Ⅱ사분면(집중개선영역)에 포함되었으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하고 강화해야 하는 기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보안의 기능 중 물리적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과 강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항만보안요원들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항만보안업무의 특수성을 반영한 특화된 교육시스템 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항만 내 보안정보를 실시간 반영하고 공유할 수 있는 항만보안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유관기관 및 업체 간 지속적으로 보안정보를 공유한다면 항만보안의 기능 개선뿐만 아니라 항만보안서비스의 만족도 또한 증가할 것이다.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항만보안 업무 개선에 관한 연구

        안지현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나라는 코로나-19로 경제적, 사회적, 국제적 관계에서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우리나라의 경기침체의 위험과 함께 소득의 양극화를 가중 시키며 경제의 불균형을 가져왔다. 과거부터 저출산, 독거노인, 고독사 등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찾아온 코로나-19는 사회적 문제들을 더욱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경기침체 중에도 4차산업, 빅데이터, 언택트, 자동화 등은 상대적으로 더욱 발전하는 기회가 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국제적 교류나 물류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항만운영에도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그 동안 세계경제는 미중무역전쟁으로 원활하지 못하였고 코로나-19 팬덱믹 이후 세계 각국의 경제 성장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제적 물류의 통로인 국제항만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며 기존의 잘못된 관행과 새로운 업무 창출 및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항만의 보안을 담당하는 회사들도 예외일 수 없다. 본 연구는 항만보안 업무에 관한 연구로 항만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항만을 운영하는 회사 그리고 항만과 관련한 법률들을 연구하고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항만보안 업무의 공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여 코로나-19 이후 항만보안 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제항만의 보안에 가장 중요한 법률인‘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약칭:국제선박항만보안법)을 2009년 4월 1일 공포하고 시행 하였다. 이 법은 시행 이후 지금까지 수시로 개정 되었으며 현재는 항만보안업무에 주요 법률로 항만의 보안과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법률이다. 그러나‘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이 생길 당시 이전의 기존 항만보안과 관련한 법률을 정리하지 못하였고 이는 약 17개 부처에서 약 17개 법률에 의하여 항만의 보안업무와 관련한 중복업무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고 북으로는 북한이 있어 사람이나 물류가 타국으로 가기위해서는 바다의 배와 하늘의 비행기를 타는 2가지 방법뿐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항만은 국가의 중요한 시설이고 그 중요성 만큼 관리의 주체도 다양하다. 그리고 국내 경제와 항만은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 법률이나 제도는 그에 따라 가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 이전에도 다양한 연구자들이 비슷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항만의 보안업무 개선 사례로 첫째,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연구 하였으며 둘째, 기존의 전통적 보안업무와 코로나-19 이후 비전통적 보안업무의 융합에 관한 연구이다. 셋째, 항만보안업무의 독립성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넷째, 기존 여러 법률의 통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인력운영의 효율성은 현재 우리나라의 국제항만에 근무하는 보안요원들이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으로 나누어져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임금이나 근로조건 면에서 차별이 있으며 특히, 특수경비원은 발전소, 기타공공기관의 관사를 관리하는 업무와 달리 항만보안 업무는 법적으로 업무범위 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전통적, 물리적 보안과 새로운 비전통적보안의 융합이다. 항만 내 보안사고로 기존의 전통적보안의 테러, 밀수입, 밀입국, 재해예방 등의 업무를 말하며 비전통적보안으로는 바이오테러, 사이버테러, 다수의 인원에게 행하여지는 보안위해 행위 등이 포함된다. 현재의 보안업무는 전통적 보안업무 위주이다. 셋째, 항만보안 업무의 독립성으로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확산된 감천항의 외국인 선원 코로나-19 감염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이후로도 반복되어 국내 감염자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각 기관들 간의 중복된 업무로 전담기관의 부재가 그 원인이라 하겠다. 항만보안과 관련한 업무는 해양수산부산하기관, 항만공사자회사, 경찰청관할, 해양경찰청관할 등의 중복업무에서 벗으나 언젠가는 항만보안 업무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으로 통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끝으로 시사점은 항만자동화, 스마트항만 등 항만의 자동화에 따른 세계 어디에서나 PC, 모바일 등으로 자동화 항만장비에 대한 해킹테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항만보안을 위한 정보통신의 보안까지 그 영역을 확장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 빅데이터, 생체인식 등을 통한 항만보안의 자동화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국제항만 하역업무는 항만자동화를 통해 스마트항만으로 발전을 하고 있지만 항만보안과 관련한 부분은 4차산업으로 전환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 여러 법률의 통합은 현재 약 17개 부처, 약 17개 법률로 나누어져 있는 항만보안 관련 법률의 통합이 시급하다. 밀입국 사건 하나만 보아도 세관, 법무부, 경찰, 해양경찰, 지역방위군 등 밀입국 사건에 대해 모두 관련이 있는 기관이다. 이는 좋은 일은 다 본인들 관할이라고 하는 것이고, 안 좋은 일은 다 본인들의 관할이 아니라고 하는 명분이 된다. 그리고 기관들 간 중복업무로 인한 문제점들도 많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 논문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항만의 보안 업무에 대하여 발전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Currently, Korea is facing many changes in economic, social and internati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COVID-19 has caused economic imbalances, adding to the polarization of income along with the risk of a recession in Korea. COVID-19, which has come at a time when people have soc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rate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lonely deaths, has contributed to further social problems. Even during this economic recession, the fourth industry, big data, untact, automation, etc.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relatively further. The Covid-19 pandemic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 exchanges and logistics flows, which directly affected port operations. In the meantime, the global economy has not been smooth due to the U.S.-China trade war, and economic growth in each country has been negative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ports, the conduit of international logistics, also faced various changes with the Covid-19 pandemic, raising the need for existing practices and creating and improving new tasks. The move is no exception for companies in charge of port security. This study was a study of port security work, to study port employees, companies that operate ports, and laws related to ports, systematically analyze problems, and to improve port security work after COVID-19. The International Seaports and Port Facilities Ac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law for the security of international ports, was promulgated and enforced on 1 April 2009. The Act has been revised frequently since its implementation and is now a major law in port security affairs, contributing to the security and development of ports. However, at the time of the International Sailing Vessels and Port Facilities Act, the previous port security laws were not compiled, which led to the overlapping of the port security operations in about 17 ministries. Korea has three sides of the sea and North Korea, so there are only two ways for people or logistics to go to other countries: a ship in the sea and an airplane in the sky. In that sense, ports are an important facility for the country and as important as they are, there are various management entities. And while the domestic economy and ports are growing tremendously, laws and institutions have shown limitations that cannot go accordingly. In this regard, various researchers conducted similar studies before this study. This study studies the efficiency of personnel operations as an example of improving security operations in ports, and secondly,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with non-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after COVID-19. Third, in-depth research on the independence of port security operations and fourth,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aws was conducted. First, the efficiency of manpower management is that security guards working at Korea's international ports are divided into security guards and security guards, but discriminate in terms of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physical security and new non-traditional security. Security incidents in ports refer to traditional security such as terrorism, smuggling, smuggling, and disaster prevention. Non-traditional security includes bio-terrorism, cyber-terrorism, and security hazards to a large number of people. Current security operations are focused on 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Third, due to the independence of port security work, the infection of foreign sailors at Gamcheon Port, which has recently spread in the face of the Covid-19 pandemic, has become a major social problem. What is more problematic, however, is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repeat of cases since then. This is a duplicate work between each agency, and the absence of a dedicated agency is the cause. The work related to port security is removed from overlapping tasks such a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ubsidiaries of the Port Corporati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Coast Guard, but one da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into a specialized agency dedicated to port security. Finally, the implication is that hacking attacks on automated anti-tank costs are possible anywhere in the world with PCs and mobile devices due to port automation and smart port automation. This suggests the need to expand its scope to the secur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or port security. In addition, international port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are developing into smart ports through port auto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automation of port securit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big data and biometric recognition. And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aws is urgent to integrate port security laws, which are currently divided into about 17 ministries and about 17 laws. They say that the smuggling case alone is all related to smuggling cases such as customs, justice, police, maritime police, and local defense forces. This is a justification for saying that all the good things are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all the bad things are not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caused by overlapping work between institutions. As such, this research paper researched and presented development plans for security operations in international por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research in various fields.

      • 항만보안 서비스 품질이 고객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은유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 경제적, 산업적 가치를 제공하고, 국내 기업들의 활동을 뒷받침하는 국가중요시설 가급에 해당하는 항만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면서 항만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항만보안 서비스는 공공기관인 경찰이 아닌 항만보안요원에 의해 보안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항만보안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항만보안 서비스에 대한 고객반응을 주제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보안 서비스 품질이 고객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항만보안 서비스는 민간서비스와 공공서비스라고 성질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개발된 공공서비스 품질평가 NDSI(Newly Developed Service Index)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항만보안 서비스 품질을 직원품질, 물리적품질, 결과품질로 구분하여 항만보안 서비스의 고객만족도, 고객신뢰도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의한 빈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항만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은 항만이용객이 항만보안용원과 접촉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제공을 받을 때 가장 큰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절성․신속성․전문성을 요소로 하는 직원품질과 정확성․공익성․접근성을 요소로 하는 결과적 품질도 항만보안 서비스가 고객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품질과 항만이용객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결과품질이 항만보안 서비스에 대한 항만이용객의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항만보안요원이 전문지식을 갖추고 친절하게 항만이용객을 대하는 것과 항만이용객의 목적을 달성하면 항만보안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는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위험물 반출입에 따른 항만보안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류병훈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After the 9.11 in 2001, it has become a global trend to enhance the port logistics security. A regulation based on ISPS CODE took effect in Korea since February, 2008, regarding security of ocean going vessels and port facilities. In addition, “2008-2017 National Port Security Plan“ running for all the ports in South Korea since 2008.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the dangers are still existing, caused into by out operations of dangerous goods and the equipments of fire cargo spaces, due to the importance of Busan Port as the main gateway of Korea’s economy by processing most of the container traffic. Thus, the security plans of Busan port should be enhanced to follow up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security plans. Nowadays more than a hundred thousand kinds of chemicals are being distributed, while two thousand kinds are being compounded every year. The use of chemical products is wide in the field of industrial products, fertilizer, pesticide, medicine, and technology. Chemical industry produces numerous helpful goods but it has a latent danger because its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use, and disposal are extensively exposed to people and enviroment. As stated before, use of chemicals is essential to modern socie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etap an security plan for safe use of them to prevent damage from terrorism. Many experts analyze that the terrorists are likely to target logistics facilities such as harbor or ships in the future. If they attack Busan port, the effect would be severe for the reason that it has a city as its hinterland, and it can paralyze the import and export operations. In conseq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blems and measures caused by increased in and out moving of moving dangerous containers to container yards according to the IMDG CODE, and reinforced security measures for entrance and exit vehicle, and personnel by ISPS CODE of 2004 and national security act. Also, this paper will talk about the security measures for the dangerous chemicals handled in Busan port which can be led to fire or explosion by terrorism depending on their kinds and characteristics. It will include establishing real-time manageable information system and its effects. After the 9.11, terror, security concern is becoming a major issue and its measures are being researched. In case of the USA, three major plans that contain the port security act and maritime terrorism are initiated, while adoped ISPS CODE, crew qualification confirmation agreement, and CSI (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preemptive examination of containers at the ports outside of US. After it passes by inland transportation process from the factory where the namely dangerous water containerized cargo is produced, from the harbor the freight has become line in the vessel, must prepare the plan which propels the demonstrative enterprise it will be able to secure the security of the goods light bulb for it reaches to the end consumer of the foreign nation.

      • 항만물류의 안전과 보안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민상홍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319

        In economy of a country that serves as the heart is harbor. As Free Trade Agreement(FTA) is expanded, importance of the port business is growing exponentially. Due to Expansion of foreign trade, increased utilization of harbor space, the increasing role as a transportation hub, increasing demand for sea tourism, Port cargo and passenger in Korea is expected to grow steadily. Thus an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port business as harbor businesses require the maintenance of an efficient legal system. The current law of South Korea promotes safety of cargo by stating safety requirements on cargo, ships and navigation at sea. On logistics, basic policies and safety regulations are stated in abstract clauses scattered over various acts. It is necessary to bring together all clauses on logistics safety at ports in a single, integrated code to designate government departments in charge and their specific roles as well as the roles of different related agents such as port owners and employees in the industry. Port logistics, which is a large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can cause major damage to the nation’s industries when paralyzed. Centralization and systemization of port logistics security and management system are important in order for port facility to function properly. In the face of the changing situation and complications that might arise from it, an integrated, centralized logistics safety and security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and designating a single ministry in charge must be discussed. Regulations on port logistics security and safety will not only lead to systematic, efficient developmen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but also improve the nation’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 tentative “Port Logistics Security and Safety Act” aims to enhance visibility of cargo through a cargo tracking system and guarantee swift delivery of cargo to recipients. A revision of law and regul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facilitate introduction of the latest generation of equipment such as e-seal system and container detector at port facilities. Support for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important in South Korea, whose economy heavily depends on trade. Therefore, port logistics security and safety must be regulated under a new, centralized Port Logistics Security and Safety Act, which will replace the current system where clauses on port logistics are scattered around in the legal system.

      • ISPS Code에 규정된 항만시설 보안평가를 시행하기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영균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7

        It has been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that a security assessment which is undertaken in advance of establishing a port facility security system should be performed correct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ystem is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ISPS Code. Also it was found that an appropriate methodology is required to undertake the port facility security assessment in a correct manner. Th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applied in the safety fields has been adopted as the methodology for the security assessment for this study. This study looks at seven stages of risk assessment. At first stage, the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important assets and infrastructure requiring protection is carried out. Such undertakings are needed to clearly identify the function of the assets and infrastructure within the port facility, ascertain ones that are to be protected from security threats or security incidents, decide on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determine which ones are to be subjected to the security assessment. All identified assets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Three par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First, the role or objective of the assets and infrastructure in the operation of the port facility should be considered. The next consideration should be the effect of destruction. Finally, the ability to recover from destruction of the assets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At second stage, an on-site security survey is carried out. An on-site security survey is a process through which the present security conditions of the port facility and of the important assets and infrastructure within port facility can be identified. When conducting such on-site security survey, security procedures, security organizations, security equipments and systems, and the security ability of the port facility personnel having specific security duty should be considered. At third stage, the identification of the possible threat scenarios and security incidents to the important assets and infrastructure is carried out. The security incidents that had occurred in the past and the security rule or regulations for the security in force should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identifying the security threats and incidents. And the consultation with the security expert authority should also be carried out. At fourth stage, the assessment of consequence and vulnerability is carried out. The consequence and vulnerability should be evaluated to confirm the effect of identified security incident and the probability of the target to the attack. Five elements are included in the consequence assessment: death and injury, economic impact, environmental impact, national defense impact, and symbolic effect. And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should be evaluated in two parts: accessibility and organic security. The results of the on-site security survey carried out at the second stag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At fifth stage, the security risk level is determined. The security risk level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level of consequences and vulnerability. The security risk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mitigate, consider and document. "Mitigate" means that mitiga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risk for that threat scenario. "Consider" means that the threat scenario should be considered and mitiga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on a case-by-case basis. "Document" means that the threat scenario does not need a mitigation measure at this time and therefore need only to be documented. At sixth stage, the mitigation targe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is determined. The mitigation targets sh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e security risk level. And the mitigation methods to be implemented for that target should be decided based on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the methods. Generally,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mitigation strategies in lowering vulnerabilities in advance than the mitigation strategies in lowering consequences. At seventh stage, the security risk reassessment is carried out. And the confirmation of mitigation measures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assessment. A security risk reassessment to the mitigation measures determined at the sixth stage should be practiced to confirm whether the measures can actually reduce the security risk level. The reassessment should be started from the fourth stage. If the security risk level is not reduced as the result of the reassessment, another mitigation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If the security risk is reduced as the result of the reassessment, the mitigation measures should be adopted and planned to be put into action in the port facility security system.

      • 항만터미널의 유형과 공급사슬보안경영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균 한국해양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32255

        Since the 9.11 terrorist attack in 2001, fears have grown that seaports would be exploited or disrupted by the act of terrorism. As a result, to safeguard global marine trade while enabling legitimate cargoes to move faster and more efficiently through the supply chain to ports, lots of multinational initiatives and nationwide legislation have been introduced. Such newly-adopted regulations forced port terminal operators to establish the Supply Chain Security Management(SCSM) system on the global standards while carrying out their original functions of loading and discharging cargo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oles of terminal operators in terms of the SCSM, to distinguish difference in commencing the activities among various types of operators and ultimatel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CSM on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This dissertation is organized as follows: (1) Chapter 1 describes backgrounds, purpose, scope and structure of the study (2) Chapter 2 theore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nd recent academic development. In addition, it reviews precedent studies on the SCSM and business guidelines for terminal operators extracted from the ISPS code. (3) Chapter 3 establishes the model and suggests the null and the alternative hypotheses. It also explains research methodology. (4) Chapter 4 performs empirical analyses. MANOVA i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operators and commencement of SCSM; the regression model i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on the effects of the SCSM activities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 (5) Chapter 5 summarizes the whole paper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