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화교의 정체성 연구 : 부산지역 화교사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인닝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 최다규모의 디아스포라집단인 화인들은 동아시아 및 동남아 ASEAN국가를 포함한 세계 곳곳에서 중요한 경제역량으로 그 위상을 발산하고 있는 반면, 한국화교들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심지어 제도적 측면에 있어서도 상당한 규제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거주국 국적 또는 중국국적을 소유한 여타 국가 화교들과는 달리 한국 화교 대부분은 국적은 대만에, 거주는 한국에, 고향은 중국 대륙에 두고 있다는 특수성이 존재한다. 냉전체제라는 상황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한국 화교들은 국가적 단절과 이데올로기적 갈등 속에서 출신국가인 중국과 멀어졌고, 오히려 대만 국적을 취득하고 그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과의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화교들의 자기들의 고향인 중국 본토에서 새로운 기회구조를 형성해 나가기 시작하면서 한국화교들은 여타 지역 화교들에 비해 복잡한 정체성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디아스포라적 시각에서 볼때, 한국 화교들은 시대적 상황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특수한 인식과 감각을 공유하면서 거주국의 통제와 억압에 대해 적극적으로 적응, 변화해 왔다. 한국 화교는 ‘한국화(韓國化)된 중국인(中國人)’ 즉, 중국인의 정체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으면서 한국에서 거주 또는 영주하고 있다. 그러나 모국의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그들의 국가적 정체성은 불분명하다. 또한 한국에로의 귀화현상이 증가하면서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 획일화에는 상당한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화교들의 이러한 ‘다중적 정체성’은 대체로 어떤 양상을 띠고 있는가, 그들의 디아스포라적 성격을 어떻게 규명할 것인가.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정체성의 일반적 이론을 근거로 부산지역 한국화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써 본 논문은 문헌자료 분석과 현지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정부의 각종 통계자료, 신문보도 자료를 이 연구의 일차 자료가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자들의 연구논문과 보고서, 그리고 인터넷자료는 본 연구의 2차 자료가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부산에 거주한 화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한국 화교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화교의 '사회 인식'과 '민족 특성'에 초점을 맞춰, ‘민족 의식’ ‘소수민족 의식’ ‘중국?대만의 화교정책인식’ ‘국가 인식’ ‘언어’ ‘문화’등 문항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의 표집 이원은 20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문항에 따른 응답자의 전체적인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백분비(N%)를 산출하였고, 또 각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화교들은 가깝게 지내고 있으며, 이들은 높은 긍지감으로 자지고 있다. 또한 한국 화교는 중화민족으로서의 의식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소수민족인식부분에서는 대다수 화교들은 한국인과의 관계가 원만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따라서 대부분 부산 화교는 한국인과 원만하게 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부산 화교는 그들의 한국에서의 성공을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낮은 성공 가능성이 한국 정부의 화교정책에서 기인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민족정체성의 민족 특성인 언어, 문화 등의 측면에서는 중화민족으로서의 특성이 강하게 보이고 있으면, 부산 화교는 ‘중국인’으로써 민족문화를 잘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화교사회가 한국에 오래 정착하게 되면서 화교 3세들은 한국 문화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산 화교들은 문화와 언어 등 민족적 특성에서 중국이나 대만 어느 한편에도 치우치지 않으면, 그들은 자신들만의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부산 화교들은 한국 사회에 대해 강한 지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설문결과 분석에 따르면, 부산 화교와 한국인의 통혼 숫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부산 화교들은 필요에 따라 한국 국적의 취득도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화교 젊은 세대는 한국 사회에 동화되면서 차세대에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점차 사라지는 우려도 제기 되고 있다. 오늘날까지 중국의 공향을 방문하는 화교는 대부분 50대 이상의 화교 2세들이다. 3세, 4세 화교들은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강한 '한국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 화교들은 점점 ‘한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현지사회에 적극적으로 적응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화교들의 적응유형은 통합형으로 변할 것이라는 추론을 내리고자 한다. 화교들은 점차 거주국의 주류사회에 활발히 참여하면서도 자신들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Huaqiao (Overseas Chinese) is one of the largest diasporic groups in the world. Huaqiao exercise strong influence on ASEAN economy as well as that in other parts of the world. By contrast, the Huaqiao in Korea are economically and socially subordinate. Unlike other Huaqiao, whose ancestors were from the coastal regionin southern parts of China and who were merged into the host countries due to the course of naturalization, the Korean Huaqiao, among whose population approximately 90% were originally from Shandong Province, obtained Taiwanese nationality. During the period of the Cold War, the Korean Huaqiao severed their relations with China, whilst the Taiwanese government invited Huaqiaos along by promoting an anti-PRC ideological campaign. Ye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has been increasing an influence on the Korean Huaqiao, since 1992 when the PRC restored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The Korean Huaqiao are eager to enhance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China’s booming economy and its capitalization. Moreover, the new policy ado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has encouraged the Korean Huaqiao to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They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as “Chinese Korean”, rather than emphasizing their association with their homeland in China.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he Korean Huaqiao present ‘multiple identities’, and how they describe their characteristics as diasporic community. The author analyzes the shifting identity of the Korean Huaqiao in Busan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the thesis uses both written material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the author designed and carried out. The literature study includes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news information published by both Chinese and Korean governments as primary sources of the analysis. The thesis also includes the analysis of academic papers and Internet materials produced by both Korean and Chinese researchers. The questionnaire survey focuses on the following six subjects, when investigating the Korean Huaquiao’s social position and ethnic identity: Awareness of huaqiao's national consciousness, sources of their identity as minority group, China/Taiwan’s Huaqiao policy, a social position acknowledged by the Korean government, language, and cultur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0 people in the area of Busan in September 2007. The data are process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in whic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nd analysis of variances are used. The result shows that the Korean Huaqiao have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among their community members and also are proud of their Chineseness. Most of the Huaqiao population in Busan have integrated into society and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Koreans. Yet, they remain pessimistic about their success in Korea society. They believe the Korea government does not provide an equal opportunity with foreign residents. The Korean Huaqiao have maintained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as sources of their ethic identity. However, the third and forth generations of the Korean Huaqiao have been assimilated into Korea society. They are in the process of Koreanization. The thesis presents how the young generation in Busan tend to integrate Korean society more intensively than the previous generations did. This discussion is supported by the increasing rate of intermarriage between Huaqiao and Korean. The third and forth generations of the Busan Huaqiao may consider to obtain Korea nationality if it was necessary. They begin to absorb their “Koreanness” as parts of their identity. By contrast, many second generation of the Huaqiao hold strong sense of attachment to their hometown in China and reconfirm their Chinese identity by paying a visit to their homeland. The Korean Huaqiao have been constructing “Chinese-Korean” identity. On the one hand, they maintain Chinese tradition and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y attempt to integrate themselves into their host society. The Korea government should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the Korean Huaqiao in society and provide them with a support for facilitating their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 1965년 7·19사건과 한국 화교사회 : 『韓華春秋』를 중심으로

        손유정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화교는 단일민족을 지향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동화(同化)’와 ‘이화(異化)’의 시각에서 연구되었다. 그 결과, 1960년대 중반의 한국 화교는 한국 정부의 외국인규제법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고, 이러한 한국의 제도에 순응하는 집단으로 규정되었다. 1965년에 일어난 7?19사건과 『한화춘추(韓華春秋)』의 기사를 보면 당시 한국화교 사회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집단이 있었고, 그 중 한 집단은 능동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려 했던 움직임을 볼 수 있었다. 이 글은 두 장으로 구성했다. Ⅰ장에서는 대사관의 계획에 대해 반대하는 집단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7·19사건의 전말을 재구성했다. Ⅱ장에서는 『한화춘추』의 보도 태도를 분석하고, 한국화교 사회에서 『한화춘추』가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검토했다. 7?19사건은 700여명의 화교들이 량쉬자오(梁序昭) 대사(大使)의 대사관 부지판매를 반대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었다. 량쉬자오 대사는 대사관을 재건축하기 위해서 중화민국 정부의 비준을 받고 대사관 부지 6000평 중 1000평을 재일교포 정규성에게 판매했다. 왕밍야오(王明耀)를 비롯한 일부 화교들은 량쉬자오 대사가 부지를 비밀로 판매한 것에 대해 의심을 했고 1965년 7월 19일에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중화민국 정부에게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발표했다. 토론회를 마친 후 일부 화교는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대사관으로 향했고, 이들은 대사관에 배치된 한국경찰과 마찰이 있었다. 사건 이후 토론회 회장이었던 왕밍야오는 중화민국으로 압송되었다. 이 사건을 통해서 부지 판매를 반대하는 화교 집단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교 언론잡지 『한화춘추』는 부지 판매자 정규성과 토론회 회장 왕밍야오에 대해서 보도했다. 『한화춘추』는 부지 매입자 정규성의 배후에 일본 정부가 있기 때문에 량쉬자오 대사가 부지를 급하게 팔았고 음모를 꾸며서 왕밍야오를 압송시킨 것으로 보도했다. 이 보도는 일제시기에 일어난 판한셩(范漢生) 사건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당시 한국에서는 정부의 한일회담추진을 반대하기 위한 대규모 시위가 서울 곳곳에서 일어났다. 『한화춘추』는 한일국교정상화를 반대하는 한국의 상황을 이용해 자신들의 보도를 정당화 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한화춘추』는 한일국교정상화에 따라서 정규성이 매입한 부지에 일본대사관을 세울 것으로 추측했고, 이 일 때문에 한국인들이 화교를 배척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화교 사회에서 제1 언론지였던 『한화일보(韓華日報)』는 『한화춘추』의 보도 방식 대해서 한중국교관계를 와해시킬 수 있고, 공비(共匪)에게 도움을 주는 행위로 평가했다. 반면 『한화춘추』는 량쉬자오 대사의 부지 판매 문제점에 대해서 보도하지 않는 『한화일보』의 태도를 지적했다. 친정부적이고 한국화교사회의 주류를 대변하는 『한화일보』에 대해 『한화춘추』는 상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한국화교사회 주류층을 대항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었던 화교 집단이 있었다는 것을 『한화춘추』의 7?19사건 기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구술 자료를 통해 본 한국 화교의 역사적 경험과 화교교육

        이덕수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한국화교의 역사와 화교교육의 여러 문제를 분석하여 현대 한국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다문화사회 형성을 위한 교훈을 얻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화교의 역사를 시기별로 구분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한 구술사 연구를 분석하여 화교의 역사와 화교교육 현안에 대한 화교들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한국화교는 상인들의 무역활동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1920년대 이후에는 산동성 출신의 쿨리가 많이 이주하여 산동인 중심의 화교사회를 이루게 되었다. 화교의 경제활동도 상업에서 쿨리노동, 요식업 등으로 변화하게 된다. 처음에는 남성 혼자 일을 하기위해 계절이민을 하는 형태였지만 조선에 장기간 머무르면서 가족이민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런 경향은 중일전쟁 이후에 점차 증가하게 된다. 가족이민이 증가하고 교육이 필요한 아동이 증가하면서 중국문화를 가르치는 화교학교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중화상회 등 사회조직을 중심으로 화교학교설립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졌다. 화교학교에서는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가르쳤다. 해방 이후 한국정부가 들어서면서 화교들은 차별정책으로 인해 고통 받았다. 한국정부의 배타적 화교정책은 화교경제를 위축시켰다. 경제적으로 몰락한 화교들은 해외로 재이주하여 살길을 모색했다. 한국정부는 화교교육에 대해 간섭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화교교육을 인정하지도 않는 ‘불간섭․불인정’정책을 취했다. 화교들은 대만정부의 지원에 의존하게 되었고,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한국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화교들은 정착한지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계속해서 이방인으로 남아있을 수밖에 없었다. 1990년대 들어 한국정부의 화교정책이 변화하면서 화교들을 억압하던 각종규제가 완화되었다. 한중수교이후 중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화교들은 새로운 기회를 찾게 되었다. 또 중국본토로부터 한국으로 새롭게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 기존의 ‘구화교’와 구별되는 ‘신화교’를 이루었다. ‘구화교’ 출신의 새로운 화교세대는 한국사회에 동화되고 있다. 화교학생들은 중국어보다 한국어를 더 친숙하게 여겨 문제가 되고 있다. 화교가 한국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외국인특례입학제도를 이용하게 되는데, 어머니가 한국인인 경우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혼을 택하는 가정이 늘어 화교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다. 화교학교의 재정문제는 심각하여 화교학생들의 교육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 화교들이 중국어와 한국어에 능통한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화교학교에 대한 한국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다문화사회로 점차 변해가고 있다. 다문화주의적인 입장에서 한국화교를 온전히 우리사회에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한국화교는 중국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국사회에 많이 동화되어 현재는 ‘중국계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수준이 되었다. 한국화교가 한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당당히 인정받는 것은,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외국인도 한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때, 우리는 진정한 세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learn lessons about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which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y analyzing various problems with the history and educ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closely examined the histor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by the periods and analyzed oral history studies to understand their positions on their history and current educational issues.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started to form a population with trade activities. Since the 1920s, a large number of coolies from Shandong moved to Korea, where the Shandong people-centric overseas Chinese society was built. Their economic activities changed from commerce to coolie labor and restaurant business. In the beginning, only men moved to Joseon for work in the form of seasonal immigration. As they stayed in Joseon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seasonal immigration was replaced by family-based immigration. The trend was on the gradual rise after Sino-Japanese War. The growing trend of family-based immigration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that needed education raised a need for overseas Chinese schools to teach children about Chinese culture. As a result, overseas Chinese schools were founded across the n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social organizations such as Chinese Entrepreneur Association. Those schools provided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maintain their identity as Chinese people. The Korean government after liberation implemented discriminating policies against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ation and inflicted pain on them. Its policies to alienate them reduced their economy. Collapsing economically, they searched for a way toward survival by moving to other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a policy of "no interference, no recognition" neither to interfere with overseas Chinese education nor to recognize it.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got to depend on the supports from the Taiwanese government and received no education to adapt to Korean society. Failing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ey had to remain as outsiders even after the many years of their settlement in the nation. Entering the 1990s, the Korean government changed its policies regarding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ation and alleviated all sorts of regulations that used to suppress them.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creased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allowed the overseas Chinese in South Korea to look for new opportunities. As more and more Chinese people moved to Korea from the mainland China, they formed the population of "the new overseas Chinese in Korea" distinguished from "the old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 new generation of "the old overseas Chinese in Korea" is assimilating to Korean society. It is also a problem that they are more 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than Chinese language. The children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use the special admiss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go to college in South Korea. The system does not apply to those who have a Korean mother. More and more families choose to get a divorce for children's admission to South Korean college, which is a problem in the commun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ation. The serious financial difficulty of overseas Chinese schools gravely infringes on the educational right of the student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provide them with supports so that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ation can be fluent both with Chinese and Korean. Today Korean society is gradually moving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and needs to fully accept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ation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a Chinese identity but have been so assimilated with Korean society that they now have an identity as "Chinese Korean." Whether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re proudly recognized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will be a test to the degree of multiculturalization in Korean society. Korean society will reach a true globalization stage when foreigners are recognized as its members, too.

      • 한국의 화교정책과 한국화교의 사회적 적응에 대한 연구

        곽영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한국 정부의 화교정책의 변화에 따른 한국 화교(한화)의 적응과정과 방식을 살펴보고 그들의 적응 유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베리에 따르면, 소수민족집단 이민자들의 거주국의 사회문화적 적응은 ‘다른 인종과 민족집단과의 관계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가’와 자신들의 문화적 특성이나 관습의 유지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가에 따라 통합, 동화, 고립, 주변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또한 고든은 소수민족 집단이 거주국에 적응하는데 7단계가 있는데, 이 중에서 사회문화적 적응은 제 1단계로 간주된다. 한국화교들은 1882년 청나라 군인을 따라 상민의 신분으로 장사를 하러 온 사람들에게서 그 시초를 찾아볼 수 있다. 한국정부 성립이전까지만 해도 그들은 대중국수출입 무역을 통해서 경제적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일제식민지배가 끝나고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에 민족경제를 발전하고 보호하자고 하는 입장에서, 한국 정부는 외국인의 경제활동에 대하여 여러 제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한국국적의 귀화와 교육에 있어서는 제한정책 대신에 ‘방임’정책을 취한다. 한국전쟁을 겪는 동안 한국화교들은 경제적으로 이미 큰 타격을 입게 되지만, 한국정부의 제한적 경제조치는 그들에게 더 큰 어려움을 주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화교들의 경제력은 더욱 위축되어 갔다. 비록 경제력은 약해졌지만 그들은 한국정부의 다방면의 배제정책에 적응하기 위해, 화교에 대한 교육과 화교사회 내부의 사회단체 조직을 통해서 강한 민족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했다. 1970년부터 1980년에 이르는 동안 한국 땅에서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화교들이 대거 제3국으로 재 이동했는데, 이는 한국정부의 배제정책 하에서 한국화교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실패했음을 보여준다. 이 시기의 적응유형을 고립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화교들은 이 시기 강한 민족정체성을 유지하되 한국사회에 대한 참여는 적극적이지 않은 고립적인 특징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다가 초국가 시대에 들어와서 한국정부가 외국인에 대한 제한 정책을 크게 완화하게 된다. 이는 주로 1990년대 초 중한수교, 1998년 한국 금융위기의 영향, 그리고 한국 내 해외한인에 대한 관심도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1998년 김대중 정부가 외국인의 경제활동을 제한하는 조치를 대폭 수정하였고, 한국 내 소수민족의 귀화절차도 이전에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도 2002년에 영주권 허용에 이어 2006년에는 지방선거권까지 한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에게 부여함으로서 한국내 외국인들의 적응은 점차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된다. 이러한 한국의 정책변화에 따라서 한국 내 화교들의 적응 방식도 새로운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즉, 이전의 중화민족의 정체성이 점점 “한화”의 정체성으로 변했으며 한국화교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韓”의 면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또한 경제적 제한 정책의 완화에 따라서 화교들의 경제활동이 다양화해졌다. 그들은 국경을 넘어 보따리 장사를 하면서 한국 내에서 관광업과 같은 새로운 직업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여 과거 제3국으로 이탈했던 화교들의 양상은 점차 한국에 기반을 잡았고 국제 화교사회와도 네트워킹하기 시작했다. 이는 그들의 새로운 적응양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화교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정책은 아직 실행한지 얼마 안 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변수로 한국화교들의 적응유형이 벌써 변화했다고 단정하기는 힘 든다. 다만 한국화교들은 점점 “한화”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현지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다 보면, 이론적으로 그들의 적응유형은 통합형으로 변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소수민족 이민자인 화교들은 점차 거주국의 주류사회에 활발히 참여하면서도 자신들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초국가주의 시대에 한국정부가 화교들을 사회내로 통합하고 화교들로 하여금 한국과 중국 양국간의 조화를 도모함은 물론, 나아가 한국의 경제발전에 화교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국 내 화교들을 한국사회의 진정한 구성원으로 수용하며 적극적으로 이들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韓國華僑의 現地化와 네트워크構想

        이종우 東亞大學校 東北亞國際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들이 국내의 한 구성원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들을 중개로 한 화교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한국화교들의 지위향상은 물론 한국의 경제사회발전의 한 축을 담당케 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청나라 말부터 본격적으로 해외로 이주한 화교들은 특유의 기질과 상술로 현재 동남아지역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어 상위 10대 기업의 대부분을 경영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의 경제권을 대부분 장악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은 첫째, 재일동포들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대우와 법적·제도적 모순을 말하기 이전에 국내에 체류하는 소수민족인 화교들에 대한 차별이 철폐되고 이들이 한국의 경제사회를 구성하는 한 구성원으로서 발전의 한 축을 형성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점과, 둘째 자본의 세계화와 초국가적 기업이 보편화되어 가는 현실에서 화교들이 급속히 발전하는 중국경제와 동남아 화교자본과 연계하여 하나의 네크워크를 형성함으로서 한국의 발전에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다. 이를 위해서는 화교들이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융화되는데 걸림돌이 되는 각종 법적·제도적 차별대우의 철폐와 법적지위의 향상, 화교들에 대한 각종 교육제도의 정비, 점차적인 참정권 및 피선거권 부여문제, 화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제도적 장애물의 제거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까지 한국정부에 의해 추진되었다가 계획으로만 그친 차이나타운의 건립을 추진함으로써 이 지역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대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을 중간기지로 하여 막강한 자본과 조직을 가진 동남아 화교자본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으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한국화교와 차이나타운을 중개기지로 하여 연결되는 글로벌 화교네트워크는 중국시장 뿐만 아니라 동남아 각지에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화교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어 긴밀한 동반자로서 파트너쉽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차이나타운 건설은 외자도입에 의한 관광유치, 화교 네트워크와의 연계라는 차원을 넘어서서 그동안 한화들에 대해 부적절했던 정책을 탈피하여 실질적인 융화정책으로서 중화경제권과의 우호증진 뿐만 아니라 한국내부의 세계화를 이룩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localization strategy so that Chinese merchants in Korea can play their roles as the proper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It also aims to build a network system of the Chinese in Korea as a way of improving their status and letting them contribute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t home. The Chinese abroad have been successful, especially in Southeast Asia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art of trade have won a special trademark or fame. They manage most of top 10 enterprises in Southeast Asia and exert a great economic influence in the bloc. The full-length research about them is necessary owing to the following reasons: 1) Unequal differentiation towards Chinese merchants in Korea should be lifted so they can play their roles as the members of the Korean economic society. 2)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trend towards capital globalization and global industrialization, a networking system with the Chinese residents in Southeast Asia and the rapidly-developing Chinese econom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Therefore, diverse kinds of legal and systematic differentiation towards the Chinese residents in Korea should be abolished. Their legal status ought to be upgraded, educational system arranged, electoral rights given, and systematic hurdles removed. In addition, the past plan of building a China Town should be immediately execu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 will elicit massive tourist income as well as the enormous capital force of Chinese merchants in Southeast Asia. In sum, there will be a lot to earn from a harmonious network among the Chinese merchants in Korea, the Chinese market, and the Chinese abroad in Southeast Asia. The China Town in Korea will not only help earn money of foreign tourists, but also serve as an active friendly approach towards the Chinese inhabitants in Korea. In other words, the localization and networking of the Chinese merchants in Korea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 한국화교 3세대의 초국가적 정체성 연구 : 중국, 대만, 한국과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팽의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화교 3, 4세대를 중심으로 그들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봤다. 최근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자 등 외국인 이민자들의 유입이 활발해짐에 따라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한편, 한국화교는 1882년부터 한국에 거주하여 한국인과 함께 힘겨운 시간을 겪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큰 주목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 3세대, 4세대 등 세대가 나타나 이 땅에서 생활하고 있는 한국화교의 주류 세대를 이룬다. 하지만 한국화교에 대한 연구 중 곧 주류가 될 세대인 3, 4세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교 3세대를 주로 연구대상으로 하여 4세대를 추가해서 이들의 정체성을 탐색하였다. 한국화교는 중국, 대만, 한국 사이에 헤매고 생존하는 길을 모색한다. 시간, 국제 정세에 따라 환경이 달라져 이런 영향 하에 한국화교 3, 4세대의 정체성이 1, 2세대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화교 3, 4세대가 중국, 대만, 한국 3국 사이에 어떻게 적응해 왔는지 그 자신의 정체성을 어떤 위치에 놓는지, 그리고 1, 2세대 화교의 정체성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봤다. 또한 이들의 삶에 대한 미래의 계획을 함께 탐색하였다. 한편으로 화교 3, 4세대가 기존 연구에서 언급한 초국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행위로 초국가적인 특성을 수행하고 있는지 함께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화교 3, 4세대의 정체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화교 3, 4세대는 가족을 통해서 조상의 고향인 산동을 알게 되어 산동어를 습득하게 되면서 산동이란 곳의 이미지를 그들의 머릿속에 구성하게 되었다. 또한 산동을 방문함으로써 산동에 대한 이미지가 구체화되었고 산동의 친척과 연락을 유지함으로써 초국가적 유대를 형성하였다. 최근 중국 위상의 변화와 중국의 화교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로 인해 화교 3, 4세대가 중국을 다시 보게 되어 공산의식에 벗어났다. 그러나 산동이 결국 화교 3, 4세대의 태어나서 자란 고향이 아니기 때문에 화교 3, 4세대는 산동에 대한 소속감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만의 제한적인 제도로 인해 화교 3, 4세대가 자유롭게 해외로 이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대만국민이 되지도 못 하는 실정이다. 화교 3, 4세대는 모국이 있으면서도 국민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고아가 된 기분을 느낀다. 한편 그들은 가족을 통해 대만에 대한 친근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화교학교를 통해 한국화교라는 민족성을 지키고 대만식 교육 시스템을 통해 대만이라는 국가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게 된다. 일부 화교 3, 4세대는 대만에 있는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화교학교에서 배운 대만의 이미지를 직접 경험하여 구체화하였다. 화교 3, 4세대는 법적 제도로 인해 대만을 원망하면서도 가족, 화교학교로부터 주입된 대만적 의식 때문에 대만에 대한 애착을 버릴 수가 없다. 셋째, 한국에서 화교에 대한 정책이 완화되면서 화교 3, 4세대의 한국 생활은 더욱 편리해지고 살기 좋아졌지만 이들이 바라는 한국인과 같은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 하면서 어느 정도의 결핍을 느끼게 된다. 화교 3, 4세대는 한국인과 같은 언어, 문화를 공유하며 한국적인 의식을 갖는다. 그러나 대학교란 장소에서 한국인과 상호작용하면서 한국인과 다른 점을 발견하게 되기도 하였다. 화교 3, 4세대는 화교 1, 2세대에 비해서 현실적인 부분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에 앞으로 삶의 질을 위해 귀화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한국전쟁 시기 한국화교의 구제활동 연구 : 인천화교협회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이민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동아시아에서의 갈등과 한국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한국화교가 시행했던 구제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한국화교사회의 모습을 재현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시대적 경험이 후일 한국화교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자료는 인천화교협회 소장자료이다. 이 자료는 역대 인천화교단체가 생산한 공문서로, 아직 세간에 공개된 적이 없는 희귀자료에 속한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구제 관련 공문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파악한 구제활동의 구체적인 방식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국화교의 구제활동은 ‘여한전지재교구제위원회(中華民國旅韓戰地災僑救濟委員會, 이하 전재구제위원회)’를 주축으로 하여, 중화민국 주한대사관 및 대륙구총, 연합판사처 등이 협력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전재구제위원회는 ‘현물공여에서 자립기반 구축을 위한 구제로의 전환’이라는 원칙하에 긴급·임시구제, 생산구제, 교육구제 등 다방면에서 구제활동을 전개하였다. 전쟁 초기에는 구제금 또는 구제품을 배부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기술교육, 사업자금대출, 화교학교 재건 등으로 확장된다. 구제진행과정에서는 현지의 정황을 폭넓게 반영하고 대처하는 등 매우 실사구시적인 면모를 나타냈다. 구제활동에 따른 영향에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전제구제위원회는 구제대상자 선정을 위해 빈민화교 생활실태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화교관리체제가 정비되었고, 한국화교사회의 조직력과 결속력이 더욱 강화되었다. 둘째, 한국화교들은 중화민국 주한대사관의 지도하에 조직을 구성하고 구제원칙을 수립하였으며, 더 나아가 중화민국 대만정부와 직접적으로 협력하여 구제활동을 진행했다. 이는 한국화교들로 하여금 중화민국 대만정부에 대한 귀속의식을 확립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본 연구는 인천화교단체의 공문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전쟁 시기 한국화교의 구제활동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연계성을 지니는 구제활동을 통해 당시 한국화교사회의 존재양태를 파악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기존 한국전쟁 연구에서 거의 논의된 바 없는 이주집단을 다루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 화교학교로의 한국학생 유입 현상

        두언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의 화교학교 내 한국 학생의 유입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화교학교의 특수한 역사 배경과 한국 학부모의 화교학교 선택을 살펴보고자 한다. 1882년부터 한국화교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화교학교를 세우기 시작하였다. 한국 화교는 한국에서 차별을 당해 오면서 화교 정체성을 강조하는 민족교육을 계속 고수하였다. 화교학교가 제일 많았던 1970년대에는 전국에 60개정도가 있었고 화교학교의 번성은 한국정부가 화교학교에 대한 방임 정책과 대만 정부가 화교교육을 지원한 배경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화교의 중요성이 약화되어 대만 정부의 지원이 감소되었고, 한국 정부도 학교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었다. 뿐만 아니라 화교인구의 감소 그리고 경제, 교통, 교육의 질 등의 이유로 인하여 화교학생의 수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화교학교가 생존하기 위해 중국이나 한국 학생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첫 화교학교는 1902년에 인천에서 세워졌고 오랫동안 치외법권의 존재로 있어왔다. 1999년에 화교학교는 ‘각종학교’로 인정을 받고 학교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현재 한국정부는 화교학교를 다른 외국인학교와 같은 체계 안에서 관리하고 있다. 외국인학교에 대한 한국학생의 입학 조건이 화교학교에도 적용되었다. 화교학교 내 한국학생의 유입에 대해 정부는 눈을 감아주었지만 최근 외국인학교 한국 학생 입학 문제의 여파로 화교학교도 엄격한 단속을 받게 되었다. 정부의 규제와 제한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한국 학부모들이 자녀를 화교학교로 보내는 이유는 글로벌 문화자본에 대한 욕망과 중국어의 부상에서 찾을 수 있다. 학교 선택제도의 자유화로 인해 학부모의 교육 선택은 자유로워졌고 자녀의 미래 설계에 부합하는 교육 전략을 짜고 학교를 선택한다. 화교학교는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어 글로벌 문화자본의 추구, 국내 조기유학의 방편 그리고 한국 공교육을 대체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화교학교의 정체된 교육체계는 한국 학부모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다. 화교학교는 정부 간의 사각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국에서 일어난 교육 개혁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전히 구시대의 교육 방식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학교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학생의 학습 환경과 교육적 자원이 부족하며 학생들의 중국어 수준도 낮아지고 있다. 한국 학부모의 중국어에 대한 교육열은 이러한 학교의 현실과 괴리가 있으며 학교와의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화교학교의 교육 체계와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한국정부의 도움이 없이 현재의 곤경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 특히 최근에 화교학교 내 한국학생의 단속은 화교학교의 존폐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화교학교의 존폐는 화교사회의 지속과 관련되기 때문에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한국화교의 이주와 변화하는 화교사회

        강효숙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Chinese residents in Korea(hwakyo, 화교) have long been 'ethnic minority'. They have suffered discriminations and been largely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Korean society. However,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 officially launched in 1992 and the Korea's financial crisis in 1997 provided turning points. The Korean government began to revaluate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value of the Chinese residents and made some changes in its policies in favor of them. Recent changes in Korean society, its multi-ethnization and multi-culturalization for example, encourage to shift its policy related to legal status of the long-time foreign residents in general, and the Chinese residents in particular. The major changes in the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include recognition of permanent residential rights and voting rights for regional elections. Also, sanctions on the economic activities, such as the restriction on the purchase of real estate in a certain limit, were largely erased. With the sanctions eased, the economy of the Chines residents was somewhat activated and they began to find out the way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economic activities. We can notice some generational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prospects of the Chinese community in Korea. As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the young ones tend to have stronger will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and lesser attachment to the Chinese nationality. Interviews with two young Chinese residents in their twenties confirm the changing attitudes and identities. Chinese residents are invaluable assets for the Korean society. We should accept them as true members of our society and help them adapt. Further researches on the Chinese residents and their community in Korea are needed to enhance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ns and the Chinese residents.

      • 한국화교기업의 경영방식에 관한 연구

        정가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immigr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overflew to Korea at the stage of imperialism which in a competition process for hegemony between Qing(the Qing Dynasty of china) and Japan. And it can be founded out from the historical fact of commercial arised from the Qing government policy which regarded a merchant in the same light with a soldier. The overseas Chinese developed their economy up to Korea independence through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Before long a nationalism movement arised from Korean nationalists. The pace of industrializ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slowed down in the 1960s and 1970s, the period of which was koown as the era of economic nationalism and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the industrial capital became impossible in the meanwhile. however, What is the discussion point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 overseas Chinese enterprises? Probably, it is the point that why their capital could not be industrialized and what their management style is? An obstacle of impossibility of their industrial was the discrimin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management styles of the overseas Chinese was familism under the tradition of sino- Confucianism, while not make networks in their businesses in Korea. It is due to the discrimin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that business networks were not made. in this study, the consequence effecting factors are as follows. it can be synthesized as the management styles of the overseas Chinese and their enterprises. Frist, the overseas Chinese immigrated at the stage of imperialism. They not only passed down Chinese tradition and custom, but also adapted korean cultural. Otherwise, the could not deeply embody into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ir inferior social and economic positions resulted from the dicrimin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diversification of lineage for most of the overseas Chinese not marry korean citizens. Moreover, 98% of the overseas Chinese were of Taiwan nationality. second, it is an important point that the overseas Chinese immigrated for propose of business configuration. 95% of they were from the Shantung peninsula. They had a high goal of commercial development. So, they stepped into the field of commerce at the very beginning. Third, it can be refered that they experienced economy power distintion at the cardinal point of korea independence in 1945 from economic development results. Their economy power is superior to that before 1945, but the korean government, which had the aim to economic nationalism, suppress the overseas Chinese who developed through trading business in and after 1945. As a Consequence, Economic basis was completely shaken during the 1960s and 1970s. Most of all, It can be said that they could not change their commercial capital into industrial capital during korean industrialization, because the korean government increasingly make policy which a systematic regulation and restraint. So that, their economy power fell down violently. fourth, as to the management styles of the overseas Chinese enterprises, it was effected exteral factors referred to as the discrimin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instead of the internal factors that inflenced the their enterprises most. Because of the immigration of the leading level of the overseas Chinese and the obstacle of establishment of networks, the inflict between 落地生根(adaptation to the culture of the given environment) and 落地歸根(reservaiton of the inherent custom and tradition) occurred. Therefore, the conclusion that enterprises developed due to the confusion of identity can not stand, that is to say, it is represented that the management styles of the overseas Chinese is familism management under sino-Confucianism in small-medium scale enterprises, but it is reffered that the they could not enactivate the networks under kinship. Therefore, despite the appearance of the management styles of familism, the expansion of scope and scale of the style was impossible. In conclusion, the overseas Chinese and their enterprise development have shown different appearance before and the after korean independence. Prior to korean independence, the development of the overseas Chinese was caused by the special management style but fell down after the cardinal point of a after korean independence and the korean war. Moreover, their basis was shaken because of discrimian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As a consequence, their management style appeared familism under sino-Confucianism instead of networks which were expanded a scale and scope. Therefore, in a analysis and approach, it should be particularly analyse that interact with korean environment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