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정책 연구

        김진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Ethnic nationalism (‘homogenous race of people’) has long remained an important organizing principle of Korean society. Korean people have been united together using the same language and sharing the same culture. Due to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including immigrant women since 2000, however, things have started to change. In fact,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ing rapidl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western society has gradually promoted an immigration policy with discretion by mediating conflict between assimilationism and multiculturalism despite a long history of immigration. However, Korea has recently pursued cultural pluralism without a sufficient review and study on whether or not the multiculturalism is certainly suitable for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if multiculturalism is a good choice for Korean society and analyze how effective current multicultural policies are in handling the problems of immigrant women. In fact, Korean society hasn’t adopted multiculturalism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ality of immigrant women in Korea. This kind of phenomenon is obvious when we see the type of marriage immigration which has been the main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Most marriage immigrations to South Korea have been for economic reasons. Vietnamese, Mongolian and Cambodian women, as well as Korean-Chinese women who speak Korean with similar cultural backgrounds have been preferred for immigrant marriages. Most of these countries are socialist states.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Korean society to promote multiculturalism by respecting ethic culture and language.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immigrant women are from socialist states,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fully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the economic system in advance. Because these women may someday become a mother of a child as a permanent resident,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promote an integrated education to help them and their children settle into Korean societ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mmigrant women-related policies have mostly focused on assimil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early settlement rather than focusing on multiculturalism. In immigrant women-related programs, for example, education (ex: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Korean lessons, etc.) accounts for more than 50 percent. In reality, Korean society has pursued only assimilation even though it has publicly advocated multiculturalism. In other words, Korean society is fully aware that assimilation is the correct choice. A variety of multicultural family-related policies have been promo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owever, many programs have been redundant with existing programs, and the assistance system has not been effectively ope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ated system as soon as possible. To solve current marriage immigration-related problems in Korea, it is essential to conduct an unbiased analysis on the reality. In fact, it is time for Korean society to handle these issues in a more active way, advocating ‘immigration policy’ instead of just ‘foreigner policy.’ Immigration to Korea has been a dream for many people from Chin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get actively involved in the immigration process to make immigration policy settle into Korean society. In Korea, marriage immigration has been mostly carried out through agencies such as a marriage broker. These marriage brokers’ unfair or improper conduct (distorted information) has caused many problems in international marriages. To correct this kind of problem, the marriage brokerage should change from a current registration system to a permit system. Furthermore, a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monitor if any illegal or unfair act is involved in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Second, it is important to have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settle into Korean society and facilitate it. If Koreans living overseas,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foreign workers and immigrant women who want to obtain Korean citizenship participate in this program, they will have an incentive to shorten waiting times for Korean nationality. The curriculum of this program includes Korean lessons and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Based on a pre-test, a participant can received customized education.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France, it is mandatory for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and complete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on the contrary, immigrants are still free to participate in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if they choose.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make the program mandatory. Because immigrant women live across the na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sufficient educational institutions all over the country to help them easily participate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Thir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local government-centered assistance system to make the local government play a leading role in promoting multicultural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With regard to multicultural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many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have introduced various programs. However, because immigrant women live in a local society,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make a local government handle immigrant women-related policies. In other words, while the central government deals with the general macro issues such as immigration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and budge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local governments need to take care of practical assistance and servi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n immigrant integration fund. At present,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annually increased the budget for foreign resident-related policies. However, the increase in budget does not mean a stable operation of foreign resident policies. For example, the divorce rat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he number of illegal migrants have risen every year. Hence, it is necessary to launch and properly operate an immigrant integration fund to manage the budget in an efficient and effective manner. Moreover, the fund should be raised under the benefiter-pays principle, making use of foreigner-related revenue (immigration fees, etc.). It appears that the number of immigrants would further increase in Korea. If the immigrant integration fund is raised by taxes, it may cause social conflict and discord. If all these operating systems are ready, a genuine practical immigration policy for immigrant women in Korea could be launched. 한국사회를 지탱해 온 대표적 상징 중에 하나가 단일민족이라는 개념이다. 한국사회가 동일한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는 단일민족이라는 사실은 국민의 통합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한 급격한 거주 외국인 증가로 인해 한국사회의 단일민족 신화는 깨지게 되었다.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 바로 󰡐다문화주의󰡑이다. 긴 이민의 역사를 가진 서구사회에서도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간 적절한 절충안을 모색하면서 이민정책을 전개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다문화주의의 본질이 무엇인지, 과연 한국사회에 다문화주의가 적합한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다문화주의를 외쳐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이슈이자 정책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다문화주의󰡑가 과연 한국사회에 적합한 정책인지 여부와 함께 현재 추진하고 있는 다문화정책이 여성결혼이민자 문제에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출발한다. 한국사회가 받아들인 󰡐다문화주의󰡑는 한국사회 여성결혼이민자가 놓여 있는 현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채택한 정책 방향으로 보기 어렵다. 거주 외국인 증가의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이민 특성만 보더라도 짐작할 수 있다. 한국형 결혼이민의 특성은 경제적 도약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이민으로서 대부분은 한국과 언어적으로 문화적으로 유사한 중국 국적 조선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중국뿐만 아니라 최근 베트남, 몽골, 캄보디아 국적의 여성결혼이민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는 사회주의 국가의 여성이 많다는 점도 주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족정책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고 그 활동을 장려하는 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추진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대부분 사회주의 국가라는 점에서만 보더라도 한국의 사회․경제 체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응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가 영구거주이자 가정에서 가지게 될 위치(아내이자 어머니)를 감안할 때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통합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실제로 추진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관련 정책이나 시책은 표방하고 있는 다문화주의에 근거를 두었다고 하기 보다는 대부분은 사회통합 및 조기 적응을 목적으로 하는 동화주의적 정책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관련 프로그램이 한국 문화 이해, 한국어 습득 등 교육 부분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즉 슬로건으로 다문화주의를 주창하면서도 정책수립에서는 동화주의를 선택하는 기형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말하자면 한국사회 스스로 현실적으로는 동화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다양한 다문화가족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프로그램과 예산이 중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 실수요자인 여성결혼이민자에게 관련 지원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체제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 시스템 정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한국사회 여성결혼이민자의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한국사회는 소극적 자세인󰡐외국인정책󰡑보다는 보다 적극적인󰡐이민정책󰡑을 전면에 내세워야 할 시점에 와 있다. 한국은 이미 중국 등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게는 새로운 삶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민국가로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이민정책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이민 전 단계부터 행정의 적극적 개입이 있어야 한다. 한국형 결혼이민이 결혼중개업체와 같이 에이젼시를 통해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결혼중개업체의 부당행위(상호간의 왜곡된 정보 교환)가 잘못된 국제결혼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실태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결혼중개업체가 지금과 같이 등록제가 아닌 허가제로서 공적 기관의 철저한 관리감독 속에서 부당행위 없이 건전하게 국제결혼을 성사시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정착과 활성화이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은 동포, 유학생, 외국인 근로자, 여성결혼이민자 등 한국으로의 귀화를 희망하는 외국인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국적취득 대기기간이 단축되는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본 프로그램은 한국어 교육, 한국사회의 이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전평가를 통해 해당자가 적합한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독일, 프랑스 등 서구에서는 이민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가 필수로 되어 있어 이민자가 해당국가에 이민을 오게 되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정착되어 있다. 아직 한국사회에서 사회통합프로그램은 의무참여가 아니라 자율참여로 되어 있어 본 프로그램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의무참여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가 전국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도시 뿐만 아니라 시군구 단위에서도 원활하게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을 충분히 확보하는 일도 중요하다. 셋째 지역 중심의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정책의 집행에 있어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현재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정책은 다수의 중앙부처가 관여하여 경쟁적으로 관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지역에 기반을 두고 지역민으로 살아가는 주민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방자치단체가 관련 지원을 총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와 관련된 정책방향이나 예산배정 등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해야 하는 분야는 중앙부처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되, 실질적 지원이나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부분은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이끌어 나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민자 통합기금을 설치하여 운영해야 한다. 현재 거주 외국인 정책과 관련하여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예산을 증액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 증액과 별도로 거주 외국인 정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단적으로 매년 국제결혼의 이혼율이 증가하고 불법체류자가 늘어나는 현실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따라서 관련정책의 예산을 중복현상 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민자 통합기금을 설치하여 예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또한 이민자 통합기금은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조성하여 외국인과 관련하여 발생한 수익(출입국 관련 수수료 등)을 활용해야 한다. 향후 한국사회에 이민자가 증가될 것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민자 통합기금의 조성이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된다면 사회의 분열 요인으로도 작용될 수 있는 만큼 수익자 분담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가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 현실에 바탕을 둔 이민정책이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 제1~8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 문항 분석 : 초등학교 교과서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박덕우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6년 제1회 시험이 치러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 제고와 역사적 사고력의 평가에 그 목적을 둔 능력평가시험이다. 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높으며 응시인원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응시인원 중 초등학생의 수가 적지 않은데 반해 기본교재로 활용될 수 있는 교과서와 초급문항을 비교분석한 연구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시험에 응시하는 초등학생의 경우 아직 스스로 교재를 선택하여 준비하기는 아직 어리므로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교과서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1회부터 제8회까지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시험 문항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고 출제된 문항들을 시대별, 영역별, 인물별, 자료별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출제경향과 평가문항 내용이 현행 7차교육과정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와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비교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문항의 평가내용은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 기초학습수준으로 밝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문항의 내용도 대부분 교과서 수준 안에서 이뤄지고 있고 교과서에 나와 있는 자료의 활용도 매우 높다. 둘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평가영역은 7차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의 평가영역과 많은 내용에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셋째, 교과서가 근세시대에 대한 비율이 높은데 반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전체적인 시대의 비율이 교과서에 비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비율이 교과서보다 높은 원시, 고대시대의 경우에는 시험횟수가 늘어날수록 문항 내용이나 제시자료가 중복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넷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과 교과서 모두 정치영역의 비율이 반 이상을 넘어 둘 다 정치사를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치영역은 둘 다 비중이 비슷하였으나 경제․사회영역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적고 문화영역은 더 많았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경제문항의 비율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같은 문항의 내용을 1회부터 8회까지 계속해서 반복 출제하고 있는데 이러한 중복출제는 향후 극복되어야 할 과제이다. 다섯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근대시대의 인물에 대한 문항수가 많은데 이 문항수의 60% 이상이 독립운동에 관한 내용으로 편중되어 있다. 교과서의 근대시대 내용이 독립운동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 점이 그 이유이나 보다 다양한 내용의 문항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과 교과서 모두 정치영역 인물의 언급횟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영역의 인물의 언급횟수 비율이 교과서보다 높았는데 특히 근세와 고대를 제외한 시대에 정치영역 인물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일곱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는 문항 당 평균 3점의 시각자료가 제시될 만큼 자료 활용을 많이 하고 있다.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각자료는 사진으로 주로 문화와 정치문항에 많이 활용되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특히 문화영역의 시각자료제시가 많은데 이 중 절반이 근세시대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기본적으로 교과서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문항이 개발되기 때문에 학교교육과정과 공통의 교육목표와 내용을 갖고 있다. 응모된 문항에서 선제하여 채택하는 방식을 쓰기 때문에 기존에 읽기자료 위주로 제시되었던 문제와는 달리 다양한 내용을 담는 참신하고 통합적인 문제의 유형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문항제작이 용이한 내용에 다수의 문항이 몰려 제작될 수 있는 한계도 가지고 있으므로 그러한 점들을 살펴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여 학교교육현장에서 평가문항 작성시 참고한다면 초등사회교육 목표에 다가서는데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초등학생의 역사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which is increasing in number of students, on the history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questions set based on the need and purpose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elementary students be interested in history? Second, does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elementary students build up their historical knowledge? Third,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you in history class? Fourth,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to improv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 we made a questionnaire (25 questions) about the effect of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story learning and analyzed the resul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ed, only 60 students who had taken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among 5th and 6th grade students living in Busan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the effects of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story learn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otal 25 questions, do you think that we need to study history in our lives? Are you interested in our history? Do you think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s you have any interest for history class? Are you interested in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with four questions, and 93%, 64%, 82%, and 60% answered positively about each question.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ave proven to have historical interest. Second, in analyzing the histor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25 items,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to improve the knowledge of Korean history?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you understand important people who have influenced history? Was it helpful to understand our cultural heritage? Did it help to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Did it help us understand the life of our ancestors? Did it help you learn specific historical fact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with six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85%, 85%, 85%, 85%, 83%, and 9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as helped elementary students to build up their historical knowledge. Third, in analyz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history lesson, among the 25 items,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to build background knowledge necessary for history class? Was it helpful in history class of the school? Did it help you actively participate in your history class? Has it helped in unit evaluation or other tests of history subject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with four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82%, 91%, 87%, and 88% of respondents answered each question posi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can be regarded as a great hel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story class.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among the 25 items, did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elp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 Do you think tha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improved through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Has it helped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historical events? Has it helped us to recall what lessons the historical events have given us in the present? Has it helped solve current social problems and predict future problem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with five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88%, 86%, 90%, 85%, and 7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So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proved to have a good influence on improving historical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ke above,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sto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orean History Ability T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story learning, but it has limitations because it used only the questionnaire. I think that more specific and practical researches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in the educational field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keyword : Korean history examination, history learning, historical knowledge, historical consciousness, history less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본 연구는 갈수록 응시인원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초등학생의 역사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근거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이 역사에 흥미를 가지는데 도움을 주었는가? 둘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이 역사적 지식을 쌓는데 도움을 주었는가? 셋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역사수업을 받는데 도움을 주었는가? 넷째,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이 역사의식을 향상 하는데 도움이 되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초등학생의 역사학 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항(25문항)을 만들어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것을 토대로 그 결과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인 설문에 응한 초등학생들은 부산시내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5,6 학년 가운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응시한 경험이 있는 학생 60명에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초등학생의 역사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역사적 흥미에 관한 분석에서는 전체 25문항 중에서 우리생활에 역사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우리나라 역사에 관심을 갖고 있는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역사수업을 받는데 흥미를 준다고 생각하는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관심이 있는가? 이렇게 네 가지 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각각의 물음에 대하여 93%, 64%, 82%, 60% 정도로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친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들은 역사에 흥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역사적 지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체 25문항 중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국사에 대한 지식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역사에 영향을 끼친 중요한 인물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우리나라 문화유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우리나라 전통과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우리조상들의 생활모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나? 이렇게 여섯 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각각의 물음에 85%, 85%, 85%, 85%, 83%, 90%정도 긍정적인 대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들이 역사적 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많이 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역사수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체 25문항 중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역사수업에 필요한 배경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되었나? 학교의 역사수업을 받는데 도움이 되었나? 역사수업을 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역사교과의 단원평가나 기타시험에 도움이 되었나? 이렇게 네 가지 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각각의 물음에 대하여 82%, 91%, 87%, 88%정도 긍정적인 대답을 한 것을 보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들이 역사수업을 받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초등학생의 역사의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체 25문항 중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통하여 역사의식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가? 역사적 사건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역사적 사건이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지 되새겨 보는데 도움이 되었나? 현재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문제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었나? 이렇게 다섯 가지 항목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각각의 물음에 88%, 86%, 90%, 85%, 76% 정도 긍정적인 대답을 한 것으로 보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 역사의식 향상에 좋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상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초등학생의 역사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초등학생의 역사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고자 하였으나 그 연구의 방법을 설문지만으로 하였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진다.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현장에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키워드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역사학습, 역사지식, 역사의식, 역사수업 * 본 논문은 2018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 한국사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내용중심교수법을 활용하여

        하민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외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실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한국인 교사가 가르친다면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국적에서 비롯된 다양한 문화가 섞여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교실에서는 문화 간 이해와 교류를 위한 상호문화교육이 매우 필요하다. 교사와 학습자 간에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이해하고, 교류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학습자 간에도 그러한 과정이 있어야 교실에서의 수업이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사 학습이 필요하다. 한국사는 한국 문화의 공시성과 통시성을 아우르고 있고, 한국 문화를 심층적으로, 바르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더욱이 본고에서 시행한 설문조사를 포함한 많은 연구자들의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사 학습을 원하고 있다. 또한, 다수 학습자가 한국사 학습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한국어 교실에서 한국사를 가르칠 이론적 필요성도 있으며 학습자들의 수요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사 수업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여러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사를 배운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한국어 교재들에는 한국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많은 경우에서 단편적으로 하나의 사건 및 인물만을 다루는 수준이다. 고려대학교의 『재미있는 한국어』만이 ‘한국의 역사’라는 단원에서 한국사를 시대 순으로 흐름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자들이 한국어 교실에서 한국사 수업을 위한 교육 방안, 교수 모형들을 제시해왔다. 그렇지만 학습자 자문화와 목표문화인 한국 문화 사이 이해와 교류보다는 일방적인 한국사 교육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을 통해 한국사를 교수하는 방안을 세우고자 하였다. 세계문화유산은 세계적으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으로서 세계사적 보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동시에 중국과 한국 각 나라만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나라 역사의 비교 학습을 통한 상호문화교육을 진행하기에 적절하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한국사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의 교수 모형, 교수 절차를 활용하였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필수화에 대한 역사교사와 학생의 인식

        김진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 영역 필수의 배경 및 결과를 검토해보고 이에 대한 현장의 인식을 역사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해보았다. 한국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시작된 한국사 수능 필수 과목 지정은 역사교사와 학생들도 공감하는 내용으로써 제도의 시행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시행 결과 역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채점 결과 보도 자료를 보면 절대평가의 도입과 쉬운 난이도의 영향으로 인해 상위등급이라고 할 수 있는 3등급 이내의 비율이 전체 응시자의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이한 수준의 난이도는 학생들의 학업부담을 낮추겠다는 시행 초기의 약속과 일치한다. 하지만 수능 필수 한국사는 대입 전형자료로써의 활용도가 매우 낮다. 변별력 없는 시험의 결과가 보여주는 현실이다. 따라서 수능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인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 측정으로 공정성과 객관성 높은 대입 전형자료를 제공하는 것’에는 미흡하다. 수능 시험 문제는 변별력을 높여 우수학생을 선별해야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수능 필수 한국사는 이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국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능 필수화 조치를 취했다는 것은 수능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신뢰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수능의 영향력 중에서 대입 전형에 중요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은 학생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부분이다. 하지만 수능 필수 한국사는 이 부분을 간과하였다. 따라서 한국사의 수능 필수 지정으로 의도했던 교실 변화의 모습과 현재 교실 모습에는 차이가 있다. 한국사의 수능 필수 과목 지정으로 기대한 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보완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수능 필수 한국사의 도입으로 한국사가 많은 학생들에게 주목을 받게 된 점은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을 지속시키고 한국사 교육의 강화를 이끌어내야 하는 것은 역사를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진 새로운 숙제이다. 이 연구 역시 이러한 출발점에서 시작하였다. 앞으로 수능 필수 한국사에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 한국사의 수능 필수 과목 지정이 한국사 교육 강화에 보다 많이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한국사 수업에서 또래 멘토링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

        황경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또래 멘토링 학습을 통해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업성취 수준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사 수업에서 또래 멘토링 학습 실시 여부와 학업성취도, 흥미에는 차이가 있는가?”, “한국사 수업에서 또래 멘토링 학습을 조직하는 방법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흥미의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 문제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시흥에 소재한 J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사 성적, 성향이 유사한 9개 학급을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중 전통적 강의식 수업만을 진행하는 통제집단 3개 학급, 공식적 또래 멘토링 학습을 진행하는 실험 집단 3개 학급, 비공식적 또래 멘토링 학습을 진행하는 실험 집단 3학급을 각각 선정하였다. 연구는 2015년 5월 11일 6월 30일 까지 8주간 총 8차시에 걸쳐 또래 멘토링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흥미 검사도구로 별도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흥미 변화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방식을 한 집단과 또래 멘토링 학습을 시행한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는 연구자가 직접 출제한 1차, 2차 한국사 정기고사 원안지를 활용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 기법인 프리드만 검정(Friedman-Test),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활용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학업성취도와 흥미 변화와 관련된 통계 처리는 SPSS/PC+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한편, 양적 연구 방법의 미진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2015년 6월과 7월 사이에 멘토링 학습 종료 후 학생들과 간단한 면담(Meet Method)을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 한국사 수업시간에 또래 멘토링 학습을 진행한 후 학업성취도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를 검증해본 결과 공식적 멘토링 학습과 비공식적 멘토링 학습을 실시한 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한 집단보다 한국사에 대한 흥미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공식적 멘토링 학습을 시행한 집단이 공식적 멘토링 학습을 시행한 집단보다 한국사에 대한 흥미가 더 높게 향상 되었다. 둘째, 학업성취도 변화를 검증해본 결과 비공식적 멘토링 학습을 한 집단은 공식적 멘토링 학습을 한 집단 및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하지만, 공식적 멘토링 학습을 한 집단의 경우에는 가설과는 달리, 학업성취도면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 수업에서 또래 멘토링 학습을 실시할 경우 학생들의 흥미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 하였다. 특히, 상위권 학생들도 우려와는 다르게 경쟁 심리를 발휘하기 보다는 멘토링 학습에 잘 참여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또래 멘토링학습을 진행할 때, 학업성취수준만을 고려하여 교사가 일방적으로 멘토링 학습을 결성하는 경우 활동에 대한 몰입도와 학습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다양한 멘토링 조직, 교수-학습 전략을 한국사 수업에 적용하면 학생들의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다만, 학업성취수준이 높지 않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한 만큼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경쟁심리가 강한 학교에서도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 지필고사를 통해 학업성취도를 검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가 수준의 표준화된 검사를 활용하여 통계적 검증을 진행해볼 것을 제언해 본다. ※ 이 논문은 2016년 8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전공)학위 논문임.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 역사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 한국 고등학생과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병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외의 많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각 기관에서는 한국사 교육도 실시하고 있거나 실시하려고 한다. 그러나 외국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사 교육의 목적과 내용, 범위 등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각 기관과 강사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 교육은 ‘한국사 교육’의 차원에서 접근할 수도 있지만, ‘문화간 의사소통’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도 있어 중층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중층적 접근의 기초 과정으로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 내용을 점검하고 외국인들이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파악하여 서로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국사 인식은 민족주의적이고 자문화 중심적인가? 둘째,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은 민족주의적이고 자문화 중심적인가? 셋째,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탐구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는데, 자문화 중심주의적 민족주의의 한국사 인식이 나타나는 26개 문항과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문항 26개를 제작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윈도우용 통계 분석 프로그램 PASW Statistics(SPSS) 18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인 학생 105명, 한국어 교사 90명,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136명의 유효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첫째, 한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국사 인식은 자문화 중심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이다.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광대한 영토 지배를 지배자의 입장에서 인식한다. 서민의 삶보다는 화려한 문화재에 대해서만 주목하고 우월감을 나타낸다. 대외 관계와 전쟁에 관해 자기 합리화만 있으며, 순혈주의적 단일민족주의를 내세운다. 근대 국민국가로 탄생하는 과정에서 평등의식과 민족의식은 심화되었으나 전체주의적이고 제국주의적으로 변질된 민족주의를 합리화하는데 근?현대사가 동원된다. 둘째, 초?중등교육을 받은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은 민족주의적이고 자문화 중심적이라는 것을 설문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한국어 교사는 일반적인 한국인보다는 민족주의적 성향이 낮게 나타났지만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은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에 대해 인정해 주기도 하지만 많은 부분과 사람들은 판단을 유보하였다. 그래도 외국인과 한국인의 한국사 인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적별로 응답 문항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우리나라와 직접 국경을 접하고 있어서 역사적 분쟁 여지가 많은 중국과 일본인이 공통점을 보인다. 따라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 교육은 문화간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세계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사가 될 수 있도록 자문화 중심주의적 민족주의의 요소를 제거하되, 언어와 문화 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한국사 교과와의 교과통합에 의한 미술비평 지도 방안연구 : 한국 근대회화 감상을 중심으로

        어유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는 수많은 시각적 정보를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며 나름대로 선택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고등사고능력이 필요한 사회변화에 따라 고등사고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으로 새로운 측면들이 거론되면서 미술 교육에서 감상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새로이 부각되고 있다. 미술교육에서 그 비중이 커져가고 있는 미술 감상교육에서 작품을 보고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인 미술비평에 대한 중요성 또한 함께 강조되고 있다.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비평과 감상교육의 확대를 해야 한다는 고시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는 미술비평수업이나 감상수업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미술 비평 지도를 위해서 한국사 교과와 통합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교과통합의 개념과 필요성, 유형을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서 살펴보고, 각종 문헌과 선행연구, 학술지 내용을 정리 분석 해본다. 둘째, 미술비평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의의를 문헌과 선행연구,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토대로 명확히 밝히고,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미술비평의 방법을 살펴본다. 셋째, 한국사 담당교사가 직접 참여하는 교과통합 미술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인문계고등학교에서 수업을 실제로 시행한다. 넷째, 한국사와의 교과통합의 여부로 수업의 결과물을 분석하고, 교과통합에 의한 미술 비평력 향상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사와 교과통합 지도를 통해서 미술비평지도방안을 연구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사와 미술 감상을 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흥미, 관심과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다. 기존에 분과화된 교과 수업에서 교과를 통합한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동기유발을 쉽게 일으킬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학생들의 감상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왔다. 학생들에게 한국사와 통합한 미술비평교육을 통해서 미술작품을 관조하는 감상에서 벗어나 한국사의 지식을 적용하여 미술 작품을 맥락적으로 감상하는 방법을 학생들이 배울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미술 작품을 접했을 때 작가의 상황이나 시대적, 문화적인 상황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감상 하려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 셋째, 한국사와의 교과통합을 통한 미술비평 수업에서 작품에 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학생들의 논리력,분석력,판단력 등의 고등사고 능력을 자극하고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넷째, 교과통합 수업을 통해서 교과 간 학습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학습자들의 중복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었다. 학생들의 중복 학습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고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부족한 시수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효율적인 수업단계를 통해서 학습자가 관조적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단계를 넘어 비평의 단계까지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방법을 학습 단계로 적용하여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미술비평감상 학습지 작성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펠드먼의 비평 4단계 기술, 분석, 해석, 판단 단계를 적용하여 작품에 대한 느낌과 가치판단을 언어화해서 비평문을 작성했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이 시대와 역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마련했고, 맥락적 비평 감상을 통해서 미술작품에 대한 이해력과 관심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은 비판능력이 어느 정도 발달된 시기고 이러한 사고의 발달은 청소년기에 정점을 이루게 된다고 했다.따라서 사고력 발달이 두드러지는 고등학생들에게 본 연구자가 시도한 미술과 한국사의 통합에 의한 미술비평 교육은 학생들에게 논리적 판단력, 비판적 사고력 등의 고등사고능력을 길러 주었으며,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모형을 통한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길러준 매우 의미가 있는 수업이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감상지도 방안을 계발하여 시각적 홍수 속에서 살아가야하는 학생들에게 비판적인 사고와 논리적인 판단력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미술 비평지도 방안이 많이 계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 미술교과와 한국사교과의 통합수업 연구 : 조선시대 회화작품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김정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지식·정보화시대를 지나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나아가는 시대 흐름에서 맞춰 교육계에는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의 개혁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주역을 키울 새로운 교육모델을 탐색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지식·정보의 홍수 속에서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주역인 우리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창의적인 발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탐색, 응용하여 통합된 창조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자기주도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교육이 주입식 교육으로 획일적이고 편향된 지식 전수의 교육이었다면 미래의 교육은 다양성을 수용하고, 상호 소통하여 학제간 교류와 융합을 통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가야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한 분야에서의 전문성만 강조하다보면 현대 사회의 복잡하게 얽힌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에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도 전공간의 융합, 인문과정과 자연과정의 통합, 교과와 비교과간의 통합 등의 방식으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대 흐름 안에서 학교 교육은 수직적인 지식 전달의 방향을 벗어나 수평적인 지식 의 공유와 융합을 위한 교육개혁의 시도가 이루어져야한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중요시되고, 학생의 생각을 존중하고, 다양한 소통을 통해 학생들의 열린 사고를 이끌어 내는 등의 노력이 교사의 중요한 덕목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토론의 장이 마련하고, 이야기 거리를 개발하고, 상호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래서 한 과목의 범위 내에서 한 명의 교사가 전공 지식을 토대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식보다는 과목 간 통합 교육의 방식을 활용하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교과와 일반교과의 조합은 학생들에게 융합교육의 모델로 매우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미술 교과는 창의력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실습과 미술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 작품 제작과 관련된 일화, 작가의 특징 등의 다양한 탐구가 필요하다. 2009교육개정 이후에 미술교육은 “감상, 표현, 체험” 3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성취 기준과 성취 수준을 달성하도록 했다. 이 세 요소 모두 중요한 요소이지만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이다.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낸 후에야 그러한 활동도 구체화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도출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자는 2015년부터 학생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본후, 미술 수업의 질을 높이고자 <한국사>,<세계사>,<국어> 3개 교과를 연구하여 공통 요소를 발견하고, 각 교과간 통합할 수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실제 수업에 도입해 보았다. 본 연구의 교과 선정에 있어 미술 교과의 성격과 가까운 요소로 <한국사>교과를 선택하였고, 이해력 · 상상력 · 전통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미술문화교과를 통해 동양미술의 변천사와 일본, 중국의 미술을 학습할 수 있고, 한국사 교과를 통해 일본, 중국의 문화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한국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조선유교사회의 성립과 변화” 단원을 통해 미술문화교과는 “조선회화의 변천사”단원을 통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를 시대별로 세분화하여 학생들이 조선시대 회화작품과 화가를 통해 당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사 교과는 시대적 상황을 요구하고 반영한 기록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민족의 정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과이다. 또한 한국사 교과서에 첨부되어 있는 그림 자료와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하는 교과이기에 미술교과의 미술사 영역과 통합이 가능한 교과이다. 최근 수능시험에 한국사 시험이 필수가 되어 학생들에게 중요도가 높아져 가는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미술교과와 한국사 교과의 통합적인 방식을 통해 흥미로운 교과지도안을 개발하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참신한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