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유형 비교 연구

        채비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언어 교육에서 단순한 언어 형태나 문형의 습득이 아닌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언어 사용의 측면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따라서 의사소통에 활용이 가능한 학습활동의 역할과 교재에서의 학습활동의 제시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특히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인 교육 과정 역할을 하는 것이 교재이다. 하지만 교재를 구성하는 요소는 무수히 많으며 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므로 한 번의 연구로 이를 모두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본고는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언어 기능별(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학습활동의 유형을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이 두 종류 교재들의 학습활동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먼저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 본 다음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학습활동 유형의 분류 기준을 선정하였다. 이는 주로 3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지시문의 마지막 활동 서술어를 1차적 분류 기준으로 삼았다. 둘째, 마지막 서술어에서 구체적인 활동을 지시하지 않은 경우는 그 활동이 무엇을 위한 활동인지를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셋째, 두 개의 활동이 지시문이 들어 있는 경우는 두 개의 활동 중 어느 활동이 중심 활동인지를 따져 분류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에서 출판된 『서강한국어』,『연세한국어』,『이화한국어』교재 3권과 중국에서 출판된 『标准韩国语』,『大学韩国语』,『韩语视听说』,『韩国语』교재 4권으로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듣기 활동, 읽기 활동, 말하기 활동, 쓰기 활동의 순으로 먼저 한국 교재에 나타난 학습활동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다음 중국 교재도 같은 분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국 교재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듣기 활동의 경우, 전체 유형을 살펴볼 때 양 국가는 비슷한 유형이 많이 제시되어 있다. 양 국가 교재 모두 "듣고 완성하기, 선다형, 듣고 따라 말하기" 세 가지 유형의 활동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읽기 활동의 경우, 한국 교재는 읽고 고르기 유형이 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중국 교재는 읽고 쓰기 유형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국 교재의 읽고 쓰기 유형에서 읽고 질문에 답 쓰기 유형은 97%를 차지해서 읽기 활동에 특정 활동 유형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말하기 활동의 경우, 총계를 보면 한국 교재는 중국 교재보다 2배를 넘는 수치로 269개 나타났다. 말해 보기에서 중국 교재는 2문제만 제시되었고 사진이나 표를 보고 말하는 활동이 하나도 없었다. 따라서 중국 교재도 시각 자료를 많이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쓰기 활동의 경우, 총계를 보면 한국 교재는 98개, 중국 교재는 324개의 수치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다른 영역보다 쓰기를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교재에서는 글 쓰기가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중국 교재에서는 완성하기 유형이 31%로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다. 결과를 보면 한국 교재가 비교적 다양한 학습 활동 유형을 고르게 보이고 있었으며 중국 교재는 주로 쓰기 학습활동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앞으로 중국에서 교재를 제작할 때에는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말하기 활동을 많이 제시할 필요가 있고 한국에서 교재를 제작할 때에는 중국인 학습자의 전략을 고려해서 제작해야 한다. I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in real life is more important than simply learning the form or style of it. Therefore, the role of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that can be used for the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In particular, a growing number of Chinese learners are seeking to learn Korean. It is the teaching material that serves as a practical tool. However, there are countless elements within a textbook. Given to such complexity, it is difficult to grasp everything in the textbooks at one attempt. In this paper, the author compares the types of language skills, including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The introduction part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gives a summary of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the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2, the paper sets up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t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last activity description of the directive was used as a primary classification criteria. Second, if a specific activity was not directed in the last narrative, the activity was classified. Third, if two activities contain instructions, the two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comparing which of the two activities was the central activity. The subjects are based on thre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including ‘Seogang Korean’, ‘Senlight Korean’ and ‘Ihwa Korean’ and four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Then, in Chapter 3, the paper analyses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same criteria. The conclusion of the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listening activities, there are many similar types in two countries in terms of the overall type. In both countries, three types of activities, including ‘listen to and complete’, ‘multiple choice’ and ‘listen to and speak to’ are the most common ones. For reading activities, Korean textbooks have the highest reading and writing patterns at 53 percent, while Chinese textbooks show the highest reading and writing types at 56 percent. ‘Reading and answering’ questions account for 97 percent of ‘read and write’ in China, which tend to focus on certain types of activities. For speaking activities, the total number of Korean textbooks is 269, which is more than twice of Chinese textbooks. Speaking of which, Chinese textbooks offer only two questions and there is no activity in speaking with pictures or tables. Therefore, the author thinks that Chinese textbooks need to use more visual materials. For writing activities, the total number of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are 98 and 324, respectively, showing that writing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rea. In Korean textbooks, writing is the highest with 32 percent, while the percentage of ‘writing being completed’ is 31 percent in China.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textbooks have a relatively different type of learning activity and Chinese textbooks, which mostly focus on writ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we need to present more speaking activitie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in China. In Korean, however, the strategies of Chinese learners need to be considered.

      • 평생학습주민활동가의 활동지속 의미 탐색

        박관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Why did you participate as a lifelong learner?' and ‘Why do you continue to work as a lifelong learner?’ To re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ers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six people who were active a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in a lifelong education site to analyze the meaning of continu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are volunteers who combine knowledge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through a positive process, perform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and operation, and spread the value of lifelong learning to local resident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carries out activities such as lifelong learning demand survey, program development,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and plays various roles such as lifelong learning leader, facilitator, guide, coordinator and professor. In other word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play the role of a lifelong educator.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who are interested in lifelong learning,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and have the will to recognize problems and practice lifelong learning in the lifelong learning. They are "learners" with a high desire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have a desire for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 and a desire for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and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y have a common sense of awareness of problems in villages that do not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nd a willingness to take the initiative in solving problems of accessing lifelong learning information in the reg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activities of residents can play various roles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flexible time control was a reason fo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of residents. Working a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they will grow into self-directed learners,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various residents and experiencing various situations. The meaning of their continuing activities is as follows. First,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will have the meaning of continuing the activity through the recognition and support of the residents in the course of the activity.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they are greatly rewarded by receiving people's gratitude and pride themselves on their activities and roles through their experience of being recognized for their roles a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Second,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supports the growth of residents through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uch activities are meaningful for them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as resident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will create an environment for residents to smoothly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nd realize the value and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as he watches residents grow through lifelong learning. It also supports residents to return the results of their lifelong learning to the community and grow through these activities, helping them to share the results of their learning with the community through community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alent donation activities. These activities are meaningful for the residents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Third, the residents have variou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heir activities and grow on their own by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They will feel that residents wh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re growing together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growth, which means continuing the activities of local activists. In most lifelong learning cities, there are many people who train and us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at the site of lifelong education, but who have completed the process of training and actually engage in activities as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and even if they carry out the activities, they often quit halfway.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continuing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an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s' activities. The following items should be considered to encourag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and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First, various support for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in lifelong learning cities is needed. Various support is needed to recogniz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as important human resources for lifelong learning cities, recognize their existence as policy partners of local governments and important resources in the private sector, and actively encourage their activities. Such support should be accompanied by rewards, such as increased activity costs, and methods of psychological compensation (representation, service time recognition, etc.) that recognize the outcome of the activity. Second, support is needed to develop into an organization consisting of a learning community and capable of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olicy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region, rather than just individual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Th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ties need to be policy support and direction of projects that can be sustainable activities, such as the formation of groups together,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projects, and consignment of projects.

      • 단위학교 교수학습활동비의 합리적 배분방안 모색

        김선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단위학교 재정 운영을 자율화하고 학교장의 예산 편성과 집행의 재량권을 대폭 확대하기 위해 학교회계 설치를 주요 골자로 하는 「초·중등교육법」을 개정·공포 (2000.01.28)하게 되었고, 2001년부터 국·공립 초·중등학교와 특수학교에 새로운 ‘학교회계제도’가 전면 실시되면서 경기도교육청에서도 단위학교에서 소용되는 경비별로 지원기준을 정하여 배분하던 학교운영비를 통합하여 교당·급당·학생당 경비 기준으로 총액 배분하였다. 새로운 학교회계제도 도입에 따른 학교운영비의 총액배분은 단위학교 재정의 자율성과 학교장의 예산 편성 및 집행의 재량권을 확대하게 되었다.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학교회계예산제도에서 가장 핵심적인 예산과목은 교수·학습활동비이다. 단위학교의 적정 교수학습활동비 확보율을 결정하는 1차적인 요인은 교육재정의 절대적 규모이지만, 확보된 교육재정을 어떻게 배분하고 운영하는지에 따라서도 적정 교수학습활동비의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교육 재정 중 교수학습활동비는 학생들에게 직접 수혜가 되는 직접 교육비이므로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수학습활동비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 알아보고자 결정요인을 학교 급별, 학교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학교재정의 이론적 모색을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 연구이며, 인과관계를 설명하고 종속변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결산서를 통한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화성·오산 지역 초등학교 81개교, 중학교 22개교, 인문계 고등학교 8개교 총 111개교 중 2008학년도 결산서를 분석하여 여러 가지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학교 급별, 규모별로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별·규모별로 예산의 정도 차이는 상당하였다. 둘째, 교수학습활동비는 대규모의 경우 중규모, 소규모의 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생 1인당 교수학습활동비는 소규모 학교의 경우가 중규모나 대규모 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위학교 교수학습활동비의 결정 요인은 세입 요인 중 교육비특별회계전입금, 학교운영지원비, 보조금 및 지원금, 이월금이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세출 요인 중 인건비, 학생복리비, 공통운영비, 시설비가 교수학습활동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단위학교의 교수학습활동비의 합리적 배분방안을 모색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보면 단위학교의 재정배분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교수학습활동비 확보를 일정수준 이상 유지할 수 있는 기준 마련과 정보 제공 및 교육계획 수립 및 예산편성의 시기를 일치시키는 방법과 같이 제도적 측면과 학교장 리더십 아래 기업경영 마인드 전환으로 자체 수입을 증대하고 이월금 발생을 억제시키는 단위학교 자체적으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식 일 것이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창의성 학습활동 내용 분석

        이재웅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지금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학교에서 배우고 자라는 학생들은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창조적이고 새로운 지식을 다룰 수 있는 힘을 지녀야 한다. 특히 사회과는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을 미리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과에서 창의성을 교육하는 데 있어서 그 방식은 크게 둘로 나뉜다. 하나는 일반적인 창의성 교육을 중심으로 사회과의 내용을 접목시켜 교육하는 영역 일반성의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과만의 창의성 요소를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 영역 특수성의 관점이다. 전자를 개인적 창의성, 후자를 사회적 창의성이라 정의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개인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으로 보았고, 사회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는 관계적 지식, 사회적 기능, 정의적 특성으로 보았다. 이러한 창의성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사회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습활동 가운데 창의성 요소가 반영된 학습활동은 27.5%로 나타났다. 1/3미만이 창의성 학습활동이었고, 나머지 2/3이상은 교과 내용 지식 활동이었다. 둘째, 창의성 구성 요소 가운데는 개인적 창의성이 사회적 창의성에 비해 8:2의 비율로 많이 제시되었다. 개별적 요소로는 유창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융통성, 관계적 지식, 정교성, 독창성, 사회적 지식, 정의적 특성 순이었다. 셋째, 교과 영역별로는 사회‧문화 영역에서 대부분의 요소들이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특히 유창성의 비중이 높았다. 경제 영역에서는 정교성이, 정치와 법에서는 융통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출판사에 따라서도 창의성 구성 요소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창의성 학습활동이 많은 출판사가 있었던 반면, 창의성 학습활동보다는 교과 내용 지식을 선호하는 출판사도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창의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학습활동에서 창의성의 구성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본 뒤, 구성 요소별로 사회과에서 활용 가능한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창의성 교육이 더욱 강조되었고,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도 다양한 창의성 요소들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각 교과 영역마다, 출판사마다 제시된 창의성 구성 요소들이 서로 차이가 있었지만 오히려 그러한 부분이 창의성 요소를 보다 다양하게 만들고 교과 영역마다의 특성을 살려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사회적 창의성 요소는 전반적으로 제시된 정도가 낮았는데, 이는 앞으로 사회과만의 창의성 요소를 찾고 개발해야한다는 과제로 생각되어진다. 끝으로 본 연구가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고, 후속 연구를 통해 교과 특수적인 사회과 창의성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해 본다. We are now liv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in the 21st century. Students who grow up and learn in school should have the power to deal with the new and creative knowledge to live in a quickly changing society. In particular, people majoring in social studies need to teach students to have the qualities required to live in the changing society as the citizens. There are two viewpoints in teaching creativity in social studies. One is the viewpoint of domain-generality that combines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with the general creativity. The other is the viewpoint of domain-specificity that educates students to have creativity with the creative elements of social studies. The former is defined as the personal creativity, and the latter is defined as the social creativity. The elements of personal creativity are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On the other hand, the elements of social creativity are relational knowledge, social function, understanding of others, care(consideration), compromise, and cooperation. On the basis of these elements,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on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creativity elements were 27.5% out of the whole learning activities. Th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were less than one-third, and the activities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textbook took up two-thirds or more. Second, as for the creative elements, the proportion of the personal creativity was four times more than the social creativity. Fluency was most common among them, followed by flexibility, relational knowledge, elaboration, originality and social function. Third, according to the subject areas, the area of social and culture had the evenly distributed elements, and fluency is particularly of great importance. The area of economy dealt with much elaboration, and flexibility took up the great percentage in the area of politics and law.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reativity elements according to the publisher. Some publishers frequently used creativity learning activities, but some preferred the knowledge based on the curriculum content . This study looked through the various theories having an interest in how creativity education can be made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is study it was analyzed how creativity element is reflect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xtbook. And the possible examples of the social studies where each element can be used were presented. 2009 Revised Curriculum has put more emphasis on creativity education. And various kinds of creativity elements were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ach part of the subject has the difference in reflecting creative elements like each publisher does. However, these differences can make the creativity elements more various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rea. The proportion of the social creativity is generally much lower, though. It is thought that people majoring in social studies should endeavor to find and develop the creativity elements on their own. In conclusion, I hop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uture study of the creativ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nd I expect the study of the creativity in social studies to be more activated through the follow-up study.

      • 만화자료를 통한 학습활동이 초등영어 듣기·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윤정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만화는 동심의 세계이다. 아이들은 하나의 만화 장면을 통하여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펴고 아름다운 꿈을 꾸기도 하는데, 이는 만화 특유의 상징성과 해학성, 그리고 의미 전달의 함축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어과 학습비디오의 애니메이션을 만화형식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교수-학습과정에 투입함으로써, 아동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영어 듣기·말하기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험은 유사실험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 계획하고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만화자료를 통한 학습활동이 초등영어 듣기·말하기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만화자료를 통한 학습활동이 아동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만화자료를 통한 학습활동에 대한 교사관찰평가 결과 나타나는 아동들의 영어학습활동의 변화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넷째, 만화자료를 통한 학습활동에 대한 아동자기평가 결과 나타나는 아동들의 영어학습활동의 변화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다섯째, 만화자료를 통한 학습활동에 대한 아동들의 평가는 하위과정별로 어떠한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시 소재 J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능력수준별 하위집단의 실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의 점수를 기초로 하여 실험·통제집단을 각각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수업에 사용한 만화자료는 비디오의 애니메이션으로부터 캡쳐한 그림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이를테면 만화카드, CD-ROM, Storytelling 만화 학습지, 녹음테이프, 이야기캡션, 만화로 그리고 영어로 말해요, 만화일기 학습지 등 7종류이다. 이들 만화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는데, 만화이야기 듣기, Storytelling, 만화그리기, 그림카드로 게임하기, 역할놀이, 만화그리기, 녹음활동 등 7가지이다. 실험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듣기·말하기능력의 전후 검사 외에, 교사관찰평가와 아동자기평가를 15주에 걸쳐 35시간 동안의 실험기간 중에 3회씩 실시하였다. 또한 어느 만화가 가장 흥미롭고 공부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아동들의 의견조사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구를 실행하고 측정한 결과로 연구문제 1,2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연구문제 3,4에 대해서는 교사관찰평가 및 아동자기평가의 변화추이를 그래프로 그려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문제5와 관련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및 의견조사를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얻었다. 만화를 통한 학습활동은 아동들의 듣기·말하기능력 신장과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듣기·말하기능력 신장 및 흥미도·자신감 향상에 대한 추정은 교사관찰평가와 아동자기평가에서 아동들의 학습활동이 점점 발전하는 추이에서도 뒷받침되었다. 아동들은「만화로 그리고 영어로 말해요」자료로 하는「만화그리기」활동에 큰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만화카드」자료로 하는「Storytelling」활동을 영어 듣기·말하기공부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만화를 이용한 학습활동은 아동들의 영어 듣기·말하기능력 신장과 학습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비록 실험집단의 향상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몇 가지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우선 실험?통제집단의 교사 및 아동들의 학습환경, 태도 등 여러 변인을 완전히 통제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아동들의 능력과 태도가 반드시 실험처치로 인해 향상되었다는 인과관계를 가정할 수 없다. 그리고 만화자료에 대한 흥미가 능력향상을 가져왔는지, 아니면 능력향상이 흥미의 원인이 되었는지도 분명치 않다. 이러한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자는 만화의 학습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만화자료의 개발, 만화활동에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현 교육과정에 따르면 3학년에서는 4가지 언어기능 중 음성언어를 통한 듣기와 말하기 학습으로 제한하여 다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연구과정에서 실험하고 관찰한 바로는, 문자를 완전히 배제하고 듣기와 말하기 학습만 하기보다는 문자를 자연스럽게 도입하여 듣기와 말하기 학습과의 유기적인 지도를 통해 읽기와 쓰기를 포함한 4가지 언어기능을 총체적으로 길러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만화활용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4,5,6학년으로 이어지는 읽기 및 쓰기의 단계적인 지도를 위해 학년간에 계열성을 지닌 만화자료 제작과,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셋째, 만화자료의 제작은 일반 교사에게 과중한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영어교재의 만화화가 교과서 제작자 차원에서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영어만화나 인터넷을 통한 영어만화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developed and piloted a set of materials using animated cartoons on video. The materials were designed to improve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in Englis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two classes of third graders in J elementary school, and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he constructs examined were learner attitudes, including both attitude to the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s English, and learner skills, including both speaking skill and listening skill. These constructs were operationalized as follows. Attitudes were measured using self-assessment checklists, questionnaires, as well as written feedback. In addition, there was teacher assessment of attitude through a rating scale which included classroom observation. Skills were measured by an oral interview, and a multiple choice listening test, which was also used to distinguish a high, muddle, and low level of student in the group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 Will there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improvement fo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 Will there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 Will there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improvement between the high level, the middle level, and the low level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distinguished by the pre-test ? d) Which cartoons and which activities do the learners express the most interest in? Which do they feel most helpful in learning English? The materials were constructed using pictures taken from animated cartoons. These generated a number of different activities, including "listening to the story of the cartoon", "story-telling", "drawing cartoons", "game with picture cards", "role-playing", and "tape recording the stories students drew". In addition to the pre- and posttests, rating scales and self-assessment were carried out on three occasions during the treatment, which lasted a total of 35 hours spread over 15 weeks. Students also submitted written evaluations of which cartoons were most interesting and helpful. Althoug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improvement in favor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are three reasons to treat the results with caution. Fist of all, in this classroom study, it was not possible to fully control all the variables. Most importantly, the teacher variable was not controlled. Secondly, we cannot assume causation from the fact that attitudes and skills improved during the course of treatment. It is equally possible that the improvement in skill caused an increase in student interest in the materials. Finally, this was a specific classroom study, and the results are not necessarily valid for all conceivable classroom conditions.

      • 학습활동을 통한 시 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 연구 :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김나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습활동을 통한 시 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 연구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는 김소월의 <진달래꽃> 학습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시 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는 학습 활동을 꼼꼼히 살펴 시 교육의 역사적 변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김소월의 <진달래꽃> 학습활동의 올바른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시 교육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2차 교육과정기에는 교과서에 학습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대단원 구성에 있어 어떤 틀도 갖추고 있지 못하였다. 또한 하나의 대단원 안에 13편의 시가 실려 있어 교사나 학습자 모두에게 학습의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이 때문에 학습활동 또한 개별 작품들의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 질문 대신에 근대시 총 13편을 포괄하기 위해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 교육과정기에는 2차 교육과정에서 단원의 길잡이 형식으로라도 제시되어 있던 학습 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문학 교육적으로 퇴보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문학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여 제재 선정 기준을 도입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활동에는 한자 익히기 문제가 제시되어 있어, 한자 학습이 국어 학습을 침식하는 등 많이 문제점이 드러났다. 4차 교육과정기에는 문학 영역이 독자적인 항목으로 독립되면서 문학에 대한 비중이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라 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용어에 대한 명확한 설명 없이 학습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어 문학 지식이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고 있었다. 이런 지식 위주의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인 학습보다는 교사의 무조건적인 설명에만 의존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해 볼만한 사실은 교육과정상 처음으로 명확하게 학습 목표를 설정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로 판단된다. 6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 교육과정과는 달리 ‘학습자의 경험 세계’를 강조하면서 ‘학습 활동’ 또한 강조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대단원 구성에 있어 처음으로 영역 통합적인 구성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같은 구성은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작품을 이해하는 데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수준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수준별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학습 활동 또한 ‘보충 · 심화’를 위한 학습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목표 진술을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 또한 교육 목표로 설정하여 ‘창의력’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직접적인 수행과 활동을 강조하는 활동 중심 교수 · 학습을 강조하고 있어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대단원 구성은 6차 교육과정에서와 같이 영역별로 통합되어 있어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원칙에 따라 교육과정이 개정되는 특성을 보인다. 또한 7차 교육과정까지 국정 교과서 체제를 지속해 오던 국어 교과서가 검·인정 체제로 바뀌게 되었다. 국어 교과서가 검·인정 체제로 바뀜에 따라 다양한 교과서 집필진들이 참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의 수도 증가하고 다양해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학습활동은 그 구성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그 내용 측면에서 잘못된 시 이해를 부추기는 학습 활동도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를 토대로 하여 김소월의 <진달래꽃>의 올바른 학습 활동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김소월의 대표작일 뿐 아니라, 한국 현대시를 대표할 만한 작품 중의 하나이다. 김소월의 민요풍 시가 대개 그러하듯이, 이 시도 쉽게 이해되고 또 널리 애송되고 있다. 고등학생의 수준에서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고, 또 운율과 같은 시의 요소들과 우리의 전통적 정서를 배울 수 있는 작품이다. 그러나 이 작품을 제재로 한 학습 활동을 살펴보면 억지스러운 설명이나 의미 부여로 쉽게 즐길 수 있는 시를 어렵게 만들고, 심지어 시를 잘못 가르치고 있는 것을 앞서 확인하였다. 이같은 논의를 토대로 <진달래꽃>의 올바른 학습 활동은 크게 2가지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먼저 운율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이다. 소월은 우리 말소리의 미감을 잘 살려 시어들을 적절히 선택 · 조합시키고, 율격이 아름다움이 느껴지도록 문장의 구문을 잘 조절하여 아름다운 운율이 흐르는 시를 만들었다. 이같은 운율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낭송을 통해 말소리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시한 것은 시적 화자의 체험과 감정에 대한 이해이다. 현대시는 극적인 상황에서 특정한 인물이 토로하는 극적 독백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시를 읽고 감상할 때 무엇보다도 먼저 화자가 누구이며, 그 화자가 처한 극적 상황이 어떠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이 시의 감상은 쓰라린 이별을 당한 화자의 마음과 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시의 화자는 이별을 노래한 시들의 화자들과는 다른 마음과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 다른 마음과 태도를 섬세하게 이해하는 일이 <진달래꽃>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이 되며, 이것이 이 시에 대한 감상의 본론이 된다. 이별의 슬픔에 대한 자기의 감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승화시켜 자기가 싫어서 떠나가는 임을 마음 편하게 가게하고, 이도 모자라 그가 가는 길에 꽃을 뿌려 밟고 가라는 태도에 숨겨 있는 여인의 고운 마음씨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은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통해 시 교육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소월의 <진달래꽃> 학습 활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글에서 검토한 여러 문제점과 그 대안들이 차후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편 과정에서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학습활동에 따른 교실 영어 활용 방안

        이난희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실영어의 사용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무의식중에 재미있게 의사소통을 하는데 큰 영향을 끼쳐 왔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에는 학습 상황이나 활동 내용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체계적으로 정립된 것이 없다. 그래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보다 손쉽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실 영어 활용 방안을 연구하기로 했다. 학습활동 유형별로 수업 상황에 따라 도입 단계부터 정리 단계까지 다양한 교실영어 활용방안을 연구하고, 교실 수업에서 가장 유용하면서도 아직까지 그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교실 영어 표현들을 찾아 표현하고 정리해 보았다. 이론적 배경으로 초등 영어 담당 교사의 자질과 대표적인 초등 영어 교수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교사는 무엇보다 교육을 사랑하며 아이들을 아끼고 그에 알맞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부단히 연수를 해야 한다. 초등 영어 교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수 학습 활동 측면에서 행동 중심의 활동(action-based activities): 전신 반응법 (total physical response), 화제 중심의 활동(topic-based activities),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의 3 가지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교실 영어 활용 현황을 교사와 학생의 측면에서 조사하여 분석해 보았고, 그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학습활동 유형에 따라 교실 영어가 많이 사용된 영문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초등 영어 교수 학습 활동의 유형과 교실 영어 지도 방안, 초등 영어의 언어 기능 영역별 교실 영어 지도 방안, 초등 영어 교수 학습 활동 유형에 따른 교수 학습 지도안 작성이다.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use of Classroom English has greatly influenced on communi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Little content has been established to support the use of classroom English in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s. Some teachers studied the methods concerning Classroom English that can be spoken easily and effectively. The study examined various ways to use classroom English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review of a class and summarized various English expressions which most teachers can use sufficiently. Though there are many teaching methods about the child English educa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major ones in terms of action-based activities of a teaching-learning: TPR(Total Physical Response), Topic-based activities, and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Next, the study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bout the use of Classroom English from the aspect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Fif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From the result, teachers seemed to feel some burden when they were required to teach English using a target language and needed a lesson plan containing expressions of Classroom English. In addition, the researcher surveyed 100 students who were the 3rd, 4th, and 5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Most students felt interested and motivated in learning when teachers taught English. Based on the data, surveyed the study propose a lesson plan in English that contained usefu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delimitation: it can't deal with all levels of Classroom English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confront with in class, a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it can't meet all needs of teachers as topics and activities are various in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Teachers can get help from this study to design the lesson plan in English and to use useful Classroom English according to the context.

      • 학습분석 기반 온라인 학습활동 시간데이터 탐색

        강수미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시간변수에 대해 학습분석학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연 구의 주된 목적은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학습활동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을 기반으로 학습활동 시 간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 및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측정 가능한 온라인 학습활동 유형을 통해 발생하는 시간데이터를 세분화하 여 분류하고, 이를 시각흔적데이터(clock trace data), 시간생성데이터(time generate data), 시간분석데이터(time analysis data)로 구분하여 개념화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Richey와 Klein(2007)의 설계·개발 연구(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절차는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습행동 유형을 분석하여, 학습분석학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유형과 특성을 식별하고, 이를 바탕 으로 온라인 학습활동 유형별 시간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1차 타당성 검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데이터의 개념과 항목을 수정하였으며, 이후 2차 타당화 검증 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반영함으로써, 시간데이터의 개념과 데이터 항목을 더욱 정교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거친 후 수정 및 보완된 시간데이터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며, 시간분석데이터의 유형에 대한 개념과 구체적 인 활용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학습활동을 중심 으로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시간데이터의 유형과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 하고, 그 기준을 마련한 데에 있다. 이는 기존의 학습분석학 연구에서 제시 된 총 학습시간, 학습 시점 간격의 규칙성, 학습 활동 빈도 등의 시간 변수 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시간데이터의 명확한 측정을 위해 시각과 시간의 개념을 구분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시간 데이터의 측정을 보다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학 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을 지원하고, 학습자의 학습 행태를 이해하는데 핵심적 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제어 : 학습분석, 온라인 학습환경, 온라인 학습활동, 시간데이터, 시간데이터 분류 체계

      • 학습조직활동과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이 품질경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판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급변하는 글로벌 경영환경상황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품질경영의 중요성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기업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TQM, 식 스 시그마, 100PPM운동 등 품질전략을 수립하고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1987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된 ISO 900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www.iso.ch)품질경영시스템 모델은 기업의 품질경영의 기반과 체제를 구축하는데 기여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품질경영시스템의 운영만으로 품질경영효과 성을 향상 할 수 없다. 따라서 품질경영시스템구현과 품질경영효과 성을 향상하기 위한 운영전략과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행동 론 의 개념을 가진 학습조직활동이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의 핵심요소와 품질경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의 핵심요소가 품질경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첫째, 개인․조직혁신활동의 학습조직활동이 있다. 그리고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의 핵심요소는 전략기획과 실행, 프로세스관리, 품질비용측정활동이 있다. 학습조직활동이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을 위한 핵심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품질경영효과 성을 향상 할 수 있는 핵심요소가 필요하다.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의 핵심요소가 품질경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조직활동이 품질경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을 고찰하였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ISO 9001 인증업체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활동은 품질경영시스템구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조직혁신활동의 학습조직활동이 전략기획과 실행, 프로세스관리, 품질비용측정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은 품질경영효과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략기획과 실행, 프로세스관리, 품질비용측정활동은 품질경영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조직활동은 품질경영효과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조직혁신활동의 학습조직활동은 품질경영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요약하면 학습조직활동은 품질경영시스템구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학습조직활동과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은 품질경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 학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활동과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의 다른 요인과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서비스업의 학습조직활동과 품질경영시스템구현, 품질경영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업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활동은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립된 품질방침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략의 기획과 실행을 촉진하게 할 것이다. 제품실현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결정하는 핵심프로세스와 지원프로세스가 개선될 것이다. 그리고 품질경영의 효율과 효과를 측정하고, 자원배분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품질비용측정활동을 활성화시켜 줄 것이다. 둘째, 전략기획과 실행, 프로세스관리, 품질비용측정활동의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의 핵심요소는 품질경영효과성향상에 기여 할 것이다. 셋째, 개인․조직혁신활동의 학습조직활동은 품질경영효과 성을 향상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조직활동은 품질경영시스템구현과 품질경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과 품질경영시스템구현은 품질경영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quality management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mea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which changes suddenly. Many companies have input their efforts to establish and to attain quality strategies such as TQM, Six Sigma, and 100PPM campaign, etc.,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The ISO 900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www.iso.ch) Quality Management System model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contributed to setting up the base and system of quality management of the company and it has spread all over the world and entered into a stable period. However, it will not be able to improve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with only the operation of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e operation strategy and the method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a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This study will approach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which has the concept of organization behavior theory affects the core elements of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that the core ele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ffects the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First, there are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 innovation activities. Also, the core elements of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re the strategic planning and its performances, process management and the quality cost measurement activity.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affection of the core element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Second, the core element to improve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is necessary.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affection of the core ele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Finally, this thesis closely examines the affection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for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This reacher of the existing literature established a study models and a hypothesis. Questionnaires for data were distributed to ISO 9001 certified companie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a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mmarizes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appeared with the plus(+) that it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 innovative activities affects strategic planning and its performance, process management and the quality cost measurement activity.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appeared with the plus(+) affecting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the strategic planning and its performance, process management, and the quality cost measurement activity appeared the plus(+) for affecting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Third,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appeared with the plus(+) for affecting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 innovative activities for affecting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When summarized like this,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affecting a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drew a conclus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cientific theory shows as follows : First, the study will be necessary to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affecting different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e research of service business could be advanced about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The strategic current points which are given to companies are as follows : First,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will make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of strategy promotion as the means to establish in order to secure a competitive high position as the means to attain a quality policy and the aim. The core process and the supporting process which decides the core capability which is necessary to a product realization will be improved. Also this will revitalize the cost of quality measurement activity to measur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quality management and to make decision of resource allocation. Second, the core ele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strategic planning division execution, process management and the quality cost measurement activity will contribute in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improvement. Third, the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 innovative activities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will be able to apply with the strategy for. This study comes to conclude that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ffects quality management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