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담임교사의 사회적 지지도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이지민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아울러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도 밝혀보는데 있다. 이에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구성요인으로 나누었으며, 자기효능감을 과제난이선호도,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의 구성요인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의 창원, 마산, 밀양, 김해, 양산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아동 495명에게 담임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도와 자기효능감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총 사용된 설문지는316명이다. 아동의 학업성취도 역시 같은 학교의 2008학년도 중간고사의 국어, 수학 성취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사회적 지지도(전체 척도)와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도의 구성요인인 정서적 지지도, 평가적 지지도, 정보적 지지도와 국?수 성취도 평균 간에는 평가적 지지도에 대해서만 유의한 상관을 가지며, 나머지 요인에 대해서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국어 성취도와 정서적 지지도, 평가적 지지도, 정보적 지지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하지만, 수학 성취도와 정서적 지지도, 평가적 지지도, 정보적 지지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물질적 지지도와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모든 척도(국어,수학,국?수 평균 성취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둘째, 담임교사의 사회적 지지도와 학생의 자기 효능감 간에는 관계가 있었다. 또한, 자기 효능감의 하위척도인 과제난이선호도, 자기 조절 효능감, 자신감과 사회적 지지도와도 상관관계를 가진다. 사회적 지지도의 하위 척도과 자기효능감의 하위 척도간에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셋째, 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기 효능감의 하위 척도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선호도와 학업성취도간에는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행 연구에서는 교사의 사회적인 지지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요인 때문에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혀내어 교사의 지지를 격려한다면 아동의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생의 자기 효능감 사이의 관계가 있으므로 아동의 긍정적인 자기효능감 형성을 위하여 아동이 느끼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교사의 관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생 자신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가 관계가 있는 만큼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은 학생의 학업성취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학업성취가 낮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아동에게 교사는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주어 아동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이는 교사로서 마땅히 해야 할 교육적인 역할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a class teacher and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Furthermore, it is to make a close investigation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upon,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classifying a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 as a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and dividing self-efficacy as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self-confidence. To carry out the object, it chose 6^(th) grad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Masan-si, Changwon-si, Gimhae-si,, Miryang-si,, measure social support of the class teacher and self-efficacy of individuals. The academic achievements were evaluated by applying Korean and Math results from mid-term test which was held on 1^(st) semester of year 2008.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class teache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average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Korea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solely on evaluative support, while it had no relations between other factors. Also, Korean(language) achievement had relationships with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However, Mathematics achievement had no relations with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Furthermore, material support had no relationship with every standards that describe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Mathematics and average achievement of both Math and Korea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a class teacher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the social support of a class teacher was investigated to have mutual relation with self-efficacy of students. It also has a correlation with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self-confidence, which are a subordinate factor of self-efficacy. Thir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and 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Moreover,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trol efficacy, self-confidence, task difficulty preference was investigated to have mutual 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s. Moreover, teacher's careful concern is required to help their students feel the teacher's social support since there's clear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teacher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Also, positive self-efficacy may promote academic achievement as self-efficacy of the student him/herself has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are demanded to help students who have both low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o form positive self-efficacy, by encouraging and watching students with deep concern. As a matter of course, it is an education role that teachers behooves to do.

      • 학업성취도 격차와 학교 교육 : PISA 2003-2015분석을 중심으로

        이호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 격차를 중심으로 교육 불평등과 학교 교육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 불평등 해소에 필요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5년 사이 총 5회에 걸쳐 진행된 국제학업성취도평가(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업성취도 격차의 횡단면적・시계열적 실태 분석, 학업성취도 격차 분해 분석, 교육 불평등과 학교 교육정책 비교 준거들 간 관계 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분석과 관련하여 학업성취도 점수의 지니계수를 산출하고 지니 계수의 국가 간 차이 및 연도 간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학업성취도 격차 분해와 관련하여 분해 분석(decomposition method)을 실시하여 평균 및 분위별로 학업성취도 격차를 분해하였다. 셋째, 교육 불평등과 학교 교육정책 비교 준거들 간 관계 분석과 관련하여 국가 및 분위 수준에서 시스템 GMM 추정량을 통한 동태적 패널 분석(dynamic pan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은 학업성취도 격차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여건의 차이에 따라 재학 중인 학교 특성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런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교 특성의 차이가 전체 학업성취도 격차 중 39.6~47.4%를 설명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 여건이 다른 학생들이 동일한 학교에 재학할지라도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가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체 학업성취도 격차 중 16.1~30.6%에 해당하는 크기였다. 둘째, 학업성취도 격차 분해 분석을 통해 산출한 교육 불평등 지수와 학교 교육정책 비교 준거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 선발과 학교 민영화 등은 교육 불평등을 악화시키는 학교 교육정책 기조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생 선발은 학교 계열화, 학교 책무성, 학교 자율성 등과 같은 교육정책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 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격차의 횡단면적・시계열적 실태를 분석한 결과,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는 지속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학업성취도 격차는 학교 민영화, 학교 자율성, 교육 복지 등과 같은 교육정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런 결과는 비OECD국가에서 두드러졌다. 또한 학업성취도 격차와 경제 수준 사이에는 ‘U’자형 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런 결과는 학업성취도 격차를 단순히 사회경제적 여건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한정지어 논의할 것이 아니라 학교 교육 내 학업성취도 격차를 유발하는 교육 불평등 요인을 진단 및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교육 불평등 해소에 실효성이 있는 학교 교육정책을 수립하여 공교육의 기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제고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① 교육 불평등 결정 요인에 관한 이론화・체계화 ② 교육 불평등 해소 관련 정책 및 제도 이론화 ③ 정책의 ‘형평성 영향 지수’ 제도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 재한 무슬림 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수도권 일부 대학 무슬림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가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 교육부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해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학업에 관한 논의가 제일 많다. 그러므로 현시점에서는 외국인 학위과정 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되고 있다. 학업성취도는 학교생활은 물론이고 대학 이후의 직업 선택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낮은 학업성취도는 졸업 이후의 취업과정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어려움과 좌절을 겪을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기존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른 유학생, 특히 무슬림 유학생들에게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수도권 일부 대학의 학위과정에 있는 이슬람 국가 출신 무슬림 유학생들을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어떤 무슬림 유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더 좋은가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1) 본국의 요인과 한국내의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2)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규명하였다. 상기한 두 가지 연구문제를 교차하면 "한국의 사회적 요인", "한국의 경제적 요인", "본국의 사회적 요인"과 "본국의 경제적 요인"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좋은 무슬림 유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좋은 무슬림 유학생들이 유학생활에서 더 많은 정신적 지원, 물리적 정보와 새로운 기회를 받을 수 있어 개인의 학업성취에도 도움이 된다. 둘째, 한국에 있는 비무슬림 친구들과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좋은 무슬림 유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가장 좋다. 학업성취도가 가장 좋은 재한 무슬림 유학생들은 무슬림-동포권(Muslim-Compatriot Circle)에서 벗어나 사교생활이 동포권에만 얽매이지 않고 다른 문화권 친구들과의 교류를 선호한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South Korea,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South Korean education ministry. Korean society is showing various interests in adapting foreign students to school life, however among them,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their studies.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tudy factors, such as factors that affec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not only school life but also job choices after college. Low academic performance can also be difficult and frustrating to choose a job you want, as it is less competitive in the post-graduation job process.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y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in South Korea focuses on Chinese students and is less interested in other students, especially Muslim students. The study focused on which Muslim students from Islamic countries are better at academic performance by setting up a survey on Muslim students in the degree courses of some universities in the Seoul Capital Area. As factors affecting academic performance, (1) whether factors in the home country or in South Korea will have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2) whether economic or social factors will have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Crossing these two research issu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ocial factors in South Korea", "economic factors in South Korea", "social factors in the home country" and "economic factors in the home country".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generally as follows. First, for Muslim students with the best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academic performance is the best. Muslim students with good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can receive more mental support, physical information and new opportunities in their study life, which also helps individuals' academic performance. Second, for Muslim students with the best social network with non-Muslim friends in South Korea, academic performance is the best. Muslim students with the best academic performance prefer to break away from the Muslim-Compatriot Circle, where social life is not tied to the rights of compatriots, but exchanges with friends from other cultures.

      •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김동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획득한 결과는 체육교과가 입시위주의 교육시스템에서 조차 중요한 필수교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M중학교 3학년 학생 중 1학기 기말고사 이후 0교시 체육, 정규수업 후 체육, 주말 체육 등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을 희망하는 학생 8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 중 이들과 평균이 유사한 학생 86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3개월간 각 각 활동 시간대에 따른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을 진행한 후 2학기 기말고사를 실시하였다. 각기 평균이 상이한 두 고사 간 난이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된 1, 2학기 기말고사 원점수를 표준화점수(Z점수)로 변환하여 1학기와 2학기 Z점수의 차를 활용하여 t검정과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한 집단이 비 참가집단 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학업성취수준이 상위권이나 중위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권에서는 큰 폭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한 집단 내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학업 성취수준이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수준별로는 상위권보다는 하위권으로 갈수록 남·여별 학업성취도 상승폭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경향이 있었다. 셋째, 방과 후 스포츠클럽 활동 시간대(0교시 체육, 정규수업 후 체육, 주말 체육)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는 학업성취수준별로 상위권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위권 집단에서는 「주말 체육」 참가 집단이 「0교시 체육」참가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고, 하위권 집단에서는 「주말 체육」, 「정규수업 후 체육」, 「0교시 체육」참가자 집단 순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초등학생의 인터넷 환경요인과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력간의 관계

        김지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환경요인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과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여, 인터넷 사용에 대한 교육적 지도방안과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G시 초등학교 4,5,6학년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09년 8월 21일부터 9월 10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인터넷 중독,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력, 사회적지지로 구성된 51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버전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되었다. 인터넷환경요인과 인터넷 중독 및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력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각 연구가설에 따른 조절효과인 사회적지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환경요인 중 인터넷 기대, 접근성,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은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력과 부적상관이 있으며,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력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인터넷 환경요인 중 접근성이 친구의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력도 친구의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환경요인 중 익명성과 스트레스는 부모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력은 부모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환경요인은 교사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력은 교사의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과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력, 학업성취도는 서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인터넷 사용과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력,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 다는 점에서 제 2의 가정이라 할 수 있는 학교에서는 교사와 또래 친구가 주는 긍정적인 인정이나 승인 등의 지지를 통해서 바람직한 학교생활은 물론 인터넷 중독과 같은 문제에 빠지는 위험을 줄여나가야 한다. 이상의 결론은 그 동안의 인터넷 교육이 인터넷 사용 교육에만 집중하였던 형태에서 벗어나 인터넷 윤리와 정신교육으로 확대하고, 인터넷 중독에 관련이 있는 사회적지지 변인들을 고려해 학교 뿐 아니라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서 이루어져야만 인터넷 중독의 위험에서 아동들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주요어: 인터넷 환경요인,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력, 학업성취도

      • 가구소득, 학교생활만족 그리고 사교육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우원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가장 핵심적인 변인들을 추출하고, 변인 관계를 추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제시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및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를 활용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가구소득을 배경변인으로 하여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학교생활만족과 사교육비를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학업성취도를 최종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가구소득, 학교생활만족, 사교육비 변인이 학업성취도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 변인이 표준성취 자료인지 학교내신 자료인지, 즉, 학업성취도 변인의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 변인과 사교육비 변인의 영향 분석도 주요 관심 주제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AMO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년~2007년도 자료 분석 결과, 표준성취 점수를 학업성취도 변인으로 활용한 모형에서는 사교육비 변인이 학교생활만족 변인보다 학업성취도 변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고용패널 4개년도 및 한국청소년개발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 5개년도의 전교 석차 비율인 학교내신 자료를 학업성취도 변인으로 활용한 모형 분석에서는 학교생활만족 변인이 사교육비 변인 보다 학업성취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어떤 패널자료와 어떤 유형의 학업성취도 변인을 활용하느냐에 따라 학업성취도 변인에 대한 학교생활만족과 사교육비 변인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준점수를 활용한 학업성취도 변인에 대해서는 사교육비 변인이, 학교내신 자료를 활용한 학업성취도 변인에 대해서는 학교생활만족 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과 학교교육의 효과 유무에 대해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면, 향후 연구에서는 어떤 패널 자료를 활용했는지, 어떤 특성의 학업성취 변인을 활용했는지에 따라 변인 간 영향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더 심도 있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