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김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Korean Studies is a broad and comprehensive discipline that analyzes various aspects under the theme of 'Korea'.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cope and identity of Korean Studies, a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quantitative and objective evidence. In particular, English-language journal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interests and research scope of the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nglish-language journal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published in Korea through a quantitative bibliometric methodology. The four English-language journals of Korean studies indexed in A&HCI and SCOPUS were selected, with a total of 1,910 articles, including 800 articles in Korea Journal, 482 articles i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97 articl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and 331 articles in Acta Koreana.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he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by examining the research topics and time periods of the articles in the four journals. The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time period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author-related factors by identifying the authors' affiliation, location, status, and field of study, as well as the number of authors and the status of collaborative research. Third, the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of author keywords using Textom.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top 50 most frequently used author keywords for the entire period. Then, it analyzed the top 15 author keywords for each period,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the first period (2008-2012), the second period (2013-2017), and the third period (2018-2022). This analysis aimed to understand the changes over tim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urnal individually. All of these results were visualized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word cloud. Fourth, the study utilized Netminer 4.5 to perform topic modeling. We analyzed the keywords that appeared in papers from 2013 to 2022, spanning a period of 15 years. From this analysis, we identified the main words associated with each topic and determined the weight of each topic.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studies are dominated by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s and sports, and all three areas have seen significant growth in the number and scope of published articles since 2000. In the humanities, the most common fields were histor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ligious studies, and philosophy. In the social sciences, political science, sociology, and anthropology were the most common fields. In the arts and sports, film, art, and music were the most common fields. The periods studied were contemporary era, Joseon era, and modern era, and in detail, research o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most common within Joseon era, and research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he most common within modern era.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topics by time period revealed a concentration of papers dealing with humanities and sociology-related topics in the contemporary era. Second, in terms of the location of the authors of the articles, the majority of the authors were from domestic institutions (73.25%), but there was a steady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uthors from overseas institutions. In terms of affiliation, author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ccounted for 13.61% of the total, while authors from each journal publisher published the most papers in the remaining three journals except for the Korea Journal, including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and Acta Koreana. The most common author status was "professor" (74.29%), followed by histor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ociology, and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In terms of the number of authors, 91.78% of the articles were single-authored, but the number of articles with two or more co-authors was steadily increasing,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Third, the author keywords were 'Korea', 'Buddhism', 'Japanesecolonialperiod', and 'Joseon'. The Korea Journal had the highest number of articles with keywords such as 'K-pop', 'Candlelight protest', 'Hallyu', and other terms related to Korean social issues and culture. I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the most frequent terms related to the religious philosophy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Buddhism', 'Joseon',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In th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words related to history such as 'Silla', 'Joseon', 'Koryo', 'Samguksagi', and 'Archaeology' were relatively common. In Acta Koreana, many articles related to the topics of Joseon Dynasty studies such as 'Neoconfucianism', 'Toegyeyihwang', 'Confucianism', 'Humannature', and 'Yulgokyii'. Fourth, the topic modeling resulted in a total of five topics. They were "Korean Modern Political History," "Korean Buddhist Culture," "Korean Culture and Cultural Transmission," "Korean History," and "Religious Philosophy of Joseon Dynasty," with an even distribution across the five areas. Among them, the largest share was given to topic 3, "Korean Culture and Cultural Transmission," which has recently received new attention as the Korean Wave, Korean Wave, and K-culture. On the other hand, history, philosophy, and religion, which are the traditional disciplines of Korean studies, each accounted for three fields, confirming their continued significance as areas of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s four English-language Korean Studies journals published in Korea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urrent interests and research areas of the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community. This work will also help to clarify the identity of Korean studies and predict the direction and future of Korean studies research. 한국학은 ‘한국’이라는 주제 아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학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학의 개념과 정체성에 관한 정리가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학 학술논문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동향과 범위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학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문학술지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국제 한국학계의 관심사와 연구 범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A&HCI와 SCOPUS에 등재되어 있는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 4종, Korea Journal 800편,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482편,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97편, Acta Koreana 331편 등 총 1,910편을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학술지 4종에 실린 논문들의 연구 주제와 연구 대상 시기를 살펴봄으로써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주제는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류표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 시기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논문 저자의 소속기관, 소재지, 신분, 전공 분야, 그리고 논문 저자의 수와 공동연구 현황 등을 파악하여 저자 관련 요소를 분석하였다. 셋째, 텍스톰(Textom)을 이용하여 논문 저자 키워드의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2008년부터 2022년까지 저자 키워드가 등장한 전체 시기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한 상위 50개의 저자 키워드를 도출하고, 더 나아가 1기(2008년-2012년), 2기(2013년-2017년), 3기(2018년-2022년)로 시기를 나누어 시기별 상위 15개의 저자 키워드를 분석하여 시기별 변천을 파악하였다. 또, 저널별 분석을 통해 각 저널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넷째, 넷마이너(Netminer 4.5)를 이용하여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빈도분석의 대상과 같은 2008년부터 2022년 사이 최근 15년간 논문의 저자 키워드로 등장한 단어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통해 토픽별 주제 및 주요 단어와 각 토픽의 비중 등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학 연구의 분야는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의 순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세 연구 분야 모두 2000년대 이후 논문의 수와 연구 범위가 크게 성장하였다. 인문학 분야의 경우 역사학, 한국어와문학, 종교학, 철학 순으로 논문이 발행되었고, 사회과학 분야는 정치외교학, 사회학, 인류학 순으로 나타났으며, 예술체육학 분야에서는 영화, 미술, 음악학 순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 시기는 현대, 조선, 근대 순이었으며, 세부적으로 조선 안에서는 조선 후기, 근대 안에서는 일제강점기 연구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종합적으로 연구 주제별 시기 분포의 파악을 통해 현대 시기의 인문학, 사회학 관련 주제를 다룬 논문이 집중적으로 발행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논문 저자의 소재지는 국내 소속기관의 저자가 73.25%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국외 기관에 소속된 저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소속기관의 경우, 서울대학교 소속 저자가 전체의 13.61%로 가장 많았고,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는 서울대학교, The Review of Korean Studies는 한국학중앙연구원, Acta Koreana는 계명대학교 등 Korea Journal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저널에서는 각 저널의 발행처 소속 저자가 가장 많이 논문을 게재하고 있었다. 저자 신분은 ‘교수’가 74.29%로 가장 많았으며, 저자의 전공은 역사학, 한국어와문학, 사회학, 정치외교학 순으로 나타났다. 논문당 저자의 수는 1인 저자 논문이 91.78%였으나, 2인 이상의 공동 저자 논문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 현상은 특히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이 나타났다. 셋째, 저자 키워드는 ‘Korea’, ‘Buddhism’, ‘Japanescolonialperiod’, ‘Joseon’ 순으로 도출되었다. 학술지별로, Korea Journal에서는 ‘Kpop’, ‘Candlelihtprotest’. ‘Hallyu’ 등 한국의 사회 이슈나 문화 관련 용어가 다수 등장하였다. The Review of Korean Studies에서는 ‘Buddhism’, ‘Joseon’, ‘Neoconfucianism’, ‘Confucianism’ 등 조선시대 종교철학 관련 용어가 빈도수 상위를 차지하였다.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에서는 ‘Silla’, ‘Joseon’, ‘Koryo’, ‘Samguksagi’, ‘Archaeology’ 등 역사학 관련 단어가 상대적으로 많이 도출되었다. Acta Koreana는 ‘Neoconfucianism’, ‘Toegyeyihwang’, ‘Confucianism’, ‘Humannature’, ‘Yulgokyii’ 등 조선시대 유학, 성리학 주제 관련 논문이 많이 수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토픽모델링 결과, 총 5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한국 근현대 정치사’, ‘한국 불교문화’, ‘한국 대중문화, 문화 전파 현상’, ‘한국 역사’, ‘조선시대 종교철학’으로 나타났으며, 5개 영역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이 중 한류, Korean wave, K-culture 등으로 명명되며 최근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영역인 토픽 3 ‘한국 대중문화, 문화 전파 현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학의 전통적 주력 분야인 역사, 철학, 종교 분야가 각각 나머지 3개 영역을 차지하고 있어 현재까지도 이들이 여전히 중요한 연구영역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행된 한국학 분야의 영문학술지 4종을 분석하여 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국제적 한국학 학술 커뮤니티의 관심사와 연구영역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작업은 한국학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며, 앞으로의 한국학 연구의 방향과 미래를 예측하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해외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현황과 교육과정 연구 : 미국, 중국, 일본 대학을 중심으로

        김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해외 한국학의 특성을 밝히고 이와 같은 특성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배경을 분석하여 장래 한국학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현시점에 한국학이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미국, 중국, 일본의 19개의 주요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학의 정체성을 규명한 연구와 한국학의 흐름을 유형화하거나 해외 한국학의 현황을 분석한 연구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의 선정과 자료의 수집 방법과 분석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미·중·일 주요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운영 현황을 국가별로 나누어 각 대학 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때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 한국학이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학과명과 전공을 확인하고, 한국학의 교육 목표를 검토하였다. 또한 교육 목표를 수행하는 교원의 구성과 교과목도 살펴보았다. 교과목은 교육 내용에 따라 동아시아, 언어(교육), 한국문학, 한국문화예술, 한국사회경제, 한국어, 한국역사, 한국정치외교, 한국철학종교, 한국학일반론(실습), 기타 등의 11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대학 기관의 한국학과(전공) 교육과정을 국가별로 분석하여 권역별 관심 분야와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우선 미·중·일 주요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소속을 통해 한국학의 위상에 대해 논의하였고, 각 대학별 교육 목표 주제어를 선별하여 한국학이 지향하는 방향에 국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교원의 구성을 교원 수, 최종학위, 출신대학, 관심 연구 분야로 세분화하여 한국학 교원의 규모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몇 개의 대학에서 얼마나 많은 유형의 한국학 관련 강좌가 열렸는지 비교, 분석하여 해외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ies as taught in different institutions abroad and to then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auses for these differences as a basis for future study. Specifically, this paper looks at Korean Studies as taught in 19 different universitie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where the subject Korean Studies is wide available. Firstly,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utility of this study are examined. The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definition of Korean studies in relation 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broad is explored. In Chapter 2, the methodology involved in selecting the 19 universities and a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Korean Studies curricula of each university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are examined individually. Firstly, the differences in departments and schools to which Korean Studies belongs in various universities,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goals across these programs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staff responsible for the teaching of Korean Studies in each faculty, including their educational as well as professional backgrounds, and their subjects of interest are looked at. Then the Korean related subjects offered are reviewe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11 groups: East Asian Studies, Language(teaching), Korean Literature, Korean Culture and Arts, Korean Society and Economy, Korean History, Korean Politics and Diplomacy, Korean Philosophy and Religion, General Korean Studies, and Other. In Chapter 4, based 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chapter 3, the areas of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Korean Studies programs are grouped and differentiated by country of practice. Lastly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韓國學生運動의 性格變遷에 관한 硏究 : 第5·6共和國때의 理論鬪爭을 中心으로

        허준혁 檀國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硏究는 韓國社會에 있어 가장 지속적이며 영향력있는 社會大衆運營 중의 하나인 學生運動의 性格變遷을 究明하기 위한 노력이다. 그동안 學生運動에 관해서는 世代葛藤論, 勢力葛藤論, 社會心理論, 構造-機能論, 社會發展論, 社會病理論 등 많은 理論的 接近方法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것도 學生運動을 완전히 설명해주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學生運動은 단순히 어느 한 接近方法만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복합적인 개념의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때 Student Power로 불리면서 1960~1970년대에 전세계를 휩쓸었던 학생운동이 197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라지거나 아니면 그 기세가 크게 약화된 것과는 달리, 韓國에서 만큼은 學生運動이 약해지기는 커녕 오히려 더욱 거세어지고 있다. 이는 韓國學生運動이 학생운동의 일반적 보편성외에도 다른 어느 나라 학생운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韓國學生運動」으로서의 특수성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本硏究에서는 이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韓國學生運動의 중요 변수를 ① 植民的 經驗, ② 外勢에 의한 分斷, ③ 權威主義的 政治風土, ④ 保守勢力의 不道德性, ⑤ 急進理論의 擴散, ⑥ 大學敎育의 權威失墜, ⑦ 壓力團體의 不在, ⑧ 産業化의 不作俑 등 8가지의 外生的要因과 ① 學生의 特殊性, ② 大學의 環境的 特殊性, ③ 「韓國」學生으로서의 使命感 등 3가지의 內生的要因을 나누어 고찰한 뒤, 학생운동과정에서 제기되었던 理論的爭點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論文은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다음과 같이 總8章으로 구성하였다. 第1章에서는 硏究의 目的과 方法을 밝혔으며 第2章에서는 學生運動은 槪念的定議와 함께 學生運動에 관한 기존의 理論的接近方法들을 고찰하였다. 第3章에서는 韓國學生運動의 諸要因들을 분석하였고 第4~6章에서는 日帝植民時代부터 第6共和國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韓國學生運動의 性格變遷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특히 第5~6章에서는 1980년대부터 한국학생운동이 理念運動靴되고 있음을 중시하여 한국학생운동에서 제기되었던 많은 革命理論들-市民民主革命論(CDR), 民族民主革命論(NDR), 民衆民主革命論(PDR), 三民革命論(民族·民主·民衆), 反帝民衆民主主義革命論(AIPDR), 民族解放民衆民主主義革命論(NLPDR), 制憲議會召集論(CA), 憲法制定民衆議會論(CPA), 憲法制定民衆會議論(CPC), 反帝反파쇼民衆民主主義革命論(AIAFPDR)-을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第7章에서는 韓國學生運動의 主要特特徵과 限界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第8章에서는 몇 가지 展望과 題言으로 結論에 대신하였다. 결국 學生運動은 全體社會構造가 안고있는 葛藤과 矛盾이 표출된 한국사회구조 사회현상의 하나라는 점에서, 韓國學生運動에 관한 연구는 韓國社會構造에 내재해 있는 葛藤과 矛盾에 관한 연구로서의 의미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할 것이다. 따라서 學生運動의 本質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啓蒙的이며 보다 體系的인 硏究가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nature of characteristic processes in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inueous and the most influencial social movements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n. A number of theoretical approaches for examing the student movement have been developed: Generation Conflictual Approach, Power Conflictual Approach, Social Psycological Approach, Social Pathological Approach, and others. However, none of these various approaches can fully explain the student movement perfectly because the student movement is a complex conception which can not be accounted by any one single approach. Morever,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is accelerating in a full gear to the contrary of student movement that had strongly influenced all over the world-so called the "Student Power"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is connotes that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has it's own peculiarity,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movement in other foreign countries. In consideration of this peculiar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areas, which have been ardently discussed in the process of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The influencial factors to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may be divided into "external factors" and "intrinsic factors". For a theoritical and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subject matter, the present is consisted of 8 chapters. Chapter 1 describ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present study. Chapter 2 formulates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student movement and investigates the modes of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student movement. Chapter 3 deals with the influencial factors to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Chapters 4 to 6 forcuse on the characteristic processes of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from the colonial period under the Japanese ruled to the 6th Republic. These Chapters, carefully review the various theories of revolution that had been raised in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Since the 5th Republic: The theory of Civil Democratic Revolution(CDR), National Democratic Revolution(NDR),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PDR), National Democratic People's Revolution(3 MIN-R), Anti-Imperialism People's Democracy Revolution(AIPDR), National Liberation People's Democracy Revolution(NLPDR), Constituent Assembly(CA), Constituent People's Assembly(CPA), Constituent People's Conference(CPC), and Anti-Imperialism Anti-Fascism People's Democracy Revolution(AIAFPDR), Chapter 7 explains some specific features and limits of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that have been emerged at the present moment. Finally, chapter 8 provides with some prospects and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the furture of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In conclusion, the study on the process of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seems to be a study of soci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 the Korean society. Thus, a more systematic yet provocative study on the subject matter is all the more required at this present moment.

      •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학 교육·연구동향

        徐迎迎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한국의 사회, 정치, 경제, 언어, 문화, 지리, 역사 등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영역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중국에서의 한국학은 국제 정세, 한중 관계, 남북 관계의 변화 등 국제적 요인과 중국 및 남북한의 국내 상황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 왔는데, 그 중 중국과 한국 양국 관계의 변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원래 중국에서의 한국학 교육은 한국어 교육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어 교육은 1946년 남경에 개설된 국립동방언어전문대학에서 시작되었는데,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의 역사는 60여 년이 넘었으며 한국어를 배우려는 열기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강하여 대학의 한국어학과 수와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 수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1992년 수교 전까지 북경대학, 연변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 낙양외국어대학, 북경 제2외국어대학, 중앙민족대학 등 6개 대학교에서만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현재 중국에는 총 218개의 한국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학 교육은 학과와 전공 수준에서부터 ‘한국학대학’과 같은 단과대학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과는 어문학 계통으로 중국내의 한국학 교육은 여전히 국제지역연구의 초기형태인 언어와 문화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학 연구가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및 문학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국제 지역학으로서의 한국학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동시에 대학의 한국어학과도 한국학과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실제로 중국의 한국학 연구 및 교육 분야에서 발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에서의 한국학의 정체성, 교육 및 연구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내 대표적인 한국학 교육기관, 연구 기관, 한국 정부지원 하의 세종학당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 연구 및 교육, 한중 교육 교류 등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지금 중국학계에서 한국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어떤 내용을 가지고 교육·연구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목록문헌 및 검색사이트를 활용하여 문헌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수교 직후 1992~1993년까지는 중국 항주대학교 한국연구소에 편찬한 『한국연구중문문헌목록(1912~1993)』, 1993~2005년까지의 연구 성과 자료는 심정창·유대군(沈定昌?劉大軍)이 편찬한?『조선반도문헌목록(1992~2005)』을 기초로 하여 한국 관련 연구성과를 수집·분석하였다. 2005년 이후의 연구 성과 자료는 도서인 경우, 중국 국가도서관, 북경대학교 도서관, 상해시도서관의 전자도서관 검색시스템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학술지 논문과 석?박사학위논문은 만방데이터(萬方數據, www.wanfangdata.com.cn) 사이트를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또, 한국의 교육부, 국제교류재단과 대학교육협의회 등에서 발간한 각종 자료와 관련 연구보고서를 통해 문헌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중국의 교육부와 한국관련 연구소, 한국어 전공이 개설된 대학의 기관 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여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중국의 인민망(www.people.com.cn), 만방데이터 및 구글(www.google.com) 등에 제공된 정보와 자료를 기본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대상으로 중국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한국학의 교육과 연구는 양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중국의 대학에는 한국 관련 학과가 수교 전 6개뿐이었는데 현재 36배로 늘어나 218개가 되었다. 이는 영어전공학과, 일본어전공학과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숫자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한국학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생소하며, 특히 북한과의 관계로 인하여 ‘조선’과 ‘한국’을 ‘조선(한국)어’와 같이 병용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학문적 분류에서는 학부 과정의 경우에는 문학 분야에 ‘조선어문학’과 ‘조선어’가 있지만, 대학원 과정의 석· 박사 학위학문분류에서는 조선이나 한국을 사용한 분야 자체가 없다. 대학원의 학위분류에서 한국학 연구는 외국문학분야에‘아시아·아프리카 문학(亞非語文學)’에 속해 있다. 일본이나 일본학, 미국학에 비교해서 여전히 그 비중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둘째, 중국의 한국학 교육은 주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학 교육 기관의 역사는 이미 70여년이 되었다. 그 중에 중앙민족대학과 연변대학은 소수민족 교육의 일환으로 중국조선족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여 북한이나 한국에 비해 전혀 손색이 없는 교육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밖의 대학의 한국학 연구는 북경대학, 연변대학, 산동대학 등 일부를 제외하면 여전히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학과의 전공과목 개설현황을 살펴볼 때, 조사대상인 학부 전공교육과정에서 어문학 중심의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역사나 사상과 같은 기초 분야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전공과정의 교과목뿐만 아니라 교수 전공분야에서도 어문학 전공교수의 비율이 과반수를 차지한다는 것도 문제라 할 수 있다. 셋째, 한국학 연구의 주제는 한중관계의 특성을 반영하여 경제 및 어학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에서의 한국 연구 성과물들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경제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한중 관계가 경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2위가 어문학 분야인데 이 역시 한중 양국 수교 후 한국 기업체의 대거 중국 진출과 "한류" 등 여러 가지 시류를 반영한 요소들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국 관련 연구 중에 가장 낮은 비율을 점유하는 분야는 종교, 철학·사상, 역사·지리 등 인데, 이들 기초 학문 분야가 어문학이나 정치·경제 등 시류에 민감한 분야보다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학 연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학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 연구

        도티녹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세계와 주변 나라의 한국어/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베트남 내 한국어/학 교육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문헌 및 교수, 재학생, 졸업생의 인터뷰를 분석함으로써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 교육의 실제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어/학과와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설립 연도, 학과 특징, 지역 3가지의 요소를 감안하여 5개의 대학교를 선정하고 한국어/학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하노이 국립 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HN USSH),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대학 (ULIS),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 (HCM USSH), 호찌민 외국어 정보대학교 (HUFLIT), 하노이 대학교 (HANU)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선 5개의 대학 교육과정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의 한국학 교육과정은 기업의 요구에 충족하는 다양한 전공 선택을 제공하는 한국어 중심 한국학 교육과정이다.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 한국학과는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하는 목표에 충실하고 학문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호찌민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학과가 동방학부에 속하고 있어서 교육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이 제한적이지만 학생과 기업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한국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육과정은 한국어학 및 한국문화를 기초로 통번역, 한국학, 관광, 한국어 교육 전공의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어학 중심의 학문적 특징이 보인다. 하노이 대학교 한국어학과는 통번역 지향 한국어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있고 실제학습활동을 중요시한다. 둘째, 베트남 한국어/학 교육 특징을 파악하였다. 베트남 대학은 30여년 간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의 양적 및 질적 확정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학으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인터뷰 결과를 통해서 취업 등과 같은 학생의 실질적인 필요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한국학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기 보다는, 한국학과 동등한 지위로 함께 발전하는 특징이 보인다.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한국 기업에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의 필요성이 약하고 논문의 필요성이 적다. 교원들의 낮은 급여 로 인해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을 위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한국학 교육으로 확장하지 않고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교육과 동등한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모순되어 보이지만 베트남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한국어/학과는 이러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현황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주는 개념어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keholder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in Vietnam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examin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and interviewing professors, students, and graduates, we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at Vietnamese universities and the perceptions of those concerned about the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department and curriculum. In this study, five universiti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ree factors: the year of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the region. It includ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noi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nds of the five university curricula were identified.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a Korean language-centered curriculum that offers a variety of majors to meet the needs of Korean compan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anoi Universi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perates an academic curriculum that is faithful to the goal of nurturing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o Chi Minh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Information is part of the Faculty of Eastern Studies, so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s limited, but it is operating a flexible and practical Korean studies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and Korean companies.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um offers a variety of majors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orean studies, touris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studies and Korean culture.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University is faithful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riented toward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values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confirm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30 years,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Korean studies. However,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into an equal status with Korean studies rather than simply being composed of a subcategory of Korean studies due to the social needs and practical needs of students such as employment.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is focused on nurturing talented people in Korean companies, the necessity of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is weak and the need for dissertations is small. Due to the low salaries of teachers, it is not easy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eveloping into an academic equivalent to Korean studies education without expanding into Korean studies education. Although contradictory,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Therefore, Korean language Studies/Korean Studies department is a conceptual word that symbolic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 국내 한국학 현황과 한국학 학부 교육 과정 연구

        정민주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in Korea and analyzes the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undergraduate courses to establish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This is to do better Korean Studies by grasping the various situations and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newly created undergraduate Korean Studies course within the last 10 years. In addition, as Korean Studies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it attempts to broaden the horizon of research by capturing various aspects of Korean Studies. In the relatively recent undergraduate course of Korean Studies, different interests in Korean Studies meet to form a department,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Korean Studies are diverse. In addition, as the identity of Korean Studies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current Korean studies meets with much confusion. In particular, we can see Korean studies mix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studies focused on specific discipline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way to establish a systematic Korean studies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Korean studies undergraduate courses. Unlike overseas Korean studie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Korean studies in Korea at a look. Korean studies in Korea are also dealt with in various Korean studies institutes and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in Korean studies majors in universities, but research on this has remained relatively underexplor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in Korea through this case study is an essential step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undergraduate Korean studies will be an important foothold for academic exchanges within Korean studies. In order to design a better curriculum for Korean studies, it is possible to create a greater synergy effect if the linkage between Korean studies institutes and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Korean studies in Korea and exchanges between Korean studies are activated. By compar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operation of each other, and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and introducing the necessary ones, we will be able to move forward with coexisting Korean studies and sustainable Korean studies. In conclusion, in the curriculum of the undergraduate Korean Studies, more movement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ies as regional studies and to connect Korean studies in Korea and overseas. Appropriate linkage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c disciplines(specify), and attitude to study Korean studies itself are required. Steady efforts also are required to cultivate Korean studies talent through various Korean studies programs. Finally, this study can have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iscussed ways to develop Korean Studies through the stories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The subject of research can be very diverse in researching development plans such as the perception and identity of Korean Studies,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nd the exchange of Korean Studies. However, I thought that the subject of Korean studies in Korea is us who are majoring in Korean Studies. As a subject who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than anyone else, we will be able to look at this study based on the sense of academic responsibility to further Korean Studies.

      •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 분석 연구

        송민선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한국학은 지역학으로써의 성격과 함께 다른 학문 분야와 복합적으로 얽힌 특성 때문에 학문 분야로서의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국내외 출판 자료 현황이나 주요 연구 성과 고찰 등 내용 분석 위주의 방법으로만 진행되어 왔으며, 계량서지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적용해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해당 지식 구조에서 나타나는 연구 주제와 범위의 구성, 출판시기, 피인용 횟수, 학제성 정도 분석과 함께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의 주요한 차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학술논문 데이터를 수집한 후, 누적 출현 빈도 상위 20%에 해당하는 저자키워드를 대상으로 계층적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장 하위 계층 군집을 기준으로 국내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 군집은 3단계 계층 구조를 가진 30개 군집이, 해외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 군집은 4단계 계층 구조를 가진 25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 군집이 포함하는 연구 분야 등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 연구자가 부여한 군집 명칭에 대한 FGI 결과, 대체로 적절하게 부여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출판시기 및 피인용 횟수 등과 관련한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 군집들의 구성적 특성 차이에 대해서는, 국내와 해외 모두 제공된 자료에 근거해서는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 모두 중심이 되는 연구 분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의 경우 학문 분야로는 성리학과 실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 전통 사상 철학과 문학 분야가, 시대적으로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 지리적으로는 분단 상황을 반영한 한반도와 북한,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경제나 민주화와 관련한 군집들이 대체로 중심 분야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한국학 분야는 한반도 분단 상태에 따른 남북한 관계나 정치 경제에 관련된 내용이 중심 분야로 언급되었다. 다섯째, 국내와 해외 지식 구조 군집들 중 학제성을 띠거나 혹은 단일한 분야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는 분야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 결과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군집이 속하는 학문 분야를 복수 선택하도록 한 질문 결과를 보면 국내 군집의 경우는 대부분 ‘역사학’, ‘철학’, ‘국어학’, ‘국문학’ 등을 중심으로 하는 인문학 분야 성격을, 해외 군집의 경우는 대부분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등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과학 분야 성격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와 해외의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가 어떠한 차이가 보인다고 생각하는지 대한 질문 결과, 대체로 국내 한국학 분야는 인문학 성격을, 해외 한국학 분야는 사회과학 성격을 보이고, 시기적으로는 국내는 고대에서 현대를 모두 아우르는 데 비해 해외는 주로 근현대 시점 연구가 모여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의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를 동일선 상에 놓고 1대 1로 비교하기에는, 제공된 자료에서 포함하는 주제 분야의 범위가 이질적이기 때문에 어렵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해 국내 및 해외의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종합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를 같은 눈높이에서 비교하는 작업이 보다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외 많은 한국학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고민과 의견을 비롯해, 통상적으로 한국학에서 기준으로 삼는 시대별, 학문 분야별 관점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하겠다.

      • 중국의 한국학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김일권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最近,关于韩国学的研究讨论日渐兴盛,无论是韩国国内还是国外都加强了对这一课题的关注。基于这点, 对于韩国学概念的整理、韩国学的整体性、又将如何定义,以及至今为止经历了怎样的发展过程、现在的状况如何等问题均需要正确的认识和把握。 根据以上提到的脉络,本论文首先以韩国学的概念以及整体性为基础,对在世界化进程中的韩国学未来进行客观展望。其次,抱着以振兴海外韩国学的目的,在充分了解中国国内韩国语及韩国学教育․研究现况的基础上,指出现今存在的问题,从而为了促进和推动中国的韩国语及韩国学教育․研究,揭示有效的改善方案而努力。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studies both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s, prompting academic discussions on the subject. In order to promote this process, it is essential to first define what Korean studies means. This task must deal with several important questions: what kind of discipline Korean studies can and should become; what kind of process it has gone through; and what kind of situation it is currently faced with. The prime aim of this thesis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looking at general conceptions and identities of Korean studies and to provide some prospects for its future in the globalized world. This thesis also aims to promote Korean studies abroad. For this purpose, it attempt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and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China. After revealing their most serious problems, the thesis strives to provide several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